의학
나노바디(Nanobody)란 무엇인가
말총머리
2020. 12. 24. 18:18

표적항원에 결합하는 중쇄만으로 이루어진 면역글로불린(항체)의 가변영역. 저분자화 항체의 일종으로, 단일 사슬 항체, 단일 도메인 항체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알파카와 낙타, 라마 등 낙타과의 포유류는 생체 내에서 경쇄없는, 중쇄만으로 이루어진 면역글로불린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노바디는 항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항체와 같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내산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변성되어도 생리적 조건만 갖추어지면 적절한 접이식 구조가 부활하고 활성이 돌아온다. 분자량은 12kDa에서 15kDa 정도로 작기 때문에 대장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하고, 단백질공학이나 화학수식에 의한 기능변경이 용이하며 항체약물복합체(ADC)도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 1월 프랑스의 Sanofi사가 약 5조 3000억 원에 인수한 벨기에의 Ablynx사는 나노바디를 의약품으로 개발해 왔다. 그 후, 후천성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aTTP) 치료제로, 폰빌레브란드인자(vWF)를 대상으로 한 2가의 나노바디인 Cablivi(caplacizumab-yhdp)가 유럽에서, 2018년 8월에 미국에서 2019년 2월에 승인되었다.
출처 참조 번역
ナノボディ(Nanobody)
https://bio.nikkeibp.co.jp/atcl/report/16/011900001/19/02/21/0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