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침공에 니켈 시장이 대혼란...거래 되돌리기나 가격폭 제한이 실시된 이유란?
2022년 3월 8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니켈 가격이 급등하면서 시장이 혼란에 빠졌고 그 대응으로 LME는 몇 시간 분의 약정을 하지 않은 것으로 되돌리는 조치 외에도 니켈 거래의 가격폭 제한도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LME의 대응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는 가운데 경제계 블로거 마이클 프랭크 마틴 씨는 LME가 이례적인 대응에 나선 이유와 시장가격의 결정에 있어서 거래소가 완수하는 역할을 설명했습니다.
Decoupling in the Nickel Market
https://www.symmetrybroken.com/nickel-decoupling/
과거 10년간의 니켈 시세는 거의 1톤당 1만 달러~2만 달러(약 1200만~2400만 원)의 범위였고 1영업일의 니켈 가격의 변동도 1톤당 수백 달러(약 수십만 원) 정도가 일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세계 제3위의 니켈 생산국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상황이 급변했고 공급 불안에 니켈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3월 7일부터 극적인 니켈 가격 급등이 발생해 8일 오전 5시 42분 현재 과거 최고치를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 몇 분 만에 추가로 3만 달러(약 3600만 원)나 올랐고 6시가 지난 시점에 10만 달러(약 1억 2000만 원)를 돌파했습니다. 그 결과 역방향으로 베팅한 많은 거래자들이 상당한 손실을 입었고 LME는 약 30년 만에 니켈 거래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LME는 "거래정지 이전 몇 시간 동안 체결된 약정을 모두 취소한다"고 발표한 뒤 3월 16일 거래 재개 후는 시세 안정을 위해 15%의 가격폭 제한을 설정했습니다.
이 가격급등의 원인 중 하나는 세계 최대의 니켈 생산회사인 칭산홀딩스(青山控股集団)라는 중국 기업의 거래입니다. 마틴 씨는 칭산홀딩스는 거액의 설비투자를 실시해 생산능력을 확장해왔고 2022년의 니켈 생산량을 2021년보다 40% 늘릴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니켈 소비량이 늘지 않은 채 생산량을 늘리면 니켈 가격 하락이 일어나 설비투자 비용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칭산홀딩스는 니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향후 가격인하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쇼트 포지션(공매)를 취했습니다. 쇼트 포지션이란 장래적인 가격인하를 전망할 수 있는 주식이나 금융상품에 대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려왔다는 형식으로 매각해 장래의 어느 시점에서 환매해 상환한다는 것. 환매시점에서 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면 차액분이 이익이 되지만 가격이 오르면 차액분이 손실이 됩니다.
칭산홀딩스의 경우 향후 니켈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량 증대에 따른 이익을 전망할 수 있는 반면 니켈 가격이 하락해도 쇼트 포지션으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메이커가 생산물의 급격한 가격 움직임으로 인한 파산을 막기 위해 쇼트 포지션을 취하는 조치는 일반적인데 마틴 씨는 “칭산홀딩스가 쇼트 포지션을 취한 것은 실수가 아니었다”고 강조합니다. 그런데 이번 LME의 니켈시장에서 발생한 폭등은 칭산홀딩스에게도 예상외의 규모였다는 것.
한 상품의 시장가격이 급등하면 그 상품의 쇼트 포지션의 보유자는 마진콜(추가 증거금 청구)이라는 보증금 또는 쇼트 포지션의 결제를 요구받습니다. 250%라는 비정상적인 급등을 보인 LME의 니켈시장에서도 마진콜이 발생했고 칭산홀딩스는 갑자기 수십억 달러(수조 원)의 증거금을 지불하거나 100억 달러(10조 원) 단위의 니켈을 건네주어 포지션을 해소할 것을 요구받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칭산홀딩스가 세계 최대의 니켈 생산자라고 해도 수조 원의 현금은 수중에 없습니다. 또한 니켈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및 기타 산업제품에 중요한 원료여서 칭산홀딩스가 생산한 니켈도 이러한 메이커에 판매하는 계약이 이미 맺어져 있기 때문에 니켈을 전달해 포지션을 해소한다는 선택도 불가능합니다. 그 결과 칭산홀딩스는 파산 위기에 빠졌습니다. 같은 상황에 빠진 것은 칭산홀딩스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니켈 메이커나 트레이더도 준비자금을 넘는 마진콜에 직면했다는 것.
칭산홀딩스를 비롯한 니켈 메이커가 파산하면 시장 전체가 대혼란에 빠지고 니켈 가격의 급등은 전기자동차나 가스터빈 등 수많은 분야에 데미지를 주어 결과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그 부담이 전가됩니다. 또 금융시장 관계자는 이 시나리오로 단기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시장 자체가 큰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손해라고 마틴 씨는 지적합니다. 이번 급등이 불러온 결과는 관계자 대부분에게 비극이라는 것입니다.
거기서 LME가 취한 조치가 3월 8일의 약정을 취소한 후 칭산홀딩스가 자금조달에 대해 협상할 수 있을 때까지 거래를 정지했고 거래 재개 후에도 가격폭 제한을 마련한다는 대응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LME의 결정에 대해 불만을 표명하고 있으며 거래소가 개입하거나 가격폭 제한을 마련해 '정당하지 않은 가격'으로 거래를 계속시키는 것은 이상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틴 씨는 "시장은 생산과 소비를 동기화시키는 메커니즘"이라는 생각에서 LME의 결정은 이해할 수 있다고 옹호합니다. 시장가격은 투기 목적이나 관계자의 패닉 등이 얽힌 경우 분명히 수요와 공급에서 벗어난 움직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거래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거래량을 제한하면서 수요와 공급이 매칭하는 시장가격에 접근해 나가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마틴 씨의 주장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3월 8일의 시장가격은 분명히 수요와 공급을 반영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래소인 LME가 가격을 적정한 수준에 접근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입니다.
이번 급등은 다양한 산업에 중요한 니켈이라는 시장에서 발생했지만 다른 시장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틴 씨는 에너지 자원과 식품과 같은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장에서도 가격이 너무 유동적인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LME와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