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 생명공학

'육감'으로 먹이를 찾는다는 새가 서식지를 잃을 위기

말총머리 2024. 6. 11. 16:07


자연계의 동물은 특수한 감지능력으로 광대한 자연으로부터 먹이를 찾아내거나 외적으로부터 몸을 지키기도 합니다. 주로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펠리컨과의 하다다따오기(Hadada ibis)는 '육감'이라는 뛰어난 지각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식지를 잃을 위기에 처한 이유에 대해 남아프리카에 있는 케이프타운대학의 아프리카 조류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는 칼라 재클린 듀토와 씨가 설명했습니다.

Good vibrations: remote‐tactile foraging success of wading birds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water content of substrates they forage in - du Toit - Journal of Avian Biology - Wiley Online Library
https://nsojournal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1/jav.03243

Hadeda ibises’ ‘sixth sense’ works best in wet soil: new research is a wake-up call for survival of wading birds with this superpower
https://theconversation.com/hadeda-ibises-sixth-sense-works-best-in-wet-soil-new-research-is-a-wake-up-call-for-survival-of-wading-birds-with-this-superpower-228854

Hadeda ibises’ ‘sixth sense’ works best in wet soil:  new research is a wake-up call for survival of wading birds with thi

Africa’s hadeda ibises can sense vibrations using a special sensory organ in their beaks. But they need moist soil for it to work.

theconversation.com


하다다따오기는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조류의 일종으로, 아침 일찍 큰 목소리로 특징적인 울음소리를 냅니다. 대부분은 강가의 숲과 늪지, 맹그로브 등 물가 근처에 서식하고 있으며 곤충과 갑각류, 지렁이 등을 먹이로 합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연구를 하는 듀토와 씨는 케이프타운대학의 피츠패트릭·아프리카 조류학 연구소에서 박사과정을 보냈으며 그때부터 하다다따오기에 대해 연구를 했습니다. 듀토와 씨의 연구에서는 따오기 등 해안에 서식하는 조류의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흙이나 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보이지 않는 지중이나 수중의 먹이를 찾아내는 '원격촉각'이라는 능력을 하다다따오기도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부리의 구조로부터 하다다따오기가 원격촉각을 사용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은 이전부터 예측되었습니다. 그래서 연구에서는 소리와 냄새와 같은 다양한 감각의 단서가 동물의 자극을 감지하는 속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하는 일련의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에서는 흙과 지렁이를 채운 트레이를 하다다따오기에게 주고 트레이의 옆에는 화이트 노이즈를 흘리는 스피커도 설치했습니다. 더해 흙에는 지렁이 분말을 섞어 냄새로 살아있는 지렁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없게 했다는 것. 그 결과 화이트 노이즈도, 지렁이 분말도 하다다따오기가 먹이를 찾는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하다다따오기는 청각이나 후각을 미끼 찾기에 이용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게다가 원격촉각을 사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살아있는 지렁이와 죽은 지렁이를 흙에 배치했습니다. 그러자 하다다따오기는 움직이는 지렁이를 움직이지 않는 지렁이보다 압도적으로 빨리 발견했다고 합니다.

연구에서는 하다다따오기가 뛰어난 원격촉각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한편 하다다따오기의 원격촉각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듀토와 씨는 지적했습니다. 보이지 않는 위치의 먹이를 찾아내는 원격촉각은 토양의 수분량과 밀접하게 관계한다고 합니다. 토양의 물의 양이 하다다따오기의 먹이 찾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했는데, 하다다따오기는 젖은 토양에서 재빠르게 지렁이를 찾았고 건조한 토양에서는 2배 이상의 시간을 걸렸다고 합니다.

by Mikell Darling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98%BC%E9%96%93%E3%81%AE%E7%B7%91%E3%81%AE%E8%8A%9D%E7%94%9F%E3%81%AE%E4%B8%8A%E3%81%AE%E7%81%B0%E8%89%B2%E3%81%A8%E9%BB%92%E3%81%AE%E9%B3%A5-BnEDa2-HYGE


하다다따오기는 남아프리카에서 대규모로 서식지역을 확대시키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농장이나 교외의 확대에 의해 인공관개가 진행되면서 하다다따오기가 서식하는 물가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듀토와 씨의 연구에서 하다다따오기가 먹이를 감지하기에 충분한 수분을 포함한 토양이 필요하다고 판명되었기 때문에 건조한 지역에서는 서식할 수 없고, 물가의 확대에 의해 서식지가 넓어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합니다.

듀토와 씨가 실시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하다다따오기의 부리 구조는 유사한 원격촉각을 가진 따오기와 비교하여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다다따오기보다 더 민감하다고 생각되는 Calidris pygmea 등의 종은 토양의 변화에 ​​의해 멸종의 위기에 있기 때문에 토양의 수분량이나 기온변화에 의한 건조 정도가 변화하는 경우 하다다따오기의 서식지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듀토와 씨는 보았습니다.

물가에 서식하는 새들이 어떤 종류의 감각으로 먹이를 찾고 있었고, 이를 위해 어떤 기질의 토양을 찾고 있는지는 생태연구에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조류의 감각에 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하다다따오기의 서식지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듀토와 씨는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