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IT업계에서 독자적인 진화를 이루고, 사회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미니프로그램'이라는 기술

텐센트가 리드하는 미니프로그램

'미니프로그램'은 앱에서 움직이는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입니다. '앱 안의 앱'이라 이해하여도 괜찮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2017년 1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WeChat의 미니프로그램입니다. 점포나 택시 예약, 메뉴 주문 및 결제 등 모든 기능을 갖춘 미니프로그램을 빠르고 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미니프로그램이라면 이 텐센트의 미니프로그램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은데, 총 사용자 수는 6억 명, DAU(Daily Active User)는 2.3억 명 이상 (2019년 1월 현재). WeChat의 미니프로그램의 수는 2018년 초에는 58만 개 정도였던 것이 2019년 연초에는 무려 배 100만 개로 급증했습니다.

단, 텐센트 이외의 플레이어도 속속 미니프로그램 서비스의 제공을 시작하고 판도가 언제 바뀌더라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2018년 여름에 서비스를 시작했던 알리바바, 바이두, 더 바이트댄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제조업체 10개사가 공동으로 만든 快应用連盟(빠른 앱)라는 다섯의 플레이어가 존재합니다.

IT업계의 판도를 바꿀만한 가능성도...

각사가 미니프로그램의 추진에 힘을 쏟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유량(사용자 액세스, 체류 시간 등)를 확보하고 싶다'는 의도가 있습니다. 독립적인 미니프로그램들을 자사 플랫폼에 집중함으로써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플랫폼의 확고한 지위를 조성하는데 기여합니다.

미니프로그램과 같은 시도는 일본의 LINE도 하고 있습니다만, 크게 다른 점은 LINE은 자사완결의 새로운 기능구현을 전개하는 반면, 중국은 동맹을 짜면서 타사 앱을 모두 가져오려고 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각사가 App Store와 같은 존재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규모가 한 단계 큰 이야기입니다.

알기 쉬운 예를 들면 중국 내에서 EC시장은 알리바바가 장악해버렸기 때문에 후발 독립 서비스가 혼자 전개해 나가는 것은 어려운 상황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MAU가 11억 명이 넘는 WeChat이라는 플랫폼에서 자사 미니프로그램을 개발하고 EC시장 전개를 하면 반격의 기회를 노릴 수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알리바바는 SNS 영역에서 텐센트를 따라잡기 어려우므로 MAU 7억 명 (2019년 6월 시점)의 결제서비스 Alipay(알리페이)에 내장된 미니프로그램을 강화함으로써 플랫폼으로의 지위를 확고히 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미니프로그램의 사용 현황은...

WeChat의 미니프로그램의 경우 사용자는 하루에 평균 4~5회 이용하고 평균 이용시간은 13분. 타사의 미니프로그램과 비교해도 이용시간이 긴 이유는 게임의 미니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한편, Alipay의 미니프로그램의 경우 결제 기능이 주기능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용시간이 짧은 경향이 있습니다.


초기의 미니프로그램은 이용자 수 순위의 상위 40%를 게임계가 점유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EC 및 검색, 영화 장르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WeChat의 미니프로그램이 2018년 1년 동안 두 배로 증가한 것에 대해 앞에서 언급했지만, 그 계기가 된 것이 '跳一跳'이라는 게임의 폭발적인 히트입니다. 이 게임의 총 사용자 수는 3억 명에 이르고 있지만, 전성기에는 DAU가 1.7억 명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인기를 배경으로 진행된 5일간 한정의 광고가 무려 34억 원에 팔리고 있었습니다. 그 결과, '미니프로그램에 가능성이 있다'고 많은 기업이 생각하여 반년 동안 72%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음식점을 크게 바꾼 미니프로그램

사용자도 개별 앱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사용할 때마다 클라우드에서 호출) 미니프로그램은 가볍게 작동하고 휴대전화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필자가 미니프로그램을 즐겨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결제의 편리함입니다. 개별 앱에서 EC를 이용하면 매번 결제정보를 등록해야 하지만 미니프로그램이라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미니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음식점도 급증하고 있으며, 2018년 2분기에만 85% 성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大众点评'에는 별도의 앱과 미니 앱이 존재합니다. 양자의 UI는 크게 다르지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는 손색이 없습니다.

필자가 살던 상해의 대부분의 대형음식점에는 이미 계산원이 존재하지 않고, 식탁에 QR코드가 있을 뿐 입니다. 그 코드를 스캔하면 미니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고 손쉽게 지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님이 주문 및 결제를 마칠 수 있어, 웨이터, 계산원을 둘 필요가 없어져, 가게 측에 있어서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 매력적입니다.

미니프로그램 플랫폼의 개발에는 막대한 자금력과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므로 실현까지의 장애물은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번역
IT業界に激震を与える、中国の「ミニプログラム」とは何か?
https://diamond.jp/articles/amp/219425?display=b

IT業界に激震を与える、中国の「ミニプログラム」とは何か?

『TikTok 最強のSNSは中国から生まれる』より、中国のIT業界で独自の進化を遂げ、社会にも大きな影響を与えている「ミニプログラム」という技術を紹介します。

diamond.jp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