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mhyXs/btq5yaxS0dt/pHOPYimPFagRLOK6QKuvI0/img.jpg)
플라즈마에 강력한 레이저를 두 방향에서 조사하여 플라즈마에서 빛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실험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고온의 플라즈마와 강력한 레이저의 상호작용을 밝힌 이 실험결과에 따라 레이저 등으로 연료를 플라즈마화시켜 핵융합을 일으키는 관성밀폐방식의 핵융합기술이 크게 진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hys. Rev. Lett. 126, 205001 (2021) - Slow and Fast Light in Plasma Using Optical Wave Mixing
https://journals.aps.org/prl/abstract/10.1103/PhysRevLett.126.205001
Slow and Fast Light in Plasma Using Optical Wave Mixing
Interactions between two laser beams in a plasma allow for precise control over the light's velocity.
journals.aps.org
Physics - Light Pulses Change Speed in a Plasma
https://physics.aps.org/articles/v14/s60
Light Pulses Change Speed in a Plasma
Interactions between two laser beams in a plasma allow for precise control over the light’s velocity.
physics.aps.org
Physicists Have Broken The Speed of Light With Pulses Inside Hot Plasma
https://www.sciencealert.com/pulses-of-light-can-break-the-universal-speed-limit-and-it-s-been-seen-inside-plasma
Physicists Have Broken The Speed of Light With Pulses Inside Hot Plasma
Sailing through the smooth waters of vacuum, a photon of light moves at around 300 thousand kilometers (186 thousand miles) a second. This sets a firm limit on how quickly a whisper of information can travel anywhere in the Universe.
www.sciencealert.com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진공상태에서 초속 약 30만 km로 진행하는 빛의 속도를 '궁극의 속도제한'이라고 했는데, 빛의 펄스가 물질 중을 통과할 때의 속도는 광속보다 느릴 수도 있으나 광속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군속도'라는 속도와 물질의 관계를 연구하던 미국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연구원인 클레멘트 고욘 교수는 플라즈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모습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레이저로 수소와 헬륨가스를 이온화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했고 거기에 두 번째 레이저를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2개의 레이저가 교차하는 부분의 빛의 속도를 측정한 결과, 두 번째 레이저광은 수평방향의 속도 성분이 플라즈마의 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감속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감속은 2개의 레이저와 플라즈마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연구팀이 두 레이저의 주파수를 바꾸자 플라즈마에서 진행하는 빛의 속도를 진공에서 진행하는 광속의 10분의 1에서 1.3배 정도까지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5GNPJ/btq5CAWPr5l/Mb3q2YwMJxngmZ4s1YOMt1/img.jpg)
이번 실험에서는 광속을 넘는 속도가 관찰되었지만, 이것은 특수상대성이론과 광속도 불변의 원리 등 기존의 물리법칙을 위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SF 같은 초광속 비행과 통신의 실현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고온의 플라즈마에서 매우 강력한 레이저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었다는 이번 연구성과는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기술의 향상이나 입자가속기의 개량 등 최첨단기술에 다양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과학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연구팀이 새로운 AI '悟道2.0'을 발표...매개변수의 개수는 1조 7500억 개로 Google과 OpenAI 모델을 능가 (0) | 2021.06.04 |
---|---|
1억 2000만 도의 플라즈마를 101초간 유지...중국의 핵융합로 'EAST'가 세계기록을 갱신 (0) | 2021.06.02 |
우주를 형성하는 자연계의 4가지 힘 (0) | 2021.05.29 |
시간이란 무엇인가 (0) | 2021.05.25 |
무게가 거의 제로인 '구조적 배터리'란? (0) | 2021.05.02 |
우주여행을 하는 동안에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 (0) | 2021.05.02 |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은 정말일까? (1) | 2021.04.30 |
겨우 90밀리그램인 물체도 중력에 의해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은 어떻게 증명되었을까 (1)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