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은 눈에 보이지 않고 방사성물질이 체내에 흡수되면 내부 피폭으로 인해 인체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방사선에 대해 의학과 공학전문가가 “대부분의 방사성물질은 자연계에도 널리 존재하고 있고 지구 상의 생명도 방사선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며 방사선과 생명의 관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We’re all radioactive – so let’s stop being afraid of it
https://theconversation.com/were-all-radioactive-so-lets-stop-being-afraid-of-it-175267

We’re all radioactive – so let’s stop being afraid of it

Experts in nuclear power and nuclear medicine worry that fears of radiation will keep us relying on fossil fuels for longer.

theconversation.com


영국 웨일스 북부의 뱅거대학(Bangor University)에서 원자력과 재료공학을 연구하는 빌 리 교수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의학부의 분자병리학자인 제리 토마스 교수는 인간이 저선량의 방사선에 노출되어도 살 수 있게 되었다며 그에 따라 비교적 고선량의 방사선이 아닌 한 해가 없다는 것. 방사선의 선량과 건강에 대한 영향의 관계에 대해서는 “진통제를 1정 먹으면 두통이 낫지만 1상자를 한꺼번에 먹으면 죽음에 이를 가능성이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방사성물질을 과학이 만들어낸 인공물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데 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물질 대부분은 우주가 탄생한 빅뱅이나 그 후의 우주의 활동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태어난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방사성물질 중에는 반감기가 매우 긴 것이 있는데 토륨의 반감기는 140억 년, 우라늄은 45억 년, 칼륨은 13억 년입니다.


지구가 탄생했을 때부터 지각 속에 존재하고 있는 원시 방사성 핵종은 지금도 암석이나 광석, 토양 중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서 이것들의 붕괴로 인해 발생한 붕괴열이 지구 내부의 맨틀을 녹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맨틀의 대류로 발생하는 강력한 자기장은 지구상의 생명체를 치명적인 우주선으로부터 지키는 장벽의 역할을 합니다. 리 교수는 “만약 지구에 방사성물질이 없었다면 지구의 핵은 차가운 철덩어리가 되어 지상에는 생명이 존재하지 않는 죽은 별이 되었을 것”이라고 단언합니다.

토양에 방사성물질이 있다는 것은 밭에서 취한 작물에도 방사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바나나, 콩, 당근, 감자, 땅콩, 브라질 너트 등이 비교적 방사성물질이 많은 식재료에 해당한다는 것. 예를 들어 맥주에 포함된 방사성 칼륨은 당근주스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식품에 포함된 칼륨과 같은 방사성물질 대부분은 신속하게 체외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일정한 기간 체내에 남아 있습니다. 그동안 방사성 칼륨은 방사선을 계속 발산하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인간은 누구나 방사성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리 교수는 말합니다.

1896년 프랑스의 물리학자인 앙리 베크렐이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방사성물질을 발견했고 1930년대에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 부부가 인공 방사성물질을 만든 이래 방사성물질은 과학·산업·농업·의학 등 폭넓은 분야에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분야에서는 방사성물질에서 발생한 방사선을 종양에 적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사선치료가 진행되고 있으며 방사성 요오드가 갑상선에, 라듐이 뼈에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한 암 진단 등 방사성물질은 '핵의학'으로서 암의 진단과 치료 모두에서 유용하다는 것.

이와 같이 방사선이나 방사성물질이 친숙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에 대한 우려가 과대평가되는 상황에 대해 리 교수는 “우리는 방사능에 대한 공포가 기후변화 대책 예를 들어, 원자력 에너지를 위험시하고 있는 독일은 전력의 약 4분의 1을 석탄으로 해결하고 있으며 자국 내에 남아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폐쇄를 진행하는데 사실 원자로는 석탄이나 가스, 석유발전과는 달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최신 원자력 발전소라면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적다"며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에는 원자력 에너지의 재평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