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ma-ray burst and supernova.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rtist%E2%80%99s_impression_of_a_gamma-ray_burst_and_supernova_powered_by_a_magnetar.jpg


쿼크 노바(Quark-nova)는 중성자별이 쿼크별로 붕괴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가설상의 초신성이다. 쿼크 노바의 개념은 북유럽이론물리학연구소의 Rachid Ouyed와 마으라나 · 아자드 대학의 J. Dey, 캘커타관구대학의 M. Dey가 제창했다. 쿼크 노바의 가설은 다양한 간행물에서 언급되었다.

중성자별이 침강하면 쿼크 가둠이라는 과정에 의해 쿼크별로 변화한다. 그 결과로 생긴 별은 내부가 QCD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매우 큰 에너지가 방출된다. 대략적 계산으로는 중성자별 내부의 상전이에 의해 10^47J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어쩌면 우주에서 가장 에너지가 큰 폭발일지도 모른다. 쿼크 노바는 감마선 버스트의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Jaikumar씨 연구팀에 따르면, 쿼크 노바는 R과정을 통해 백금 등의 무거운 원소를 생산하는 데에도 참여하고 있다.

The Tycho Supernova: Death of a Star. https://www.flickr.com/photos/nasamarshall/48937768627


태양질량의 1.5배에서 1.8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빠르게 자전하는 중성자별은 허블시간 동안 침강에 의한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최대의 후보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중성자별의 수는 극히 적다. 보수적인 추정으로는,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매일 2개의 쿼크 노바가 발생한다.

이론적으로는 쿼크별은 전파를 방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파를 발산하지 않는 중성자별은 쿼크별일 가능성이 있다.

쿼크 노바의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그러나 초신성 SN 2006gy, SN 2005gj 및 SN 2005ap의 최근 관측은 그 존재를 시사하고 있다.

Supernova 1987A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The_material_around_SN_1987A.jpg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クォーク新星
https://ja.m.wikipedia.org/wiki/%E3%82%AF%E3%82%A9%E3%83%BC%E3%82%AF%E6%96%B0%E6%98%9F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