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에 '죽음'이 있듯이 은하에도 '죽음'이 존재합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4540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천천히 은하가 죽어가는 모습을 포착했다고 NASA가 발표했습니다.
Hubble Views a Galaxy with Faint Threads | NASA
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1/hubble-views-a-galaxy-with-faint-threads
NASA’s Hubble Telescope Catches Stunning Sight of Dying Galaxy - Sputnik International
https://sputniknews.com/science/202104111082599296-nasas-hubble-telescope-catches-stunning-sight-of-dying-galaxy/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것은 지구에서 약 454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NGC 1947이라는 은하로, NGC 1947은 1826년에 천문학자 제임스 던롭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NGC 1947은 가스나 먼지 같은 성분이 적어서 나선의 팔이 없다는 점이 다른 은하와 달라 '렌즈형 은하'로 분류됩니다.
은은하게 빛을 발하는 NGC 1947의 사진.
수십억 년 동안 새로운 별을 만들지 않은 은하는 '죽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NGC 1947도 예전에는 다른 은하와 마찬가지로 나선 팔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스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별을 만들어 왔지만, 지금은 별의 재료가 부족해져 은은하게 중심이 발광할 뿐입니다. 완전히 NGC 1947이 죽음을 맞이까지는 아직 긴 세월이 남았지만, 앞으로도 새로운 별을 생성하지 않고 계속해서 쇠퇴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NGC 1947의 사진은 '죽어가는 은하의 사진'이라고 불리며 눈길을 끌어왔습니다.
한편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는 70억 년 전에 한 번 죽은 후 그로부터 20억 년 후에 재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시점의 우리은하는 별의 형성이 비교적 느린 편이지만, 죽음까지는 먼 여정이 남아있다고 추정됩니다.
NGC 1947의 고해상도 이미지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Faint Remnant Threads | ESA / Hubble
https://esahubble.org/images/potw2051a/
'우주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 최대의 폭발 '쿼크 노바' (0) | 2021.04.22 |
---|---|
우주의 거대 원자핵 '중성자별' (0) | 2021.04.22 |
지구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양활동 '태양플레어', '코로나 질량방출'이란? (0) | 2021.04.21 |
'우주에서 젖은 수건을 짜면 어떻게 될까?'라는 실험 동영상이 화제 (0) | 2021.04.16 |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미러 유니버스'가 존재한다는 주장 (0) | 2021.04.10 |
목성에서 급속하게 확대하는 링 형태의 오로라를 관측 (0) | 2021.04.01 |
12년에 걸쳐 촬영한 1.7기가픽셀의 '은하수' (0) | 2021.03.23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미지의 세균이 발견되다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