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에서 1600만 부 팔린 '은하 히치하이크 · 가이드'나 '닥터 후' 시리즈의 작가겸 극작가인 더글러스 애덤스 씨는 '42'라는 숫자를 특별하게 생각했습니다. 이 42라는 숫자가 우주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새롭게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Measurement Quantization Describes the Physical Constants
http://article.sapub.org/10.5923.j.ijtmp.20211101.03.html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New Research Says #42 Really Is Our Number - Slashdot
https://science.slashdot.org/story/21/01/31/0037221/hitchhikers-guide-to-the-galaxy-new-research-says-42-really-is-our-number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New Research Says #42 Really Is Our Number - Slashdot
Just 11 months before his death in 2001, famous author Douglas Adams answered questions from Slashdot readers. And Slashdot reader Informativity still remembers how Adams (also a Doctor Who script editor) had included a supercomputer named Deep Thought in
science.slashdot.org
애덤스의 소설 '은하 히치하이크 가이드'에 등장하는 슈퍼컴퓨터 딥소트는 '생명, 우주, 그리고 만물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답'에 대한 물음에, 750만 년의 계산 끝에 '42'로 산출했습니다. 이 '42'라는 숫자는 SF 팬들 사이에서 유명하게 되었고, 애덤스 씨가 사망한 2001년에 발견된 소행성인 잠정지정 2001 DA 42는 '25924 Douglasadams'라고 이름 붙여질 정도였습니다. 또한 Google 검색에서 '생명, 우주, 그리고 만물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하면 계산기가 '42'로 산출할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새롭게 양자중력과 전자구조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는 The Informativity Institute의 설립자이자 플로리다대학의 이론물리학자인 조디 가이거 씨가 새롭게 'Measurement Quantization Describes the Physical Constants'(측정양자화는 물리상수를 설명한다)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는 '42'라는 숫자에 대해 많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관련 뉴스를 다루는 게시판 Slashdot에서 The Informativity Institute의 계정은 논문을 인용하며 "세계는 '42'의 산물이다"라고 코멘트. 플랑크 단위계의 관점에서 미세구조상수와 전자상수, 원자성 등을 보면 42와 42의 배수가 여러 번 등장하는데, 이에 "42라는 숫자가 우리의 우주를 정의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더글러스 애덤스는 '은하 히치하이킹 가이드'를 쓰고 있을 때 의미 없이 숫자를 선택했을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올바른 숫자를 선택했습니다. 모든 집합을 정의한 숫자입니다"라고 말합니다.

한편, 위의 논문이 게재된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는 동료평가를 거치는 저널이라고 설명되어 있지만, 논문 제출일 · 수리일 · 게시날짜에서 '의미있는 리뷰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받고 있으며, 논문의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주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사 블랙홀을 통해 '호킹 복사'를 확인했다는 연구결과 (0) | 2021.03.05 |
---|---|
화성의 4억 화소 고화질 파노라마 사진 & 2000개 이상의 원본데이터를 NASA가 공개 (0) | 2021.03.04 |
NASA가 화성에 쏘아보낸 탐사기 '퍼서비어런스'에서 보이는 '360도 영상'을 공개 (0) | 2021.02.24 |
'암흑물질은 5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소립자'라는 이론이 발표되다 (0) | 2021.02.15 |
스바루의 '육련성'이 10만 년 전 '칠련성'이었을 가능성 (0) | 2021.01.19 |
2020년도에 발견된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암시하는 10가지 증거 (0) | 2020.12.28 |
우주망원경으로 측정한 '별까지의 거리' 데이터세트가 업데이트되다...심오해진 '우주의 팽창속도에 관한 수수께끼' (0) | 2020.12.23 |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고속 이동시키는 '우주의 슈퍼 하이웨이'를 발견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