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우리 인류는 불가분의 관계로, 인류가 존재하는 장소에는 반드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존재합니다. 고도 400km를 비행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4가지의 세균주가 발견되었고 그 중 3가지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Frontiers | <span id='3' class='pointerLayer check_oFF'>Methylobacterium</span> <span id='4' class='pointerLayer check_oFF'>ajmalii</span> sp. nov., Isolated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Microbiology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micb.2021.639396/full

Methylobacterium ajmalii sp. nov., Isolated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Four strains belonging to the family of Methylobacteriaceae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locations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across two consecutive flights. Of these, three were identified as Gram-negative, rod-shaped, catalase-positive, oxi

www.frontiersin.org


Three bacterial strains discovered on space station may help grow plants on Mars | EurekAlert! Science News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21-03/f-3bs031521.php

Three bacterial strains discovered on space station may help grow plants on Mars

Swab samples of 8 surfaces aboard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ave led to the identifying of 4 strains of bacteria, 3 of which belong to a newly discovered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Methylobacterium. According to researchers, these new strains mig

www.eurekalert.org


Microbes Unknown to Science Discovered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s://www.sciencealert.com/four-bacterial-strains-discovered-on-the-iss-may-help-grow-better-space-plants

Microbes Unknown to Science Discovered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he menagerie of bacterial and fungal species living among us is ever growing - and this is no exception in low-gravity environments, such as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www.sciencealert.com


ISS에서는 세균의 증식을 6년간 감시하고 있었으며, 지금까지 1000여 종의 샘플을 채취하여 지구에서 분석이 이루어졌습니다. NASA · 제트추진연구소의 Kasthuri Venkateswaran 씨와 Nitin Singh 씨 연구팀은 ISS의 다른 위치에서 얻은 샘플에서 4가지의 박테리아 변종을 발견했습니다.

4가지의 균주 중 3가지는 2015년~2016년에 채취된 샘플에서 분리된 것으로, 각각 ISS 연구모듈의 천장패널, 관측용 모듈인 Cupola, 식사를 위한 테이블의 표면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네 번째는 교체된 오래된 HEPA 필터의 샘플에서 2011년에 분리되었습니다.

4가지의 균주는 모두 Methylobacteriaceae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ethylobacteriaceae은 토양과 담수에서 발견되는 세균의 일종으로, 질소 고정과 식물의 성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토양과 담수에서 발견되는 세균이 ISS에서 발견된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ISS는 재배실험을 위해 지상에서 식물이 유입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이 중 HEPA 필터에서 발견된 것은 Methylorubrum rhodesianum이라는 이미 알려진 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3가지가 미지의 세균주로 나타나 각각 'IF7SW-B2T', 'IIF1SW-B5', 'IIF4SW-B5'로 명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인도의 저명한 생물학자인 Ajmal Khan 씨를 기념하여 'Methylobacterium ajmalii'로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고 합니다.

연구를 거듭한 결과, 미지의 3가지 세균주 중 하나인 IF7SW-B2T의 게놈은 식물의 뿌리와 새싹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이닌'의 생성에 필수적인 효소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자원이 거의 없는 북극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의 분리가 필수적"이라며 이번에 발견된 미지의 세균주가 미래의 화성유인탐사 임무와 우주에서의 농업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by Aslam Z., Lee CS, Kim K.-H., Im W.-T., Ten LN, Lee S.-T.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Methylobacterium_jeotgali.jpg


Venkateswaran 씨는 "물론 ISS는 청결하게 유지된 극한 환경입니다. 승무원의 안전은 최우선이며, 인간과 식물에게 있어 병원균의 이해는 중요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Methylobacterium ajmalii 같은 유익한 미생물도 필요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분석을 위해 ISS에서 채취된 샘플을 지구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우주에서 샘플의 수집 · 처리 · 분석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된 미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기술은 NASA와 다른 우주개발국이 장기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우주탐사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