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이 2021년에 발표한 'Project Starline'은 원격지에 있어도 실제로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현지 시각 2023년 5월 10일에 개최된 개발자 이벤트 'Google I/O 2023'에서는 Project Starline의 최신 프로토타입이 공개되었습니다.
Google's latest Project Starline prototype is starting to approach a practical size
https://www.androidpolice.com/google-project-starline-prototype/
Google’s new Project Starline prototype isn’t a giant booth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5/10/23718836/google-project-starline-prototype-booth-ai-io
Google이 2021년에 발표한 Project Starline은 기술을 구사해 상대를 실제 같은 3D 홀로그램으로 표현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람이 눈앞에 있는 것처럼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Google은 Project Starline에서 개발하는 도구를 '마법의 거울'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 '거울'을 통해 상대방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1년 당시 Project Starline은 개발 도중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 사용에는 맞춤형 하드웨어와 고도로 전문화된 장비가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발표 당시 Project Starline은 거대했으며 사용 난이도가 크게 높았습니다.
이번 구글이 구글 I/O 속에서 발표한 최신 Project Starline 프로토타입에서는 상대와의 대화를 가능한 한 현실적으로 한다는 당초의 목적은 그대로 유지한 채 약 40인치 TV만큼 Project Starline을 소형화했고 카메라 수도 줄였습니다. 소형화로 사무실 내에서의 이동이 쉬워졌습니다.
Google이 공개한 Project Starline의 최신 프로토타입을 소개한 동영상을 살펴보면 화면의 상단과 왼쪽, 오른쪽에 3D 모델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시각데이터를 얻는 전용 카메라가 있습니다.
Introducing our New Project Starline Prototype | Googl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buyCkotJ_s&t=75s
2021년에 공개된 Project Starline은 모든 각도에서 대상인물을 캡처하기 위해 몇 대의 카메라가 필요했고 설치에는 방 크기의 넓이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최신 프로토타입에서는 AI와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대의 카메라로 피사체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구글은 “지금까지의 Project Starline은 레스토랑 테이블과 같은 크기였지만, 새로운 프로토타입에서는 평면 TV만큼의 크기로 소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구글은 이전 Project Starline의 프로토타입은 상대방의 라이브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적외선 이미터나 특수카메라 등의 복잡한 하드웨어가 필요했기 때문에 훌륭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사이즈가 거대해져 오피스 도입은 어려웠다고 토로했습니다.
Google은 이번에 발표한 Project Staline의 최신 프로토타입을 Salesforce나 T-Mobile, WeWork와 공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과의 대화가 얼마나 원활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Salesforce의 비즈니스 기술담당 수석부사장인 앤디 화이트 씨는 “Project Starline은 직원과 고객 모두에서 이전보다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촉진하고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진정한 몰입형 커뮤니케이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고 전망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성 AI의 비약적 성능 향상의 비밀 'Grokking' (0) | 2023.06.01 |
---|---|
스마트폰의 지문인증을 기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공격수법 'BrutePrint'...Android에는 효과적이나 iPhone은 방어 가능 (0) | 2023.05.24 |
수백만 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안드로이드 TV에 악성코드가 미리 설치되어 있었다 (0) | 2023.05.22 |
Pixel을 자동차 드라이브 레코더로 만드는 계획 (0) | 2023.05.19 |
'IKEA의 의자에 앉으면 PC 화면이 어두워진다'는 괴현상의 원인과 대책 (0) | 2023.05.04 |
공공 충전스테이션을 통해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주스재킹'에 대한 경고는 넌센스라는 지적 (0) | 2023.05.03 |
스마트폰 설정으로 위치정보를 OFF한 경우에도 통신사업자에게 위치정보가 샌다 (0) | 2023.05.02 |
1인치 센서의 고성능 카메라 탑재 스마트폰 'Xiaomi 13 Ultra'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상식을 바꿀까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