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
'우주인은 이미 지구에 와 있다. 헝가리인이야'라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헝가리 출신의 천재들이 유명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인물이 '악마의 두뇌'로 불리던 존 폰 노이만입니다. 원자나 전자 등의 미시적인 영역을 기술하는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를 구축했고 인간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취급하는 '게임 이론'을 제창했으며 컴퓨터의 원형 제작 등 그 공적은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7개의 언어를 구사했다'거나 '자신이 개발한 컴퓨터의 계산보다 노이만의 암산이 빨랐다' 등 천재적인(그리고 괴짜다운) 재능을 나타내는 일화도 부족함이 없습니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Alexander Grothendieck)
소수의 예를 들며 '57'을 언급하여 아직도 수학계의 농담 재료로 취급되고 있는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참고 : 그로텐디크 소수). 그것은 수학을 추상적으로 파악하는 작업을 자신의 관점에서 규명한 천재이기에 가능한 일화일 것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숫자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능력이 천재인지와 반드시 관계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수기하학을 근본부터 다시 작성하는 등 현대의 수학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방법을 만들어 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명한 '대수기하학 원론'은 인터넷에서도 읽을 수 있지만 프랑스어이고 난해한 수학용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근무하던 연구소가 군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은 사실을 알고 즉시 사직하였고 수학계의 무대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리고리 페렐만(Grigori Perelman)
클레이연구소가 증명에 100만 달러의 상금을 건 것으로 유명한 '푸앵카레 추측'을 훌륭하게 증명한 인물이 그리고리 페렐만입니다. 러시아 출신으로 어렸을 때부터 영재교육을 받았고 국제수학올림픽에도 출전했습니다.

그런 그가 갑작스럽게 '서스턴의 기하화 추측'이라는 난제를 증명한 후 그 귀결로서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했을 당시 곳곳에서 충격을 받았습니다. 푸앵카레 추측은 '도넛과 커피컵이 동일하다' 등을 취급하는 토폴로지라는 수학으로 증명이 시도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페렐만은 미분기하학 등을 사용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증명한 것입니다. 애초 그 증명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도 적었습니다.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한 업적에 따라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에 선정된 페렐만. 그러나 그는 클레이연구소의 상금과 필즈상 모두를 거부했습니다.
'과학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와인이 기름진 요리와 궁합이 발군인 이유가 과학적으로 규명되다 (0) | 2021.04.12 |
---|---|
인간은 문제해결을 위해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경향이 강하고 기존 요소의 '제거'에는 서툴다 (0) | 2021.04.10 |
진짜보다 딱딱한 인공 다이아몬드를 실험실에서 형성 (0) | 2021.04.06 |
반물질을 포획하는 레이저 냉각장치를 CERN 연구팀이 개발...반물질 연구가 비약적으로 발전 (0) | 2021.04.02 |
다우징(Dowsing)이란 무엇인가? (0) | 2021.03.27 |
5G 네트워크를 '무선전력망'화하기 위한 안테나가 개발되다 (0) | 2021.03.27 |
직관에 반하는 통계결과를 만들어내는 '벅슨의 역설'이란? (0) | 2021.03.26 |
20세기 최대의 과학스캔들 '상온핵융합'을 미해군이 재검토 (0) |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