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온도란 빛의 색을 K(켈빈)이라는 열역학적 온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주황색에서 흰색, 청색으로 변화해 갑니다. 그것을 근거로 무한히 뜨거운 것을 생각했을 때에는 어떤 색이 되는지에 대해 수리과학의 연구프로젝트 The Azimuth Project가 공식블로그에서 설명했습니다.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 Azimuth
https://johncarlosbaez.wordpress.com/2022/01/16/the-color-of-infinite-temperature/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This is the color of something infinitely hot. Of course you’d instantly be fried by gamma rays of arbitrarily high frequency, but this would be its spectrum in the visible range. This…

johncarlosbaez.wordpress.com


금속을 가열하면 빨강과 주황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 빛을 거의 완전히 흡수하여 반사하지 않는 흑체라는 것을 상정했을 때, 어느 온도에서 흑체가 방사하는 빛의 파장이 색으로 나오게 되고 고온이 되면서 빨강에서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으로 변화하고 더욱 고온이 되면 청색에서 진청색이 된다는 것.

by Hołek.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570047


이 빛을 분석한 스펙트럼은 레일리-진스의 법칙에 기초한다. 이 법칙은 흑점이 뜨거워질수록 근사치로서 정확한 것이 되기 때문에 '무한히 뜨겁게 한 흑점'의 색도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이 법칙에 따르면 색이 온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밝기가 온도에 의존해 모습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https://johncarlosbaez.wordpress.com/


게다가 색이 모습은 단순한 물리학뿐만 아니라 인간의 지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파리의 국립고등통신학교의 강사인 데이비드 마도아 씨에 따르면 레일리-진스의 법칙에 대한 인간의 눈의 반응을 규명함으로써 Windows 환경에서도 기준이 되는 sRGB의 색공간에서 상정한 색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을 감안하면 무한히 뜨거운 것의 색은 sRGB에서 (148,177,255)로 나타나는 아래와 같은 색에 가깝습니다. 이 색은 항성이 초신성 폭발하여 형성되는 전형적인 중성자별의 색이며 초기 우주의 색이기도 하다고 설명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