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난치병인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 IBD)은 영국에서 10명 중 1명, 세계에서는 총인구의 약 5%가 걸려 있다고 하는 질병입니다. 지금까지 IBD의 원인은 불분명했지만 프랜시스 클릭 연구소 등이 IBD의 주요 원인이 되는 생물학적 경로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Major cau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covered | Crick
https://www.crick.ac.uk/news-and-reports/2024-06-05_major-cause-of-inflammatory-bowel-disease-discovered
Bowel disease breakthrough as researchers make ‘holy grail’ discovery | Digestive disorder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article/2024/jun/05/bowel-disease-hope-researchers-find-biological-pathway
프랜시스 클릭 연구소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팀은 이전에 IBD 및 기타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관성을 지적해 온 '유전자 사막'이라고 불리는 비코드 DNA 영역의 조사를 실시해 Enhancer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Enhancer란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볼륨 다이얼과 같은 것으로, 연구그룹이 발견한 Enhancer는 염증반응에서 큰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에서만 활성화되어 'ETS2'라는 유전자의 작용을 강화하고 있었습니다.
연구그룹은 유전자편집을 사용하여 ETS2가 대 식세포의 대부분의 염증반응에 필수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또 놀랍게도 안정일 때 대식세포에서 ETS2의 양을 늘리면 IBD 환자의 것과 닮은 염증세포로 변화했다는 것.
게다가 연구그룹은 지금까지 IBD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온 많은 유전자가 ETS2 경로의 일부이며 ETS2 경로가 IBD의 주요 원인임을 증명했습니다.
Major cau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covered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l0o-zXZ70BE
ETS2의 작용을 저해하는 약은 없기 때문에 연구그룹이 ETS2의 활성화를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을 찾았는데, 이미 다른 비염증성 질환으로 처방되고 있는 MEK 억제 약물이 ETS2의 염증반응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실제로 시도한 결과, MEK 억제제는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IBD 환자의 장관 샘플의 염증반응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MEK 억제제는 다른 기관에 부작용을 미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연구그룹은 의학연구단체 LifeArc와 협력하여 MEK 억제제를 대식세포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IBD 환자의 약 95%가 ETS2 Enhancer의 변이체(다양체)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는데 연구그룹은 다양체가 이렇게 일반적으로 남아 있는 것에 대해서는 항생물질의 등장 이전에는 ETS2가 감염 방어의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현대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감염증이 많은 지역에서는 특히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시점에서의 인공 적혈구 실현 수준 (0) | 2024.07.09 |
---|---|
비행기 안에서 술을 마시면 위험한 이유 (0) | 2024.07.01 |
10대 무렵 지능이 낮았던 사람은 뇌졸중 위험이 228%나 높다 (0) | 2024.07.01 |
햇빛에 노출된 페트병의 물에는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결과 (0) | 2024.06.26 |
자일리톨의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뇌졸중이나 심장발작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명 (0) | 2024.06.09 |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하지불안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자의 핫스팟이 특정되다 (0) | 2024.06.09 |
시력 회복 트레이닝은 의미 없다 (0) | 2024.06.06 |
오랜 수수께끼였던 '전신 마취가 왜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열쇠는 단백질 구조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