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YDGp6/btqK6O2cvB0/o3Xd9u5GBPWUs2guvjk7kk/img.jpg)
신선도가 떨어진 물고기에서 나는 비릿한 냄새는 많은 사람에게 불쾌감을 유발합니다. 그러나 그런 물고기의 냄새를 느끼지 않는다는 특수 능력을 가진 인간이 돌연변이에 의해 태어난 것으로 연구에 의해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이 능력을 가진 사람은 아이슬란드인의 약 2% 정도, 아이슬란드 이외의 국가에서는 더욱 희소합니다.
Sequence Variants in TAAR5 and Other Loci Affect Human Odor Perception and Naming : Current Biology
https://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20)31343-9
Can not smell stinky fish? It might be in your genes : Research Highlights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0-02832-1
There's a gene for detecting that fishy smell, olfactory GWAS shows | EurekAlert! Science News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20-10/cp-tag100120.php
There's a gene for detecting that fishy smell, olfactory GWAS shows
Some people carry a mutation in a particular gene that makes the smell of fish less intense, reports a paper publishing October 8 in the journal Current Biology. The study, which is the largest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of olfactory genes in hum
www.eurekalert.org
If Rotten Fish Smell Like Roses to You, a Genetic Mutation Might Be to Blame | Smart News | Smithsonian Magazine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if-rotten-fish-smell-roses-mutation-might-be-blame-180976029/
If Rotten Fish Smell Like Roses to You, a Genetic Mutation Might Be to Blame
A new study in Iceland found a connection between a person’s ability to sniff stinky fish and a gene called TAAR5
www.smithsonianmag.com
수십 년 동안 인간의 DNA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 온 아이슬란드 바이오 연구 기업 deCODE Genetics의 카리 스테판 손 CEO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과소평가되어 온 약 800여 개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에 주목했습니다. 각각의 유전자의 변이가 후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규명을 시도했습니다.
연구팀은 1만 1326명의 아이슬란드인을 대상으로, 감초 · 계피 · 물고기 · 레몬 · 박하 · 바나나에 포함된 주요 냄새 성분을 실제로 맡게 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피실험자는 각각의 냄새를 맡아본 후 '무슨 냄새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냄새의 강도와 편안함을 평가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ECcZ/btqK6Nvr3Hs/U2yrZK5iYUOgtKAAPYMbo1/img.jpg)
대다수의 사람은 물고기의 냄새를 신속하게 악취라고 판단하고 '가장 불쾌하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러나 피실험자 중 일부는 '물고기의 냄새를 느끼지 않는다'고 답변하였고, 물고기의 냄새에 대해 '감자', '카라멜', '장미' 등의 물고기와는 무관하고 일반적으로 '좋은 냄새'라고 평가되는 냄새라고 대답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연구팀이 질환 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탐색하는 게놈와이드 관련분석으로 피실험자의 DNA를 조사한 결과, 생선의 냄새를 악취라고 판단하지 않은 피실험자는 'TAAR5'라는 유전자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 TAAR5는 썩은 생선과 발효된 물고기, 인간의 땀과 동물의 체액 등에 포함된 트리메틸 아민을 감지하고 단백질의 합성에 관련된 저장 배열이라고 불리는 진화에 의해 왠만해서는 변이하지 않는 유전자입니다. 일부 피실험자의 TAAR5가 저장 배열임에도 불구하고 비활성화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 연구팀은 돌연변이에 의해 TAAR5가 비활성화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Do4So/btqK6e79ZoQ/p5rhkt9d6yat39dklTeRgK/img.jpg)
연구팀의 조사에 따르면, TAAR5가 비활성화된 유전자 변이를 가진 사람은 아이슬란드인의 약 2%로 유럽 전체에서는 0.8%, 아프리카는 0.2% 정도라는 것. 문제의 유전자 변이의 발생률이 아이슬란드인에서 특히 높은 점에 대해 연구팀은, 아이슬란드에서는 수천 년 동안 생선 요리가 식생활되어 왔다는 역사와 상어고기를 수개월 발효시킨 하카루 등의 생선요리가 존재하는 것을 지적했습니다. 물고기에 관련된 식생활의 축적이 돌연변이를 낳은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스테판 손 CEO는 "나에게 이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은 것은 확실합니다. 조금이라도 신선도가 떨어진 물고기를 접하면 구역질이 나와버리니까요"라고 말합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어가 빨판을 통해 '먹이를 맛보는 메커니즘'이 규명되다 (0) | 2020.10.30 |
---|---|
코로나바이러스는 150개 이상의 단백질을 모방하는 '흉내의 달인' (0) | 2020.10.28 |
박쥐가 병에 걸리지 않고 다수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메커니즘이란? (2) | 2020.10.27 |
식물이 치열한 생존경쟁에 투입하고 있는 비밀병기 5선 (0) | 2020.10.17 |
남북 아메리카가 이어진 후 남아메리카의 포유류가 북아메리카에서 번창할 수 없었던 이유란? (0) | 2020.10.13 |
인류의 몸이 바로 이 순간에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인체변화 (0) | 2020.10.13 |
고대 인류가 어떤 형태의 교배를 하고 있었는지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지다 (0) | 2020.10.12 |
끓는 물 속에서 서식하는 생물들 그리고 활용 (0) | 202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