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대륙에서 탄생했다고 추정되는 우리 인류는 오랜 역사 속에서 유럽과 아시아에 진출했고, 멀리 떨어진 대륙과 바다 건너 호주 대륙으로 서식 영역을 넓혔습니다. 그 와중에도 환경이 열악하여 활발히 인류가 정착하지 못한 지역도 존재하는데, '알래스카에서 가장 외딴 곳'이라고도 불리는 세인트매튜섬 대해, 직접 섬을 체험한 라이터 사라 길먼 씨가 체험담을 정리했습니다.
The Island That Humans Can not Conquer | Hakai Magazine
https://www.hakaimagazine.com/features/the-island-humans-cant-conquer/
◆ 세인트매튜섬의 역사
알래스카에 속하는 세인트매튜섬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있는 베링해에 떠 있는 섬입니다. 섬 주변의 가장 가까운 유인도는 264km 떨어진 누니바쿠섬으로, 가장 가까운 거주지에서 배를 타고 24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정주자도 없고 교통편도 매우 나빠, 세인트매튜섬은 '알래스카에서 가장 외딴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세인트매튜섬은 지금까지 전혀 사람의 손을 타지 않았던 것은 아니고 과거에 몇 번이나 사람들이 방문했었습니다. 세인트매튜섬에서 가장 오래된 사람의 흔적은 섬의 북서쪽 끝에 있는 약 400년 전의 수혈식 주거 흔적입니다. 고고학자인 데니스 그리핀 씨에 따르면, 이 집은 이누이트의 조상인 툴레인에 의해 만들어져 정착없이 1시즌 단위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베링해의 원주민인 알류트족과 유피크족 사람들은 옛부터 '배가 바람에 휩쓸려 기묘한 섬에 도착했고, 거기서 겨울을 보낸 후 자신들의 섬에 돌아왔다'라는 옛말이 전해져 오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핀 씨는 세인트매튜섬의 집을 만든 사람들도 같은 사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과연 그 사람들이 무사히 돌아갈 수 있었는지, 아니면 섬에 서식하던 북극곰에게 먹혀버렸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 후에도 몇 번이나 세인트매튜섬을 방문한 사람들이 있었다고 합니다만, 정착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섬을 방문한 사람들은 '자신이 이 섬을 발견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766년에 세인트매튜섬을 방문한 러시아 해군의 Ivan Synd 중위는 수혈식 주거를 눈치채지 못하고, 자신이 이 섬을 발견했다고 생각하여 '세인트매튜섬'이라고 명명했습니다. 또한 1778년에는 영국의 탐험가인 제임스 쿡은 이 섬을 '고아'라고 명명, 더 이후에 섬을 발견한 고래잡이들은 인근 섬을 포괄하여 '베어 제도'라고 불렀습니다.
세인트매튜섬은 여름이 되면 수백 마리의 북극곰이 방문했지만, 2020년 현시점에는 세인트매튜섬에 북극곰은 서식하고 있지 않습니다. 1809년~1810년에 세인트매튜섬을 방문한 러시아인과 알류트족의 무리가 모피를 목적으로 북극곰을 사냥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북극곰은 섬을 떠났지만 그 후, 괴혈병과 북극곰의 피해로 무리는 거의 괴멸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북극곰이 없어진 후에도 세인트매튜섬은 안개나 악천후, 지리적 고립 등의 문제로 인간에게는 척박한 환경이었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당분간은 때때로 난파한 배의 승무원들이 구조될 때까지 잠시 머물 뿐, 정착을 추진하는 움직임은 없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세인트매튜섬은 미국의 해안경비대가 정착하기 시작했었다고 합니다.
해안경비대의 목적은 태평양을 항해하는 함대를 지원하는 long-range navigation(LORAN) 시스템의 기지국을 건설 · 운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세인트매튜섬의 겨울은 가혹하기로 유명한데, 섬의 남서부 해안에 설치된 LORAN 기지국에는 깊이 8미터의 적설이 생겼고 '허리케인 수준의 강한 눈보라'가 10일 동안 계속되었고, 해빙은 1년 중 7개월간 섬을 에워싸고 있었습니다. 불과 몇 km 떨어진 곳에 항공기가 투하한 우편물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3명의 멤버가 서바이벌 용품을 갖추어 임할 필요가 있었다고 합니다. 겨울이 지나가도 비바람이 부는 날이 많아 5명의 군인이 탄 보트가 전복되는 사고도 발생했었다고 합니다.
1944년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의 식량 부족을 우려해서 해안경비대는 29마리의 순록을 반입했습니다. 전쟁이 끝나자 해안경비대는 섬을 떠났습니다만, 천적이 없는 순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1963년에는 6000마리로 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1963년~1964년의 겨울에 먹이 부족이 발생하여 순록의 개체 수가 격감, 1980년대에 마지막 1마리가 죽었습니다.
◆ 세인트매튜섬의 자연
길만 씨가 세인트매튜섬에 상륙한 시기는 2019년 7월 하순으로 겨울과 같은 힘든 기후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길만 씨가 섬을 방문한 것과 같은 시기에 촬영된 세인트매튜섬의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rst Visit to St. Matthew Island | Arctic | Lindblad Expeditions -National Geographic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EsbgDO9hqus
◆ 세인트매튜섬에 남은 사람의 흔적
세인트매튜섬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의 흔적은 제2차 세계대전 와중에 건설된 LORAN 기지국의 흔적입니다. 길만 씨가 부지를 방문했을 때 1개의 폴이 절벽에 금속케이블로 고정되어 있었으며, 그 주위에는 대량의 잔해 이외에 썩은 폴이 몇 개 쓰러져 있었던 것. 함께 LORAN 기지국 부지를 둘러본 생물학자 아론 크리스토 씨는 "우리는 좋은 물건을 만드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그것을 분해하여 정리하는 능력은 뒤떨어집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외에도 대공황 이전의 것으로 보이는 여우사냥꾼의 오두막과 표착한 선원이 구출될 때까지 섬에 남긴 잔해, 1950년대에 섬을 방문한 과학자가 해변에 지은 오두막 등 세인트매튜섬에는 다양한 사람의 흔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툰드라의 땅은 점차 이러한 흔적을 삼켜버립니다.
조류는 오래된 배터리 거치대에 둥지를 만들고 붉은 여우는 LORAN 기지국 건설 현장의 밑에 굴을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길만 씨는 "세인트매튜섬의 자연은 원래대로 복원되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계속 존재입니다"라고 말합니다.
'국제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를 우려해 공항에서 3개월간 숨어 살던 남성을 체포 (0) | 2021.01.20 |
---|---|
5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의 다크웹 시장이 폐쇄되고 운영자로 보이는 남성도 체포 (0) | 2021.01.14 |
가톨릭 교회의 '금서목록'이 당시의 의학계에 미친 영향 (0) | 2021.01.01 |
'인생은 무의미한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찰했던 노벨상 작가의 철학 (0) | 2020.12.30 |
왜 '알리바바'나 '텐센트'와 같은 중국 기업은 스파이 활동을 지원하는가 (0) | 2020.12.25 |
딥페이크로 만든 '엘리자베스 여왕의 크리스마스 메시지'가 TV에서 방영 (0) | 2020.12.24 |
멕시코의 '두개골의 탑'에서 119명의 인골이 발견 (0) | 2020.12.14 |
맥도날드의 햄버거가 먹고 싶던 부자가 헬기로 725km를 비행...소요된 비용은 약 300만 원 (0) | 202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