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어딘가에 탈출구가 없으면 흐르지 않는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하늘을 날지 못하고 지상이나 어딘가에 닿아 있기 때문에 감전되어 버립니다. 조류는 전선에 앉고도 다른 무언가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새의 몸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입니다.

조류도 오른발로 전선을 잡고 동시에 왼발로 전신주 등 다른 곳과 접촉하면 소형전구에 불이 들어오는 것처럼 전기가 흘러버립니다. 전신주나 철탑에 새가 둥지를 트는 경우가 있는데, 둥지가 단락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전선의 종류

전선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여러 곳의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전선을 통해 가정에 전송됩니다. 전선의 대부분은 송전탑 및 전신주에 붙어있는 전선이지만 대도시의 시가지에서는 지하에도 매설하고 있습니다. 지하의 경우 지상에 전선이 닿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지 않게 커버한 전력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전선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송전선
발전소에서 배전용 변전소까지 대량의 전기를 보냅니다. 전기를 낭비없이 전송하기 위해 50만 볼트나 22만 볼트 등의 매우 높은 전압으로 전송하고 있습니다. 가공송전선 외에도 지중송전선이 있습니다.


◆ 배전선
배전용 변전소에서 전압 6000볼트로 낮춘 전기를 가정이나 빌딩, 공장으로 보내는 전선. 배전선은 6,000볼트의 고전압과 100볼트나 200볼트의 낮은 전압으로 나뉩니다. 전신주의 상단에 침목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전선이 고압선입니다.


◆ 인입선
전신주의 주상변압기에서 전압을 100~200볼트로 떨어뜨린 저압선으로, 각 가정까지 전력을 보내는 선. 인입선의 설치지점에는 빨간색과 노란색 튜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지점부터는 인입구 배선을 통한 옥내배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전선을 흐르는 전기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보낼 때는 도중에 열에너지 등으로 도망가지 않도록 높은 전압에서 전송합니다.

전선에 흐르는 전기의 크기는 대체로 높이 위치한 전선에 많은 전기가 흐르고 있습니다.

전신주에 설치된 전선의 굵기는 거의 같지만, 전기가 흐르는 양이 커지거나 전압이 높아지면 그것에 견딜 수 있는 전선이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전선 몇 개를 묶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鳥が電線に止まれるのはなんでだろう?
https://www.energia.co.jp/kids/kids-ene/chosatai/wire.html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