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화나 드라마, 영화 등에서는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을 나타내는 캐릭터가 출현해, 성격과 사고방식이 다른 양자가 대립하는 모습은 친숙한 장면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영국과 캐나다의 연구팀이 사람들이 '선한 존재'와 '사악한 존재'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Butt-dialing the devil: Evil agents are expected to disregard intentions behind requests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22103121000913
Butt-dialing the devil: Evil agents are expected to disregard intentions behind requests
Evil supernatural beings are often depicted as responding to unintended requests, whereas this may be less common in representations of good supernatu…
www.sciencedirect.com
Perceptions of supernatural beings reveal feelings about good and bad in humans | Waterloo News | University of Waterloo
https://uwaterloo.ca/news/perceptions-supernatural-beings-reveal-feelings-about-good
Perceptions of supernatural beings reveal feelings about good and bad in humans | Waterloo News
What transpires in comedies and cartoons when a character has a devil on one shoulder and an angel on the other is not far off from people’s perceptions of the real world, finds a new study from the University of Waterloo. Intended to illustrate the char
uwaterloo.ca
영국의 요크대학과 캐나다의 워털루대학 연구팀은 '영화나 민화에서의 악마는 사람들의 '의도하지 않은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천사는 사람의 '간절한 소원'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흥미로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사람들이 '선한 마음을 가진 존재'와 '악마의 마음을 가진 존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에서는 피실험자에게 '주인공이 인간 또는 초자연적인 존재로부터 자신의 소원을 이루려고 한다'는 줄거리의 단편소설을 읽고 주인공의 소원이 이루어질지를 평가받았다고 합니다.
주인공이 소원을 비는 대상은 '선한 마음을 가진 사람', '선한 마음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 '악한 마음을 가진 인간', '악한 마음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 중 하나였고 소원의 내용은 '주인공의 의도를 적절히 반영한 것'부터 '주인공의 진정한 의도에서 어긋난 것'까지 다양했습니다.

실험 결과, 피실험자는 소원을 비는 대상이 '선한 마음을 가진 인간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였던 경우, 주인공의 소원이 본인의 의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따라 소원의 달성 여부가 좌우된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소원을 비는 대상이 '악한 마음을 가진 인간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였던 경우, 주인공의 소원이 본래의 의도와 어긋나 있어도 상관없이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경향이라는 것.
이번 실험결과는 '선한 마음을 가진 존재는 상대의 의도에 민감하다', '악한 마음을 가진 존재는 상대의 의도에 무관심하다'고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논문의 공동저자이며 워털루대학의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브랜든 골딩 씨는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의도를 별로 중시하지 않고 행동의 결과를 더 중시하면 그 사람을 악인으로 간주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선한 사람은 누군가가 실제로 한 일뿐만 아니라, 그 의도를 고려한다고 우리는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워털루대학의 발달심리학 교수인 오리 프리드먼 씨는 "이 연구는 사람들이 선과 악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에 대한 매우 흥미로운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사람들은 선한 마음을 가진 존재와 악한 마음을 가진 존재를 '상대의 의도를 짐작하고 배려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시켜 생각한다고 프리드먼 씨는 주장합니다.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배우 타케우치 유코 씨, 공백의 1시간…가족과 평소대로 밝게 식사 (0) | 2022.07.18 |
---|---|
번개의 전압이나 위력은 얼마나 강한가? (0) | 2022.03.25 |
미국을 패전으로 몰아넣은 '맥나마라의 오판' (0) | 2022.02.04 |
실내에 쌓이는 '먼지'의 정체가 대규모 연구에서 밝혀져...효과적인 먼지 대책도 공개 (0) | 2021.09.28 |
키우던 고양이가 20미터 계곡에서 추락한 83세의 할머니를 구하다 (0) | 2021.08.19 |
스와팅을 당한 Twitter 사용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 (0) | 2021.07.21 |
사하라 사막에서 9일간 조난된 남자는 어떻게 혼자서 살아남았나 (0) | 2021.07.20 |
'햄'과 '베이컨'의 차이 (2)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