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서 처리하는 이미지 파일은 다양한 코덱으로 압축된 상태로 저장됩니다. 그러나 Valve나 Microsoft의 직원으로서 일한 경력을 가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Richard Geldreich 씨는 “주류의 코덱은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 현재의 환경에서는 시대에 뒤처진 면도 있다”며 본인이 개발한 코덱 'rdopng'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https://github.com/richgel999/rdopng
Richard Geldreich's Blog: The Dark Horse of the Image Codec World: Near-Lossless Image Formats Using Ultra-Fast LZ Codecs
http://richg42.blogspot.com/2023/04/a-dead-simple-lossless-or-lossy-lz4.html
JPG나 PNG, GIF 등 주류의 이미지형식 대부분은 수십 년 전에 개발된 것이며 각종 이미지의 인코딩이나 디코드를 담당하는 코덱도 개발로부터 수십 년 경과한 것이 주류 코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류 코덱은 컴퓨터의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의 속도나 안정성이 높지 않은 시기에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Geldreich 씨는 “주류 코덱은 스토리지 용량과 네트워크 성능이 발달한 현재 무의미하게 복잡한 압축처리를 실시해 압축풀기 처리에 시간이나 에너지가 낭비에 소비되는 상태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 현대에서는 압축률이 낮고 고속 처리할 수 있는 코덱이 요구된다고 생각해 고속의 압축 알고리즘으로서 알려진 'LZ4'를 채용한 PNG 이미지용의 코덱 'rdopng'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Geldreich 씨에 따르면 rdopng에 채용한 LZ4에는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실행파일이 비대화되지 않으며 이전부터 개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보안위험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
현시점에서는 rdopng는 불가역압축만 대응하고 있고 앞으로 가역압축에도 대응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Geldreich 씨가 공개한 압축 예시를 보면 불가역압축도 충분히 화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rdopng는 오픈소스로 개발되었으며 아래 링크에서 소스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https://github.com/richgel999/rdopng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통신사의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액세스 제한을 조사한 결과 (0) | 2023.04.22 |
---|---|
'먹을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 (0) | 2023.04.21 |
파산한 가상화폐거래소 FTX가 10조 원 이상의 자금을 회수 (0) | 2023.04.14 |
대부분의 패스워드를 1분 이내에 크래킹할 수 있는 AI 'PassGAN' (0) | 2023.04.12 |
무료 프라이버시 강화 브라우저 'Mullvad Browser'가 등장 (0) | 2023.04.04 |
Google이 게재 중단한 쇼핑앱에 'Android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겨냥한 악성코드'가 포함 (0) | 2023.03.30 |
환자의 진단기록을 컴퓨터가 체크하는 시스템으로 보험회사가 보험금 지불을 대량으로 거부 (0) | 2023.03.28 |
웹사이트 사용자를 식별하는 '핑거프린트'는 생각보다 더 지독하다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