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68X89/btskAZ1hL2f/f4uJcCmKvvenYk029fZ1Y1/img.jpg)
서유럽에 서식하는 Temnothorax nylanderi라는 개미는 Anomotaenia brevis라는 기생충에 감염되면 일개미로서의 일을 그만두고 수명이 두 배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의 연구팀이 이러한 '숙주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생충'이 개미의 수명을 어떻게 조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논문을 생물학계 프리프린트 서버 bioRxiv에 게시했습니다.
Long live the host! Proteomic analysis reveals possible strategies for parasitic manipulation of its social host | bioRxiv
https://doi.org/10.1101/2022.12.23.521666
Long live the host! Proteomic analysis reveals possible strategies for parasitic manipulation of its social host
Parasites with complex lifecycles often manipulate the phenotype of their intermediate host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ransmission to their definitive hosts. Infection with Anomotaenia brevis , a cestode that uses Temnothorax nylanderi ants as interm
www.biorxiv.org
There's a Parasite That Triples Ants' Lifespans... And It Actually Sounds Pretty Great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theres-a-parasite-that-triples-ants-lifespans-and-it-actually-sounds-pretty-great
There's a Parasite That Triples Ants' Lifespans... And It Actually Sounds Pretty Great
Hosting a parasitic tapeworm isn't usually a desirable state.
www.sciencealert.com
Anomotaenia brevis라는 벌레는 딱따구리를 종숙주로 하는 기생충이며 딱정벌레의 알을 포함한 딱따구리의 분변을 먹은 개미를 중간숙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개미는 여왕개미를 정점으로 하는 집단을 형성하고 살고 있으며, 일개미는 여왕개미를 돌보며 일생을 마칩니다.
기생된 개미는 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치 여왕개미처럼 다른 일개미의 돌봄을 받게 됩니다. 3년에 걸쳐 집단을 계속 관찰한 연구에서는 다른 일개미가 보통 몇 개월 만에 죽어버리는 반면, 벌레에 기생된 일개미는 절반 이상이 3년 이상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mKFH/btskyQcK7Bb/0hZFsFruH7KYWa6QzxD2h0/img.jpg)
The Tapeworm That Helps Ants Live Absurdly Long Lives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21/05/ant-tapeworm/618919/
The Never-Aging Ants With a Terrible Secret
A parasite gives its hosts the appearance of youth, and an unmatched social power in the colony.
www.theatlantic.com
독일 마인츠대학의 생물학 교수인 수잔네 포이츠크(Susanne Foitzik) 씨 연구팀은 이 기생충이 개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개미의 혈액림프를 분석했습니다. 혈관계가 닫히지 않은 해방혈관계를 가지는 연체동물이나 절지동물에서는 혈액·림프액·조직액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체액을 정리하여 혈액림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 기생된 개미의 혈액림프에는 기생충 유래의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기생충 유래의 단백질에는 개미의 외형을 젊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2개의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고 역할이나 종류를 특정할 수 없는 단백질도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기생된 개미는 개미 자체에 의해 생산되는 'vitellogenin-like A'라는 단백질의 양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vitellogenin-like A는 개미사회에서의 분업과 생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생된 개미의 체내에서 이 단백질의 양이 늘어남으로써 다른 개미를 속여 여왕개미와 같은 돌봄을 받는다고 연구팀은 추정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aJDz/btskA6TsuVX/QZ8kEyuXgBJUTMnCIBbJS0/img.jpg)
기생충이 vitellogenin-like A의 유전자 발현을 적극적으로 조작하고 있는지 아니면 기생에 의한 우발적인 작용으로 vitellogenin-like A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포이츠크 씨는 “사회성 곤충의 카스트는 일반적으로 유전자의 차이가 아니라 유전자 발현의 차이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데 기존의 제어경로를 이용한 이 전략은 기생충에게 유용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가 낳은 새끼의 사체를 며칠간 가지고 다닌 후 먹어버린 사례 (0) | 2023.07.04 |
---|---|
상어에게 습격당한 사람을 고래가 구한다? (0) | 2023.07.03 |
사상 최대의 상어 '메갈로돈'은 온혈동물 (0) | 2023.06.27 |
모래투성이인 풀을 먹는 소의 치아가 마모되지 않는 이유 (0) | 2023.06.19 |
문어는 자신의 RNA를 재작성하여 수온변화에 적응하고 있다 (0) | 2023.06.12 |
벌레가 빛에 이끌리는 원인을 고속카메라를 사용한 연구로 규명 (0) | 2023.05.25 |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운동기능을 회복시키면 검은머리로 회복될 가능성 (0) | 2023.04.26 |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약 20종류밖에 존재하지 않는 이유와 생물의 진화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