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는 지구 규모로 생각하면 비교적 흔한 광물이라고 연구자가 지적할 정도로 대량의 다이아몬드가 지구 내부에 잠들어 있는 것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과 하버드대학 등의 공동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Sound waves reveal diamond cache deep in Earth’s interior | MIT News
http://news.mit.edu/2018/sound-waves-reveal-diamond-cache-deep-earths-interior-0716

Sound waves reveal diamond cache deep in Earth’s interior

Sound waves reveal a surprisingly large diamond cache deep in Earth’s interior, an international team including MIT researchers reports.

news.mit.edu


다이아몬드는 탄소가 지구 내부의 고온과 고압 조건에서 결정화된 것으로 지각의 채굴 가능한 깊이까지 부상해 오면 입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정에 다이아몬드의 산출량은 1년에 20~30톤 정도로 적고 그 희소성과 높은 투명도에 매우 고가의 보석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다이아몬드가 산출되는 장소는 북아메리카·동유럽·아프리카 등으로 한정되고 'Craton' 혹은 '안정육괴'는 지각 윗부분뿐입니다. Craton은 지구의 표면을 덮는 지각 중에서도 5억 년은 안정된 부분으로 맨틀에까지 박혀 있기 때문에 지각변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연구팀이 지각을 통하는 지진파의 속도를 연구하고 있었는데, Craton 심부의 '뿌리'라고 불리는 부분에서 지진파가 전해지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았습니다. 왜 지진파가 빨라지는지를 지진파의 속도로부터 뿌리의 성분을 해석한 결과, 뿌리 부분은 다이아몬드, 맨틀 유래의 감람암, 에크로자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이아몬드의 부피비는 Craton 뿌리의 최대 2%이며 총량은 약 1000조 톤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Craton의 뿌리는 깊이 약 100~200킬로미터로 지금의 기술로는 그 깊이까지 채굴을 진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

MIT의 지구·대기·행성 과학연구자인 울리히 폴 씨는 “다이아몬드는 지구 규모로 생각하면 전혀 드문 것이 아니라 비교적 흔한 광물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채굴하는 것은 현대 기술로는 불가능하지만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다이아몬드가 지구에 존재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