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Tx4Ky/btqJet0F0nq/vXQUtNdQTK4hB6HYGuMva0/img.jpg)
멍게는 발생학적 모델 생물로써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습니다. 그런 멍게가 성장 과정에서 자신의 뇌를 먹어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eet the creature that eats its own brain! | Goodheart 's Extreme Science
https://goodheartextremescience.wordpress.com/2010/01/27/meet-the-creature-that-eats-its-own-brain/
Meet the creature that eats its own brain!
The sea squirt is one of my favorite sea creatures. When I was a young boy, I first met my first one in a tidal pool in Laguna Beach, California. I remember bending down close to examine it, and …
goodheartextremescience.wordpress.com
멍게는 피낭이라는 조직으로 덮여있는 해양동물로 해수에 포함된 플랑크톤을 먹이로 삼습니다. 생물학에서는 어류, 조류, 파충류, 포유류 등 동물과 같은 척삭동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멍게는 2000종 이상이 존재한다고 하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의 멍게가 전세계의 바다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집단으로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수수한 색조의 멍게나....
![](https://blog.kakaocdn.net/dn/GlXIO/btqJskmRyOq/1p1F1BBV5Rb2lGcxsM8C61/img.jpg)
단일 개체로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화려한 멍게 등 외형은 다양하지만 '바위 등에 붙어산다'는 점은 공통적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WMh9/btqJluEkfMF/6Pp0FREtP6nEXKB4o6ScX0/img.jpg)
유생 시절에는 바다를 헤엄쳐 다니다가 바위 같은 안정된 장소에 고착하여 성체로 성장합니다. 유생에서 성체로의 성장 과정에 필요한 영양소를 확보하기 위해 멍게는 자신의 '필요없는 기관'을 영양원으로 합니다. 이 '필요없는 기관'에 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멍게는 암수 모두의 생식 기관을 가지고 있어, 알과 정자를 동시에 수중에 방출하여 수정과 산란을 합니다. 알은 부화 후 약 3일 정도 경과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척삭과 배측신경삭(Notochord and Dorsal nerve cord)을 포함한 꼬리와 새열(Gill slits), 그리고 뇌를 가진, 올챙이를 닮은 모습으로 성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E4pc/btqJnCWLSxc/9EDGPtMMX7wwxo3UNZnfR0/img.jpg)
유생의 멍게는 먹이를 먹을 수 없어 짧은 기간밖에 살 수 없습니다. 그 짧은 기간 안에 거처를 찾아, 바위 같은 장소에 평생 고착하여 살아갑니다. 거처를 찾은 성체가 된 멍게는 바위를 찾거나 수영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꼬리와 근육, 뇌 등은 필요가 없어집니다.
필요없게 된 부위를 먹은 성체의 멍게에는 영양을 얻기 위한 소화기관과 자손을 남기기 위한 암수 생식기관 등이 남습니다. 그 후, 먹이를 먹고 일년에 몇 번씩 산란을 반복하면서 몇 년 동안인 일생을 마칩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는 인간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다고 과학적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0) | 2020.09.28 |
---|---|
공룡을 먹이로 삼은 '공포의 크로커다일'...노선버스에 가까운 크기 (0) | 2020.09.26 |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구리가 발견...몸길이는 겨우 10mm (0) | 2020.09.26 |
코로나19에 의해 '새의 노래'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0) | 2020.09.25 |
인간도 발광한다. 인간의 '생물발광'이 세계 최초로 카메라에 포착되다 (0) | 2020.09.20 |
토끼가 종이를 먹어도 괜찮을까 (0) | 2020.09.08 |
어떻게 새의 둥지는 배설물에 오염되지 않을까 (0) | 2020.09.04 |
세포는 바퀴로 움직이고 있었다!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