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몸은 근육도 신경도 인대도 뼈도 내장도 피부도 머리도 매일 바뀌고 있습니다. 괴사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낮지 않거나 원래대로 회복하지 않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왜 회복하지 않는 것일까?
발목을 스트레칭하듯 가볍게 비틀어보면 늘어난 부위는 늘어나 있지만 반대 측의 발목 또는 허벅지와 엉덩이 등 반대로 줄어든 부위가 있을 것입니다.

몸이라는 것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부위가 늘어나면 다른 부위가 줄어듭니다.
이 발목 이외의 근육의 긴장, 긴축이 있어서, 발목의 근육과 인대가 계속해서 당겨지면 줄어든 상태가 유지됩니다. 그래서 발목 이외의 부위에 있는 근육의 긴장을 풀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출처 참조 번역
伸びた筋肉や靭帯は戻らないという謎理論
http://murataseitai.com/blog/665/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진료로 인한 턱관절 질환 발병에 대해 다툰 재판 사례. (0) | 2020.12.08 |
---|---|
MRI검사의 장시간 개구가 턱관절 주위 조직의 혈류에 미치는 영향 (0) | 2020.12.08 |
인대도 운동으로 단련된다 (0) | 2020.12.08 |
인대의 통증(발목 염좌)과 치료 (0) | 2020.12.08 |
턱관절증과 치아의 맞물림 (2) | 2020.12.07 |
턱이 빠지는 턱관절 질환의 종류와 치료법 (0) | 2020.12.06 |
높이에 따른 인간의 착지 한계 (0) | 2020.12.04 |
음주는 주의를 촉구하는 뇌의 기능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