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는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에 걸쳐 발생한 산불의 다발에 의해 총 2300만 헥타르 이상이 불탄 것 이외에도 미국의 캘리포니아 등지에서도 '메가 파이어'라는 큰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등 최근 자연화재가 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재로 발생한 연기는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감염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도 포함되어 있다고 공중보건 전문가가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Wildfire smoke, a potential infectious agent | Science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70/6523/1408
Wildfire smoke can carry microbes that cause infectious diseases
https://phys.org/news/2020-12-wildfire-microbes-infectious-diseases.html
Wildfire smoke changes dramatically as it ages, and that matters for downwind air quality – here's what we learned flying through smoke plumes
https://theconversation.com/wildfire-smoke-changes-dramatically-as-it-ages-and-that-matters-for-downwind-air-quality-heres-what-we-learned-flying-through-smoke-plumes-151671
미국의 아이다호대학의 화재생태학자인 Leda Kobziar 씨와 UC데이비스의 의학박사인 George Thompson 씨에 따르면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 중에는 병원성 진균이나 세균 등이 다수 혼입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은 살아있다는 것.
물론 화재의 고온에 의해 미생물 일부는 사멸하지만, 불이 공간에 방출하는 열에너지는 고르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이 생존한 채 화재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혼입하는 것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Kobziar 교수는 지적합니다. 또한 땅속에 서식하는 일부 미생물은 고온에 내성이 있고,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수증기 입자가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미생물의 생존공간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원인이 되어 병원성 미생물이 바이오 에어로졸 속에서 계속 생존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구체적으로는 토양에 서식하는 Coccidioides immitis라는 진균이 화재로 발생한 연기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호흡기 질환의 일종인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은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서부의 풍토병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은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Kobziar 씨는 "산불의 연기를 흡입이 건강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널리 연구되고 있습니다만, 연기에 숨어있는 미생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이러한 위험 모니터링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지적합니다.
Kobziar 교수는 이러한 바이오 에어로졸의 영향에 대해 정리한 논문에서 "연기와 미생물, 건강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화재생태 · 환경미생물학 · 역학 · 대기과학 · 공중위생 · 감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산불이 발생하는 시기가 장기화되어 화재도 격화되고 있으므로 많은 전문가가 협력하여 대처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라고 주장하며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호소했습니다.
한편, 워싱턴대학의 대기화학자인 브렛 팜 씨 등의 연구에서는 산불로 발생한 연기가 바람에 흘러가는 가운데, 연기의 화학적 독성이 약해지기는커녕 강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산불의 연기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 팜 씨는 연기를 분석하는 장비를 실은 특수비행기를 사용하여 미국 서부의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추적했습니다. 다음은 2018년 조사에서 팜 씨 등이 날린 비행기의 항로로, 빨간색 선은 비행기가 화재로 발생한 연기 속을 직접 가로지른 것을 나타냅니다.
조사결과, 화재에서 발생한 연기의 입자가 태양 및 대기가스와 반응하여 화학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팜 씨에 따르면, 이것은 '산불의 연기가 저하하는 과정에서 독성이 증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팜 씨 등은 향후 화재로 발생한 연기의 규모와 그 연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적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성장은 왜 다른 동물에 비해 느릴까? (0) | 2020.12.27 |
---|---|
라마가 체내에서 코로나19 항체로 기대할 수 있는 나노바디 'NIH-CoVnb-112'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다 (0) | 2020.12.24 |
나노바디(Nanobody)란 무엇인가 (0) | 2020.12.24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백신을 접종하면 몸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까? (0) | 2020.12.23 |
성인용 기저귀의 선택 방법, 사용법, 교환 빈도 (0) | 2020.12.21 |
종이컵으로 커피 한 잔을 마시면 2만 5000개의 마이크로플라스틱을 섭취하게 된다 (0) | 2020.12.20 |
MRI의 안전성에 대해 (1) | 2020.12.20 |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이 일주기성 리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판명 (0) | 2020.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