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AIEK9/btq9f56KT0G/nKk99tyHiyXsKzkOk8kUv1/img.jpg)
세상에는 살을 빼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해도 오히려 찌는 사람이 있는 반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도 살이 빠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결정짓는 '살찌기 어려운 유전자'가 연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Sequencing of 640,000 exomes identifies GPR75 variants associated with protection from obesity | Science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73/6550/eabf8683.full
Sequencing of 640,000 exomes identifies GPR75 variants associated with protection from obesity
Obesity is linked to many human diseases, including diabetes, cancer, and heart disease. There is thus great interest in understanding how genes predispose individuals to, or protect individuals from, obesity. Akbari et al. sequenced more than 600,000 exom
science.sciencemag.org
Massive DNA study finds rare gene variants that protect against obesity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mag.org/news/2021/07/massive-dna-study-finds-rare-gene-variants-protect-against-obesity
Massive DNA study finds rare gene variants that protect against obesity
People with a disrupted GPR75 gene weighed less and were less likely to be obese
www.sciencemag.org
제약회사 리제네론의 유전학 연구소에 소속중인 파서 아크바리 씨 연구팀은 미국 · 영국 · 멕시코의 64만 5626명을 대상으로 유전자의 염기서열 중 유전정보가 코드화되어있는 부분인 엑손(Exon)에 착안하여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엑솜 유전체 서열(exome sequencing)이라 불리는 이 기술은 전체 게놈 분석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질환 관련 유전자를 식별할 수 있어, 아크바리 씨 연구팀은 이를 통해 비만 관련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규명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fy7Q/btq9eMf06s4/KkLaqJwb38nBOPAdJLe4lK/img.jpg)
분석 결과 아크바리 씨 연구팀은 BMI 관련 16가지 유전자 중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세포표면에 발현하는 5가지가 체중에 영향을 주고, 이것들 모두가 공복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뇌영역인 시상하부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또 5가지의 유전자 중 'GPR75'라는 부분의 변이가 BMI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GPR75의 복제를 불활성화하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체중은 없는 사람에 비해 평균 5.3kg 체중이 가벼웠고 비만일 확률은 절반이었다는 것. 또한, GPR75의 복제를 억제시킨 마우스와 정상 마우스 모두에게 고지방 음식을 주었을 때 GPR75의 복제를 억제시킨 마우스는 체중이 44% 가벼웠고 인슐린 감수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BqGr/btq9ewqVGlS/asGRtArtK4wLdHHIZQXKMK/img.jpg)
아크바리 씨 연구팀은 "마우스의 체중변화가 에너지 소비, 섭취 둘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인지는 알 수 없지만, GPR75가 에너지 균형의 조절에 관여하고 있으며, 그 복제를 억제하면 체중이 감소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로 입증되었다"고 설명합니다. 연구팀은 GPR75를 불활성화하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3000명 중 한 명인 것으로 추측하며 GPR75가 신약개발에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 편집기술 'CRISPR'이란 무엇인가...그리고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0) | 2021.07.17 |
---|---|
유전자편집기술 CRISPR로 신종 코로나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내다 (0) | 2021.07.17 |
개는 태어날 때부터 인간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늑대는 없다 (0) | 2021.07.13 |
전세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긁어모으면 몇 킬로그램이 될까? (0) | 2021.07.12 |
공룡은 소행성 충돌 이전부터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0) | 2021.07.01 |
코끼리의 6배 체중과 기린보다 키가 큰 포유류의 화석을 발견 (0) | 2021.06.23 |
나무늘보의 50% 이상은 배설할 때 죽는다...왜 위험한 방법으로 배설하는가? (0) | 2021.06.22 |
"인간의 진화에 유전적 변이는 필요 없다"는 주장...도대체 무엇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있는가 (0) | 2021.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