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랑크톤의 일종인 불우렁쉥이(Pyrosome)는 무수한 개체가 모여 군체를 구성하는 생물로 이름대로 바다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불우렁쉥이 중에서도 인간을 통째로 삼킬 수 있는 거대 사이즈의 군체를 형성하는 'Giant Pyrosome'에 대해서 해양보호단체 Oceana가 설명했습니다.
Giant Pyrosome - Oceana
https://oceana.org/marine-life/giant-pyrosome/
Giant Pyrosome
Giant Pyrosomes are bioluminescent (light producing), giving rise to the common name, which comes from the Greek for fire (“pyro”) and body (“soma”). The light produced by Giant Pyrosomes is particularly bright and long lasting and is beautiful to
oceana.org
SHOCKING: Giant Pyrosome Wide Enough to Fit Human | Oceana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fOUTxiS_kI
Oceana에 따르면 Giant Pyrosome의 발광은 다른 불우렁쉥이에 비해 오래 지속된다는 것.

Giant Pyrosome의 군체를 가까이서 보면 작은 개체가 무수히 모여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iant Pyrosome의 군체는 튜브형태로 길이는 18m에 달하고 직경은 인간이 쏙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큽니다.

군체를 형성하는 개별 플랑크톤은 군체로부터 분리되어도 계속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Giant Pyrosome은 모든 개체가 동시에 죽지 않는 한 살아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Oceana는 "Giant Pyrosome은 이론적으로 영원히 살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Giant Pyrosome은 무성생식뿐만 아니라 다른 개체군과 유성생식를 할 수도 있습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식자인 호랑이는 왜 '오렌지색과 검은 줄무늬'라는 눈에 띄는 외형인가? (0) | 2022.04.02 |
---|---|
우리가 보고 있는 영상은 "과거 15초간의 다이제스트"라는 연구 결과...뇌가 방대한 시각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유 (0) | 2022.03.22 |
남극에서도 살 수 있는 유일한 곤충...가혹한 환경에서의 독특한 생존전략 (0) | 2022.03.15 |
블랙라이트로 비추면 빛나는 유전자 조작 열대어가 자연계에서 번식 (0) | 2022.02.25 |
해달이 추운 바다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0) | 2022.01.22 |
금붕어가 '어류운전차'를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 (0) | 2022.01.06 |
약한 인간이 야생동물로부터 습격받기 어려운 이유 (0) | 2022.01.04 |
자동차만한 노래기의 화석을 발견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