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지구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수많은 생물을 멸종으로 몰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클로버라는 호칭으로 잘 알려진 토끼풀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연구결과는 인간이 생물을 멸종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의 진화를 추진하는 큰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Global urban environmental change drives adaptation in white clover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bk0989
New, clearest evidence yet that humans are a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946241
A New Study Has Identified a Dominant Force Driving Evolution on Earth Today
https://www.sciencealert.com/we-humans-are-now-a-dominant-force-driving-evolution-on-earth
토론토대학 미시소거교의 연구자가 이끄는 국제적인 연구팀 Global Urban Evolution Project(GLUE)는 일본을 포함한 세계 26개국의 160개 도시와 그 근교에서 토끼풀의 샘플을 11만 개 이상 채취하여 인간에 의한 도시화가 지역과 기후대를 넘은 지구규모로 어떤 진화를 촉진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토끼풀은 유럽과 서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는 식물이지만 현대에서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도시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도시환경이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유용하다는 것.
시료를 분석한 결과 도시에서 자라는 토끼풀은 가까이에 있는 농지와 숲에서 보이는 것보다 멀리 떨어진 도시에서 자라는 토끼풀과 더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도시가 초래하는 유사성은 기후 영향보다 강하며 예를 들어 토론토의 도시지역에서 자라는 토끼풀은 주변의 숲에서 태어난 개체보다 도쿄 도시지역에서 자라는 토끼풀과 더 비슷했습니다.
과학계 미디어의 Science Alert는 별도의 집단이 다른 장소에 존재하는 같은 선택압이 특정 형질의 변화를 촉진하는 것에 의한 병행적인 적응진화의 일례라며 인간이 만들어낸 도시라는 환경이 가져오는 선택압이 집단적 유전학이나 기후와 같은 요인보다 강한 영향을 진화에 미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토론토대학 미시소거교의 진화생물학자인 마크 존슨은 “이 규모의 진화에 관한 현장연구와 도시화가 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 세계적인 연구는 전혀 없었다"며 "우리는 이것이 지구 규모이고 종종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밝혔다"고 말합니다.
연구팀은 도시부에서 자라는 토끼풀와 농촌에서 자라는 토끼풀의 다른 점으로 시안화수소의 분비량을 지적합니다. 토끼풀은 초식동물로부터 몸을 지키거나 가뭄에 대응하기 위해 시안화수소를 분비하지만 가장 도시로부터 먼 농촌에서 자라는 토끼풀에서는 도시지역의 토끼풀보다 시안화수소의 분비량이 44% 적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공동연구팀을 이끌었던 토론토대학 미시소거교의 박사과정 중인 James Santangelo는 “우리는 오랫동안 도시를 상당히 변화시켜 환경과 생태계를 극적으로 바꿨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비슷한 일이 종종 세계적인 규모로 비슷한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이끌었던 토론토대학 미시소거교의 롭 네스 조교는 “도시는 사람이 사는 곳이며 이번 연구는 우리가 그 안에서 생물의 진화를 바꾸고 있다는 가장 설득력 있는 하나의 증거"라며 생태학자와 진화생물학자라는 틀을 넘어서서 이것은 사회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과거의 연구에서도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고속도로의 다리 주변에 서식하는 제비의 날개가 짧아졌다거나 새우의 울기 시작하는 시간이 인간의 생활리듬에 맞추어 빨라졌다 등의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도시부의 포유류는 더욱 야행성이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Darwin comes to town: how cities are creating new species | Citie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cities/2018/jul/23/darwin-comes-to-town-how-cities-are-creating-new-species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북이 대부분은 거의 노화하지 않고 나이가 들더라도 사망률이 오르지 않는다 (0) | 2022.06.30 |
---|---|
길이가 1센티미터를 넘는 초거대 박테리아를 발견 (0) | 2022.06.25 |
인간의 얼굴에 기생하는 '여드름진드기'가 기생생물에서 공생생물로 진화 중 (0) | 2022.06.23 |
문어의 모체가 알을 낳은 후 스스로 죽어버리는 현상을 연구자가 규명 (0) | 2022.05.15 |
포식자인 호랑이는 왜 '오렌지색과 검은 줄무늬'라는 눈에 띄는 외형인가? (0) | 2022.04.02 |
우리가 보고 있는 영상은 "과거 15초간의 다이제스트"라는 연구 결과...뇌가 방대한 시각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유 (0) | 2022.03.22 |
남극에서도 살 수 있는 유일한 곤충...가혹한 환경에서의 독특한 생존전략 (0) | 2022.03.15 |
블랙라이트로 비추면 빛나는 유전자 조작 열대어가 자연계에서 번식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