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각장애는 맛을 식별하기 어렵게 되고 혀의 감각이 이상해지는 질병입니다.
사람의 혀에는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라는 작은 세포가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 미각세포는 혀의 표면이나 안쪽에 '미뢰(味蕾)'라고 불리는 꽃봉오리 모양의 세포 속에 있습니다.
음식을 먹으면 맛의 근원인 화학물질이 타액과 섞이고 그것을 미각세포가 잡아내어 5가지 맛을 판별합니다. 그 후 대뇌에 맛의 정보를 보내고 사람은 '이 음식이 어떤 맛인가'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미각장애는 어떤 장애로 인해 맛을 인식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맛이 없다', '이상한 맛이 난다'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미각장애에는 7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미각장애의 7가지 분류>
· 미각의 저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게 되는 증상입니다.
· 자발성 이상 미각
입에 아무것도 넣지 않았는데 쓰거나 신맛을 느끼는 증상입니다.
· 미각의 소실
미각의 저하가 진행되어, 완전히 맛이 느껴지지 않게 되는 증상입니다.
· 이미증(異味症)
본래의 맛과 다른 맛을 느끼는 증상입니다.
· 해리성 미각장애
특정 맛만 인식할 수 없게 되는 증상입니다.
· 악미증(悪味症)
먹지도 않았는데 혐오하는 맛이 나는 증상입니다. 입안에 맛이 남아 있다는 감각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 풍미장애
후각장애 때문에 입맛이 떨어졌다고 느낍니다.

원인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아연 결핍'입니다.
미뢰에 있는 미각세포는 맛을 느끼기 위해 아연의 작용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연 결핍은 그대로 미각세포의 기능저하로 이어져 미각장애가 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 밖에도, 복용중인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나 불규칙한 식생활로 인해 미각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식사지도로 치료합니다. 즉, 아연을 많이 포함한 식단을 구성합니다.
아연이 풍부한 음식은 다음과 같은 식품입니다.
참깨, 장어, 굴, 계란(노른자), 아몬드, 치즈, 녹차, 두부, 콩, 해초
아연과 함께 비타민C와 단백질도 섭취하면 더욱 좋습니다.
· 비타민C
파인애플, 귤, 해초, 여주
· 단백질
닭고기, 우유, 레버

주의할 것
아연 결핍은 미각장애뿐만 아니라 면역력의 저하와 피부와 손톱의 이상이 생기고, 어린이라면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치우친 식생활을 바로 잡아, 미각장애를 치료합시다.
성인 남성은 12mg/일, 성인 여성은 9mg/일, 임산부라면 12mg/일을 기준으로 아연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복부를 절개하여 충수절제 수술을 한 의사 (0) | 2020.11.01 |
---|---|
과도한 육체노동은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 (2) | 2020.10.28 |
수면 부족 상태에서는 '삶의 기쁨'이 없어진다는 연구결과 (2) | 2020.10.25 |
기초부터 배우는 간과 간염 AST(GOT), ALT(GPT), γ-GTP (0) | 2020.10.22 |
14살 소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분자를 특정하여 상금 2600만 원을 획득 (1) | 2020.10.20 |
차갑다고 느끼는 수돗물의 온도는 몇 도? (0) | 2020.10.18 |
왜 수온과 기온의 온도는 같은데 체감 온도가 다른가? (1) | 2020.10.18 |
인간의 피부가 느끼는 온도 감각이란 (0) | 202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