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NIcBp/btq1vid0L28/OVZWKjYPsNQHPJ0lccYXK1/img.jpg)
정상 세포처럼 세포분열하고 증식하는 단세포합성생물 'JCVI-syn3A'를 개발했다고 J · C · 벤터연구소와 MIT,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로 구성된 합동연구팀이 발표했습니다.
Genetic requirements for cell division in a genomically minimal cell: Cell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1)00293-2
Scientists built a perfectly self-replicating synthetic cell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synthetic-cell-division.html
Scientists built a perfectly self-replicating synthetic cell
www.livescience.com
JCVI-syn3A의 현미경 영상이 YouTube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Genes Necessary for Cell Division in Modern Bacterial Cells Identified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BBaUM7AyoIs
인공 박테리아를 제작하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J · C · 벤터연구소는 염소의 감염을 일으키는 Mycoplasma mycoides라는 세균에서 천연 DNA를 제거하고 인간이 편집한 DNA를 주입한 'JCVI-syn1.0'를 2010년에 만들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L3BL/btq1qOFfdfO/ILhn7xVMZInqKxtqbxoynk/img.jpg)
또한 2016년 연구팀은 이 JCVI-syn1.0를 바탕으로 하여 염기서열(게놈)을 실험용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는 최소한으로 줄여 총 473종류의 유전자정보밖에 없는 DNA를 주입한 JCVI- syn3.0를 만들었습니다. 이 JCVI-syn3.0는 세포분열을 계속하여 증식할 수 있었지만, 세포분열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성장을 거듭할 때마다 형태가 크게 변화한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현미경 영상을 보면 크기가 제각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tJQg/btq1tDJJlCG/fFaDE6yZX7IjIecrB9W9FK/img.jpg)
그래서 연구팀은 JCVI-syn3.0에 새롭게 19종류의 유전자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증식에 의한 형태변화를 억제하여 정상적인 세포분열을 하도록 의도한 단세포합성생물 'JCVI-syn3A'를 디자인했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bmkhwL/btq1tCxgQBV/vCOFBEzBWsd9LK5EY3U8dk/img.jpg)
연구팀에 따르면 세포분열 과정을 더 일정하게 실행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7종류로, 그 중 'ftsZ'와 'sepF'라는 두 유전자정보는 세포막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켜 적절한 분열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세포분열 메커니즘에 어떤 유전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는 완전히 규명되지 않아서, 연구팀은 이를 향후 연구과제로 보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TIA1/btq1m6UoX9M/SPOC8lKoI8LxyxNvlFUyF0/img.jpg)
연구팀은 "우리는 생명의 기본 설계규칙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이 JCVI-syn3A가 설계규칙의 해명에 도움이 된다면, 우리는 한 걸음 더 내딛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는 200만 년 전부터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였다 (0) | 2021.04.09 |
---|---|
말이 생각보다 지능이 높은 것으로 '미러테스트'에서 드러나 (0) | 2021.04.08 |
불가사리의 동족상잔...어릴 때부터 서로를 포식 (0) | 2021.04.07 |
인류는 어떻게 지상 최강의 '물건을 던지는 힘'을 가진 생물이 되었을까? (0) | 2021.04.02 |
물만으로 성장하는 야채가 존재하는 이유 (0) | 2021.03.28 |
수경재배의 물갈이 포인트와 주의점 (0) | 2021.03.28 |
인간의 뇌를 다른 영장류보다 발달시키는 유전자가 특정되다 (0) | 2021.03.27 |
파리지옥을 스마트폰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다 (0) | 2021.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