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수면이라도 주위의 소리가 잘 들릴 때와 잘 들리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청각은 수면 중에도 계속 일하고 있는데, 소리를 듣기 쉬운 시간대와 듣기 어려운 시간대가 있습니다.
'렘수면'이라면 소리가 잘 들립니다. 인간의 귀에는 '유모세포'라는 감지한 주변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뇌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세포가 약 15,000개 있습니다.
이 유모세포는 수면 중에도 항상 활동하고 있고 주변의 소리를 자동으로 포착하여 뇌에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 그것의 인식에는 수면의 깊이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수면 패턴은 숙면 상태인 '논 렘수면'과 반각성 상태인 '렘수면'이라는 2종류가 있으며, 렘수면 상태의 청각은 각성상태와 다르지 않을 정도로 예민합니다.
귀의 피로는 수면 중에 회복한다
쾌적한 수면을 취하기 위해 저녁 이후에는 격렬한 음악은 자제하고 슬로우 템포의 곡으로 바꾸어, 청각으로 잠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가사가 있지 않은 곡을 선택하도록 합시다.

파도 소리나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 등 심신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는 소리를 수면 중에 틀어 숙면을 유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이 일주기성 리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판명 (0) | 2020.12.19 |
---|---|
과독증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에 포함될까? (0) | 2020.12.17 |
인간이 햄스터처럼 루프를 달려 회전할 수 있을까? (0) | 2020.12.16 |
수면 중에도 후각은 기능하고 있는가? (2) | 2020.12.15 |
백만장자의 유산을 받기 위해 '10년간 출산한 아이의 수'를 서로 경쟁한 'Great Stork Derby'란? (0) | 2020.12.15 |
알코올에 세균은 죽는데 인간은 죽지 않는 이유...세균과 우리는 어떻게 다른가. (0) | 2020.12.14 |
알코올(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살균효과에 대해 (0) | 2020.12.14 |
피부 및 폐에서의 마찰식 알코올 제제 유래 에탄올의 흡수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