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타인과 함께 행동하면 때때로 타인과 행동이 싱크로(동조)되기도 합니다. 콘서트장에서 박수칠 때, 모두가 각자 손바닥을 마주치고 있지만 가끔 박수 소리가 동조되어 하나의 웅장한 소리가 되는 경우는 그 예입니다. 인간에 가까운 침팬지에서도 움직임의 동조가 관찰됩니다. 그런 인간행동의 동조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여러 바이올린 연주자들에게 동시에 바이올린을 연주시키는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Synchronization of complex human networks | Nature Communica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0-17540-7
Frustrated? Human patterns of synchronization may be the reason - study - The Jerusalem Post
https://www.jpost.com/health-science/human-networking-ability-whats-the-secret-638305
Synchronized violin players reveal uniqueness of human networks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science/2021/01/synchronized-violin-players-reveal-uniqueness-of-human-networks/
'인간행동의 동조화'는 지금까지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리의 역학'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리가 옆으로 흔들리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보폭을 조절하고 다리의 흔들림에 맞추려고 합니다. 그러나 보폭을 조정하면서 걷고자하면 더 작은 흔들림이 발생하여 교량의 진동은 증폭될 수 있습니다. 즉, 진동이 증폭되는 피드백이 반복해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영국의 런던에서 2000년 6월에 개통한 밀레니엄 브리지의 개통 이벤트에서 다리를 건넌 수천 명의 사람들이 다리의 작은 흔들림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발을 동조시킨 결과 보행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지 않고 주기적인 것이 되어버려, 다리의 흔들림이 심해졌고, 결국 일시폐쇄하기에 이르렀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또한 이 인간행동의 동조는 금융시장에서 투자자의 행동에서도 보인다고 2011년에 발표된 연구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투자자가 하루동안 온라인채팅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그 날에 손해볼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투자자의 동조성이 금융시장의 복잡한 시스템 속에서 리스크 회피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그런 행동의 동조에 대한 연구를 하는 바일란대학의 물리학자 모티 · 후리도만 씨는 스토니브룩대학교 음악대학원의 에라도 슈나이더맨 씨 등과 공동으로 바이올린 연주의 동조에 대한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에 참가한 16명의 연주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헤드폰을 장착하고 컴퓨터에 연결된 일렉트릭 바이올린을 연주했습니다. 연주자가 장착한 헤드폰은 컴퓨터를 통해 헤드폰으로 흘러나오는 서로의 바이올린 소리만을 들을 수 있으며 연주자는 타인의 바이올린 소리에 의지하여 짧은 구절을 반복하여 연주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컴퓨터로 조작하여 타인의 바이올린 소리에 일부러 지연을 발생시켰고 어떻게 동조가 이루어지는가를 관찰했습니다. 지연이 발생하면 헤드폰에서 흘러나오는 연주와 연주 사이에 위화감이 생기기 때문에 연주자에게는 '좌절감이 쌓인 상태'가 됩니다.
분석결과, 다른 사람과 자신의 연주가 어긋나 좌절감이 쌓이면 연주자는 연주의 템포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하여 함께 연주하는 연주자와의 동조를 개선하려고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2명의 연주자 사이에 소리지연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연주시킨 상태를 아래의 동영상 2분 13초쯤에서 볼 수 있습니다. 2명의 연주자가 듣고 있는 소리와 연주에 위화감을 느끼고, 자신의 연주의 템포를 늦추면서 연주를 동조하려고 모색합니다.
Sync Variations Documentary on Vimeo
https://vimeo.com/394199689
후리도만 씨는 이 실험결과에 대해 "좌절감이 쌓인 상태에서 연주자는 입력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수행하려고 합니다"라고 말해, 붐비는 방의 소음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대의 대화를 듣고자하는 '칵테일 파티 효과'와 비슷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간행동 모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예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 속에서 사람들을 잘 제어하고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방지하는 등의 응용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후리도만 씨는 "우리의 연구결과는 자동운전 차량과 고도의 네트워크 사회로의 AI도입 등 각 노드가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고 있는 네트워크에도 크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모델은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생물 &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억 년 전 생물을 기록한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사라질 위기 (0) | 2021.01.20 |
---|---|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무엇인지를 전문가가 해설 (0) | 2021.01.15 |
오리너구리는 유전자적으로 포유류이기도 조류이기도 파충류이기도 하다 (0) | 2021.01.13 |
의외로 화려하다!? 곰팡이의 종류와 특징 (0) | 2021.01.11 |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척추동물 '그린란드 상어'의 알려지지 않은 생태 (0) | 2021.01.11 |
다육식물을 번식시켜 부수입 얻기 (0) | 2021.01.02 |
다육식물 잎꽂이의 성장속도 (0) | 2020.12.31 |
소중히 키우는만큼 오래 산다!? 다육식물의 수명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