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만난 고령의 부모나 친척이 건망증이 심해지고 주변을 신경 쓰지 않을 경우 치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3분의 1이 자신이 치매임을 깨닫지 못했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가족의 치매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임상간호학자인 케이트 어빙 교수가 설명했습니다.

More than a third of people with dementia don't know they have it – what to do if you suspect your partner has the condition
https://theconversation.com/more-than-a-third-of-people-with-dementia-dont-know-they-have-it-what-to-do-if-you-suspect-your-partner-has-the-condition-219172

More than a third of people with dementia don't know they have it – what to do if you suspect your partner has the condition

How to have honest, open conversations with your partner about dementia.

theconversation.com


영국치매위원회는 2023년 12월에 국내 치매환자의 약 36%가 진단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의료 및 간병 전문가에게 치매의 초기 증상을 발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었지만, 치매는 주변 사람에게도 큰 고민입니다.

아일랜드 더블린시티 대학의 임상간호학자인 케이트 어빙 교수는 “치매의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중한 사람의 평소 생활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치매의 초기 증상으로는 기억 문제가 잘 알려져 있지만, 스트레스와 슬픈 사건이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이에 따라 인지기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잊어버렸다고 치매가 시작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스트레스 등 다른 원인 탓이라고 단정 짓는 것이 치매의 징후를 놓쳐 버리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전문가는 이것을 '진단의 그림자(diagnostic over-shadowing)'라고 부릅니다.

많은 경우 치매는 몇 개월에서 수년이라는 기간에 진행되기 때문에 뭔가를 기억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며칠에서 몇 주라는 짧은 기간에 발생하면 "치매가 아닌 더 심각한 질환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신속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어빙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반면에 치매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큰 공포 중 하나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뢰관계의 소실로 발전하기도 하기 때문에 기억장애가 있을 경우 솔직하게 토론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합니다.


또 기억장애에는 어느 정도 가역적인 원인이 있어서 어느 정도 회복시키는 것도 가능하므로 원인을 없애기 위해 진찰에 가도록 권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본인이 진찰에 긍정적이었을 경우, 미리 경험한 기억장애의 종류나 그때의 상황, 기억장애의 영향을 1주일 정도 기록해 두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어빙 씨는 가족과 치매 문제에 대해 “기억장애나 망상에는 스트레스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가족관계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최선책은 정직하고 개방적인 대화와 지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