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uxzRa/btsC8SYyEYz/VbxkzbPBN8JcqTBO3bfZsk/img.jpg)
치아를 보면 대략적인 연령을 알 수 있는데, 실제로 치아의 마모나 잇몸의 퇴축 등으로 어느 정도의 연령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영구치가 12세 전후에 재배치된 후 서서히 마모되어 가는데, 가장 알기 쉬운 것은 아래 전치의 끝입니다.
대체로 20세에서 30세 사이에 끝이 약간 줄어든 상태가 됩니다. 30세에서 40세 사이에는 마모가 진행되어 상아질이 점상 또는 실모양으로 노출되며, 40세부터 50세에는 상아질이 어느 정도 노출됩니다. 50세가 되면 현저한 마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잇몸의 퇴축상태로, 잇몸은 1년에 0.1mm 퇴축해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퇴축의 정도는 치주병의 진행과 함께 커져가므로 치주병의 진행상태에 따라서도 어느 정도의 나이는 추정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는 10대부터 치주병에 걸리기 시작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20~40세대에 걸쳐 서서히 악화되어 잇몸이 통증이 나거나 치아가 흔들리게 됩니다.
치아를 젊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은 신체가 젊고 건강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치아 마모는 씹는 습관과 이갈이 등으로 인하여 상당히 바뀝니다. 치주병은 심해지고 나서는 치료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年齢と歯について
https://okubo-dc.net/blog_dean/225/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변은 건강의 지표 (0) | 2024.01.13 |
---|---|
법랑질 마모의 원인 (0) | 2024.01.12 |
피부의 상재균으로 인슐린을 만들어 체내에 상시 공급하는 당뇨병 치료법 (0) | 2024.01.12 |
치아 마모와 불가피성 (0) | 2024.01.09 |
치아의 수명을 연장하는 7가지 방법 (0) | 2024.01.09 |
치매 환자의 30%는 자각이 없다는 조사결과 (0) | 2024.01.05 |
의사는 환자의 의견을 경시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 (0) | 2024.01.03 |
경제적 문제에 대해 낙관적인 사람은 인지능력이 낮다는 연구결과 (0) | 202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