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상선질환에서 그레이브스병, 만성갑상선염(하시모토병)은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이라고도 불리며 자기(주로 갑상선)에 대한 항체의 생산이 질병의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 몸에는 자기(자신의 장기나 세포 등)와 비자기(다른 기관과 세균 · 바이러스 등)를 구별하고 체내에 침입해온 이물질을 비자기로 식별해 제거하는 면역기능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에 대해 공격하는 역할을 맡는 것이 항체입니다. 자기면역질환은 자기를 비자기로 파악해 제거하려고 시도하는 면역이상으로, 자신에 대한 항체가 과잉생산되어 각종 병증을 나타내게 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각종 교원병(膠原病)이 자가면역질환에 해당합니다.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은 갑상선 내에 있는 단백질과 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다양한
자가항체가 생산되는 것이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항체의 유무를 측정함으로써 질환의 진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
· 항티로글로불린항체(TgAb)
갑상선 소포세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당단백(티로글로불린)에 대한 자가항체. 만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에서 높은 빈도로 양성이 나오지만, 그레이브스병에서도 양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 항TPO항체(TPOAb)
갑상선 조직에서 추출된 마이크로솜 분획에 대한 자가항체이며, 후에 peroxidase인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티로이드 테스트뿐만 아니라
만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 그레이브스병에도 긍정적입니다.
· TSH수용체 항체 (TRAb, TBII)
TSH수용체 항체는 TSH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로, 그레이브스병에서는 90% 이상이 양성이 됩니다. 이 항체가 결합하여 TSH수용체가 자극되어 갑상선호르몬이 증가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甲状腺の自己抗体
https://www.kuma-h.or.jp/kumapedia/encyclopedia/detail/?id=158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약으로 증상이 개선되는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 (0) | 2021.10.30 |
---|---|
VR 헤드셋으로 영상을 시청해 약시를 개선한다는 치료법 'Luminopia One'을 FDA가 승인 (0) | 2021.10.26 |
포장용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인해 연간 10만 명이 미국에서 사망 (0) | 2021.10.18 |
코로나19의 치료약 '몰누피라비르'가 작용하는 원리 (0) | 2021.10.13 |
외상이 없는 남성의 심장에 '길이 10cm의 시멘트 조각'이 박힌 놀라운 이유 (0) | 2021.10.08 |
매운맛이 건강에 해로울까?...장기적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란? (0) | 2021.09.20 |
과체중과 비만은 칼로리의 문제가 아니라 호르몬의 문제라는 주장 (0) | 2021.09.15 |
백신 미접종자는 코로나 델타변이의 감염률이 5배, 사망률이 11배가 된다는 연구결과 (0) | 202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