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습관병의 하나인 고혈압은 심장마비와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2015년에 실시된 WHO의 조사에서 여성 5명 중 1명, 남성 4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생활습관병입니다. 그런 고혈압을 줄이려면 운동을 일주일에 얼마나 실시하면 좋은 것인지 캘리포니아대학의 제이슨 나가타 씨가 조사했습니다.
Physical Activity and Hypertension From Young Adulthood to Middle Age -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https://www.ajpmonline.org/article/S0749-3797(21)00077-5/fulltext
Here's How Much Exercise Works Best For Keeping Your Blood Pressure in Check
https://www.sciencealert.com/five-hours-of-moderate-activity-a-week-could-help-you-avoid-midlife-hypertension
Here's How Much Exercise Works Best For Keeping Your Blood Pressure in Check
When it comes to exercise for heart health, you don't want to peak too early in life. New research suggests that if you want to protect yourself against high blood pressure as you age, you need to play the long game and keep your exercise levels up t
www.sciencealert.com
미국국립보건원의 지원으로 1985년부터 30년 이상 수행된 'CARDIA'는 미국의 성인 · 5115명을 대상으로 피실험자의 건강상태를 30년 동안 추적조사한 것입니다. 피실험자는 1년간의 운동상태, 건강상태, 직업 등을 30년간 답변했습니다. 나가타 씨는 이 CARDIA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혈압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운동의 빈도를 분석했습니다.
나가타 씨가 CARDIA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피실험자의 운동량은 18세부터 40세까지 떨어졌고 그 이후 수십 년간 서서히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혈압과 운동량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18세 무렵부터 일주일에 5시간의 적당한 운동을 한 사람들은 고혈압의 위험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60세까지 습관적으로 운동을 계속한 사람은 고혈압의 위험이 현저하게 저하했다는 것. 나가타 씨는 "18세를 맞이하면 많은 사람이 중등 교육을 마치고 운동의 기회가 감소하므로 고혈압을 방지하기 위해 활동을 시작하기 딱 좋은 시기"라고 말합니다.

또한 '일주일에 5시간'이라는 운동시간은 미국보건복지부가 권장하는 '일주일에 두 시간 반'이라는 지침의 배에 해당하는 숫자인데, 나가타 씨는 "고혈압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더 긴 운동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관련 다이어트 약물에 대해 (0) | 2021.05.06 |
---|---|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어떤 병인가 (0) | 2021.05.05 |
한계는 332m?...심해에서의 인체 영향 (0) | 2021.04.28 |
수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체 장애 (0) | 2021.04.28 |
사과식초의 10가지 놀라운 효과와 역효과 (0) | 2021.04.26 |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보고된 혈전증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 (0) | 2021.04.20 |
유명한 더닝 크루거 효과는 '무능한 사람일수록 자신을 유능하다고 생각한다'는 법칙이 아니다 (0) | 2021.04.19 |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약 50% 높은 것으로 밝혀져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