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Ay15S/btrQ0YDP5wV/Du2clzQhgBAje5b7QKlUb0/img.jpg)
스위스의 연구그룹은 척수손상으로 심한 마비를 앓고 보행하기 어려운 환자를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미발견이었던 척수손상 후 회복에 필요한 조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The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 Nature
https://doi.org/10.1038/s41586-022-05385-7
People With Complete Paralysis Walk Again After Nerve Stimulation Breakthrough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people-with-complete-paralysis-walk-again-after-nerve-stimulation-breakthrough
People With Complete Paralysis Walk Again After Nerve Stimulation Breakthrough
Using a mix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intense physical therapy, nine people with chronic spinal injuries have had their ability to walk restored.
www.sciencealert.com
보행에 필요한 신경세포는 척수에 존재하며 척수가 손상되면 뇌의 신호가 차단되어 보행이 불가능해집니다. 그 결과 발에 문제가 없어도 발의 영구마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Cdwu/btrQZQfxZho/77qlnkEZDOEvQ3Kl8OueCK/img.jpg)
지금까지의 연구는 척수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마비를 회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그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EPFL)의 신경과학자인 클라우디아 캐시 씨가 척수의 '경막'이라고 불리는 부분에 전기자극을 주는 경막외 전기자극이라는 기술을 심한 척수손상인 9명의 환자와 실험쥐로 확인했습니다.
환자들이 일주일에 4~5회의 자극과 재활을 5개월간 계속한 결과 모두가 보행기의 도움으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
또한 회복된 환자들은 보행 시 허리 척수의 신경활동이 저하되었다고 합니다. 거기서 캐시 씨는 이 과정을 실험쥐로 검증해 어느 세포가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신경세포의 집단이 허리 척수의 중간층이라는 조직에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자극된 신경세포를 시각화한 것으로 이 조직은 언뜻 보면 건강한 동물의 보행에는 불필요하지만 척수손상 후의 보행의 회복에는 불가결해 이 조직을 파괴하면 실험쥐의 회복이 저해되었다고 합니다. 또 이 조직은 뇌간으로부터의 정보를 실제의 보행에 연결하는 신경에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q2yD/btrQZXr9CtT/3bAXRx53eBGAniH4uguNv0/img.jpg)
연구그룹이 발견한 조직의 세부사항이나 실제로 척수손상으로 인해 보행이 곤란했던 환자가 걷는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cientists identify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TSp-PDTgZeI
캐시 씨는 이 발견을 "세포의 정보전달에 관한 하나의 요소에 지나지 않고 아직 해명되지 않은 것이 여러 가지 있다"면서 "이 발견은 이윽고 치료법의 선택지를 늘리는 것으로 이어지고 그 외 척수손상 환자에게도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의 원인과 완화방법 (0) | 2023.01.01 |
---|---|
부자감정을 했더니 아이의 어머니가 숙부였다는 결과 (0) | 2022.11.30 |
치명적인 유전성 질환을 '모체의 자궁 속'에서 치료하는 데 성공 (0) | 2022.11.27 |
전기쇼크 요법은 케타민보다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 (0) | 2022.11.17 |
간은 기증자로부터 환자에게 이식되어 100년 이상 살아남을 수 있다 (0) | 2022.11.12 |
인공 감미료가 장내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 (0) | 2022.11.07 |
미라가 된 수백 년 전의 아기는 '햇빛 부족'으로 인해 죽었을 가능성 (0) | 2022.10.28 |
가짜 기억에 관련된 '기억의 7가지 죄'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