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4.04.25 중국어 키보드앱에 입력내용을 가로채는 결함이 있다?
  2. 2024.04.25 합성 다이아몬드를 상압에서 만드는 기술을 개발
  3. 2024.04.22 최신 물리학에서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4. 2024.04.22 반도체와 금속 사이에 전류를 흘려 물체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열전냉각'
  5. 2024.04.21 "심박수가 낮은 사람은 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
  6. 2024.04.20 두께 원자 1개분의 금 시트 'Goldene'의 합성&단리에 성공...전자회로나 촉매 응용에 기대
  7. 2024.04.19 피싱서비스 'LabHost'를 국제경찰팀이 적발하여 조직원 37명을 체포
  8. 2024.04.18 생물이 살아가기 위한 '해비터블 존'
  9. 2024.04.17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의 배터리 수명을 '펄스 충전'으로 2배로 하는 것이 가능
  10. 2024.04.17 이스라엘이 군사 AI 'Lavender'와 'Where's Daddy?'를 조합하여 '킬체인'으로 운용
  11. 2024.04.16 YouTube가 광고차단툴 단속을 강화...타사 앱도 금지
  12. 2024.04.15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가 소립자물리학에 혁명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13. 2024.04.15 5400만 년 전부터 존재하는 충치를 마침내 인류가 극복할지도 모른다
  14. 2024.04.12 남반구의 하늘
  15. 2024.04.09 출생 직후 장내세균의 혼란이 미래의 신경발달 장애의 위험과 관련될 가능성
  16. 2024.04.09 안드로이드에 새로운 '디바이스 찾기' 기능이 등장... 10억대 이상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Pixel 8나 8 Pro는 꺼져도 발견 가능
  17. 2024.04.09 개기일식 중에 해서는 안 되는 3가지
  18. 2024.04.08 꿀벌의 수가 2017년 이후 미국에서 급증하고 있는 원인이란?
  19. 2024.04.05 모공 레이저 치료
  20. 2024.04.05 생태과학자가 선정한 '규명하고 싶은 지구상의 수수께끼'
  21. 2024.04.04 양자컴퓨팅의 방대한 에러의 원인이 되는 '노이즈'를 800배 억제하는 차세대 기술을 Microsoft와 Quantinuum이 개발
  22. 2024.04.04 무장세력의 공격에 표류하던 화물선으로 인해 홍해의 해저케이블이 절단
  23. 2024.04.03 인기 유튜버 MrBeast가 애용하는 '리텐션 편집'
  24. 2024.04.02 스폰지밥의 N체 문제는 최종적으로 '비리얼 평형에 도달'
  25. 2024.03.31 초신성의 종류와 특징
  26. 2024.03.29 지구의 자전이 빨라져 2029년까지 '음의 윤초'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
  27. 2024.03.27 수면시간과 눈
  28. 2024.03.26 세계의 반도체산업은 단 하나의 공장에 의존한다
  29. 2024.03.26 실험장치에서 '양자 소용돌이'를 생성해 블랙홀의 중력상태를 모방하는 데 성공
  30. 2024.03.25 수면으로 뇌의 노폐물을 씻어내는 메커니즘을 규명...알츠하이머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가능성


스마트폰용 키보드앱 중 일부는 예측변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입력내용을 클라우드로 전송합니다. 토론토대학의 연구기관인 'Citizen Lab'이 중국어 키보드앱을 분석한 결과 9사 중 8사의 앱에 키입력을 가로채는 취약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The not-so-silent type: Vulnerabilities across keyboard apps reveal keystrokes to network eavesdroppers - The Citizen Lab
https://citizenlab.ca/2024/04/vulnerabilities-across-keyboard-apps-reveal-keystrokes-to-network-eavesdroppers/

The not-so-silent type: Vulnerabilities across keyboard apps reveal keystrokes to network eavesdroppers - The Citizen Lab

In this report, we examine cloud-based pinyin keyboard apps from nine vendors (Baidu, Honor, Huawei, iFlyTek, OPPO, Samsung, Tencent, Vivo, and Xiaomi) for vulnerabilities in how the apps transmit user keystrokes. Our analysis found that eight of the nine

citizenlab.ca


Chinese Keyboard App Vulnerabilities Explained - The Citizen Lab
https://citizenlab.ca/2024/04/chinese-keyboard-app-vulnerabilities-explained/

Chinese Keyboard App Vulnerabilities Explained - The Citizen Lab

We analyzed third-party keyboard apps Tencent QQ, Baidu, and iFlytek, on the Android, iOS, and Windows platforms. Along with Tencent Sogou, they comprise over 95% of the market share for third-party keyboard apps in China. This is an FAQ for the full repor

citizenlab.ca


스마트폰이나 PC에 탑재되어 있는 예측변환 기능이나 예측입력 기능은 일본어나 영어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로컬로 동작합니다. 한편 중국어용으로 개발되고 있는 키보드앱이나 IME에서는 예측입력 기능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입력내용을 클라우드에 송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클라우드로의 전송기능에 취약점이 존재하면 공격자에게 입력내용이 유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Citizen Lab은 클라우드를 통해 예측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입력내용이 도용될 위험을 확인했습니다.

Citizen Lab은 'Tencent', 'Baidu', 'iFlytek', 'Samsung', 'Huawei', 'Xiaomi', 'OPPO', 'Vivo', 'Honor'가 제공하는 Android 및 iOS용 키보드앱과 Windows용 IME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Huawei를 제외한 8개 소프트웨어에 입력내용을 훔치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삼성의 키보드앱 '삼성 키보드'는 입력내용을 암호화하지 않고 클라우드로 전송했습니다.

Citizen Lab은 키보드앱 취약점으로 인해 최대 10억 명의 사용자가 유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Citizen Lab은 이 문제를 각 회사에 통지했으며 Baidu 이외의 7사는 문제에 대한 대처를 완료했다고 합니다. Baidu는 Citizen Lab의 통지 직후 문제의 일부를 수정했지만 여전히 문제가 남아 있다고 합니다.

Citizen Lab은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권고했습니다.

・키보드앱이나 IME의 「클라우드 기반의 예측입력 기능」을 무효화한다
・키보드앱이나 IME의 액세스 권한을 제한한다
・Tencent가 2024년 1분기까지의 수정을 약속했지만 개선되지 않은 'QQ Pinyin'의 사용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한다
・Honor의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리 인스톨 되어 있는 Baidu의 키보드앱 사용을 중지한다
・키보드앱이나 IME를 최신판으로 업데이트
한다
・Google과 Apple에서 제공하는 표준 키보드 앱 사용한다

Posted by 말총머리
,


천연 다이아몬드는 지구의 깊은 곳에서 탄소원자의 집합체가 극도의 고온·고압에 노출되어 형성되며 인공적으로 합성 다이아몬드를 만들어내는 고온 고압법(HPHT법)은 지구 내부의 생성 프로세스를 재현한 것입니다. 새롭게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과 울산과학기술원의 연구팀이 상압에서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과학지 Nature에 발표했습니다.

Making diamonds at ambient pressure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42017

Making diamonds at ambient pressure

A team of researchers led by Director Rod RUOFF at the Center for Multidimensional Carbon Materials (CMCM) withi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at the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have gro

www.eurekalert.org


Forget Billions of Years: Scientists Have Grown Diamonds in Just 150 Minutes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forget-billions-of-years-scientists-have-grown-diamonds-in-just-150-minutes

Forget Billions of Years: Scientists Have Grown Diamonds in Just 150 Minutes

Natural diamonds take billions of years to form in the extreme pressures and temperatures deep underground.

www.sciencealert.com


99%가량의 합성 다이아몬드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HPHT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섭씨 1300~160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5GPa~ 6GPa의 압력을 가하고 액체 금속을 촉매로 사용하여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킵니다. 이미 합성 다이아몬드는 보석품이나 정밀 가공용 공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는데 보다 저압이면서 단시간에 합성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방법을 발견할 수 있으면 합성 다이아몬드의 제조에 혁명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연구팀은 합성 다이아몬드의 새로운 제조방법을 찾는 프로세스를 단축하기 위해 'RSR-S'라는 자체 제작의 진공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에 따라 액체금속의 비율이나 온도 등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연구가 대폭 가속되었고 상압의 환경하에서 합성 다이아몬드를 만들어내는 파라미터를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이 발견한 합성 다이아몬드의 제조방법은 1기압(약 1013hPa) 섭씨 1025도의 조건 하에서 갈륨·니켈·철·규소를 '77.75:11.00:11.00:0.25'의 비율로 혼합한 액체 금속에 순수한 메탄과 수소를 노출한다는 것. 메탄에 함유된 탄소원자가 액체 금속의 표면 아래로 퍼져 불과 15분 정도로 작은 다이아몬드의 핵이 형성되었고 최종적으로 액체 금속의 표면에 다이아몬드 막이 만들어졌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 대학원생이자 논문의 필두저자인 Yan GONG 씨는 “어느 날 RSR-S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고 흑연 도가니를 냉각시켜 액체금속을 응고시키고 고화시켰습니다. 액체 금속 조각을 제거할 때 파편의 바닥면 수 mm에 걸쳐 무지개 같은 모양이 퍼지고 있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무지개 색이 다이아몬드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를 통해 다이아몬드의 재현성 있는 성장에 유리한 매개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합성 다이아몬드와 접하는 액체 금속의 표면하 영역에 두께 30~40mm의 비정질 영역이 존재하고, 이 영역 상부에 존재하는 원자의 약 27%가 탄소원자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탄소는 갈륨에 용해되지 않는다고 생각되고 있기 때문에 갈륨이 풍부한 액체 금속에 이렇게 고농도의 탄소가 녹아 있는 것은 예상외였다고 합니다.

또한 액체금속에 약간 함유된 규소가 합성 다이아몬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규소가 최적치보다 늘어나면 다이아몬드의 사이즈는 작고 밀도는 높아졌고 규소가 없으면 다이아몬드는 전혀 성장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합성 다이아몬드의 초기 형성에 규소가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갈륨, 니켈, 철, 규소로 구성된 액체 금속이 사용되었지만 니켈을 코발트로 대체하거나 갈륨을 갈륨과 인듐의 혼합물로 대체해도 고품질의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킬 수 있었다고 합니다.

기초과학연구소의 다차원 탄소재료센터의 소장인 로드니 루오프 씨는 “액체금속에서 다이아몬드의 핵생성과 성장에 대한 우리의 발견은 매력적이고 기초과학에 많은 흥미로운 기회를 줍니다. 우리는 현재 핵의 생성과 다이아몬드의 급속한 성장이 언제 일어날지 탐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물리학 분야에서 시간과 공간에는 분할 불가능한 최소 단위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최소 단위가 있다는 이론은 '루프양자중력이론'입니다. 루프양자중력이론에서는 더 이상 분할 불가능한 길이를 플랑크 길이, 질량을 플랑크 질량이라고 합니다.

물리학자들은 길이와 질량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최소 단위가 적용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시간에도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는 최소 폭이 존재하고 그 시간을 플랑크 시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 플랑크 시간은 진공에서 빛이 플랑크 길이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약 5×10^-44초입니다. 소수점 뒤에 0이 43개 줄지어 있는 매우 작은 수이며 극히 짧은 시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루프양자중력이론의 가설이 정확하다면 시간은 불연속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은 하나하나가 정지한 이미지이지만 연속으로 넘기면 마치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는 YouTube 등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도 같은 것으로 뇌의 인식능력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 같은 현상을 시간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습니다. 즉 뇌가 착각하고 시간도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일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플랑크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는 물리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고 시간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플랑크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대해서는 양자중력이론에서 고찰되어 왔습니다. 양자중력이론은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통일하기 위한 이론입니다. 즉 양자중력이론에서는 겉보기에 다른 것처럼 보이는 시간과 공간이 물질과 같은 원리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없다고 가정하면 시간 대신에 무엇이 존재하는가?. 우리 인간은 과거에서 미래로 시간이 흐르는 것처럼 느낍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의 흐름은 엔트로피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는 불규칙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을 의미합니다. 사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난잡하고 무질서한 방향으로 향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물체가 차가운 물체에 닿으면 열이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흐릅니다. 이 열의 움직임은 한 방향으로만 발생하며 자발적으로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이것을 엔트로피 증대의 법칙이라고 부르며 물리학의 기본적인 대원칙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시간이라고 생각했던 것도 단지 엔트로피의 변화일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시간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러 사건끼리의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가 늘어나는 방향을 미래, 줄이는 방향을 과거라고 부르는 것만으로 시간의 방향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 엔트로피라고 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엔트로피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가 열로 변환됩니다. 에너지를 열로 변환할 때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과거에는 흔적이 있지만 미래의 흔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세계는 사물이 아니라 실제로는 사건의 모임이며 여러 사건의 관계성을 시간처럼 느끼고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으로 시간의 진행방식은 관측자마다 다르다고 보았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에는 공통의 현재가 없기 때문에 절대적인 시간도 없습니다. 결국 시간이란 인간이 낳은 단순한 개념입니다.

현재 연구자들은 시간이라는 변수가 없는 루프양자중력이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와 시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시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에너지의 상호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에서 미래로 흐름이 일방적인 것은 엔트로피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향하고 있을 뿐이며, 이것을 우리 인간은 시간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편 엔트로피의 증대에 의한 사건끼리의 관계성을 시간이 흐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습니다. 우연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우주의 초기 상태의 엔트로피는 낮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초의 엔트로피가 극단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우주의 곳곳에서 엔트로피는 증대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 초기 우주는 엔트로피가 낮고 질서가 있었는지 의문이 남아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와 미래가 표리일체인, 즉 과거에 의해 미래가 하나로 결정된다고 생각하면 설명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가 유일하다면 시간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간 과거도 하나이며 동시에 시간의 흐름을 내려간 미래도 하나로 결정됩니다. 우리가 있는 우주는 우연히 원인에서 결과로 흐르는 것으로, 결과에서 원인으로 흘러가도 모순이 생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손으로 뿌린 물이 쏟아져 나가는 영상을 역재생하면 과거와 미래를 바꾸는 조작을 체감하기 쉽습니다. 역재생의 영상에서는 쏟아져 있던 물이 떠올라 손에 들어가는 장면은 평상시의 생활로부터 생각하면 위화감을 느낀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비해 어딘가 먼 우주의 사건을 역재생해 보았다고 해도 아마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시간이 일방통행이라는 사고방식에 익숙해져 버리기 때문에 과거와 미래는 동등하다는 감각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다른 우주에서 우리의 우주를 보았을 때 과거와 미래가 바뀌어도 아마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엔트로피로 바꿔 말하면 다른 우주에서 보면 엔트로피는 증대하지 않을지도 모르고, 원래 엔트로피라는 변수도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물리학자나 철학자에 의한 몇 개의 가설이 섞였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평소의 우리는 화상의 연속인 동영상을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느끼는데 이것과 같이 시간도 착각인지 아니면 시간이 실재하는지는 모릅니다.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면 어떻게 될까요? 시간이 없어도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물리학 분야에서는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最新の物理学では「時間は存在しない」かもしれない!?
https://www.youtube.com/watch?v=n4rmuxGudQw

Posted by 말총머리
,
by Applied Thermoelectric Solutions LLC, “How Thermoelectric Cooling Works” / https://thermoelectricsolutions.com/how-thermoelectric-cooling-works/


다른 반도체와 금속의 접합부에 전류를 흘리면 열이 한쪽으로 이동한다는 현상을 이용한 '열전냉각'이라는 기술이 CPU의 냉각이나 의료, 군용기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열전냉각에 대해 물리학자인 알프레드 피고트 씨가 설명했습니다.

How Thermoelectric Cooling Works [2024] - Applied Thermoelectric Solutions LLC
https://thermoelectricsolutions.com/how-thermoelectric-cooling-works/

How Thermoelectric Cooling Works [2024]

Discover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rmoelectric / Peltier cooling. See images, diagrams, animations and videos to understand the tech.

thermoelectricsolutions.com


열전냉각에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와 2개의 금속을 사용합니다. p는 포지티브, n은 네거티브를 가리키며 각각 양과 음의 전하를 갖는 것이 이름의 기원입니다.

두 반도체(N과 P)는 2장의 금속(Ceramic Plate)에 끼워져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부에 전류가 흐릅니다. 그 결과 전자의 흐름이 생겨나 한쪽의 금속에서는 전자가 에너지를 빼앗기 때문에 냉각이 일어나고 다른 한쪽에서는 전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에 의해 가열이 일어납니다. 열전냉각 모듈의 극성을 반전시키면 뜨거워지는 쪽과 차가워지는 쪽이 바뀝니다.

by Applied Thermoelectric Solutions LLC, “How Thermoelectric Cooling Works” / https://thermoelectricsolutions.com/how-thermoelectric-cooling-works/


또한 열이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수, 공급되는 전류의 유량에 비례합니다.

열전냉각은 장 샤를 펠티에가 발견한 펠티에 효과가 바탕입니다. 펠티에는 반도체 대신 금속을 사용했지만 열전냉각과 열전 발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현대에서는 반도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반도체의 재료에는 텔루르화 비스무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n형과 p형 각각에 셀레늄과 안티몬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열전냉각은 마모되는 작동 부품이 없으며 모든 방향으로 설치되며 무중력 및 고가속 하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항공우주 및 군사산업에서 애용합니다. 또한 온실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1개의 냉각과 가열 양쪽을 실시할 수 있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거의 완전한 정음과 무진동을 실현하며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이 있습니다.

by Applied Thermoelectric Solutions LLC, “How Thermoelectric Cooling Works” / https://thermoelectricsolutions.com/how-thermoelectric-cooling-works/


단점으로는 설계에 따라서는 효율이 극단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비용이 높아지는 점 등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피고트 씨에 따르면 열전냉각 모듈은 모두 p형 반도체로 만들거나 반대로 모두 n형 반도체로 만들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에서는 하나의 모듈에 많은 반도체와 다량의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다지 실용적인 것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열전냉각이 사용되는 제품에는 의료용 레이저와 휴대용 인슐린 냉장고, 자동차 냉각 시트 및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군용 열센서 및 적외선 검출기, 일반 소비자용 휴대용 쿨러 등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심박수는 인간의 건강상태나 정신상태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지만 범죄와 관련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적습니다. 1만 2,000명이 넘는 여성의 범죄경력을 최대 40년간 추적한 새로운 연구에서 휴식시 심박수가 낮은 여성은 비폭력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약간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Lower autonomic arousal as a risk factor for criminal offending and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female conscripts | PLOS ONE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297639

Lower autonomic arousal as a risk factor for criminal offending and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female conscripts

Background Lower autonomic arousal is a well-known correlate of criminal offending and other risk-taking behaviors in men, but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is association in women. Aim To test associations between autonomic arousal and criminal offendin

journals.plos.org


Your Heart Rate Could Predict Whether You're More Likely to Be a Criminal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your-heart-rate-could-predict-whether-youre-more-likely-to-be-a-criminal

Your Heart Rate Could Predict Whether You're More Likely to Be a Criminal

A study published back in 2015 revealed a curious link between crime and unintentional injury rates in men and a low resting heart rate.

www.sciencealert.com


인간이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에 대해 생각할 때는 그 사람의 성격이나 가정환경, 경제 상황, 고용, 학력 등 사회적인 요인에 눈을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신경계의 기능 등의 생물학적 인자를 고려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러나 실은 인간의 휴식시 심박수와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2015년 연구에서는 안정시 심박수가 낮은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과 비교하여 반사회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여성의 휴식시 심박수와 반사회적 행동의 관련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미국 스웨덴 핀란드 국제연구팀은 1958~1994년 스웨덴에서 태어나 군에 입대한 1만 2499명의 스웨덴 여성을 추적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이들 여성은 모두 자발적으로 군에 입대해 신체검사로 심박수나 혈압 등이 측정되었는데, 연구팀은 최장 40년간에 ​​걸쳐 형사사건에서의 유죄판결이나 의도하지 않은 부상 등을 추적했다고 합니다.

분석 결과 안정시 심박수가 분당 69회 미만인 여성은 분당 83회가 넘는 여성에 비해 형사사건에서 유죄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35%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휴식시 심박수가 낮은 여성과 유죄판결의 관련성은 비폭력범죄에서 유의미하게 보였으나 폭력범죄에서는 심박수와 유죄판결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수축기 혈압이 낮은 여성(113mHg 이하)은 수축기 혈압이 높은 여성(134mmHg 이상)과 비교하여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을 위험이 26% 높았다고 합니다.

그 밖에도 휴식시 심박수의 낮음은 자상행위나 자동차사고 등을 제외한 '의도하지 않은 부상'을 앓고 치료를 받거나 사망하는 위험의 증가와도 관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덧붙여 이번 연구는 스스로 입대를 지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 인구집단에서는 또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있는 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연구팀은 여성병의 집단과 군에 들어가지 않은 여성의 비교도 실시하고 있으며 여성병은 사고를 당하기 쉬웠지만 전체적인 범죄율이 낮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에 대해 "안정시 심박수의 낮음은 스카이다이빙과 같은 과격한 스포츠나 폭탄처리 작업 등 위험한 일에 종사하는 경향과 관련된다"는 이전 증거에 합치한다며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습니다.


휴식시 심박수의 낮음이 범죄나 위험이 있는 행위와 관련되어 있는 이유로는 '심박수 등의 신체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활동이 낮은 사람은 흥분을 위해 리스크를 취하기 쉬워진다'는 가설이 제창되어 있습니다. 즉, 자율신경계의 활동이 낮은 사람은 적당한 흥분을 얻기 위해 위험한 취미나 범죄를 저지르기 쉽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재현할 수 있어야 하지만, 특히 휴식시 심박수의 저하로 나타나는 자율신경계의 각성의 저하가 범죄의 예측인자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것은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두께 원자 1개분으로 탄소만으로 구성된 시트상 물질 '그래핀'은 소재 강도가 매우 높고 열전도와 전기전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미래의 신소재로서 기대되고 있습니다. 린쇼핀대학의 연구팀이 이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원자 1개분의 두께인 금 시트 'Goldene'을 생성하여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A single atom layer of gold – LiU researchers create goldene - Linköping University
https://liu.se/en/news-item/ett-atomlager-guld-liu-forskare-skapar-gulden

A single atom layer of gold – LiU researchers create goldene

For the first time, scientists have managed to create sheets of gold only a single atom layer thick.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from LiU this has given the gold new properties that can make it suitable for use in various applications.

liu.se


Meet ‘goldene’: this gilded cousin of graphene is also one atom thick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1118-0

그래핀과 유사한 2차원 소재는 지금까지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추구되어 왔지만 금속원자는 항상 클러스터화되어 나노입자가 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금속원자의 2차원 재료를 생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고 합니다.

2015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주석 원자의 2차원 재료, 2019년의 연구에서는 납 원자의 2차원 재료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린쇼핀대학의 연구팀이 발표한 것은 '최초이자 단독으로 자립하는 금 원자의 2차원 재료'로, 연구팀은 이를 그래핀(Graphene)을 참고하여 'Goldene'이라고 명명했습니다.

Goldene을 생산하기 위해 린쇼핀대학은 티타늄 탄화물 사이에 실리콘 원자 단층을 끼워 넣은 재료를 생산했습니다. 이 적층구조 위에 금을 첨가하면 금 원자가 구조로 확산되어 실리콘이 치환되고 금 원자 단층이 구성됩니다.


그런 다음 티타늄 탄화물만을 제거하여 Goldene 단품을 꺼냅니다. 이 티타늄 탄화물을 제거하는 기술에는 '무라카미 시약'이라는 일본의 단조기술이 응용되었다고 합니다. 이 무라카미 시약은 탄화물을 에칭하여 제거하고 강철의 색을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데, 린쇼핀대학의 연구원인 카시와야 슌 조교는 무라카미 시약의 농도나 시간을 조금씩 바꾸면서 실험을 계속했다고 합니다. 또한 티타늄 탄화물을 제거한 후에 노출된 Goldene이 둥글게 되어 금 나노입자가 되어 버리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구조를 안정시켰다고 합니다.

카시와야 조교는 “시트상 물질인 Goldene은 용액 속에 있어서 우유에 들어간 콘플레이크와 조금 비슷합니다. 일종의 필터를 이용하여 금을 모아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성공 여부를 확인합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금 나노입자가 전자공학, 촉매, 포토닉스,, 센싱, 바이오의료 등의 분야에서 유망시되고 있기 때문에 연구팀은 Goldene도 마찬가지로 유용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예를 들어 금 나노입자에는 빛을 흡수하면 전자가 고에너지 상태로 전이한다는 광학특성이 있으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광촉매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Goldene을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면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금의 양이 대폭 삭감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에 생성한 Goldene이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할지도 모르지만 그 특성에는 규명되지 않은 부분도 많아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또 백금이나 은 등 다른 귀금속에서도 Goldene과 같은 생성방법으로 2차원 재료를 만들 수 있는지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유럽형사경찰기구(유로폴)를 포함한 세계 19개국의 경찰당국이 참가한 대규모 수사에서 PhaaS(Phishing-as-a-Service)로서 세계 각국에서 피싱사기 툴을 판매하고 있던 거대 사이버범죄 조직 'LabHost'의 관계자 37명이 체포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Global sting sees Australian offenders arrested for cybercrime and phishing attacks | Australian Federal Police
https://www.afp.gov.au/news-centre/media-release/global-sting-sees-australian-offenders-arrested-cybercrime-and-phishing

Global sting sees Australian offenders arrested for cybercrime and phishing attacks | Australian Federal Police

Five individuals have been arrested across Australia, and 32 overseas, following an international police takedown of a cybercrime platform used by cybercriminals to steal personal credentials from victims around the world, including more than 94,000 people

www.afp.gov.au


LabHost phishing service with 40,000 domains disrupted, 37 arrested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labhost-phishing-service-with-40-000-domains-disrupted-37-arrested/

LabHost phishing service with 40,000 domains disrupted, 37 arrested

The LabHost phishing-as-a-service (PhaaS) platform has been disrupted in a year-long global law enforcement operation that compromised the infrastructure and arrested 37 suspects, among them the original developer.

www.bleepingcomputer.com


LabHost는 2021년에 활동을 시작한 피싱 플랫폼입니다. 피싱 메일을 자동 생성 및 배포할 수 있는 툴이나 'LabRat'라는 시큐리티 회피 툴 등 기술력이 낮은 사이버범죄자라도 용이하게 공격을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무기로 세력을 확대했고 2024년 2월에는 LabHost가 기존의 PhaaS를 능가하는 지지를 획득하고 있는 것이 보안회사인 Fortra에 의해 보고되었습니다.

LabHost가 구축한 사기 사이트는 2024년 초의 시점에서 4만 건에 달했고 2000명의 사이버범죄자가 불과 평균 249달러(약 38만 원)의 월정액 요금으로 피싱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LabHost의 툴로 피싱 사기를 벌인 사이버범죄자의 수는 총 1만 명에 달했다고 합니다.

각국에서 독자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던 구미 19개국의 법집행기관은 유로폴의 조정에 의해 2023년 9월부터 국제수사를 개시했습니다. 또한 Microsoft, Chainalysis, Intel 471, 트렌드마이크로 등 민간조직도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2024년 4월 14일부터 17일에 걸쳐 세계 70곳의 거점에 대해 이루어진 일제수색에 의해 LabHost의 툴개발자를 포함한 용의자 37명이 체포되었고 사기 사이트나 서버 207대 등 인프라가 압수되었습니다.


설립 이래 LabHost는 고객인 사이버범죄자로부터 총 약 117만 달러(약 18억 원)를 챙겼으며 고객 대부분도 당국에 의해 특정되었거나 추적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당국은 또한 LabHost가 약 48만 장의 신용카드 번호, 6만 4000건의 PIN 코드 및 다양한 온라인 계정의 비밀번호 100만 건을 도용해 왔음을 밝혔으며 전 세계 피해자에 대한 연락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유로폴은 악성 범죄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LabHost와 같은 플랫폼은 숙련되지 않은 해커가 사이버범죄에 손을 대는 것을 용이하게 해 위협 액터의 입구를 크게 넓히고 있습니다. 아무리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라도 악의적인 사용은 불법행위이며 처벌은 엄격합니다."라고 경고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태양계 속에서 현재 생물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는 행성은 지구뿐입니다. 지구 바로 안쪽에 있는 금성에도, 바깥쪽의 화성에도 생물은 없는 것 같습니다.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 기체 산소의 존재, 액체 물의 존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 생물이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되는 영역을 해비터블 존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몸의 구조는 액체 물이 없으면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과학자들은 우주에 생물이 존재한다면 생물의 구조는 넓은 우주에서도 기본적으로 공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몸의 구조는 매우 잘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태양계 중에서 태양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액체의 물과 기체의 산소가 존재할 수 있는 온도가 되는 영역은 금성의 바깥쪽에서 화성의 안쪽까지로 즉 지구의 영역뿐입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태양계의 해비터블 존은 지구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주위를 돌 때의 조수력에 의해 유로파 그 자체가 변형할 정도의 힘이 가해져 그 때의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지구 이외의 해비터블 존을 찾는 연구는 지금 막 시작되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ハビタブルゾーンってどこなの?
https://www.jss.or.jp/fukyu/cubicearth/glossary/07.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오랫동안 소중히 사용하는 사람 중에는 사용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가 노후화되어 충전해도 곧 배터리가 바닥나는 문제에 시달리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최근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정전류'가 아니라 '펄스 전류'를 사용하여 충전함으로써 많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전지의 수명을 배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Tired of your laptop battery degrading? New 'pulse current' charging process could double its lifespan.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technology/electronics/tired-of-your-laptop-battery-degrading-new-pulse-current-charging-process-could-double-its-lifespan

Tired of your laptop battery degrading? New 'pulse current' charging process could double its lifespan.

Using pulse current charging, or a constant current divided with a few short breaks, lithium-ion batteries hold up better over hundreds of charging cycles and can last twice as long.

www.livescience.com


BESSY II - How pulsed charging enhances the service time of batteries - Batteries News
https://batteriesnews.com/bessy-ii-how-pulsed-charging-enhances-the-service-time-of-batteries/

BESSY II - How pulsed charging enhances the service time of batteries - Batteries News

BESSY II - How pulsed charging enhances the service time of batteries. An improved charging protocol might help lithium-ion batteries

batteriesnews.com


스마트폰에서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많은 제품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1회의 충방전을 1사이클로 하는 충전 사이클을 수백 회 반복하는 동안에 열화하고 최대 용량이 조금씩 줄어갑니다.

독일 훔볼트대학 베를린과 덴마크 올보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현행 최첨단 리튬이온 전지는 전극에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NMC532)과 흑연을 채용한 것으로 내용연수는 5~8년 정도라는 것. 이것은 충전 사이클로 하면 300~500회 정도입니다.


보다 고도의 충전 프로토콜인 펄스 전류를 사용하면 이 리튬이온 전지의 수명이 연장될 가능성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시사되어 왔지만 그 메커니즘은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실용화에 실패했습니다.

충전방식의 차이가 배터리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시판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정전류와 펄스 전류로 충전하고 100 사이클마다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펄스 전류로 충전한 배터리는 수명이 두 배가 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다음은 실험결과를 요약한 그래프입니다. 정전류(CC)로 충전한 배터리는 500사이클의 시점에서 충전용량이 80%를 아래로 떨어져 사실상의 수명에 이르렀고 1000사이클 후에는 37.8%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한편 주파수가 100Hz의 펄스 전류(Pulse-100)로 충전한 배터리는 80%가 될 때까지 700사이클을 달성했고 1000사이클 후에도 66.48%의 용량을 유지했습니다. 그리고 주파수 2000Hz의 Pulse-2000에서는 1000 사이클을 넘어도 80% 이상의 성능을 유지했습니다.


연구팀이 충방전을 반복한 리튬이온 전지를 분석한 결과 정전류로 충전된 배터리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전극인 애노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체 전해질 계면(SEI)이라는 막이 크게 두껍게 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배터리가 유지할 수 있는 충전량이 제한되고 있었습니다.

또한 NMC532와 흑연으로 만들어진 전극에도 무수한 균열이 생겨서 용량 감소의 요인이 되고 있었습니다. 대조적으로 펄스 전류로 충전된 배터리는 SEI가 얇고 전극에 대한 데미지도 낮게 억제되었습니다.

다음은 전극(Graphite)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으로 왼쪽부터 차례로 신품(Fresh), 정전류(CC), 2000Hz 펄스 전류(Pulse-2000)입니다. 정전류로 충전한 전극(중앙)에는 약 110nm의 막이 붙어 있었습니다만, 펄스 전류(오른쪽)에서는 절반인 약 50nm로 억제되었습니다.


연구팀은 2024년 3월 14일자의 학술지 Advanced Materials Sciences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러한 발견은 현행 리튬이온 전지의 충전방식을 최적화시켜 내용연수를 늘려 더욱 향후의 배터리 기술을 발전시키는 통찰력도 가져온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Mohammed Ibrahim / https://unsplash.com/photos/a-lightning-bolt-striking-a-city-fPWzkoBa0UE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의 순나파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실시했고 이에 이스라엘 측이 팔레스타인의 가자지구에 반격을 실시하면서 대규모 분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국방군은 하마스의 전투원을 암살하기 위해 'Lavender'라는 A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는데 이 Lavender와 AI에 의한 추적시스템을 조합한 '킬체인'이라는 콤보로 민간 사람을 포함한 많은 가자지구 주민을 폭살하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Gaza war: Israel using AI to identify human targets raising fears that innocents are being caught in the net
https://theconversation.com/gaza-war-israel-using-ai-to-identify-human-targets-raising-fears-that-innocents-are-being-caught-in-the-net-227422

Gaza war: Israel using  AI to identify human targets raising fears that innocents are being caught in the net

Revelations by an investigative journalist that Israel is using AI to identify and target suspected Hamas members have shone a light on a frightening new aspect of warfare.

theconversation.com


‘Lavender’: The AI machine directing Israel’s bombing spree in Gaza | +972 Magazine
https://www.972mag.com/lavender-ai-israeli-army-gaza/

‘Lavender’: The AI machine directing Israel’s bombing spree in Gaza

The Israeli army has marked tens of thousands of Gazans as suspects for assassination, using an AI targeting system with little human oversight and a permissive policy for casualties, +972 and Local Call reveal.

www.972mag.com


이스라엘 국방군은 하마스와 이슬람 성전(PIJ)의 군사부문에 소속된 용의자를 암살하기 위해 AI를 이용한 'Lavender'라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Lavender는 가자지구의 주민 230만 명을 감시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마스와 이슬람 성전의 전투원일 가능성을 1에서 100까지의 점수로 평가합니다. 또한 점수가 높은 개인을 자동으로 암살대상으로 지정하는데 Lavender는 37,000명의 팔레스타인을 암살대상으로 나열했습니다.

뉴스사이트인 +972 Magazine에 의하면 이스라엘 국방군은 'Where's Daddy?'라는 추적시스템을 Lavender와 조합해 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Lavender가 암살대상으로 한 사람을 Where's Daddy?에 등록하고 추적합니다. 그리고 대상자가 집에 들어간 것을 Where's Daddy?가 감지하면 담당 군관계자에게 통지를 하고 대상자의 집이 폭격대상으로 지정된다는 흐름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스라엘 국방군은 대상자와 그 가족을 폭격으로 암살할 수 있게 되었고 이 콤보는 '킬체인'이라고 불립니다.

by Mohammed Ibrahim / https://unsplash.com/photos/smoke-billows-from-a-factory-in-a-city-jrcvHflmKvg


폭격에 사용되는 것은 유도장치를 갖지 않는 비유도 폭탄으로, 스마트 폭탄과 대조적인 폭탄으로 'Dumb Bombs(바보 폭탄)'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972 Magazine에 따르면 이스라엘 국방군은 하급 전투원을 암살할 때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 이 Dumb Bombs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972 Magazine은 “이스라엘 국방군은 목표 전투원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인근 민간인에게도 피해가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도 이 폭탄을 사용했다”고 비판했습니다.

+972 Magazine의 익명의 정보제공자에 의하면 이스라엘 국방군은 하급 전투원 1명당 최대 15~20명의 민간인을 살해하는 것을 허가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 적 고위관계자의 경우는 민간인의 희생이 100명 이상에 이르는 것도 용인되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국제법에 위반이라고 +972 Magazine은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정보제공자에 따르면 이스라엘 국방군은 폭격대상의 가옥에 있는 민간인의 수를 자동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전쟁 전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가옥의 거주자 수를 추정하고 그 지역으로부터 어느 비율의 주민이 대피했는지를 고려하여 거주자 수를 추측한다고 합니다.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스라엘 국방군은 실제로 가옥을 감시하고 거주자의 수를 확인하지 않고 이 소프트웨어로 민간인의 피해를 추측했다는 것입니다.

by Emad El Byed / https://unsplash.com/photos/a-large-pile-of-rubble-next-to-a-dirt-road-FYBQe6hFtRA


그러나 정보제공자는 “이 모델은 현실과는 거리가 멀고 대피 전후에 가옥의 거주자 수가 크게 바뀌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Where's Daddy?가 암살대상자의 귀가를 감지하고 나서 실제로 폭격할 때까지 시간차가 있었다는 것. 이 시간차로 인해 대상자가 다시 외출해 버렸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자택을 폭격했고 가족만을 폭살해 버리는 일도 있었다고 정보제공자는 전했습니다.

게다가 과거의 전쟁에서는 고위관계자를 암살한 후에 군관계자가 전화를 가로채 민간인의 희생자수를 확인했지만 이번 전쟁에서는 하급 전투원에 대해서는 이 확인작업이 생략되었다고 합니다. 그 때문에 군은 폭격으로 실제로 몇 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인지 파악하고 있지 않고 하급 전투원에 대해서는 본인이 사망했는지도 확인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972 Magazine은 이스라엘 국방군이 AI를 이용해 효율을 중시하면서 가자지구에 사는 민간인을 학살했다고 비판하면서 전투원의  가족을 포함한 무차별 폭격은 분명 국제법을 무시한 인도에 반하는 행위라고 규탄했습니다. 학술 뉴스 미디어인 The Conversation은 “군사기술에서 속도와 살상력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를 우선하면 인간의 주체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인간의 인지시스템은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시스템의 논리에서는 이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컴퓨터가 생성한 결과에 대한 인간의 책임감도 없어집니다."라고 우려했습니다.

덧붙여 The Conversation에 의하면 이스라엘 국방군은 AI 시스템의 사용을 즉시 부정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lexander Shatov / https://unsplash.com/photos/red-and-white-square-illustration-niUkImZcSP8


YouTube가 2024년 4월 16일에 광고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춘 타사 앱에서 YouTube를 시청할 수 없게 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Enforcement on Third Party Apps - YouTube Community
https://support.google.com/youtube/thread/269521462

YouTube ad blocker crackdown: Third-party apps now under fire
https://bgr.com/tech/youtubes-ad-blocker-crackdown-expands-to-third-party-apps/

YouTube's ad blocker crackdown expands to third-party apps

YouTube's crackdown against ad blockers continues this month as the company takes on third-party apps that block ads.

bgr.com


YouTube는 2023년 광고차단을 끄거나 YouTube Premium에 가입하지 않으면 동영상을 볼 수 없게 하는 조치를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인기있는 콘텐츠 차단기 'Adblock Plus'가 YouTube에서 작동하지 않아 공식사이트에 문의가 쇄도하는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광고는 YouTube의 주요 수익원으로, 광고를 숨기는 것이 이용약관 위반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광고차단툴을 도입한 브라우저에서 YouTube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주요 대상이었지만 이번 조치로 광고차단 기능을 가진 타사 앱으로도 규제가 확대되었습니다.

광고차단기를 탑재한 타사 앱으로는 'Vanced'가 유명했지만 2022년에 개발이 중단되었으며, 그 배경에는 YouTube와의 법적 충돌을 피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YouTube는 "우리는 타사 앱이 당사의 API 서비스 이용약관을 준수하는 경우에만 당사의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며 광고를 숨기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앱개발자도 약관 위반이라는 견해를 다시 제시했습니다.

광고를 차단하는 브라우저 확장프로그램과 앱을 통한 시청이 규제됨에 따라 광고를 보지 않고 YouTube를 이용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은 유료 구독서비스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덧붙여 YouTube Premium은 2023년 7월의 가격 인상을 했고 같은 해 9월에는 해외에서 시험 운용되고 있던 최저 플랜인 'Premium Lite'가 폐기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소립자를 연구하는 소립자물리학에서는 입자를 가속시켜 대상에 맞추거나 서로 충돌시키는 가속기에 의한 실험이 중요하지만 차세대 가속기 개발에는 비용과 기간면에서 과제가 존재합니다. 그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소립자의 하나인 '뮤입자'를 고속으로 충돌시키는 'muon collider(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고 하며, 과학지 Science가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개발에서의 과제나 전망에 대해 정리하했습니다.

A muon collider could revolutionize particle physics—if it can be built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muon-collider-could-revolutionize-particle-physics-if-it-can-be-built

소립자 물리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가속기를 사용하여 고에너지 입자를 충돌시켜 현상과 입자를 관측해 왔습니다. 에너지와 질량은 등가이기 때문에 입자를 고에너지로 충돌시킴으로써 소립자의 3개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표준모형을 검증하거나 미지의 소립자나 물리현상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에서 존재하는 가속기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유럽원자핵연구기구(CERN)가 건설한 대형 하드론 충돌형 가속기(LHC)입니다. LHC는 양성자를 빔으로 정면 충돌시키는 가속기로 이론적으로 예언되고 있던 힉스입자의 발견에 공헌하는 등 크게 활약했습니다.

더욱 소립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에너지로 입자를 충돌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CERN은 더욱 대형이고 강력한 가속기의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장 27km의 원형 충돌형 가속기인 LHC에 비해 CERN은 전장 100km에 이르는 'Future Circular Collider(FCC:미래 원형 충돌형 가속기)'의 건설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International collaboration publishes concept design for a post-LHC future circular collider at CERN | CERN
https://home.cern/news/press-release/accelerators/international-collaboration-publishes-concept-design-post-lhc

International collaboration publishes concept design for a post-LHC future circular collider at CERN

Geneva. Today, the Future Circular Collider (FCC) collaboration submitted its Conceptual Design Report (CDR) for publication, a four-volume document that presents the different options for a large circular collider of the future. It showcases the great ph

home.cern


그러나 업그레이드한 FCC(FCC-hh)가 가동하는 시기는 2070~2080년이 될 가능성이 커 현재 연구를 하고 있는 소립자 물리학자의 대부분은 그 무렵에 은퇴 혹은 사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미국의 소립자 물리학자들은 양성자나 전자가 아니라 '뮤입자'라는 고에너지의 소립자를 반뮤입자와 충돌시키는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미국 정부의 과학 자문 위원회인 Particle Physics Project Prioritization Panel(5P: 소립자 물리학 프로젝트 우선 순위 패널)은 미국에서의 향후 10년 간의 연구 로드맵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서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연구개발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는 미국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캠퍼스 내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될 수 있으며, 유럽에 앞서 건설할 수 있다면 가속기 개발 경쟁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를 개발하는 이점은 기능적으로 동등한 양성자 충돌형 가속기보다 작고 저렴한 비용으로 FCC-hh보다 수십 년 빨리 완성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뮤입자는 전자의 207배의 질량을 가지며 가속 중에 방사하는 에너지가 훨씬 적기 때문에 원형 가속기의 반경이 불과 10km 정도에서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산에 따르면 FCC-hh의 구축에는 500억 달러의 비용이 드는데 성능이 필적하는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구축은 180억 달러로 실현할 수 있다고 보여지고 있다는 것.


또 복수의 소립자가 결합된 양성자와 달리 뮤입자는 소립자이기 때문에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는 힉스입자가 생성되기 쉽고 소립자물리학의 연구에서 중요한 힉스장의 연구에 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국립 핵물리학연구소의 연구자인 도나텔라 루케이지 씨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테네시대학의 소립자 물리학자인 토바 홈즈 씨는 FCC-hh가 완성될 무렵에는 확실히 은퇴했거나 죽기 때문에 25년 정도에 완성될 가능성이 있는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에 기대하고 있다는 것.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한편 실제로 뮤입자를 가속시켜 충돌시키는 기구를 실현할 수 있는지는 불투명합니다. 큰 과제 중 하나가 '양성자와 전자와 달리 뮤입자는 순식간에 붕괴된다'는 점입니다.

뮤입자는 놓아두면 2.2마이크로초만에 중성미자와 반중성미자로 붕괴해 버리기 때문에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는 한순간에 뮤입자의 생성부터 가속, 그리고 충돌까지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페르미연구소의 소립자 물리학자인 세르고 진 달리아니 씨는 “뮤입자는 불안정하므로 가속의 모든 단계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빨라야 된다”고 보았습니다.

현시점에서는 뮤입자 충돌형 가속기의 개발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소립자 물리학자들은 기초적인 연구개발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의 치아는 살아 있는 동안 한 번밖에 나지 않고 한번 손실해 버리면 되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충치를 예방하려면 세심하게 치아를 닦는 작업이 필요한데 최근 충치를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고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는 뉴스 레터 Cremieux Recueil이 전했습니다.

The Rise and Impending Fall of the Dental Cavity
https://www.cremieux.xyz/p/the-rise-and-impending-fall-of-the

The Rise and Impending Fall of the Dental Cavity

Another of history's great killers is on the chopping block

www.cremieux.xyz


충치는 감염이며 주로 어머니에서 아이에게 전염된다고 합니다. 충치의 주요 원인균인 뮤탄스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mutans)은 탄수화물을 선호하고 대사산물로서 젖산을 생성합니다. 이 젖산이 치아의 법랑질을 탈회하여 충치를 일으킵니다.

충치의 오래된 기록으로는 5,400만 년 전 원시 영장류의 화석에서 충치가 발견되었습니다. 발견된 충치의 비율은 7.5%로 과일의 소비량이 많은 연령대에서 충치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한편 공룡의 치아에는 충치의 흔적이 없었는데 이는 과일이 별로 섭취되지 않았고 내산성인 불화 아파타이트가 에나멜질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인류사에서는 고대부터 충치의 치료가 행해져 온 것이 치아의 굴삭 흔적과 미라의 충전물로부터 밝혀지고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치과 의료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충치가 증가한 것은 18세기경으로 곡물이나 설탕의 섭취가 늘어난 농업혁명 이후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고학적 데이터에 따르면 농업으로의 이행에 의해 많은 집단에서 건강상태가 악화되어 충치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유전학적 연구에서도 농업의 시작과 뮤탄스 연쇄상구균의 증가 시기가 일치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산업혁명 이후가 되면 설탕의 섭취가 더욱 증가하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충치는 인류에게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플로리다대학 치학부에서 구강생물학을 연구하는 제프리 힐만 교수는 1970년대부터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뮤탄스 연쇄상구균을 연구해 왔습니다. 힐만 교수 연구팀은 1980년대 초에 뮤탄스 연쇄상구균의 변이주로부터 타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뮤타신'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균주와 젖산을 생산하지 않는 균의 분리에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2000년 힐만 교수 연구팀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뮤타신 생산능이 높고 젖산을 생산하지 않는 'BCS3-L1'주 제작에 성공했습니다. 이 BCS3-L1은 무균 쥐와 인간의 실험에서 높은 충치 예방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되었습니다.

BCS3-L1은 이미 'Lumina'와 'SMaRT'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되었습니다. Lumina는 치아를 전용 치약으로 확실히 닦은 후 면봉으로 BCS3-L1주를 도포해 30분 정도 음식을 삼가는 것만으로 효과를 발휘합니다. BCS3-L1이 구강 내에 정착해 충치를 일으키는 뮤탄스 연쇄성구균과 교체되면서 높은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BCS3-L1은 30년 이상의 기초 연구를 거쳐 개발되어 왔습니다. 뮤타신 생산능력과 젖산생산 결손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겸비해 충치예방에 이상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BCS3-L1이 보급됨에 따라 인류는 충치라는 숙적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Cremieux Recueil은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1. 태양의 움직임

북반구의 한국에서는 태양이 동쪽 하늘에서 나와 남쪽 하늘로 떠오르고 서쪽 하늘로 가라앉는 반면 남반구 호주에서는 동쪽 하늘에서 나와 북쪽 하늘로 올라가 서쪽 하늘로 가라앉는다.

2. 별의 움직임 

호주는 남반구에 있기 때문에 별도 태양과 같이 한국과는 다른 움직임을 한다.

3. 달의 움직임

태양이나 별과 같이 달도 한국과는 다른 움직임을 한다. 북반구의 한국에서는 달이 동쪽 하늘에서 떠오르고 남쪽 하늘을 통해 서쪽 하늘로 가라앉는 반면 남반구 호주에서는 동쪽 하늘에서 북쪽 하늘로 올라가 서쪽 하늘로 가라앉는다.

초승달, 반월, 보름달이라는 달의 변화는 한국과 같지만 보이는 방법이 조금 다르다. 한국과는 상하좌우가 반대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4. 남반구의 대표적인 별

(1) 남십자성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남반구의 별자리이다. 이것을 하나의 밝은 별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정확하게는 남십자성이라는 별자리로, 거기서 특히 밝은 4개의 별을 크로스시켜 묶으면 십자가형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전천 중 가장 작은 별자리이지만 모양의 정리가 좋고 한눈에 바로 찾을 수 있다. 관찰하기 쉬운 것은 가을 무렵이며 머리 위 근처를 올려다보면 밝은 곳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남십자성 근처에는 이보다 조금 큰 닮은 십자형 'False Cross'라는 별이 있다. 남십자성 옆에는 켄타우루스자리의 α별과 β별이라는 밝은 별이 빛나고 이 두 밝은 별의 간격을 2배 정도 늘리면 남십자성을 찾을 수 있다. 덧붙여 남십자성의 기울기는 하늘의 남극을 중심으로 1일 1회전하고 있으므로 시각에 따라 그 위치가 바뀐다.

(2) 천구남극
북반구의 경우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발견하면 정확한 북쪽 방각을 알 수 있지만 천구남극에는 북극성에 상당하는 남극성이 없다.

이에 진남의 방각을 알고 싶을 때에는 남십자성의 긴 쪽의 한변을 4.5배 연장하면 그 주변이 천구남극이 된다.

(3) 마젤란 성운
밤하늘이 깨끗한 교외에서 남쪽의 하늘을 올려다보면 크고 작은 두 개의 구름이 찢어진 듯한 것이 보인다.

Magellanic Clouds ― Irregular Dwarf Galaxies.jpg /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Magellanic_Clouds_%E2%80%95_Irregular_Dwarf_Galaxies.jpg#mw-jump-to-license


이것은 구름이 아니고 대마젤란 성운과 소마젤란 성운이라는 천체로, 우리의 은하계와 같은 별의 대집단이다. 거리는 각각 지구로부터 15만 광년, 17만 광년의 거리에 있고 세계일주의 도중에 마젤란이 발견한 것으로부터 이 이름이 붙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생후 수년간의 장내세균총의 흐트러짐이 자폐증이나 ADHD 등의 신경발달장애(ND)의 진단과 관련되어 있다고 린쇼핑대학과 플로리다대학의 연구팀이 1만 6000명 이상의 아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Infant microbes and metabolites point to childhoo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Cell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4)00238-1

Autism and ADHD are linked to disturbed gut flora very early in life
https://medicalxpress.com/news/2024-04-autism-adhd-linked-disturbed-gut.html

Autism and ADHD are linked to disturbed gut flora very early in life

Disturbed gut flora during the first years of life is associated with diagnoses such as autism and ADHD later in life. This is according to a study led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and Linköping University and published in the journal Cell.

medicalxpress.com


스웨덴에 거주한 1만 6440명을 출생시부터 20대까지 추적조사했으며 그 중 7.3%에 해당하는 1197명이 ND로 진단되었다고 합니다.

아이의 성장과정에서 여러 번 실시된 조사에서 다수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환경요인을 특정하고 일부 아이에 대해서는 제대혈의 성분과 1세 유아의 변의 세균이 분석되었습니다.


연구팀을 주도한 린쇼핑대학의 조니 루드빅슨 교수는 “자폐증이나 ADHD를 발병하는 아이와 발병하지 않는 아이들 사이에서 생후 1년째의 장내세균총에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연구에서 알 수 있습니다. 1세까지 항생제 치료를 포함한 장내세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과 이러한 질병의 위험 증가와의 관련성을 발견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생후 1년째 중이염을 반복한 아이는 그 후에 발달장애로 진단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항생물질 치료에 의해 장내세균총의 조성이 흐트러져 Citrobacter속이나 Coprococcus속 등의 상재균이 상실된 것이 ND의 발병에 기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장내세균총이 항생제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고 1형 당뇨병이나 소아 류마티스 등의 면역계와 관련된 질환의 리스크를 높일 가능성은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도 지적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by Public Health Image Library /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Coprococcus_eutactus00.jpg


플로리다대학의 연구원으로 논문의 필두저자인 안젤리카 아렌즈 씨는 “Coprococcus속이나 Akkermansia muciniphila는 비타민 B나 뇌에서 신호전달을 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 전구체 등 대변의 중요한 물질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발달장애의 진단을 받은 아이들에게서 이러한 박테리아의 결핍을 발견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연구자들은 아이의 제대혈 중에 포함되는 지방산이나 아미노산 등의 체내 대사물질의 양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나중에 ND로 진단받은 아이들은 제대혈 중에 일부 지방산의 양이 적었던 것이 판명. 그 중 하나인 리놀렌산 은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뇌에서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갖는 오메가 3 지방산의 생성에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게다가 ND로 진단된 아이들의 그룹은 대조군보다 유기 불소화합물(PFAS)의 혈중량이 많았다고 합니다. PFAS는 매우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영원한 화학물질"이라고도 불리는 물질로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 PFAS가 ND 발병위험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출처: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Perfluorooctanesulfonic-acid-3D-balls.png


연구팀은 이번 스웨덴 어린이들에게 보여진 관련성이 다른 집단으로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 장내세균총의 불균형이 ND 발병을 일으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장내세균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고려해도 많은 세균에 대해 장래의 ND 진단과의 관련성이 보였다며 장내세균이 향후 ND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가 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잊어버리거나 실종된 기기를 찾는 Android의 기능 '디바이스 찾기'가 쇄신되었습니다. 새로운 '디바이스 찾기'에는 5개의 이용방법이 있어서 Pixel 8이나 Pixel 8 Pro의 경우는 반응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발견 가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5 ways to use Android's new Find My Device
https://blog.google/products/android/android-find-my-device/

5 ways to use the new Find My Device on Android

We’re sharing a few ways to use the new Find My Device experience on Android.

blog.google


Google Online Security Blog: How we built the new Find My Device network with user security and privacy in mind
https://security.googleblog.com/2024/04/find-my-device-network-security-privacy-protections.html

How we built the new Find My Device network with user security and privacy in mind

Posted by Dave Kleidermacher, VP Engineering, Android Security and Privacy Keeping people safe and their data secure and private is a t...

security.googleblog.com


◆1:오프라인 기기를 찾기
기능에 대응하고 있는 Android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라면 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벨소리를 울리거나 지도상에 장소를 표시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Pixel 8과 Pixel 8 Pro라면 디바이스의 전원이 꺼지거나 배터리가 바닥이 되는 등으로 응답 불가능한 상태에 있어도 발견할 수 있다는 것.

◆2:Bluetooth 태그로 일용품을 추적
Google I/O 2023에서 발표되고 있던 대로 Chipolo와 Pebblebee의 Bluetooth 태그를 장착한 일용품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기능은 2024년 5월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2024년 후반부터는 eufy, Jio, Motorola 등의 Bluetooth 태그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덧붙여 '알 수 없는 트래커 검출 경고'와의 호환성도 있어서 유저를 보호해 줍니다.

◆3:근처의 아이템을 검색한다
잃어버렸다고 생각한 것이 의외로 가까이에 있는 일도 자주 있습니다. 멀리까지 추적하지 않아도 괜찮다면 '주변을 찾기' 버튼이 표시됩니다.


목표로 하는 장치에 접근했는지 알기 쉽게 표시하고 기기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Nest를 이용해 유실물의 장소를 핀포인트 표시
열쇠나 지갑은 집안의 어딘가에 있을 텐데 정확한 위치를 모른다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집안에서 Nest의 스마트 가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가전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장소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되었는지 핀포인트 정보가 표시되어 찾는 것을 도와줍니다.


◆5:정보를 가족이나 친구와 공유
앱 내의 디바이스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가족과 정보를 공유해 신속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이 기능들은 우선 미국과 캐나다에서 제공되며 이후 제공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4년 4월 9일, 미국 남부에서 동부에 걸쳐 달에 의해 태양 전체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천문현상인 개기일식이 관측되었습니다. 해외 언론인 Science Alert가 이 개기일식 중에는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다루었습니다.

Three Things You Must Not Do This Total Solar Eclipse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three-things-you-must-not-do-this-total-solar-eclipse

Three Things You Must Not Do This Total Solar Eclipse

Whether you're a medieval soothsayer, a professional astronomer, or just need a good reason to step away from that spreadsheet, nobody can blame you for disappearing for a few hours to marvel at the coincidence of our Moon occluding the Sun so perfectly.

www.sciencealert.com


◆맨눈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눈 안쪽을 덮는 감광성 세포는 눈동자에 비친 풍경으로부터의 빛을 수렴시키는 렌즈와 동공에 의해 빛에너지를 시각으로서 해석하기 위한 신경신호로 변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강한 빛을 받으면 이러한 세포의 작용이 흐트러집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의 눈은 강한 빛을 받아 흐트러져도 빨리 회복되지만 태양광이나 레이저 광선, 돋보기로 증폭시킨 빛 등을 직접 보면 신경조직이 열로 파괴되어 버립니다. 이러한 손상된 신경조직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으므로 수술과 같은 인위적인 수단으로 회복시켜야 합니다.

그 때문에 Science Alert는 일식을 관측할 때에는 일식안경 등을 이용해 보는 것을 권했습니다.


◆일식 중에 운전해서는 안 된다
토론토 대학의 도널드 레델마이어 씨와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존 스테이플스 씨 등의 연구팀은 2017년 8월에 일어난 개기일식 중의 교통사고 사망비율 통계를 조사했습니다. 조사결과 일식 전후에서 사망사고가 약 30%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고 연구팀은 “절대치로 평균하면 25분마다 1건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95분마다 1명이 사고로 사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Science Alert는 사고 증가의 요인에 대해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절호의 장소를 찾다 고속도로의 주행 시에 주의가 산만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직접 관측하고 싶은 경우 빨리 절호의 포지션을 방문하거나 안전한 실내에서 라이브 스트림에서 관측하는 것을 권했습니다.

◆독자적인 과학신화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일식의 순간이 우주나 지구의 구조에 대해 보다 깊은 레벨로 배울 절호의 기회인 것에 의심의 여지는 없습니다. 실제로 일식 중에 구름이 소멸한다는 것이 발견된 것 외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일식에 의해 하늘이 어두워지고 별빛이 보이게 되었을 때 실증되었습니다.

한편 19세기 일식 중에 육안으로 보이는 '코로나'는 'Coronium'이라는 새로운 원소가 만들어 낸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후속조사를 통해 코로나는 수소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분해된 플라즈마인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또 독일의 수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1605년 “일식 때 달을 둘러싸는 것처럼 보이는 코로나의 빛은 태양광이 달의 대기에 굴절한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그러나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이 가설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이 전례에 따라 Science Alert는 “일식과 같은 특이한 천문현상을 보았을 때는 반드시 자신의 조사결과나 계산결과를 다시 확인해 보라”고 조언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재해나 이상기상 등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는 2000년 이후 꿀벌의 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었는데 미국 국가농업통계국(NASS)에 의한 조사에서는 최근 꿀벌의 수가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Wait, does America suddenly have a record number of bee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4/03/29/bees-boom-colony-collapse/

미국에서는 2000년 이후 병이나 기생충, 농약, 재해, 이상기상 등의 영향을 받아 꿀벌의 콜로니 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으며 2020년 겨울에는 꿀벌의 연간 손실률이 비영리 단체 'Bee Informed Partnership'에 의한 2010년 조사 개시 이래 최고인 37.7%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NASS에 의한 조사에서는 2007년 이후 꿀벌은 미국 내에서 가장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가축으로, 그 수는 2007년부터 2022년에 걸쳐 31% 증가했고 380만 개의 콜로니가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The Washington Post가 NAS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7년 이후의 가축의 증감비율을 그래프화한 것을 살펴보면 바가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것은 감소 경향에 있는 가축, 바가 파랗게 표시되어 있는 것은 증가하고 있는 가축으로 닭이나 오리도 증가하고 있지만 꿀벌의 증가율은 압도적입니다.


NASS에 의한 조사에서는 꿀벌의 콜로니가 급속한 증가 추세에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미 농무부(USDA)의 꿀벌 연례 보고서에서는 실제로 꿀벌의 콜로니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The Washington Post가 NASS의 조사결과와 USDA의 보고서를 1장으로 정리한 그래프를 살펴보면 NASS의 데이터가 진한 갈색, USDA의 데이터가 옅은 노란색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NASS의 수치는 꿀벌의 콜로니 수가 2002년 이후 증가해 2017년에 일단 저조했지만 2022년에 과거 최고 수준으로 증가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한편 USDA의 수치는 2017년 이후 감소 경향에 있습니다.


이 요인에 대해 농무부의 이코노미스트인 스탠 다버커 씨는 “NASS의 조사는 1000달러(약 150만 원) 이상의 농산물을 판매하는 국내의 모든 농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USDA의 보고서는 5개 이상의 벌통을 가진 대규모 양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버커 씨에 의하면 NASS에 의한 1000달러라는 정의는 조사가 시작된 1975년 이후 변경되지 않았고 최근의 인플레이션에 의해 꿀의 가격이나 수분료 등이 증가함에 따라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작은 농장도 점차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소규모 양봉가는 텍사스주 등의 주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텍사스주에서는 2012년 이후 5에이커(약 2만 평방미터)에서 20에이커(약 8만 평방미터)의 토지에서 꿀벌을 5년간 사육하면 농업세제 우대조치의 대상이 되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텍사스주에서는 양봉가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2012년부터 2022년에 걸쳐 그 수는 4배 이상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인위적인 수분이 필요한 농작물에도 좋은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에서는 꿀벌의 증가에 의해 아몬드의 수확량이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아래의 그래프에서는 2007년 이후 짙은 색으로 표시된 아몬드의 재배면적이 우상향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에 Bee Informed Partnership의 조사에서는 2022년부터 2023년 4월까지 1년간 조사대상이 된 양봉가는 꿀벌 콜로니의 절반을 잃고 조사 개시 이후 과거 두 번째로 높은 손실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빈번한 교체나 여왕벌의 교체, 철저한 병원균에 대한 대처 등의 관리를 실시해 이러한 손실에 대항하고 있다는 것.

빙엄턴대학의 곤충학자 이라이자 그라메스 씨는 “양봉가에 의한 꿀벌의 관리는 나비나 나방 등의 꽃가루 매개자인 재래종에게 좋은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라메스 씨에 따르면 길들여진 꿀벌은 미국에 사는 4000종의 꽃가루를 매개하는 재래종에게 위협이 되고 40%가 멸종 직전이라고 합니다.

곤충보호단체인 Xerces에서 꽃가루 매개자와 농업의 생물다양성을 설교하는 메이스 본 씨는 “꿀벌과 양봉가 모두를 지원하면서 재래종을 구하는 방법은 농장과 정원에 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서식지를 만드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모공 레이저 치료

의학 2024. 4. 5. 14:04


커진 모공의 치료는 주로 다이아몬드 필링이나 포토계의 광치료(스타 럭스)를 실시합니다.

일상생활에 영향 없이 딱지 등이 생기지 않고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1주일 정도의 각오가 필요합니다.

카본 오일을 사용하여 롱 펄스 레이저로 모공을 주로 태워버리는 방법을 G 카본 필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Q스위치 YAG 레이저에 의한 카본 필링(레이저 필링)과 비교해 매우 열작용이 강하고 모공을 제대로 태워 긴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모공의 막힘을 제거하는 것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그다지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지만 초음파 세정을 병용하고 다이아몬드 필링으로 막힘을 흡인한 직후에 시술하여 꽤 확고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액상의 카본 오일을 모공에 확실히 바르고 카본에 강하게 반응하는 레이저를 조사하며 피부 표면은 냉각 가스로 확실히 보호하면서 조사합니다. 그러면 탄소는 고온이 되어 주위 조직, 즉 모공 속을 태웁니다. 그 열에 의한 수축을 이용하여 모공 자체를 크게 줄여 버립니다. 물론 레이저의 조사되는 시간은 매우 짧고, 모공 속의 피부 표면만이 파괴될 뿐이며, 또한 강력한 냉각 보호 작용에 의해 모공 이외의 피부 표면은 딱 강한 햇볕에 의해 피부가 벗겨지는 것 같은 상태에 머무릅니다. 벌써 4년 정도 이 방법을 실시하면서 안전면에 관해서 실증했습니다.

레이저라고 하는 기기의 특질을 이용해 목표한 표적인 모공만을 제대로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해 현재 행해지고 있는 방법 중 최선이라고 확신합니다.

또 다른 장점은 한 번이라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더 좋은 효과를 목표로 하는 경우는 여러 차례가 필요하고 코와 같은 단단한 부위에서는 반복치료(5~6회)가 필요하지만 뺨과 같은 부드러운 부위에서는 대개 한 번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덧붙여 노화에 의한 늘어진 모공의 경우는 처짐 그 자체는 개선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효과는 뒤떨어지지만 변화는 생깁니다.

▣ 모공 치료 절차
우선 필링이나 세정으로 모공 속의 피지 등을 확실히 제거한 후에 바르는 마취제를 사용하여 표면 마취를 하고 1시간 경과한 후 카본 오일을 도포합니다. 피부 표면에 여분을 도포 후 제대로 닦아서 다시 모공에 다시 채웁니다. 그 위에 장 펄스 레이저를 조사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毛穴治療
https://www.toracli.com/keanalaser.html

Posted by 말총머리
,
by Beth Scupham / https://www.flickr.com/photos/bethscupham/7663247816/


풍부한 지식과 아이디어를 가진 뛰어난 과학자라도 기술적인 이유 등으로 미발견이나 미해결의 수수께끼는 많이 남아 있습니다. 영국의 주요 신문사인 The Guardian이 각 분야에서 최전선을 달리는 톱 과학자 9명에게 “우리 지구상의 생명에 대해 남겨진 가장 큰 비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Great unknowns: nine top scientists on the one mystery on Earth they’d like to solve | Global development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23/dec/26/great-unknowns-nine-top-scientists-on-the-one-mystery-on-earth-theyd-like-to-solve

Great unknowns: nine top scientists on the one mystery on Earth they’d like to solve

What are the greatest secrets that remain about life on our planet – and how might they affect our future? We asked the experts to pick one burning question

www.theguardian.com


세계 최대 규모의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연구자였으며 2019년 유엔의 Global Assessment Report(방재에 관한 국제평가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앤디 퍼비스 씨는 “지구상에는 몇 종류의 종이 있는가?"를 최대의 수수께끼로 꼽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우리는 300만에서 1억 종이 있다고 추정했지만 정확한 예측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코넬대학에서 개미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진화생물학자 콜리 모로 씨는 5억 4000만 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여겨지는 '생물학적 빅뱅'을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캄브리아기로 구분되는 그 시대에는 단기간에 대부분의 식물그룹이 급속히 대두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왜 다양한 동물그룹이 태어났는지 그리고 삼엽충과 같은 생물이 왜 살아남지 못했는지 알고 싶다고 합니다.


영국의 런던스쿨 오브 이코노믹스(LSE)에서 기후변화와 환경을 연구하는 수석강사인 보니 웨어링 씨는 최소한의 생명체인 미생물이 규모가 큰 기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식물을 잘 키우는 건강한 토양에는 박테리아와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미생물의 대부분은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없기 때문에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 없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특정 미생물은 나무의 성장을 크게 도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웨어링 씨는 “이러한 '선량한 미생물'은 기후변화와 싸우고 식량안보를 촉진하는데 인류의 아군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영국의 왕립 식물원인 큐가든의 과학부장인 알렉산드르 안토넬리 씨는 아마존이나 콩고 분지 등으로 대표되는 열대우림에는 왜 고도의 생물다양성이 있는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1만 평방미터 정도의 지역에 얼마나 다양한 생물이 있는지, 그 생물은 언제 어디서 왔는지, 어떤 관계나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알면 그 가치를 명확히 하여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다 깊이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옥스포드대학의 생태계 과학교수인 야드빈더 마르히 씨는 Guardian의 질문에 대해 "수분이나 씨앗 살포 등 동물이 생태계에 종사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영양소의 순환, 식물의 선택적 섭취, 포식자와 피식자의 복잡한 네트워크 등 작지만 놀라울 정도로 중요한 상호작용이 많은데 그 연구는 잘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마르히 씨에 의하면 동물이 지구라는 행성의 메커니즘을 어느 정도 형성하는 것인지가 큰 수수께끼라고 합니다.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기후학자 ​​중 한 명인 로버트 왓슨 씨는 “현시점에서 알아야 할 불확실한 일이 있다면 북대서양의 아열대 순환의 서쪽 끝에 형성되는 멕시코 만류가 갑자기 멈추어 유럽의 기후를 완전히 바꾸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여부"라고 말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코르도바 국립대학의 생태학 교수인 산드라 마나 디아스 씨는 식물과 동물의 진화에 보편적인 규칙이 있는지를 중요한 수수께끼로 꼽습니다. 완전히 다른 조상을 가진 생물도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일반적인 스타일을 따릅니다. 그 스타일을 지배하는 가장 흔하고 단순한 규칙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 규칙이 되는지는 깊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우간다 최초의 야생동물 수의사이자 자연보호의 선구자가 된 그래디스 칼레마 지쿠소카 씨는 “지구는 몇 명의 인간을 먹일 수 있는가?”라는 주제를 꼽았습니다. 세계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0년 후에는 10억 명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늘어난 인구는 식량을 찾아 자연이나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기후변화나 판데믹의 발생 등으로 이어지거나 지구환경을 지속 불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균형을 잡고 자연과 조화롭게 살 수 있다면 지구는 몇 명까지 인간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알고 싶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영국 정부의 전 수석 과학고문이자 자연사박물관 이사회의 이사장으로 근무하는 패트릭 밸런스 씨는 종의 적응의 한계에 주목했습니다. 기후가 변화하고 생물종이 거기에 적응하는 가운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하는 종도 나타납니다. 어떤 종이 ​​어느 시점에서 적응할 수 없게 되는지, 무엇이 적응의 한계를 좌우하는지 등 기본적인 의문에는 규명되지 않은 점도 많이 있습니다. 밸런스 씨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미래의 자연계의 모습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생물학이 어떻게 작동하고 진화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향후 실용화를 위해 개발이 진행되는 양자컴퓨터는 현시점에서 양자비트의 초기상태 설정에서 출력의 읽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서 할 수 있는 것이 크게 제한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와 양자컴퓨팅 기업인 Quantinuum은 “전통적인 물리 양자비트로부터 오류 발생을 800배 억제하는 전례 없는 수준의 신뢰성을 가진 양자컴퓨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How Microsoft and Quantinuum achieved reliable quantum computing - Microsoft Azure Quantum Blog
https://cloudblogs.microsoft.com/quantum/2024/04/03/how-microsoft-and-quantinuum-achieved-reliable-quantum-computing/

How Microsoft and Quantinuum achieved reliable quantum computing - Microsoft Azure Quantum Blog

Today, Microsoft is announcing a critical breakthrough that advances the field of quantum computing. Learn more.

cloudblogs.microsoft.com


Microsoft and Quantinuum say they’ve ushered in the next era of quantum computing | TechCrunch
https://techcrunch.com/2024/04/03/microsoft-and-quantinuum-say-theyve-ushered-in-the-next-era-of-quantum-computing/

Microsoft and Quantinuum say they've ushered in the next era of quantum computing | TechCrunch

Microsoft and Quantinuum today announced a major breakthrough in quantum error correction. Using Quantinuum's ion-trap hardware and Microsoft's new

techcrunch.com


양자컴퓨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양자비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그러나 물리양자비트는 노이즈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기존의 양자컴퓨터에서는 유용성과 실용성이 크게 제한됩니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고급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물리양자비트를 '논리양자비트'라는 신뢰할 수 있는 가상 양자비트에 결합해야 했습니다.

논리양자비트를 활성화하면 물리양자비트 수를 늘려 더 길고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마이크로소프트의 양자비트 가상화 시스템과 Quantinuum의 'H2 이온 트랩 양자비트 프로세서'를 독자적인 양자 하전 결합 디바이스 아키텍처와 조합함으로써 30개의 물리양자비트를 4개의 신뢰성이 높은 논리양자비트에 결합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여러 물리양자비트를 하나의 논리양자비트로 결합하면 시스템을 오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Micorosoft에 의하면 이번 논리양자비트에서는 1만 4000개의 독립한 인스턴스를 1개의 에러 없이 실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러한 논리양자비트는 100,000회의 실행에 대해 1회밖에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에러율이 물리양자비트만을 사용한 기존의 것보다 800분의 1로 억제되었다고 합니다. Quantinuum의 제니퍼 스트라블리 씨에 의하면 이 물리양자비트의 에러발생을 800배 억제했다는 이번 성과는 지금까지에서 가장 낮은 에러율이라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결과에 대해 "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활성화하고 음악을 들으면서 환경 노이즈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양자비트 가상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과 비슷하다"며 "에러율의 개선은 고품질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으로 실현되는 고요함과 유사한 것”이라고 비유했습니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논리양자비트는 어디까지나 개발단계"라며 "기존의 양자컴퓨터를 추월하기 위해서는 개별 회로오류를 수정하고 적어도 두 개의 논리양자비트 사이에 양자얽힘을 생성하는 기능과 마찬가지로 논리양자비트와 물리양자비트 간의 오류율의 간격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이번 성과는 신뢰성 높은 양자컴퓨팅으로 과학적 및 상업적 진보를 실현하기 위한 매우 흥미로운 이정표가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Quantinnum의 창업자 겸 최고제품책임자인 이리야스 칸 씨는 “이번 결과는 역사적인 성과이며 Microsoft와의 협업이 얼마나 양자 생태계의 한계를 계속 확대하고 있는지를 훌륭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양자컴퓨터와 완벽하게 통합된 접근방식과 연계된 Microsoft의 최첨단 오류정정 능력을 통해 양자 애플리케이션이 더욱 진화할 가능성에 대해 매우 기대하고 있습니다. 양자 프로세서로 전환함에 따라 고객과 파트너가 Quantinnum 솔루션에서 많은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위치한 예멘에서는 정권 측과 후티 반군이라는 반정부 무장세력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무장세력은 아프리카 북동부와 아라비아 반도 사이에 끼인 홍해를 통과하는 선박에 대한 공격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말에 발생한 홍해 해저케이블 절단 사고가 예멘의 반정부 무장세력의 공격을 받아 버려진 화물선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What Caused the Red Sea Submarine Cable Cuts? | Kentik Blog
https://www.kentik.com/blog/what-caused-the-red-sea-submarine-cable-cuts/

What Caused the Red Sea Submarine Cable Cuts?

In the latest collision between geopolitics and the physical Internet, three major submarine cables in the Red Sea were cut last month likely as a result of attacks by Houthi militants in Yemen on passing merchant vessels. In this post, we review the situa

www.kentik.com


A Ghost Ship’s Doomed Journey Through the Gate of Tears | WIRED
https://www.wired.com/story/houthi-internet-cables-ship-anchor-path/

A Ghost Ship’s Doomed Journey Through the Gate of Tears

Millions lost internet service after three cables in the Red Sea were damaged. Houthi rebels deny targeting the cables, but their missile attack on a cargo ship, left adrift for months, is likely to blame.

www.wired.com


2024년 2월 24일, 홍해의 바브 엘 만데브 해협에 부설된 Seacom/TGN-EA·EIG·AAE-1이라는 3개의 해저케이블이 절단되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EIG의 케이블은 2023년 12월에 절단된 시점에 다운되었기 때문에 인터넷 통신에 대한 운용상의 영향은 최소한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Seacom과 AAE-1의 절단에 의한 영향은 명확하게 확인되었고 협정 세계시(UTC)의 2월 24일 9시 46분경에 Seacom의 케이블이, 같은 날 9시 51분경에 AAE -1의 케이블이 절단된 것으로 보입니다. Seacom의 케이블 절단으로 인한 혼란은 주로 동아프리카에서 발생했으며 AAE-1의 케이블 절단은 동아프리카에서 홍해 해안, 아시아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음은 동아프리카의 탄자니아에 있는 학술기관 King Abdul Aziz City for Science & Technology의 트래픽을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것입니다. Seacom의 케이블이 끊어진 UTC의 9시 46분경에 라우팅 프로토콜인 BGP가 중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AAE-1의 케이블이 절단된 UTC의 9시 51분경에는 베트남의 대형 통신그룹인 VNPT의 BGP가 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아시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 케이블 절단의 원인이 된 것은 예멘의 무장세력의 선박에 대한 공격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2월 18일의 밤, 벨리즈 선적의 영국 소유의 화물선인 MV Rubymar 호는 비료를 운반해 홍해를 항행하던 중에 무장세력에 의한 대함 탄도 미사일의 공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승무원은 닻을 내리고 길이 171미터 폭 27미터에 이르는 MV Rubymar 호를 포기했으며 그 후 2주간 해류와 바람에 따라 계속 이동했습니다.

최종적으로 MV Rubymar 호는 3월 2일에 침몰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공격을 받고 침몰할 때까지의 표류 중에 닻이 해저케이블을 절단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선박으로 인한 해저케이블 손상은 지진이나 산사태와 함께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예멘 정부는 향후 몇 주 안에 수리 계획을 승인할 가능성이 높지만 3개 케이블의 모든 수리가 시작되는 시기는 4월 하순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네트워크 감시 기업인 켄틱은 홍해에서는 여전히 무장세력에 의한 선박 공격이 계속되고 있어서 또다시 해저케이블이 절단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4년 4월 시점에서 2억 480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세계 제일의 인기 유튜버 MrBeast 외에도 많은 영상제작자가 '리텐션 편집'이라는 편집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사용한 동영상의 인기는 버블상태이며 모방자가 매우 많아지면서 끝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MrBeast calls for slowing down video editing style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technology/2024/03/30/video-editing-mrbeast-retention/

리텐션 편집은 대음량의 효과음이나 고속 컷 전환, 점멸하는 이펙트, 일시정지 없음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뀌는지는 아래의 비교 동영상에서 알기 쉽게 보여줍니다.

Before/After Short Form Editing
https://www.instagram.com/reel/C4dkyBoPICS

시러큐스 대학에서 소셜미디어와 디지털 마케팅을 가르치는 닉 시세로 씨는 The Washington Post와의 인터뷰에서 리텐션 편집은 동영상 크리에이터들 사이에서 주요 포맷이 되었고 이른바 '리텐션 편집 시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경향은 동영상 편집이나 수익화에 관한 컨설팅 회사의 공동창업자인 노아 케틀 씨도 동의하며 'YouTube의 Beastification(MrBeast화)'라고 표현했습니다.

동영상 편집자인 다라 페셰바 씨에 의하면 리텐션 편집의 동영상은 모두 짧은 컷의 연결로 구성되어 있고 1개의 컷은 2초 이하로, 1.3초부터 1.5초마다 새로운 그래픽을 등장시키거나 화면 내의 무언가를 움직이게 하는 편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그 이유는 'Z세대는 TikTok에 익숙해져서 처음 0.5초 이내에 흥미를 끌지 못하면 보지 않는다'며 TikTok이 사용자를 '훈련'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SNS와 디지털 에이전시에서 브랜드 책임자를 맡고 있는 데이비드 맥나미 씨도 워싱턴 포스트의 취재에 대해서 리텐션 편집의 중독성을 인정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MrBeast와 같은 형식의 동영상을 만들도록 조언한 적도 있다는 것.

그러나 리텐션 편집 시대는 끝을 맞이하고 있는 것은 MrBeast 자신도 느끼는지 2024년 3월 3일 “지난 1년, 나는 동영상을 천천히 하고 스토리성을 중시했으며 고성을 줄이고 보다 개성적이고 길게 만들었다"고 트윗했습니다.


MrBeast가 과거에 올린 동영상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것은 2021년 11월에 업로드된 '오징어게임을 현실세계에서 재현해 보았다!'로 5억 9400만 회의 시청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영상은 25분 분량인데 몇 초 단위로 세세하게 컷을 바꾸고 줌 인과 줌 아웃을 활용해 1개의 컷이 1분 이상 계속되지 않습니다.

$456,000 Squid Game In Real Life!
https://m.youtube.com/watch?v=0e3GPea1Tyg


한편 MrBeast가 새로운 스타일의 예로 꼽은 ‘폐허가 된 거리에서 7일간 살아남았다’는 이전보다는 1개의 컷이 길어지고 화면 중 점멸 요소 등이 줄어들었습니다.

I Survived 7 Days In An Abandoned City
https://www.youtube.com/watch?v=tWYsfOSY9vY


전문가들은 리텐션 편집 시대를 만든 MrBeast가 스스로 편집의 방침을 전환하면서 다른 크리에이터도 추종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케틀 씨에 의하면 이미 자신과 화이트보드만이 등장하는 1시간 30분의 동영상을 만들어 최적화된 리텐션 편집 동영상을 웃도는 크리에이터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시세로 씨는 2020년 이후 리텐션 편집에 의해 폭발적인 히트를 날리는 것은 쉬웠지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천체의 수가 많아질수록 별의 궤도나 움직임의 해석이 어려워진다는 'N체 문제'의 시뮬레이션을 애니메이션 스폰지밥의 인기 캐릭터인 스폰지밥으로 실행해 본 애니메이션을 라라구나대학에서 천체물리학을 배우는 피터 로셀로 씨가 공개했습니다.

Gravitational collapse of SpongeBob
You can see how Virial equilibrium is eventually reached
https://x.com/PeRossello/status/1769035370031694214?s=20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을 가지고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은 영국의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이 17세기에 발견한 물리법칙입니다. 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천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고 그 움직임과 궤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체의 수가 3개 이상이 되면 이 계산이 매우 어려워집니다. 중력을 가진 N개의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해석적으로 풀 수 없기 때문에 이 문제는 천체물리학의 세계에서 'N체 문제'라고 불립니다.

로셀로 씨가 공개한 애니메이션은 10만 개 입자의 움직임을 5시간 2000스텝으로 시뮬레이션한 것입니다. N체의 입자의 초기 위치는 스폰지밥의 형태입니다.


모든 입자가 중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면 입자가 한 지점에 집중하듯 움직이는 중력붕괴를 보여줍니다. 오른쪽에 표시된 것은 운동에너지(Kinect Energy)와 중력 포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중력 포텐셜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됩니다.

입자는 확산되어 두 점에 집중하는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에너지의 평형상태를 보면 이번에는 운동에너지가 중력 포텐셜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최종적으로 스폰지밥이었던 10만 개의 입자는 다시 한 점에 집중되어 마치 은하와 같은 형태로 진정되었습니다. 에너지 밸런스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바운드하듯 위아래로 움직이지만 움직임이 멈추고 평형상태를 나타냅니다. 로셀로 씨는 “N개의 입자가 비리얼 평형에 도달했다”고 보았습니다.


로셀로 씨에 의하면 이 시뮬레이션은 Python으로 코딩되고 있어서 numba로 병렬화, Matplotlib로 묘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코드는 로셀로 씨의 GitHub 리포지토리에 호스팅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초신성은 별의 폭발이다. 폭발의 방법은 두 가지 있다. 그 중 하나는 탄소와 산소로 만들어진 백색왜성이 연성을 이루고 있고, 상대의 별에서 가스가 서서히 흘러들어온 결과 한계질량에 도달하여 중심 부근에서 시작되는 핵융합반응의 폭주에 의해 폭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백색왜성은 태양과 같거나 몇 배의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 끝에 남는 천체이다. 백색왜성의 한계질량은 태양질량의 약 1.4배(2.8×10^30kg)라는 것이 이론적으로 알려져 있다.

핵융합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γ선으로 가열된 물질은 고온이 되고 반응이 진행되어 별 전체에 핵융합반응의 연소파가 전해진다. 반응 후에는 상당량(질량으로 약 1.2×10^30kg)의 물질은 방사성 원소 니켈56이 되지만 별의 표면 부근에서는 밀도가 낮고 반응의 진행이 느리기 때문에 규소나 황, 산소, 탄소가 존재한다. 폭발의 에너지는 탄소, 산소가 철 등으로 바뀌었을 때의 질량 결손분의 에너지로 공급되어 약 10^44J이다. 폭발의 결과 별은 평균 초속 10000km에 가까운 속도로 팽창한다. 단열냉각으로 인해 별이 갑자기 어두워지므로 먼 은하에서의 폭발은 처음부터 관찰되지 않는다. 그런데 폭발 시 합성된 방사성원소 니켈56이 반감기 6.1일에 방사성원소 코발트56으로 붕괴하고 반감기 77일에 철 56으로 붕괴할 때 방출되는 γ선이 별을 가열한다. 가열된 플라즈마 상태의 가스에서 방출되는 빛이 별의 표면에 도달하여 별이 밝아지기 시작하고 은하만큼 빛나는 초신성으로 관측된다. 한층 더 시간이 지나 팽창이 진행되어 가스의 밀도가 내려가면 방사성 원소로부터 나온 γ선은 물질을 가열하지 않고 별을 빠져나가게 되고, 가스의 온도는 내려가 초신성은 어둡고 빨갛게 된다. 밝기의 피크는 폭발로부터 20일 전후가 된다.

소용돌이 모양 은하 NGC4526에 나타난 초신성 1994D(왼쪽 아래의 밝은 별) 출처:http://apod.nasa.gov/apod/ap981230.html


또 다른 폭발의 방법은 태양의 1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별의 최후에 일어나는 대폭발이다.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반응이 진행되고 마지막으로 철로 만들어진 핵이 중심에 형성된다. 그 핵은 점점 커지고 질량이 태양의 1.3배에서 수배 정도가 되면 자신의 무게를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수축하기 시작한다. 중심핵은 원자핵끼리가 만날 정도로 가까워진 시점에서 수축을 멈춘다. 그때의 중심핵의 반경은 수 10km로 원시 중성자성이 탄생한다. 수축으로 가스가 얻은 운동에너지는 일단 열운동으로 전환되어 원시 중성자성 내에 머무른다. 원시 중성자성은 중성미자를 방사함으로써 차가워져 에너지의 대부분이 우주공간으로 운반된다. 에너지의 총량은 10^46J를 초과한다. 이때 원시 중성자성의 질량이 태양의 약 3배 이상이면 다시 수축을 시작해 블랙홀이 된다. KamiokandeII 등의 중성미자 망원경이 대마젤란 구름에 1987년 2월에 출현한 초신성 SN1987A에서 검출된 중성미자는 대질성 별의 중심핵이 중력수축하여 중성자성을 남긴 증거라고 생각된다. 이 에너지 중 몇%가 별의 외층을 날려버리는 데 사용된다는 설이 유력하지만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순간 대질성 별의 모습은 그 질량과 자전의 속도, 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별의 초기 질량이 크면 방출되는 빛의 압력으로 외층을 잃는다. 수소의 외층을 모두 잃은 별의 폭발은 Ib형으로 분류되고 헬륨의 외층도 모두 잃은 별의 폭발은 Ic형으로 분류된다. 외층은 별주 물질로서 존재하고 폭발로 날아간 물질과 충돌했을 때 전파에서 X선에 이르는 전자파를 방사한다. 수소의 외층을 유지한 채 폭발하면 II형 초신성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폭발 시 별의 모습이 다양하기 때문에 밝기 변화도 다양해진다. 별의 자전이 빠르면 초신성 폭발은 구대칭에서 벗어나고 보는 방향에 따라 초신성의 외관은 더욱 다양해진다. Ic형 초신성의 일부는 γ선 버스트 현상도 일어나는 것이 관측에 의해 밝혀져 왔다. 그러나 γ선 버스트에서는 초신성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초신성 폭발과 γ선 버스트의 관계의 규명은 앞으로 현저하게 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天文部「超新星」をくわしく解説!
https://official.rikanenpyo.jp/posts/6136

Posted by 말총머리
,
by noor Younis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99%82%E8%A8%88%E3%81%AE%E3%82%B0%E3%83%AC%E3%83%BC%E3%82%B9%E3%82%B1%E3%83%BC%E3%83%AB%E5%86%99%E7%9C%9F-mId2gG0a9GU


4년에 1번, 2월이 1일 길어지는 윤년은 잘 알려져 있고 이와는 별도로 12월 31일이나 6월 30일에 1초 조정하는 윤초도 존재합니다. 윤초는 지금까지는 모두 1초 길게 했지만 2029년까지 1초 줄여야 한다는 계산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A faster spinning Earth may cause timekeepers to subtract a second from world clocks | AP News
https://apnews.com/article/leap-second-subtract-melting-ice-clocks-74eaac47b9c429910723a604897032a4

A faster spinning Earth may cause timekeepers to subtract a second from world clock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world timekeepers may have to consider subtracting a second from our clocks in a few years because the planet is rotating a tad faster.

apnews.com


Why time will stop in 2029: Scientist says a 'negative leap second' will be needed to adjust for Earth's rotation speeding up | Daily Mail Online
https://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13244921/Scientists-negative-leap-second-2029.html

Scientists say a negative 'leap second' will be needed in 2029

Professor Duncan Agnew, a geophysicist at UC San Diego, says one second should be removed from the year in 2029.

www.dailymail.co.uk


◆지구는 오랫동안 감속해 왔다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고교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물리학자인 던컨 아그뉴 씨에 의하면 지구는 과거 수천 년에 걸쳐 대체로 감속해 왔습니다. 자전속도의 저하는 주로 달의 인력이 초래하는 조수간만의 영향, 즉 조수 마찰에 의해 발생해 왔습니다.

자전의 속도가 변한다고 해도 눈에 보이는 영향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원자시가 공식 표준시간으로서 채용될 때까지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세슘원자가 91억 9263만 1770회 진동하는 것을 1초로 정의하는 초고정밀 원자시계의 등장으로 인해 원자시계가 새기는 '원자시'와 지구의 1일에 기초한 '천문시'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게 되었기 때문에 수년에 1번 1초 조정하는 윤초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1972년에 윤초가 도입된 이래 지구의 하루가 길어지는 데 맞추어 27회 윤초가 추가되었으며 최근으로는 2016년 12월 31일 23시 59분 59초 후에 1초가 추가되었습니다.

◆ 최근에는 가속하는 경향
최근에는 감속의 템포가 서서히 둔화되었고 오히려 가속하고 있다는 보고가 종종 나왔습니다. 가속에는 여러 요인이 얽혀 있지만 주된 이유는 지구의 중심부에 있는 고온의 액체 코어의 흐름이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핵은 1972년 이후의 과거 50년 정도 자전을 가속시키는 작용을 가져왔지만 그 영향은 최근의 급격한 지구 온난화에 의해 상쇄되고 있었습니다. 1990년대 이후 지구의 극지의 얼음이 맹렬한 기세로 융해되어 증가한 해수가 극지에서 적도 부근으로 이동하면서 감속하는 작용을 했습니다. 회전하는 스케이트 선수가 팔을 펼치면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by Kelly Sikkema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B0%B4%E4%B8%AD%E3%81%AE%E4%BF%A1%E5%8F%B7%E6%A9%9F%E6%A8%99%E8%AD%98-_whs7FPfkwQ


◆기후변화로 윤초의 예정이 연기
아그뉴 씨는 2024년 3월에 과학지 Nature에 게재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에 의한 영향으로 2026년에 필요했던 음의 윤초가 3년 늦은 2029년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윤초는 2035년까지 실질적으로 폐지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마지막 윤초는 음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1초를 늘리거나 줄이는 작업은 원자시계가 새기는 정확한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현대사회에 대한 영향은 엄청나서 2012년 윤초에는 호주 캔터스항공이나 소셜 뉴스사이트 Reddit, Linux로 동작하고 있는 서버 시스템 등에서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아그뉴 씨는 “미래의 지구방위를 예측할 때 지구의 핵과 기타 관련 현상의 경향을 고려하면 미디어에 대해 현재 정의되고 있는 협정 세계시는 2029년까지 음의 불연속 즉, 음의 윤초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는데 사실이라면 컴퓨터 네트워크의 타이밍에 전례 없는 문제를 일으킬 것이므로 계획보다 빨리 협정 세계시 변경을 해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기후변화가 지구의 자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시 한번 나타났기 때문에 아그뉴 씨는 논문에 “극지의 얼음의 융해가 최근 가속되지 않았다면 이 문제는 3년 일찍 일어났을 것으로, 지구 온난화는 이미 세계의 계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수면시간과 눈

의학 2024. 3. 27. 15:18
by Alexandra Gorn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AF%9B%E5%B8%83%E3%81%A7%E9%A1%94%E3%82%92%E8%A6%86%E3%81%86%E5%A5%B3%E6%80%A7-smuS_jUZa9I


눈이 피로하면 PC의 화면이 희미해 보이듯이 수면부족 상태에서는 물건을 보는 인식속도, 콘트라스트(요철을 구분)의 감도, 눈의 조정능력에 영향을 줍니다.

수면부족으로 머리가 흐려지면 망막에서 뇌로의 정보 전달속도가 느려져 인식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콘트라스트 감도에는 VCTS(Vision Contrast Test System)등의 검사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얼마나 세밀한 줄무늬까지 인식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수면이 부족하면 고주파수 영역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장시간 PC 화면을 보거나 독서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근거리를 볼 기회는 많습니다. 근거리를 볼 때는 조절력이 사용됩니다. 수면부족이라면 조절력이 부족한 상태가 되어 근거리 시력이 저하한다고 생각됩니다.

눈을 사용하는 작업을 계속하면 눈이 무거워지고 안통, 충혈,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눈 이외에도 어깨 결림이나 위통과 식욕 부진, 변비 등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눈 뒤쪽의 강한 통증과 메스꺼움을 유발할 정도입니다.

지친 눈은 쉬는 것이 제일입니다. 수면부족은 눈 피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점안약의 사용, 블루베리에 포함되는 안토시아닌, 비타민 A, B1, B2, 카로틴이나 리코펜의 섭취도 효과가 있습니다.

▣ 드라이아이
드라이아이는 눈물의 양의 부족, 눈물의 성분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 눈의 표면에 장애(상처)가 생기는 눈의 병입니다.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드라이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일반적으로는 눈이 마르고 피로감과 충혈, 흐릿하게 보이는 등의 증상이 많이 보입니다.

수면을 충분히 취하고 눈을 집중해 사용하는 작업 시는 의식적으로 눈꺼풀을 감아 적당히 휴식을 취합니다. 또 인공눈물이나 각막 보호 성분을 포함한 점안약이나 안연고를 사용해 부족한 눈물의 보충을 합니다. 그래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눈을 따뜻하게 합니다.

적당한 수면은 눈 주변의 근육과 시신경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이 좋아지기 때문에 눈꺼풀도 가볍고 시야도 깨끗해집니다.

▣ 질 높은 수면방법
1. 규칙적인 기상 시간
매일 아침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 햇빛을 받으면 14 ~ 16 시간 후에 졸립니다.

2. 오후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낮의 약간의 낮잠(15분 정도)은 오후의 졸음을 줄여 작업 효율을 올립니다.

3. 취침 전 카페인 섭취는 제한
취침 전 커피, 홍차, 녹차 등에서 카페인 섭취, 흡연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킵니다.

4. 취침 전에 휴식
미지근한 입욕, 가벼운 독서와 음악, 향기, 느긋한 스트레칭 등 자신에게 맞는 휴식방법을 찾는다.

5. 잠들기 쉬운 실내 환경
소음은 도서관 정도로 낮추고 조명은 30룩스 이하(달빛 정도), 온도는 20도 전후, 습도는 50% 정도가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6. 억지로 자지 않기
30분 이상 잠을 잘 수 없을 때는 반대로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난다.

여전히 잠을 잘 수 없다면 불면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이나 불면으로 인해 눈에 증상이 있다면 각각 내과, 안과 진찰을 추천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睡眠時間と目
https://www.ikec.jp/mailmag/mailmag-1143/#:~:text=%E7%9D%A1%E7%9C%A0%E4%B8%8D%E8%B6%B3%E3%81%A0%E3%81%A8%E3%80%81%E8%AA%BF%E7%AF%80,%E4%BD%8E%E4%B8%8B%E3%81%99%E3%82%8B%E3%81%A8%E8%80%83%E3%81%88%E3%82%89%E3%82%8C%E3%81%BE%E3%81%99%E3%80%82&text=%E7%9C%BC%E7%B2%BE%E7%96%B2%E5%8A%B4%E3%81%AF%E3%80%81%E7%9C%BC,%E3%82%82%E8%B5%B7%E3%81%93%E3%82%8B%E3%81%93%E3%81%A8%E3%81%8C%E3%81%82%E3%82%8A%E3%81%BE%E3%81%99%E3%80%82

Posted by 말총머리
,


반도체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많은 물건에 탑재되어 있어서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적이다. 그런 반도체산업이 의존하는 단 하나의 공장의 존재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High Purity Quartz
https://www.sibelco.com/en/materials/high-purity-quartz


2023년에 출판된 서적 'Material World'에 의하면 세계의 반도체산업은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주 스프러스 파인(Spruce Pine)에 위치한 Sibelco의 공장에 의존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공장에서는 초고순도의 석영이 생산되는데 실리콘 웨이퍼의 정제에 필요한 용융 석영 도가니의 재료가 되는 석영의 유일한 공급원이라고 합니다.

Sibelco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고순도 석영에 대해 '독특한 광학적·역학적·열적 특성을 가지는 용융 석영의 제조에 이용되는 폭넓은 하이테크 제품의 제조에 필수적인 물질'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 워튼교에서 경제나 AI에 대해 연구하는 이단 모릭 씨에 의하면 Sibelco의 고순도 석영과 동등한 조성의 석영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고순도 석영의 합성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고 생산기술의 확대에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이 때문에 Sibelco의 고순도 석영이 생산 불가능한 상태에 빠지면 반도체산업이 장기간에 걸쳐 큰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출처: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176-8/figures/1


노팅엄 대학, 킹스 칼리지 런던, 뉴캐슬 대학의 연구팀이 초유동 상태의 극저온 액체 헬륨을 이용한 실험장치로 '양자 소용돌이'를 만들어 회전하는 블랙홀의 중력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Rotating curved spacetime signatures from a giant quantum vortex |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176-8

'Quantum tornado' allows scientists to mimic a black hole on Earth | Space
https://www.space.com/quantum-tornado-black-hole-physics-simulation-absolute-zero

'Quantum tornado' allows scientists to mimic a black hole on Earth

Scientists created a giant vortex made of tiny quantum pieces to bring black hole physics down to Earth.

www.space.com


아래의 이미지는 노팅엄 대학의 패트릭 스반카라 박사 등이 구축한 마이너스 271℃에 가까운 극저온 액체 헬륨을 넣은 실험장치입니다.

©Leonardo Solidoro


연구팀은 "중력과 유체의 유사성에는 점도의 소실이 필요하다"며 액체의 점도가 없어져 용기 안에서 벽면을 올라가 넘치거나 통상이면 통과할 수 없는 원자 하나의 틈새에서도 액체가 흘러나오는 초유동을 이용했습니다.

스반카라 박사에 의하면 초유동 상태의 극저온 액체 헬륨 중에는 '양자 소용돌이'가 포함되어 있어 서로 떨어져 퍼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번 실험에서 연구팀은 수만 개의 양자를 작은 양자 소용돌이에 가두어 양자 유체로서 기록적인 힘의 소용돌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출처: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176-8/figures/1


그리고 이 소용돌이의 흐름과 블랙홀이 주변 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 흥미로운 유사점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성과는 곡선 시공의 복합 영역에서의 '유한 온도 양자장 이론'의 시뮬레이션에 새로운 길을 얼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우리의 뇌는 수면 시에도 쉬지 않고 계속 움직이고 있으며 뇌에서는 뉴런이 협조하여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그것들이 축적되어 리드미컬한 파가 됨으로써 뇌에 쌓인 노폐물을 씻어낼 가능성이 워싱턴대학 의과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Neuronal dynamics direct cerebrospinal fluid perfusion and brain clearance |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108-6

Neurons help flush waste out of brain during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35658

뇌세포는 사고와 감정,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고 기억의 형성과 문제해결에 필수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섭취한 영양소가 에너지로 뇌세포에 공급됩니다. 그러나 영양소를 소비하면 그 과정에서 대사에 의한 노폐물이 만들어지고 축적되면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을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연구팀의 조나단 키프니스 씨는 “이런 대사노폐물을 뇌가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면이란 각성상태에 축적된 노폐물과 독소를 씻어내기 위해 뇌가 청소하는 시간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세포와 신경이 밀집된 뇌를 청소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뇌를 채우는 뇌척수액은 복잡하게 둘러싸인 세포 사이를 이동하며 유독한 노폐물을 모읍니다. 그리고 노폐물이 쌓인 뇌척수액은 경막의 림프관으로 흘러갑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뇌척수액이 움직이는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수면상태에 있는 마우스의 뇌를 분석하여 뉴런이 협조하여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뇌내에서 리드미컬한 파를 형성함으로써 밀집한 뇌조직에 뇌척수액을 보내고 있다고 것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특정 뇌영역의 활동을 억제하여 리드미컬한 파의 형성을 저해하면 수면 시에 신선한 뇌척수액이 흐르지 않고 축적된 노폐물이 씻겨지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우리가 자고 있을 때는 렘수면과 논렘수면을 반복하고 있으며 뇌파의 패턴은 수면 사이클 사이에 크게 변화합니다. 연구팀은 고주파 또는 고진폭 뇌파가 관찰될 때 뇌척수액이 크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키프니스 씨는 “우리가 자는 이유 중 하나는 뇌를 청소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강화할 수 있다면 수면시간을 줄이면서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수면부족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수면시간이 짧아지도록 유전적으로 조절된 마우스가 건강한 뇌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라며 “이 과정의 연구를 더욱 계속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과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발견은 뇌에 유해한 노폐물을 제거하는 능력이 증가하고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비참한 결과로 이어지기 전에 효율적으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략과 잠재적 치료법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