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3.12.27 아이폰을 훔쳐 30만 달러를 벌은 스마트폰 도둑이 수법과 대책을 설명
  2. 2023.12.26 우주인은 블랙홀을 양자컴퓨터로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3. 2023.12.26 양자컴퓨터의 성능은 과장되었고 실용화는 먼 미래
  4. 2023.12.26 아이 많은 대가족은 인지발달에 악영향이 나오는 것이 30년간의 데이터로부터 확인
  5. 2023.12.22 중성미자 진동으로 우주를 파악
  6. 2023.12.22 시속 1200km의 초고속 교통시스템을 목표로 한 'Hyperloop One'이 사업 종료
  7. 2023.12.21 1그램으로 지구를 파괴할 정도의 거대한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 '아마테라스 입자'
  8. 2023.12.20 크리스마스 시즌에 1만 6900편이 결항한 사우스웨스트 항공에 미국 운수성이 약 2000억 원 상당의 벌금을 부과
  9. 2023.12.19 레이저핵융합 실험에서 6회 중 4회의 점화를 달성
  10. 2023.12.17 Wi-Fi로 벽 너머의 인물이나 물체를 특정하는 일부 연구에는 오류가 있다는 지적
  11. 2023.12.15 아마존의 위성인터넷 'Project Kuiper'가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해 지상의 광섬유 케이블보다 약 30% 빠른 데이터 통신기술 검증에 성공
  12. 2023.12.15 죽어가는 뇌에서 발생하는 극적인 변화 '죽음의 파도'
  13. 2023.12.12 촛불 속 과학
  14. 2023.12.12 분노가 어려운 작업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인다는 연구결과
  15. 2023.12.12 풍부하게 존재하는데 인류가 오랫동안 활용할 수 없었던 금속 '티타늄'의 역사
  16. 2023.12.12 녹색이나 투명 등 붉지 않은 피가 흐르는 5종류의 동물
  17. 2023.12.12 고양이를 키우면 정신분열증의 위험이 두 배
  18. 2023.12.08 Multimodal AI 'Gemini'의 성능을 어필하는 구글의 공식 영상은 가짜라는 지적
  19. 2023.12.07 이명은 청각신경의 문제에 뇌가 대처한 결과
  20. 2023.12.07 스마트폰의 푸시알림으로 정부기관이 사용자를 스파이
  21. 2023.12.06 과거 최악의 해양오염을 일으킨 핵시설 '셀라필드'가 중국과 러시아와 관련된 해커들에게 해킹됐다는 보도
  22. 2023.11.28 중력렌즈를 사용하여 별에서 별로 전력을 전달
  23. 2023.11.23 중동의 상공에서 민간 항공기가 겪는 'GPS 공격'
  24. 2023.11.21 YouTube, Vimeo, Dailymotion 동영상 사이트의 광고를 단축하는 'Ad Accelerator'
  25. 2023.11.20 지구의 45억 년 역사를 1시간 만에 되돌아보는 동영상
  26. 2023.11.17 행성 사이를 바운드하듯 움직이는 혜성이 생명의 기원을 옮겼을 가능성
  27. 2023.11.16 Google의 채팅 AI 'Bard'에 그래프 생성 기능과 수학 풀이 표시 기능 등이 추가
  28. 2023.11.15 '자본주의는 죽음'...애플, 아마존 등의 빅테크의 등장에 세계의 경제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29. 2023.11.14 Netflix에 비디오 코덱 'H.265(HEVC)'의 사용 중단을 법원이 명령
  30. 2023.11.13 하루살이는 머리 속까지 알이 가득...단 5분의 수명으로 번식하는 놀라운 전략


스마트폰을 훔쳐 잠금을 해제하면 스마트폰에 설치한 결제 앱이나 전자화폐 등을 통해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iPhone을 중심으로 스마트폰을 훔쳐 약 30만 달러(약 4억 원)를 불법으로 벌어들인 인물을 상대로 인터뷰를 해 스마트폰을 훔치는 방법과 대책을 들었다고 합니다.

iPhone Thief Explains How He Breaks Into Your Phone | WSJ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i96HKr2vo8


월스트리트 저널의 인터뷰에 응한 인물은 수백 대의 아이폰을 훔친 죄로 복역 중인 아론 존슨 수감자입니다. 존슨 수감자는 훔친 iPhone을 통해 약 30만 달러를 벌었다고 합니다.


존슨 수감자는 주로 바와 같은 음주를 동반한 음식점에서 도둑질을 했습니다. 우선 아이폰을 소지한 피해자에게 마약 거래를 제시하며 자신의 정보를 아이폰에 메모하도록 유도했습니다.

피해자가 아이폰을 꺼내면 잠금을 해제하는 모습을 훔쳐보고 패스코드를 기억한 후 나중에 아이폰을 훔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피해자로부터 iPhone을 받고 패스코드를 듣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 후 iPhone을 훔치고 잠금을 해제한 후 Apple ID 설정화면을 열고 암호를 변경했습니다. Apple ID의 패스워드 변경 시에는 iPhone의 패스코드로 충분하기 때문에 본인이 아니어도 패스워드를 변경 가능했습니다.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피해자는 Apple ID에 로그인할 수 없게 됩니다. Apple ID 비밀번호 변경에 성공하면 FaceID에 얼굴을 등록합니다. 이제 Apple Pay를 사용한 결제가 가능합니다.

또한 iCloud나 패스코드 관리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각종 웹서비스의 비밀번호도 열람할 수 있으므로 결제서비스 등에 로그인하여 현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메모앱에 각종 서비스의 패스워드를 기록하고 있는 사람도 많았다고 합니다.


사용이 끝난 iPhone은 중고점에 팔아 현금화합니다. 존슨 수감자에 의하면 Pro 시리즈나 Pro Max 시리즈는 약 650달러(약 93만 원)에 팔렸다고 합니다. Pro가 붙지 않은 모델의 매입액은 300달러~400달러였습니다.

존슨 수감자는 높게 팔리는 Pro 시리즈나 Pro Max 시리즈를 노렸다는 것. 당해 모델에는 배면 카메라가 3개 탑재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구별하는 것은 용이합니다.


존슨 수감자는 훔친 iPhone을 중고점에 팔기만 해도 많은 이익을 얻었고 1주일에 2만 달러(약 2900만 원)를 벌기도 했습니다.

또한 존슨 수감자는 현금을 얻기 위해 Apple Pay에서 iPhone이나 iPad 등의 Apple 제품을 대량 구입하여 팔기도 했습니다.

아이폰의 도난 대책으로 존슨 수감자와 월스트리트 저널은 다음 사항에 유의할 것을 권장합니다.
・메모 앱에 각종 서비스의 패스워드를 기록하지 않는다
・락 해제에는 숫자만의 패스코드가 아니고, 알파벳이나 기호를 포함한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기사 작성 시점의 최신판인 iOS 17.2에서는 패스코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Apple ID의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지만, iOS 17.3의 베타판에서는 Apple ID의 패스워드 변경 시에 Touch ID나 Face ID로 인증을 요청하는 설정이 추가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블랙홀은 거대한 항성이 자신의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한 빛조차 탈출할 수 없을 정도로 초고밀도이고 대질량의 천체라고 합니다. 그런 블랙홀에 대해 물리학자인 지아 도발리와 자라 오스마노프는 “진보한 기술을 가진 우주인은 블랙홀을 양자컴퓨터의 하드웨어로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습니다.

Black holes as tools for quantum computing by advanced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s |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biology | Cambridge Core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international-journal-of-astrobiology/article/black-holes-as-tools-for-quantum-computing-by-advanced-extraterrestrial-civilizations/08675176C9EF974F0A5A4A1D5AC81C90

Black holes as tools for quantum computing by advanced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s |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biology |

Black holes as tools for quantum computing by advanced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s - Volume 22 Issue 6

www.cambridge.org


SETI Research Say Aliens Could Use Black Holes as Quantum Computers
https://www.inverse.com/science/aliens-black-holes-quantum-computer-seti-hawking-radiation

SETI Research Say Aliens Could Use Black Holes as Quantum Computers

A recent paper suggests that alien civilizations might make tiny black holes to use as quantum computing hardware. Then, it gets weird.

www.inverse.com


블랙홀에는 사건의 지평면이라는 특이한 경계가 퍼져 있고 거기에서는 블랙홀이 호킹방사라는 빛이나 열의 방출해 블랙홀의 질량이 서서히 증발해 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호킹방사에 의해 방출되는 빛과 열은 블랙홀에 유입된 물질과 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수년간 논의가 되었습니다. 일부 물리학자는 이러한 빛과 열에 대해 "종이를 태운 후의 재와 같은 것으로, 분명히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만, 그 정보를 꺼내는 것은 불가능"이라고 보았습니다.

다른 물리학자는 "호킹방사에서 방출되는 빛과 열의 정보를 꺼내는 것은 가능하고 블랙홀이 방출하는 호킹방사의 성질은 흡수된 물질과 빛의 성질과 크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즉, 블랙홀은 떨어지는 모든 물질에 대해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고 호킹방사로 출력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게다가 도발리와 오스마노프는 “진보된 기술을 지닌 외계인들은 양자컴퓨터의 기반으로 블랙홀을 사용할 수 있다”며 “고도 문명을 가진 외계인이 블랙홀을 제조할 때 사용된 고출력 입자가속기의 빛을 우리는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습니다.

2진수로 정보를 코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양자비트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일반 컴퓨터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더 복잡한 계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에 대해서는 실용화를 향한 연구 등이 행해지고 있는 단계에서, 실제로 양자컴퓨터를 도입해 계산을 하고 있는 케이스는 한정되어 있는 것이 현상입니다.

도발리와 오스마노프는 “우리 태양계가 형성된 것은 약 46억 년 전으로, 더욱 오래된 항성계에 사는 고도로 진화한 외계인은 지구보다 고급 양자기술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습니다.


도발리와 오스마노프에 의하면 블랙홀은 통상의 물질로 만들어진 양자컴퓨터보다 더욱 빠른 양자컴퓨터가 된다고 합니다. 이유는 블랙홀 내의 모든 물질이 '특이점'이라는 장소에서 중력이 무한대가 될 때까지 분쇄되기 때문입니다. 블랙홀은 매우 밀도가 높고, 빛과 양자비트에 대한 정보가 블랙홀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데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고도의 양자기술을 가진 외계인은 양자컴퓨터로써의 블랙홀에 양자상태를 조작한 물질을 투입하고 호킹방사를 계산결과로서 받고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한편 "이런 외계인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램은 불분명하지만, 프로그래밍 능력과 알고리즘의 정교함은 인간의 상상을 훨씬 뛰어넘을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도발리 씨는 고도의 문명을 가진 외계인이 계산을 하기 위해 질량이 적은 작은 블랙홀을 만들었을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작은 블랙홀은 거대한 블랙홀과 달리 더 호킹방사를 방출한다는 것. 따라서 이러한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도발리 씨는 “IceCube와 같은 소립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호킹방사의 정보를 찾아내면 외계인이 존재하는 징후를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양자역학의 법칙을 이용하여 일반 컴퓨터보다 복잡한 계산을 고속으로 할 수 있다는 양자컴퓨터는 Microsoft 나 Intel 등 다양한 기업이 연구개발에 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터의 실현에 대해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미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Quantum Computing’s Hard, Cold Reality Check - IEEE Spectrum
https://spectrum.ieee.org/quantum-computing-skeptics

Quantum Computing’s Hard, Cold Reality Check

Hype is everywhere, skeptics say,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still far away

spectrum.ieee.org


소립자의 세계에서 볼 수 있는 중첩이나 양자얽힘 등의 성질을 이용해 종래의 컴퓨터에서는 불가능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양자컴퓨터는 재무 모델링 이나 물류 최적화, 기계학습 가속화 등 다양한 현실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양자컴퓨터 개발을 추진하는 IBM과 같은 일부 기업은 양자컴퓨터가 불과 몇 년 만에 현실세계의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시사했습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팅 기술에 대해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by IBM Research / https://www.flickr.com/photos/ibm_research_zurich/


Meta의 AI 연구책임자인 양 루쿤 씨는 양자컴퓨팅 기술에 대해 “매력적인 과학적 주제이지만, 실제로 유용한 양자컴퓨터가 생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Amazon Web Services(AWS)의 양자 하드웨어 책임자인 오스카 페인터 씨는 “현재 양자컴퓨터 업계에는 엄청난 수의 과대 광고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이 낙관시되고 있는 것과 비현실적인 것을 선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오늘날의 양자컴퓨터에서 근본적인 문제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으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많은 양자컴퓨터는 노이즈가 있지만, 수년부터 수십 년 이내에 개발되는 중규모의 양자컴퓨터(NISQ)이며, 일부 전문가는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지만 많은 유용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페인터 씨는 "그럴 가능성은 낮다"며 "오류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지가 실용적인 양자컴퓨터 실현을 위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게다가 페인터 씨는 “양자비트를 수천 개 탑재한 대규모 양자컴퓨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과제가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개발을 위한 타임라인을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데, 개발에는 최소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by IBM Research / https://www.flickr.com/photos/ibm_research_zurich/


양자컴퓨터를 둘러싼 문제는 시간뿐만 아니라 성능 측면에도 존재합니다. Microsoft의 양자컴퓨팅 부서의 책임자인 마티아스 트로이어 씨는 양자컴퓨터가 효과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제한적임을 시사했습니다.

트로이어 씨에 의하면 양자컴퓨팅 기술에 의해 종래의 컴퓨터보다 지수함수적으로 고속화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는 '큰 수의 인수분해'나 '의약품 설계나 유체역학 등의 분야에서의 시뮬레이션'이 있다는 것. 그러나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속화하는 것이 항상 잘 작동하지는 않으며, 때로는 전통적인 컴퓨터가 더 빠를 수 있다고 합니다.

트로이어 씨에 의하면 양자컴퓨터에서는 복잡한 계산처리를 많이 하기 때문에, 동시에 양자비트의 조작이 복잡해져 종래의 컴퓨터가 하는 '트랜지스터의 전환'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트로이어 씨는 'NVIDIA A100'을 이용한 컴퓨터와, 1만 개의 양자비트를 탑재한 양자컴퓨터의 성능 비교를 실시하는 논리실험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양자컴퓨터가 종래의 컴퓨터의 성능을 초과하기 위해서는 수백 년, 혹은 수천 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트로이어 씨는 “양자컴퓨터는 지수적으로 가속화된 소규모 데이터 문제에서만 그 진가를 발휘하므로 현재의 양자컴퓨터는 실용적이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스타트업 QuEra의 최고 마케팅책임자인 유발 보저 씨는 이 회사가 실시한 양자비트에 대한 연구를 자랑하면서도 “일부 기업은 양자컴퓨팅 연구에서 AI 연구로 자원을 전환하고 있다"며 “양자컴퓨팅의 과대광고는 유능한 인재를 이 분야에 불러들이는 데 성공했지만, 양자컴퓨터가 세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재 어렵다는 것을 알면 실망감이 생겨 이 분야의 연구에서 떠나게 한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독일 제약 선두 'Merck KGaA'의 그룹 디지털 혁신 글로벌 책임자인 필립 하바흐 씨는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에서 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하지만 실제 양자컴퓨터는 새로운 경지를 열지 않고 기존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는 데 사용된다”고 말했습니다.

트로이어 씨는 양자컴퓨터에 대한 회의적인 견해를 넓히는 이유로 "이 분야의 관심을 얇게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연구자가 양자컴퓨팅에서 가장 유망한 애플리케이션에 개발 자원을 집중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가족당 어린이의 수와 어린이의 인지발달에 대해 30년간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서 대가족의 아이는 소규모 가족의 아이에 비해 학교의 성적이나 인지 테스트의 결과가 나쁘고 교육받는 연수도 짧아지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Effects of Siblings on Cognitive and Sociobehavioral Development: Ongoing Debates and New Theoretical Insights - Wei-hsin Yu, Hope Xu Yan, 2023
https://journals.sagepub.com/doi/full/10.1177/00031224231210258

Study: Having a large family worsens kids' cognitive development - Big Think
https://bigthink.com/the-present/large-family-worsens-kids-cognitive-development/

A larger family worsens kids' cognitive development, suggests 30-year study

How does family size and sibling position affect kids' development? A 30-year study turned up some fascinating findings.

bigthink.com


대가족의 아이가 소규모 가족의 아이들에 비해 학교에서의 성적이 나쁘고, 인지 테스트에서도 점수가 낮다는 것은 수십 년에 걸친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

그 원인은 부모가 자녀에게 나눠줄 자원이 한정되어져 교육 비용이나 시간,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로부터 원인은 육아 스타일이나 연령과 같은 교락변수에 의한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에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교의 사회인구통계학자인 Wei-hsin Yu(喻維欣) 교수와 메릴랜드 대학의 사회학자인 Hope Xu Yan 씨는 노동통계국의 조사데이터 'NLSY79'에 등록되어 있는 여성 6283명 전원의 아이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결과를 집계한 Yu 교수 연구팀은 가족이 많을수록 아이의 평균 인지점수가 낮아진다는 선행 연구대로의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또 나중에 태어난 아이는 먼저 태어난 아이와 같은 나이였을 때보다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는 자녀가 늘어남에 따라 시간과 돈의 부담이 커지고 자원이 줄어드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연구에서는 연하의 아이가 늘어나면 연상의 인지점수가 내려가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이 경향은 나중에 태어난 아이만큼 작아진다는 것. 이 원인은 나중에 아이가 태어나면 형과 언니는 부모의 관심을 크게 잃기 때문으로, 셋째 이후가 되면 잃을 자원 자체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몫이 감소하는 경우는 대부분 없다는 것.

덧붙여 미국에서 아이 하나는 선호되지 않는데, 형제자매 없이 자라면 인지능력이나 행동의 발달이 저해되기 때문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Yu ​​교수 연구팀은 이번 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부정적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중성미자는 더 이상 작을 수없는 소립자 중 하나입니다. 전하를 가지지 않고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작고 가볍기 때문에 뭐든지 통과해 버립니다. 그만큼 찾아내는 것도 어렵습니다.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주위에 별로 없는 것도 아니라서 우주에서 오는 중성미자는 초당 100조 개나 우리 몸을 지나가고, 지금 원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방사성물질도 방사선과 함께 중성미자도 방출하고 있습니다. 방사선은 몸의 조직에 부딪혀 부수기 때문에 해가 되지만 중성미자는 뭐든지 통과하기 때문에 해롭지 않습니다.

오시바 마사토시가 카미오칸데라는 용량 3000톤의 수조에서 중성미자를 포착해 2002년에 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중성미자에는 전자형, 뮤형, 타우형이라는 3종류 있습니다.

중성미자는 비행 중에 '형'을 변경합니다. 전자형 중성미자가 뮤형 중성미자로 바뀌거나 뮤형 중성미자가 타우형 중성미자로 바뀌거나 합니다.

이것을 "중성미자 진동"이라고 합니다. 이 형 바꾸기의 구조를 잘 조사하면 중성미자의 무게 등의 성질을 알 수 있습니다.

중성미자의 성질을 알면 물질의 수수께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주가 태어났을 때 우주는 에너지로 가득 차 있었고 거기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동일하게 태어났습니다. 이 반물질과 물질이 다시 만나면 함께 에너지로 돌아가 사라져 버립니다.

우리를 포함하여 주위에 있는 물건과 별들은 모두 물질로 만들어져 있고, 반물질은 좀처럼 발견되지 않습니다. 반물질은 물질과 거의 물리적 성질이 동일(전하가 반대이지만)이므로 왜 반물질만이 소멸하고 물질은 살아남았는지 그 이유는 미궁입니다.

중성미자와 반 중성미자(중성미자의 반입자) 사이에는 약간의 진동방법의 차이가 있고, 어쩌면 물질이 존재하는 설명해줄지도 모릅니다.

이 차이를 'CP대칭성의 깨짐'이라고 합니다.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이카와 토시에이가 2008년 노벨상을 수상했을 때 언급되었습니다. 중성미자에도 이 CP대칭성의 깨짐이 일어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전자 중성미자의 출현의 징후가 보였다'는 현단계에서는 중성미자 진동을 조사하여 물질의 수수께끼를 푸는 큰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아직 몇 년 걸립니다.

지금 조사하고 있는 것은 아직 중성미자 진동으로, 반 중성미자의 연구에는 이르지 않습니다. 6월의 성과에서 얻은 중성미자 진동에 대해서도 99.3퍼센트의 확률로 실제로 일어났다고 파악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는 아직 '발견'이라고는 부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결과는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뮤형 중성미자에서 전자형 중성미자로의 형의 변화가 처음으로 파악되었을 뿐만 아니라 원래 발견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이번 성과는 인공적으로 중성미자를 만들고 비행하기 전과 후를 관찰하고 있기 때문에 형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에서 오는 중성미자로는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실험명 'T2K'는 Tokai-to-Kamioka(토카이에서 카미오카)라는 의미로,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에 있는 J-PARC로부터 약 300킬로 거리의 기후현 히다시 카미오카초에 있는 슈퍼 카미오칸데에 중성미자를 쏘고 있습니다. 뮤형 중성미자를 J-PARC에서 생성하여 슈퍼 카미오칸데에서 몇 개의 전자형 중성미자로 바뀌었는지를 계산합니다. 중성미자의 여행 전과 여행 후의 수를 세는 것으로, 정확하게 몇 개가 형을 바꾸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J-PARC는 3월 11일의 동일본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어 데이터의 수집도 멈추어 버렸습니다. 만약 아직 운전을 계속했다면 지금 무렵에는 발견 단계에 도달했을지도 모릅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ニュートリノ振動で宇宙がわかるわけ
https://blog.miraikan.jst.go.jp/articles/20110715post-156.html#:~:text=%E3%83%8B%E3%83%A5%E3%83%BC%E3%83%88%E3%83%AA%E3%83%8E%E3%81%A8%E3%81%AF%E3%80%81%E3%81%93%E3%82%8C%E4%BB%A5%E4%B8%8A,%E3%81%99%E3%82%8B%E3%81%A8%E3%81%99%E3%82%8A%E6%8A%9C%E3%81%91%E3%81%A6%E3%81%97%E3%81%BE%E3%81%84%E3%81%BE%E3%81%99%E3%80%82

Posted by 말총머리
,


튜브 안으로 사람이나 짐을 싣는 차량을 시속 1200km로 달리게 한다는 사업가 일론 머스크가 제창한 오픈소스 기획 'Hyperloop(하이퍼루프)'구상의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던 'Hyperloop One'이 모든 자산을 매각한 뒤에 남아 있는 직원도 2023년 연말에 해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Hyperloop One to Shut Down After Raising Millions to Reinvent Transit - Bloomberg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3-12-21/hyperloop-one-to-shut-down-after-raising-millions-to-reinvent-transit

The hyperloop is dead for real this time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12/21/24011448/hyperloop-one-shut-down-layoff-closing-elon-musk

The hyperloop is dead for real this time

Turns out the real hyperloop was the friends we made along the way.

www.theverge.com


익명 관계자가 뉴스사이트 Bloomberg에 제보한 내용에 따르면 Hyperloop One에는 2022년 초반에 200명 이상의 직원이 있었지만 이미 대부분이 해고되었고 로스앤젤레스에 있던 사무실도 폐쇄했다고 합니다. 보유 자산인 테스트 코스나 기자재 등도 매각이 진행되었고 매각 수속의 감독을 하기 위해 남아 있는 종업원도 2023년 12월 31일자로 고용관계가 종료된다고 합니다.


Hyperloop One의 주식의 대부분은 2016년부터 두바이 자본의 DP World라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Hyperloop One이 가지는 지적재산권은 DP World에 양도되게 되어 있습니다.

덧붙여 Hyperloop One은 2023년 초에 페이퍼컴퍼니와 합병했고 주식은 무가치 상태가 되었으며 Hyperloop One의 소유자는 그 페이퍼컴퍼니의 주주로만 된 상태라고 합니다.

하이퍼루프 구상은 테슬라나 SpaceX 등의 벤처를 성공시켜 온 일론 머스크 씨가 내세운 것으로 아이디어를 오픈소스로 하여 적극적인 참가를 요청한 결과 여러 기업과 학생그룹이 참가했습니다. 그 진영의 하나가 Hyperloop One(구명칭: Hyperloop Technologies)이었습니다.

Hyperloop One은 2016년 라스베가스 근처 사막에서 야외 주행테스트를 실시했고 2017년에는 테스트코스에서 시속 310km에서의 주행에 성공했습니다.


항공사 등을 핵심으로 한 콩그로말리트의 버진그룹이 출자해 'Virgin Hyperloop'이 되었던 시기도 있고, 2030년 이후 상업 전개를 목표로 컨셉 무비가 공개된 적도 있습니다.


2020년에는 유인주행에도 성공했지만 속도는 시속 160km 정도였고 그 후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버진그룹은 화물 우선의 방침을 내세우고 하이퍼루프 구상에서 철수하면서 명칭도 Hyperloop One으로 되돌아갔습니다. 또 이 시기에 창업자나 당시의 경영진은 거의 퇴진했습니다.

예전에는 여러 라이벌이 있었고 그 중 한 회사인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는 2018년 풀사이즈 포드 'Quintero One'을 공개했지만 Hyperloop One보다 먼저 사업화를 포기했습니다. Hyperloop One의 비즈니스 종료로 인해 하이퍼루프 개념은 완전히 좌절되었습니다.

덧붙여 제창자인 일론 머스크 자신은 지하에 파낸 터널 속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The Boring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의 지하로의 환상선 부설을 실현했지만 종점 가까이가 되면 정체가 발생하는 등 하이퍼루프 구상에 있던 '시가지의 정체 회피'라는 개념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국제공동연구그룹이 미국 유타주에서 가동 중인 초고에너지 우주선 관측실험 '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에서 2021년 5월 27일에 매우 높은 에너지(2.44×10의 20승전자볼트=244엑사 전자볼트)를 가진 우주선 검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포착한 우주선의 '244엑사 전자볼트'라는 에너지는 입자 1개로 40와트 전구를 약 1초간 점등할 수 있는 크기로 계산상 불과 1그램으로 지구가 파괴될 정도의 거대한 에너지를 가졌고 관측 사상 두 번째로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이라고 한다.
 
덧붙여서 관측 사상 가장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으로 여겨지는 것은 1991년 10월 15일에 프라이즈아이 실험에 의해 관측된 320엑사 전자볼트라는 극히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우주선으로 '오마이갓 입자'라고 불리고 있다.

후지이 준 교수 연구그룹은 이 입자가 우주선의 기원 해명을 향한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해 일본의 신화로부터 태양신적 성격을 가지는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에서 이름을 따서 '아마테라스 입자'라고 명명했다.

국제연구그룹은 일본, 미국, 러시아 등 8개국이 참여했고 우주선을 관측하기 위해 2008년부터 미국 유타주의 사막지대에 507대의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해석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5월 '244엑사 전자볼트'라는 관측 사상 두 번째로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을 포착했다.


'아마테라스 입자'의 발생원은 불분명하며 연구그룹에서는 빛으로는 보이지 않는 미지의 천체나 우주를 채우는 암흑물질(다크마터)의 붕괴 등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물리현상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우주에서 쏟아지는 고에너지 입자(우주선) 중에는 매우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이 극히 드물게 존재하며, 우주의 가장 격렬한 물리현상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우주선은 하전입자이기 때문에 우주자기장에서 구부릴 수 있지만, 매우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은 자기장에서 구부러지기 어렵고 도래 방향이 발생원을 가리키기 때문에 미지의 천체의 발견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서 차세대 천문학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후지이 준 교수는 “이 극히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을 처음 발견했을 때 실수라고 생각했다. 날아온 방향에 후보가 될 천제가 발견되지 않자 새로운 수수께끼가 발견된 두근거림을 느꼈다. 향후는 가동 중의 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 확장 계획이나 차세대 실험으로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발생원을 밝히고 싶다"고 말했다.

미국 유타주에 설치된 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의 지표 입자검출기(출처:오사카 공립 대학 자료)


우주에서 쏟아지는 입자 등의 관측으로부터 우주의 성립을 탐구하는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기후현에 'KAGRA'와 '슈퍼 카미오칸데'라는 대형 실험시설이 가동 중이다. KAGRA는 별끼리의 충돌이나 블랙홀의 합체 시에 생기는 중력파를, 슈퍼 카미오칸데는 거대한 별이 수명을 끝낼 때에 방출되는 입자 '뉴트리노'를 각각 관측하고 있다.

국제연구그룹은 이러한 시설의 관측결과와도 연계해 해석을 함으로써 이번에 포착한 우주선의 발생원을 규명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1グラムで地球を破壊するほどの
巨大なエネルギーを持つ宇宙線
https://www.bosaijoho.net/2023/12/11/%E5%8F%B2%E4%B8%8A%E6%9C%80%E5%A4%A7%E3%81%AE%E3%82%A8%E3%83%8D%E3%83%AB%E3%82%AE%E3%83%BC%E3%82%92%E3%82%82%E3%81%A4%E5%AE%87%E5%AE%99%E7%B7%9A-%E3%80%8C%E3%82%A2%E3%83%9E%E3%83%86%E3%83%A9%E3%82%B9/

Posted by 말총머리
,


2022년 크리스마스 휴가부터 새해에 걸쳐 1만 6900편이 결항해 200만 명 이상의 승객이 낭패를 본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트러블이 적절한 후처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미국 운수성이 1억 4000만 달러(약 2000억 원)의 벌금을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Southwest Airlines Newsroom
https://swamedia.com/releases/release-cdf576abd19398407f58297b73a66063-southwest-airlines-reaches-settlement-with-department-of-transportation-dot

US fines Southwest Airlines $140M for 2022 IT meltdown •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ter.com/2023/12/18/us_fines_southwest_airlines_140m/

US fines Southwest Airlines $140M for 2022 IT meltdown

Wrist, meet slap: Only a quarter will be paid to Treasury, the rest is vouchers and credits

www.theregister.com


2022년 크리스마스 시즌, 대규모 폭풍의 영향으로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비행 스케줄의 변경을 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구식의 스케줄 설정 소프트웨어가 기능부전에 빠져 버린 결과 최종적으로 1만 6900편이 결항이 되어 버렸습니다. 항공편이 취소됨에 따라 수십만 명의 고객이 대체 항공편 예약과 숙박시설 확보에 분주했지만 회사의 고객서비스는 과밀상태에 있었으며 통화 중이거나 담당자로 연결될 때까지 몇 시간 기다리거나 전화가 끊어지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운수성의 강제조치에 의해 이미 고객에게 6억 달러(약 8600억 원) 이상의 환불이나 변제가 실시되었으며 9000만 달러(약 130억 원) 상당의 바우처를 확보하는 보상제도도 확립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치로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이번 소동을 잠재우기 위해 총액 7억 5000만 달러(약 1조 1000억 원) 이상을 소비했다고 합니다.

위의 조치 외에도 운수성은 1억 40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고객에게 손해를 입힌 것이 소비자보호법에 다수 위반한 것으로 간주한 조치로 벌금액은 운수성 사상 최고액이 됩니다. 구체적인 위반항목으로는 메일로 알려야 하는 항공편 지연이 통달되지 않았고 신속하고 적절한 환불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 등으로 징수한 벌금의 대부분은 승객에 대한 보상에 충당된다고 합니다.


피트배티기그 운수장관은 “오늘의 조치는 새로운 전례가 되는 것으로 항공사가 승객의 기대를 배반한 경우 우리는 항공사의 책임을 추구하기 위해 모든 권한을 행사한다”며 향후 유사한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 항공사에 경고했습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의 소동에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항공권 가격을 넘는 보상을 하는 항공사가 거의 없다며 2023년 5월에는 항공사의 식사, 호텔, 택시비 등의 보상을 임의가 아니라 의무로 하는 새로운 규칙을 제안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발표에 사우스웨스트항공도 성명으로 사과를 표하며 “지난 1년간 회복과 사내연계에 힘썼고 이 사건으로부터 배워 향후는 장래에 초점을 맞추고 전력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2년 12월 5일 미국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가 레이저핵융합 실험에서 투입한 에너지량을 웃도는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핵융합점화'에 성공했습니다. 우연히 실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그 후의 여러 차례의 시도에서 밝혀졌고 지금까지 6회 시도에 4회 점화에 성공했습니다.

US nuclear-fusion lab enters new era: achieving ‘ignition’ over and over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3-04045-8

핵융합은 폭주 가능성이 있는 핵분열보다 안전하게 고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에너지로 기대되고 있지만 중요한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방대한 에너지가 필요하며, 오랫동안 출력 에너지가 투입 에너지보다 낮은 상태였기 때문에 실용화가 멀어 보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 12월 5일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가 핵융합점화에 성공했고 에너지부가 정식으로 핵융합 실험에서 에너지 투입을 웃도는 출력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OE National Laboratory Makes History by Achieving Fusion Ignition | Department of Energy
https://www.energy.gov/articles/doe-national-laboratory-makes-history-achieving-fusion-ignition

DOE National Laboratory Makes History by Achieving Fusion Ignition

The U.S. Department of Energy (DOE) and DOE’s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 (NNSA) today announced the achievement of fusion ignition at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a major scientific breakthrough decades in the making.

www.energy.gov


National Ignition Facility achieves fusion ignition |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https://www.llnl.gov/news/national-ignition-facility-achieves-fusion-ignition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achieves fusion ignition

The U.S. Department of Energy (DOE) and DOE’s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 (NNSA) today (Dec. 13) announced the achievement of fusion ignition at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 a major scientific breakthrough decades in the

www.llnl.gov


실험을 실시한 미국의 국립점화시설(NIF)은 2009년부터 운용된 실험시설로, 금의 실린더 내에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동결펠릿이 다이아몬드 캡슐에 수용된 상태로 매달려 192개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폭축이 발생하며 헬륨과 대량의 에너지가 생성된다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첫 핵융합점화 성공에서는 2.05MJ(메가 줄)의 레이저 조사에 대해 54% 증가하는 약 3.15MJ의 출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NIF에서는 그 후에도 테스트를 실시했고 2023년 6월과 9월은 투입 에너지보다 약간 더 많은 에너지를 생성했지만 점화까지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2023년 7월 30일은 2.05MJ 조사에 비해 88% 증가한 3.88MJ 발생의 점화를 확인했습니다. 게다가 2023년 10월에도 2회 점화에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결과에 핵융합발전의 실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한편 실제로 핵융합 반응으로 얻어진 에너지의 실용화는 아직 멀었다고 Nature는 지적했습니다.

우선 NIF의 레이저 시스템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1회의 점화 시행에 투입된 에너지는 99% 이상이 목표 도달 이전에 손실되고 있다는 것. 이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레이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에너지부의 새로운 관성융합에너지 연구프로그램의 목표 중 하나라고 합니다.

이미 2023년 10월 30일에 실시된 통산 6번째 실험에서는 레이저 조사되는 에너지량이 7% 증가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2.2MJ의 레이저 조사로 3.4MJ를 얻었는데 이론상 더 큰 수율을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NIF의 선임 설계자인 애니 클리처 씨에 따르면 팀은 보다 대칭적인 폭축을 일으킬 수 있는 레이저 펄스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2024년 4회의 실험이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 Wi-Fi 전파를 사용하여 벽 너머의 사람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거나 인물을 식별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앨버타대학의 앤드류 월시 교수는 이러한 연구에 대해 "시계열 데이터를 취급하는 방법을 잘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Researchers Misrepresenting the Capability of Human Pose Estimation from WiFi Channel Strength Indicators | by Andrew Walsh MD. PhD. | Medium
https://medium.com/@tsardoz/researchers-misrepresenting-the-capability-of-human-pose-estimation-from-wifi-channel-strength-4ec4d2f871a4

Researchers Misrepresenting the Capability of Human Pose Estimation from WiFi Channel Strength…

Numerous papers in recent years have focused on the estimation of human pose from Wi-Fi channel strength indicators (CSI), with claims of…

medium.com


Wi-Fi의 채널 강도 지표(CSI)를 이용하여 인간의 행동과 자세를 추정하는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연구는 마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보고 있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Reading Through Walls With WiFi
https://web.ece.ucsb.edu/~ymostofi/WiFiReadingThroughWall

Wifi can read through walls | The Current
https://news.ucsb.edu/2023/021198/wifi-can-read-through-walls

그러나 Wi-Fi의 CSI에 관한 한 연구논문의 데이터를 조사한 월시 씨는 연구팀이 시계열 데이터를 무작위로 트레이닝 세트와 테스트 세트로 나누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계학습에서는 두 세트에서 데이터가 중복되어 모델의 과다 학습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좋은 결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시계열 데이터의 무작위 배분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또 월시 씨가 조사한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의 배분에 관해서는 논문 내에 기재가 없었다고 합니다.

월시 씨는 “이런 랜덤한 배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논문은 여럿”이라며 “이번과 같은 방법의 기재 누설이 의도적인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고 지적했습니다.


월시 씨는 논문 내 데이터의 누설에 대해 "슬프게도 학자의 성공 척도는 저명한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양을 기반으로 합니다. 수를 늘리기 위해 엉성한 실험방법이나 부정행위, 방법의 허위 표시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과 같이 기계학습적으로 결함이 있는 접근을 채용한 논문의 수가 최근 증가했는데, 단순한 연구방법의 기재 누설이 아니라 선행연구의 질을 넘기 위한 의도적인 전략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추측했습니다.

이러한 논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해당 연구에 사용된 코드를 조사하여 랜덤한 배분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나 연구팀이 실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것은 매우 드물어 검증하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월시 씨는 특정 연구분야에서 부정행위가 확산되고 있다며, 실제로 어느 논문에서 사용된 코드를 입수해 검증을 실시한 월시 씨는 시계열 데이터가 랜덤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확인했고 학술연구단체 IEEE에 반증을 제출했으나 즉시 각하되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Amazon이 개발 중인 위성인터넷 'Project Kuiper'가 프로토타입 위성으로 지구 저궤도에 광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해 100Gbps라는 고속통신의 실증에 성공했습니다.

Amazon’s Project Kuiper completes successful test of space lasers
https://www.aboutamazon.com/news/innovation-at-amazon/amazon-project-kuiper-oisl-space-laser-december-2023-update

Amazon's Project Kuiper completes successful tests of optical mesh network in low Earth orbit

After demonstrating 100 Gbps optical links between its prototype satellites, Project Kuiper will include laser links on every satellite in its constellation to form a mesh network in space.

www.aboutamazon.com


Project Kuiper's optical mesh network in low Earth orbit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ZsUDWXI5KbM


아마존은 2023년 10월 Project Kuiper의 프로토타입 인공위성 2개를 출시한 이래 엔드투엔드 통신 페이로드와 네트워크의 대규모 테스트를 실시해 왔습니다. 11월에는 모든 우선 시스템 및 서브시스템 검증을 실시하여 Project Kuiper 네트워크의 데모를 했습니다. 이러한 Project Kuiper의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는 광위성간 링크(OISL) 기능입니다.

Project Kuiper의 프로토타입 위성인 KuiperSat-1과 KuiperSat-2에는 고급 광통신 페이로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광통신 페이로드를 이용한 여러 차례의 데모에 성공했다고 아마존은 발표했습니다. 아마존에 따르면 데모는 약 1000km의 거리에서 100Gbps라는 고속통신의 링크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고 이 테스트는 Project Kuiper의 고급 통신 아키텍처의 최종 구성요소를 입증했기 때문에 2024년 전반에 발사가 예정된 Project Kuiper의 양산형 위성에서도 OISL이 작동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Project Kuiper를 담당하는 Amazon의 기술담당 바이스 프레지던트인 래지브 바디알 씨는 “Amazon의 위성군 전체에 걸쳐 OISL을 통해 Project Kuiper는 우주공간에서 메쉬 네트워크로 효과적으로 작동합니다. 이 시스템은 속도 및 비용 · 신뢰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완전히 자체 설계되었으며 아키텍처 전체가 처음부터 완벽하게 작동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OISL은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행성을 주회하는 위성 간에 데이터를 상호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기존 위성인터넷은 개별 위성과 지상 안테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만 OISL에서는 위성이 구성내 다른 위성에 직접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Amazon은 모든 Project Kuiper 위성에 여러 개의 광단말기를 탑재하여 한 번에 여러 위성과 연결하여 우주에 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고속 레이저 크로스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구성 전체에서 처리량을 향상하고 지연을 줄입니다.

OISL의 또 다른 이점은 데이터를 전 세계로 전송할 수 있는 속도입니다. 빛은 유리를 통과하는 것보다 공간 내를 통과하는 것이 더 빨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Project Kuiper의 위성인터넷은 지상의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통신서비스보다 약 30% 빠르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ject Kuiper는 AWS 서비스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팅하므로 네트워크 전반의 지연을 더욱 단축할 수 있습니다.


OISL은 지구 저궤도(LEO) 위성의 광대역 연결에 대한 오랜 과제였습니다. 레이저 링크를 확립하고 유지하려면 빛의 확산을 최소화하면서 강력한 신호를 확보하고 최대 2600km의 거리에서 통신을 확립해야 하며 최대 시속 2만 5000km의 속도로 이동하는 인공위성 간의 연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인공위성의 역학을 보정하는 동안 이 모든 것을 달성해야 합니다. 이번 테스트를 통해 Amazon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첨단 광학 및 제어시스템 설계에 성공한 것입니다.

Project Kuiper 전문 부문인 Kuiper Government Solutions에서 바이스 프레지던트를 맡고 있는 리키 프리먼 씨는 "아마존의 광메쉬 네트워크는 우주를 통해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여러 경로를 제공하고 전 세계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해야 하는 고객에게 탄력성과 중복성을 제공합니다. 이 점은 통신을 가로채거나 방해받을 수 있는 통신 아키텍처를 피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특히 중요하며 원격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하는 공공부문 고객이 이러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무산소 상태에 빠진 쥐의 뇌파를 해석하는 연구에서 죽음으로 향하고 있는 뇌에서 일어나는 임사체험의 실태와 그 뒤에 밀려오는 '죽음의 파도'이라는 다이나믹한 프로세스의 상세한 부분이 밝혀졌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뇌파가 평평해지는 것이 뇌기능의 돌이킬 수 없는 정지의 결정적인 사인이라는 현대의료의 상식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Laminar organization of neocortical activities during systemic anoxia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9996123003613

Laminar organization of neocortical activities during systemic anoxia

The neocortex is highly susceptible to metabolic dysfunction. When exposed to global ischemia or anoxia, it suffers a slowly propagating wave of colle…

www.sciencedirect.com


Brain dynamics of the "wave of death" highlig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10894

의료의 발달로 인해 생에서 죽음으로의 전환은 어느 순간의 사건이 아니라 천천히 이행하는 연속적인 프로세스이며, 때로는 역전하는 복잡한 현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랑스에 있는 소르본대학 파리뇌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무산소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뇌활동이 연쇄적인 반응인 캐스케이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첫째, 호흡이나 맥박 정지 등으로 산소가 닿지 않는 뇌에서는 에너지원인 전기적 균형이 붕괴되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이 대량으로 방출됩니다. “처음에는 신경회로가 셧다운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 후 뇌활동이 급증하고, 특히 감마파와 베타파가 증가한다고 파리뇌연구소의 신경학자인 세브린 마온 씨는 설명했습니다.

by geralt / https://pixabay.com/ja/illustrations/%E7%94%9F%E6%88%90%E3%81%95%E3%82%8C%E3%81%9Fai-%E8%84%B3-%E8%A6%81%E7%B4%84-%E9%A0%AD-8387045/


그 후 뉴런의 활동은 서서히 저하되어 뇌파가 평탄해지고 완전한 전기적 침묵(electrical silence)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이 고요함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죽음의 파도'로 알려진 큰 파도에 의해 즉시 중단되어 뇌의 기능과 구조에 변화가 찾아옵니다.

논문의 필두저자인 파리뇌연구소의 앙투안 칼튼 루클레르 씨는 “'무산소성 탈분극'이라는 이 중대한 사건은 대뇌피질 전체에 뉴런의 죽음을 일으킵니다. 즉, 죽음의 때에 아름다운 목소리로 운다는 백조의 노래와 유사한 뇌활동 정지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진정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죽음에 직면한 사람의 소생과 뇌의 기능을 유지하려면 죽음의 파도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지금까지는 죽음의 파도가 대뇌피질의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발생한 죽음의 파도가 뇌로 어떻게 퍼지는지는 몰랐습니다.

그래서 파리뇌연구소의 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연구를 실시하여 뇌의 다양한 층의 전위와 뉴런의 전기활동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무산소성 탈분극이 일어나기 전과 일어나고 있는 중의 뇌활동을 비교하자 죽음의 파도가 대뇌신피질의 제5층에 위치하는 추체 뉴런이라는 신경세포로부터 발생해 그것이 뇌의 표면이나 안쪽의 백질을 향해 퍼져 나가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실험은 쥐에 의한 것이지만 연구자들은 인간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추정합니다.

다음은 실험 중인 쥐의 생리반응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한 결과입니다. 산소공급의 중단(Vent.off)에 의해 산소결핍(asphyxia)이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뇌의 활동(ECoG)이 저하되지만, 무산소성 탈분극의 파(WAD), 즉 죽음의 파도가 발생했을 때에 산소의 공급을 재개하면서 무산소성 탈분극 후의 재분극(WpAR)이 일어났습니다.


이 지견은 죽음의 파도가 발생한 대뇌피질의 심층이 산소의 결핍에 가장 약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섯 번째 레이어의 추체 뉴런의 활동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구자들이 쥐의 뇌에 다시 산소를 공급하면 뇌세포가 ATP를 보충하여 뉴런의 재분극과 시냅스 활동의 회복으로 이어진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의 책임자인 스테판 샤르피에 교수는 “생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죽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며, 생과 엄밀하게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 뇌파의 평탄이 반드시 뇌기능의 결정적인 정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기능이 회복하기 위한 조건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심부전이나 폐부전이 된 사람의 소생을 지원하는 신경보호약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촛불 속 과학

과학 & 기술 2023. 12. 12. 16:06


촛불은 옛날부터 생활의 필수품으로 사용되어 전기가 없었을 무렵에는 불빛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생일, 크리스마스, 축제의 등불 등 여러 가지 이벤트의 연출이나 정전되었을 때 등의 재해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촛불은 옛날에는 식물과 동물, 곤충과 같은 자연의 생물에서 유래한 것들로 만들어졌습니다. 현재는 석유로부터 만들어지는 파라핀이 주류입니다.
 

▣ 촛불이 불타는 과정

심에 점화한 불꽃은 그 열로 주위의 촛농을 녹이기 시작합니다. 이 녹은 액체의 촛농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으로 이동합니다. 심의 상부에서는 이동한 액체의 촛농이 한층 더 가열되어 고온의 기체가 되어 공기 중의 산소와 섞여 불꽃이 되어 계속 불타오릅니다.
*모세관 현상이란
가는 관을 액체 중에 세울 때 관 안의 액체면이 다른 액체면보다 높아져 버리는 현상입니다. 미세한 섬유로 만든 실, 천, 종이 등의 가장자리를 물에 붙여 봅시다. 잠시 놓으면 물이 다른 수면보다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화염의 색·밝기·온도

불꽃에는 밝게 보이는 부분과 어둡게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타는 양상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촛불의 중심 주변에서 아직 충분히 불타지 않고 기체가 남아있는 곳을 염심이라고 합니다. 염심은 어둡고 불꽃 중에서도 온도는 낮은 편입니다. 염심의 외측에서 촛농의 기체가 불완전하게 불타고 있는 곳을 내염이라고 합니다. 내염은 완전히 불타지 않는 탄소가 가열되어 붉어지기 때문에 가장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내염의 외측에서 색이 얇아 보이기 어려운 곳을 외염이라고 합니다. 외염은 촛농의 기체가 공기 중의 산소와 연결되어 완전히 불타기 때문에 가장 온도가 높습니다.

▣ 큰 불꽃과 작은 불꽃

불꽃의 크기를 바꾸려면 연료가 되는 촛농을 점점 녹여 심의 상부에 올려 기체로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많은 촛농을 상단에 올리려면 심을 두껍게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만 대량으로 촛농을 소비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촛불은 끝나버립니다. 반대로 심을 가늘게 하면 불꽃은 작아집니다. 작은 불꽃은 촛농의 소비가 적기 때문에 오랜 시간 불탑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ロウソクを科学しよう
https://www.i-kahaku.jp/publications/dayori/backnumber/39/02.html#:~:text=%E8%8A%AF%E3%81%AB%E7%82%B9%E7%81%AB%E3%81%97%E3%81%9F%E7%82%8E,%E7%82%8E%E3%81%A8%E3%81%AA%E3%82%8A%E7%87%83%E3%81%88%E7%B6%9A%E3%81%91%E3%81%BE%E3%81%99%E3%80%82

Posted by 말총머리
,


어려운 문제에 임할 때는 감정을 휘둘리지 않고 침착하고 냉정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최근 텍사스 A&M대학의 연구팀이 실시한 실험에서는 어려운 태스크에 임할 때는 화난 사람이 높은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Want to achieve your goals? Get angry
https://www.apa.org/news/press/releases/2023/10/angry-goals

Anger can lead to better results when tackling tricky tasks – study | Psychology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3/oct/30/anger-can-lead-to-better-results-when-tackling-tricky-tasks-study

Anger can lead to better results when tackling tricky tasks – study

Texas A&M University researchers say findings suggest using negative emotions as tools can be effective

www.theguardian.com


행복과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은 정신건강과 웰빙에 중요하고 가능한 한 분노나 슬픔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텍사스 A&M대학의 심리학과 뇌과학자로 논문의 필두저자를 맡은 헤더 렌치 박사는 “사람들은 종종 행복한 상태가 이상적이라고 믿고 행복의 추구를 인생의 주요 목표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감정이나 의식에는 어떤 기능이나 목적이 있다는 기능주의에 근거하면, 부정적인 감정은 인간에게 불필요한 것이 아니고, 특정한 행동을 촉구하는데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슬픔은 어떤 도움이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분노는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행동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렌치 씨의 연구팀은 1000명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실험을 실시하고 피험자가 가진 특정 감정이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습니다. 한 실험에서는 분노·즐거움·욕망·슬픔 등의 감정을 일으키는 화상을 피실험자에게 보여주고 나서 다양한 난이도의 단어퍼즐을 풀거나 스키점프를 재현한 난이도가 다른 게임 플레이라는 과제를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분노의 감정을 가진 피험자는 어려운 단어퍼즐 작업에서 다른 감정을 가진 피험자보다 더 나은 능률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간단한 단어퍼즐에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스키점프 게임에서는 분노의 감정을 가진 피험자는 중립적 또는 슬픈 감정을 가진 피험자보다 성능이 높았고 즐거움과 욕망을 느끼는 피험자와 같은 정도였습니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분노와 지속성 향상의 관련성이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분노를 느끼는 피험자는 그렇지 않은 피험자와 비교하여 어려운 단어퍼즐을 다루는 시간이 길어졌다는 것입니다.


또 2016년과 2020년 미국 대통령선거의 선거행동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신이 응원하는 후보자가 당첨되지 않으면 화를 낸다고 응답한 피험자들은 선거에서 투표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노가 투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후보자에게 투표하는지에 달려 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렌치 박사는 “이런 발견은 분노가 원하는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증가시키고 더 큰 성공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사람들은 종종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감정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부정적인 감정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섞여 행복을 촉진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사용하는 것이 상황에 따라 효과적이라는 추가 증거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각 중에 9번째로 많은 원소이고 질량비에서는 탄소의 약 30배, 구리의 약 100배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추정되고 있는 금속인 티타늄은 그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입니다. 티타늄이 어떻게 산출, 가공되어 제품 소재로서 이용되어 갔는지에 대해서 건설물리학을 전문으로 하는 브라이언 포터 씨가 설명했습니다.

The Story of Titanium - by Brian Potter
https://www.construction-physics.com/p/the-story-of-titanium

The Story of Titanium

The earth contains a lot of titanium - it’s the ninth most abundant element in the earth’s crust. By mass, there’s more titanium in the earth’s crust than carbon by a factor of nearly 30, and more titanium than copper by a factor of nearly 100. But

www.construction-physics.com


티타늄은 강하고 가벼운 금속으로 항공기 등의 강도, 안전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티타늄은 산소나 다른 원소와 쉽게 결합하기 때문에 주조가 어려워 1900년대 후반까지 상업적으로 생산되지 않았습니다.

티타늄은 1790년 영국의 화학자였던 윌리엄 그레골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1795년에는 프로이센의 화학자 마르틴 클라프로스가 루틸이라는 광물에서 티타늄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산소와 강하게 결합했기에 클라프로스는 이 금속을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에서 이름을 따 '티타늄'이라고 명명했습니다.

결합하기 쉽다는 특성으로 티타늄을 순수한 상태로 얻는 것은 매우 어렵고, 그 후 100년간 티타늄은 실험실에서만 입수할 수 있는 희소 광물로 간주되었습니다. 1880년대 2명의 스웨덴 과학자들이 순도 94%의 티타늄 금속 제조에 성공했으며, 1910년에는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과학자 매튜 헌터가 금속 티타늄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공정은 1930년대까지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1930년, 룩셈부르크의 화학자 윌리엄 크롤은 집의 실험실에서 티타늄의 실험을 시작해 진공하에서 염화티타늄과 마그네슘을 반응시켜 티타늄을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1938년까지 50파운드(약 23kg)의 티타늄 금속 생산에 성공하여 와이어, 봉, 시트, 도금 성형에 성공했습니다. 그 후 크롤은 1938년에 미국으로 건너 가 제법을 팔려고 했는데 실패로 끝났습니다.

같은 해 미국 광업국은 티타늄을 제조하는 독자적인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있던 필립스사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티타늄의 조사를 개시했고 크롤이 확립한 제법이 상업 프로세스로서 가장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개발에 착수 후 전쟁에 의해 지연되었지만 1944년에는 일주일에 100파운드(약 45kg)의 티타늄을 제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했다고 합니다.

티타늄 연구가 가속된 시기는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로, 제품의 근원이 되는 다공질의 스펀지상의 금속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 시기가 1947년입니다. 경량이고 내식성이 있어서 재료가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 항공우주산업에서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1948년 티타늄은 하루에 100파운드의 티타늄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에서 처음으로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합니다. 당초 티타늄은 F-84나 F-86과 같은 전투기에 실험적으로 사용되었고 언론은 '이상한 금속', '기적의 금속' 등으로 표현했으며 1950년부터 1952년에 사이에 20개 이상의 기업이 티타늄 생산계획을 발표하는 등 세상의 관심은 계속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티타늄 산업은 고전을 강요받게 됩니다. 1951년 재료자문위원회는 연간 약 3만 톤의 티타늄 제조를 예측했지만, 실제 출하량은 불과 75톤으로 연구용으로도 부족한 정도였습니다.

따라서 티타늄 제조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개입하여 일부 티타늄 공장 건설에 자금을 제공하고 잉여품을 국가 비축으로 구입하는 등의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국방부에 의한 티타늄 개발 프로그램도 가세해 1958년까지 미국에서만 연간 수천 톤의 티타늄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항공우주를 위한 티타늄 제조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군사 목적과는 완전히 다른 용도가 발견되었습니다. 1952년 스웨덴의 의학연구자였던 Per-Ingvar Brånemark는 토끼 다리에 내장한 티타늄 카메라가 뼈와 결합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당시에는 체내에 이물질을 넣으면 어느 것도 거부반응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뼈가 티타늄과 직접 결합한다는 발견은 급진적인 것으로 곧 주목을 받고 의료용 임플란트의 연구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 후 티타늄제 치과 임플란트나 인공 고관절과 같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시작으로 소리를 전하는 티타늄의 성질을 응용한 골전도 중이 임플란트 등도 개발되게 됩니다.


티타늄에 관한 연구가 비약적으로 진행되어 티타늄은 1960년대 중반까지 유효한 소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1971년까지 생산된 티타늄의 46%가 민간 항공기에, 37%가 정부의 항공우주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등 특히 항공우주 기술을 지원하는 소재로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티타늄의 제조비용은 '누적 생산량이 2배가 될 때마다 비용이 23% 저하한다'라는 맹렬한 학습률로 저하되었지만 여전히 알루미늄에 비하면 5배 넘는 비용이 필요하고 최종 제품은 알루미늄의 10배 가량의 비용이 듭니다. 이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을 몰아내기에는 이르지 않았고, 고비용에 맞는 장소에서의 사용이 중심입니다.

포터 씨는 “티타늄은 지금의 과학기술을 지지하는 중요한 물질인 동시에 과학적 발견과 기술의 진보에 있어서 우연의 중요성에 대해 가르쳐주는 물질이기도 하다. 특히 티타늄의 생체적합성과 의료용 임플란트에의 유용성 등은 완전한 우연에 의한 발견이었습니다. 티타늄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 화학적 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그 역사를 아는 기회를 얻는다는 점도 있습니다. 이러한 학습은 기술의 진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새롭고 보다 좋은 기술의 출현에 도움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이 가진 붉은 피는 산소를 운반하기 위한 헤모글로빈에서 유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색소는 호흡색소라고 불립니다. 인간과는 완전히 다른 메커니즘으로 몸에 산소를 도입하고 있는 동물이나, 원래 색소를 가지지 않고 투명한 피를 가지는 동물 등 신비한 피를 가지는 5종류의 동물을 HowStuffWorks가 정리했습니다.

5 Animals Whose Blood Isn't Red | HowStuffWorks
https://animals.howstuffworks.com/animal-facts/5-animals-whose-blood-isnt-red.htm

5 Animals Whose Blood Isn’t Red

Not all animals have red blood flowing through their veins. Meet some our blue-blooded, green-blooded and, yes, transparent-blooded fellow creatures.

animals.howstuffworks.com


◆1: green-blooded skink

그리스어로 녹색의 피라는 의미의 명칭을 가지는 Prasinohaema속의 도마뱀은 그 이름대로 라임그린의 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뉴기니에 서식하는 이 도마뱀은 혀와 근육, 뼈까지 초록색을 띠고 있지만 인간과 마찬가지로 피에는 헤모글로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가 붉지 않은 이유는 녹색 색깔의 노폐물인 빌리베르딘(Biliverdin)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든 도마뱀이든 적혈구가 노화되어 부서지면 빌리베르진이 생성되는데 유해물질이므로 일반적으로 혈액에서 여과되어 제거됩니다. 한편 이 도마뱀의 피에는 인간이라면 죽어버리는 수준의 빌리베르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헤모글로빈의 적색이 덮어 쓰여 피가 녹색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2018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녹색 피를 가진 도마뱀 6종이 확인되었고, 각각의 종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없는 원연종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녹색의 피라는 특이한 특성을 가진 도마뱀이 6종이나 독자적인 진화를 이루었다는 것은 어떠한 메리트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메리트인지는 불분명합니다. 한 가설은 이 특별한 피가 체내 기생충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남극빙어

지금까지 16종류가 확인된 남극빙어과의 생선 대부분은 수온이 마이너스 1.9도까지 내려가는 남극 부근의 차가운 해역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Icefishuk /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Icefishuk.jpg


진수라면 얼어버리는 극한 환경에서는 적혈구 비율이 높으면 혈액농도가 위험할 수준으로 높아져 순환하기 어려워집니다. 그 때문에 한류역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난류역의 물고기에 비해 적혈구의 비율이 적어진다는 것. 그 극단적인 예가 남극빙어로 혈액 중에 헤모글로빈이 전혀 없습니다.

1928년에 남극빙어를 처음 발견한 생물학자인 디트레프 루스타드는 해부한 코오리우오의 피가 무색 투명한 것을 보고 매우 놀랐다고 합니다.

유일한 헤모글로빈이 없는 척추동물인 남극빙어가 살아가는 데는 차가운 바다의 물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는 수온이 낮을수록 많아지므로 남극빙어가 서식하는 차가운 바다의 물에는 따뜻한 바다보다 풍부하게 산소가 녹아 있습니다. 그 덕분에 남극빙어는 섭취한 산소를 일부러 헤모글로빈과 결합시키지 않고 직접 혈액에 녹여 몸의 구석구석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3: 문어

남극빙어 이외의 척추동물은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는데 무척추동물의 대부분은 헤모시아닌이라는 다른 단백질을 사용하여 산소를 운반합니다.

by NOAA Ocean Exploration / https://www.flickr.com/photos/oceanexplorergov/


헤모글로빈은 철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반면, 헤모시아닌은 구리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결과 산소를 ​​축적하면 피가 파랗게 보입니다. 혈액 중의 헤모시아닌을 이용하는 무척추동물에는 새우나 게 등의 갑각류, 거미나 전갈 등 절지동물, 조개류와 오징어, 문어 등의 연체동물이 포함됩니다. 특히 문어와 오징어는 심장을 3개나 사용해 헤모시아닌을 포함한 혈액을 체내로 순환시키고 있습니다.

산소가 부족한 심해환경에서는 헤모글로빈보다 헤모시아닌이 귀중한 산소의 운반에 적합합니다. 또한 혈액의 염분농도를 조절하고 주변 해수의 농도와 일치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국소적인 해역의 pH가 약간 변화한 것만으로도 산소와 결합하는 헤모시아닌의 기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문어는 산성도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운 것이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4 : 투구게

이름이 게의 동료처럼 보이지만 투구게는 거미에 가까운 생물로 거미와 마찬가지로 헤모시아닌을 포함한 푸른 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투구게의 푸른 혈액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아메바 세포라는 움직이는 세포입니다. 이 아메바 세포가 박테리아를 발견하면 빠르게 응고하는 젤을 분비하여 박테리아를 감싸줍니다. 이 기능으로 백혈구가 없는 투구게는 몸에 침입한 병원균이 몸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투구게 변형세포 용해물(LAL)'이라는 아메바 세포의 성분은 하늘로부터의 선물이라고 평가합니다. 주사와 링거 같은 의약품은 인간에게 사용하기 전에 투구게 피를 사용한 오염 테스트를 통과해야 합니다.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독소에 반응하여 빠르게 굳어지는 투구게의 피로 인류는 안전하게 백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이 검사를 실시하려면 살아있는 투구게에서 피를 빼야 합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투구게의 살아있는 혈액을 대체하는 시약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5 : 완족동물

바다에 사는 완족동물은 외형은 조개류와 비슷하지만 별개로 2장의 껍질 중 1장은 복부에, 다른 1장은 등 쪽에 있습니다. 다양한 해역에 서식하고 수중의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여과해 먹고 있는 완족동물은 캄브리아기부터 거의 모습을 바꾸지 않은 살아있는 화석입니다.

현대의 완족동물은 헤모글로빈이나 헤모시아닌이 아니라 헤메리트린(hemerythrin)이라는 다른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합니다. 헤모글로빈과 마찬가지로 헤메리트린은 철원자를 포함하지만 분자 내부의 배열이 다릅니다. 색도 다르고 헤메리트린을 포함한 혈액은 탈산소 상태에서는 무색이나 얇은 노란색으로, 산소가 흡수되면 보라색이나 핑크색이 됩니다.

그 밖에도 성구동물이라는 지렁이 같은 해양생물도 이러한 혈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Guangzhou-Beihai-shaochong-0459.jpg


물에 서식하는 지렁이 같은 생물로는 다모류도 들 수 있습니다. 다모류 중에는 녹색 피를 가진 종도 있는데 도마뱀과 달리 헤모글로빈 대신에 클로로크루오린(chlorocruorin)이라는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합니다. 클로로크루오린은 철원자로 산소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헤모글로빈과 비슷하며 짙으면 빨갛게 보이지만 얇으면 선명한 녹색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정신분열증은 환각과 망상, 지리멸렬한 사고와 행동이 나타나는 정신장애 중 하나입니다. 고양이 사육과 정신분열증의 발병에 대한 연관성을 조사한 새로운 연구에서 고양이를 키우면 정신분열증의 위험이 두 배가 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Cat Ownership and Schizophrenia-Related Disorders and Psychotic-Like Experienc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Schizophrenia Bulletin | Oxford Academic
https://academic.oup.com/schizophreniabulletin/advance-article-abstract/doi/10.1093/schbul/sbad168/7458104

Cat Ownership and Schizophrenia-Related Disorders and Psychotic-Like Experienc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bstractBackground. It has been proposed that cat ownership may be a risk-modifying factor for schizophrenia-related disorders and psychotic-like experiences (P

academic.oup.com


Mysterious Link Between Owning Cats And Schizophrenia Is Real, Study Says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mysterious-link-between-owning-cats-and-schizophrenia-is-real-study-says

Mysterious Link Between Owning Cats And Schizophrenia Is Real, Study Says

A new review suggests that having a cat as a pet could potentially double a person's risk of schizophrenia-related disorders.

www.sciencealert.com


고양이과 사육과 정신분열증의 발병 리스크의 관련은 이전부터 주장되었고 고양이의 체내에 서식하는 톡소플라즈마(Toxoplasma gondii)가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고양이에 물리거나 대변에 접촉하여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으며, 톡소플라즈마증이라는 질병을 일으키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무증상이나 가벼운 감기 정도로 끝납니다. 미국에서는 약 4000만 명이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신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지만, 명확한 인과관계는 불분명했습니다. 또 톡소플라즈마에 감염한 사람은 성적 매력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어린 시절 고양이와 함께 지내면 정신분열증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한편, 고양이를 키우는 것과 정신분열증의 발병은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는 등 고양이 사육과 정신분열증 사이의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알 수 없었습니다.

호주 퀸즐랜드주 정신보건연구센터의 정신과 의사인 존 맥그래스(John McGlass)의 연구팀은 고양이 사육과 정신분열증의 관계를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1980-2023년에 발표된 17개의 연구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넓은 의미의 고양이 사육과 정신분열증 관련 질환의 위험 증가 사이에 상당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연구팀은 공변량을 조정한 결과 고양이와 접촉한 사람은 정신분열증을 일으킬 위험이 약 2배인 것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덧붙여 연구팀은 이번 검토한 17건의 연구 중 15건이 특정의 병을 발증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한 증례 대조 연구이며, 원인과 발병의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하고 조사대상이 된 연구의 대부분은 질이 낮고 개별 연구결과에는 일관성이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결론적으로 우리의 총론은 고양이 사육과 정신분열증 관련 질환과의 관계를 지지하고 있다"며 고양이 사육과 정신질환의 위험에 대한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광범위한 인구를 대표하는 샘플을 바탕으로 보다 양질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이 2023년 12월 6일에 발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Gemini'는 문자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영상 등도 이해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multimodality가 큰 특징으로, Google가 공개한 Gemini의 성능을 보여주는 데모 영상은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영상에서 제시된 Gemini의 실현은 가짜일 가능성이 지적되었습니다.

Google’s best Gemini demo was faked | TechCrunch
https://techcrunch.com/2023/12/07/googles-best-gemini-demo-was-faked/

Google's best Gemini demo was faked | TechCrunch

Google's new Gemini AI model is getting a mixed reception after its big debut yesterday, but users may have less confidence in the company's tech or

techcrunch.com


Hands-on with Gemini: Interacting with multimodal AI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IZAiXYceBI


블룸버그의 기자인 퍼미 올슨은 “홍보담당자에 따르면 이 영상은 실시간도 음성도 아니었고 Gemini에는 영상의 정지화면과 프롬프트 입력이었으며 영상에 자막으로 프롬프트를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영상에서는 영상이나 화상을 보고 그대로 Gemini가 응답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Gemini가 영상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판단해 응답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영상의 정지화면을 보고 텍스트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소통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입력한 텍스트 프롬프트에 대해 Google은 개발자 블로그에서 공개했습니다.

How it’s Made: Interacting with Gemini through multimodal prompting - Google for Developers
https://developers.googleblog.com/2023/12/how-its-made-gemini-multimodal-prompting.html

How it’s Made: Interacting with Gemini through multimodal prompting

Explore the capabilities of our AI model Gemini with this hands-on guide to multimodal prompting.

developers.googleblog.com


동영상의 2분 45초 부근에서 Gemini와 가위바위보를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는 Gemini가 손의 모양과 움직임을 보고 "가위네요!"라고 반응했는데, 실제로는 3종류의 화상을 읽어 들인 다음에 'What do you think I'm doing? Hint: it's a game.'라고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


또 파란 고무의 오리에 대해서 Gemini와 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개발자 블로그에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IT계 뉴스 사이트 TechCrunch는 불신감을 나타냈습니다.


데모 영상의 타이틀은 'Hands-on with Gemini'인데 마치 Gemini의 실동작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고 TechCrunch는 지적했습니다. 게다가 “아마도 Google AI의 데모는 과장되었다고 상정해야 한다"며 실제 기능이 아닌 것을 데모 영상처럼 공개한 Google을 비판했습니다.

TechCrunch는 “겉으로는 닮았지만, 이것은 같은 상호작용인 것처럼 느껴지지 않습니다. 하나는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그 자리에서 포착한 직관적이고 말이 없는 평가이고, 다른 하나는 기능 제한을 나타내는, 엔지니어링되고 힌트가 많은 상호작용입니다. Gemini의 경우 전자가 아니고 후자였습니다."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TechCrunch에 따르면 Google DeepMind의 연구담당 바이스 프레지던트인 오리올 비냐르스 씨로부터 기사 공개 후 “이 영상은 Gemini로 구축된 multimodality의 사용자 경험이 어떤 것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고 개발자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이 영상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이명은 실제로는 주위에 소리가 없는데도 소리가 들리는 현상이며, 전세계 성인 10명 중 1명이 이명을 경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이명은 청각검사에서 발견되지 않는 정도의 청각신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뇌가 일으킨다고 하버드대학 의학부의 교육병원인 Mass Eye and Ear의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Loss of auditory nerve fibers uncovered in in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09360

Loss of auditory nerve fibers uncovered in individuals with tinnitus

<p>Mass Eye and Ear researchers have uncovered that tinnitus, an incurable persistent ringing or other sounds in the ears, might result from underlying auditory nerve damage that can't be detected on conventional hearing tests. The work builds upon previou

www.eurekalert.org


Tinnitus Could Be Our Brain's Way of Coping With Nerve Damage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tinnitus-could-be-our-brains-way-of-coping-with-nerve-damage

Tinnitus Could Be Our Brain's Way of Coping With Nerve Damage

If you're the one in every ten adults who experiences incessant ringing in your ears, you already know how disruptive tinnitus can be.

www.sciencealert.com


이명의 대부분은 일시적이지만 일부 사람들은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Mass Eye and Ear의 수석연구자인 스테판 메이슨 박사는 “이명은 단순히 소리가 지속적으로 들리는 것이 아니며 많은 환자를 쇠약하게 하고 수면 부족, 사회적 고립, 불안, 우울증 상태를 일으켜 일의 퍼포먼스에 악영향을 미치고 생활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며 악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명은 소음 노출이나 난청, 부상, 귀의 막힘, 감염증 등 귀의 장애와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명이 발생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물리적 진동이 없는데도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소리의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신경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주요 이론이라고 합니다.

이 이론의 지지자들은 뇌가 청각의 상실과 청각신경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전혀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 이명이 발생한다고 추정합니다. 그러나 만성적인 이명을 경험하는 많은 환자에게 난청이 보이지만 일부는 청각검사에서 이상이 보이지 않는 환자도 있기 때문에 이 이론에는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메이슨 씨의 연구팀은 청각검사에서 이상이 보이지 않았던 18세~72세의 29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명의 증상과 청각신경의 손상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험자 중 29명이 6개월 이상에 걸친 만성 이명을, 64명이 6개월 미만의 이명 또는 소음에 노출된 후 일시적인 이명을 경험하고 있으며 나머지 피험자는 이명을 경험한 적이 없었다는 것.

분석 결과, 정상적인 청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명을 경험하는 피험자들은 소리의 정보를 뇌로 보내는 달팽이 신경이 손상되는 Cochlear synaptopathy였습니다. 달팽이 신경 변성증은 유모세포의 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통상의 청력검사나 조직해석에서는 검출할 수 없지만, 달팽이 신경간의 시냅스가 감소해 노화성 난청의 발병을 가속시킵니다.

또한 이명의 정도가 달팽이 신경변성증의 중요한 예측인자가 되고 만성적인 이명을 가진 환자들은 뇌간의 활동항진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메이슨 씨는 이번 연구결과가 이명은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도 포함하여 청각신경 장애로 인한 것이라는 이론을 보강하는 것이라며 "이명의 발생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지 않으면 이명을 치료할 수 없고 이 연구는 이명을 없애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한 첫걸음"이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Super Snapper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3%82%B3%E3%83%BC%E3%83%92%E3%83%BC%E3%81%AE%E9%9A%A3%E3%81%AE%E3%83%86%E3%83%BC%E3%83%96%E3%83%AB%E3%81%AE%E4%B8%8A%E3%81%AB%E5%BA%A7%E3%81%A3%E3%81%A6%E3%81%84%E3%82%8B%E6%90%BA%E5%B8%AF%E9%9B%BB%E8%A9%B1-ZsimLXUS_cY


Apple과 Google이라는 스마트폰 OS 개발의 톱 기업이 푸시알림에 관한 데이터를 정부기관에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푸시알림을 통해 유저를 감시하고 있던 대상은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는 민주주의 국가라고 합니다.

Governments spying on Apple, Google users through push notifications - US senator | Reuter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cybersecurity/governments-spying-apple-google-users-through-push-notifications-us-senator-2023 -12-06/

Apple Just Confirmed Governments Are Spying on People's Phones With Push Notifications
https://www.vice.com/en/article/wxjbv9/apple-just-confirmed-governments-are-spying-on-peoples-phones -with-push-notifications

Apple admits to secretly giving governments push notification data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tech-policy/2023/12/apple-admits-to-secretly-giving-governments-push-notification- data/

스마트폰 앱은 푸시알림을 사용하여 받은 메시지의 내용이나 뉴스 속보를 알리는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푸시알림은 Apple 및 Google과 같은 모바일 OS 개발자의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되므로 양사는 앱이 푸시알림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푸시알림 자체는 매우 익숙한 기능이지만 Apple이나 Google 서버를 통해 전송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용자가 많고 앱개발자 중에는 "푸시알림 기능은 개인정보 보호의 악몽"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오리건주 선출의 민주당 의원인 론 와이든 상원의원은 외국 정부기관이 Apple이나 Google에 푸시알림 기록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는 밀고를 받아 조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Apple과 Google은 이 문제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미국 정부에 의해 제한된다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와이든 상원의원에게 정보를 유출했다는 관계자는 데이터 제공을 요청한 외국 정부가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는 민주주의 국가"라고 알렸습니다.

와이든 상원의원은 메릭 가랜드 사법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Apple과 Google은 정기적으로 정부의 다른 유형의 데이터 요청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히 외국 정부로부터 받는 법적 요구에 대한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한다"며 법원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지 않는 한 데이터 요청에 대해 특정 고객에게 알릴 수 있게 하는 등 Apple과 Google이 정부의 모니터링 실태를 밝힐 수 있도록 요구했습니다.

by Jamie Street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9%9B%BB%E8%A9%B1%E3%82%92%E6%8C%81%E3%81%A3%E3%81%A6%E3%81%84%E3%82%8B%E4%BA%BA-33oxtOMk6Ac


와이든 상원의원에 따르면 푸시알림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대부분 메타데이터로 어떤 앱이 언제 알림을 받았는지, 알림이 전달될 예정인 스마트폰과 관련된 Apple 및 Google 계정을 자세히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통지로 전달된 텍스트 등의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가 정부기관에 제공되는 경우도 있는 모양. 와이든 상원의원은 “Apple과 Google은 정부기관에 의해 비밀리에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강제되었을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Apple은 개발자에게 푸시알림을 통해 전송되는 기밀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조언하고 있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Apple의 홍보담당자는 기술미디어인 Motherboard와의 인터뷰에서 "프로바이더가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오랫동안 지지해 왔다"며 다음에 공개할 예정인 투명성 보고서에서 정부기관의 요청 세부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Google의 홍보담당자는 "Google은 와이든 상원의원이 언급한 요청을 포함하여 당사가 받는 사용자 데이터에 제공 요청의 수와 종류를 공유하는 공개 투명성 보고서를 공개한 최초의 대기업으로, 이러한 요구에 대해 사용자에게 항상 정보를 제공한다는 와이든 상원의원의 대처를 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영국 북서부의 원자력 복합시설 셀라필드가 "러시아와 중국과 관련된 사이버범죄 그룹에 의해 해킹되었다"고 영국의 주요 일간지인 The Guardian이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영국 정부는 “해킹 피해를 입은 증거는 없다”고 반론했습니다.

Sellafield nuclear site hacked by groups linked to Russia and China | Energy industry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business/2023/dec/04/sellafield-nuclear-site-hacked-groups-russia-china

Sellafield nuclear site hacked by groups linked to Russia and China

Exclusive: Malware may still be present and potential effects have been covered up by staff, investigation reveals

www.theguardian.com


셀라필드는 제2차 세계대전 중 군사공장으로 건설되어 냉전시기였던 1940년대에는 군사용 플루토늄의 생산을 시작했습니다. 1957년에는 영국 사상 최악의 원자력사고인 윈즈케일 원자로 화재사고가 발생했고 1973년에는 31명의 노동자가 피폭되는 대규모 누설사고가 일어났으며 1980년대에는 방사성물질을 포함하는 폐수를 바다에 계속 방출해 세계 최악의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등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장소 중 하나로 꼽힙니다.

현시점의 셀라필드는 2120년까지의 장기적 계획으로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나 원자로의 폐로 등을 실시하고 있어 관리나 해체작업을 위해 약 1만 1000명 이상이 일하고 있습니다. 무장 경찰에 의한 경비나 외국의 공격에 대비한 긴급계획 문서도 갖춘 셀라필드인데, The Guardian은 셀라필드의 조사 프로젝트 'Nuclear Leaks'으로 셀라필드가 러시아나 중국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이버범죄 그룹에 해킹당했다고 보도했습니다.

The Guardian에 따르면 당국은 셀라필드의 IT 시스템이 침해된 정확한 시기를 파악하지 않았지만, 시스템 침해가 최초로 검출된 시기는 201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정보제공자가 증언했습니다. 발견된 악성코드는 시스템에 잠복하여 스파이나 공격을 하는 'Sleeper malware'로 방사성폐기물의 이동이나 방사능 누설의 감시, 화재 체크 등 셀라필드의 가장 기밀성이 높은 활동의 일부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정보제공자의 증언에 따르면 셀라필드는 수년간 원자력 규제당국에 대한 보고를 게을리했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과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리스크 평가의 정량화가 곤란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시스템 침해와 그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 셀라필드의 고위 직원은 일관되게 은폐했다고 The Guardian은 보도했습니다.

영국의 원자력규제국(ONR)이나 정보기관인 보안국에 따르면 셀라필드는 2022년 사이버보안에 관한 문제에 대해 '특별 조치'를 강구했다고 합니다. 또한 ONR은 사이버보안의 결함을 이유로 셀라필드 관계자를 기소할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셀라필드의 안전하지 않은 서버 문제는 해리포터 시리즈의 악역에 빗대어 "볼데모트"라고 불렸다고 원자력 규제국의 조사나 셀라필드의 보안문제에 익숙한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셀라필드의 간부는 적어도 2012년 시점에서 중대한 보안 취약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로부터 10년 이상이 경과했지만 유효한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원자력 규제당국은 The Guardian의 취재에 대해 셀라필드가 필요한 사이버보안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인정했지만, 시스템 침해나 간부에 의한 은폐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습니다. 홍보담당자는 일부의 구체적인 사항은 조사중이라며 “셀라필드는 사이버보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모든 시스템과 서버에는 여러 개의 보호 레이어가 있습니다. 중요한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IT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셀라필드에 대한 공격은 통하지 않는다”고 대답했습니다.

덧붙여 영국 정부는 The Guardian의 기사에 대해 셀라필드가 국가 주체에 의한 사이버공격의 피해를 당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기록이나 증거는 없다며 “우리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견고하고 시스템에 그러한 악성코드가 없다고 확신한다”고 주장했습니다.

Britain says no evidence of Sellafield nuclear site hacking |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uk/britain-says-no-evidence-sellafield-nuclear-site-has-been-hacked-2023-12-04/

Britain says no evidence of Sellafield nuclear site hacking

Britain has no records or evidence to suggest that networks at the Sellafield nuclear site were the victim of a successful cyber attack by state actors, the government said on Monday following a report by the Guardian newspaper.

www.reuters.com

Posted by 말총머리
,
Credit: NASA/ESA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의 우주구조연구그룹에 소속된 연구자인 슬라바 G. 트리셰프 씨가 수광년 거리까지 전력을 전달하는 '성간 전력 전달을 위한 중력렌즈'라는 논문을 온라인에 공개했습니다. 트리셰프 씨에 따르면 논문에서 제시한 이론의 포괄적인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현재의 과학 수준에서 실현 가능한 이론이라고 보았습니다.

Gravitational lensing for interstellar power transmission
https://arxiv.org/pdf/2310.17578.pdf

Civilizations Could Use Gravitational Lenses to Transmit Power From Star to Star - Universe Today
https://www.universetoday.com/163994/civilizations-could-use-gravitational-lenses-to-transmit-power-from-star-to-star/

Civilizations Could Use Gravitational Lenses to Transmit Power From Star to Star

A new paper shows how gravitational lenses could be used to beam power from one star system to another.

www.universetoday.com


항성이나 은하 등이 발하는 빛은 진행 위치에 있는 천체의 중력장의 영향으로 왜곡된 시공을 통과할 때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구부러 집니다. 이 때 빛은 광학렌즈를 통과할 때와 같은 구부러지는 모습을 하기 때문에 도착한 상이 활모양으로 왜곡되어 보이거나 먼 작은 상이 확대되어 보이는 등 광학렌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 현상은 '중력렌즈 효과'라고 불리는데, 이 현상으로 주위에 천체가 없기 때문에 관측이 어려운 떠돌이 블랙홀을 5150광년 거리에서 관측하거나 27억 광년 떨어진 은하의 블랙홀을 발견하는 등의 연구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태양을 태양중력렌즈(SGL)로 이용함으로써 천문학이나 지구외 생명체의 탐색에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중력렌즈로 무선신호를 확대하여 '성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논문 도 발표되었습니다. 트리셰프 씨는 2023년 11월에 발표한 논문에서 항성의 중력렌즈를 사용하여 별에서 별로 전력을 전달하는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논문은 온라인에 공개되었으며 미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과학학술잡지인 '피지컬・리뷰' 게재심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논문에서는 별의 중력초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집중시켜 다른 별계에 빔을 조사하는 형태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을 검토했습니다. 트리셰프 씨에 의하면 행성간 통신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장치를 전달하는 빔의 규모에 맞추어 구축함으로써 한 쌍의 항성 중력렌즈가 성간 거리에서 빛의 상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

이 연구는 SGL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얻은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전달되는 빛과 에너지가 어떻게 증폭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우주와 천문학 주제를 게재하는 Universe Today와의 인터뷰에서 트리셰프 씨는 “동력전달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도구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SGL의 전달능력에 관한 주제를 오랫동안 피해 왔으나 현재는 많은 관련성이 있는 중요한 주제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 연구와 연결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by Gaurav Singh /https://www.pexels.com/ja-jp/photo/18776875/


연구는 먼저 SGL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얻은 분석도구를 통해 중력렌즈 시스템에서 빛이 어떻게 증폭되고 전달되는지를 재검토했습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방법을 자유공간에 배치한 레이저 출력장치에 응용하는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중력렌즈의 이론을 적용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력렌즈의 초점영역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장치는 수신기가 수광년 거리에서 수신한 파워를 증폭할 수 있어 SGL을 사용하여 빔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통신 그리고 전력공급을 할 수 있다고 결론냈습니다.

중력렌즈를 이용해 통신 및 전력공급을 수광년 거리까지 할 수 있다면 성간탐사를 장기간에 걸쳐 실시할 수 있는 것 외에 테라포밍에 충분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트리셰프 씨는 “이 연구는 실현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관련 물리학에만 초점을 맞추어 비추측적인 방식으로 모든 주제를 다룬 첫 번째 논문으로, 기계나 한 쌍의 렌즈, 수신기의 위치에 따른 어긋남, 렌즈의 내부구조를 특징짓는 모멘트의 존재 등 더 많은 주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으나 실현 가능한 이론”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항공사에 안전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 OPSGROUP이 2023년 9월 하순 중동 상공을 비행하는 민간 항공기가 위치정보를 위장한 GPS 신호를 수신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고장나는 사태가 잇따라 발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공격은 악화 중이며, 민간 항공기가 의도하지 않고 영공침범 등을 하는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GPS Spoofing: Pilot QRH – Hotspots and What To Expect – International Ops 2023 – OPSGROUP
https://ops.group/blog/gps-spoofing-pilot-qrh-hotspots-and-what-to-expect/

GPS Spoofing: Pilot QRH – Hotspots and What To Expect

This quick reference shows the hotspots for the new GPS Spoofing incidents. There are only 3 areas where spoofing (fake signal) has been seen. Each aircraft is different, but the key pilot action is to de-select GPS as a sensor input – before entering th

ops.group


Commercial Flights Are Experiencing 'Unthinkable' GPS Attacks and Nobody Knows What to Do
https://www.vice.com/en/article/m7bk3v/commercial-flights-are-experiencing-unthinkable-gps-attacks-and-nobody-knows-what-to-do

Commercial Flights Are Experiencing 'Unthinkable' GPS Attacks and Nobody Knows What to Do

New "spoofing" attacks resulting in total navigation failure have been occurring above the Middle East for months, which is "highly significant" for airline safety.

www.vice.com


9월 하순에 이란 근교의 상공을 비행한 여러 민간 항공기가 알 수 없는 출처로부터 위치정보로 위장된 GPS 신호를 수신했습니다. 이 신호로 인해 항공기가 실제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장소를 비행하고 있는 것처럼 항행시스템이 착각해 현재 위치를 잃어버렸다는 것. 피해를 받은 1대는 위험하게 이란 영공에 무단으로 침입할 뻔했다고 합니다.

OPSGROUP은 11월 보고에서 일련의 GPS 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이라크 바그다드, 이집트 카이로,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3개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9월 하순부터 5주 동안 50건 이상의 사례를 추적했다고 말합니다.

GPS 신호를 조작하여 가짜 위치정보를 표시시키는 'GPS 스푸핑'이라고 하는 수법 자체는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이것을 항공기의 항행 시스템을 파괴하는 공격으로 악용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고, 항공전자공학의 설계에 있어서 근본적인 결함을 드러내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가짜 GPS 신호에 의한 위치정보의 스푸핑은 자이로스코프나 가속도계 등을 이용해 항행을 지원하는 관성기준장치(IRS)를 파괴하고 항공기의 항행시스템을 기능부전에 빠뜨립니다.


OPSGROUP은 "IRS는 스푸핑 할 수 없는 독립형 시스템이어야 합니다. 기내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능을 모두 잃고 항공관제관에게 자신의 위치를 ​​물어 방위각을 지시하게 해야 하는 사태는, 특히 최신 항공전자 시스템을 탑재한 최신기에 있어서 거의 있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여러 보고서에서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라고 보고했습니다.

위성통신을 연구하는 텍사스대학 오스틴교의 토드 햄프리즈 교수는 이전부터 중동지역에서는 GPS신호를 방해하는 공격이 자주 일어났지만 GPS 스푸핑을 이용한 항공기 방해는 새로운 형태라고 지적했습니다. 햄프리즈 교수에 따르면 지금까지 불법 어선 등이 이용해 온 GPS 스푸핑에서는 GPS 신호의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위치정보의 위장보다 GPS 서비스의 거부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햄프리즈 교수는 “GPS와 IRS와 백업은 현대 항공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로, GPS 판독치가 손상되면 비행관리 시스템이 잘못된 항공기 위치를 추정하고 합성 비전 시스템이 잘못된 컨텍스트를 표시한다”며 일련의 GPS 공격으로 인한 영향은 매우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일반적인 GPS 재밍과 이번 GPS 스푸핑 공격이 다르다는 점은 GPS 재밍이 단순히 GPS 기능을 방해하는 반면 GPS 스푸핑은 백업 IRS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햄프리즈 교수는 “이것은 GPS가 고장나면 추측항법의 백업 역할을 하는 IRS가 GPS 스푸핑에 직면하면 전혀 백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그 원인으로 "GPS 수신기가 IRS를 파괴하고, IRS가 잘못된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GPS 스푸핑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고장에 대한 해결책은 없고, 업계는 대응책을 찾아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상을 감지한 항공기 승무원은 육상 항공관제관에 의존할 수 있으나 이는 확장 가능한 해결책이 아닙니다.

햄프리즈 교수는 “GPS 스푸핑은 항공시스템에 대한 제로데이 익스플로잇처럼 작동한다"며 일련의 GPS 스푸핑 배후에 조직이나 국가가 개입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지구의 저궤도에 있는 여러 우주선에 의한 GPS 측정을 사용하여 지도 학생인 잭 클레멘츠 씨가 지난 주 스푸핑 신호의 소스를 이란 테헤란의 동쪽 부근으로 식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역에서 GPS 스푸핑을 하고 있는 것은 이란뿐만은 아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격렬한 군사충돌이 일어난 후 이스라엘도 GPS 스푸핑을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테러리스트로부터의 미사일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 GPS 스푸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과정에서 민간인이나 민간 항공기에 피해가 나올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클레멘츠 씨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착륙하는 파일럿에게 GPS 이외의 방법에 의지하여 착륙하라고 경고했다고 합니다.

햄프리즈 교수는 “10월 15일경부터 이스라엘 상공에서 볼 수 있는 강력하고 끈질긴 스푸핑은 거의 확실히 이스라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면서도 이란 근교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민간 항공기에 대한 GPS 스푸핑을 이용한 공격이 확인된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YouTube는 건너뛸 수 없는 30초 광고를 도입하거나 선도적인 광고차단 툴인 Adblock Plus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광고 회피를 막고 있습니다. YouTube뿐만 아니라 많은 동영상 게재 사이트가 광고 동영상을 적극적으로 게재하고 있는데, 그러한 광고 동영상을 가능한 한 짧게 해주는 확장기능이 'Ad Accelerator'입니다.

GitHub - rkk3/ad-accelerator
https://github.com/rkk3/ad-accelerator

GitHub - rkk3/ad-accelerator

Contribute to rkk3/ad-accelerato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Ad Accelerator를 개발하고 있는 풀스택의 개발자 로버트 카핀스키 씨는 YouTube가 Adblock Plus 및 uBlock Origin과 같은 광고차단 툴을 금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새로운 광고 회피책으로 Ad Accelerator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개발 초기에는 YouTube에서 기능하는 광고차단 툴로 시작한 Ad Accelerator이지만 현재는 YouTube뿐만 아니라 Vimeo, Dailymotion, Netflix, Hulu 등의 동영상 게재 서비스도 지원합니다. 개발자인 카핀스키 씨는 해외 게시판인 Hacker News에서 “동영상 광고를 피하기 위한 독자적인 확장기능을 구축했습니다. 광고 동영상은 음성이 음소거되고 재생속도가 10배가 되며 버튼이 있는 경우 건너뜁니다.”라고 설명했으며 광고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광고가 재생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확장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어필했습니다.

Ad Accelerator는 Chrome용 확장프로그램으로 제공되며 Chrome 웹스토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d Accelerator - Chrome 웹스토어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ad-accelerator/gpboiedfklodfhngobidfjecdpmccehg

Ad Accelerator

Detects if a video ad is playing, mutes the video and dramatically increases speed.

chrome.google.com


실제로 Ad Accelerator를 추가하면 배속으로 광고 동영상이 흐르고 가능한 한 광고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해줍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과학 동영상을 많이 작성하는 Kurzgesagt가 지구의 45억 년을 1시간 만에 되돌아보는 동영상을 작성해 공개했습니다.

4.5 Billion Years in 1 Hour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7TUe5w6RHo


45억 년 전 지구는 방금 태어났고 용암 투성이었습니다. 지구는 그 후 테이아라고 불리는 화성 크기의 천체와 충돌하여 현재 달을 형성했다고 합니다.

지구 탄생으로부터 9000만 년이 경과했을 무렵에는 물이 존재했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고 생각되는 '지르콘'이라는 광물의 산소동위체비를 측정하면 당시 지표 부근에 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부상한다고 합니다.

지구는 탄생 이래 수많은 소행성의 충돌이 계속 발생했습니다. 탄생으로부터 수억 년 후 아직도 지표는 고온이었지만 태초의 세포가 지구에 퍼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 후 지구는 계속 차가워지고 수백만 년에 걸쳐 비가 내리기 시작했고 지구를 물로 덮습니다. 그 후 시작된 것이 태고대 시대. 약 40억 년 전부터 25억 년 전까지를 가리키는 기간입니다.

이 시점에서 지구의 대부분은 여전히 수중에 있었고 첫 번째 초대륙이 깊은 곳에서 형성되는 단계였습니다. 이 시기에 구축되었다는 퇴적암 '스트로마톨라이트'가 현대에도 발견되고 있어서 지구상에 생명이 탄생한 바로 그 순간을 추측하는 단서로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약 32억 년 전 지각판이 서로 충돌하고 잡아당겨졌고 일부는 지구의 깊은 곳에 밀려 녹아갔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대륙의 기초입니다. 바다는 40°C 이상인 뜨거운 물이었고 미생물은 모든 장소로 확산을 시작한 시대입니다. 아직 온실가스를 소비하는 식물은 없었고 모든 곳이 매우 고온이었습니다. 대기에는 산소도 아직 없습니다.


28억 년 전 지구는 여전히 매우 가혹한 환경이었지만 지구 내부에서 더 많은 화학물질이 떠올랐고 생명이 그것들을 사용하여 진화를 이루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박테리아 등의 원핵생물이 정착하기 시작하여 생명은 점점 다변화되어 갔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대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아직 단세포 생물밖에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25억 년 전 지구를 크게 바꾸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이 무렵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분출된 산소로 대기가 포화했고 생명이 더욱 다양해졌습니다. 공기 중의 산소가 메탄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형성하였고 급속하게 행성이 식어갔습니다. 이 시기부터 수억 년에 걸쳐 빙기가 찾아옵니다.

약 23억 년 전 화산활동이 활발해져 지구를 가열했고 얼음이 천천히 녹아 갔습니다. 20억 년 전에는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해 현대에도 남아 있는 거대한 분화구를 생성했고 지각변동으로 인해 큰 산맥도 형성되었습니다.


16억 년 전 세포핵을 가진 진핵생물이 탄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생명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입니다.

14억 년 전에는 드디어 지구의 내핵이 형성되었고 10억 년 전에는 지구는 바다로 넘쳐납니다.

그 후 수억 년에 걸쳐 대형 진핵생물이 잇달아 탄생했지만 7억 2000만 년 전에 다시 지구가 동결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생명이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6억 3500만 년 전 초대륙 Gondwana가 형성됩니다. 그 무렵에 다세포 생물이 세계 각지에 퍼져 약 5억 3900만 년 전에 캄브리아기 생물대폭발(Cambrian explosion)이 시작됩니다.

현대의 주요 동물의 조상이 이 시기에 나타났고 식물은 육지로 진출했습니다. 식물이 지구 전체에 퍼진 것에 의해 지상에 토양이 태어났고 지구를 덮고 있던 이산화탄소가 산소로 변환되어 갑니다. 나무, 숲, 수중생물이 태어났고 첫 척추동물이 육지로 올라갑니다.


3억 5900만 년 전의 석탄기에는, 삼림과 습지대의 양이 피크에 달했고 생명은 매우 빨리 진화했습니다. 2억 9900만 년 전의 페름기에는 Gondwana 대륙 등이 차례차례로 충돌하여 초대륙 판게아가 태어났으며, 그로부터 수천만 년 후 역사상 최대의 대량멸종이 발생하여 대부분의 종이 죽어 버렸습니다.

계속되는 약 2억 5200만 년 전 삼첩기가 시작됩니다. 이른바 공룡이 활보하고 있던 시대로, 생명은 점점 번영해 갔습니다.


그 후 공룡은 멸종했고 약 6600만 년 전의 고 제3기에 포유동물이 대두하기 시작해 현대 인류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에서의 생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수수께끼 투성이고 일부 가설은 혜성이 생명의 기초가 되는 유기물을 옮겨 온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그러나 혜성은 엄청난 속도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열이나 충돌의 충격에 의해 유기물은 파괴되어 버립니다. 혜성이 유기물을 운반했다고 가정한 연구는 혜성이 바운드하듯 이동했을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Bouncing’ comets could deliver building bloc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07668?

'Bouncing' comets may be able to spread life throughout the universe | Space
https://www.space.com/comets-bouncing-seed-life-on-exoplanets

Comets that 'bounce' from planet to planet could spread life across the universe

New research shows how comets could be a source of extraterrestrial life in planets outside of our solar system.

www.space.com


지난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은 혜성이 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에 대해 연구했고, 성과로는 2009년에 NASA의 스타더스트 미션에서 Wild 제2 혜성으로부터 회수된 샘플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구성요소인 글리신을 발견했습니다. 유럽 우주기관의 로제타 미션에서도 Churyumov–Gerasimenko 혜성의 대기 중에 유기화합물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화합물은 행성과의 충돌 시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혜성기원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유기화합물이 온전하고 살아남는 시나리오를 확립시켜야 합니다.

이에 케임브리지대학 천문학연구소의 리처드 안슬로 씨 연구팀이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혜성이 초속 15km 이하라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움직였을 경우 유기물의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혜성은 행성의 인력 등으로 인해 속도가 저하되지만 초속 15km 이하로 감속하기 위해서는 행성의 인력으로 끌어당겨져 충돌하기 전에 다른 행성의 인력에 끌려가는 것을 반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행성 사이를 바운드하듯 이동했을 경우 유기화합물을 유지하면서 행성에 대기권 돌입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혜성의 궤도를 보여주는 모델도 개발하여 태양계외 생명을 품는 행성의 탐색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안슬로 씨는 “혜성이 복잡한 분자를 운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지구에 생명이 탄생하는 계기가 된 분자는 혜성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은하계의 다른 행성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이 2023년 2월에 발표한 채팅 AI 'Bard'는 출시 이후 Google 렌즈 기능 추가 등 적극적인 개발이 이루어졌습니다. Google은 2023년 11월 16일부터 Bard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연령을 1세 인하했고 동시에 그래프 생성 기능이나 불법 약물 등의 안전하지 않은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는 '안전 기능' 등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Google will responsibly expand Bard access to teenagers around the world
https://blog.google/products/bard/google-bard-expansion-teens/

How we’ve created a helpful and responsible Bard experience for teens

We’re responsibly expanding access to Bard to teens to help them find inspiration, learn new things and solve everyday problems.

blog.google


Google Bard now available for teens with safety features
https://9to5google.com/2023/11/15/google-bard-teens/

Google Bard now available for teens with safety features, chart generation

Following the Search Generative Experience (SGE) in September, Google is rolling out Bard access for teens with safety guardrails in place.

9to5google.com


Google은 2023년 11월 16일 이후 Google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최소 연령 요건을 채우는 청소년들에게 Bard에 대한 액세스를 개방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Google에 따르면 Bard는 학급위원장으로서의 연설을 작성하는 방법과 지원해야 할 대학 제안, 새로운 스포츠를 배우는 방법 등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청소년들에게 영감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


Google은 "Bard는 청소년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학습도구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학습하는 주제를 깊이 파고 들며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청소년의 대화형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Google은 Bard에 수학 방정식을 입력하거나 업로드하는 것만으로 방정식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답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도 제시하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수개월간에 자원봉사한 활동을 실시한 시간을 막대그래프로 표시해 달라고 Bard에 요구할 경우 프롬프트에서 언급된 표나 데이터로부터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영어만 지원하지만 향후 더 많은 언어가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Google은 Bard가 청소년에게 부적절한 콘텐츠를 인식하도록 훈련한 결과 이를 방지하는 '안전 기능'을 구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Google은 청소년을 위한 Bard를 개방함에 있어서 Family Online Safety Institute를 비롯한 어린이의 안전과 발달 전문가와 상담해 콘텐츠 정책과 안전 우선 경험을 책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청소년이 사실에 근거한 질문을 Bard에 대해 실시했을 경우 자동적으로 더블 체크 응답 기능이 실행되어 Bard가 내는 답변을 입증하는 콘텐츠가 웹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며 “10대는 정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이중 체크 응답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고 조언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Rami Al-zayat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3%82%B7%E3%83%AB%E3%83%90%E3%83%BC%E3%81%AEandroid%E3%82%B9%E3%83%9E%E3%83%BC%E3%83%88%E3%83%95%E3%82%A9%E3%83%B3-w33-zg-dNL4


그리스 전 재무장관이자 경제학자 야니스 발파키스(Yanis Varoufakis) 씨가 “기존 자본주의가 테크노 봉건제로 대체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Is capitalism dead? Yanis Varoufakis thinks it is – and he knows who killed it
https://theconversation.com/is-capitalism-dead-yanis-varoufakis-thinks-it-is-and-he-knows-who-killed-it-213992

Is capitalism dead? Yanis Varoufakis thinks it is – and he knows who killed it

Traditional capitalists are still flourishing, but according to Yanis Varoufakis they are not driving the economy like they used to.

theconversation.com


발파키스 씨는 1967년부터 1974년에 걸쳐 그리스의 독재 정권 하에서 자라 경제학의 교수가 되었고 2015년에는 단기간이지만 그리스의 재무대신을 맡았던 인물입니다. 아버지는 제철소에서 일하는 화학기술자였고 기술이 어떻게 사회변혁을 추진하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발파키스 씨에게 가르쳤다고 합니다. 또 아버지로부터 '자본주의와 진정한 자유는 대극에 있다'는 신념이 심어졌다고 합니다.

1993년 발파키스 씨의 아버지가 처음으로 인터넷에 접했을 때 그는 아들에게 “컴퓨터는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데 이 네트워크는 자본주의를 타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까? 아니면 자본주의의 아킬레스건이 될까?"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 발파키스 씨는 항상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계속 찾아왔습니다. 저서인 'Technofeudalism:What Killed Capitalism(테크노 봉건제:자본주의를 죽이는 것은 무엇인가)'에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적혀 있습니다.


발파키스 씨는 이 저서에서 "우리는 더 이상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 있지 않고 기존의 자본주의는 기술적으로 진보한 봉건제로 모습을 바꾸고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기존의 자본가는 공장·기계·원재료·자금 등의 자본을 구사해 노동자를 일하게 하고 이익이라는 형태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자본가가 지금도 번영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발파키스 씨는 “종래의 자본가는 이전과 같이 경제를 견인하고 있지 않다”고 보았습니다.

종래의 자본가는 '속국의 자본가'가 되어 버렸다고 지적하며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막대한 부를 창출하는 새로운 지배자인 빅테크에 자본가는 종속·의존하게 되었다는 것.

"현재 시장은 시장과 비슷하지만 시장이 아닌 디지털 거래 플랫폼으로 대체되고 있다"며 아마존과 같은 서비스를 언급했습니다. 이런 플랫폼을 사용하게 되면 "자본주의를 벗어나게 되어 봉건제를 닮은 것(테크노 봉건제)에 들어가게 된다"고 발파키스 씨는 지적했습니다.

by Marques Thomas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3%82%A6%E3%82%A7%E3%83%96%E3%82%B5%E3%82%A4%E3%83%88%E3%81%8C%E6%8E%B2%E8%BC%89%E3%81%95%E3%82%8C%E3%81%9F%E3%82%B3%E3%83%B3%E3%83%94%E3%83%A5%E3%83%BC%E3%82%BF%E3%83%BC%E7%94%BB%E9%9D%A2-hO5s1nSEMSc


'디지털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Amazon의 경우 판매자(자본가)가 아닌 플랫폼 측이 상품의 판매방법과 어떤 고객에게 접근할지를 결정합니다. 판매자는 플랫폼 측이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이러한 룰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판매자는 빅테크에 종속·의존하게 되고 빅테크 측은 판매자가 정해진 판매방법을 지키지 않는 경우 판매자를 쫓아냅니다. 모바일앱 개발자가 앱스토어에서 쫓겨나거나 광고회사가 Google의 광고 비즈니스에서 제외되면 비즈니스가 성립되지 않게 되는 것은 이상하지 않습니다.

또한 빅테크가 구축하는 플랫폼(디지털 영지)에 액세스하려면 엄청난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Apple의 App Store의 경우 타사 개발자는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징수되고 Amazon도 타사 판매자에게 매출의 35%를 수수료로 청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중세 봉건 영주가 토지와 그 안의 모든 것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농민의 작물 대부분을 징수하고 있던 구도와 매우 비슷하다고 발파키스 씨는 지적했습니다.

빅테크 플랫폼은 자유시장 경쟁에서 분명히 벗어나 있으며, 사용자가 플랫폼상의 객체를 클릭할 때마다 눈부신 속도로 부와 권력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by John Schnobrich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9C%BA%E3%81%AE%E4%B8%8A%E3%81%A7%E9%8A%80%E8%89%B2%E3%81%AE%E3%83%A9%E3%83%83%E3%83%97%E3%83%88%E3%83%83%E3%83%97-%E3%82%B3%E3%83%B3%E3%83%94%E3%83%A5%E3%83%BC%E3%82%BF%E3%83%BC%E3%82%92%E4%BD%BF%E7%94%A8%E3%81%97%E3%81%A6%E3%81%84%E3%82%8B%E4%BA%BA-yFbyvpEGHFQ


나날로 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 혁신의 핵심은 클라우드에 연결된 기기와 서비스(스마트폰, 노트북, Alexa, Google 어시스턴트, Siri)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이 훈련되어 사용자는 향상된 알고리즘으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피드백 루프는 사용자의 욕망과 행동을 형성하고 빅테크는 더 많은 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발파키스 씨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자를 "클라우드 농민"이라고 표현하며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이용자이자 자본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늘어나면 늘어날 만큼 기술기업은 거기에서 부를 창출하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영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됩니다. 발파키스 씨는 “전통적인 자본주의 복합기업에서는 수입의 약 80%가 직원의 급여에 충당되지만 현재 빅테크는 수입의 불과 1% 미만"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러한 디스토피아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원동력이 된 원인은 "Web 1.0에서 Web 2.0으로 바뀌어 미국과 중국의 빅테크가 민영화된 것"과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로 경제를 재부상시킬 중앙은행 자금이 대기업에 흘러간 것”이라고 발파키스 씨는 지적했습니다. 빅테크가 민영화되어 거기에 대량의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빅테크의 주가는 천문학적 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

중앙은행의 자금은 세계경제의 엔진에 불을 붙이기 위한 연료로 투입되었는데 빅테크의 이익증대에 기여해 새로운 형태의 자본(클라우드 자본)과 새로운 지배층(빅테크)의 출현을 도왔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Thibault Penin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6%9A%97%E9%97%87%E3%81%AE%E4%B8%AD%E3%81%A7%E3%83%A9%E3%82%A4%E3%83%88%E3%82%A2%E3%83%83%E3%83%97%E3%81%95%E3%82%8C%E3%81%9Fnetflix%E3%81%AE%E3%83%AD%E3%82%B4%E3%81%8C%E5%85%A5%E3%81%A3%E3%81%9F%E3%83%86%E3%83%AC%E3%83%93-GrzoKN1aqSg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Netflix가 반도체 메이커 Broadcom의 특허침해 소송에서 패소하였고 동영상 코덱 H.265(HEVC)의 사용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법원으로부터 받았습니다.

Netflix Loses Another Ruling in German HEVC Patent Dispute With Broadcom | Next TV
https://www.nexttv.com/news/netflix-loses-another-ruling-in-german-hevc-patent-dispute-with-broadcom

Netflix Loses Another Ruling in German HEVC Patent Dispute With Broadcom

With Netflix not complying with Munich court's September injunction, Broadcom convinces the German Federal Patent Court to declare its patent valid

www.nexttv.com


Netflix와 Broadcom은 2018년부터 H.265(HEVC)에 관한 특허를 둘러싸고 법정 투쟁을 계속하고 있으며, 독일뿐만 아니라 미국 및 네덜란드에서도 소송을 펼쳐 왔습니다. HEVC는 Advanced Videocoding(AVC:H.264)보다 최대 50%나 효율이 높은 동영상 코덱으로, 2018년 시점에서 동영상 개발자의 42%가 HEVC를 이용하고 있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독일 뮌헨 법원은 2023년 9월 판결에서 Broadcom이 보유한 HEVC에 관한 특허(EP 2 575 366)가 유효하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EP 2 575 366은 HEVC의 동영상 코덱의 주요 기능을 다루는 특허입니다. 판결에서 Netflix는 4K 해상도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때 HEVC 사용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Achtung, Baby: Netflix Loses Patent Dispute to Broadcom in Germany, Ordered to Stop Using HEVC to Stream 4K | Next TV
https://www.nexttv.com/news/achtung-baby-netflix-loses-patent-dispute-to-broadcom-in-germany-told-to-stop-using-hevc-to-stream-4k

Achtung, Baby: Netflix Loses Patent Dispute to Broadcom in Germany, Ordered to Stop Using HEVC to Stream 4K

Munich court tells Netflix to stop using H.265 video coding to stream UHD

www.nexttv.com


그러나 Netflix가 뮌헨 법원의 금지명령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Broadcom은 독일의 연방특허법원에 결정을 요청했습니다. 이 소송에서 연방특허법원은 Broadcom의 'EP 2 575 366'이 유효하다는 예비판결을 내렸습니다.

by freestocks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E3%83%86%E3%83%AC%E3%83%93%E3%82%92%E6%8C%87%E5%B7%AE%E3%81%97%E3%81%A6%E3%83%AA%E3%83%A2%E3%82%B3%E3%83%B3%E3%82%92%E6%8C%81%E3%81%A3%E3%81%A6%E3%81%84%E3%82%8B%E4%BA%BA-11SgH7U6TmI


Broadcom은 연방특허법원의 판결에 대해 “독일 민사소송법 제890조에서는 금지명령을 위반한 경우의 벌칙에는 두 가지가 있다”며 다음 처벌 중 하나가 적용된다고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1: Netflix가 독일 가입자에게 HEVC를 이용한 동영상 스트리밍을 보낼 때마다 최대 25만 유로(약 4억 원)의 벌금
2: 모회사 이사회 멤버에게 최대 6개월의 징역형

연방특허법원은 구두변론을 거쳐 2024년 7월 18일 소송의 최종판결을 내릴 예정입니다.

독일은 넷플릭스에게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포함한 지역에서 영국에 이은 두 번째로 큰 시장으로, Statista에 따르면 2021년 시점에서 유료 회원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생물 중에는 1만 년 이상의 세월을 사는 동물이 있는 반면 아주 짧은 기간에 끝내는 생물도 있습니다. 수명이 짧은 동물의 대표격인 하루살이 중에는 우화하고 수명을 맞이하기까지 불과 몇 분 만에 가능한 한 번식하기 위한 놀라운 생태를 갖추고 있다고 전문가가 말했습니다.

Which animal has the shortest life span?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animals/which-animal-has-the-shortest-life-span

Which animal has the shortest life span?

Mayflies are famous for cramming an entire life into a single day, but that's not strictly true.

www.livescience.com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수명이 짧은 생물은 바다에 사는 Gobiidae과의 물고기인 Eviota sigillata로, 일생 중 3주간을 치어로서 외양에서 보내고 그 후 1~2주에 걸쳐 암초에서 성숙하며 성어가 되고 나서는 3주간 반밖에 살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Eviota sigillata의 평생은 길어도 59일입니다.

척추동물을 포함한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단명 중 하나는 하루살이 성충입니다. 하루살이는 알에서 부화하여 님프라는 애벌레가 되면 물속에서 자랍니다. 그 후 생활환의 최종단계인 아성충 또는 성충이 되면 날개를 발달시켜 교미를 실시합니다.

by Klaus Stiefel / https://www.flickr.com/photos/pacificklaus/


많은 하루살이는 날개가 있는 상태에서 24시간 미만밖에 살 수 없으며 그 중에서도 Dolania americana라는 종은 가장 단명으로 우화하고 나서 수컷은 1시간 미만, 암컷은 단 5분밖에 되지 않습니다. 성충이 되고 나서의 단명과는 대조적으로 님프 시대는 긴데 이 종의 하루살이는 최장 2년을 강바닥에서 보냅니다.

하루살이는 일반적으로 아성충의 단계에서 수중에서 육지 그리고 공중으로 이행하고 그 후 성충으로 번식하지만 어느 단계에서도 제대로 기능하는 입이나 소화기관이 없기 때문에 우화하고 나서는 님프 때 축적된 에너지로만 살아 있습니다.

인디애나대학-퍼듀대학 콜럼버스교(IUPUC)에서 수생곤충 연구를 하고 있는 루크 자코바스 씨는 Live Science와의 인터뷰에서 “부피가 큰 소화기관이 없기 때문에 암컷은 체내에 알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있는데 심지어 머리까지 알로 가득한 개체를 본 적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by Martyn Fletcher / https://www.flickr.com/photos/134832191@N08/


하루살이의 전문가인 자코바스 씨는 단명에 대해 "고대의 하루살이의 화석을 살펴보면 현대의 하루살이와 거의 같습니다. 그들의 시스템은 그들에게 매우 잘 작동합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유타밸리 대학에서 하루살이의 진화를 연구하고 있는 히스 오그덴 씨에 따르면 하루살이가 최초로 지구상에 나타난 시기는 지금부터 약 3억 5000만 년 전이라고 합니다. 하루살이가 단명한 생태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진화란 작은 개량이나 수선을 쌓는 것인데, 님프 시기에 투자하는 것이 훌륭한 전략이라는 것을 발견했을 것입니다. 즉, 님프 시기에 필요한 영양의 수집을 끝내고 성충이 된 후에는 날아올라 교미를 해 알을 낳는 것만으로 좋다고 결정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