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3.03.09 2026년까지 300TB의 SSD를 실현
  2. 2023.03.08 2022년 스마트폰 판매대수 랭킹 톱 10 중 8기종이 iPhone
  3. 2023.03.08 작은 행성이 하나 더 있는 것만으로 지구는 태양계에서 벗어나 버린다는 시뮬레이션 결과
  4. 2023.03.08 'Google 애널리틱스 사용은 불법'이라는 잠정적인 결론을 노르웨이 규제당국이 발표
  5. 2023.03.07 암흑물질의 수명측정 감도를 명확히 하다
  6. 2023.03.07 마이크로소프트가 머신러닝으로 엣지의 저품질 동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Video Super Resolution'을 발표
  7. 2023.03.07 Steam Deck에 탑재된 APU의 스펙
  8. 2023.03.06 다크웹 사이트 'BidenCash'가 216만 건의 신용카드 정보를 1주년 기념으로 무료방출
  9. 2023.03.04 1만 년 후의 세계에 현재의 언어를 전하기 위한 물리 아카이브 '로제타 디스크'
  10. 2023.03.04 미·일 연구팀이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핵융합 기술’ 테스트에 성공
  11. 2023.03.03 쿠푸왕의 피라미드에 숨겨진 공간을 우주선으로 정확하게 매핑하는데 성공
  12. 2023.03.03 체내의 면역시스템이 병원체와 싸울 때 무슨 일이 일어날까
  13. 2023.03.02 YouTube가 영상제작자를 위한 생성형 AI도구를 개발 중
  14. 2023.03.02 칼로리 제로의 인공감미료 '에리스리톨'이 혈액의 점성을 증가시켜 뇌졸중의 리스크를 높이는 것으로 판명
  15. 2023.02.28 소행성 류구의 아미노산은 좌우 동수
  16. 2023.02.28 왼손형 아미노산의 편향을 일으키는 우주의 빛
  17. 2023.02.28 가상화폐의 마이닝을 위해 학교 내에서 약 2400만 원분의 전력을 부정 이용
  18. 2023.02.28 패스코드가 노출된 iPhone이 도난당하고 은행계좌에 무단으로 접근되는 범죄가 보고되다
  19. 2023.02.28 '비만의 역설'의 종결
  20. 2023.02.27 운석 내부에서 사상 최초의 '지구외 단백질'을 발견
  21. 2023.02.27 운석과 감마선이 지구에 생명의 원소를 부여했을 가능성
  22. 2023.02.27 코로나19는 중국의 연구소에서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미 정부기관이 결론
  23. 2023.02.27 우주에서의 아미노산 발견
  24. 2023.02.26 지구의 미생물이 다른 별로 이동하여 살아남을 수 있을까?
  25. 2023.02.24 도난당해도 최신 기술로 추적하는 자전거 메이커 VanMoof의 기술
  26. 2023.02.24 '태양의 역설'...코로나가 표면보다 뜨거운 원리
  27. 2023.02.23 3D프린터로 '구멍투성이 농구공'을 Wilson이 개발
  28. 2023.02.22 파일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YouTube를 용량 무제한 스토리지로 활용
  29. 2023.02.22 ChatGPT의 작동원리를 이론물리학자가 설명
  30. 2023.02.21 지적인 '슈퍼돼지'가 작물이나 가축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플래시메모리로 구성된 올 플래시스토리지 메이커인 퓨어 스토리지(Pure Storage)가 스토리지 관련 웹미디어인 Blocks and Files와의 인터뷰에서 "2026년까지 300TB의 SSD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Pure claims 300TB flash drives coming 2026 – Blocks and Files
https://blocksandfiles.com/2023/03/01/300tb-flash-drives-coming-from-pure-storage/

Pure claims 300TB flash drives coming 2026 – Blocks and Files

Pure Storage says it will build a 300TB flash drive in or by 2026 based on its own Direct Flash Modules SSDs.

blocksandfiles.com


300TB SSDs Due in 2026, Supplier Claims | Tom's Hardware
https://www.tomshardware.com/news/pure-storage-300-tb-flash-drives-in-2026

300TB SSDs Due in 2026, Supplier Claims

Pure Storage's DFM modules to skyrocket capacity in coming years.

www.tomshardware.com


미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Pure Storage는 NVMe 대응 스토리지 시스템인 FlashArray와 FlashBlade를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토리지 시스템에 탑재 가능한 독자적인 SSD인 Direct Flash Module(DFM)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Pure Storage의 CTO인 Alex McMullan 씨는 Blocks and Files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2~3년 내 하드드라이브의 경쟁력을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현재 24TB와 48TB를 출하 중이고 2023년 Accelerate 컨퍼런스에서는 더욱 큰 사이즈를 중심으로 다양한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2026년까지 300TB의 드라이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cMullan 씨가 제시한 그래프를 살펴보면 HDD(청색)와 DFM(오렌지색)의 용량 로드맵을 비교한 것이며 DFM은 2023년 이후 급속히 용량을 확장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locks and Files는 도시바는 2027년까지 40TB 이상의 HDD 생산을 예정하고 있으며 Seagate도 2026년에 50TB 이상의 HDD를 생산할 계획으로 2026년까지 300TB SSD을 실현하겠다는 Pure Storage의 목표는 매우 야심적이라고 보았습니다.

게다가 McMullan 씨는 HDD(청색)의 TCO(총 보유 코스트)는 2023년부터 2026년에 걸쳐 변하지 않는 한편 DFM(오렌지색)의 TCO는 꾸준히 감소한다고 설명했습니다.


FlashBlade의 섀시에는 최대 40개의 DFM을 설치할 수 있으며 DFM의 용량이 300TB까지 증가하면 FlashBrade의 최대 용량은 12PB가 됩니다.

현재 Pure Storage는 112~160층의 3D NAND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향후 5년 내 400~500층의 3D NAND 플래시메모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덧붙여 2022년 7월에는 반도체 제조 대기업인 Micron이 232층의 3D NAND 플래시메모리의 양산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First to Market, Second to None: the World’s First 232-Layer NAND
https://www.micron.com/about/blog/2022/july/first-to-market-second-to-none-the-worlds-first-232-layer-nand

Micron Is First to Deliver 3D Flash Chips With More Than 200 Layers - IEEE Spectrum
https://spectrum.ieee.org/micron-is-first-to-deliver-3d-flash-chips-with-more-than-200-layers

Micron Is First to Deliver 3D Flash Chips with More than 200 Layers

Boise, Idaho-based memory manufacturer Micron Technology says it has reached volume production of the first 232-layer NAND flash memory chip. It’s the first such chip to pass the 200-layer mark. Some competitors have said they are on track to follow Micr

spectrum.ieee.org


Blocks and Files나 테크놀로지계 미디어인 Tom's Hardware는 확실히 향후 수년에 3D NAND의 층수는 증가할 예정이지만 400층을 넘기는 시기는 2027년 이후가 될 것이라며 2026년까지 300TB의 DFM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3D NAND의 층수 증가뿐만 아니라 DFM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여 더 많은 3D NAND를 탑재하는 등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Tom's Hardware는 “3년 동안 DFM 드라이브의 용량을 6배로 늘린다는 Pure Storage의 계획은 야심적으로 3D NAND 플래시메모리뿐만 아니라 메모리 패키징 기술도 빠르게 발전해 수년 후에 Pure Storage의 DFM 기반 스토리지 시스템이 HAMR(열 보조형 자기기록) 하드드라이브를 사용한 스토리지 시스템이 제공하는 스토리지 밀도를 초과해도 이상하지는 않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ames Yarema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ZYVrM9caRpU


조사기업 Counterpoint Research가 발표한 '2022년 스마트폰의 세계 판매대수 랭킹'에서 톱 10위 중 8개를 iPhone이 차지했습니다.

Apple First to Capture 8 Spots in List for Global Top 10 Smartphones
https://www.counterpointresearch.com/top-smartphones-global-2022/

Apple's iPhone dominated 2022 smartphone sales | AppleInsider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3/03/07/apples-iphone-dominated-2022-smartphone-sales

Apple's iPhone dominated 2022 smartphone sales | AppleInsider

Apple continues to be the top-selling smartphone vendor in the world, with iPhone lines occupying eight of the top ten in global sales rankings for 2022.

appleinsider.com


2022년의 스마트폰 세계 판매대수 랭킹의 톱 10을 살펴보면 1위가 iPhone 13, 2위가 iPhone 13 Pro Max, 3위가 iPhone 14 Pro Max로 상위 3개 모두가 iPhone입니다. 상위 10개 중 8개 모델이 iPhone이고 나머지 2개 모델은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였습니다.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iPhone 13은 2022년에 가장 팔린 스마트폰으로 iPhone 13의 2022년 판매대수는 2위의 iPhone 13 Pro Max보다 2배 많았습니다.

또한 iPhone 13은 2021년 9월에 발매되고 나서 2022년 8월까지 월간 판매대수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iPhone 13은 중국·미국·영국·독일·프랑스 등 주요 시장에서도 가장 많이 팔리고 있으며 iPhone 시리즈의 판매대수 중 2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2022년 9월~11월에서 가장 팔린 모델인 iPhone 14 Pro Max는 iPhone 14 시리즈 중에서 가장 매출이 높은데 Pro Max 모델이 다른 모델보다 판매대수가 많았고 사상 처음이라는 것. Counterpoint Research는 Dinamic Island와 탑재 칩의 고속화 등 iPhone 14 Pro 시리즈가 크게 진보함에 따라 매력이 더욱 늘어났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by Saad Jameel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iOg02DldnHQ


2021년에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인 iPhone 12도 iPhone 13 시리즈나 iPhone 14 시리즈의 등장으로 가격이 인하된 결과 2022년의 세계 판매대수 랭킹의 톱 10에 들었습니다. iPhone 12는 특히 미국·일본·중국에서 견조한 매출을 보이고 있다는 것.

iPhone 이외에 순위에 든 Samsung의 Galaxy A13과 Galaxy A03은 LTE 대응의 엔트리 모델로 Galaxy A13은 중앙아메리카나 인도, Galaxy A03은 중앙아메리카나 중동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많이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Counterpoint Research는 “각 업체가 브랜드 재고정리 및 판매 최적화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상위 10기종 스마트폰 점유율은 2023년에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관측기술의 진보로 태양계 밖에도 지구와 같은 행성이 많이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지구외 생명체 발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별에 흔히 있는 지구형 행성을 태양계에 배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태양계는 천문학자의 생각 이상으로 절묘한 밸런스 위에 성립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The Dynamical Consequences of a Super-Earth in the Solar System - IOPscience
https://doi.org/10.3847/PSJ/acbb6b

The planet that could end life on Earth: Experiment demonstrates solar system's fragility
https://phys.org/news/2023-03-planet-life-earth-solar-fragility.html

The planet that could end life on Earth: Experiment demonstrates solar system's fragility

A terrestrial planet hovering between Mars and Jupiter would be able to push Earth out of the solar system and wipe out life on this planet, according to a UC Riverside experiment.

phys.org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교의 천체물리학자인 스티븐 케인(Steven Kaine) 씨는 독립된 오픈 액세스 저널 Planetary Science Journal에서 가상의 행성을 태양계에 배치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케인 씨가 이 연구를 시작한 것은 태양계에 있는 두 개의 '갭'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문제의 갭의 첫 번째는 태양계에 있는 '지구형 행성'과 '가스 행성'의 크기의 갭입니다. 태양계 최대 크기의 암석행성은 지구이며 태양계 최소 크기의 가스행성은 해왕성인데 해왕성은 지구의 4배 크기와 17배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행성을 실제 크기비로 나타낸 이미지를 살펴보면 지구나 화성 등의 암석행성과 목성 등 가스행성의 크기 차이를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Solar System source:https://en.m.wikipedia.org/wiki/File:Solar_System_true_color_(captions).jpg


케인 씨에 따르면 태양계는 다른 별에 비해 지구형 행성과 가스행성의 크기에 너무 갭이 있다고 합니다. 다른 별에는 이 갭을 메우는 질량을 가진 행성이 많이 있으며 천문학자들은 지구보다 큰 질량을 가진 이 암석행성을 슈퍼어스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갭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간격입니다. 태양계의 행성을 실제 거리의 비율에 따라 배치한 이미지를 살펴보면 화성을 포함한 내행성계(Inner planets)부터 바깥쪽은 행성과 행성의 거리가 크게 멀어져 있습니다. 케인 씨에 의하면 천문학자는 자주 이 화성과 목성 사이에 다른 행성이 있으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

Solar System distance to scale source:https://en.m.wikipedia.org/wiki/File:Solar_System_distance_to_scale.svg


이러한 태양계의 특징적인 격차를 메우면 어떻게 될지 확인하기 위해 케인 씨는 다양한 크기의 행성을 화성과 목성 사이에 배치하고 그것이 지구와 같은 행성의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화성과 목성 사이에 슈퍼어스가 있으면 지구가 궤도를 벗어나 태양계에서 벗어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구뿐만 아니라 수성과 금성과 같은 내행성계의 행성도 튕겨져 나올 가능성이 있었고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도 불안정해졌습니다.

이러한 치명적인 사태를 초래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슈퍼어스가 목성의 궤도를 어긋나게 하기 때문으로 목성은 지구의 318배의 질량을 가진 거대 가스행성이므로 약간의 궤도가 바뀌어도 다른 행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연구결과는 태양계외 행성에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항성에서 멀리 떨어진 가스행성인 '목성형 행성'이 다른 별에서 발견될 가능성은 겨우 10% 정도인데 이 목성형 행성이 있는지에 따라 지구형 행성이 안정된 환경을 얻을 수 있는지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식으로 지구형 행성의 궤도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목성형 행성을 'Good Jupiter'라고 부릅니다.


이번 시뮬레이션 실험에 대해 케인 씨는 “태양계는 내가 이전부터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미묘하게 조정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태양계의 행성은 마치 시계의 기어처럼 정교하게 맞물려 있어 불필요한 기어가 늘어나면 모든 것이 망가져 버린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오스트리아의 데이터보호 당국과 프랑스의 데이터보호 기관, 이탈리아의 규제당국에 의한 Google 애널리틱스의 사용금지 권고에 이어 노르웨이의 데이터보호 당국인 Datatilsynet이 Google 애널리틱스의 사용은 EU 일반 데이터보호 규칙(GDPR)의 전송규칙을 위반하고 있다는 잠정적인 결론에 이르렀다고 발표했습니다.

Varsel om vedtak i Google Analytics-saken | Datatilsynet
https://www.datatilsynet.no/aktuelt/aktuelle-nyheter-2023/varsel-om-vedtak-i-google-analytics-saken/

Varsel om vedtak i Google Analytics-saken

Datatilsynets foreløpige konklusjon er at bruk av Google Analytics ikke er i tråd med personvernforordningen. Partene i sakene får mulighet til å uttale seg i saken før vi fatter et formelt vedtak.

www.datatilsynet.no


Norway takes a stance against Google Analytics
https://www.simpleanalytics.com/blog/norway-takes-a-stance-against-google-analytics

Norway takes a stance against Google Analytics

Norway is the latest country to declare Google Analytics in violation with the GDPR

www.simpleanalytics.com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할 때 Google에 쿠키 및 IP주소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보내야 합니다. 이 Google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오스트리아의 데이터보호 NGO인 noyb는 “미국 정부에 의한 감시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GDPR의 전송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유럽경제영역(EEA)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의 규제당국에서 Google 애널리틱스의 사용금지가 권고되었습니다.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금지한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노르웨이의 데이터보호 당국인 Datailsynet도 Google 애널리틱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1일에 Google 애널리틱스 사용은 GDPR 전송규칙에 위반하고 있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발표했습니다. 데이터분석 사이트인 Simple Analytics에 의하면 이 결론을 바탕으로 노르웨이 당국도 최종적으로 noyb의 신고를 수리해 Google 애널리틱스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Datailsynet의 섹션매니저인 토비아스 주딘 씨는 "Google 애널리틱스 사용에 대한 noyb의 의견으로 노르웨이는 다른 유럽 국가와 명확하게 의견이 일치한다"고 전했습니다.


Google이 제소당한 경우 Datailsynet의 'Google 애널리틱스는 GDPR 위반'이라는 예비 결론에 대해 Google은 3주 이내에 성명서를 발표해야 합니다. 또한 Google 애널리틱스의 GDPR 위반 문제는 노르웨이의 데이터보호 당국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유럽 내 다른 관련 데이터보호 당국과 결론을 공유하게 됩니다. 또한 Google이 의사결정을 불복하는 경우 1개월 이내에 이의제기를 해야 합니다.

Google은 Google 애널리틱스 4(GA4)를 개발했고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A)에서 이전할 것을 권장합니다. noyb와 Datailsynet의 조사는 UA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Datailsynet은 GA4에도 규제대상의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Datatilsynet은 노르웨이 내에서 Google 애널리틱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빠르면 2023년 4월 말에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가나자와대학과 암스테르담대학은 우주의 암흑물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우주선을 시뮬레이션하여 현재의 우주선 관측데이터가 가지는 암흑물질의 수명측정 감도를 밝혔다.

우주에는 별이나 은하 등을 구성하는 통상의 물질 외에 암흑물질이라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우주관측에서 밝혀졌다. 일반적인 물질의 정체는 기본입자 표준이론에 의해 밝혀졌지만 암흑물질의 정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그룹은 지구에 끊임없이 쏟아지는 우주선을 관측함으로써 암흑물질의 정체를 탐구하고 있다. 지구에 쏟아지는 우주선은 양성자, 빛(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 적외선, 전파), 전자 외에 반양성자와 양전자 등의 반물질, 중성미자, 반중성미자를 들 수 있다.

반물질이나 중성미자의 관측이 가능해져 최근의 우주선 관측에 큰 진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양성자나 빛의 관측에 대해서도 매우 넓은 에너지영역에서의 관측감도가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진전에 의해 넓은 에너지영역에 있어서 다양한 우주선 입자의 관측데이터가 축적되었고 이를 이용한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어내려는 '멀티 메신저 천문학'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메신저 천문학을 암흑물질 탐색에 응용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우주선 중에서도 감마선과 중성미자의 관측이 암흑물질의 수명을 탐구하기 위해 가장 좋은 감도를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멀티 메신저 천문학을 활용한 암흑물질 탐색은 소립자물리학 분야와 우주물리학 분야라는 2개의 학문영역을 넘는 연구로 양측의 지견을 결집함으로써 암흑물질의 정체를 해명하기 위해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金沢大ら,暗黒物質の寿命測定感度を明らかに
https://optronics-media.com/news/20200618/65220/

Posted by 말총머리
,


MS는 웹브라우저 엣지(Edge)에서 저품질 동영상의 해상도를 기계학습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인 'Video Super Resolution(VSR)'을 발표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Microsoft의 Insider 프로그램으로 Edge의 Canary 채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부가 VSR에 의한 동영상의 업스케일링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Straight from the cutting edge
https://www.microsoftedgeinsider.com/en-us/whats-new

Microsoft Edge’s AI upscaling feature can improve low-resolution video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3/6/23627080/microsoft-edge-video-upscaling-ai-super-resolution-vsr

Microsoft Edge’s new video upscaling can improve blurry old videos

Give those 420p YouTube classics a resolution boost.

www.theverge.com


Microsoft Unveils Its Own Version of Nvidia's RTX Super Resolution | Tom's Hardware
https://www.tomshardware.com/news/microsoft-unveils-its-own-version-of-nvidias-rtx-super-resolution

Microsoft Unveils Its Own Version of Nvidia's RTX Super Resolution

It supports Nvidia RTX 20/30/40 and AMD RX5700-RX7800 series GPUs

www.tomshardware.com


Microsoft에 따르면 VSR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블록모양의 압축노이즈를 제거하고 동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기술로 YouTube 등의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저해상도 동영상을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다는 것.

기계학습에 의한 영상의 노이즈 제거와 업스케일링에는 일정한 계산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VSR을 이용하려면 'NVIDIA RTX 20/30/40 시리즈 혹은 AMD RX5700~7800 시리즈의 GPU를 탑재하고 PC가 AC전원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또한 대상 동영상의 해상도는 720p 미만이며 높이와 폭 모두 192픽셀 이상이고 PlayReady나 Widevine 등의 저작권 보호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동영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720p 미만의 해상도의 동영상을 VSR로 어느 수준까지 확장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Edge용으로 영상 업스케일링 기능이 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2022년 6월 Microsoft는 Xbox Cloud Gaming을 위한 스트리밍 영상을 개선하는 Clarity Boost 기능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VSR과 유사한 기능을 Microsoft 이외의 기업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텔은 Chromium 기반 브라우저용 영상 업스케일링 기능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NVIDIA는 2023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의 VSR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RTX Video Super Resolution을 발표했습니다. NVIDIA의 RTX Video Super Resolution은 GeForce RTX 30/40 시리즈 탑재 PC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Chrome과 Edge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ixel Perfect: RTX Video Super Resolution Now Available | NVIDIA Blog
https://blogs.nvidia.com/blog/2023/02/28/rtx-video-super-resolution/

Pixel Perfect: RTX Video Super Resolution Now Available | NVIDIA Blog

Learn how RTX Video Super Resolution uses AI to improve streaming video in latest Game Ready Driver for GeForce RTX 40 and 30 Series GPUs.

blogs.nvidia.com


RTX Video Super Resolution FAQ | NVIDIA
https://nvidia.custhelp.com/app/answers/detail/a_id/5448

NVIDIA는 “업스케일링하는 동안 PC 성능이 약간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지만 Microsoft는 VSR이 PC 성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덧붙여 Microsoft의 VSR은 현시점에서 Microsoft의 Insider 프로그램으로 Edge의 Canary 채널을 이용하는 유저 일부가 이용 가능하고 기능을 유효하게 하면 주소창에 HD 아이콘이 표시된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Steam Deck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13815526@N02/51316441602


Valve의 휴대형 게이밍 PC 'Steam Deck'에는 AMD의 Zen 2와 RDNA 2를 베이스로 한 Steam Deck 전용의 커스텀 APU 'AMD Custom APU 0405'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APU에 대해 가젯 전문 블로그인 Chips and Cheese가 설명했습니다.

Van Gogh, AMD’s Steam Deck APU – Chips and Cheese
https://chipsandcheese.com/2023/03/05/van-gogh-amds-steam-deck-apu/

Van Gogh, AMD’s Steam Deck APU

Zen 2’s launch was a defining moment for AMD. For the first time in many, many years, AMD’s single thread performance could go head to head with Intel’s best. Zen 2 also started a trend where AMD b…

chipsandcheese.com


Van Gogh, AMD’s Steam Deck APU – Chips and Cheese
https://chipsandcheese.com/2023/03/05/van-gogh-amds-steam-deck-apu/

Steam Deck의 APU에 공급되는 전력은 CPU와 GPU에 유연하게 분배됩니다. 유연한 전력할당은 게임이 CPU 또는 GPU 중 하나에 의존하는 경우에 효과적이지만 CPU와 GPU를 모두 사용하여 계산처리량을 극대화하면 성능이 저하됩니다.

일반적으로 렌더러나 사진처리 앱 등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지만 Steam Deck은 이러한 처리를 주요 타겟으로 하지 않으므로 CPU와 GPU를 동시에 사용하는 게임이 아니라면 그렇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Steam Deck의 APU는 4개의 Zen 2 코어를 1개의 클러스터(CCX)에 탑재해 부스트 클럭 3.5GHz, 베이스 클럭 2.8GHz를 실현했습니다. 이 CCX는 4MB의 L3 캐시만 가지고 있는 반면 데스크톱과 서버용 Zen 2는 CCX당 16MB의 L3 캐시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느린 메모리로부터 코어를 보호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Chips and Cheese의 테스트에서 Steam Deck의 L1 캐시와 L2 캐시는 Zen 2 CPU에서 예상되는 성능과 동일하지만 L3 용량은 다른 모델에 비해 L3 캐시가 크게 부족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대역폭의 테스트에서는 문제 없었지만 레이턴시나 메모리 대역폭의 테스트에서 현저하게 나쁜 결과가 나왔다는 것.

Steam Deck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13815526@N02/51318181230


일반적으로 CPU는 항상 최대 클럭으로 작동하지는 않는데 특히 모바일 기기에서는 그 경향이 현저해 부하에 따라 클럭을 올립니다. 이 클럭 상승 프로세스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대부분의 기기는 높은 응답성을 위해 최대한 빨리 최대 클럭으로 전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Steam Deck은 그렇지 않습니다. Steam Deck의 클럭 속도는 1.4GHz에서 시작하여 0.27ms만에 1.7GHz에 도달합니다. 이것은 좋은 시작이며 APU가 상당히 빨리 클럭변경을 명령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1.7GHz를 유지하면서 수백 밀리초가 경과하면 점차 클럭이 상승하고 최대 클럭에 도달하는 데 거의 1초가 걸립니다.

Chips and Cheese는 이런 부스트 동작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는 최악이라며 다른 Zen 2 시스템에 비해 상당히 응답이 나쁘고 이 동작은 의도적인 것으로 응답성을 희생해 배터리의 수명을 늘린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Chips and Cheese는 AMD의 커스텀 APU는 매우 작은 콘솔칩의 예로서 흥미로운 것이지만 PlayStation 5나 Xbox Series X에 탑재된 것과 같이 이 CPU도 저클럭, 저캐쉬, 고메모리 레이턴시라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RDNA 2가 뛰어난 성능을 유지하면서 매우 낮은 전력소비를 목표로 스케일다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쇼케이스로 CPU 성능은 다른 Zen 2 구현과 비교해 약하지만 단일 CPU 성능은 꽤 신뢰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Negative Space source:https://www.pexels.com/@negativespace


도난당한 카드정보 등이 거래되는 다크웹 마켓플레이스 'BidenCash'가 설립 1주년을 기념하여 216만 5700건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데이터베이스를 무료로 유출시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Cyble — Over 2 Million Cards Leaked By BidenCash
https://blog.cyble.com/2023/03/01/over-2-million-cards-leaked-by-bidencash/

Over 2 Million Cards Leaked By BidenCash

Underground carding marketplace BidenCash leaks over 2 million payment card records, enabling financial fraud at scale.

blog.cyble.com


BidenCash Dumps 2.1 Million Stolen Credit Cards | Flashpoint
https://flashpoint.io/blog/card-shop-threat-landscape-bidencash-dumps-stolen-credit-cards/

Card Shop Threat Landscape: BidenCash Dumps 2.1M Stolen Credit Cards

What we know about the most recent BidenCash dump, and what it means in the context of the greater card shop threat landscape.

flashpoint.io


BidenCash market leaks over 2 million stolen credit cards for free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bidencash-market-leaks-over-2-million-stolen-credit-cards-for-free/

BidenCash market leaks over 2 million stolen credit cards for free

A carding marketplace known as BidenCash has leaked online a free database of 2,165,700 debit and credit cards in celebration of its first anniversary.

www.bleepingcomputer.com


BidenCash는 2023년 2월 28일 고객 덕에 1주년을 맞게 되었다며 200만 건 이상의 카드정보를 공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BidenCash에서 유출된 데이터베이스는 'XSS'라는 러시아어권 사이버범죄 포럼을 통해 퍼졌습니다.


이 사건을 최초로 보도한 사이버보안 기업 Cyble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는 적어도 74만 858장의 신용카드, 81만 1676장의 직불카드, 293장의 차지카드(신용카드의 일종)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 또한 카드정보뿐만 아니라 성명, 이메일, 전화번호, 주소 등의 개인정보도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피싱공격 등을 수행하는 범죄자에게 악용될 우려가 있습니다.

피해자가 많은 지역을 나타낸 히트맵


미국의 약 96만 건을 필두로 멕시코나 중국에서 약 10만 건, 영국에서 약 9만 건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유출한 데이터에는 세계 각지로부터 도난당한 카드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공개된 카드의 약 70%는 2023년 중에 만료되는 것이었지만 최장 2052년까지 유효한 것도 있었다고 합니다. Cyble은 메일주소와 완전한 개인정보는 사이버범죄자 사이에서 'Fullz'라고 불리고 있으며 유출되면 카드의 유효기한이 지나도 피싱공격이나 스푸핑, 사기 등의 공격에 노출되기 쉬워진다며 만료가 지나도 범죄에 사용되었을 경우의 위험성은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BidenCash는 2022년 10월에도 122만 1551장의 카드정보를 무료 공개해 사이트의 선전에 이용했습니다.


Cyble에 따르면 위협액터는 BidenCash와 같은 도난당한 카드정보의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구입하고 일상적으로 사기행위를 하고 있는데 데이터가 무료로 공개되면 더 많은 부정행위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은행기관은 이러한 데이터의 유출이나 부정행위를 염두에 두고 다크웹을 감시하고 적극적으로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1799년에 이집트의 로제타에서 발견된 로제타 스톤은 같은 문장이 고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나 데모틱, 그리스 문자라는 3 ​종류의 문자로 기술하고 있었던 돌로 당시 해독이 불가능했던 히에로글리프의 해독에 기여했습니다. 비영리 단체인 롱나우 협회는 2000년부터 2100년 사이에 세계의 약 50~90%의 언어가 멸종될 것으로 예상해 지구의 1500개 이상의 다양한 언어를 아카이브한 현대의 로제타 스톤인 '로제타 디스크'를 작성했습니다.

Very Long-Term Backup - Long Now
https://longnow.org/ideas/very-long-term-backup/

Very Long-Term Backup

Paper, it turns out, is a very reliable backup medium for information.  While it can burn or dissolve in water, good acid-free versions of paper are otherwise stable over the long term, cheap to warehouse, and oblivious to technological change because its

longnow.org


종이는 수천 년 동안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백업매체로서 우수하지만 대량의 정보를 저장하기에는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또 DVD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보존하는 장치는 대량의 정보를 작은 공간에 보존할 수 있는 한편 경년열화로 단기간에 정보가 없어져 버립니다. 따라서 종이의 내구성과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을 결합한 새로운 미디어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1998년에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가 발표한 기술은 3인치(약 7.6cm)의 니켈 소재 디스크에 데이터를 세세하게 에칭함으로써 35만 페이지에 걸친 데이터를 2000 ~ 1만 년간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기술은 디지털 정보를 장기 보존하는 솔루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1999년 롱나우 협회의 더그 칼스턴 이사는 2000년부터 2100년까지 사라지는 전세계 언어의 반영구적인 아카이브 작성을 목적으로 '창세기'의 번역과 정보를 1000건 이상 수록한 인류 언어의 백업을 보존하는 현대의 로제타 스톤인 로제타 프로젝트를 제창했습니다.

로제타 디스크의 완성에는 8년이 걸렸지만 로제타 디스크의 프로토타입은 2008년 8월에 완성되었습니다. 로제타 디스크는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된 구체로 상반부는 돋보기입니다.


로제타 디스크의 표면은 순 티타늄제로 도금가공이 되어 있습니다. 디스크 표면에는 “세계 언어: 이것은 2008년에 모인 1500개 이상의 인간 언어의 아카이브입니다. 1000배로 확대하면 1만 3000페이지 이상의 언어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또 로제타 디스크의 내면은 순니켈 소재로 1500종류의 언어의 창세기의 1~3장의 번역이나 세계 공통의 단어 리스트, 발음 가이드, 도표 등이 약 1만 3500페이지에 걸쳐 새겨져 있습니다. 0.5mm의 폭으로 적힌 문장을 읽으려면 750배의 광학현미경이 필요합니다.

로제타 디스크의 뒷면에 기록된 데이터


로제타 프로젝트는 당초 언어학자인 짐 메이슨 씨의 주도로 작성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전세계 전문가로부터 지원을 받은 롱나우 협회는 약 2300개 언어의 정보를 정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004년에 최초로 작성된 로제타 디스크는 유럽우주기관이 발사한 탐사기 '로제타'에 탑재되었습니다. 로제타는 2014년에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착륙을 성공했습니다.


롱나우 협회는 로제타 디스크를 전세계에 배포함으로써 2000년 이상 현대의 언어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롱나우 협회는 로제타 디스크의 새로운 제품으로 로제타 웨어러블 디스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Rosetta Wearable Disk
https://longnow.org/artifacts/rosetta-wearable-disk

Posted by 말총머리
,


수소나 헬륨과 같은 가벼운 핵종이 융합하여 더욱 무거운 핵종이 되는 것을 핵융합 반응이라 부르며 이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핵융합 에너지를 이용한 핵융합발전은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체하는 깨끗하고 효율적인 발전방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핵융합발전기술개발기업인 TAE Technologies와 일본의 핵융합과학연구소(NIFS)가 수소와 붕소를 사용한 혁신적인 핵융합기술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First measurements of p11B fusion in a magnetically confined plasma | Nature Communications
https://doi.org/10.1038/s41467-023-36655-1

First measurements of hydrogen-boron fusion in a magnetically confined fusion plasma
https://phys.org/news/2023-02-hydrogen-boron-fusion-magnetically-confined-plasma.html

First measurements of hydrogen-boron fusion in a magnetically confined fusion plasma

As fusion developers around the world race to commercialize fusion energy, TAE Technologies has pioneered the pursuit of the cleanest and most economical path to providing electricity with hydrogen-boron (also known as p-B11 or p11B), an abundant, environm

phys.org


'100,000 years of power' | US-Japan team hails H2-boron plasma fusion breakthrough | Recharge
https://www.rechargenews.com/energy-transition/100-000-years-of-power-us-japan-team-hails-h2-boron-plasma-fusion-breakthrough/2-1-1411318

'100,000 years of power' | US-Japan team hails H2-boron plasma fusion breakthrough

California-based TAE Technologies and Japan’s National Institute for Fusion Science claim success testing new fuel cycle, opening door to cleaner, lower cost en

www.rechargenews.com


핵융합 반응은 에너지 생성시에 핵폐기물이나 온실가스를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클린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수십 개 이상의 팀이 핵융합발전의 실용화를 목표로 경쟁하고 있으며 주류는 수소와 삼중수소(트리튬)를 이용한 핵융합입니다. 그러나 트리튬은 방사능을 가진 방사성 동위원소인데 매우 희소하고 고가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TAE Technologies는 수소-트리튬 핵융합발전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더욱 안전한 붕소를 사용한 수소-붕소 핵융합발전의 개발에 임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NIFS와 제휴하여 NIFS의 대형 헬리컬 장치(LHD)를 사용하여 수소-붕소 핵융합반응의 실험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미일 연구팀은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자기장을 이용한 자기장 가두기 방식을 사용하여 사상 최초의 수소-붕소 핵융합 반응의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수소-붕소 핵융합 반응에서는 부산물로서 알파입자라는 헬륨의 원자핵이 방출됩니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하여 커스텀 설계한 검출기를 이용하여 핵융합 반응에 수반되는 알파입자의 방출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TAE Technologies의 CEO인 Michl Binderbauer는 “이 실험은 우리에게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소-붕소가 실용 규모의 핵융합발전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물리적인 과제를 해결하고 이 비방사성이고 풍부한 연료(붕소)를 이용한 혁신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탄소 프리 에너지를 세계에 제공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많은 핵융합발전 기업은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토카막형을 채용하는데 TAE Technologies는 역장 배열(FRC)이라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토카막형에서는 사용하는 연료가 수소-트리튬으로 한정되어 버리지만 TAE Technologies가 채용하는 FRC는 범용성이 높고 수소-트리튬뿐만 아니라 수소-붕소나 트리튬 -헬륨 같은 조합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것. 또한 FRC는 토카막형에 비해 설치면적이 적어 최대 100배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TAE Technologies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2030년대에 최초의 수소-붕소 핵융합발전로를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최종 목표를 향해 그때까지 기술 라이센스의 공여가 가능하게 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leksey Gureev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spyromus/1814739788/


약 4500년 전에 이집트에서 건설된 기자의 대피라미드(쿠푸왕의 피라미드)는 높이 약 140m의 세계 최대의 피라미드이며 장대한 외관과 복잡한 내부구조가 많은 사람의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그런 쿠푸왕의 피라미드에 숨겨진 수수께끼의 공간을 지상에 쏟아지는 우주선 중 상당량을 차지하는 뮤입자(뮤온)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국제연구팀이 성공했습니다. 또 내부공간에 스코프를 삽입하여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Precise characterization of a corridor-shaped structure in Khufu’s Pyramid by observation of cosmic-ray muons | Nature Communications
http://dx.doi.org/10.1038/s41467-023-36351-0

Hidden corridor in Egypt’s Great Pyramid mapped with cosmic rays | New Scientist
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2362300-hidden-corridor-in-egypts-great-pyramid-mapped-with-cosmic-rays/

Hidden corridor in Egypt’s Great Pyramid mapped with cosmic rays

A 9-metre-long corridor in the 4500-year-old Great Pyramid of Giza that was discovered in 2016 has now been mapped, and researchers have used a tiny camera to peer inside

www.newscientist.com


Scientists have mapped a secret hidden corridor in Great Pyramid of Giza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science/2023/03/scientists-have-mapped-a-secret-hidden-corridor-in-great-pyramid-of-giza/

Scientists have mapped a secret hidden corridor in Great Pyramid of Giza

The corridor is 30 feet long and likely slopes upward. Where it leads is still a mystery.

arstechnica.com


피라미드의 내부구조 스캔을 목표로 카이로 대학과 프랑스의 HIP 연구소가 주도하는 프로젝트인 ScanPyramids는 2016년에 쿠푸왕의 피라미드의 북측에 숨겨진 미지의 공간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국제연구팀은 뮤온을 사용하여 공간의 내부구조를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뮤온은 우주선이 대기와 충돌하여 생기는 투과력이 강한 소입자이며 밀도가 낮은 기체와 밀도가 높은 고체에서는 다른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뮤온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 물체의 내부구조를 스캔할 수 있습니다. 뮤온 라디오그래피(Muon Radiography)라 불리는 이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피라미드와 같은 건축물에 존재하는 숨겨진 공간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나고야대학이 개발한 소립자의 궤적을 입체적으로 기록하는 원자핵 건판과 판독시스템을 이용하여 피라미드 북측에서 연장되는 통로의 다양한 장소에 뮤온검출기를 배치하여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쿠푸왕의 피라미드 북측에 길이 약 9m, 폭과 높이가 2m로 천장부분이 박공형으로 되어 있는 수평한 공간이 있었습니다.

피라미드의 다양한 장소에 배치된 뮤온검출기


숨겨진 공간은 스코프로 직접 촬영이 가능할 정도로 피라미드의 표면에 가까워 스코프를 삽입하고 내부영상을 촬영하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ScanPyramids SP-NFC 2023 Report
https://vimeo.com/803685954


미리 튜브와 같은 것으로 스코프가 통과하는 공간을 확보한 후 스코프를 삽입합니다. 좌우나 바닥은 바위표면이지만 상부는 깔끔한 박공형으로 갖추어져 있습니다. 공간은 좁아 보이지만 연구팀이 공개한 스케치를 보면 인간이 설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집트 고고학 최고평의회 사무총장의 자히 하와스 씨는 3월 2일 기자회견에서 이 공간은 건축재료의 중량에 의한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습니다. 논문의 공동 필두저자인 파리-사클레 대학의 연구자인 Sébastien Procureur 씨도 이 공간이 중량 경감 구조의 테스트로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동의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의 몸은 감염과 싸우기 위한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어 체내에 침입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를 격퇴해 신체의 안정이 유지합니다. 이러한 면역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고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과학계 YouTube 채널 Kurzgesagt가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했습니다.

Your Immune System is More Dangerous than You Think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M-K7mxdN62M


인간의 몸이 나라의 영토라면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는 영토에 공격해 오는 침략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기회는 일상생활의 곳곳에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면역체계를 발달시켰습니다.


체내에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세포는 사이토카인이라는 분자를 방출합니다. 사이토 카인은 일종의 공습경보와 같은 것으로 모든 종류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그 면역세포도 사이토카인을 방출하면서 경보가 증폭된다는 것. 사이토카인에 따라 면역체계가 병원체를 공격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뇌는 신체의 우선순위를 재편하여 병원체로부터의 방어를 최우선 사항으로 취급합니다.


아프면 기력이 떨어지거나 불안과 우울증을 느끼거나 식욕을 잃습니다. 또한 통증의 감수성이 높아져 몸 곳곳에서 통증을 느끼고 휴식을 취하고 싶어집니다. 이 증상들은 모두 신체의 에너지를 절약하고 면역을 적절하게 반응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면역의 활성화는 신체에 있어서 매우 파괴적이고 소모적인 것으로 Kurzgesagt는 면역이 활성화되어 병원체와 싸우고 있을 때의 몸을 '침략을 받아 전쟁경제로 전환된 나라'에 비유했습니다.

전쟁 중인 국가에서는 전쟁에 도움이 되는 무기와 장비의 생산이 최우선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질병에 걸린 체내에서는 면역세포의 생산이나 활성화가 최우선이 되고 방대한 양의 에너지나 아미노산, 미량 원소가 필요합니다.


병에 걸리면 열이 나는데 대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많은 병원체에 데미지를 주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면역세포와 항체, 사이토카인의 생산 등에도 많은 아미노산이 필요해 많은 칼로리와 아미노산이 소비됩니다.

통상 칼로리나 아미노산은 식사로 보충되지만 질병에 걸리면 소화가 느려지고 식욕도 떨어지기 때문에 식사로부터 칼로리나 아미노산을 보충하기 어려워집니다.

이에 신체는 아미노산의 가장 간단한 공급원인 근육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그 영향으로 많은 근육을 상실한다는 것.


젊고 건강한 사람이라면 빨리 회복할 수 있지만 노인이거나 몸이 약해지면 질병의 손상으로부터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면역반응으로 피해를 입는 것은 병원체뿐만 아니라 신체 자체도 피해를 입습니다. 특히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는 매우 공격적이며 병원체를 분해하기 위한 화학물질을 방출할 때 인체의 세포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것.

병원체 자신도 유해한 화학물질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감염은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힙니다.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신체의 수리를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고 손상의 대부분은 재생한 세포에 의해 곧바로 메워진다고 합니다.

또 남은 부분은 콜라겐이 일종의 유기 시멘트로서 연결되는데 원래의 조직과 같은 기능을 완수할 수 없기 때문에 상처가 있는 부분은 이전보다 기능이 쇠퇴합니다. 이것은 심장, 폐, 간과 같은 주요 장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심각한 감염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 점차 장기 기능이 약해진다고 Kurzgesagt는 경고했습니다.


인간의 면역체계는 다양하며 한 병원체에 대해 강해도 다른 병원체에 대해서는 약하다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이 면역체계의 다양성으로 인해 감염이 유행하더라도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자손을 남길 수 있습니다. 면역체계가 개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을 발병해 사망하는 젊은이가 있는 한편 감기 정도로 끝나는 고령자도 있습니다.

자신의 면역체계가 특정 병원체에 약하고 감염되면 죽을 가능성이 있다고 걱정이 되기도 하지만 면역시스템의 뛰어난 기능을 해킹함으로써 면역력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면역체계가 특정 질병을 격퇴하면 병원체를 기억하고 다음 감염시 방어력이 향상됩니다. 그 덕에 같은 감염증에서도 첫회보다 2회째가 경증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메커니즘을 이용한 것이 '백신'입니다.


체내에 주입된 백신은 병원체인 척을 하고 면역시스템에 감염의 기억을 갖게 합니다. 백신을 사용하면 마치 훈련장에서의 훈련과 같이 안전성이 높은 상황에서 면역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약간의 부작용이 있지만 영구적인 피해를 남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자연감염에서도 면역시스템은 병원체를 기억하는데 실전과 같아 몸에 데미지가 남을 위험성이 백신보다 높아집니다. 면역체계의 다양성으로 인해 건강한 사람도 특정 질병에 약한 가능성을 고려하면 자연감염으로 면역을 갖추는 시도는 위험합니다.

또한, 백신은 보다 면역시스템에 유익한 기억을 심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자연면역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을 받는 것은 면역계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라고 Kurzgesagt는 강조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수전 워치츠키 CEO의 사임으로 YouTube의 새로운 CEO가 된 닐 모한이 2023년 YouTube의 우선 사항을 밝혔는데 그 중에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생성형 AI(Generative AI)도구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ouTube Teases AI-Powered Special Effects for Video Creators | PCMag
https://www.pcmag.com/news/youtube-teases-ai-powered-special-effects-for-video-creators

YouTube Teases AI-Powered Special Effects for Video Creators

YouTube's new CEO says the generative AI features will roll out in the coming months.

www.pcmag.com


YouTube’s new leader teases AI tools that can virtually swap outfits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3/1/23620143/youtube-ai-tool-features-ceo-neal-mohan-google-alphabet

New YouTube leader reveals generative AI tools are coming soon

Neal Mohan teases new features that can “virtually swap outfits.”

www.theverge.com


2023 YouTube priorities — What creators need to know!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3jttC_15xvM


생성형 AI는 문장입력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대화형식으로 고정밀도의 문장을 생성합니다. 닐 모한 CEO에 따르면 YouTube가 개발하고 있는 생성형 AI도구는 동영상 속에서 의상을 가상적으로 변경하거나 환상적인 배경용 영상을 만드는 등 AI로 영상제작 능률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 뉴스사이트 PCMag는 동영상 내에 등장하는 인물의 얼굴을 다른 인물로 자연스럽게 바꾸는 딥페이크 기술이나 문장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Imagen Video와 같은 동영상 생성 AI의 존재가 있기 때문에 가짜 정보를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YouTube도 인식해 닐 모한 CEO는 “책임있는 관리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YouTube의 생성형 AI도구는 몇 달 안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manda Shepherd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JVSHDB5p4gE


칼로리 제로의 인공감미료 '에리스리톨'이 혈액의 점성을 높이고 뇌졸중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에리스리톨은 칼로리 제로의 당류로 설탕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The artificial sweetener erythritol and cardiovascular event risk | Nature Medicin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3-02223-9

Popular Artificial Sweetener Appears to Make Blood 'Stickier', Linked to Stroke Risk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popular-artificial-sweetener-appears-to-make-blood-stickier-linked-to-stroke-risk

Study Links Artificial Sweetener to Stroke Risk, Says It Could Make Blood Stickier

The suspected health harms of artificial sweeteners are piling up – and now a new study has linked one kind of sugar substitute to higher risks of heart health problems.

www.sciencealert.com


에리스리톨은 발효식품에 함유된 탄수화물로 과일, 버섯, 와인, 청주, 간장, 된장과 같은 발효식품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칼로리가 없고 상쾌한 단맛과 충치의 원인이 되는 산을 만들지 않으며 당대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완하작용이 약하다(설사를 일으키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술의료센터인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러너연구소에 소속된 스탠리 헤이젠 연구팀이 에리스리톨을 비롯한 인공감미료를 섭취하면 심장발작이나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심혈관 클리닉에서 검사를 받은 1157명의 환자 중에서 혈중 에리스리톨의 농도가 높은 환자는 그 이후 3년간 심혈관에 관한 증상을 발병할 위험 및 증상발병으로 사망위험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덧붙여 에리스톨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심장발작이나 뇌졸중을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국과 덴마크의 합계 약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데이터를 분석에서도 보였다고 합니다.

by Vinicius "amnx" Amano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dbOV1qSiL-c


연구팀은 이 결과에 8명의 건강한 피험자로부터 혈액샘플을 채취해 에리스리톨의 섭취가 어떻게 리스크를 높이는지를 조사했고 그 결과, 혈중 에리스리톨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기는 피험자가 달콤한 음료를 마신 후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게다가 이 혈중 에리스리톨 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오기까지 2~3일이나 걸렸고 혈중 에리스리톨 농도가 높은 타이밍에서는 혈액의 점착성이나 혈액응고에 관한 측정치가 상승했습니다. 다른 동물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보여 에리스리톨을 대량으로 섭취하면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고 심혈관 관련 증상을 발병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학술지 Nature Medicine에서 발표된 이 연구결과에는 인공감미료 전반, 특히 에리스리톨이 심장 발작이나 뇌졸중의 위험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조사하는 추가 안전성 연구의 필요성과 특히 뇌혈관 장애의 위험이 큰 환자에서의 영향이 현저했다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에리스리톨은 야채나 과일 등 식재료에도 포함되는데 가공식품에서는 농도가 1000배 이상 높은 제품도 있다며 인공감미료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에 영향이 생겨 체중 증가나 당뇨병과 암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인공감미료는 칼로리가 적기 때문에 설탕의 섭취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섭취를 계속하면 인체가 더 단맛을 요구하게 되어 버린다는 점도 문제시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피험자가 섭취한 에리스리톨의 양에 대해 "영국의 가게에서 판매되는 음료에서 허용되는 양을 훨씬 넘었지만 일부 미국인들이 평소 섭취하는 에리스리톨의 양을 정확하게 반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2022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도 인공감미료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심장병 발병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영양역학자인 니타 폴로히 씨는 "최근 연구는 인공감미료의 잠재적인 건강피해에 대한 과거의 연구결과를 확장하고 있으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by Myriam Zilles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tEJm9fvlju8


한편 이번 연구의 피험대상이 된 환자는 이미 많은 심혈관계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결과가 건강한 집단에도 적용된다고 생각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 연구의 피험대상이 된 환자의 4분의 3이 고혈압 혹은 관동맥질환을 앓고 있었고 5분의 1이 이미 당뇨병을 앓고 있었습니다.

에리스리톨을 포함한 인공감미료가 장기적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계 미디어 ScienceAlert는 “설탕 섭취량을 줄이고 가당음료와 고도로 가공된 식품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최선일 것”이라고 정리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탐사기 하야부사 2가 소행성 류구에서 가져온 시료에 왼손형의 아미노산과 오른손형의 아미노산이 거의 동수 포함되어 있었다고 규슈대와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의 연구팀이 23일자 미 과학잡지 과학전자판에 발표했다.

지구의 생명의 기원은 류구와 같은 소천체가 우주에서 옮긴다는 '우주기원설'이 있다. 만약 류구의 시료에 왼손형 아미노산이 많으면 우주기원설의 근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팀은 "이번 성과에서는 결론은 말할 수 없지만 우주기원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유기물에는 같은 화학식이지만 거울에 비친 것처럼 구조가 반전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을 좌우의 손에 비유하여 왼손형, 오른손형이라고 부른다. 수백 종류의 아미노산의 일부도 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을 합성하면 왼손형과 오른손형이 같은 수 형성되지만 지구의 생물은 대부분이 왼손형의 아미노산만을 사용하고 있어 생명탄생의 큰 수수께끼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류구의 시료에서 추출한 아미노산 중 왼손형, 오른손형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을 조사했다. 대부분은 생물이 사용하지 않는 아미노산이었지만 알라닌 등 생물이 사용하는 아미노산도 있었고 모두 좌우의 수는 거의 같았다.

연구팀의 나라오카 히로시 규슈대 교수는 “'왜 지구의 생명이 왼손형만을 사용하는가'라는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지만 앞으로 다양한 천체의 시료에서도 아미노산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히로시마대 등의 연구팀은 류구 시료의 유기물 대부분이 흑색 고체였다는 연구성과도 같은 날의 사이언스 전자판에 발표했다. 검은 천체로 여겨지는 류구의 흑색 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모천체에서 물과 유기물, 광물이 화학반응한 흔적도 발견했다.

하야부사2의 시료를 조사하고 있는 총 6개 팀의 연구성과는 이번에 모였고 JAXA는 가까이 시일 내 성과를 정리할 예정이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小惑星リュウグウのアミノ酸は左右同数 生命誕生「宇宙起源」言えず
https://mainichi.jp/articles/20230223/k00/00m/040/088000c

Posted by 말총머리
,


생명의 재료가 되는 아미노산이 '왼손형' 분자뿐인 이유가 우주공간의 원편광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시사하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얻어졌다.

생명의 재료로서 중요한 아미노산은 분자의 중심에 있는 탄소원자에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수소, 나아가 하나의 측쇄(-R)라는 4개의 관능기가 결합한 정사면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R의 부분에도 수소가 결합하고 있는 글리신은 예외이고 그 이외의 아미노산에는 모두 4개의 결합의 방법에 '왼손형(L형)'과 '오른손형(D형)' 2가지가 존재한다. L형과 D형의 분자는 서로 경상관계(경상이성체)로 되어 있다. 아미노산과 같이 좌우의 구별이 있는 분자를 '키랄분자'라고 한다.

실험실에서 아미노산을 합성하면 L형, D형을 같은 비율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생물의 신체를 만드는 아미노산은 99%가 L형이다. 이와 같이 한쪽의 경상이성체만이 많이 존재하는 상태를 '호모킬러리티(homochirality)'라고 부르는데 생체 속의 유기분자에 왜 호모키랄리티가 보이는지는 100년 이상에 걸쳐 수수께끼다.

그래서 생명의 기원과도 관련하여 생체분자의 호모킬러리티는 우주에서 생겼다는 가설이 제창되었다. 그 간접적인 증거로서 운석에 포함된 아미노산에도 경상이성체의 편향이 보인다는 것이 알려졌다.


쓰쿠바대학 계산과학연구센터의 호리 유타 씨의 연구팀은 우주공간에서 처음으로 검출된 키랄분자인 산화 프로필렌에 주목하여 우주공간에서 산화 프로필렌에 호모킬러리티가 발생하는지 양자화학 계산으로 조사하였다.

호리 씨 연구팀은 우주에서 호모키랄리티가 태어나는 방아쇠로서 수소원자가 방출하는 '라이만 α선'이라는 자외선을 생각했다. 라이만 α선에 '원편광'이라고 하는 성질(전자파의 진동면의 편향)이 있으면 이 빛을 흡수한 물질에서는 한쪽의 경상이성체만이 많이 분해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실제로 별 형성영역 중에서 원편광은 널리 보인다는 것을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산화 프로필렌이나 그 전구체의 분자에서는 원편광한 라이만 α선을 한쪽의 경상이성체만이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산화 프로필렌과 같은 키랄분자인 아미노산에서도 원편광에 의해 호모킬러리티가 생길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다.

원편광된 빛에 의해 D형의 아미노산이 잘 분해되어 L형이 과잉이 된다. 성간물질에서는 L형의 과잉률은 1~2%로 생각된다. 운석 중의 아미노산에서는 L형의 과잉률은 10~20%인 것이 알려져 있다. 원시 지구에서 생체의 근원이 된 아미노산은 거의 100%가 L형이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左手型アミノ酸の偏りを生む宇宙の光
https://www.astroarts.co.jp/article/hl/a/12673_homochirality

Posted by 말총머리
,


가상화폐의 마이닝은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합니다. 그 때문에 부정하개 전기를 마이닝에 유용하는 경우도 확인되고 있는데 최근 미 매사추세츠주 코하셋의 한 학교의 점검 통로 내에서 몰래 마이닝을 하던 인물이 기소되었습니다.

Former Cohasset employee charged with stealing thousands from town to power cryptomine
https://www.wcvb.com/amp/article/cohasset-massachusetts-school-employee-power-cryptocurrency-mine/43025932

Cryptocurrency mine secretly operated inside Mass. school crawlspace, police say

The secret cryptomine operated for months without detection and a warrant has now been issued for the arrest of the man accused of setting up the operation.

www.wcvb.com


2021년 12월 코하셋 중고등학교의 직원이 점검통로 내에서 복수의 컴퓨터나 와이어, 환기장치를 발견했습니다. 통보를 받은 코하셋 경찰의 담당자는 이러한 설비를 가상통화의 마이닝용 설비라고 판단하고 미 국토안보부의 어드바이스를 받아 기기의 제거와 조사를 개시했습니다.


3개월에 걸친 조사의 결과에서 이러한 마이닝 설비는 8개월간 가동했고 합계 1만4792달러(약 2370만 원)의 전기가 부정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코하셋 경찰은 마을의 시설장 보좌인 나디암 나하스 씨가 범인이라고 특정하고 전력절도죄와 기물손괴죄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덧붙여 나하스 용의자는 2022년 3월에 코하셋의 시설장 보좌를 사임했습니다.

밥슨대학의 스티브 고든 씨는 "가상통화 마이닝은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수천 달러를 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이닝에 필요한 고성능 컴퓨터는 항상 작동해야 하고 그 결과 대량의 전력이 소모된다”며 “비트코인 마이닝에 사용되는 총 전력량은 스위스와 같은 작은 나라의 전력을 충당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상화폐 마이닝에 의한 전력소비량의 증대는 각국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마이닝 대국인 카자흐스탄에서는 전력부족의 심각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란은 정전방지를 위해 국내의 마이닝을 일시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또 매사추세츠주와 같은 비교적 대도시에서 마이닝을 하는 경우 지방에서의 마이닝과 비교하면 필요한 전기요금이 고액이 되어 마이닝에 의한 이익을 웃돌아 버린다는 것. 그 결과 나하스 용의자는 전기도둑질에 이른 것으로 보입니다.

덧붙여 나하스 용의자는 2023년 2월 23일에 이루어진 지방법원에서의 형사재판에 출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체포장이 발행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iPhone을 비롯한 스마트폰에서는 패스코드를 설정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해도 낯선 사람에게 단말기를 마음대로 조작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장소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 패스코드를 입력하면 스마트폰 도난과 데이터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A Basic iPhone Feature Helps Criminals Steal Your Entire Digital Life - WSJ
https://www.wsj.com/articles/apple-iphone-security-theft-passcode-data-privacya-basic-iphone-feature-helps-criminals-steal-your-digital-life-cbf14b1a

A Basic iPhone Feature Helps Criminals Steal Your Entire Digital Life

The passcode that unlocks your phone can give thieves access to your money and data. “It’s like a treasure box.”

www.wsj.com


Recent iPhone thefts highlight the danger of using passcodes in public - 9to5Mac
https://9to5mac.com/2023/02/24/iphone-passcode-in-public-dangers/

Recent iPhone thefts highlight the danger of using passcodes in public

A new report from The Wall Street Journal looks at a recent trend of iPhone thefts that have happened across...

9to5mac.com


Apple Responds to Report About Thieves Spying on iPhone Passcodes to 'Steal Your Entire Digital Life' - MacRumors
https://www.macrumors.com/2023/02/24/iphone-stolen-passcodes-report/

월스트리트 저널이 미국에서 아이폰 도난피해를 당한 피해자와 인터뷰를 했는데 많은 피해자가 야간에 바나 다른 공공장소에 있을 때 아이폰을 도난당했다고 답변했습니다. 일부 피해자는 도난 당시 폭행이나 협박을 당했다고 합니다.

아래 동영상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의한 iPhone 도난피해의 실태를 보여주고 도난의 수법이나 체험담, 도난대책이 나옵니다.

Apple’s iPhone Passcode Problem: Thieves Can Ruin Your Entire Digital Life in Minutes | WSJ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QUYODQB_2wQ


iPhone의 패스코드 입력화면이 노출되면 간단하게 Apple ID 패스워드나 'iPhone 찾기' 등이 해제되어 버립니다.

iPhone에 패스코드를 입력하는 순간을 절도범이 들여다보았을 경우, 얼굴인증 시스템의 Face ID나 지문인증 시스템인 Touch ID가 유효해도 간단하게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어 버립니다. 그 결과 Apple ID의 비밀번호 변경이나 'iPhone 찾기' 등이 해제되는 2차 피해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절도범이 아이폰의 패스코드를 알고 있다면 하나의 패스코드로 여러 비밀번호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Cloud 키체인을 통해 은행계좌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또한 iCloud 키체인에 접속하면 피해자의 개인정보나 기밀정보 등이 유출될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월스트리트 저널은 아이폰을 훔치는데 성공하면 피해자의 전체 디지털라이프를 훔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절도범은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이 활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 명은 피해자를 돌보고 다른 한 명은 패스코드 입력화면을 들여다보는 역할을 합니다. iPhone의 집단절도로 적발된 미네소타주의 범죄조직은 12명의 구성원이 40명으로부터 iPhone을 훔쳐냈으며 피해총액은 약 30만 달러(약 4억 원)에 달했다고 합니다.

절도범의 수법으로서는 폭력이나 협박 외에 우호적으로 피해자와 대화를 해 잠금해제를 위해 패스코드를 입력하도록 유도합니다. 피해자가 패스코드의 입력이 불필요한 Face ID나 Touch ID 등으로 잠금해제를 한 경우 절도범은 사진을 보여달라고 요구하고 몰래 전원을 끈 상태로 피해자에게 반환합니다. 아이폰은 재부팅 후는 잠금해제를 위해 패스코드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그 때 입력화면을 들여다본다는 것.

월스트리트 저널은 아이폰의 보안 향상을 위해 가능한 한 공공장소에서는 Face ID나 Touch ID를 사용하고 영숫자 비밀번호로 전환하며 은행계좌와 같은 민감한 비밀번호에는 비밀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1Password와 같은 비밀번호 관리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비만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한편 사망률의 통계를 대조해 보면 뚱뚱한 사람이 오히려 오래 사는 것으로 나와 이 현상은 '비만의 역설'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약 30년간의 체중변화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과체중과 비만이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Sources and severity of bias in estimates of the BMI–mortality association: Population Studies: Vol 0, No 0
https://doi.org/10.1080/00324728.2023.2168035

Sources and severity of bias in estimates of the BMI–mortality association

Estimates of mortality differences by body mass index (BMI) are likely biased by: (1) confounding bias from heterogeneity in body shape; (2) positive survival bias in high-BMI samples due to recent...

www.tandfonline.com


Excess weight, obesity more deadly than previously believed | CU Boulder Today |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https://www.colorado.edu/today/2023/02/23/excess-weight-obesity-more-deadly-previously-believed

Excess weight, obesity more deadly than previously believed

New CU Boulder research finds that overweight populations have a 22% higher mortality risk than those of healthy weight, while obese populations have as much as double the risk. The study found that about 1 in 6 adult deaths in the U.S. are related to exce

www.colorado.edu


신장과 체중에서 구한 바디매스 지수(BMI)와 사망위험을 비교한 많은 연구에서 BMI의 값이 '저체중 (18.5 미만)'과 '극도의 비만(35 이상)'인 사람의 사망위험이 높은 반면 '뚱뚱한 수준(25 이상 ~ 30 미만)'의 사망위험이 의외로 낮고 '비만(30 이상~35 미만)'인 사람의 사망위험도 '정상(18.5 이상~25 미만)'에 비해 그다지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U자형의 커브가 되기 때문에 종래는 BMI가 극단적으로 높아지지 않으면 사망위험은 상승하지 않고 뚱뚱한 수준이 생존에 유리한 메리트가 있다고 취급됐습니다 .

by James Heilman, MD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WomenBMIMort.png


이러한 견해에 반박한 인물이 콜로라도 대학 볼더교의 사회학 준교수인 라이언 K 마스터스 씨입니다. 마스터스 씨는 "톰 크루즈는 키가 5피트 7인치(약 170cm)인데 비해 한때 체중이 201파운드(약 91kg)로 늘었고 상당한 근육질이었는데 이를 BMI로 환산하면 31.5가 나와 '비만' 취급이 됐다"며 의사가 건강지표로 자주 사용하는 BMI는 어느 시점에서의 체중과 신장밖에 보지 않고 신체조성이나 과체중이었던 기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점이 취약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 'BMI의 함정'이 지금까지의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마스터스 씨는 1988년부터 2015년까지의 전국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의 데이터를 사용해 4,468건의 사망을 포함한 1만 7,78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건강'인 체중의 사람 중 20%가 10년 전에는 뚱뚱했거나 '비만' 그룹에 속했었고 이러한 사람은 체중이 계속 안정되어 있던 사람에 비해 건강상태가 꽤 나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BMI가 뚱뚱한 사람의 37%, '비만'인 사람의 60%는 10년 전은 BMI가 낮았고 특히 최근 뚱뚱해진 사람은 건강상태도 양호했습니다.


연구결과, 종래의 연구에서는 과체중이었던 사람이 컨디션을 무너뜨리고 체중이 격감한 케이스를 '저체중'으로 분류한 결과로 마른 사람의 건강상태가 나쁜 것처럼 보이거나 반대로 최근에 뚱뚱해진 사람이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분류되어 비만의 건강위험이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이 밝혀졌다고 마스터스 씨는 보았습니다.

그 밖에도 이번 연구에서는 BMI가 같아도 체중이 증가하는 방법에 따라 건강상태가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마스터스 씨가 이러한 BMI 관련 바이어스를 제외하고 다시 계산하면 사망위험과 BMI 그래프는 U자형이 아닌 똑바른 상승선을 그려 BMI가 18.5 이상 22.5 미만으로 낮은 사람이 가장 사망위험 낮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 종래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저체중의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상승하는 현상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마스터스 씨는 “높은 BMI가 초래하는 건강이나 사망위험에 대한 영향은 스위치를 전환하듯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과체중 기간에 의존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금부터 30년 전에 지구에 낙하한 운석 속에 지구외의 미지의 단백질이 발견되었다는 연구논문이 이번에 공개되었습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폴리버에 있는 플렉스사의 연구그룹이 1990년 알제리에 낙하한 운석 'Acfer 086'을 분석했습니다. 이 그룹의 논문에 따르면 고정밀 질량분석으로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의 존재가 밝혀졌다는 것입니다.

'hemolithin'이라고 불리는 이 단백질은 철이나 산소, 리튬원자와 함께 아미노산 글리신과 히드록시글리신이 사슬형태로 연결되어 있다고 논문에서 밝혔습니다. hemolithin에는 수소의 무거운 동위원소인 중수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수소의 특징은 하나의 양성자뿐만 아니라 하나의 중성자도 원자핵의 구성요소가 된다는 것으로 일반 수소원자의 핵은 하나의 양성자로 이루어지며 중성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구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에는 이와 같이 대량의 중수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석결과는 이 단백질이 원시 태양계 원반이라고 불리는 분자구름을 기원으로 한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연구그룹은 보고하며 "이 연구결과는 지구외 유래의 단백질을 사상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참고로 hemolithin이 지구외 생명체의 존재의 증거라고 연구그룹은 주장하지 않으나 이 발견이 확실하다면 우주생물학자들이 매우 큰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지구의 생물이 이용하는 매우 복잡한 화학적 구조가 심우주에서도 자연스럽게 생성된다는 것을 이 발견은 나타내고 있고 단백질은 생명체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세포의 중요한 성분입니다. 생화학계가 발생해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은 기적적인 현상이 아닐지도 모르고 생명이 우주 전반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지구 밖에서 복잡한 화학구조가 발생하고 있다는 증거가 계속 발견되고 있고 예를 들어 토성의 거대한 위성인 타이탄의 두꺼운 대기 중에서는 대형 유기분자가 소용돌이치며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요소)이 운석이나 혜성의 먼지로부터 검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추측은 예비적인 것으로 본 논문은 아직 검토가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별로 감탄하지 않는다"고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에고교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해양화학 명예교수이자 특별교수이기도 한 제프리 버다 씨는 평가했습니다.

“중요한 문제는 내가 아는 한 운석 내부나 전생물 실험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고된 적이 없는 히드록시글리신이 존재했다는 점입니다. 그 어떤 단백질에서도 발견했다는 보고를 보지 못했다"며 "그러므로 이러한 아미노산을 운석 중에 발견했다는 것은 이상한 이야기로 분석결과는 매우 의심스럽다"고 보았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隕石内部から史上初の『地球外タンパク質』を発見か、しかも変わった構造
https://vaience.com/space/20200308-first-known-extraterrestrial-protein-possibly-spotted-in-meteorite/

Posted by 말총머리
,


일본의 연구팀이 우주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순한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가수분해 후에 아미노산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본 연구는 소행성 내부의 얼음이 녹아 생긴 물 환경에서 방사선에 의해 아미노산의 형성이 촉진되었음을 시사하고 이러한 아미노산은 운석 등에 의해 원시 지구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구상에서의 생명탄생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의견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유력 가설 중 하나는 생명의 원재료인 아미노산이 운석에 의해 지구로 옮겨져 왔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이 ACS Central Science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초기 운석 모천체 내에서 생긴 감마선으로 인해 암모니아나 포름알데히드 등 우주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순한 물질로부터 아미노산이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나타냈습니다.

지구가 불모의 행성이었을 무렵 운석은 지금보다 많이 지표에 쏟아져 내렸습니다.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탄소질 콘드라이트라고 불리는 운석은 생명의 탄생에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석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실험은 암모니아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단순한 분자끼리가 열수 중에서 반응함으로써 아미노산 등의 분자가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초기 운석의 모천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루미늄 26과 같은 방사성 원소는 붕괴시 고에너지 방사선인 감마선을 방출합니다. 이 방사선이 생체분자를 만드는데 직접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연구팀은 감마선 조사실험을 실시했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의 수용액을 유리관에 봉입한 후 코발트 60의 붕괴로 생기는 감마선을 조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감마선을 조사한 용액에서는 알라닌, 글리신, α-아미노부티르산, 글루탐산 등의 α-아미노산이나 β-알라닌, β-아미노부티르산 등의 β-아미노산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감마선의 총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라닌과 β-알라닌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와 운석 중 알루미늄 26의 붕괴로부터 예상되는 감마선량으로부터 현재 운석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양에 대해 충분한 양의 아미노산이 감마선에 의해 형성된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운석의 모천체인 소행성 내부에서 감마선의 작용에 의해 암모니아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간단한 분자로부터 아미노산이 생성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아미노산이 운석에 의해 지구로 전달되면서 생명의 기원에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당과 핵염기의 형성에 대한 감마선의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를 실시해 감마선으로 주요한 생체분자의 원재료가 되는 물질을 소행성 내부에서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隕石とガンマ線が地球に生命の素を与えた可能性
https://www.kobe-u.ac.jp/research_at_kobe/NEWS/news/2022_12_08_02.html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 에너지부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는 연구소에서 유출된 것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한 사실이 The Wall Street Journal의 2023년 2월 26일 보도로 밝혀졌습니다.

A Lab Leak in China Most Likely Origin of Covid Pandemic, Energy Department Says - WSJ
https://www.wsj.com/amp/articles/covid-origin-china-lab-leak-807b7b0a

WSJ News Exclusive | Lab Leak Most Likely Origin of Covid-19 Pandemic, Energy Department Now Says

The Energy Department joins the FBI in saying the virus likely spread via a mishap at a Chinese laboratory. Four other agencies, along with a national intelligence panel, still judge that it was likely the result of a natural transmission, and two are unde

www.wsj.com


Covid-19: US Energy Department assesses virus likely resulted from lab leak, furthering US intel divide | CNN Politics
https://edition.cnn.com/2023/02/26/politics/covid-lab-leak-wuhan-china-intelligence/index.html

US Energy Department assesses Covid-19 likely resulted from lab leak, furthering US intel divide over virus origin | CNN Politic

CNN  —  The US Department of Energy has assessed that the Covid-19 pandemic most likely came from a laboratory leak in China, according to a newly updated classified intelligence report. Two sources said that the Department of Energy assessed in the in

www.cnn.com


The Wall Street Journal에 정보를 제공한 2명의 관계자에 따르면, 에너지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유출한 것으로 보는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는 리포트를 미국 의회의 정보위원회에 제출했다는 것. 미 정부기관은 정보의 정밀도를 '저・중・고'라는 3단계로 평가하고 있는데 에너지부는 이번 견해를 '저신뢰도'로 평가했습니다.

The Wall Street Journal은 “에너지부는 상당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고 미 국립연구소의 네트워크를 감독하는 입장에 있으며 첨단 생물학적 연구를 실시하고 있는 연구소도 포함되어 있는 점 등 새로운 정보에서 파생된 이 결론은 중요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나누어 '연구소 유출설'과 '자연감염설'이라는 2개의 설이 대립하고 있고 전문가의 사이에서도 결론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FBI는 2021년에 바이러스가 중국의 연구소 사고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중신뢰도'로 보고했으며 이 설을 채용하고 있는 미 정부기관은 에너지부가 두 번째가 되었습니다.

한편 중장기적인 전략분석을 담당하는 국가정보회의와 4개 기관에서는 바이러스의 기원을 자연감염으로 하는 설이 '저신뢰도'로 채용되고 있으며 중앙정보국(CIA)을 포함한 기관은 판단을 보류하고 있다고 에너지부의 기밀문서를 열람한 관계자들은 말했습니다. 관계자는 어느 정부기관도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중국의 생물무기계획의 산물이 아니라는 견해에서 일치하고 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도 이 점이 재확인되었다고 전했습니다.


에너지부의 정보국은 국가정보장관실 산하에 있는 18개 정부기관 중 하나로 이 중 8개 기관이 지금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기원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보도에 대해 에너지성이 판단을 바꾸는 근거로 한 새로운 정보에 대해 밝히는 것은 피했고 "에너지부와 FBI는 모두 각각 다른 이유로 이 결론에 이르렀다”라며 이번에 에너지부가 작성한 보고서의 비기밀판이 공개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0년 12월에 지구에 귀환한 JAXA(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의 탐사기 '하야부사 2'가 가져온 소행성 '류구'의 모래로부터 아미노산이 20종류 이상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아미노산은 우리 몸의 약 20%를 차지하는 단백질을 만듭니다. 생명의 근원인 아미노산이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에도 존재하고 있음이 증명되었습니다.

아미노산은 우리 몸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분입니다. 아미노산이 원시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생명의 기원'의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아미노산은 우리의 생명 자체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생명의 탄생에 대해서도 지구외 기원설, 원시 대기 기원설, 원시 해양 기원설 등 몇 가지 가설이 있지만 '생명의 근원은 아미노산'이라는 점은 공통입니다.

지금까지 '머치슨 운석'을 비롯해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에 아미노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아미노산은 우주에도 존재한다고 생각되었지만 운석이 지구에 낙하했을 때 지구의 아미노산이 혼입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남아있었습니다.

머치슨 운석이란 1969년 호주 머치슨에 낙하한 운석에서 미량의 글리신, 알라닌, 글루타민산, 베타알라닌이 확인되어 지구 이외의 우주에도 생명체가 존재한 흔적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또 5억 년 전의 삼엽충의 화석에서는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이 검출되는 등 현재도 화석이나 운석의 아미노산으로부터 생명 기원의 수수께끼를 푸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하야부사 2로 소행성에서 직접 채취된 모래를, 지구의 아미노산이 혼입하지 않는 엄중한 조건으로 운반해 분석된 샘플에서 아미노산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로 의해 소행성에 아미노산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증명된 것입니다.

우주에서 합성된 아미노산이 지구에 들어왔는지, 비슷한 반응이 지구에서 일어나 아미노산이 합성되었는지는 향후 아미노산의 기원에 대한 연구의 진전이 기대됩니다.

아미노산은 생명의 탄생이나 유지에 필수인 성분이지만, 아미노산만으로는 생명이 탄생지 않기 때문에 이번 발견으로 우주인이 존재할지 어떨지는 모릅니다
생명의 탄생에는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생기는 단백질이나 DNA, RNA 등이 필요합니다. 인간을 비롯하여 지구상 생물의 기원에 대해서도 단백질, DNA, RNA 중 어느 것이 먼저 생겨나 진화해 갔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고 합니다.

향후 연구의 진전으로 우주에도 단백질, DNA, RNA가 존재하는지,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생명체가 아미노산을 이용하고 있는지 등 다양한 수수께끼가 풀려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宇宙でアミノ酸発見!ってこれどういうこと?研究者にきいてみた
https://story.ajinomoto.co.jp/rd/008.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상의 생명의 기원은 유기물의 반응에 의해 생명이 탄생했다는 화학진화설이 일반적인 가설인데 일부 과학자는 생명의 기원은 우주로부터 지구에 도래했다는 판스페르미아설을 주창하고 있습니다. 판스페르미아설과 같이 생물이 우주공간을 이동하여 다른 천체로 옮겨 살 수 있는가에 대해 설명하는 애니메이션을 영국의 오픈대학 등이 공동으로 작성하여 YouTube에서 공개했습니다.

Are we thinking about alien life all wrong? | BBC Idea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KbRObyIqv1U


우주에 존재하는 외계생명체의 탐색은 현대의 가장 흥미로운 연구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는 우주인이 지구에 도착하여 지구의 고대문명을 방문했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수많은 동영상이 있습니다. 우주인의 방문과 지식이 없으면 마야문명의 신전이나 피라미드 등 고대의 거대 건축물을 건조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나 전혀 증거가 없습니다.


우주인이 과거의 지구에 왔다고 하는 주장에는 신빙성이 없지만 생명체가 우주공간을 이동해 다른 천체로 이동할 수 있다는 '팬스펠미어설'은 과학자들에 의해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매사추세츠공과대학과 하버드대학 연구팀이 “다른 천체에서 탄생한 생명체가 어떠한 방법으로 화성에 날아왔다”는 가설을 발표했습니다.

지구상의 고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은 수백만 년에 걸친 진화의 결과로 본래 생물에게 유독한 황이나 암모니아, 망간 등을 먹이로 하거나 산소의 유무에 관계없이 생존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는 진화를 이루었습니다. 예를 들어 Pyrococcus furiosus와 Pyrococcus furiosus와 같은 미생물은 열수 분출구와 같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극한 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은 다른 행성이나 달 등의 가혹한 환경으로 지구에서 이동해도 살아남을 수 있고 서식 수를 확대할 가능성이 보입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극한 환경 생물이 다른 천체로 이동하는 수단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인간의 우주 탐색활동에 동행하는 것입니다. 2007년에는 NASA의 우주선 세척작업 중에 Tersicoccus phoenicis라는 미생물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우주선을 통해 달과 화성 등에 지구의 미생물이 반입되어 버렸을 가능성이 지적되었습니다.

또 다른 미생물이 이동하는 방법으로는 운석에 부착해 다른 천체로 이동하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운석이 행성에 충돌하면 암석과 파편이 우주공간으로 방출되어 이것들이 운석이 되어 다른 천체에 쏟아집니다. 지금까지 313개의 화성의 운석이 지구에서 발견되었으며 달에서도 지구에서 날아온 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따라서 지구의 미생물이 다른 천체로 이동하는 것처럼 다른 천체의 생물이 지구에 도달하여 생명 탄생의 기초가 되었을 가능성이 생각되고 있습니다.


미생물이 우주를 이동할 때의 장애가 되는 것은 우주공간을 날아다니는 방사선입니다. 방사선은 생물체에 유해한 물질이지만 Deinococcus-Thermus와 같은 일부 박테리아는 강한 방사선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주공간에서 최대 6년간 살아남았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운석으로 이동하는 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2020년에 일본 연구자들은 해저에서 1억 년에 걸쳐 휴면했던 박테리아를 깨우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확실히 운석을 타고 미생물이 우주공간을 살아있는 채로 이동하고 행성에 충돌할 때의 충격에도 견디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운석의 균열 같은 장소에 서식하고 있으면 가능성은 있다는 것.


액체의 물이나 대기가 있던 38억 년 전의 화성의 환경은 현재 지구의 환경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지구로부터 날아와 살아남은 생명이 화성의 지하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생물은 태양계 내에서 탄생한 것이 아니라 태양계 밖에서 날아왔을 가능성도 생각되고 있으며 2021년에 발사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심우주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향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발견에 따라서는 지구의 생명기원에 대해 정설인 과학진화설이 뒤집힐지도 모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과거에 자신의 자전거를 통째로 도난당하거나 안장이나 타이어 등의 부품이 없어져 곤란했던 경험을 한 사람이 많은데 네덜란드의 자전거 메이커 VanMoof는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에 탑재한 테크놀로지와 마케팅을 통해 자전거 도난문제에 대항해 도난 건수를 줄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VanMoof Bike Hunters - Tracking Down Stolen Bikes
https://www.bicycling.com/bikes-gear/a35429606/stolen-bicycle-theft-vanmoof-bike-hunters/

Bike Theft Could Become a Thing of the Past, Thanks to This Company’s Team of Bike Hunters

If they can’t find it in two weeks, they’ll give you a new one—guaranteed.

www.bicycling.com


도난피해를 보증하는 VanMoof는 만약 당사의 '바이크 헌터'가 2주 이내에 도난당한 자전거를 발견·회수하지 못할 경우 동등 혹은 상급 상태의 자전거와의 무상교환을 실시합니다. 이 'Peace of Mind 보증'은 3년간의 계약으로 340달러(약 46만 원)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3000달러 수준의 VanMoof S2를 타고 있었던 한 고객은 엄중하게 잠금했음에도 불구하고 뉴욕주 맨해튼의 자택에서 도난의 피해를 당했다고 합니다. 이 고객은 경찰에 신고하고 동시에 VanMoof 앱 상에서도 도난피해를 신고했습니다.

앱에서 도난신고가 된 VanMoof의 자전거는 '도난모드'가 작동하여 전동 어시스트 기능 및 기타 스마트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또 도난신고가 내려졌을 때에는 도난당한 자전거의 추적을 담당하는 바이크 헌터가 동시에 수색을 개시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바이크 헌터의 활동을 보여줍니다.

Bike Hunt Report – December | VanMoof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Wv6W7ygznAw


도난당한 VanMoof S2 검색을 담당하는 바이크 헌터는 자전거에서 자동으로 발신되는 신호를 추적하고 대략적인 현재 위치를 확인합니다. 이 자전거 신호는 도난당한 지 2일이 지났는데도 뉴욕주 브루클린의 포트그린에 신호가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바이크 헌터는 대략적인 위치를 추측했고 최종적인 자전거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해서 GPS보다 정확도가 높은 Bluetooth를 사용해 도난당한 자전거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2017년 최초의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를 발표한 VanMoof의 수익은 증가하는 반면 도난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부각되었습니다. VanMoof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도난 자전거의 매매를 줄이기 보다 근본적 문제인 자전거 도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VanMoof의 디자인과 기술을 융합시켜 도난피해를 줄이려 시도했습니다. 최신의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인 VanMoof S3나 X3는 스마트폰과 제휴해 후륜을 잠그는 '킥 락'을 탑재해 잠긴 상태의 자전거가 흔들리면 경보를 발신해 고객에게 통지가 도착합니다. 2분 이내에 경고를 해제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자전거 모터 및 스마트 기능이 중지되고 VanMoof에 알림이 전송됩니다. 또한 분해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공구가 필요한 자체 나사를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약 30%, 뉴욕의 경우 더 많은 회수실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VanMoof의 바이크 헌터는 “뉴욕에는 전문 자전거 도둑이 많고 지하와 고층 빌딩의 수가 많아 추적이 어려우며 도둑이 폭력적인 성향인 경우가 많아 위험한 것 외에도 팀의 활동목표가 체포, 기소가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래도 VanMoof의 바이크 헌터는 GPS와 블루투스, 때로는 도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도난당한 자전거를 추적하고 거리에서 우연히 도난 자전거를 찾아내거나 온라인에서 발견하기도 합니다. VanMoof는 자전거를 도난당한 고객이 권장되는 자물쇠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료 교환 및 할인을 제공하며 자전거 커뮤니티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NASA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gsfc/4923566097


태양의 외층대기인 코로나는 100만K(K는 절대온도, 0K는 -273.15℃) 이상이지만 태양의 표면은 6000K 정도다. 차가운 가스렌지 위에서 주전자가 끓는 것과 같은 기묘한 현상이다.

태양 내부의 온도구조는 모두가 예상대로 중심핵의 1500만K에서 표면의 6000K까지 단조롭게 내려가고 있다. 그런데 태양 대기에서는 예기치 않은 '온도 구배의 반전'이 일어나고 있다. 우선 채층의 온도는 표면의 6000K에서 1만K로 서서히 상승하고 코로나에 들어서면 온도는 급격히 100만K 이상 상승한다. 또한 태양 흑점 상공의 코로나는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에너지의 공급원은 광구면 아래에 있는데 왜 이런 구배 반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마치 벽난로에서 멀리 떨어지는 편이 따뜻하다는 것과 같이 매우 신기한 현상이다.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Sun_poster.svg


그러나 이 수수께끼는 드디어 풀릴 것 같다. 코로나를 가열하는 구조의 문제는 자기장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자기장이 강한 곳은 코로나가 뜨겁기 때문이다. 자기장은 열 이외의 형태로 에너지를 코로나에 전달하고 있는 것임이 틀림없다. 그렇게 하면 통상의 열역학적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다. 그러나 전해진 에너지는 열로 바뀌어야 한다. 그 방법에는 2개의 이론이 생각되고 있어 각각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The Paradox of the Sun's Hot Corona(SCIENTIFIC AMERICAN June 2001)

Posted by 말총머리
,


스포츠용품을 판매하는 Wilson이 새롭게 3D 프린트로 만들 수 있는 농구공의 설계에 나선 사실을 밝혔습니다. 새로운 설계의 볼은 수지로 되어 있고 다수의 구멍이 뚫린 구조를 하고 있는데 무게나 탄력은 통상의 농구와 거의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Airless Basketball Prototype | Wilson Sporting Goods
https://www.wilson.com/en-us/explore/basketball/airless-prototype

Wilson Created an Airless 3D-Printed Basketball of the Future
https://gizmodo.com/wilson-eos-nba-airless-basketball-that-never-goes-flat-1850139570

Wilson's 3D-Printed Basketball Is Full of Holes But Will Never Go Flat

Created using high-end 3D-printing technology, the basketball weighs and bounces like traditional balls, but never needs to pumped full of air.

gizmodo.com


The Making of the Wilson Airless Prototype Basketball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elyhSE6Tkus


Wilson은 항공우주산업 및 의료산업을 위해 3D 인쇄기술을 제공하는 EOS와 손을 잡고 새로운 디자인의 볼 'Airless'의 프로토타입을 제조했습니다.

Airless의 내부는 공동으로 되어 있으며 육각형으로 미세하게 각진 수지의 층이 표면을 덮고 있습니다. 내부를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주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게, 크기, 반발력 등은 일반 농구공과 거의 일치한다고 합니다.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를 검게 물들인 프로토타입이 2023년 NBA 올스타 게임에서 이미 공개되었습니다.


윌슨 씨는 앞으로도 디자인 개발과 개량을 계속할 예정이며 “전세계의 코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지만 우리는 이 공이 보여줄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YouTube는 업로드하는 동영상의 1개당 크기나 시간에 대해 상한선을 두었지만 계정별로 업로드할 수 있는 총 동영상 수량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DvorakDwarf 씨가 파일을 바이너리화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고 YouTube를 '용량 무제한 스토리지'로 활용하기 위한 툴 'Infinite-Storage-Glitch(ISG/무한 스토리지 글리치)'를 개발했습니다.

GitHub - DvorakDwarf/Infinite-Storage-Glitch: ISG lets you use YouTube as cloud storage for ANY files, not just video
https://github.com/DvorakDwarf/Infinite-Storage-Glitch

GitHub - DvorakDwarf/Infinite-Storage-Glitch: ISG lets you use YouTube as cloud storage for ANY files, not just video

ISG lets you use YouTube as cloud storage for ANY files, not just video - GitHub - DvorakDwarf/Infinite-Storage-Glitch: ISG lets you use YouTube as cloud storage for ANY files, not just video

github.com


YouTube As Infinite File Storage | Hackaday
https://hackaday.com/2023/02/21/youtube-as-infinite-file-storage/

YouTube As Infinite File Storage

Anyone who was lucky enough to secure a Gmail invite back in early 2004 would have gasped in wonder at the storage on offer, a whole gigabyte! Nearly two decades later there’s more storage to…

hackaday.com


DvorakDwarf 씨에 따르면 모든 파일은 1~255의 수치로 표현 가능한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RGB의 색이나 흑색과 흰색의 조합(바이너리)으로 픽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변환한 파일을 동영상에 포함하면 모든 파일을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YouTube에서는 업로드한 동영상이 압축되기 때문에 DvorakDwarf 씨는 파일을 RGB가 아닌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채택했습니다. DvorakDwarf 씨는 ISG를 사용하여 바이너리화된 파일을 동영상에 포함하고 이 동영상을 YouTube에 업로드하여 YouTube를 실질적인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ISG를 사용하여 파일을 바이너리화하면 원래 파일에 비해 크기가 몇 배 커진다는 것.

실제로 DvorakDwarf 씨가 업로드한 '바이너리화한 파일을 임베드한 동영상'을 살펴보면 어떤 파일인지 전혀 알 수 없지만 동영상을 다운로드해 ISG의 dislodge 옵션을 사용해 파일을 꺼내 파일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IT계 미디어의 Hackaday는 16비트 시절에도 VHS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해 파일을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존재하고 있는 등 이 개념은 이전부터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YouTube as a form of hard drive (Read description)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8I4fd_Sap-g


DvorakDwarf 씨는 YouTube를 스토리지로 사용하는 행위는 이용약관을 위반할 수 있다고 인정하며 “파일이 포함된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없다는 이용약관이 있는지 모르지만 대규모로 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Hackaday는 “이것이 YouTube 이용약관을 위반하는지 여부는 해석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동영상 사이트는 이러한 업로드를 비교적 쉽게 감지하고 파일을 손상시키는 보다 강력한 압축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OpenAI의 대화형 AI 'ChatGPT'는 인간의 질문에 대해 매우 자연스럽게 대답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고 잘 작동하는 ChatGPT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밀을 소프트웨어 회사 울프람 리서치의 CEO이자 이론물리학자인 스티븐 울프람 씨가 설명했습니다.

What is ChatGPT doing...and why does it work?
https://twitter.com/stephen_wolfram/status/1626682559982710785?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626682559982710785%7Ctwgr%5Eac7ac5837e7b40bd233b0ff199f03e6fff315922%7Ctwcon%5Es1_&ref_url=https%3A%2F%2Fgigazine.net%2Fnews%2F20230222-why-chatgpt-work%2F

What Is ChatGPT Doing … and Why Does It Work?—Stephen Wolfram Writings
https://writings.stephenwolfram.com/2023/02/what-is-chatgpt-doing-and-why-does-it-work/

<div style="max-width: 480px;">What Is ChatGPT Doing … and Why Does It Work?</div>

Stephen Wolfram explores the broader picture of what's going on inside ChatGPT and why it produces meaningful text. Discusses models, training neural nets, embeddings, tokens, transformers, language syntax.

writings.stephenwolfram.com


울프람 씨는 우선 "ChatGPT가 항상 그리고 기본적으로 할 일은 지금까지 얻은 텍스트의 '합리적인 연속'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합리적인 연속'이란 사람이 문장을 읽을 때 다음에 누군가가 무엇을 쓸지 기대하는 내용을 의미합니다. ChatGPT는 웹에서 수십억 개의 텍스트를 스캔하여 어떤 문장이 작성되었을 때 다음에 어떤 문장이 작성되는지에 대한 확률을 예측합니다.

예를 들어 'The best thing about AI is its ability to(AI의 가장 뛰어난 점은 ~라는 능력입니다)'라는 문장을 ChatGPT는 관련된 문장을 스캔한 텍스트로부터 찾아내고 의미가 일치하는 것을 확률로 순위를 매깁니다.


이 '다음에 계속되는 단어의 랭킹'을 반복하는 식으로 문장을 작성하는데, 울프람씨에 의하면 랭크했을 때의 최고 랭크의 단어를 항상 선택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항상 최고 랭크의 단어를 선택하면 창조성이 없는 단조로운 문장이 되기 때문에 굳이 랭크가 낮은 단어가 선택되는 일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프롬프트를 여러 번 사용해도 매번 다른 답변이 반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ChatGPT의 원리에 대해서 퀸즐랜드 대학의 경제학 조교수이자 체스 그랜드 마스터인 데이비드 스마든 씨도 비슷한 지적을 했습니다. 스마든 씨에 의하면 ChatGPT는 대략 문장의 시작부터 다음에 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단어를 예측해 나간다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실에 관한 질문을 했을 때 있을 것 같은 단어의 조합만을 중시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짜내어 대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것.

울프람 씨는 ChatGPT가 '다음에 오는 단어 순위'를 통해 문장을 생성해 가는 구조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순위지정을 위한 확률표를 얻기 위해 ChatGPT는 먼저 기본이 되는 언어모델 신경망을 취득합니다.


그런 다음 검색된 네트워크 모델을 텍스트에 적용하고 모델에 따라 다음 확률이 높은 단어의 상위 5개를 찾습니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확률이 높은 단어를 문장에 추가합니다. 단어 선택에서 임의의 정도를 변경하면 항상 상단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울프람 씨는 "다음에 올 가능성이 높은 단어를 선택한다"라는 구조에 대해 더욱 세세한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Wikipedia의 '고양이'와 '개'에 대한 기사에서 사용되는 영어샘플을 얻은 경우 문자의 출현빈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추출한 빈도에 따라 일련의 문자를 생성해 그것을 특정 확률로 단어별로 단락을 넣었을 경우 이하와 같은 문장이 됩니다. 어느 정도 그럴듯해 보이지만 랜덤하게 문자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실제 단어로 읽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일반적인 영어 텍스트에서 '문자의 쌍'의 확률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면 'q'는 문자가 왔을 경우에는 쌍이 되는 문자는 'u'를 제외하면 확률이 제로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2문자씩을 보고 단어를 생성하면 전혀 읽을 수 없는 문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단어가 포함되게 됩니다.


게다가 똑같이 쌍뿐만 아니라 문자가 길게 계속되는 경우의 조합확률에 대해서도 충분한 양의 텍스트가 있으면 추정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무작위 단어를 생성해도 더욱 현실적인 문장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ChatGPT는 문자가 아닌 전체 단어를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에서 단어가 얼마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지를 추정하고 각 단어가 개별적으로 무작위로 선택되는 문장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문자에서 단어를 생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확률만으로는 의미가 지나는 문장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도 문자와 같이 '단어의 쌍' 또는 복수의 조합확률도 고려에 넣어 더욱 있을 수 있는 문장에 가까워져 간다고 합니다.

울프람 씨는 “ChatGPT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설명했지만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며 예를 들어 신경망이 고양이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시도인지 이해할 수 있지만 실제로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은 계산상의 블랙박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울프람 씨에 의하면 ChatGPT는 1750억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거대한 신경망으로 언어이해 태스크에 뛰어난 Google의 'Transformer'라는 신경망 아키텍처를 최대의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Transformer는 번역모델로 개발되었지만 이미지와 같은 매개변수를 언어와 마찬가지로 번역하는 프로세스로 매핑할 수 있기 때문에 시퀀스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주의를 기울인다'는 개념을 도입해 사물을 모듈화할 수 있다는 것.

The generative AI revolution has begun—how did we get here?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gadgets/2023/01/the-generative-ai-revolution-has-begun-how-did-we-get-here/

The generative AI revolution has begun—how did we get here?

A new class of incredibly powerful AI models has made recent breakthroughs possible.

arstechnica.com


울프람 씨는 ChatGPT의 실제 동작을 3단계로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먼저 기존 텍스트에 해당하는 일련의 토큰을 검색하고 이에 해당하는 규칙을 숫자형 배열로 찾습니다. 그런 다음 규칙을 '표준적인 신경망 방법'으로 조작하고 값이 네트워크의 연속 레이어를 '파급'하면 새로운 규칙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이 규칙을 얻고 거기에서 약 50,000개의 값의 배열을 생성합니다. 이 배열은 다양한 토큰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확률이 되기 때문에 단어를 조합해 나갈 확률이 도출됩니다.

울프람에 따르면 이러한 모든 메커니즘은 신경망에 의해 구현되고 모든 것이 트레이닝 데이터에서만 학습되기 때문에 전체 아키텍처를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명시적으로 설계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체 아키텍처 설계는 모든 종류의 경험과 신경망에 대한 지식을 반영합니다.


아키텍처의 구조로서는 우선 입력된 무수의 토큰을 '임베디드 벡터'로 변환해 Transformer의 주요 기능인 '주의를 기울이기' 기능으로 일련의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되돌아보는 식으로 단어의 조합을 이해하거나 전체의 통일감을 정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의 프로세스를 통과한 후 Transformer는 일련의 토큰을 최종 컬렉션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ChatGPT는 컬렉션을 가져오고 디코딩한 후 다음 단어의 확률 목록으로 만듭니다. 울프람 씨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신경망이 숫자 입력 모음을 얻고 특정 가중치와 결합해 목록으로 마무리하는 간단한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울프람 씨는 “최종적으로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모든 작업이 어떤 형태로 연계되어 텍스트를 생성하는 뛰어난 인간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본인이 아는 한 이러한 것이 기능하는 '궁극의 이론적 이유'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강조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과학적 발견으로 본다면 ChatGPT와 같은 신경망에서 인간 두뇌가 언어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본질을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야생화된 돼지는 작물을 망치거나 감염을 퍼뜨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축의 돼지와 멧돼지를 교배시킨 거대하고 지능이 높은 '슈퍼돼지'가 캐나다에서 번식해 각지에 피해를 미치고 있다고 합니다.

‘Incredibly intelligent, highly elusive’: US faces new threat from Canadian ‘super pig’ | US new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3/feb/20/us-threat-canada-super-pig-boar

‘Incredibly intelligent, highly elusive’: US faces new threat from Canadian ‘super pig’

Northern states on alert for invasion of cross-bred pig that threatens flora and fauna – and is difficult to stop

www.theguardian.com


주로 캐나다에 서식하는 슈퍼돼지는 눈 밑에 터널을 파고 추운 기후를 살아남을 수 있는 개체군이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영리하고 매우 잡기 어려운 거대한 짐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이 1980년대에 농가가 멧돼지와 가축의 돼지를 교배해 만든 슈퍼돼지로 이 교배는 몸이 크고 고기의 생산량도 많아 사냥보호구에서 쏘기 쉬운 돼지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는데 일부 개체가 사육환경에서 도망쳐 번식한 결과 캐나다 전토에 퍼졌습니다.

슈퍼돼지는 큰 개체는 300kg 이상으로 큰 몸과 지면에 구멍을 파는 능력을 살려 -50도나 되는 캐나다의 겨울을 극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냥꾼이 포획을 시도하고 있지만 슈퍼돼지는 인간의 행동을 감지하면 야간에 활동하기 때문에 찾기가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슈퍼돼지뿐만 아니라 야생돼지는 인간에게 위협을 일으키는 존재로 인지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약 600만 마리의 야생돼지가 매년 15억 달러(약 2조 원)의 손해를 입히고 있다고 합니다. 긴 송곳니를 가진 수컷은 새끼 야생동물을 덮치거나 새의 둥지를 망가트려 생태계에 해를 가하는 것 외에도 가축이나 농작물을 먹거나 나무를 파괴하고 물을 오염시켜 인간에게도 직접적으로 피해를 미칩니다.

또 돼지가 매개하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이 가축에 해를 끼칠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각지에서 야생돼지의 시급한 구제가 요구되고 있다고 합니다. 미 농무성의 전국 야생돼지 피해관리 프로그램에 소속된 마이클 말로우 씨는 지난 10년간 7개 주에서 야생돼지를 박멸하는 데 성공했다고 했지만 야생돼지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가망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야생돼지를 제거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의 과학자들은 큰 덫을 만들거나 독살하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성공한 방법 중 하나는 'GPS'를 돼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포획한 1마리의 돼지에 GPS를 달고 야생에 방사해 무리를 찾아냅니다.

구제를 위해 수많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야생돼지를 전멸시키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서스캐처원 대학에서 캐나다의 돼지연구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라이언 브룩 씨는 “아마도 2010년부터 2012년 말까지 야생돼지를 찾아서 제거할 가능성이 나름 있었지만 현재는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고 개체 수도 많아져 근절이 가능하다는 희망은 무너졌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