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3.01.25 지구의 내핵에서 생긴 '불가사의한 회전'이 멈췄다
  2. 2023.01.25 일반 가정의 Wi-Fi 공유기로 인간의 3D 이미지를 생성
  3. 2023.01.23 행복호르몬 '세로토닌'을 식사로 부스트 하기
  4. 2023.01.23 리튬이온보다 10배 싼 '철공기 배터리'의 양산을 개시
  5. 2023.01.20 우주는 어디를 향해 팽창되고 있나
  6. 2023.01.19 감염으로 인한 자연도태가 염증성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7. 2023.01.16 초콜릿에는 카드뮴이나 납이 기준치 이상 포함되어 있다는 조사결과
  8. 2023.01.15 극장 공개 전인 해적판 영화의 수가 감소한 이유
  9. 2023.01.13 마침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미발견 행성의 관측에 성공
  10. 2023.01.11 고대 로마 시대의 콘크리트가 2000년의 내구성을 자랑하는 원리
  11. 2023.01.11 기가비트 대응 회선을 신축 주택에 도입이 영국에서 의무화
  12. 2023.01.10 우주에서 태양광발전하여 무선으로 송전하는 프로젝트 'SSPP'가 2023년 1월 3일부터 가동 개시
  13. 2023.01.08 스마트폰으로 위성통신이 가능한 'Snapdragon Satellite'를 Qualcomm이 발표
  14. 2023.01.06 비트코인의 핵심 개발자가 해킹 당해 보유한 BTC를 모두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
  15. 2023.01.05 바이러스를 포식해 번식하는 생물을 발견
  16. 2023.01.01 공룡을 부활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
  17. 2023.01.01 이명의 원인과 완화방법
  18. 2022.12.27 새끼를 많이 낳은 암컷일수록 바보
  19. 2022.12.24 초부유층이 생기는 이유와 세금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웹페이지
  20. 2022.12.20 우주 탄생 초기에 존재했다는 '블랙홀 별'
  21. 2022.12.13 '기생충'이 늑대 무리의 우두머리를 만든다
  22. 2022.12.07 아마존이 스마트폰 데이터를 건내면 대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시작...보상은 겨우 월 2달러
  23. 2022.12.06 사기꾼은 스팸 메일에 일부러 오자와 탈자를 넣어 대상을 선별하고 있다 1
  24. 2022.12.04 양자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가 통과할 수 있는 '이론상의 웜홀'의 작성에 성공
  25. 2022.12.02 해커가 비밀번호 관리앱 'LastPass'의 소스코드를 훔쳐 사용자 데이터에 액세스
  26. 2022.12.01 HDD의 1GB당 가격이 20원까지 하락
  27. 2022.11.30 부자감정을 했더니 아이의 어머니가 숙부였다는 결과
  28. 2022.11.29 퀘이사가 품어내는 제트의 근원
  29. 2022.11.28 하늘의 3분의 1을 채우는 10억 개의 은하
  30. 2022.11.28 이중 퀘이사 이미지의 관측에서 추정되는 허블상수


지구는 상부의 지각과 맨틀 아래에 직경 약 7000km의 핵을 가지고 있는데 액체의 외핵이 지하 2900km~5100km, 고체의 내핵이 지하 5100km~6400km에 위치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 내핵은 지구의 다른 부분보다 빠른 속도로 독자적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는데 새롭게 발표된 논문에서는 지난 10년간 내핵의 불가사의한 회전이 정지되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Multidecadal variation of the Earth’s inner-core rotation | Nature Geoscience
https://doi.org/10.1038/s41561-022-01112-z

Has Earth’s inner core stopped its strange spin?
https://doi.org/10.1038/d41586-023-00167-1


Earth's Inner Core May Right Now Be in The Process of Changing Direction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earths-inner-core-may-right-now-be-in-the-process-of-changing-direction

Earth's Inner Core May Right Now Be in The Process of Changing Direction

Few of us give much thought to Earth's swirling, spinning contents until some sudden movement, an earthquake or a volcanic eruption, jolts us to our senses.

www.sciencealert.com


덴마크의 지진학자인 잉게 레이먼 씨는 1936년 지구 내부에서의 지진파의 전파(전파)속도가 5100km 부근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발견해 지구의 핵이 외핵과 내핵의 2층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지구의 가장 중심에 있는 내핵은 달만한 크기로 매우 높은 압력 하에서 96%가 고체인 철로 구성되어 온도는 6000도 이상으로 태양의 표면 온도에 필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96년 당시 일리노이 대학의 연구자였던 Xiaodong Song 씨와 컬럼비아 대학의 Paul Richards 씨는 지구의 내핵은 맨틀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수천 km 떨어진 관측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의 변화를 1960년대 이후의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에 근거한 것입니다. 내핵이 움직이지 않으면 지진파의 이동속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지만 1960년대~1990년대에 걸쳐 지진파의 이동시간이 변화하고 있었던 것을 Song 씨는 발견했습니다.

후속 연구에서 내핵은 맨틀에 비해 지구 1주 360도에 대해 연간 10분의 1도 정도 빠르게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든 연구자가 내핵은 맨틀보다 빠르게 회전한다는 이 가설에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내핵의 회전은 항상적인 현상이 아니라 일시적인 것으로 제안되었으며 내핵의 고속회전은 없으며 지진파의 변화는 내핵 표면의 물리적 변화로 인한 것이라는 논문도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또 2022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1969~1971년에 걸쳐 미국의 핵실험에서 생성된 지진파의 데이터로부터 지구의 내핵은 이 시기에 역회전하고 있고 맨틀보다 천천히 회전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1971년 이후로 내핵의 회전속도가 상승하기 시작했다고 추정했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베이징 대학의 지구물리학 교수가 된 Song 씨와 연구자 Yi Yang 씨는 1995년~2021년에 걸쳐 관측된 지진파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서 2009년경부터 지진파의 이동시간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지진파의 이동시간에 변화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내핵이 맨틀에 대해 고속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비슷한 결과가 지구상의 여러 지점에서 관측되고 있으므로 Song 씨는 이것이 행성 전체의 현상이며 내핵 표면의 국소적 변화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데이터는 내핵의 회전속도가 느려졌을 뿐만 아니라 역회전하는 과정에 있을 가능성도 시사합니다. Song 씨 연구팀은 “내핵 자전이 최근 10년간 거의 멈추고 1970년대 초부터 전기를 맞이해 수십 년 주기의 되풀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놀라운 관측결과가 나타났다"며 내핵의 회전이 약 70년간의 주기성이 보이는 하루의 길이나 자기장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avier Miranda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mIg0GL63lFk


Wi-Fi 공유기를 사용하여 인간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하고 인식해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카네기 멜런 대학의 연구자가 발표했습니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Wi-Fi 공유기로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헬스케어, 보안, 게임(VR) 등의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킬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2301.00250] DensePose From WiFi
https://arxiv.org/abs/2301.00250

DensePose From WiFi

Advances in computer vis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ve led to significant development in 2D and 3D human pose estimation from RGB cameras, LiDAR, and radars. However, human pose estimation from images is adversely affected by occlusion and lighti

arxiv.org


WiFi Routers Used to Produce 3D Images of Humans
https://vpnoverview.com/news/wifi-routers-used-to-produce-3d-images-of-humans/

WiFi Routers Used to Produce 3D Images of Humans

Carnegie Mellon researchers may have come up with a breakthrough technique to detect and map humans in space via WiFi transmitters.

vpnoverview.com


연구팀은 미국에서 50달러에 판매되고 있는 TP-Link가 생산한 Wi-Fi 공유기 Archer A7 AC1750를 여러 명이 있는 방안에 배치해 와이어 프레임 이미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Wi-Fi 신호의 굴절로 방 안에 있는 사람의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Wi-Fi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분석하여 인간의 간섭 신호를 찾는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연구결과는 우리가 구축한 모델이 Wi-Fi 신호를 유일한 입력정보로 이용하면서 이미지 기반 접근법에 필적하는 성능으로 여러 피험자가 밀집하는 방 안에서 개인의 포즈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 기반의 접근이란 기존의 카메라나 LiDAR와 같은 레이더 기술을 가리킵니다. 또한 조명이 불충분한 장소나 카메라의 방해가 되는 물건이 놓인 장소에서도 정확하게 3D화상을 작성할 수 있어 기존의 접근법보다 훨씬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도 있습니다.

덧붙여 연구팀이 이용하고 있는 AI 알고리즘은 Facebook AI Research가 개발한 인간의 자세를 2D화상으로부터 추정해 인체 표면에 텍스처를 매핑할 수 있는 오픈소스 DensePose입니다.

by Javier Miranda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mIg0GL63lFk


연구팀은 "Wi-Fi 신호가 인간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RGB 이미지의 유비쿼터스한 대체품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습니다. 게다가 기존 시스템보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필요한 기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도 있고 선진국 대부분의 가정에는 이미 Wi-Fi 공유기가 있으므로 이 기술을 사용하면 노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정에서 의심스러운 행동을 확인할 수 있는 등 Wi-Fi 공유기를 이용한 3D 이미지 생성기술의 향후 용도를 제시했습니다.

일반적이지 않은 포즈나 공간 내에 3명 이상의 피험자가 있는 경우 등에 3D 화상의 생성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AI 알고리즘(DensePose)의 트레이닝 데이터를 개선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향후 작업에서는 멀티 레이아웃 데이터를 수집하고 Wi-Fi 신호에서 인간의 입체적인 모양을 예측하는 작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VPN 관련 뉴스와 리뷰를 다루는 VPNOverview는 “이 기술이 주류가 되면 심각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Wi-Fi 공유기가 집에 최소 한 대가 당연한 선진국 등에서는 Wi-Fi 공유기를 사이버 범죄자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어 사람들은 Wi-Fi 공유기에 대한 신뢰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은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조절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기 때문에 미디어에서는 "행복호르몬"이라고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런 세로토닌을 식사나 생활습관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해서 전문가가 설명했습니다.

Can you actually 'boost' serotonin?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can-you-boost-serotonin

Can you actually 'boost' serotonin?

The "feel good" neurotransmitter serotonin is associated with mood.

www.livescience.com


◆1 : 세로토닌이란 어떤 물질?
미국 일리노이주의 의료기관인 Relief Mental Health에서 최고의료책임자인 신경정신과의 테레사 포플라우스키 씨에 따르면 세로토닌은 뇌와 장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로 세포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 뇌에서의 작용이 주목되는 경우가 많은 세로토닌이지만 체내에 존재하는 세로토닌 대부분은 장에 존재하고 있어 뇌에 존재하는 세로토닌은 1~2% 정도라고 합니다. 자료에 따라서는 10%로 추정하지만 대부분이 장에서 기능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로토닌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지에 따라 작용을 바꿉니다. 포플라우스키 씨는 “뇌로 만든 세로토닌은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지만 장으로 만든 세로토닌은 호르몬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2: 세로토닌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앞서 언급했듯이 세로토닌은 뇌에 있는지 또는 다른 체조직에 있는지에 따라 작용이 다릅니다. 첫째, 뇌와 척수로 구성된 중추신경계에서는 세로토닌은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에서 분비되고 한쪽 신경세포는 세로토닌을 방출하고 다른 하나는 이를 받음으로써 정보전달이 이루어집니다.


세로토닌이 뉴런에 작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플라우스키 씨는 “세로토닌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는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을 다시 섭취함으로써 시냅스의 틈새에 있는 세로토닌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이를 "세로토닌 재흡수"라고 부릅니다. 특정 약물로 이 재흡수의 페이스를 떨어뜨리면 세로토닌을 받는 쪽의 신경세포에 대한 영향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의 일종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신경세포에 대한 세로토닌의 효과를 연장하는데 사용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뇌에서 작용하는 세로토닌은 기분의 컨트롤뿐만 아니라 수면, 식욕, 학습, 기억, 성욕 등 중추신경계의 많은 기능의 조절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의학계에서는 세로토닌의 양의 변동이 인간의 기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오랫동안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세로토닌과 인간의 정신과 행동 사이에는 보다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신경과 의사인 샤힌 라칸 씨는 “스마트폰에서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처럼 뇌에서도 2개 이상의 영역을 연결하는 신경회로가 기분, 동기, 기쁨, 인지, 기억, 언어 등 복잡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즉, 그러한 기능을 단독으로 기능시키고 있는 뇌의 부위나 신경전달물질은 하나도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세로토닌은 뇌 외에도 장의 작용에 관여하고 있으며 혈액 중의 혈소판과 결합하여 혈액의 응고를 조절하고 부상을 치유시키는 과정에서 혈액이 너무 흐르지 않도록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세로토닌은 뇌와 장 모두에서 체내시계와 수면과 각성의 사이클을 조절하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으로 합성될 수 있습니다.


◆3: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어떻게 될까?
포플라우스키 씨에 의하면 세로토닌은 트립토판(Tryptophan)이라는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합성되지만 이 트립토판은 체내에서 만들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이므로 식사로 섭취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세로토닌 수준이 낮은 경우 대부분은 트립토판 부족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 밖에도 비타민 B6이나 엽산, 마그네슘 등 영양소의 결핍이나 알코올의 섭취, 당분이 많은 식사, 흡연 등으로도 세로토닌 부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세로토닌을 충분히 만들 수 없게 되면 불안, 우울증, 집중력 부족, 불면증, 과식, 체중 증가 등의 징후가 나타납니다.

◆4:세로토닌을 '부스트'하는 방법?
포플라우스키 씨는 "적어도 이론적으로 트립토판을 식단에서 섭취하면 뇌에서 세로토닌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구체인 트립토판이 뇌에 들어가면 다른 아미노산도 뇌로 옮겨지므로 실제 트립토판의 혈중 농도는 다른 아미노산의 농도에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즉, 트립토판이 혈액 안에 들어간다 해도 그것이 뇌에 흡수되어 세로토닌 합성에 사용된다고는 할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트립토판이 풍부한 식사를 섭취하여 세로토닌 생성을 부스트할 수는 있지만 모처럼 섭취한 트립토판이 세로토닌이 되려면 다른 아미노산도 균형이 있게 섭취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트립토판은 닭고기, 돼지고기의 붉은 살, 쇠고기의 붉은 살, 연어, 콩, 두부, 계란, 호박씨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세로토닌의 합성을 부스트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증가분을 몸이 활용할 수 있을지는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이 점에 대해 라칸 씨는 “운동이나 식사, 보충제나 의약품으로 세로토닌이 늘어난다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은 스마트폰에 비유하면 이용 가능한 배터리 용량이 늘어나는 것과 같다며 그 자체가 어떠한 기능인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단순히 세로토닌의 원천이 되는 아미노산을 많이 섭취하여 세로토닌을 부스트하면 좋다는 것이 아니므로 과학계 뉴스사이트 Live Science는 “결국 신경전달물질의 기능과 생성의 분야에서는 아직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매사추세츠주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Form Energy'가 '철공기 배터리' 공장의 건설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철공기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저렴하게 제조 가능하고 전력을 장시간 공급 가능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2024년에는 양산 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West Virginia Governor Jim Justice announces Form Energy will site first American battery manufacturing plant in Weirton, creating hundreds of jobs | Form Energy
https://formenergy.com/west-virginia-governor-jim-justice-announces-form-energy-will-site-first-american-battery-manufacturing-plant-in-weirton-creating-hundreds-of-jobs/

West Virginia Governor Jim Justice announces Form Energy will site first American battery manufacturing plant in Weirton, creati

Charleston, WV – Gov. Jim Justice announced today that Form Energy has entered into an agreement with the State of West Virginia to build its first iron-air battery manufacturing facility on 55 acres of property in the northern panhandle of West Virginia

formenergy.com


Gov. Justice announces Form Energy will site first American battery manufacturing plant in Weirton
https://governor.wv.gov/News/press-releases/2022/Pages/Gov.-Justice-announces-Form-Energy-will-site-first-American-battery-manufacturing-plant-in-Weirton.aspx

Gov. Justice announces Form Energy will site first American battery manufacturing plant in Weirton

governor.wv.gov


철공기 배터리는 철이나 물을 재료로 한 축전지로 리튬이나 코발트 등을 재료로 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10분의 1의 비용으로 생산 가능합니다. 철공기 배터리는 중량이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전기자동차 등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대량의 전기를 축적하고 며칠에 걸쳐 전력을 계속 공급하는 용도에는 적합하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철공기 배터리는 전력공급망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축전지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런 철공기 배터리의 양산화를 목표로 2017년에 설립된 스타트업이 Form Energy입니다. Form Energy는 웨스트 버지니아의 Wierton에 철공기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2024년 철공기 배터리 제조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공장건설에는 7억6000만 달러(약 9800억 원)가 투입된다는 합니다.


Form Energy는 발표에서 "우리의 새로운 배터리 공장은 Wierton에서 최소 750명의 풀타임 고용을 창출한다"며 철공기의 공장건설이 지역경제의 발전에도 기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Form Energy는 자사가 개발하고 있는 철공기 배터리에 대해서 종래의 발전소와 동등의 비용으로 100시간분의 전기를 축적할 수 있고 이상 기상 등으로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산출할 수 없는 타이밍이 장기간 계속되어도 전원공급망을 안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의 공격이 계속되는 우크라이나에서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불가능하게 되어 네트워크 통신망의 유지를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존하고 있다고 보도되는 시국에서 철공기 배터리가 보급되면 유사시에 안정적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Russian Strikes Sap Ukraine Mobile Network of Vital Power - WSJ
https://www.wsj.com/articles/russian-strikes-sap-ukraine-mobile-network-of-vital-power-11673747621

Russian Strikes Sap Ukraine Mobile Network of Vital Power

Telecom operators and internet providers are scouring suppliers for better batteries and generators.

www.wsj.com

Posted by 말총머리
,


우주는 광속 이상의 속도로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인류는 우주의 끝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거나 우주에 끝이 존재하는지 전문가의 의견이 나뉘어지는 등 현대 과학 기술로도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습니다. 이러한 우주의 팽창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미국의 우주학자인 폴 사터 씨가 설명했습니다.

What Is Our Universe Expanding Into? - Nautilus
https://nautil.us/what-is-our-universe-expanding-into-258168/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과 실제로 우주를 관측한 결과로 우주는 약 137억 7000만 년 전에 빅뱅이 발생하고 나서 오늘까지 계속 팽창되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시간을 약 137억7000만 년 되감으면 우주가 부풀기 전에 존재한 무한히 작은 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거기가 퍼져 나가는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될 것 같지만 사실 그 점은 기존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특이점'이 됩니다. 그러므로 '우주는 퍼지고 있다'고 해도 '우주는 어디를 중심으로 어디를 향해 퍼지고 있는가'를 생각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What is a singularity?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what-is-singularity

What is a singularity?

There are places in the universe where our laws of physics simply break down.

www.livescience.com


뉴욕의 스토니브룩 대학에서 우주의 허무공간과 빅뱅의 빛에 대해 연구하는 우주학자인 사터 씨는 과학지 Nautilus가 던진 "우리의 우주는 어디를 향해 퍼져 가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좋은 질문이지만 훌륭한 질문은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사터 씨에 따르면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 흔히 말하지만 어디를 중심으로 어디의 끝이 늘어나는 것처럼 퍼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고 엄밀하게는 "팽창하고 있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 우주의 모든 장소에서 빅뱅이 동시에 일어나 그 모든 장소에서 우주가 계속 퍼져 나가고 있기 때문에 우주가 일정한 넓이를 가지는 공간에서 그 끝이 밖을 향해 뻗어 나가 공간이 넓어지고 있다는 인식은 잘못이라고 지적합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표현에 대해 "예를 들어 복수의 은하를 매핑하여 은하 간의 거리를 기록할 수 있다면 1년 후에는 그 거리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은 "은하 사이의 거리가 시간과 함께 평균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 때문에 '중심도 끝도 없다'는 것이 되어 우주 전체가 어딘가를 향해 퍼지고 있다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구가 속한 우리은하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우주 전체가 우리로부터 멀어지듯 팽창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다른 은하를 중심으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멀어지는듯 팽창해 보인다며 사터 씨는 "우주는 무엇을 향해 어디서 퍼지는 것이 아닌 우주 그 자체가 확장된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1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유럽인의 유전자를 해석한 연구에서 감염증의 위협으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한 유전자적인 적응과 염증성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 사이에서 관련성이 밝혀졌습니다.

Genetic adaptation to pathogens and increased risk of inflammatory disorders in post-Neolithic Europe: Cell Genomics
https://doi.org/10.1016/j.xgen.2022.100248

Using paleogenomics to elucidate 10,000 years of immune system evolution | Institut Pasteur
https://www.pasteur.fr/en/press-area/press-documents/using-paleogenomics-elucidate-10000-years-immune-system-evolution

Using paleogenomics to elucidate 10,000 years of immune system evolution

Scientists from the Institut Pasteur, Université Paris Cité, the CNRS and the Collège de France have used paleogenomics to trace 10,000 years of human immune system evolution. They analyzed the genomes of more than 2,800 individuals who lived in Europe

www.pasteur.fr


영국의 생물학자인 J·B·S·홀덴 씨는 1950년대에 “적혈구의 이상을 일으키는 돌연변이가 아프리카에서 자주 보이는 것은 이 지역에서 매년 많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고 있는 감염증인 말라리아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병원체가 인류의 가장 강한 선택압 중 하나임을 보여주는 이 가설은 나중에 여러 연구로 뒷받침되었지만 감염이 대유행한 시대에서는 어땠는지, 그 영향이 현대의 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의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남아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Gaspard Kerner 씨 연구팀은 지난 1만 년 동안 유럽에 살았던 사람 2,879명의 게놈을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감염에 대한 적응이 인류의 유전자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 크게 나누어 3개의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1만 년 동안 유럽에서 빠르게 증가한 돌연변이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살아남아 자손을 남기는데 유리한 '양의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한 이 돌연변이는 주로 자연 면역반응에 관한 89개의 유전자 중에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ABO 혈액형 시스템을 담당하는 유전자나 항바이러스 활성을 담당하는 유전자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연구팀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병원체에 대한 유전적 적응을 나타내는 이들 '양의 자연선택'의 대부분은 청동기 시대의 시작부터 약 4500년 전 즈음으로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습니다. 이 변화의 가속이라고도 할 수 있는 현상은 페스트와 같은 심각한 감염증과 관련되는 강한 선택압에 의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발견은 최초 발견과는 반대로 지난 10,000년 동안 특정 유전자 변이가 급감하는 '음의 자연선택'도 청동기 시대에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불리한 돌연변이 대부분은 자연 면역반응과 관련된 유전자에 존재하고 감염 위험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확인된 돌연변이었습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마지막으로 “과거에 병원체가 끼친 자연선택으로 인해 감염증에 대한 저항력을 갖기 위한 유전자가 유리하게 된 결과 현대의 자가면역질환이나 염증성질환의 리스크가 높아졌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결핵·간염·HIV·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관절 류마티스·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염증성 장질환의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수천 개의 돌연변이가 조사대상이 되었습니다.

분석 결과,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위험 상승과 관련된 돌연변이가 지난 10,000년 동안 빈도를 증가시켰고 반대로 감염성 발병위험과 관련된 돌연변이의 빈도는 감소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을 이끈 파스퇴르 연구소인 Lluis Quintana-Murci 씨는 “이 연구결과는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인의 염증성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고 감염증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돌연변이가 양의 자연선택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추구하는 비영리 단체인 As You Sow와 미국의 제과업계가 조직하는 National Confectioners Association(NCA)이 공동으로 초콜릿에 포함되는 카드뮴과 납을 감소시키는 장기적인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배경에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많은 초콜릿 과자에 경고가 필요한 농도의 카드뮴과 납이 포함되었다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Research Reveals Ways Lead and Cadmium in Chocolate May be Reduced - NCA
https://candyusa.com/news/research-reveals-ways-lead-and-cadmium-in-chocolate-may-be-reduced/

Research Reveals Ways Lead and Cadmium in Chocolate May be Reduced

Chocolate Industry and As You Sow release three-year, collaborative study BERKELEY, CA –A new report released today by As You Sow and the National Confectioners Association is the result of a three-year effort by a multi-disciplinary panel of four expert

candyusa.com


New Report Details Simple, Safe, and Low-Cost Solutions to Reduce Levels of Lead and Cadmium in Chocolate — As You Sow
https://www.asyousow.org/blog/2022/8/17/new-report-explains-simple-safe-and-low-cost-solutions-to-reduce-levels-of-lead-and-cadmium-in-chocolate

New Report Details Simple, Safe, and Low-Cost Solutions to Reduce Levels of Lead and Cadmium in Chocolate — As You Sow

A groundbreaking 381-page report called “ Expert Investigation Related to Cocoa and Chocolate Products ,” is the culmination of a three-year research effort by four world-renowned experts.

www.asyousow.org


초콜릿에는 카카오폴리페놀 등의 영양소가 풍부한 것 외에도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카카오의 함유량이 높고 설탕이 적은 다크초콜릿은 몸에 좋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As You Sow가 2014년에 실시한 시험 결과에서 469개 제품의 초콜릿 과자 중 285개 제품이 캘리포니아주법에서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킨다고 경고 표시가 규정되고 있는 수준인 'Maximum Allowable Dose Levels(MADL : 생식 독성 물질의 최대 허용 용량 수준)을 초과하는 카드뮴이나 납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Toxic Chocolate — As You Sow
https://www.asyousow.org/environmental-health/toxic-enforcement/toxic-chocolate

Toxic Chocolate — As You Sow

If you have a sweet tooth, you may have read studies talking about the health benefits associated with eating moderate amounts of chocolate. But our research has found a potential health risk in popular chocolate products that’s been flying under the rad

www.asyousow.org


카드뮴은 신장이나 간, 뼈 등에 손상을 가하고 생식능력에 악영향인 생식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납은 학습장애와 신경장애와 관련되어 있으며 중요한 발달단계에 있는 아이의 뇌는 특히 그 영향이 큰 것으로 우려됩니다. 따라서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이러한 유해물질의 함량에 대해 소비자가 알고 나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프로포지션 65'가 제정되어 있으며 전술한 MADL도 이 법에 근거한 것입니다.

특히 고함량의 카카오 초콜릿에 대해서는 일본의 국민생활센터도 곧 건강 피해를 미치는 양이 아니지만 제품에 따라 카드뮴 함량의 차이가 크므로 적절한 품질관리 등이 계속 필요하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와 앞서 언급한 조사결과를 받아 As You Sow와 NCA는 4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학제위원회를 조직하여 3년에 걸쳐 초콜릿이나 코코아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의 오염원과 그 저감방법을 조사했습니다.

그 조사결과에 의하면 초콜릿이나 코코아의 카드뮴은 카카오가 재배되고 있는 열대지방의 토양이 유래라는 것. 카카오 나무의 뿌리에서 흡수된 카드뮴은 카카오콩의 중심부이며 초콜릿과 코코아의 원료인 배유(카카오닙)에 침착합니다. 특히 카카오의 명산지인 중남미나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풍미가 풍부한 카카오가 수확되는 한편 토양 중의 카드뮴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맛을 떨어뜨리지 않고 카드뮴의 함유량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단기적으로는 카드뮴량이 적은 카카오콩과 많은 카카오콩을 블렌딩함으로써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토양개량이나 카카오의 유전자 개량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한편 납은 뿌리로부터 흡수되지 않지만 토양이나 먼지, 발전소 유래의 퇴적물에 포함되는 납이 원료가 되는 카카오에 부착하는 형태로 초콜릿에 혼입합니다. 특히 카카오 열매에서 꺼낸 카카오콩에는 'baba'라는 끈적끈적한 카카오 펄프, 즉 카카오 과육이 붙어 있기 때문에 카카오콩을 현지의 야외에서 발효시키거나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납이 부착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전문가는 초콜릿 제조자가 이미 실시하고 있는 카카오콩의 세정, 로스팅, 외피 제거 등 각 공정에서의 오염물질 제거를 최적화함과 동시에 수확공정에서의 토양 부착과 공기 접촉을 가능한 한 억제함으로써 최종 제품 중의 납 레벨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에 제언된 카드뮴 및 납 대책을 실시함으로써 납의 함유량은 1년간에 크게 삭감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토양개량이나 새로운 농법의 도입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드뮴의 저감은 장기적인 과제가 됩니다.

As You Sow의 사장 겸 최고 고문인 다니엘 후제르 씨는 “전문위원회가 실시한 조사는 초콜릿 제품 중 납과 카드뮴을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을 밝히는 데 중요한 것으로 3년에 걸친 이 연구에 자금을 제공한 초콜릿 업계의 협력적인 자세에 감사함을 표시함과 동시에 대책을 실행단계로 이행시켜 카드뮴과 납의 함유량을 낮추기 위해 업계와 협력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NCA의 홍보담당 바이스 프레지던트인 크리스토퍼 긴돌 스펠거 씨는 “해당 협회와 초콜릿 업계의 멤버는 프로포지션 65에 대한 As You Sow와의 합의에 근거하여 자금을 제공한 전문위원회의 조사결과를 환영하고 계속해서 소비자가 맛있는 초콜릿을 먹을 수 있도록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의 보증이 가능하고 실현 가능한 대책을 실시하기 위해 향후에도 협력을 계속해 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금까지 할리우드 영화의 대부분은 극장 공개 전에 온라인에 해적판이 나돌아다녔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대규모 유포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 요인에 대해서는 유명 해적판 유포그룹의 활동 정지나 영화의 릴리스 기간의 단축에 의한 것이라는 분석을 저작권 침해나 디지털권에 익숙한 뉴스사이트 TorrentFreak 가 공개했습니다.

Where Are the Pirated Movie Screeners This Year? * TorrentFreak
https://torrentfreak.com/where-are-the-pirated-movie-screeners-this-year-221229/

Where Are the Pirated Movie Screeners This Year? * TorrentFreak

Home > Piracy > Towards the end of the year, leaked screener copies of Hollywood films traditionally leak online. This year, no notable screeners have surfaced. This absence may be in part due to security and enforcement measures, but streaming services an

torrentfreak.com


일반적으로 영화평론가나 수상심사위원에게는 영화를 공개하기 전에 보고 심사·평론을 받기 위해 향후 공개될 영화의 선행 사본인 '스크리너'가 보내집니다. 그러나 이 스크리너가 해적판을 유포하는 인물의 손에 전달되면서 일반 공개 전의 작품이 인터넷상에 유출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해적판에는 아카데미상 후보작품도 포함되어 대부분 12월경에 유포되어 왔지만 2020년은 10월, 2021년은 9월로 유포되는 시기가 빨라졌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스크리너가 예년처럼 평론가나 심사위원에게 보내졌음에도 불구하고 해적판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20년 넘게 해적판은 상당한 수가 유통되었고 스크리너의 해적판이 나돌지 않는다는 것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는 것.


TorrentFreak는 공개 전 작품의 해적판이 감소한 요인 중 하나로 최근 유출된 스크리너를 많이 유포하고 있던 그룹 'EVO'가 2022년 11월 활동을 중지한 영향으로 추정했습니다. EVO의 멤버가 체포되었다거나 강제수사가 있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다른 그룹도 활동을 자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아카데미상 후보작품의 스크리너가 디지털로 전송되어 보안 강화로 이어진 것도 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거기에 더해 TorrentFreak는 공개 후 릴리스 기간 단축을 요인으로 거론하며 해적판을 공개하는 그룹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영화의 고품질 사본이 없을 때 해적판 스크리너를 공개해 왔다는 경위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전에는 극장에서 공개된 영화가 Blu-ray·DVD가 되거나 디지털로 전달되기까지는 몇 개월부터 연단위의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스크리너 유래의 해적판이 편리했지만 최근에는 그 기간이 짧아져 빠른 작품이라면 극장 공개와 동시에 전달이 스타트합니다. 그러면 작품 공개와 동시에 해적판 사이트에 고품질의 카피가 나돌기 때문에 스크리너 유래 해적판의 존재의의가 없어지게 됩니다.


2000년대 아카데미상 후보작은 모든 작품의 스크리너가 유출되어 해적판이 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지만 2022년 스크리너 유출 비율은 처음으로 10%를 밑돌았다는 것.

그러나 스크리너의 유출이 감소했다고 해도 해적판의 수가 감소한 것은 아니고 고품질의 카피 해적판은 온라인상에서 다수 유통하고 있습니다.

TorrentFreak은 “2022년 대규모 스크리너 유출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은 주목할 만하지만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시대의 흐름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허블 우주망원경의 후계기로 개발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2021년 12월에 발사되어 2022년 7월부터 메인 센서를 이용한 관측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1월 12일에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태양계 외행성 'LHS 475b'를 관찰한 사실을 보고했습니다.

NASA’s Webb Confirms Its First Exoplanet | NASA
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23/nasa-s-webb-confirms-its-first-exoplanet

NASA’s Webb Confirms Its First Exoplanet

Researchers confirmed an exoplanet, a planet that orbits another star, using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for the first time. Formally classified as LHS 475 b, the planet is almost exactly the same size as our own, clocking in at 99% of Earth’s di

www.nasa.gov


새롭게 발견된 LHS 475b는 지구의 99%의 크기로 적색왜성을 2일의 주기로 주회하고 있다는 것. 이 때문에 LHS 475b의 표면은 지구와 다르게 수백도 고온입니다. 그러나 LHS 475b가 돌고 있는 적색왜성은 태양에 비해 매우 온도가 낮기 때문에 LHS 475b에는 대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탑재된 적외선 분광기 'NIRSpec'에서 관측한 LHS 475b의 투과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이 관측 결과로부터 LHS 475b가 암석행성임을 알 수 있다는 것. 그러나 LHS 475b의 대기 구성 등은 여전히 불분명하며 NASA는 앞으로도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Paul VanDerWerf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pavdw/


고대 로마 사람들은 매우 높은 건축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 2000년 전에 만들어진 도로와 수도교, 항구, 건축물 등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남아 있습니다. 이 내구성에 대한 수수께끼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이 이끄는 국제적인 연구팀이 조사해 콘크리트 제조공정에 힌트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Hot mixing: Mechanistic insights into the durability of ancient Roman concrete | Science Advances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d1602

Riddle solved: Why was Roman concrete so durable? | MIT News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ttps://news.mit.edu/2023/roman-concrete-durability-lime-casts-0106

Riddle solved: Why was Roman concrete so durable?

Researchers have discovered ancient Roman concrete-manufacturing strategies that incorporated self-healing. Applying this knowledge toward modern cement production, they hope to improve the material’s environmental impact.

news.mit.edu


We Finally Know How Ancient Roman Concrete Was So Durable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we-finally-know-how-ancient-roman-concrete-was-so-durable

We Finally Know How Ancient Roman Concrete Was So Durable

The ancient Romans were masters of building and engineering, perhaps most famously represented by the aqueducts.

www.sciencealert.com


고도의 건축기술을 가진 고대 로마인이 사용한 콘크리트는 로마 콘크리트라 불리며 현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수명이 약 50~100년 정도인데 반해 2000년이 경과해도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내구력이 있습니다.

118년~128년에 걸쳐 건조된 고대 로마의 신전 판테온은 로마 콘크리트의 기초부분에 건물과 돔이 놓인 구조로 기초와 돔 부분은 거의 개수선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약 2000년이 경과한 현대까지 당시의 모습을 남기고 있습니다.

Pantheon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Pantheon11111.jpg#


로마 콘크리트에 대한 과거의 연구는 원료에 화산재를 혼합하여 결합능력이 있는 화합물이 생성되는 포졸란 반응을 촉진하여 강도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로마 콘크리트는 해수에 의한 부식과정을 이용하여 더욱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New studies of ancient concrete could teach us to do as the Romans did
https://phys.org/news/2017-07-ancient-concrete-romans.html

New studies of ancient concrete could teach us to do as the Romans did

Around A.D. 79, Roman author Pliny the Elder wrote in his Naturalis Historia that concrete structures in harbors, exposed to the constant assault of the saltwater waves, become "a single stone mass, impregnable to the waves and every day stronger."

phys.org


Phillipsite and Al-tobermorite mineral cements produced through low-temperature water-rock reactions in Roman marine concrete | American Mineralogist
http://ammin.geoscienceworld.org/content/102/7/1435

Phillipsite and Al-tobermorite mineral cements produced through low-temperature water-rock reactions in Roman marine concrete |

Raman spectroscopic analyses referenced to previous 29Si and 27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tudies provide insights into the roles of Al3+, Na+, and K+ in Baianus Sinus Al-tobermorite from diverse microstructural environments, as compared with idea

pubs.geoscienceworld.org


새롭게 MIT가 이끄는 국제적인 연구팀은 로마 콘크리트에서 볼 수 있는 '석회 클러스트'라는 작은 석회 덩어리에 주목하여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MIT의 환경공학 준교수이자 로마 콘크리트 연구자인 Admir Masic 씨는 “고대 로마의 콘크리트를 다루기 시작한 이래 나는 계속 그 특징에 매료되어 왔다”며 “석회 클러스트는 현대의 콘크리트 구조에는 보이지 않는데 왜 고대 로마의 콘크리트에는 존재하는 것일까요?”라고 말합니다.

지금까지 석회 클러스트는 단순히 조잡한 원료혼합이나 저품질 원료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지만 Masic 씨는 그 생각에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로마인들이 수세기에 걸쳐 최적화되어 온 상세한 조리법에 따라 우수한 건축자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석회 클러스트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연구를 실시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고대 로마 유적에서 채취한 로마 콘크리트 샘플을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 분말 X선 회절 분석, 공초점 라만 이미징 등의 방법으로 분석했습니다.

종래의 가설에서는 로마 콘크리트에 사용된 석회는 소석회(수산화칼슘)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런데 석회 클러스트의 분석으로 로마 콘크리트에 포함된 석회는 생석회(산화칼슘) 또는 소석회와 생석회인 것이 시사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소석회가 아닌 생석회를 사용하자 발열반응이 일어났고 이것에 의한 Hot Mixing(핫 믹싱)이 로마 콘크리트의 내구성의 비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Masic 씨는 “핫 믹싱의 이점은 2가지로 우선 콘크리트 전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면 소석회만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불가능한 화학반응이 일어나 고온과 관련된 화합물이 생성됩니다. 이어서 이 고온화는 모든 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에 경화와 응결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훨씬 신속한 건설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가설에 의하면 고온에서의 혼합 프로세스 중에 석회 클러스트가 특징적인 부서지는 나노 입자 구조가 되어 이것이 로마 콘크리트에 자가복구 능력을 부여한다고 추정합니다. 균열에 침투한 나노입자 구조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으로서 재결정화함으로써 균열을 메우거나 콘크리트를 강화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가설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실제로 이번에 시사된 로마 콘크리트의 원료와 현대의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원료로 각각 콘크리트를 만들어 고의로 균열을 내고 나서 물을 흘렸는데 생석회가 있는 배합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에서는 2주 이내에 균열이 수복되었습니다.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현재 콘크리트의 대체품이 되는 친환경 콘크리트의 제품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Masic 씨는 "이와 같은 내구성이 높은 콘크리트 건축 자재가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3D 프린트된 콘크리트 건축자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영국 정부가 도입한 신법에 따라 주택개발업자는 잉글랜드에서 건설하는 신축 주택에 고속의 회선을 도입해 기가비트 속도의 인터넷을 실현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습니다.

Millions of homeowners and tenants to get better access to faster broadband - GOV.UK
https://www.gov.uk/government/news/millions-of-homeowners-and-tenants-to-get-better-access-to-faster-broadband

Millions of homeowners and tenants to get better access to faster broadband

Almost all new homes in England must be built with gigabit broadband connections during construction

www.gov.uk


Gigabit internet is now a legal requirement for new homes in England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1/9/23546401/gigabit-internet-broadband-england-new-homes-policy

The UK has made gigabit internet a legal requirement for new homes

It’s also now easier for tenants to install it into existing blocks of flats.

www.theverge.com


영국의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성(DCMS)이 2022년 12월 26일에 건축 규제법을 개정해 주택개발업자는 영국에 신축 주택의 건설시에 차세대 기가비트 광대역에 대응할 것을 법적으로 의무화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개발사업자는 1채당 2000파운드(약 320만 원)를 상한으로 연결비용을 부담하고 네트워크사업자와 협력하여 신축을 기가비트 네트워크에 연결하게 됩니다. 비용한도 내에 인터넷 회선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 가능한 가장 빠른 연결을 도입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고속회선이 보급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런던에 거주하는 한 인물은 “런던의 케이블은 거의 지중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케이블을 끌어들이는데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번 법 개정에서는 신축 주택의 98% 이상이 이 상한액의 범위에 들어갈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영국 전역의 대다수 사람들에게 고속 인터넷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 이번 법 개정과 같은 날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새롭게 '전기통신 인프라(차지권)법(TILPA)'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임대부동산의 임차인으로부터 더 빠른 인터넷 접속을 요구받는 경우 광대역 사업자가 건물에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접근권한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법입니다.

지금까지는 영국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건물에 광대역 사업자를 넣을 때 집주인의 허가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러나 조사에 따르면 광대역 사업자가 접속설비 설치를 위한 액세스권을 요구해도 약 40%가 아무런 응답도 얻을 수 없어 임차인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사태가 다발하고 있었다는 것.


이번에 TILPA가 성립함에 따라 광대역 사업자가 설비설치를 위한 액세스를 요구해 집주인이 그에 응하지 않는 경우 광대역 사업자가 건물에 들어갈 권리가 법원으로부터 주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시설 업그레이드가 용이해지고 연간 약 2100동의 주택이 고속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법률 시행 시점에서 기가비트 광대역은 영국의 72% 이상의 가정에서 이용 가능하며 DCMS는 “2030년까지 영국 전역에서 기가비트 대응 광대역의 완전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우주 태양광발전 프로젝트(SSPP)는 2023년 1월 3일에 우주 태양광발전 실증기(SSPD)를 SpaceX의 팔콘 9에 실어 궤도 상에 발사했습니다. 이 SSPD는 우주에서 태양광발전을 하고 그 에너지를 지구로 전송하는 계획을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입니다.

SpaceX - Transporter 6 (Dedicated SSO Rideshare) - Falcon 9 Block 5 Rocket Launch
https://www.spacelaunchschedule.com/launch/falcon-9-block-5-transporter-6-dedicated-sso-rideshare/

SpaceX - Falcon 9 Block 5 | Transporter 6 (Dedicated SSO Rideshare) Rocket Launch

Dedicated rideshare flight to a sun-synchronous orbit with dozens of small microsatellites and nanosatellites for commercial and government customers.

www.spacelaunchschedule.com


Caltech to Launch Space Solar Power Technology Demo into Orbit in January | www.caltech.edu
https://www.caltech.edu/about/news/caltech-to-launch-space-solar-power-technology-demo-into-orbit-in-january

Caltech to Launch Space Solar Power Technology Demo into Orbit in January

The launch represents the first in-situ test of the technology to harvest solar energy in space and transmit it to Earth.

www.caltech.edu


SSPP는 2011년에 발족한 프로젝트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이사회의 종신 멤버이자 자선가인 도널드 브렌 씨가 우주 태양광발전의 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해 시작한 것입니다.

브렌 씨는 “수년간 우주 태양광발전이 인류의 가장 임박한 과제 중 일부를 해결할 수 있다는 꿈을 꾸었습니다. 그 꿈을 실현하려고 경쟁하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우수한 과학자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발사된 SSPD가 어떤 것인지는 아래의 영상에서 볼 수 있습니다.

Space Solar Power Demonstrator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c2mgpMy-_mU


2023년 1월 3일에 SSPD를 발사한 Transporter-6 임무는 주로 세 가지 실험을 수행합니다.

DOLCE(Deployable on-Orbit ultraLight Composite Experiment) : 모듈식 우주선에서 6피트(약 1.8m)×6피트의 구조체를 전개하는 실험. 최종적으로는 1킬로 평방미터 규모의 발전장치를 전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LBA : 32종류의 태양전지 셀을 준비하고 가혹한 우주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셀을 평가하는 실험.


Microwave Array for Power-transfer Low-orbit Experiment(MAPLE) : 전력을 마이크로파로 변환하고 원격으로 전송하는 실험.


SSPP의 공동이사인 Ali Hajimiri 씨는 “이런 프로토타입은 인류의 큰 전진으로 아직 위험은 산적하지만 전체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NASA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yZygONrUBe8


iPhone 14 시리즈에서 등장한 위성 경유의 긴급 SOS와 위성 인터넷통신 서비스 'Starlink' 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모바일 업계에서는 위성통신 서비스가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 위성통신에 대응하는 솔루션 ' Snapdragon Satellite '를 Qualcomm이 발표했습니다.

Qualcomm Introduces Snapdragon Satellite, The World's First Satellite-Based Solution Capable of Supporting Two-Way Messaging for Premium Smartphones and Beyond |
https://www.qualcomm.com/news/releases/2023/01/qualcomm-introduces-snapdragon-satellite--the-world-s-first-sate

Qualcomm Introduces Snapdragon Satellite, The World's First Satellite-Based Solution Capable of Supporting Two-Way Messaging for

www.qualcomm.com


Qualcomm's going toe-to-toe with Apple's satellite messaging feature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1/5/23538207/qualcomm-satellite-messaging-snapdragon-android

Qualcomm’s going toe-to-toe with Apple’s satellite messaging feature

Snapdragon Satellite enables two-way messaging without cell service.

www.theverge.com


Qualcomm's Snapdra off the grid | Engadget
https://www.engadget.com/qualcomm-snapdragon-satellite-messaging-android-211037007.html

Qualcomm's Snapdragon Satellite will let Android phones text off the grid | Engadget

Qualcomm has unveiled its own satellite messaging features for Android phones, called Snapdragon Satellite..

www.engadget.com


세계 최대급의 가전 박람회인 CES 2023에서 Qualcomm이 위성통신에 대응하기 위한 솔루션 'Snapdragon Satellite'를 발표했습니다. 위성통신 서비스는 기존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전파가 닿지 않는 원격지에도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napdragon Satellite는 처음에는 비상시 메시징 서비스로 제공되지만 나중에 SMS 문자메시지 서비스 및 메시징앱 통신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Snapdragon Satellite의 위성통신 서비스는 초기에는 긴급상황에서의 사용으로 제한됩니다. Qualcomm의 프란세스코 그릴리(Francesco Grilli) 부사장은 "Snapdragon Satellite는 Garmin Response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SOS를 전송하면 Garmin Response의 응답 코디네이터가 자신의 매핑 및 응답 조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고객의 경도와 위도를 확인하고 어느 응급서비스에 연락할지 결정한다"고 설명했습니다

Qualcomm은 차세대 프리미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차세대 위성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ridium과 계약을 맺었습니다. Snapdragon Satellite는 Iridium의 내후성이 우수한 L밴드를 이용할 예정입니다.


Snapdragon Satellite는 Qualcomm의 주력 제품인 Snapdragon 8 Gen 2와 5G 모뎀인 Snapdragon X70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alcomm에 따르면 Snapdragon Satellite는 2023년 후반부터 일부 지역에서 발매될 예정이며 일부 메이커가 이미 대응하는 단말의 개발에 임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Snapdragon Satellite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노트북, 태블릿, 자동차, IoT 등에서도 이용 가능할 예정으로 Snapdragon Satellite의 생태계가 성장함에 따라 OEM과 앱개발자는 위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독자 브랜드 서비스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고 Qualcomm은 전망했습니다. 게다가 Snapdragon Satellite는 5G 비지상계 네트워크(NTN)를 지원할 예정이며 NTN 위성 인프라와 콘스텔레이션도 이용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릴리 부사장에 따르면 Snapdragon Satellite를 이용하고 싶은 기업은 Qualcomm과 직접 협력하여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Iridium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위성통신 서비스 이용료에 대해 그릴리 부사장은 “위성 기반 메시징 서비스와 그에 의존하는 서비스 비용은 OEM과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라 달라진다”며 Snapdragon Satellite의 긴급서비스에 대해서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하다고 설명했습니다.

by Zana Latif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6kVDN0VGj3c


Iridium의 매트 데시 CEO는 "우리의 네트워크는 Snapdragon Satellite에 맞게 조정되었습니다. Iridium의 고급 LEO위성은 지구의 모든 장소를 포괄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Snapdragon Satellite가 제공하는 위성통신 서비스는 이상적인 저전력 및 저지연 연결을 제공합니다. 매일 수백만 명이 통신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으며 Snapdragon Satellite가 장착된 스마트폰을 통해 수백만 명이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itcoin의 초기 핵심 개발자 중 한 명인 Luce Dashjr 씨는 2022년 12월 31일에 발생한 해킹피해로 보유한 거의 모든 비트코인을 잃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그는 미 연방수사국(FBI)과 경찰에게 회수 지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The Block: Bitcoin developer claims loss of $3.3 million after PGP exploit
https://www.theblock.co/post/198688/bitcoin-developer-pgp-exploit

Key bitcoin developer calls on FBI to recover $3.6M in digital coin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23/01/key-bitcoin-developer-calls-on-fbi-to-recover-3-6m-in-digital-coin/

Key bitcoin developer calls on FBI to recover $3.6M in digital coin

So much for enthusiasts championing the decentralization of cryptocurrencies.

arstechnica.com


Dashjr 씨는 2023년 1월 2일 자신의 트위터에서 Pretty Good Privacy(PGP) 키가 해킹되어 보유한 모든 비트코인이 도난당한 사실을 밝혔습니다.

Dashjr 씨의 비트코인은 2022년 12월 31일에 4회에 걸쳐 도난당했고 피해액은 합계 216.93BTC로 현시점의 레이트로 환산하면 약 360만 달러(약 47억 5000만 원)에 이릅니다.

Dashjr 씨는 해킹수법을 모르겠다며 도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에도 Dashjr 씨의 서버가 무단 액세스되었는데 보안 미비가 비트코인 도난으로 이어졌다고 지적받고 있습니다.


암호학자인 엔지니어인 Nik Bougalis 씨는 “안전한 암호화 키 관리는 경험과 훈련을 받은 사람들에게도 매우 어려우며 업계 전체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가상화폐거래소 바이낸스의 CEO는 “Binance의 보안팀이 Dashjr 씨의 비트코인을 감시하고 있으며 거래소로 유입되면 자산을 동결할 것"이라고 지원을 표명했습니다.

Dashjr 씨는 도난당한 약 217BTC의 회수의 지원을 미 연방수사국(FBI)이나 경찰에 의뢰했지만 응답을 없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Halteria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Halteria.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위협에 휘둘리고 있는 인류처럼 바이러스는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 파괴하면서 증식하는 병원체입니다. 그러나 그런 바이러스를 역으로 먹이로 삼는 생물의 발견으로 인해 초식이나 육식과 더불어 새로운 식성 카테고리인 '바이러스식'이 제창되고 있습니다.

The consumption of viruses returns energy to food chains | PNAS
https://doi.org/10.1073/pnas.2215000120

Eating viruses can power growth, reproduction of microorganism | Nebraska Today |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https://news.unl.edu/newsrooms/today/article/eating-viruses-can-power-growth-reproduction-of-microorganism/

Eating viruses can power growth, reproduction of microorganism

Husker researchers have found that a single-celled microorganism can eat huge numbers of viruses that share its aquatic habitat. For the first time, the team’s lab experiments have also shown that a virus-only diet, which the team calls “virovory,” i

news.unl.edu


이번에 바이러스를 포식하는 미생물이 특정된 계기는 네브라스카 대학 링컨교의 생물학자인 존 델롱 씨가 수중에는 방대한 양의 바이러스가 있으므로 먹혀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정이었습니다.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델롱 씨가 과거의 문헌을 살펴보니 1980년대의 연구에서 단세포 생물이 바이러스를 도입한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그 이상은 파고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원생생물의 일종이 수중 바이러스를 감소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는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바이러스를 포식하는 생물이라는 발상이 지금까지 없었던 이유는 바이러스에 병원체나 포식자라는 이미지가 스며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학의 영역에서는 바이러스가 유일하게 병원체로 취급되는 데다가 바이러스 입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큰 생물이 우연히 입에 넣어도 그 영향은 오차밖에 없습니다. 또 박테리아에게는 용균에 의해 세포를 파괴해 죽게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미생물학자는 오랫동안 바이러스를 먹이사슬의 최상위를 차지하는 정점 포식자로 취급해 왔습니다.


그래서 델롱 씨의 연구팀은 근처 연못의 물을 채취해 담수 중의 녹조류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인 '클로로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첨가했습니다. 그 결과 단 2일간에 클로로바이러스가 100분의 1로 감소한 반면 'Halteria'라는 섬모충의 일종이 15배나 증식했습니다.

Halteria가 실제로 바이러스를 섭취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연구팀이 클로로바이러스 유전자를 형광 그린으로 염색한 후 Halteria에 투여했는데 Halteria의 위장에 해당하는 액포가 녹색으로 빛났습니다. 또 Halteria에 클로로바이러스를 주지 않으면 Halteria가 전혀 성장할 수 없다는 사실도 판명되었기 때문에 Halteria가 바이러스를 먹고 번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연구팀은 Halteria 1마리가 하루에 최대 1만~100만 개의 바이러스를 먹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작은 연못에서는 하루에 100조~1경 개의 바이러스가 소비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by Picturepest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picksfromoutthere/


델롱 씨는 바이러스가 탄소나 핵산, 질소, 인 등 생명에게 불가결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원으로서 충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바이러스 입자 1개는 작아도 모든 장소에 대량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식(virovory)' 생물은 '초식(herbivory)'이나 '육식(carnivory)' 등과 같이 먹이사슬에서의 영양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델롱 씨는 이번 발견에 대해 “바이러스는 중요한 영양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생물이라면 누구나 포식하고 싶을 것"이라며 자연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떤 생물이 바이러스를 먹이로 삼는지 계속 조사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Daniel K Cheung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WJuwxFIpidc


최근의 클론기술 발전은 눈부시고 2022년 7월에는 세계 최초로 '동결 건조된 체세포'에서 클론 마우스를 만드는 실험에 일본 연구팀이 성공했습니다. 클론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미 멸종된 공룡의 클론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품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그런 공룡의 부활에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캐나다의 맥마스터 대학의 Ancient DNA Centre의 소장인 헨드릭 포이너 씨가 설명했습니다.

Ask a DNA Expert: What Would It Take to Bring Back the Dinosaurs? | The Walrus
https://thewalrus.ca/bring-back-dinosaurs/

Ask a DNA Expert: What Would It Take to Bring Back the Dinosaurs? | The Walrus

Scientists have cloned an endangered species. Some wonder if there could be a real-life Jurassic Park

thewalrus.ca


모든 생물은 DN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물이 죽으면 DNA가 몸의 일부에 남아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열을 사용하여 이것을 추출합니다. 이렇게 추출한 DNA는 분할하여 여러 번 복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클론을 생성하려면 유전정보의 완전한 세트인 게놈이 필요합니다. 게놈은 수백만 개의 DNA 사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론을 만들기 위해서는 DNA의 정확한 배열을 결정해야 합니다.

포이너 씨는 “이런 심오하고 완전한 DNA 배열을 결정할 수 있게 되리라고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결코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았지만 현재 DNA 시퀀서를 사용하면 30초 안에 완료된다"고 설명했습니다.

by Louis Reed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pwcKF7L4-no


게놈의 카피를 작성할 수 있으면 개조한 염색체를 대리모의 난세포에 넣어 대리모를 임신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맘모스의 게놈을 아시아코끼리에 이식함으로써 맘모스의 클론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연구는 10만 년이 넘는 DNA가 검출한계를 초과했음을 시사했습니다. 그러나 수십 년이 지난 후의 연구에서는 70만 년 전과 100만 년 전의 말과 맘모스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DNA가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은 완전히 환경에 의존하는데 5000년 전의 추운 건조한 지역에 서식했던 맘모스의 DNA는 50년 전에 온타리오 호수에 매장된 말의 DNA보다 훨씬 보존상태가 좋다고 합니다.

by Sangharsh Lohakare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8o_LkMpo8ug


1993년에 영화 '쥬라기 공원'이 상영되었을 때는 공룡의 클론을 작성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는 포이나 씨. 그러나 지금은 게놈 사본을 만드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공룡의 살아있는 DNA를 포함한 화석이 발견될 수 있는 이상 미래의 일은 아무도 모른다고 포이나 씨는 주장했습니다.

현재도 지구에서는 기후변화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기존 개체군에 다양성을 되돌리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미 멸종해 버린 공룡과 같은 고대 종을 흥미로 부활시키는 행위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며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종의 약 99%가 멸종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과거에 남겨두어야 한다”고 포이나 씨는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귓속에서 여러 가지 소리가 울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명으로 인해 세계 각국의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계속되는 사람도 있고 갑자기 증상이 발생하는 사람까지 다양합니다. 이러한 이명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버지니아 대학의 이비인후과 교수인 브래들리 케서 씨가 설명했습니다.

That annoying ringing, buzzing and hissing in the ear – a hearing specialist offers tips to turn down the tinnitus
https://theconversation.com/that-annoying-ringing-buzzing-and-hissing-in-the-ear-a-hearing-specialist-offers-tips-to-turn-down-the-tinnitus-192242

That annoying ringing, buzzing and hissing in the ear – a hearing specialist offers tips to turn down the tinnitus

Although there’s no cure for tinnitus, help is out there – including sound-generating devices, background noise and talk therapy.

theconversation.com


이명으로 들리는 소리는 환자마다 다양합니다. 이명 환자의 공통점은 소리가 밖에서 들려오는 것이 아니라 귓속에서 울리고 있다는 것이라고 케서 씨는 말합니다.

이명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미국인만 해도 인구의 15%에 상당하는 약 5000만 명에 이르며 그 중 약 2000만 명이 만성적인 이명으로 고생하고 200만 명이 강한 이명에 고통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명의 증상에 대해서는 현재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귀나 뇌에서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을 뿐이고 확실한 치료법이 없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이명을 일으키는 원인은 조금이나마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면 록 콘서트나 공장, 전장 등에서 발생하는 폭음을 계기로 군인 등은 대부분이 이명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 밖의 요인으로는 부비동 감염이나 발열, 인플루엔자,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질병에 걸렸을 때나 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아스피린 등의 물질을 섭취했을 때 등이 있습니다.


이명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케서 씨는 “귀의 검사를 받고 귀지가 쌓이지 않았는지, 감염증에 걸리지 않았는지, 고막에 구멍이 없는지 등 초보적인 원인을 우선 제외 후 종합적인 청력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케서 씨는 더 간단한 개선안으로서 '다른 소리를 듣기'를 제안했습니다. 예를 들어 YouTube에는 불쾌한 소리를 상쇄하는 자연환경의 녹음이 여러 가지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음의 앱 등도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라디오 등의 소리도 이명을 상쇄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이명이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오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우울증이나 불안신경증, 심적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안고 있는 사람은 대화치료도 유효하다는 것. 이 조치는 근본적인 스트레스를 경감해 이명과 함께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데 도움이 되는 치료법이라고 합니다.


또한 케서 씨는 많은 환자가 스트레스의 체인에 휘말려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명이 스트레스가 되고 스트레스가 이명을 늘려 더욱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악순환에 빠진 사람도 있으므로 심각한 징후나 증상이 아니라는 것을 환자에게 알려 안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종 이 간단한 안심만으로 환자는 이명을 잘 제어할 수 있습니다. 목표는 환자가 이명 탓에 신경이 쓰이거나 밤에 잠을 잘 수 없는 횟수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케서 씨는 "이명을 치료하거나 완화한다고 홍보하는 건강식품이 많이 나돌고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어느 시점에 증상이 거의 치료되고 그 영향이 크게 경감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전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아이를 낳는 행위는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의 모체에게 매우 많은 에너지의 소모를 요구합니다.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영국왕립협회 기요)에 게재된 새로운 논문에서 아프리카 대륙 남부의 사바나에 서식하는 Southern pied babbler(Turdoides bicolor / 노래꼬리치레)는 새끼를 많이 낳은 암컷일수록 인지능력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General cognitive performance declines with female age and is negatively related to fledging success in a wild bird |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https://doi.org/10.1098/rspb.2022.1748

General cognitive performance declines with female age and is negatively related to fledging success in a wild bird | Proceeding

Identifying the causes and fitness consequences of intraspecific variation in cognitive performance is fundamental to understand how cognition evolves. Selection may act on different cognitive traits separately or jointly as part of the general cognitive .

royalsocietypublishing.org


Female Southern Pied Babblers Seem to Get Stupider as They Have More Babies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female-southern-pied-babblers-seem-to-get-stupider-as-they-have-more-babies

Female Southern Pied Babblers Seem to Get Stupider as They Have More Babies

Researchers have discovered something strange about female southern pied babblers, a small black-and-white bird found in Africa's dry savannah: the more chicks that they have over the years, the less smart they seem to get.

www.sciencealert.com


노래꼬리치레는 보츠와나·나미비아·남아프리카공화국·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대륙 남부의 사바나에 서식하는 참새목의 일종으로 무리지어 협력해 육아를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호주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Camilla Soravia 씨의 연구팀은 그룹 내 인지능력의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에게 익숙한 야생의 노래꼬리치레 38마리를 대상으로 인지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by Derek Keats 출처:https://www.flickr.com/photos/dkeats/


이 테스트는 보상으로 먹이를 주는 세 가지 과제로 구성되었으며 각 과제는 관련성 학습, 실험의 변화에 대한 적응, 하지 않아야 하는 행동학습 등 개별항목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태스크에서 좋은 성적을 남긴 개체는 다른 태스크에서도 성적이 좋고 general cognitive performance(GCP/일반 인지능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험 결과, 노래꼬리치레의 일반 인지능력은 수컷과 암컷 모두에서 개체마다 차이가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나이가 많은 암컷이 비교적 낮은 경향이 보였습니다. 더 많은 관련 요인을 조사한 결과에서 암컷은 나이가 많을수록 번식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고 연구팀은 말합니다.

아래 그림은 노래꼬리치레의 나이와 성별에 따른 인지능력의 변동을 나타낸 것으로 세로축이 인지능력의 수준, 가로축이 나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검게 채워진 점이 암컷, 하얗게 채워진 점이 수컷 개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암컷은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능력이 낮은 경향을 알 수 있습니다.


또 1년간에 낳는 아이의 수와 인지능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을 살펴보면 세로축이 낳은 아이의 수로 가로축이 인지능력을 나타내고 있는데 출산 수가 많은 개체일수록 인지능력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학 미디어 Science Alert는 노래꼬리치레가 번식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암컷이 나이가 들수록 인지능력보다 번식능력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할당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팀은 “10년 이상에 걸친 노래꼬리치레의 번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서 일반 인지능력이 낮은 개체일수록 연간 더 많은 새끼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인지능력이 생식능력과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음을 시사하며 자연선택이 인지능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익뿐만 아니라 그 비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세상에는 빠듯한 수입으로 어떻게든 사는 사람도 있는 반면 국가 예산 규모의 자산을 개인이 소유하는 초부유층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런 초부유층이 생기는 원리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Why the super rich are inevitable
https://pudding.cool/2022/12/yard-sale/

Why the super rich are inevitable

Why some mathematicians argue the economy is designed to create a few super rich people – unless we stop it.

pudding.cool


세상의 돈이 움직이는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우선 100명을 모은 방에서 동전 던지기 게임을 하는 상황을 준비합니다. 모든 사람의 소지금을 1000달러로 설정하고 베팅을 소지금의 20%로 설정합니다. 그러면 첫 번째 게임에서 모두 200달러를 베팅하게 됩니다.


첫 번째 게임에서는 오른쪽 인물이 승리했습니다. 이제 왼쪽 인물의 소지금은 800달러가 되고 오른쪽 인물 소지금은 1200달러가 됩니다.

두 번째 게임에서 첫 번째 게임에서 패한 사람과 승리한 사람이 대결하는 경우 첫 번째 게임에서 패한 사람은 160달러(800달러의 20%)만 베팅할 수 있지만 첫 게임에서 승리한 사람은 240달러(1200달러의 20%)를 베팅할 수 있습니다.


위 조건에서 첫 번째 게임에서 패한 사람이 두 번째 게임에서 이기면 소지금은 960달러입니다. 한편 첫 번째 게임에서 승리한 사람은 두 번째 게임에서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지금은 1040달러로 첫 소지금보다 더 많은 상태가 계속됩니다. 즉 양자에게 승리의 가능성이 동등하게 있는 게임에서도 소지금이 많은 쪽이 유리한 상황이 계속되는 것입니다.

소지금이 많은 쪽이 유리하게 된다는 상황은 게임의 횟수가 거듭될수록 현저해집니다. 아래 그림은 위의 게임을 2게임했을 때의 소지금 분포입니다. 이 시점에서 가장 소지금이 적은 사람은 640달러, 가장 많은 사람은 1440달러를 소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게임을 1만 회 반복했을 때의 소지금 분포가 아래와 같습니다. 승률은 항상 50%임에도 불구하고 최저 소지금이 0달러, 최고 소지금이 7만7428달러라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승률이 50%인 게임이라면 참가자의 소지금은 평등하게 추이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압도적인 차이가 생겨 버린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승률이 같은데 격차가 벌어지는 수학모델은 '야드세일 모델'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상기의 게임의 경우 시작 시점에서의 소지금이 일정했지만 시작 시점의 소지금에 차이가 있었을 경우의 소지금의 추이를 살펴봅시다. 우선 왼쪽 인물은 100달러, 오른쪽 인물은 1000달러를 소지한 상태에서 왼쪽 인물의 소지금 20%를 베팅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합니다.

첫 게임에서는 왼쪽의 인물이 승리하여 20달러를 획득. 두 번째 게임의 베팅은 24달러(120달러의 20%)로 설정됩니다. 두 번째 게임에서 왼쪽 인물은 패배하고 24달러를 잃었습니다.

한층 더 게임을 계속한 결과 왼쪽 인물은 3게임째로 승리, 4게임째에서 패배라는 결과에서 양자의 승리 회수는 2회씩이지만 왼쪽 인물의 소지금은 초기 상태를 밑돌고 오른쪽 인물의 소지금은 초기 상태를 웃돌고 있습니다.

게임을 64회 반복한 결과에서 둘 다 32승 32패이지만 왼쪽의 인물의 소지금은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원으로부터 일정한 비율로 돈을 모아 전원에게 균등하게 분배한다'는 재분배의 구조를 도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소지금이 많은 쪽이 유리한 상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전원의 소지금이 1000달러 상태에서 20%를 베팅으로 내는 동전 던지기 게임을 1000회 실행했을 때의 소지금 분포로 노란 선은 재분배 없음, 보라색 선은 재분배 있음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그래프를 보면 재분배 있는 쪽이 소지금의 차이가 작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임을 2000회 반복한 결과를 살펴보면 재분배가 없는 경우는 소지금의 차이가 더욱 벌어지지만 재분배가 있는 경우는 차이의 확대가 억제되고 있습니다. 이 재분배는 사회에서의 세금의 징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정 비율로 세금을 징수하는 것만으로도 격차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블랙홀은 활발한 논의와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는 천체인데, 우주가 탄생한 초기에는 '블랙홀 별(Black Hole Star)'이라 불리는 초거대한 천체가 존재했다고 합니다. 그런 블랙홀 별의 성립과 성질에 대해 과학계 YouTube 채널인 Kurzgesagt가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했습니다.

Black Hole Star – The Star That Shouldn't Exist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aeWyp2vXxqA


별의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하는 블랙홀 별은 우주가 형성된 초기의 짧은 기간에만 존재가 가능했던 천체라고 생각됩니다.


블랙홀 별의 직경은 태양의 80만 배 이상으로 알려진 최대 크기의 항성인 스티븐슨 2-18에 비해 380배로 지금까지 존재했던 천체로서 가장 큰 별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항성은 수소가스가 모인 거대한 구름 중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장소에 물질이 모여 큰 열과 압력이 발생하여 핵융합 반응이 발생해 탄생합니다.

이러한 별들은 핵융합에 의한 방사선의 방출과 그것을 밀어 넣는 중력 사이에서 성장하게 됩니다.


무거운 항성이 수명을 다해 핵융합 반응이 정지하면 중력붕괴를 일으킵니다.

한편 블랙홀 별이 존재하고 있던 빅뱅으로부터 수억 년 후의 우주는 현재보다 좁고 고밀도인 고온이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초기 우주에서는 암흑물질이 모인 '다크마터 헤일로'라는 거대한 구조가 형성되어 대량의 수소가스를 도입함으로써 최초의 별이나 은하를 낳았다고 합니다.


다크마터 헤일로의 강한 중력에 의해 형성된 별은 반복해서 수소가스가 누적되어 믿을 수 없는 크기로까지 성장했다고 합니다.

질량과 압력이 너무 큰 별은 균형을 유지할 수 없으며 초신성 폭발이 발생해도 별은 파괴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이 별의 중심에는 핵이 되는 블랙홀이 존재하고, 이런 과정으로 블랙홀 별이 탄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블랙홀에 흡수되는 물질은 블랙홀 주위를 돕니다.

돌던 물질은 입자간의 마찰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고 방사선을 내 주위의 다른 물질을 날려버립니다.

그 결과 블랙홀은 느린 성장을 이루게 됩니다.


한편 블랙홀 별에서는 블랙홀 주위의 거대한 압력에 의해 물질이 직접 블랙홀에 밀려들어 갑니다.

매우 과격한 이 과정은 더 많은 에너지가 방출되고 어떤 별의 중심부보다 고온이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때문에 격렬한 방사압이 방출되어 블랙홀 별은 점점 팽창해 갑니다.


태양계의 30배 이상의 크기가 된 블랙홀 별은 블랙홀의 극에서 플라즈마 제트를 뿜어내고 별을 뚫고 우주로 튀어나옵니다.


최종적으로 너무 활발해진 블랙홀은 블랙홀 별 본체를 날려버렸다고 추정됩니다.

우주 최대의 수수께끼 중 하나인 은하의 중심에 존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은 현대의 천문학으로는 설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블랙홀 별의 존재가 인정됨으로써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블랙홀은 수십억 년을 거쳐 천천히 성장하는 반면 일부 초대질량 블랙홀은 빅뱅으로부터 불과 6억 9000만 년 후에는 탄생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블랙홀 별에 의한 블랙홀은 초대질량 블랙홀의 기초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기존에는 관측이 불가능했던 초기 우주의 관측이 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어 블랙홀 별의 존재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톡소플라스마 원충(Toxoplasma gondii)'이라는 기생충에 감염된 늑대는 그렇지 않은 늑대보다 무리의 우두머리가 될 확률이 높고 무리를 떠나 떠돌이 늑대가 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arasitic infection increases risk-taking in a social, intermediate host carnivore | Communications Biology
https://doi.org/10.1038/s42003-022-04122-0

Parasite gives wolves what it takes to be pack leaders
https://doi.org/10.1038/d41586-022-03836-9

고양이과의 동물을 종숙주로 삼는 톡소플라스마는 중간 숙주가 된 쥐를 대담하게 만들고 고양이에 대한 공포심을 잃게 하여 고양이에게 먹힐 가능성을 높이는 생태가 있습니다. 그러나 톡소플라스마가 자연환경에 사는 야생동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몬타나 대학의 야생생물 생태학자인 코너 마이어 씨의 연구팀은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늑대의 행동을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연구팀이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늑대에 주목한 이유는 이 지역에는 고양이과의 대형 육식동물인 퓨마도 서식하고 있어 늑대가 퓨마의 먹이를 가로채거나 퓨마나 퓨마의 배설물을 먹어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이 229마리의 늑대로부터 총 256개의 혈액샘플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에서 톡소플라스마 감염률은 27.1%였습니다. 검사된 늑대의 내역은 수컷이 116마리, 암컷이 112마리, 양성구유가 1마리로 수컷의 감염률이 25%였는데 비해 암컷은 31.25%로 약간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이 늑대들을 추적한 결과 감염된 늑대는 감염되지 않은 늑대에 비해 무리를 버리고 새로운 무리를 만들 확률이 11배 높았고 무리의 우두머리가 될 확률이 46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인간이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되면 테스토스테론이나 도파민과 같은 호르몬의 분비량이 증가하여 성적인 매력이 증가하거나 행동이나 성격이 변화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비슷한 변화가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늑대에도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메이어 씨는 “우리는 이 결과를 보고 놀라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얼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차이가 컸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톡소플라스마 감염으로 쥐가 고양이에게 먹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메이어 씨는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늑대가 퓨마의 먹이가 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북아메리카에는 한때 알려진 고양이과 동물로서는 최대급인 체중 약 200kg의 미국 라이온이 서식하고 있었고 1만 1000년 이상 전에 멸종될 때까지는 늑대를 포식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팀은 향후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늑대가 번식에 성공하기 쉬워지는지 여부와 감염된 우두머리가 이끄는 무리가 위험을 감수하기 쉬워진 영향으로 퓨마와 마주칠 확률이 올라가는지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Amazon이 일부 사용자를 상대로 기기의 트래픽 추적을 허용하는 대신 2달러(약 270엔)를 보상으로 지불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You deserve more than $2 for running your phone’s data through Amazon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2/12/2/23490743/amazon-shopper-panel-vpn-ad-verification

You deserve more than $2 for running your phone’s data through Amazon

Why are tech companies so cheap?

www.theverge.com


Amazon은 이전부터 월 10장 이상의 영수증을 촬영하여 보내면 10달러를 제공하는 초대제 프로그램 'Amazon Shopper Panel'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브라우징한 광고나 이를 게재한 웹사이트, 앱, 브라우징한 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Amazon에 전송하는 데 동의한 사용자에게 매달 2달러를 지불하는 'Ad Verification(광고 검증)'이 몇 개월 전부터 시작했다고 합니다.


Amazon Shopper Panel의 공식사이트에 게재된 자주 묻는 질문에 따르면 Ad Verification 기능을 켜면 스마트폰 OS 설정에서 VPN 연결을 허용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실제로 VPN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고 DNS 트래픽을 모두 Amazon의 서버에 보내 Amazon의 광고나 Amazon을 통해 게재된 타사 기업의 광고 열람정보가 기록되게 된다고 합니다. 아마존에 보내고 싶지 않은 개인적인 교환을 할 때 등을 위해 Ad Verification을 일시적으로 끌 수도 있습니다.


금전을 대가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캠페인을 실시하는 기업은 Amazon만이 아닙니다. Meta(당시는 Facebook)는 2016년에 월 최대 20달러(약 2만 7000원)를 지불하는 대신 Facebook Research 앱의 VPN 기능을 설치시키는 프로그램을 실시했었고 Google도 2012년에 사용자 데이터를 추적하는 브라우저 확장기능을 사용하는 대신 3개월마다 5달러(약 6800원)를 지불하는 서비스를 제공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 Amazon의 Ad Verification에 대해 IT계 뉴스사이트 The Verge는 “Amazon을 포함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두에서 눈에 띄는 것은 대규모 파놉티콘 테크놀로지에 스스로 복종하는 사람들에 대한 보상이 얼마나 적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프라이버시 노출을 꺼리지 않는 유형이라도 세계에서 가장 시가총액이 높은 부류의 기업에는 더 많은 보상을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스팸 메일 중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인 것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황당한 내용에는 속이기 쉬운 사람만을 찾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해외 스팸 메일에는 일부러 철자나 문법을 틀리게 작성해 특정 사람만을 선별하는 방법이 있다고 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The clever reason scammers can’t spell – IT Services blog
https://itservices.wp.st-andrews.ac.uk/2019/06/06/the-clever-reason-scammers-cant-spell/

The clever reason scammers can’t spell

Anybody who doesn’t fall off their chair laughing is exactly who they want to talk to – Cormac Herley, Microsoft computer scientist.

itservices.wp.st-andrews.ac.uk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의 IT서비스 팀에 속한 베사니 맥너리 씨에게는 종종 '사기꾼은 왜 스팸 메일을 보내기 전에 철자 오류를 확인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았다는 것. 하지만 맥너리 씨는 스팸 메일에 포함된 철자와 문법 오류가 실수가 아니라 의도적이라고 말합니다.

애초에 시간을 들여 문장을 제대로 읽는 사람이나 섬세하게 수상한 점을 눈치채는 사람은 피싱 메일로 유도해도 그것이 사기라는 것을 간단하게 눈치채 버립니다. 따라서 사기꾼에게는 고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거기서 사기꾼은 가장 속지 않는 부류의 사람을 물색하기 위해 바보 같은 내용의 메일을 읽어도 그것이 이상하다는 것을 깨닫지 않는 사람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점은 Microsoft Research의 주임연구원인 코맥크 할리 씨가 발표한 '나이지리아의 사기꾼'에 관한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할리 씨에 의하면 해외에서 나도는 스팸 메일에는 “자신은 거액의 자금을 숨겨 가지고 있는 나이지리아인”이라고 자칭하는 경우가 많았고 사기 메일의 51%가 나이지리아를 무대로 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기 메일은 한마디로 '나이지리아의 편지'라고 불립니다.

너무 바리에이션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 때 Google 검색에서 'Nigeria(나이지리아)'라고 입력하면 'scam(사기)'이라고 추천되어 버리는 시기도 있었습니다. 즉 나이지리아의 편지를 받고 수상하다고 느낀 사람이 나이지리아로 검색하면 단 번에 스팸 메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 이러한 리터러시를 가진 사람과 개별적으로 메일의 교환을 진행해도 속이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스팸업체는 처음부터 그러한 사람을 타겟팅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수많은 스팸 메일의 문장을 분석한 할리 씨는 그 결과에서 "가능한 많은 사람을 공격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메일은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사기대상을 극대화해도 이익은 극대화되지 않습니다. 우리의 분석에서는 사기꾼이 이상적으로 속이기 쉬운 표적은 10,000명에 1명 또는 100,000명에 1명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 극히 한 줌밖에 안 되는 타겟이라면 그 이외의 사람에게 시도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가 버린다”고 설명했습니다.

by Antonio Rosario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amrosario/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맥나리 씨는 "사기꾼은 철자 오류나 문법의 실수를 포함하여 무엇이 효과적인지 알고 있다"며 이상한 스팸 메일을 받더라도 사기꾼의 계산대로의 전개이므로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DanzelScarleth 출처:https://pixabay.com/ja/users/danzelscarleth-1361622/


수만 광년의 거리를 순식간에 이동 가능하다는 '웜홀'에 해당하는 것을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연구자들이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Traversable wormhole dynamics on a quantum processor | Nature
https://doi.org/10.1038/s41586-022-05424-3

Google Researchers Create Traversable Holographic Wormhole Using Quantum Computer In New Study
https://www.vice.com/en/article/bvmaaw/google-researchers-create-traversable-holographic-wormhole-using-quantum-computer-in-new-study

Google Researchers Create Traversable Holographic Wormhole Using Quantum Computer In New Study

The study proves quantum processors can be a key testbed in investigating mysterious cosmic phenomena, scientists say.

www.vice.com


Physicists Create Theoretical Wormhole Using Quantum Computer
https://scitechdaily.com/physicists-create-theoretical-wormhole-using-quantum-computer/

Physicists Create Theoretical Wormhole Using Quantum Computer

Physicists observe wormhole dynamics using a quantum computer in a step toward studying quantum gravity in the lab. For the first time, scientists have developed a quantum experiment that allows them to study the dynamics, or behavior, of a special kind of

scitechdaily.com


웜홀의 개념은 1928년에 물리학자 헤르만 와일(Herman Weyl)이 제창했고 이름은 1957년 물리학자 존 휠러에 의해 명명되었습니다. 이 때 휠러는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튜브의 그림을 공개했는데 이후 SF작품에서는 웜홀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순식간에 이동한다는 묘사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구글, MIT,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하버드대학의 과학자팀은 양자컴퓨터를 사용하여 이론적인 웜홀의 동작을 연구하는 양자실험을 수행하여 웜홀과 양자물리학의 관련성을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연구팀은 양자컴퓨터 사이에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고 거기를 통과하도록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메시지는 시스템에 들어갈 때 스크램블링 상태였지만 다른 쪽에서는 얽힘으로 인해 스크램블링 해제 상태였습니다. 즉 복수의 큐비트의 얽힘이 물리적인 웜홀의 대용품이 되었다는 것으로 연구팀은 정보가 통과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웜홀'의 작성에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연구내용 그 자체는 혁신적인 발견이 아니고 고전적인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의 일을 할 수 있다지만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양자중력과 같은 복잡한 아이디어를 탐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점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연구에 종사한 마리아 스피로프로 교수는 "현대의 양자컴퓨터가 과제에 아직 대응할 수 없어도 향후 개발을 계속하면 장래의 발견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2년 8월에 발생한 패스워드 관리서비스 Lastpass의 소스코드 유출 사건으로 도난당한 소스코드를 사용해 누군가가 LastPass의 사용자 데이터에 무단 액세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Notice of Recent Security Incident - The LastPass Blog
https://blog.lastpass.com/2022/11/notice-of-recent-security-incident/

Notice of Recent Security Incident - The LastPass Blog

We are working diligently to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cident and identify what specific information has been accessed.

blog.lastpass.com


Lastpass says hackers accessed customer data in new breach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lastpass-says-hackers-accessed-customer-data-in-new-breach/

Lastpass says hackers accessed customer data in new breach

LastPass says unknown attackers breached its cloud storage using information stolen during a previous security incident from August 2022.

www.bleepingcomputer.com


Lastpass는 2022년 12월 1일에 LastPass와 모회사인 GoTo가 공유하는 타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서 비정상적인 활동이 감지되었음을 발표했습니다.


LastPass의 CEO인 Karim Toubba 씨에 따르면 이번 LastPass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침입한 위협액터는 2022년 8월에 발생한 소스코드 유출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LastPass 사용자 데이터의 '특정 요소'에 액세스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

도난당한 특정 데이터와 피해자 수 등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Toubba CEO는 "LastPass의 Zero Knowledge 아키텍처로 인해 고객의 암호는 안전하게 암호화 된 상태로 유지된다"며 비밀번호가 유출되지 않았다는 견해를 보였습니다.

by Focal Foto 출처:https://www.flickr.com/photos/192902634@N05/


Lastpass는 가장 인기 있는 비밀번호 관리자 중 하나로 3,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10만 개 이상의 기업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소스코드가 도난당한 당시의 데이터 침해는 위협액터가 Lastpass의 다중요소 인증을 돌파하였고 개발자로 행세하며 개발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Toubba CEO는 “비정상적인 활동을 탐지한 후 곧 조사를 시작했으며 선도적인 보안회사인 Mandiant에게도 조사를 요청했으며 법집행기관에 신고했다"고 알렸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대량의 HDD를 운용하고 고장율 리포트를 공개하고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업체 Backblaze가 최근 10년의 비용변화를 공개했습니다.

The Cost of Hard Drives Over Time
https://www.backblaze.com/blog/hard-drive-cost-per-gigabyte/

The Cost of Hard Drives Over Time

For hard drive prices, the race to zero is over: nobody won. As you’ll see, the hard drive pricing curve has flattened out.

www.backblaze.com


Backblaze의 스토리지 가격기록은 2009년 1월부터 최신 2022년 11월까지로 2009년 이전에 구입한 것이나 메이커로부터 받은 테스트용 제품을 제외하고 기록에 있는 13년간 구입한 HDD의 총 대수는 26만 5332대였다고 합니다.

현재 Backblaze가 구입을 계속하고 있는 용량은 16TB 모델로 1만 2000대를 추가 구입할 예정이고 다른 모델은 스페어로 소량 구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2023년에는 18TB, 20TB, 22TB의 모델이 출시되는데 대량 구입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지, 용량당의 가격이 타당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나서 결정할 것이라고 합니다.

구입하는 HDD는 수직 자기 기록 방식(PMR) 이나 종래형 자기 기록 방식(CMR)으로 싱글 자기 기록 방식(SMR)은 랜덤 기입이나 영역의 재이용시에 분명히 속도가 저하된다고 합니다.

2009년 이후 Backblaze가 구입해 온 HDD의 1GB당의 가격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2009년은 1GB당 0.11달러(약 15엔) 전후였고 하략을 지속해 2019년 이후는 1GB당 0.02달러에 도달했습니다. 2011년부터 2013년에 걸쳐 그래프가 혼란스러운데 주요 생산국의 태국에서 수해가 발생해 공장에 피해가 발생한 탓입니다.


2017년 이후를 살펴보면 새로운 용량의 모델을 도입해도 비용은 일시적으로 약간 상승할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ackblaze에 따르면 집계기간의 가격 하락폭은 87.4%로 환산하면 1GB당 가격이 매월 0.52%씩 하락하고 있다는 계산이 된다는 것.

용량당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데도 스토리지에 드는 비용이 줄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2009년 시점에서는 세계에서 HDD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량이 약 0.3ZB(제타바이트: 1ZB가 10억 TB)인데 반해 2022년 말에는 1.8ZB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 세계 데이터량의 증가가 원인이라고 Backblaze는 보았습니다.

Backblaze는 다음의 마일스톤은 1GB당 0.01달러( 약 1.4엔)로 2025년 중반에 22TB나 24TB의 HDD가 등장할 무렵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덧붙여 이 예상대로라면 2025년 중반에 나온다는 22TB HDD는 약 220달러(약 30만 원), 24TB HDD는(약 33만 원)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부모와 자식끼리의 혈연이나 작물·가축 등의 품종을 특정하기 위해 DNA형 감정을 흔히 합니다. 2022년 11월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DNA형 감정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사례에서는 한 소녀가 어머니와의 DNA형 감정을 실시한 결과에서 소녀의 어머니가 실제로는 어머니가 아니라 남성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는 충격의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Solving a genetic mystery: DNA showed a mom was also her child’s uncle
https://www.grid.news/story/science/2022/11/25/dna-showed-a-mother-was-also-her-daughters-uncle-how-scientists-solved-this-medical-mystery/

DNA showed a mother was also her daughter’s uncle — how scientists solved this medical mystery

Why genetic detectives think you may have more aunts and uncles than you suspected at the holiday table.

www.grid.news


Tetragametic Chimerism Identified during a Routine Paternity Testing Case - ISHI News
https://www.ishinews.com/events/tetragametic-chimerism-identified-during-a-routine-paternity-testing-case/

Tetragametic Chimerism Identified during a Routine Paternity Testing Case - ISHI News

Imagine attending the largest annual meeting focusing entirely on DNA forensics. You’ll have the opportunity to connect with industry leaders, exhibitors in the field, and attendees just like you.

www.ishinews.com


콜롬비아 유전학연구소 팬 유니스 씨가 보고한 증례에서는 한 소녀가 DNA형 감정을 실시한 결과 3가지의 결과가 밝혀졌습니다. 우선 소녀의 어머니는 실제로 어머니가 아니라는 검사 결과와 여러 검사로 밝혀진 사실을 종합하면 아버지도 그녀의 친부가 아니였고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혈액샘플에는 여성에 관여하는 'XX 염색체'가 아니라 생물학적 남성에게 보여지는 'XY 염색체'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유니스 씨에 따르면 이 검사결과에 누군가가 실수를 저지르고 실험실이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검사를 멈추어야 한다는 혼란이 일어났으나 혈액샘플 테스트를 반복한 결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는 것. 또한 어머니를 시험에서 제외하고 아버지와 소녀 두 사람만을 검사했는데 아버지는 분명히 소녀의 친부로 나타나 더 많은 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 의학적 수수께끼에 대해 유니스 씨는 "어머니의 DNA 중에는 사라진 쌍둥이 형제의 유전자가 계속 살아있다"며 그것은 DNA적으로 "인간의 키메라"라고 말했습니다. 어머니의 베니싱 트윈(vanishing twin)이 DNA로 남아 있어 소녀의 '숙부'인 사라진 쌍둥이의 유전자가 DNA형 감정으로 검출된 탓에 감정결과에 혼란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자신에게 '태어나기 전에 사라진 쌍둥이 형제'가 있었는지는 DNA를 체크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연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새로운 견해가 열렸으며 정자가 난자를 만나 아기가 태어날 때까지 초기 몇 주 동안 폐의 세포가 급속히 발달하는 가운데 복잡한 'DNA 셔플'이 일어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 DNA 셔플에 의한 조정으로 세 아이가 태어나거나 유산이 되어 버리는 등 결과가 좌우되는데 그러한 경로와 결과가 키메라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생각되고 있습니다. 즉 DNA 셔플 과정에서 존재한 '나중에 소멸하는 쌍둥이'의 DNA가 최종적으로 탄생한 형제의 DNA와 섞여 외부에 나타나지 않는 DNA의 깊은 곳의 정보로서 남아 버립니다.

유니스 씨는 2002년에도 카렌 케이건 씨라는 52세의 여성이 장기이식을 위해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는데 그녀가 '테트라가메틱 키메라'였다는 유사한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케이건 씨는 일반적으로 유전자에 2개밖에 없는 성세포를 4개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어머니의 임신 초기에 수정란이 융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케이건 씨는 2종류의 XX세포를 가지고 있었는데 유니스 씨가 새롭게 보고한 여성은 임신 초기에 사라진 남성 쌍둥이의 영향으로 XX세포와 XY세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미국 동부의 볼티모어에 본사를 둔 유전자 병리학자인 로버트 웬 씨는 “키메리즘 즉 태어나면서 키메라 세포를 가진 사례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지만 인구의 최대 10%에 이 상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며 임신 초기에는 15%에서 30%가 쌍둥이로 확인되어 1명의 아이로 탄생한다는 '소실 쌍둥이 증후군'에 관한 조사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유니스 씨는 “키메리즘은 부자감정을 혼란스럽게 하고 모든 종류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어머니가 숙부이기도 하다고 감정된 최신 케이스 외에도 2015년에는 존재하지 않는 아버지의 형제가 친부라고 DNA형 감정 케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또 모체는 태아의 발육 중에 아이로부터 유전자를 받기 때문에 그 일부가 출산 후에도 체내에 남아 후천적으로 키메라가 되는 '마이크로키메리즘'이라는 케이스도 확인되었습니다.

18 Ways Pregnancy Changes Your Body Forever
https://www.livescience.com/63291-post-pregnancy-changes.html

18 Ways Pregnancy May Change Your Body Forever

How does pregnancy affect a woman's body after birth and are these changes permanent?

www.livescience.com


유니스 씨는 “키메라 유전자”를 가진 확인된 증례는 약 20명이라고 보고하면서 “키메리즘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전혀 밝혀지지 않았지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4억 광년 거리의 퀘이사 3C 273에서 분출하는 제트의 최심부 구조가 국제 밀리미터파 VLBI 관측망과 알마망원경을 조합한 전파관측망에 의해 포착되었다.

最高視力で解き明かすクエーサーから噴き出すジェットのすがた
https://alma-telescope.jp/news/press/3c273jet_202211?doing_wp_cron=1669694426.2547020912170410156250

プレスリリース - 最高視力で解き明かすクエーサーから噴き出すジェットのすがた - アルマ望

国際研究チームは、地球上に点在する電波望遠鏡を組み合わせて同時に観測を行う超長基線電波干渉技術(VLBI)を用いて、極めて明るい電波源「3C 273」から噴き出すジェットの最深部の構造を

alma-telescope.jp


거의 모든 은하의 중심에는 태양의 수백만 배에서 수십억 배의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는데 일부 은하에서는 이 블랙홀에 대량의 가스가 흘러 들어가 막대한 에너지가 해방되고 있다. 그런 은하에서는 중심핵이 매우 밝게 빛나기 때문에 멀리서는 항성과 같은 점광원으로 보인다.

처녀자리의 방향에 있는 전파원 3C 273도 가시광선에서는 항성처럼 보이지만 실은 멀리 떨어진 은하인 것이 1963년에 판명되었다(현재의 추정 거리는 약 24억 광년). 그 이후로 3C 273과 같은 천체는 '퀘이사'라고 불린다. 3C 273은 발견이 빨랐을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퀘이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활발히 관측되어 왔다.

초대질량 블랙홀로 떨어진 가스의 일부는 광속에 가깝게 가속되어 가늘고 좁은 제트구조를 형성한다. 3C 273에도 제트가 있어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어 왔지만 제트의 형성과정에는 아직 수수께끼가 많다. 그래서 도쿄대학 오키노 다이키 씨 연구팀은 높은 감도와 분해능의 전파관측으로 3C 273 제트의 근원에 다가갔다. "근방에 위치한 3C 273은 퀘이사에서 분출되는 제트를 연구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천체로 자세한 관측은 지금까지 할 수 없었다"고 오키노 씨는 밝혔다.

극도로 높은 감도와 공간분해능을 필요로 하는 이번 관측은 대륙을 넘어 몇몇 전파망원경이 연동하는 글로벌 밀리미터파 VLBI 어레이(GMVA)에 칠레의 알마망원경을 조합한 'GMVA+ALMA'라 불리는 관측망에 의해 실현되었다. 이와 병행하여 구미의 전파관측망인 고감도 어레이(HSA)에서도 관측을 실시해 더욱 넓은 촬영범위에서 제트를 포착했다.

각 네트워크에 참가한 망원경을 점으로, 그것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선으로 시각화(출처:Kazunori Akiyama)


GMVA+ALMA에 의한 이미지에서는 제트의 근원에 가장 가까운 최심부가 처음으로 포착되었다. 그 결과 퀘이사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한 번에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하게 서서히 좁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압착이 일어나고 있는 영역은 초대질량 블랙홀의 중력이 영향을 주는 영역을 넘어서 훨씬 멀리까지 계속되고 있었다.

3C 273에서 분출하는 제트. (왼쪽)전파관측망 GMVA+ALMA가 포착한 근원으로부터 수광년의 최심부. (중앙)좀 더 광범위를 전파 관측망 HSA로 포착한 화상. (오른쪽)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포착한 3C 273. 10만 광년 이상 떨어진 곳에 도달한 제트가 오른쪽 아래에 보인다.(출처:Hiroki Okino and Kazunori Akiyama; GMVA+ALMA and HSA images: Okino et al.; HST Image: ESA/Hubble & NASA)


"매우 활동적인 퀘이사에서 제트의 강력한 플라즈마 흐름이 광범위하게 점차적으로 좁혀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발견입니다. 이러한 제트의 좁혀진 모습은 근처의 더 어둡고 활동도가 낮은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어 왔습니다. 활동성이 완전히 다른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어떻게 같은 방식으로 제트가 좁혀지는지가 이번 관측으로 새롭게 떠오른 수수께끼"라고 미 헤이스택천문대의 아키야마 와토쿠 씨는 말했다.

이번 성과는 다양한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분출하는 제트의 좁히기 과정의 규명을 향해 새로운 문을 여는 것이다.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분출하는 제트의 최초 발견으로부터 100년 이상이 지났지만 그 형성 메카니즘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ALMA와 GMVA에 의한 이번 관측으로 형성 메카니즘의 이해가 진전했습니다만 앞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관측해 지금까지 이상으로 깊은 이해를 목표로 하고 싶다"고 국립천문대 알마프로젝트 나가이 요 씨는 말했다.

Posted by 말총머리
,


6년에 걸쳐 실시되어 온 'DESI 레거시 촬상 서베이'의 최종 데이터가 공개됐다. 10억 개 이상의 은하 분포도와 1200개 이상의 중력렌즈의 새로운 발견 등의 성과가 발표되었다.

Giant Map of the Sky Sets Stage for Ambitious DESI Survey - Final data release from DESI Legacy Imaging Surveys issued
https://noirlab.edu/public/news/noirlab2103/

Giant Map of the Sky Sets Stage for Ambitious DESI Survey - Final data release from DESI Legacy Imaging Surveys issued

Astronomers using images from Kitt Peak National Observatory and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have created the largest ever map of the sky, comprising over a billion galaxies. The ninth and final data release from the ambitious DESI Legacy Imagi

www.noirlab.edu


Doubling the Number of Known Gravitational Lenses - Machine learning key to discovery of over 1200 gravitational lenses
https://noirlab.edu/public/news/noirlab2104/

Doubling the Number of Known Gravitational Lenses - Machine learning key to discovery of over 1200 gravitational lenses

Data from the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Legacy Imaging Surveys have revealed over 1200 new gravitational lenses, approximately doubling the number of known lenses. Discovered using machine learning trained on real data, these warped and s

www.noirlab.edu


Mapping Our Sun’s Backyard - Astronomers and citizen scientists produce the most complete 3D map of cool brown dwarfs in the Sun’s neighborhood
https://noirlab.edu/public/news/noirlab2105/

Mapping Our Sun’s Backyard - Astronomers and citizen scientists produce the most complete 3D map of cool brown dwarfs in the S

Astronomers have curated the most complete list of nearby brown dwarfs to date thanks to discoveries made by thousands of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Backyard Worlds citizen science project. The list and 3D map of 525 brown dwarfs — including 38 repo

www.noirlab.edu


'DESI 레거시 촬상 서베이즈(DESI Legacy Imaging Surveys)'는 여러 지상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이 6년 세월에 걸쳐 실시해 온 프로젝트다. 북천을 중심으로 전천의 약 3분의 1을 탐사해 커버영역의 넓이, 관측감도의 수준, 은하의 수라는 점에서 최고 레벨의 데이터가 얻어지고 있다.

은하군 '코플랜드의 일곱 쌍둥이' (출처:DESI Legacy Imaging Surveys/LBNL/DOE & KPNO/CTIO/NOIRLab/NSF/AURA)


DESI 레거시 이미징 서베이즈에서 얻은 데이터에서 생성된 은하의 2차원 분포도에는 10억 개 이상의 은하가 포함되어 있다. 총 화소수는 10조 픽셀 이상, 정보량은 1페타바이트(1000조 바이트)에 달하는 방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3500만 개의 은하와 240만 개의 퀘이사가 선택되어 향후 5년간 분광관측으로 천체의 거리와 후퇴속도가 측정된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생성된 은하의 3차원 분포도는 우주팽창과 암흑에너지의 성질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된다.

또한 DESI 레거시 촬상 서베이즈의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에서 중력렌즈가 새롭게 1200개 이상 발견되었다. 우주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허블상수 등 우주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DESI 레거시 이미징 서베이즈에서 새로 발견된 중력 렌즈의 예(출처: DESI Legacy Imaging Surveys/LBNL/DOE & KPNO/CTIO/NOIRLab/NSF/AURA)


게다가 DESI 레거시 촬상 서베이즈의 데이터는 수천 명이 자원봉사로 참가한 시민과학 프로젝트 '백야드 월즈: 플래닛 9(Backyard Worlds: Planet 9)'에서도 활용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태양으로부터 65광년 이내의 범위에 대해 새로 발견된 38개를 포함한 총 525개의 갈색왜성의 리스트와 3차원 분포도라는 성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우리은하의 다른 영역에 비해 태양 근방에는 다양한 천체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태양으로부터 65광년 이내의 갈색왜성(붉은 점)의 분포도(출처:NOIRLab/NSF/AURA/J. da Silva)
Posted by 말총머리
,


중력렌즈 효과로 인해 복수상으로 보이는 퀘이사를 이용하여 우주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허블상수를 추정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Seeing double could help resolve dispute about how fast the universe is expanding
https://newsroom.ucla.edu/releases/quasars-hubble-constant-how-fast-universe-expanding

Seeing double could help resolve dispute about how fast the universe is expanding

At the heart of the dispute is the Hubble constant, a number that relates distances to the redshifts of galaxies — the amount that light is stretched as it travels to Earth.

newsroom.ucla.edu


우주가 얼마나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허블상수'는 먼 은하의 크기와 우주의 연령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값이다. 다양한 관측에 의해 그 정확한 값을 아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추정치는 67-73km/s/Mpc의 범위에 있지만 확실한 답은 아직 얻지 못했다.

허블상수를 도출하는 방법 대부분은 천체까지의 거리와 그 천체의 후퇴속도(우리로부터 멀어지는 속도)의 두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학교의 Simon Birrer 씨 연구팀은 지금까지 허블상수의 거리계산에 이용되지 않은 광원인 퀘이사를 이용한 연구를 실시했다. 퀘이사는 중심의 대질량 블랙홀에 의해 막대한 에너지를 중심부에서 방사하여 밝게 보이는 은하이다.

Birrer 연구팀이 특히 주목한 것은 하나의 퀘이사의 상이 복수처럼 보이는 천체다. 퀘이사와 우리 사이에 다른 은하가 존재하면 중간 은하의 질량이 생성하는 중력렌즈 효과로 인해 퀘이사 이미지가 여러 개로 보일 수 있다. 퀘이사의 밝기가 변동하면 렌즈 효과를 받은 이미지의 밝기가 달라지지만 지구까지 도달하는 빛의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각 이미지의 밝기는 동시가 아니라 시간차로 변동한다. 이 시간차의 정보 등을 기초로 하면 퀘이사와 중간의 은하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거기로부터 허블상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연구팀에서는 'H0liCOW collaboration'이라는 국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중 퀘이사상을 이용하여 이 방법을 실증하려고 했지만 사중의 상은 발견 사례가 적기 때문에 우선 이중 퀘이사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대상이 된 것은 사냥개자리와 큰곰자리의 경계 부근에 존재하는 이중 퀘이사 'SDSS J1206+4332'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중 퀘이사 SDSS J1206+4332(출처: NASA Hubble Space Telescope, Tommaso Treu/UCLA, and Birrer et al.)


허블우주망원경과 제미니망원경, 케크천문대의 관측데이터 등을 이용한 연구 결과 Birrer 씨는 허블상수의 값을 72.5km/s/Mpc로 도출했다. 이것은 먼 초신성을 거리지표로 사용한 계산에서 얻은 값과 잘 일치한다. 그러나 이번 값도 초신성 관측에 의한 값도 우주마이크로배경복사의 관측결과에 기초한 값보다 약 8% 크다. "방법에 따라 값이 다른 것이 사실이라면 이 우주는 조금 더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Tommaso Treu 씨는 말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다른 방법과 독립적으로 다른 방법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허블상수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으로 연구팀에서는 이미 사중 퀘이사상을 40개나 찾아내었고 곧 이것들을 대상으로 한 해석으로부터 허블상수의 정밀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