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2.11.27 중력렌즈가 뒷받침한 예상보다 빠른 우주의 팽창
  2. 2022.11.27 초신성은 둥글지 않았다
  3. 2022.11.27 '초고휘도' 초신성은 중력렌즈 효과였다
  4. 2022.11.27 치명적인 유전성 질환을 '모체의 자궁 속'에서 치료하는 데 성공
  5. 2022.11.25 양자컴퓨터의 고속계산 원리
  6. 2022.11.24 불평등은 '폭력'에 의해 해소되어 왔다
  7. 2022.11.24 폭력은 인간의 본질인가?
  8. 2022.11.21 세계에 있는 포유류 중 34%가 인간이고 야생동물은 단 4%
  9. 2022.11.20 인간은 '미생물의 클라우드'에 싸여 있다
  10. 2022.11.18 4명이 사망한 일륜 전동 스케이트보드 'Onewheel'의 사용중지를 당국이 요청
  11. 2022.11.18 1에서 100까지의 제곱근 정리
  12. 2022.11.17 전기쇼크 요법은 케타민보다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
  13. 2022.11.15 인터넷 상의 집단행동은 새 무리와 놀랍게 유사
  14. 2022.11.13 벽돌의 축열을 축전지에 응용하는 시스템이 등장
  15. 2022.11.13 시계를 나침반 대신 사용하여 방향을 알아내는 방법
  16. 2022.11.12 약 35억 년 전의 암석이 '지구상의 가장 오래된 생명의 흔적'으로 판명...화성의 생명탐사에도 도움이 될 가능성
  17. 2022.11.12 척수손상 환자에게 전기자극을 가하면 다시 걸을 수 있게 되는 메커니즘
  18. 2022.11.12 간은 기증자로부터 환자에게 이식되어 100년 이상 살아남을 수 있다
  19. 2022.11.08 지구에 가장 가까운 블랙홀이 불과 1600광년...기존에 알려진 블랙홀보다 약 3000광년 가까워
  20. 2022.11.07 인공 감미료가 장내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
  21. 2022.11.04 NASA가 강력한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방출하는 'Super-Emitters'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감지
  22. 2022.11.0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IP주소'가 전리품으로 전락
  23. 2022.11.01 태양계 최대의 입자가속기 '목성 자기권'
  24. 2022.11.01 동물의 행동에는 생후 초기부터 개성이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
  25. 2022.10.30 무직상태가 아닌 '워크라이프 밸런스'가 행복한 이유
  26. 2022.10.28 번개가 떨어지면 초목의 끝이 파랗게 빛나는 '코로나 방전'이 대기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1
  27. 2022.10.28 미라가 된 수백 년 전의 아기는 '햇빛 부족'으로 인해 죽었을 가능성
  28. 2022.10.27 가짜 기억에 관련된 '기억의 7가지 죄'
  29. 2022.10.24 양성자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려고 시도하는 프로젝트
  30. 2022.10.24 흑사병의 영향으로 당뇨병·관절염·다발성 경화증이 되기 쉬워졌다
Gravitational lensing effect around a galactic cluster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terryballard/41396796925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하여 우주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허블상수의 값을 조사한 결과 근방우주의 관측으로부터 구한 상수에서는 기존의 값과의 일치를 보였지만 위성 '플랑크'에 의한 초기 우주 관측에 기초한 값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重力レンズが裏付け、予想より速い宇宙の膨張
https://www.astroarts.co.jp/article/hl/a/8925_hubble_constant

한 천체의 중력이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고 보다 먼 천체로부터의 빛을 구부리거나 증폭하는 현상은 '중력렌즈 효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먼 퀘이사 앞에 대질량의 은하가 있으면 은하가 렌즈로 작용하여 퀘이사의 이미지가 여러 개로 나뉘거나 아크 모양으로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렌즈가 되는 은하는 완전히 구형의 왜곡을 생성할 수 없고 또한 렌즈 은하와 퀘이사는 완전히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지 않기 때문에 퀘이사의 복수의 상으로부터 도달하는 빛은 각각 약간 다른 거리의 경로를 거친다. 그리고 퀘이사의 빛이 시간에 따라 변하면 다른 이미지가 다른 시간에 깜박이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그 시간의 지연은 빛이 오는 경로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이 지연은 우주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허블상수'의 값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여러 이미지 사이의 시간지연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높은 정확도로 허블상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독일의 막스·플랑크 물리학연구소 등의 Sherry Suyu 씨 국제연구팀 'H0LiCOW'는 허블우주망원경이나 미 하와이의 스바루망원경 등 복수의 망원경을 이용해 강한 중력렌즈 효과를 일으키는 5개의 은하를 관찰하고 허블상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근방우주의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허블상수의 값은 지금까지 초신성이나 케페이드 변광성의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값과 매우 잘 일치했다.

중력렌즈 효과를 받은 퀘이사의 상과 전경의 은하(출처: NASA, ESA, S. Suyu (Max Planck Institute for Astrophysics), MW Auger (University of Cambridge))


한편 그 값은 유럽우주기관(ESA)의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에 의한 초기 우주의 우주배경복사의 관측에서 얻은 값과 일치하지 않았다. 플랑크에서 확인된 허블상수의 값은 현재의 표준우주론 모델에서 기대되는 값과 잘 맞지만 이번과 같은 국소우주의 다양한 관측에서 구한 값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번 결과는 표준모델에서 기대되는 값보다 빠르게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예측한다.

"높은 정확도를 가진 다른 방법으로 우주의 팽창률을 측정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현재 우리 우주에 대한 이해를 넘어선 새로운 물리가 이 모순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Suyu 씨는 말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별이 마지막으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인 초신성의 형태는 폭죽처럼 둥글지 않은 것이 도쿄대학 수물연계 우주연구기구 등의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 기구의 마에다 케이이치 특임조교, 노모토 겐이치 주임연구원, 가와바타 히로지 히로시마대학 우주과학센터 조교, 다나카 마사토미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등은 국립천문대 하와이관측소의 대형광학 적외선망원경 '스바루'에서 관측한 15개를 포함한 18개의 초신성 관측데이터에서 이 사실을 발견했다.

초신성은 태양의 약 1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천체가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현상으로 폭발 때문에 흩어진 고온가스의 잔해가 새로운 별의 탄생처럼 보인다. 폭발을 일으키는 원인은 중심을 향해 중력붕괴하기 때문이지만 중력붕괴한 별이 어떻게 폭발에 이르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


연구팀은 스바루망원경으로 폭발로부터 200일 이상 경과한 15개 초신성의 스펙트럼(빛의 파장의 강도 분포)을 관측했다. 지금까지 얻어진 3개의 초신성 데이터를 더해 조사한 결과 5개는 뚜렷하게 '좁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나머지 4개도 그 징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산소휘선이 어느 방향에서도 똑같이 검출되는지, 방향에 따라 다르게 검출되는지로 판정할 수 있는데 관측결과는 폭발로 인해 흩어진 고온가스는 전 방향으로 고르게 분출하는 것은 아니라 찌그러진 것 같은 형태로 특정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흩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찌그러진 모양으로는 보이지 않은 나머지 초신성도 관측방향으로 인해 우연히 둥글게 관측되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모든 초신성이 폭죽놀이처럼 보이지 않고 찌그러져 있다는 것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관측으로 확인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신성 폭발의 원리에 한층 다가가는 관측결과로서 향후 초신성 연구와 감마선 버스트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超新星は丸くなかった
https://scienceportal.jst.go.jp/newsflash/20080204_01/index.html

Posted by 말총머리
,
Source:https://pixabay.com/images/id-1152524/


지구로부터 약 90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고 태양의 1000억 배 밝기를 발하는 초고휘도 초신성의 빛이 실은 지구와의 사이에 있는 은하 등의 대질량의 천체로 인해 공간이 왜곡되는 '중력렌즈 효과'로 집광되어 실제의 약 30배나 밝게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대학 국제고등연구소 카부리 수물연계 우주연구기구인 로버트 퀸비 특임연구원팀이 지금까지 어려웠던 중력렌즈 효과로 인한 증광율 측정에 성공했다. 앞으로 또 다른 천체의 중력렌즈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우주에 충만하는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 블랙홀 등 빛으로 직접 관측할 수 없는 존재들의 규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초신성은 2010년 8월에 발견된 'PS1-10afx'으로 초신성은 항성이 일생을 마칠 때 대폭발하여 태어나지만 PS1-10afx는 매우 먼 곳에 있으면서 매우 밝기 때문에 '초고휘도 초신성(superluminous supernovae; SLSNe)'의 일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통상의 초고휘도 초신성은 청색으로 밝기의 변화는 비교적 느리지만 PS1-10afx는 적색의 성분이 강하고 밝기의 변화도 통상의 초신성과 같이 빠르다는 특징이 있었다.

퀸비 특임 연구원팀이 PS1-10afx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서 빛의 파장분포와 밝기의 시간변화는 'Ia형' 초신성의 특징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a형 초신성은 우주 어디에서 탄생한 것이라도 밝기와 시간변화의 관계가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지구와 초신성의 거리를 측정하는 '표준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PS1-10afx는 통상의 Ia형 초신성의 약 30배라는 이상한 밝기로 '표준 광원'과 달랐다.

이 모순을 풀기 위해 퀸비 특임 연구원팀은 이 기구의 우주물리학자와 수학자를 총동원해 검토했다고 한다. 그 결과 발견한 것이 '중력렌즈 효과에 의해 초신성의 밝기가 증폭되어 보였다'는 결론. PS1-10afx와 지구 사이에 큰 질량의 천체가 존재하고 있고 우주의 다른 장소에 도달해야 할 빛도 중력렌즈로 집광되어 지구에서 초신성이 매우 밝게 보였다고 한다. 이 현상에서는 효과를 받은 천체의 색이나 파장 분포, 광도변화의 속도는 영향을 받지 않고 천체의 밝기만이 커져 관측된다. PS1-10afx에서는 바로 이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라고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Ia형 초신성의 표준 광원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중력렌즈 효과에 의한 증광율을 직접 측정할 수 있어 중력이론에 의한 계산을 검증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 기구가 추진하고 있는 스바루망원경(하와이)에 설치한 초광시야 이미징 장치(Hyper Suprime-Cam) 등의 관측으로 한층 더 많은 중력렌즈 효과를 받은 Ia형 초신성이나 다른 천체가 발견될 것이라고 한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超高輝度”超新星は重力レンズ効果だった
https://scienceportal.jst.go.jp/newsflash/20130424_01/index.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태아가 자궁 내에 있는 시점에서 선천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출생할 때까지 치료를 기다리면서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의학지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에 게재된 사례에서는 희귀한 유전자질환을 가진 태아를 모체의 자궁 안에 있는 시점부터 치료하기 시작해 출생 후의 상태를 더 잘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In Utero Enzyme-Replacement Therapy for Infantile-Onset Pompe’s Disease | NEJM
https://doi.org/10.1056/NEJMoa2200587

In Utero Enzyme-Replacement Therapy for Infantile-Onset Pompe’s Disease | NEJM

Original Article fro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 In Utero Enzyme-Replacement Therapy for Infantile-Onset Pompe’s Disease

www.nejm.org


In a first, doctors treat fatal genetic disease before birth | AP News
https://apnews.com/article/fetal-therapy-in-first-genetic-disease-treated-before-birth-ff17a85c74136888458442d608cdf635

In a first, doctors treat fatal genetic disease before birth

A toddler is thriving after doctors in the U.S. and Canada used a novel technique to treat her before she was born for a rare genetic disease that caused the deaths of two of her sisters. Ayla Bashir, a 16-month-old from Ottawa, Ontario, is the first child

apnews.com


In a 1st, child treated for rare, often-fatal disorder while still in the womb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pompe-disease-prenatal-treatment

캐나다의 온타리오주에 사는 소비아 크레시 씨와 자히드 바시르 씨 부부는 2명이 가진 잠성 유전자 변이로 인해 아이에게 25%의 확률로 폼페병이라는 유전자질환이 유전되어 버립니다. 폼페병은 세포 내에서 글리코겐 분해에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근육세포 등에 글리코겐이 축적되어 버리는 질병입니다.

폼페병은 발병이 느릴수록 중증도가 낮아지지만 유아기에 발병하면 근력 저하나 섭식 장애, 심장 비대, 호흡 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이 생후 1년 이내에 사망합니다. 최근에는 발병 전이나 직후부터 필요한 효소를 투여하는 치료를 시작함으로써 유아형 폼페병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었지만 자궁 내에서 발달하는 단계에서 발생한 장기의 손상을 막는 것을 수는 없어 근력 저하나 호흡기계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2020년 후반의 어느 날 크레시씨의 자궁에 있는 아기가 출생 전 진단에서 폼페병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이미 부부는 2명의 아이를 폼페병으로 잃었습니다.

그런 부부에게 소개된 것이 캘리포니아 대학 샌프란시스코교의 소아과 의사인 티피·맥켄지 박사 등이 개발한 '출생 전에 폼페병의 태아를 치료하는 방법'의 임상시험이었습니다. 코로나 유행 때문에 부부가 캘리포니아 대학 샌프란시스코 학교까지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캐나다 오타와 병원과 온타리오주 동부 소아병원 등이 지시를 받아 태아의 치료를 담당했다고 합니다.

치료에서는 크레시 씨의 모체와 태아를 연결하는 제대의 정맥에 폼페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효소가 주입되었습니다. 치료는 임신 24주쯤부터 시작되어 출생까지 격주로 총 6회의 효소주입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 크레시 씨가 낳은 아기는 폼페병의 일반적인 증상인 비대한 심근이나 근력 저하 없이 태어났습니다. '아이라'라고 명명된 아기는 출생 후 1회 5~6시간 걸리는 효소주입을 매주 실시해야 하지만 출생으로부터 1년 4개월이 경과한 2022년 11월 시점에서도 폼페병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

아이라의 치료와 출산을 담당한 오타와 병원의 카렌 씨는 “폼페병의 손상이 정착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자궁 내에서 치료할 수 있다는 희미한 희망을 보았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IBM Quantum System One (CES 2020)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ibm_research_zurich/50252942522


최근 양자컴퓨터는 '차세대 고속 계산기'로 전세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속성이 특징으로 그 비결은 계산원리에 있습니다.

양자컴퓨터는 특정 문제에 대해 이론적으로 전통적인 컴퓨터보다 빨리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양자컴퓨터가 반드시 하나하나의 처리를 고전 컴퓨터와 비교해 고속으로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양자컴퓨터 특유의 계산원리로 고전 컴퓨터에서의 계산방법과 비교해 '해에 도착하기 위한 계산의 스텝수를 대폭 줄인다'는 방식으로 계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양자계산의 메커니즘

고전 컴퓨터는 '비트'라는 정보단위로 정보를 표현해 계산을 실시합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비트'라는 정보단위로 0과 1의 정보를 양자비트(소자)의 상태로서 표현해 3개의 스텝으로 계산을 실시합니다.

◆ 계산 스텝
① 양자비트의 초기화
정보의 최소단위인 양자비트를 준비하여 초기상태(0이나 중첩상태)로 합니다.
② 양자비트 상태의 조작(계산시행)
양자비트의 상태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조작(제어)하여 상태를 변환시킴으로써 계산을 합니다. 결정된 절차는 양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기술과 알고리즘입니다.
③ 상태의 측정
최종적인 양자비트의 상태가 계산결과(문제의 해)가 되므로 그 상태를 읽습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가 가지는 성질

'중첩'과 '양자얽힘'을 이용하여 고속계산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자의 '중첩'은 1개의 양자비트로 0과 1의 정보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성질입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한정된 비트로 대량의 패턴의 정보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어 1회의 계산스텝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입력패턴을 사용해 계산하는 경우 고전 컴퓨터에서는 1회의 입력으로 1개의 패턴밖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2의 20승=1,048,576회의 입력과 계산이 필요하게 됩니다. 양자비트이면 1회의 입력(20비트)을 사용하여 2의 20승=1,048,576 패턴의 값을 동시에 표현하여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자얽힘을 이용하면 상호작용 관계를 갖게 한 여러 양자비트(정보)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습니다.

중첩상태와 계산

양자컴퓨터는 이 2가지의 양자의 성질을 이용한 계산수법(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계산을 행함으로써 고전 컴퓨터의 계산처리와 비교하여 계산스텝수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의 계산 메커니즘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중첩은 최종적으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이라는 작업을 실시하면 0 혹은 1의 상태로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중첩을 이용한 계산에 의해 구해지는 해(후보)는 복수인데 측정을 실시하면 확률적으로 하나의 해가 결정됩니다. 알고리즘으로 문제의 최적해를 얻을 확률을 높일 수는 있지만 매번 같은 해가 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번 같은 계산을 반복하여 해의 경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방식에 따른 양자계산

양자컴퓨터의 계산방법에는 '양자 게이트 방식'과 '양자 어닐링 방식'이라는 2종류가 있습니다.

◆ 양자 게이트 방식
양자 게이트 방식은 계산 전에 문제를 양자 게이트 회로라는 계산절차를 보여주는 회로도에 넣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 양자비트를 어떠한 조작이나 변환을 실시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양자 게이트'라고 부릅니다. 계산절차를 보여주는 '양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양자 게이트를 적절히 조합하고 배치하여 양자 게이트의 배열(양자 회로)을 만듭니다. 양자컴퓨터는 이 양자 회로에 따라 양자비트의 상태를 조작하고 마지막으로 양자비트의 상태를 측정하여 계산결과로 읽습니다.

양자 게이트 방식은 고속계산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양자 회로를 작성할 때의 양자 알고리즘이 중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양자비트를 구현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양자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도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양자 알고리즘으로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그로버 알고리즘(Grover Algorithm)'이 있는데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예를 들면 기존의 방법으로 1억 회의 계산량이 필요한 탐색을 이론상 1만 회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양자 어닐링 방식
양자 어닐링 방식은 조합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화된 방식입니다. 조합 최적화 문제는 다양한 제약 조건 하에서 수많은 옵션 중에서 어느 관점으로 최적의 선택을 결정하는 문제입니다. 대표적인 문제 예로서 물류분야에서 비용이나 거리 등이 줄어드는 최적의 경로탐색이나 근무조건, 개인 스킬 등에 근거한 적절한 인원배치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사전의 준비(설계)로서 풀고 싶은 문제를 형식(수식)으로 변환(정의)합니다.

이 변환은 해결하려는 문제를 '수식이 최소가 되는 변수조합(해)을 찾는 문제'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변수를 양자비트에 할당하고 계수정보를 양자컴퓨터에 제공하여 계산에서 이 수식의 값이 작아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변수조합을 구합니다. 계산은 다음 단계로 수행됩니다.

① 초기화
양자비트에 자기장(전자파)을 가하여 모든 해후보를 표현한 중첩상태로 합니다.
이 때 양자비트 간의 상호작용은 약하며 각 양자비트의 상태도 0 또는 1인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상호작용이란 양자비트 간에 서로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 수식의 계수에 해당합니다.
② 양자 어닐링 조작(계산 시행)
자기장을 서서히 약화시키는 동시에 양자비트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각 양자비트는 중첩상태에서 0 또는 1로 결정된 상태로 변화합니다. 양자비트의 상태는 양자비트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식의 값이 작아지는 상태로 변화해 갑니다.
③ 측정
최종적으로는 양자비트는 0 또는 1이라는 확정한 상태가 되므로 그 상태를 측정합니다.

이와 같이 양자 어닐링 방식에서는 모든 해의 후보를 동시에 표현해 거기로부터 해를 좁히는 식으로 고속계산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의 성질을 이용한 계산방법과 알고리즘으로 해에 도착하기 위한 계산의 스텝수를 줄임으로써 계산시간의 단축을 도모합니다. 기존의 컴퓨터와 계산의 원리가 다르고 풀 수 있는 문제도 한정됩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를 잘 활용하면 현실적인 시간 안에 풀 수 없었던 문제를 풀 수 있어 시간적 비용절감이나 작업효율화 등의 면에서 큰 혁신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量子コンピュータはなぜ速いのか?
https://www.mki.co.jp/knowledge/column101.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역사상의 어느 시점에서도 폭력이 부의 재배분을 보증하는데 필요했다는 것은 보편적인 사실"이라고 스탠포드대학의 인문학과 고전·역사 교수인 Walter Scheidel 씨는 말했습니다. Scheidel 씨는 'The Great Leveler'의 저자로 이 책에서 석기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에서 많은 불평등이 폭력에 의해 해소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Stanford historian uncovers a grim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inequality over the millennia | Stanford News
http://news.stanford.edu/2017/01/24/stanford-historian-uncovers-grim-correlation-violence-inequality-millennia/

Stanford historian uncovers a grim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inequality over the millennia | Stanford News

Professor Walter Scheidel examines the history of peace and economic inequality over the past 10,000 years.

news.stanford.edu


프랑스의 경제학자인 토마 피케티 씨는 '21세기의 자본'이라는 책에서 “경제가 성장하는 한 불평등이 자연스럽게 해결되지 않는다”고 적었습니다. 피케티 씨의 주장은 Scheidel 씨와 같은 부분이 있지만 피케티 씨가 최근 200년에 일어난 폭력에 의한 불평등의 해소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것에 비해 Scheidel 씨는 석기시대 이후의 인류의 모든 역사에 대한 폭력과 불평등과의 관계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역사상 평등이 가져오게 되는 원인은 같지는 않지만 모두 '이미 확립된 질서에 대한 대규모 폭력적인 혼란'이라는 길을 거쳤다"고 Scheidel 씨는 지적했습니다. Scheidel 씨는 고대 로마의 전문가로 현대의 경제학자·역사학자의 자료에 비해 고대 시대의 자료를 모으는 것은 매우 어려웠지만 흩어져 있던 정보를 모아 어떻게든 불평등과 폭력에 관한 하나의 가설을 도출했다고 합니다.


Scheidel 씨에 의하면 사회를 평등하게 하기 위한 대참사에는 '대중 동원 혹은 교전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힘을 가진 혁명', '나라의 붕괴', '역병'이라는 4명의 기수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대중 동원에 의한 불평등 해소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일어났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는 많은 나라가 휘말려 사람들의 불평등이 균일하고 크게 감소했습니다. 전장이 된 유럽 각국이나 일본은 물론 미국에서는 세금이 늘어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경제는 국가로부터의 간섭을 크게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상황이 노동자에게 이익을 가져오면서 상위 1%의 부자에게 손해가 되어 부의 재배분이 실현된 것입니다.

또한 14세기에 유라시아 대륙에서 퍼진 흑사병도 평등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전쟁이 모든 것을 파괴하는 반면 유행병은 인간에게 피해를 초래하지만 인프라에는 손상을 주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적어지면 노동력이 부족해 1인당 임금은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빈부의 차이는 작아졌습니다. 다만 유행병이 종식되자 인구가 빨리 증가하기 시작하여 불평등은 늘어났다고 합니다.

by Roberto Rizzato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rizzato/


그리고 '국가의 붕괴'는 불평등의 역사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부유한 사람은 나라의 수혜자로 만약 나라가 붕괴하면 부유한 사람은 더 잃는 것이 커집니다. 마야문명이나 중국의 왕조가 붕괴했을 때와 같이 그들의 재산은 사라지기 때문”이라고 Scheidel 씨는 설명했습니다.

현재 전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Scheidel 씨는 "역사는 미래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현실은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화는 천천히 일어난다"며 경제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류의 가장 오래된 문명은 3000~4000년 전에 출현했는데 그로부터 현대까지 전쟁이 없고 평화였던 기간은 268년밖에 없다고 합니다. 또한 역사 이후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은 10억 명에 달한다는 추계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인류의 역사는 전쟁과 폭력에 물들고 있는데 이러한 공격성은 인간의 천성인지 아니면 사회의 구조가 그렇게 만드는 것인지에 대해 과학계 뉴스사이트 Live Science가 설명했습니다.

Are humans inherently violent?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are-people-inherently-violent

Are humans inherently violent?

Human violence is in the news every day. But is violence innate in Homo sapiens?

www.livescience.com


2014년 과학지 Nature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인류에 가장 가까운 유인원인 침팬지 커뮤니티를 50년 이상 연구한 결과에서 18개 무리 중 15개 무리에서 총 152건의 침팬지끼리의 살해 사건이 확인되었고 대부분이 무리 속의 개체끼리 발생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이 결과에 일부 과학자들은 "적어도 인류와 침팬지의 공통조상까지 폭력이 일반적인 선택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있는 궬프대학의 진화심리학자인 퍼트 버클리 씨는 Live Science와의 인터뷰에서 “최고의 역사적인 기록보다 오래된 폭력의 증거가 있습니다. 화살이 꽂힌 두개골 등 폭력적인 죽음의 흔적 등으로 복잡한 사회와 문명이 발달하기 전에 폭력이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인류문명의 원류에 폭력이 있었다면 거기에서 파생된 모든 사회에서 똑같이 폭력이 만연해도 이상하지 않지만 폭력발생률은 지역이나 문화, 시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유목민 사회에서는 대인폭력의 수준이 비교적 낮지만 약탈이나 정복이 활발했던 시대에서는 당연히 폭력은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또 미국과 유럽을 비교해도 미국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보다 폭력적입니다. 이는 인류라는 종 중에서도 폭력이 많은 사회와 적은 사회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버클리 씨는 “사회 사이에서 폭력발생률에는 자릿수 차이가 있습니다. 한 사회에서는 남성의 절반이 나머지 절반의 남성에 의해 폭력적으로 살해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한편 현대 일본처럼 육체적인 폭력이 매우 드문 사회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처음 폭력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모르겠지만 폭력이 폭력을 낳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즉, 분쟁이 잘 일어나는 문화에서는 폭력이 세대를 넘어 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폭력은 어떤 종류의 감염병과 같이 전염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역학자도 있습니다.

그러나 폭력이 전혀 없는 사회에도 폭력은 존재합니다. 영국 바스대학에서 정치적 폭력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는 브래드 에반스 씨는 “보통의 선량한 사람이라도 상황이 바뀌자마자 괴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왜 폭력적인 행동나오는지 설명하는 명확한 공식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문제는 복잡하다"고 말했습니다.

버클리 씨와 에반스 씨에 의하면 사람과 사람이 접촉할수록 번지기 쉬운 감염병과는 달리 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로부터 떨어져 있을수록 실행이 용이하다고 헙니다. 즉 물리적으로 사람을 때리는 것보다 핵미사일의 발사버튼을 누르는 것이 훨씬 쉽다는 것입니다.

by Roberto Rizzato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rizzato/


예를 들어 '아이히만 실험'에서는 실험자가 피험자에게 다른 사람에게 가하는 전기충격을 점점 강하게 하도록 지시했는데 피험자와 전기충격을 받는 사람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험자가 꺼려했던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또 대량학살은 가해자가 자신과 다른 인종이나 민족을 인간으로 간주하지 않게 되었을 때나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심리적인 거리가 놓여졌을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인간은 진화의 역사 속에서 계속 폭력적인 동물이었다'는 생각과 '폭력은 정착생활이나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치명적인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낸 것으로 인간은 본래 온화한 '고귀한 야만인'이었다'는 생각이 대립하고 있습니다. 이에 인간의 폭력에는 집단이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원이나 토지를 빼앗을 때 보이는 '적극적인 폭력'과 그러한 폭력에 직면했을 때의 반응인 '반응적인 폭력'이라는 2종류가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폭력이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된 것처럼 보이지만 인간사회는 약육강식의 자연계보다 분명히 평화적입니다. 버클리 씨는 “객관적으로 보면 사람은 이전보다 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훨씬 낮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대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기후변화와 싸우지 않는 한 식량 부족, 재해, 절망, 그리고 전쟁의 이유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기후변화와 자연파괴 등 글로벌 문제를 데이터로 정리하고 있는 Our World in Data가 인류를 포함한 포유류의 현상을 9개로 정리했습니다.

Mammals - Our World in Data
https://ourworldindata.org/mammals

Mammals

Travel back 100,000 years and the planet was rich with a wide array of wild mammals. Mammoths roamed across North America; lions across Europe; 200-kilogram wombats in Australasia; and the ground sloth lounged around South America.

ourworldindata.org

◆1: 야생 포유류 바이오매스는 인류 출현 이후 85%나 감소

생태계의 풍부함에 대한 지표로는 개체수가 자주 사용되지만 거대한 코끼리가 작은 쥐와 똑같이 카운트되기 때문에 과학자는 종종 '바이오매스'라는 지표를 사용합니다.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인 탄소의 무게로부터 동물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대로부터 약 10만 년 전 인류의 조상이 아직 아프리카에서 살고 있던 시대에는 지구상의 야생동물의 바이오매스는 2000만 톤이나 있었습니다. 그런데 점차 번영을 시작한 인류가 대형 포유류를 사냥하면서 1만 년 전까지 야생동물의 바이오매스는 1,500만 톤까지 감소했습니다. 1900년에는 10만 년 전의 절반이 되어 버려 현대에서는 단 300만 톤, 비율로 보면 10만 년 전의 15%까지 줄어버렸습니다.

◆2: 세계의 포유류에서 차지하는 야생동물의 비율은 불과 4%

야생동물이 줄어들면서 인간과 가축은 급증했으며 지상에 있는 포유류의 96%가 인간과 가축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이 4%밖에 없는 것에 반해 인간은 34%, 나머지의 62%는 가축입니다. 가축 중에서는 소가 전 포유류의 바이오매스의 35%, 돼지가 12%, 버팔로가 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염소와 양, 말, 애완동물 등으로 이어집니다. 덧붙여 소나 돼지와 나란히 대표적인 가축인 닭은 조류이므로 제외입니다.

◆3:인류의 조상은 대형 포유류를 대량으로 멸종시켰다

최근의 환경 파괴로 인해 많은 야생동물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야생동물을 위협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라고 생각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문명을 가지기 전인 인류의 조상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는 커녕 아프리카에서 세계 각지로 퍼지는 과정에서 다수의 야생동물을 멸종으로 내몬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ur World in Data의 조사에 의하면 기원전 5만 2000년부터 9000년 사이에 체중 44kg 이상의 대형 포유류인 메가파우나가 178종류나 멸종했다고 합니다. '제4기의 대량멸종'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인류가 일으킨 것으로 생각합니다.

◆4 : 독특한 포유류가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은 어디?

사라져 가는 포유류 중에서도 과학자가 특히 주목하는 종은 특정의 나라나 지역에서만 존재하는 고유종입니다. 왜냐하면 넓은 지역에 사는 포유류보다 정해진 지역에만 살고 있는 포유류가 멸종의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어느 나라에 보유종이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도로 색이 짙을수록 고유종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고유종이 많은 곳은 다른 지역과 바다에서 분리된 섬이나 대륙으로 구체적으로는 열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가 281종으로 선두입니다. 또한 호주와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에도 고유종의 포유류가 200종 이상 서식하고 있습니다.

◆5:세계의 포유류의 4분의 1이 멸종 위기

고유의 포유류가 많이 살고 있다는 것은 멸종의 위기에 노출되어 있는 포유류가 많이 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은 멸종위기종(레드리스트)으로 분류된 포유류가 살고 있는 국가의 그래프로 가장 많이 고유종이 사는 인도네시아가 여기서도 가장 심각합니다. 또 경제발전에 따른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멕시코, 인도, 브라질, 중국도 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 전체로 보면 포유류의 4분의 1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6:사라지고 있는 거대 포유류들

인류는 아프리카로부터 세계 각지에 진출함에 따라 대형 포유류를 대량으로 멸종시켰고 그 위기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음 중 왼쪽 열은 약 258만 년 전부터 약 1만1700년 전의 갱신세에 멸종된 포유류를 흑색, 살아남은 포유류를 녹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래프는 위에서 북미, 호주, 아프리카, 남미입니다. 왼쪽으로 몸이 작고 오른쪽으로 몸이 크므로 멸종된 포유류가 대형 포유류로 치우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현재 멸종이 우려되지 않은 동물을 녹색, 사냥이나 서식지의 손실, 기타 위협에 노출된 포유류를 각각 빨강, 노랑, 파랑으로 나타낸 우열의 그래프에서도 특히 사냥으로 인해 사라지고 있는 종이 대형 포유류에 치우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형 포유류는 주로 인류의 사냥, 즉 남획에 의해 목숨을 잃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 인류는 주로 식량 목적으로 메가파우나를 사냥했지만 현대에는 송곳니와 뼈를 모으기 위해 또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로서 대형 포유류가 살해되고 있습니다.

◆7:밀렵으로 인해 코끼리의 개체수가 격감하고 있다

밀렵으로 인해 생명을 잃는 대형 포유류로서 가장 대표적인 종은 지상 최대의 포유류인 코끼리입니다. 특히 상아를 목적으로 한 밀렵이 심각한 아프리카 코끼리의 개체수는 1500년의 2600만 마리에서 1995년에는 28만 6000마리까지 수가 줄었습니다. 그 후 약간 개선되어 2015년 시점에서 약 41만 5000마리로 증가했지만 100년 전의 1000만 마리에 비해 4% 수준입니다.

◆ 8 : 부활한 코뿔소도 있지만 멸종하는 코뿔소도 있다

뿔이 중국에서 한약으로 애용되는 코뿔소도 밀렵의 위협에 노출되고 있으며 5종 중 4종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흰코뿔소의 변종인 북부흰코뿔소는 현재 2마리밖에 생존하지 않는 야생멸종 상태에 있습니다. 게다가 2018년 3월에는 마지막 수컷이 죽어 암컷만이 남아있습니다.


종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의 몇 가지 성공사례 중 하나는 남부흰코뿔소입니다. 남부흰코뿔소는 1895년 20마리까지 감소해 버렸지만 아프리카의 자연보호구에서 엄중하게 보호된 결과 1세기 동안 1000배인 2만1000마리까지 개체수가 회복했습니다.

◆9:고래는 조금씩 개체수가 회복되고 있다

바다의 대형 포유류인 고래도 포경으로 크게 수가 줄어 1890년부터 2001년까지 고래 전체의 개체수는 3분의 2로 줄었습니다. 특히 포경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참고래(Fin Whale)는 98.5%나 개체수가 줄었습니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로 고래유가 불필요하게 되고 국제적인 대처 등에 의해 포경이 줄어 일부 종의 고래는 개체수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Our World in Data는 “포경은 자연보호의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한때 전세계에서 높은 수요가 있었던 동물이 대체 기술과 국제협력에 의해 멸종위기에서 구해졌습니다. 아직도 많은 포유류가 멸종위기였던 1960년대의 고래와 비슷한 상황에 있지만 포경의 쇠퇴는 사태를 호전할 수 있다는 희망을 우리에게 가져다 준다”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눈에 보이지 않아도 우리의 체내와 주위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들'. 사람이 가는 모든 장소, 사람이 하는 모든 것은 미생물의 아우라에 싸여 있습니다.

미생물은 머리를 긁으면 머리카락에서 떨어지고 친구에게 손을 흔들면 손에서 튀어나오고 말하면 입에서 내뿜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을 때라도 사람은 자신이 발하는 미생물의 아우라 속에 있다는 것입니다.

수백만, 수십억, 수조의 박테리아와 효모, 그 세포나 세포의 일부로 이루어진 이 아우라는 말하자면 ‘구름(클라우드)’과 유사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그 구름은 사람마다 다른데 이 구름을 연구함으로써 전염병이 확산되는 현상을 추적하거나 경찰이 범인을 체포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


내 안의 미생물, 내 밖의 미생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는 말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흔히 연상됩니다. 소위 선옥균이라는 사람 속에 살고 음식을 분해하는 것을 돕고 때로는 질병과 싸우고 배고픔을 조절하는 미생물군입니다.

그러나 그들 미생물은 사람의 몸 밖에도 존재합니다. 몸은 피부로 덮여 있지만 그 피부에는 수백만 개체의 미생물이 살고 있고 그들은 피지나 죽은 세포, 유기물을 먹거나 혹은 서로 잡아먹으며 살고 있습니다.

"1cm 제곱미터의 피부에 수천 개의 박테리아가 존재한다"고 전 오리건 대학 연구자인 제임스 메도우 씨는 설명했습니다.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미생물학자인 잭 길버트 씨는 사람마다 다른 '미생물의 아우라'를 분석함으로써 범죄수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사람 주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세포의 수는 인간 1명이 가지는 세포의 수에 비해 약 10배 많습니다. 만약 당신의 몸 안팎에 있는 세포의 모든 DNA를 조사했다면 인간의 것은 그 2% 정도로 나머지는 미생물의 것이라고 합니다.

당신의 마이크로바이옴의 구름은 창자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나타난 것으로 코를 파거나 트림 또는 방귀를 뀔 때 체내에 있는 미생물은 외부로 배출되어 마이크로바이옴의 구름이 됩니다.

세상은 미세한 배설물로 덮여 있다
메도우 씨 연구팀은 미생물의 구름이 검출 가능한지, 그 DNA가 개체마다 다른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의 대상이 된 피실험자는 살균된 클린룸에 앉게 해 각 피실험자가 4시간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지면에 배치한 에어필터에 떨어진 피실험자의 박테리아를 모아 DNA만을 추출했습니다.

이 실험의 데이터를 확인한 후 과학자들은 더욱 많은 자원봉사자를 동원해 바닥에 놓은 접시만을 사용해 그 프로세스를 반복하기로 했습니다. 두 번째 실험은 방에서 보내는 시간을 90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똑같이 수행되었습니다.

박테리아는 사람이 걸을 때 발생하는 기류와 공기의 소용돌이로 쉽게 날아갑니다. "만약 당신이 누군가와 악수할 정도로 가까워지면 그 시점에서 이미 상대의 미생물의 구름 속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메도우 씨는 말합니다. 즉 당신은 동료, 가족, 기차에 동승하는 사람들과 '미생물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실제로 얼마나 다른가?
상기 2개의 시험에 참가한 피실험자 중 적어도 11명에 있어서는 미생물의 구름의 성질이 각각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 미생물을 뿌리는 비율도 다르다고 합니다. "모든 사람이 특유의 '미생물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고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미생물학자인 잭 길버트 씨는 말했습니다.

이 실험에 의해 처음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이성이 유전자 수준에서 밝혀졌습니다. 이 발견은 전염병이나 범죄법의학과 같은 분야에서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현재 병원 내에서 세균이 어떻게 퍼지고 있는지 모르는데 메도우 씨는 오레곤 주립대학에서의 연구 후 미생물에 대한 이해를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의 원내감염이라는 사태를 막는 데 기여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바이오 기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또 경찰은 마이크로바이옴에게 또 다른 용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길버트 씨는 이전부터 범죄현장의 조사관이 미생물의 잔류를 조사해 범인을 색출해내는 수단으로써 활용하는 데 착수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흙이나 공기나 입으로 섭취하는 음식, 몸을 씻거나 마시는 물 등으로 미생물을 섭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 다른 '미생물 사인'을 범죄현장과 연결시키는 증거로 활용할 수 있어 알리바이와 일치하면 죄의 혐의도 밝힐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현재보다 상당히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해야 할 것”이라며 '어스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물의 지도'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몇 년 후에는 개인을 확인하기 위해 DNA까지 파낼 필요도 없어지고 사람은 어디로 가든지 자신을 증명하는 미생물 구름을 데리고 걷게 될 것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人間は「微生物のクラウド」に包まれている:マイクロバイオーム最新研究より
https://wired.jp/2015/10/11/bacteria-clouds/

Posted by 말총머리
,


보드를 타고 균형을 잡는 것만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일륜 전동 스케이트보드 'Onewheel'에 대해 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가 소비자에게 모든 모델의 사용을 즉시 중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CPSC에 따르면 2019년~2021년 사이에 적어도 4명이 Onewheel 관련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중상사고가 보고되었다고 합니다.

CPSC Warns Consumers to Stop Using Onewheel Self-Balancing Electric Skateboards Due to Ejection Hazard; At Least Four Deaths and Multiple Injuries Reported | CPSC.gov
https://www.cpsc.gov/Newsroom/News-Releases/2023/CPSC-Warns-Consumers-to-Stop-Using-Onewheel-Self-Balancing-Electric-Skateboards-Due-to-Ejection-Hazard-At-Least-Four-Deaths-and-Multiple-Injuries-Reported

CPSC Warns Consumers to Stop Using Onewheel Self-Balancing Electric Skateboards Due to Ejection Hazard; At Least Four Deaths and

CPSC Warns Consumers to Stop Using Onewheel Self-Balancing Electric Skateboards Due to Ejection Hazard; At Least Four Deaths and Multiple Injuries Reported

www.cpsc.gov


Future Motion Refuses to Recall Self-Balancing Skateboards After Four Deaths - CNET
https://www.cnet.com/tech/computing/future-motion-refuses-to-recall-self-balancing-skateboards-after-four-deaths/

Future Motion Refuses to Recall Self-Balancing Skateboards After Four Deaths

Future Motion said the e-skateboards are safe when the rider follows "common-sense safe riding practices."

www.cnet.com


Stop Using Onewheel Self-Balancing Skateboards, CPSC Warns
https://gizmodo.com/onewheel-self-balancing-electric-skateboard-cpsc-recall-1849791102

Stop Using Onewheel Self-Balancing Skateboards, CPSC Warns After Reports of Four Deaths and Multiple Injuries

Despite the CPSC's concerns, Future Motion has refused to agree to a full recall of its products.

gizmodo.com


미 기업 Future Motion가 개발한 일륜 전동 스케이트 보드로서 2015년에 일반 판매가 개시되었습니다. 여러 모델을 출시했으며 일부 모델은 최고 시속이 16~19마일(약 25~30km)에 달한다는 것. 현시점의 가격은 1050달러~2200달러(약 146만 ~ 307만 원) 정도입니다.

Onewheel: The World is Your Playground
https://m.youtube.com/watch?v=XNqOU4jx62I


쉽고 스릴 넘치는 이동수단으로 인기를 얻고 있던 Onewheel이었지만 2022년 8월에 Onewheel GT라는 모델의 풋패드에 결함이 발견되어 CPSC와 Future Motion이 협력해 리콜이 발표되었습니다. 보통 라이더가 내리면 풋패드가 감지해 자동으로 보드가 정지하는데 Onewheel GT에서는 결함으로 인해 라이더가 내린 후에도 보드가 계속 움직여 주위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성이 인정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CPSC는 11월 16일 성명에서 Onewheel, Onewheel+, Onewheel+XR, Onewheel Pint, Onewheel Pint X, Onewheel GT의 모든 모델에 대해 사망 및 중상사고의 위험이 있다며 사용을 중지할 것을 소비자에게 권고했습니다.

CPSC는 Onewheel이 균형을 잃거나 움직이는 동안 갑자기 멈추어 내던져진 라이더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사망사고는 2019년~2021년 사이에 적어도 4건 발생했고 사인은 머리부상으로 인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상사고로는 외상성 뇌손상, 뇌진탕, 마비, 골절, 인대 손상 등의 부상이 보고되었습니다. CPSC는 제품 리콜을 요청했지만 Future Motion은 리콜을 거부했다며 “CPSC는 계속해서 소비자를 위한 리콜을 요구해 나갈 예정”이라고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CPSC에 의한 성명에 대해 Future Motion은 "부당하고 소란스러운 주장"이라고 반론했습니다.

FUTURE MOTION RESPONDS TO THE CPSC'S UNJUSTIFIED AND ALARMIST CLAIMS REGARDING ONEWHEELS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future-motion-responds-to-the-cpscs-unjustified-and-alarmist-claims-regarding-onewheels-301680207.html

Future Motion은 "안전성은 Future Motion의 비즈니스의 핵심으로 우리는 첫 번째 모델에서 보드에 안전성을 도입해 시장에 진입한 다음 5세대에 걸쳐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했다"며 갑자기 멈추었다고 지적된 보드를 조사했지만 근본적인 기술적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8월에 리콜한 Onewheel GT와 같이 기술적인 문제가 발견되면 CPSC와 협력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모든 보드 스포츠는 충돌이나 부상 위험이 동반되는 것으로 Future Motion은 일관되게 라이더에게 안전장비 착용과 능력의 범위 내에서 타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렸다며 “Onewheel은 모든 보드 스포츠에 공통적인 상식적이고 안전한 승차방식에 따라 조작하면 위험하지 않다”고 Future Motion은 주장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1의 제곱근
=1

2의 제곱근
=1.414213562373095048801688724209698078569671875376948073176679737990732478462107038850387534327641573

3의 제곱근
=1.732050807568877293527446341505872366942805253810380628055806979451933016908800037081146186757248576

4의 제곱근
=2

5의 제곱근
=2.236067977499789696409173668731276235440618359611525724270897245410520925637804899414414408378782275

6의 제곱근
=2.449489742783178098197284074705891391965947480656670128432692567250960377457315026539859433104640235

7의 제곱근
=2.645751311064590590501615753639260425710259183082450180368334459201068823230283627760392886474543611

8의 제곱근
=2.828427124746190097603377448419396157139343750753896146353359475981464956924214077700775068655283145

9의 제곱근
=3

10의 제곱근
=3.162277660168379331998893544432718533719555139325216826857504852792594438639238221344248108379300295

11의 제곱근
=3.316624790355399849114932736670686683927088545589353597058682146116484642609043846708843399128290651

12의 제곱근
=3.464101615137754587054892683011744733885610507620761256111613958903866033817600074162292373514497151

13의 제곱근
=3.605551275463989293119221267470495946251296573845246212710453056227166948293010445204619082018490718

14의 제곱근
=3.741657386773941385583748732316549301756019807778726946303745467320035156306939027976809895194379572

15의 제곱근
=3.872983346207416885179265399782399610832921705291590826587573766113483091936979033519287376858673518

16의 제곱근
=4

17의 제곱근
=4.123105625617660549821409855974077025147199225373620434398633573094954346337621593587863650810684297

18의 제곱근
=4.242640687119285146405066172629094235709015626130844219530039213972197435386321116551162602982924718

19의 제곱근
=4.358898943540673552236981983859615659137003925232444936890344138159557328203158085656159155851944527

20의 제곱근
=4.472135954999579392818347337462552470881236719223051448541794490821041851275609798828828816757564550

21의 제곱근
=4.582575694955840006588047193728008488984456576767971902607242123906868425547770886604361559493445033

22의 제곱근
=4.690415759823429554565630113544466280588228353411737153605701891017024632753239721482115596061543135

23의 제곱근
= 4.795831523312719541597438064162693919996707041904129346485309114448257235907464082492191446436918861

24의 제곱근
=4.898979485566356196394568149411782783931894961313340256865385134501920754914630053079718866209280470

25의 제곱근
=5

26의 제곱근
=5.099019513592784830028224109022781989563770946099596407584970804425933632062224195588348851093932008

27의 제곱근
=5.196152422706631880582339024517617100828415761431141884167420938355799050726400111243438560271745727

28의 제곱근
=5.291502622129181181003231507278520851420518366164900360736668918402137646460567255520785772949087221

29의 제곱근
=5.385164807134504031250710491540329556295120161644788837680388670016645962827658692876633781679835484

30의 제곱근
=5.477225575051661134569697828008021339527446949979832542268944497324932771227227338008584361638706258

31의 제곱근
=5.567764362830021922119471298918549520476393377570414303968432585603589839254236292927218396184926678

32의 제곱근
=5.656854249492380195206754896838792314278687501507792292706718951962929913848428155401550137310566291

33의 제곱근
=5.744562646538028659850611468218929318220264457982792367699877470565900721457404627027125365596788122

34의 제곱근
=5.830951894845300470874152877545583076521398334885971954450006744867810061996712627665240326453035399

35의 제곱근
=5.916079783099616042567328291561617048415501230794340322879719669142822459105653036765752527183109178

36의 제곱근
=6

37의 제곱근
=6.082762530298219688999684245202067062084970094786411186419153046486332725318910239803066427957848663

38의 제곱근
=6.164414002968976450250192381454244225235624023444574544874572072458399650263664212966729799198899945

39의 제곱근
=6.244997998398398205846893120939794461072959977991656308452971930609611200583514500633336112221340587

40의 제곱근
=6.324555320336758663997787088865437067439110278650433653715009705585188877278476442688496216758600590

41의 제곱근
=6.403124237432848686488217674621813264520420132621018885529272626668182758196876074289354302249869963

42의 제곱근
=6.480740698407860230965967436087996657705204307058346549711354397809617377844044371400360906605610236

43의 제곱근
=6.557438524302000652344109997636001627926966319883789769865460105585659853488575639355805290969678548

44의 제곱근
=6.633249580710799698229865473341373367854177091178707194117364292232969285218087693417686798256581302

45의 제곱근
= 6.708203932499369089227521006193828706321855078834577172812691736231562776913414698243243225136346825

46의 제곱근
=6.782329983125268139064556326625969105195748323923288232750219582080728263987112589862640940936330044

47의 제곱근
=6.855654600401044124935871449084848960460643461001326275485108185678517115136816999227325148500066837

48의 제곱근
=6.928203230275509174109785366023489467771221015241522512223227917807732067635200148324584747028994303

49의 제곱근
=7

50의 제곱근
=7.071067811865475244008443621048490392848359376884740365883398689953662392310535194251937671638207864

51의 제곱근
=7.141428428542849997999399811367265278766171159902733833208430882765820406440021886258988213532820418

52의 제곱근
=7.211102550927978586238442534940991892502593147690492425420906112454333896586020890409238164036981435

53의 제곱근
=7.280109889280518271097302491527032793777669682576477438378181791284115738624905183329579409080926752

54의 제곱근
=7.348469228349534294591852224117674175897842441970010385298077701752881132371945079619578299313920704

55의 제곱근
=7.416198487095662948711397440800713060979904319097501598732623264343830184313850242753009213195824944

56의 제곱근
=7.483314773547882771167497464633098603512039615557453892607490934640070312613878055953619790388759143

57의 제곱근
=7.549834435270749697236684806946117058222194704623380138298626905710721953917811195582452074147523973

58의 제곱근
=7.615773105863908285661411027158323005360705592546598468950484240520352157373001244642269714387151646

59의 제곱근
=7.681145747868608175769687021731372473062451077614883928024736483935541657992709851856047727961377799

60의 제곱근
=7.745966692414833770358530799564799221665843410583181653175147532226966183873958067038574753717347036

61의 제곱근
=7.810249675906654394129722735759101413568305136648563300177243760190785588936727054425433052267004895

62의 제곱근
=7.874007874011811019685034448812007863681086122020853794598842550313760846817698056926191351248746890

63의 제곱근
=7.937253933193771771504847260917781277130777549247350541105003377603206469690850883281178659423630832

64의 제곱근
=8

65의 제곱근
=8.062257748298549652366613230303771131134396305608573387936592389263874951025688202960154266717230644

66의 제곱근
=8.124038404635960360459883568266040348504204086725312827651575594532916802840672694999157602947936877

67의 제곱근
=8.185352771872449969953703724733929458880486815498039963066715202723667614461097945343924671637868345

68의 제곱근
=8.246211251235321099642819711948154050294398450747240868797267146189908692675243187175727301621368593

69의 제곱근
=8.306623862918074852584262744907492010232214248955655779432188369037585033423151573867398508232357050

70의 제곱근
=8.366600265340755479781720257851874893928153692986721998111915430804187725943170098308147119649515362

71의 제곱근
=8.426149773176358630634139906202736031608002401560750013667811129327225502755203055485693537298969659

72의 제곱근
=8.485281374238570292810132345258188471418031252261688439060078427944394870772642233102325205965849436

73의 제곱근
=8.544003745317531167871648326239706434594455329533282241908651253771648819327298381080972030107009430

74의 제곱근
=8.602325267042626771729473535049713632027535557290735619508045641237426934663017012783330890698962064

75의 제곱근
=8.660254037844386467637231707529361834714026269051903140279034897259665084544000185405730933786242878

76의 제곱근
=8.717797887081347104473963967719231318274007850464889873780688276319114656406316171312318311703889054

77의 제곱근
=8.774964387392122060406388307416309560875876827554503590927695629782764646219306281675693157068705756

78의 제곱근
=8.831760866327846854764042726959253964174639480931417826210202972557139938235442840370435539414771518

79의 제곱근
=8.888194417315588850091441675408727817076450603729526298354720116376100599628599596023592952713630553

80의 제곱근
=8.944271909999158785636694674925104941762473438446102897083588981642083702551219597657657633515129100

81의 제곱근
=9

82의 제곱근
=9.055385138137416626573808166984066413052124464096940276581741230018657980766059233384960678590990926

83의 제곱근
=9.110433579144298881945626104688669190099139168264955852496938465066021194283405665585341460929177247

84의 제곱근
=9.165151389911680013176094387456016977968913153535943805214484247813736851095541773208723118986890065

85의 제곱근
=9.219544457292887310002274281762793157246805048722464008007752205442671026801875460767894090793280565

86의 제곱근
=9.273618495495703752516416073990174626263468912076298213373826598328236836463843023232045857358474384

87의 제곱근
=9.327379053088815045554475542320556983276240694191654671056197298446784548807249678414220562911882016

88의 제곱근
=9.380831519646859109131260227088932561176456706823474307211403782034049265506479442964231192123086271

89의 제곱근
=9.433981132056603811320660377622640716983622633415121320662981448980022909585118058541026986890384105

90의 제곱근
=9.486832980505137995996680633298155601158665417975650480572514558377783315917714664032744325137900886

91의 제곱근
=9.539392014169456491526215860232265402546234252505457539081518529103625523056507218277821764491220698

92의 제곱근
=9.591663046625439083194876128325387839993414083808258692970618228896514471814928164984382892873837721

93의 제곱근
=9.643650760992954995760031047432663183906903693063252407300176887731286418668649722900054709293608591

94의 제곱근
=9.695359714832658028148881150845313393652150987954679590539717486233039867573300728483258678476917497

95의 제곱근
=9.746794344808963906838413199899600299252583900337491031991750005720081772460249356848712096038065528

96의 제곱근
=9.797958971132712392789136298823565567863789922626680513730770269003841509829260106159437732418560939

97의 제곱근
=9.848857801796104721746211414917624481696136287442764171723154529836440583707678630093200784115425762

98의 제곱근
=9.899494936611665341611821069467886549987703127638636512236758165935127349234749271952712740293491009

99의 제곱근
=9.949874371066199547344798210012060051781265636768060791176046438349453927827131540126530197384871953

100의 제곱근
=10

Posted by 말총머리
,


두부에 전극을 대고 자극하는 '전기경련요법(ECT)'이 항우울 작용을 가진 약인 '케타민'보다 우울증의 조기 회복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Study: Electroshock Therapy More Successful for Depression than Ketamine - UConn Today
https://today.uconn.edu/2022/10/electroshock-therapy-more-successful-for-depression-than-ketamine/

Study: Electroshock Therapy More Successful for Depression than Ketamine - UConn Today

Therapeutic technique, portrayed unfavorably in films and TV shows, shows consistently better results with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today.uconn.edu


세계건강기관에 의하면 우울증은 세계 성인의 약 5%가 앓고 있는 일반적인 병으로 대표적인 증상은 슬픈 느낌, 좌절, 이전에는 즐거웠던 활동이 더 이상 즐겁지 않거나 때로는 몇 주 동안 원인불명의 통증과 피로를 느끼는 것입니다.

우울증으로 진단된 많은 사람은 심리요법과 함께 경구 항우울제를 처방받습니다. 그러나 처음에 처방된 경구 항우울제가 효과가 없거나 자상행위의 위험이 임박한 경우에는 케타민이나 에스케타민과 같은 약물의 투여나 ECT도 옵션으로 검토됩니다.

케타민은 주사용 마취제로 의료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우울증 환자를 돕는 즉각적인 치료법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번 연구를 실시한 코네티컷 대학의 Greg Rhee 씨는 세계 각지의 6개의 임상시험 연구를 분석해 케타민과 ECT를 비교하여 우울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검증했습니다. 그 결과 모든 시험에서 ECT는 케타민보다 심한 우울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많은 경우 케타민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지만 전체적으로는 ECT 쪽이 좋은 결과였다는 것. 또 위 2가지의 치료법의 부작용이 다른데 ECT에서는 두통, 근육통, 기억상실이 일어나기 쉽고 케타민에서는 해리 증상, 현기증, 물건이 이중으로 보이는 '복시'가 일어나기 쉽다고 합니다.

Rhee 씨는 “ECT는 케타민보다 일관되고 심각한 우울증 환자를 구하는 데 효과적으로 나이, 성별, 지역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ECT에 회의적인데 각종 미디어에서 부정적으로 그려진 영향이 원인 중 하나입니다. 기존 치료를 대체하는 ECT의 일반적인 인지도를 향상시켜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해가 저무는 하늘을 가득 채울 기세로 날아다니는 찌르레기 무리는 한 방향으로 날아가는 것이 아니라 마치 소용돌이를 치듯 움직이거나 조밀하게 모이고 흩어지는 등 리듬 있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인간의 넷상에서의 집단행동도 이 찌르레기 무리의 움직임과 비슷하다고 지적되고 있다고 정보사이트 NOEMA의 르네 디레스타 씨가 보도했습니다.

How Online Mobs Act Like Flocks Of Birds
https://www.noemamag.com/how-online-mobs-act-like-flocks-of-birds/

How Online Mobs Act Like Flocks Of Birds | NOEMA

A growing body of research suggests human behavior on social media is strikingly similar to collective behavior in nature.

www.noemamag.com


이런 찌르레기 무리의 움직임을 생물학에서는 'Murmmuration'이라고 합니다. 무리 속에서 찌르레기는 자신 근처에 있는 7마리를 보고 그에 따라 움직임을 조정하고 있다는 것.

Starling murmuration 2020 #Geldermalsen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V54oa0SyMc


이 무리의 행동을 연구하는 계산생물학자나 컴퓨터과학자는 Murmmuration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을 '국소적인 행동반응의 이웃에 급속한 전달'이라고 표현해 이질적인 생물의 집단이 정리된 단위가 되어 움직이는 Murmmuration을 '집단행동'이라고 부릅니다.

SNS에서 인간은 협조하거나 괴롭히거나 사이버 캐스케이드(Cyber cascade)와 같이 다수파의 의견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국소적인 반응이 주위에 퍼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소반응이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결정됩니다. 새의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위 7마리의 새의 움직임에 맞추지만 인터넷상에서 사람은 콘텐츠나 다른 사용자에게 맞추게 됩니다. 그리고 그 콘텐츠는 알고리즘이 매개하여 제공되는 뉴스피드에서 보내지기 때문에 말하자면 알고리즘이 주변 7마리의 새를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SNS가 인터넷에 출현한 초기는 어디까지나 현실의 인간관계의 연결을 넷상에 옮겼을 뿐이었고 연결이 있는 사람의 수는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150명에 못 미치는 수 였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친구와 팔로워 수가 프로필에 표시되어 평가대상인 숫자가 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친구뿐만 아니라 '지인의 친구', '친구의 친구'와도 친구가 됩니다.

플랫폼으로서는 사이트에 장시간 체류하게 하기 위해 추천시스템 등으로 사람들이 지금까지 만난 적이 없는 새로운 무리와의 만남을 제공해왔습니다. 또한 통계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메커니즘을 '협조 필터링'이라고합니다.

반백신운동에 대해 조사하고 있던 필자 디레스타 씨는 알고리즘에 따라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씨가 인신매매·자동성적 학대에 관여하고 있다는 '피자게이트' 커뮤니티에 참여하도록 권장 받은 적이 있다는 것. 피자게이트의 뒤에 음모론자가 세력화한 집단이 익명게시판 '4chan'을 베이스로 세력을 확대한 'QAnon'입니다.


Twitter의 트렌드도 새로운 '무리'를 낳는 원동력의 하나가 되고 있다고 디레스타 씨는 지적했습니다.

한편 사용자도 주체성이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낚이지 않는다'는 선택을 취할 수 있습니다.

'7마리의 새'의 대상을 재검토해 개선했다 하더라도 또 유해한 '무리'가 형성될 수 있다며 디레스타 씨는 해결책의 하나로 "처음부터 출발하여 현존하는 생태계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모두 탈출할 수 있다면 사회로서 더 나은 것을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산업용 축전지를 개발하는 Rondo Energy가 벽돌을 사용한 획기적인 축열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의 화학전지의 20%의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Rondo Energy가 설명했습니다.

US20220170386A1 - Energy storage system and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20220170386A1/en

How It Works — Rondo Energy
https://rondo.com/how-it-works

How It Works — Rondo Energy

From calcining to cogeneration, from food processing to fuel production, Rondo’s Heat Battery delivers energy in the form needed for more than 90 percent of industrial process and power needs. Our modular units are designed to serve the unique capacity a

rondo.com


"Brick toaster" aims to cut global CO2 emissions by 15% in 15 years
https://newatlas.com/energy/rondo-heat-battery-brick-toaster/

"Brick toaster" aims to cut global CO2 output by 15% in 15 years. Seriously.

Industrial heat consumes a huge proportion of global energy. Rondo Energy says its brick-toasting heat storage device is so cheap and efficient that it makes decarbonization an instant no-brainer across a huge range of industries. Bill Gates agrees.

newatlas.com


발전과정에서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은 친환경이지만 발전능력이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축전지를 병설해 필요할 때에 방전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Rondo Energy가 개발한 축열시스템은 '벽돌'을 사용합니다. 이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히터가 발열하여 주변 물체를 빠르게 가열합니다. 수천 톤의 벽돌이 이 열방사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하루에 1% 미만이라는 매우 낮은 손실로 수 시간 ~ 며칠에 걸쳐 에너지를 축적한다는 것. 가열된 벽돌에 공기를 불어넣어 수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돌리는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벽돌에 열을 축적하는 방법은 강철업계 등에서 옛부터 사용되고 있었지만 이번 시스템은 슈퍼컴퓨터에 의한 수치유체역학, 유한요소 해석, AI에 의한 시스템 제어가 있었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최신 기술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축전지에 비해 매우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고 재료 중에 유독한 것이 포함되지 않으며 경년열화하는 부재도 없기 때문에 화학전지라면 몇 세대에 걸쳐 복잡하게 리사이클 해야 하는 40~50년 후에도 열을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Rondo Energy의 존 오드넬 CEO는 "우리는 매우 단순한 것을 만들고 있지만 디자인은 매우 흥미롭고 복잡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빌 게이츠 씨 등도 주목하고 있으며 오드넬 CEO는 실현을 향해 자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방위자침이 있으면 정확하게 방각을 알 수 있지만 항상 방위자침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또 나침반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앱은 방전 등으로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 때에 아날로그 시계로 대략의 방각을 잡는 방법을 일본의 정밀 전자기기 메이커인 시티즌 시계가 공개했습니다.

方位計 | シチズンウオッチ オフィシャルサイト [CITIZEN-シチズン]
https://citizen.jp/support-jp/manual/exterior/01.html

方位計 | シチズンウオッチ オフィシャルサイト [CITIZEN-シチズン]

CITIZEN-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オフィシャルサイト方位計のページです。シチズンの腕時計についてご紹介しています。

citizen.jp


시침을 태양 방향으로 향했을 때 시침과 문자판의 12시 사이가 남쪽이 됩니다. 다만 위도나 계절에 따라서는 어긋남이 생기므로 어디까지나 대략의 방위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How to Use Your Watch as a Compas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hON-ZDCorqg


먼저 시계를 수평으로 잡고 시침을 태양으로 향합니다. 이 동영상에서는 화면 위쪽에 태양이 있습니다. 시침과 12시의 중간이 남쪽, 그 정반대가 북이 됩니다. 따라서 12시에 시침이 남쪽 방향을 가리킵니다.


한국은 북반구에 있기 때문에 사용할 기회는 그다지 많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이 테크닉은 조금 순서를 바꾸면 남반구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남반구에서는 시침이 아닌 12시 문자를 태양으로 향합니다. 이때 문자판의 12시와 시침의 중간 방향이 북쪽입니다.


각도를 2분의 1로 해야 하는 이유는 지구가 하루에 한 번 회전하는 반면 시계가 하루에 두 번 회전하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Rockman of Zymurgy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rockmanzym/


서호주 드레서 누층((Dresser Formation)에서 발견된 약 34억 8000만 년 전의 암석을 조사한 국제연구팀이 이 암석은 생명의 활동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이것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의 흔적이며 화성에서의 생명탐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Advanced two- and three-dimensional insights into Earth’s oldest stromatolites (ca. 3.5 Ga): Prospects for the search for life on Mars | Geology | GeoScienceWorld
https://doi.org/10.1130/G50390.1

Earth’s Oldest Stromatolites and the Search for Life on Mars
https://www.geosociety.org/GSA/News/pr/2022/22-66.aspx

3.5 billion-year-old rock structures are one of the oldest signs of life on Earth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oldest-stromatolites-australia

3.5 billion-year-old rock structures are one of the oldest signs of life on Earth

Fossils called stromatolites from Western Australia were created by microbes 3.48 billion years ago.

www.livescience.com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의 사체나 진흙 등이 퇴적되어 형성되는 암석 '스트로마톨라이트'는 30억 년 이상 전의 것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삶의 흔적"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너무 오래된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속성작용이나 풍화로 인해 화유기물의 흔적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정말로 암석이 생물기원인지 아니면 지질학적 운동으로 인한 것인지 논란을 만들고 있다는 것.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화석으로 발견될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지구상의 일부 수역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서호주 해안의 하멜린 베이(Hamelin Bay)에 현존하는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사진입니다.

by Mark, Vicki, Ellaura and Mason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brown_family_album/


지금까지 과학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인정받았던 것은 34억 3000만 년 전의 것이었지만 2000년에 서호주 드레서 누층에서 34억 80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스트로마톨라이트로 보이는 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Keyron Hickman-Lewis 씨가 이끄는 연구팀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협력해 고해상도의 2D 및 3D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34억 8000만 년 전의 암석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암석에 작은 돔형 층을 포함하는 불균일한 층이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은 스트로마톨라이트를 형성하는 남조류가 광합성을 하므로 태양의 빛이 도달하기 쉬운 장소와 그렇지 않은 장소에서 성장속도가 달라서 생기는 것으로 암석이 남조류 유래의 스트로마톨라이트인 것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또한 현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에서도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기둥 형상 구조도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은 테네시 대학의 지구과학자 Linda Kah 씨는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층은 두께가 불균일하고 주름이 생기거나 매우 작은 공간 스케일로 상하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기 쉽다"며 "이를 고려하면 미생물 레이어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덧붙여 2016년에는 37억 년 전의 스트로마톨라이트로 보이는 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 암석이 정말로 생물 기원의 것인지에 대해서 아직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Scientists find 3.7 billion-year-old fossil, oldest yet
http://phys.org/news/2016-08-scientists-billion-year-old-fossil-oldest.html

Scientists find 3.7 billion-year-old fossil, oldest yet

Scientists have found what they think is the oldest fossil on Earth, a remnant of life from 3.7 billion years ago when Earth's skies were orange and its oceans green.

phys.org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상의 초기 생명 연구뿐만 아니라 화성의 생명탐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드레서 누층의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암석에 포함된 철과 대기가 반응하여 생긴 산화철로 덮여 있어 유기물의 흔적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마찬가지로 화성 표면의 암석도 광범위하게 산화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유기물의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

그러나 이번 드레서 누층의 암석을 분석한 수법을 응용함으로써 화성에서 가져온 샘플에서 생명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연구팀은 기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스위스의 연구그룹은 척수손상으로 심한 마비를 앓고 보행하기 어려운 환자를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미발견이었던 척수손상 후 회복에 필요한 조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The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 Nature
https://doi.org/10.1038/s41586-022-05385-7

People With Complete Paralysis Walk Again After Nerve Stimulation Breakthrough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people-with-complete-paralysis-walk-again-after-nerve-stimulation-breakthrough

People With Complete Paralysis Walk Again After Nerve Stimulation Breakthrough

Using a mix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intense physical therapy, nine people with chronic spinal injuries have had their ability to walk restored.

www.sciencealert.com


보행에 필요한 신경세포는 척수에 존재하며 척수가 손상되면 뇌의 신호가 차단되어 보행이 불가능해집니다. 그 결과 발에 문제가 없어도 발의 영구마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척수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마비를 회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그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EPFL)의 신경과학자인 클라우디아 캐시 씨가 척수의 '경막'이라고 불리는 부분에 전기자극을 주는 경막외 전기자극이라는 기술을 심한 척수손상인 9명의 환자와 실험쥐로 확인했습니다.

환자들이 일주일에 4~5회의 자극과 재활을 5개월간 계속한 결과 모두가 보행기의 도움으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

또한 회복된 환자들은 보행 시 허리 척수의 신경활동이 저하되었다고 합니다. 거기서 캐시 씨는 이 과정을 실험쥐로 검증해 어느 세포가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신경세포의 집단이 허리 척수의 중간층이라는 조직에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자극된 신경세포를 시각화한 것으로 이 조직은 언뜻 보면 건강한 동물의 보행에는 불필요하지만 척수손상 후의 보행의 회복에는 불가결해 이 조직을 파괴하면 실험쥐의 회복이 저해되었다고 합니다. 또 이 조직은 뇌간으로부터의 정보를 실제의 보행에 연결하는 신경에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연구그룹이 발견한 조직의 세부사항이나 실제로 척수손상으로 인해 보행이 곤란했던 환자가 걷는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cientists identify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TSp-PDTgZeI


캐시 씨는 이 발견을 "세포의 정보전달에 관한 하나의 요소에 지나지 않고 아직 해명되지 않은 것이 여러 가지 있다"면서 "이 발견은 이윽고 치료법의 선택지를 늘리는 것으로 이어지고 그 외 척수손상 환자에게도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진보로 인간의 수명이 크게 늘었지만 100세를 넘을 때까지 살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적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간'은 기증자로부터 환자로 계승되어 100년 이상 계속 기능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Livers have the potential to function for more than 100 years | ACS
https://www.facs.org/for-medical-professionals/news-publications/news-and-articles/press-releases/2022/livers-have-the-potential-to-function-for-more-than-100-years/

Centurion Livers: Making It to 100 with a Transplant

There is a small, but growing, subset of livers that have been transplanted and have a cumulative age of more than 100 years according to study.

www.facs.org


Livers can stay alive and functional for over 100 years across multiple donors and recipients
https://www.zmescience.com/science/livers-100-years-lifetime-transplant-94625/

Livers can stay alive and functional for over 100 years across multiple donors and recipients

Such findings pave the way towards older people being eligible to donate their livers and saving more lives.

www.zmescience.com


장기이식을 할 때에는 이식시점에서 장기가 건강한 상태인 것 이외에도 이식 후 얼마나 기능이 유지되는지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텍사스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와 장기이식 전문 생명공학 회사인 TransMedics 의 연구팀은 이식에 사용되는 간이 얼마나 오랫동안 기능을 유지하는지 조사하기 위해 미 장기이식 네트워크(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1990년~2020년 사이에 이식된 25만 3406개의 간 중 25개의 간은 기증자와 환자의 체내에서 총 100년 이상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들 간의 기증자는 이식시점의 평균 연령이 84.7세로 상당히 고령이며 당뇨병의 유병률이나 이식에 따른 감염증의 발병률도 낮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의 일원이자 텍사스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수술 부교수로 재임 중인 Christine Hwang 씨는 “우리는 이전에 노인의 간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런 부류의 기증자가 무엇이 특별한지 이해할 수 있다면 더 많은 간이 이식되어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기증자의 후보가 되는 연령대를 넓히면 더 많은 환자를 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100년을 넘어 계속 기능하고 있던 간의 기증자는 트랜스아미나제(아미노기 전이 효소)의 값이 낮았다고 합니다. 트랜스아미나제는 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간에 장애가 있으면 효소가 혈류로 누출되어 값이 상승하여 간 이식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간 이식을 받은 환자에서도 간 이식 등록환자의 중증도 판정에 사용되는 MELD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연구를 주도한 텍사스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의 학생인 Yash Kadakia 씨는 “간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탄력 있는 기관”이라며 기증자와 환자 모두가 가진 요인과 의료기술의 진보 등이 조합된 결과로 이식한 간이 100년을 넘어도 계속 기능하고 있다는 견해를 보였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NASA Hubble Space Telescope 출처:https://www.flickr.com/photos/nasahubble/


매우 고밀도이면서 강력한 중력에 의해 빛조차 삼켜 버리는 블랙홀은 지구가 속하는 우리은하에만 약 1억 개 있다고 추정됩니다. 새롭게 미 국립과학재단(NSF)의 국립광적외선 천문학연구소(NOIRLab)가 관리하는 하와이의 제미니천문대(Gemini Observatory)가 지구에 가장 가까운 블랙홀을 불과 1600광년 떨어진 장소에서 발견했습니다.

Sun-like star orbiting a black hole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Oxford Academic
https://doi.org/10.1093/mnras/stac3140

Sun-like star orbiting a black hole

Abstract. We report discovery of a bright, nearby ($G = 13.8;\, \, d = 480\, \rm pc$) Sun-like star orbiting a dark object. We identified the system as a black

academic.oup.com


Astronomers Discover Closest Black Hole to Earth | NOIRLab
https://noirlab.edu/public/news/noirlab2227/

Astronomers Discover Closest Black Hole to Earth - Gemini North telescope on Hawai‘i reveals first dormant, stellar-mass black

Astronomers using the International Gemini Observatory, operated by NSF’s NOIRLab, have discovered the closest-known black hole to Earth. This is the first unambiguous detection of a dormant stellar-mass black hole in the Milky Way. Its close proximity t

www.noirlab.edu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은 '가이아 BH1(Gaia BH1)'라고 명명되었으며 태양의 약 10배의 질량에 겉보기 위치는 뱀주인자리 근처에 있습니다. 가이아 BH1은 지구로부터 약 16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금까지 지구에 가장 가깝다고 알려진 외뿔소자리 X-1의 약 4700광년과 비교해 3분의 1 정도인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활발하게 활동하는 블랙홀은 인근 항성의 물질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켜 강력한 엑스레이와 제트를 방출합니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가이아 BH1은 주변에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존재하지 않는 휴면상태의 블랙홀입니다. 가이아 BH1과 같은 휴면상태의 블랙홀은 X선 등을 방출하지 않고 있어서 관측이 어렵습니다.


가이아 BH1 관측에 성공한 하버드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천체물리학자인 Kareem El-Badry 씨의 연구팀은 우선 유럽우주기관(ESA)의 가이아 탐사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연성에 블랙홀이 존재할 가능성을 특정했습니다. 분석한 데이터에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천체의 중력으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보이는 항성의 불규칙한 움직임이 포착되었다고 합니다.

이어 연구팀은 지구가 태양을 주회하는 것과 거의 같은 거리에서 블랙홀이라고 생각되는 천체를 주회하는 항성의 궤도를 제미니천문대에 탑재된 다천체 분광기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관측했습니다. 그 결과 이 연성의 중심에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천체가 태양의 약 10배의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가이아 BH1의 근원이 된 항성은 적어도 태양의 20배의 질량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수명은 불과 수백만 년이었다고 추정됩니다. 이 연성이 동시에 형성되면 한 별이 팽창하여 다른 별을 삼켜 버릴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기존 모델로는 연성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이번 발견은 연성계에서 블랙홀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이해에 빈틈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성계 안에 미지의 휴면 블랙홀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El-Badry 씨는 “이 연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그리고 이런 휴면상태인 블랙홀이 우주에 얼마나 존재하는지 우리에게 많은 의문을 던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단맛을 느끼게 하는 인공 감미료에는 아세설팜칼륨(아세설팜K)과 사카린, 수크랄로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시험에서 일부 인공 감미료가 장내 세균총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시사되었습니다.

Personalized microbiome-driven effects of non-nutritive sweeteners on human glucose tolerance - ScienceDirect
https://doi.org/10.1016/j.cell.2022.07.016

Sugar Substitutes Surprise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org/content/blog-post/sugar-substitutes-surprise

Sugar Substitutes Surprise

www.science.org


유기화학자인 Derek Row 씨는 일부 지역에서 규제되는 사카린과 Cyclamate, 대사되지 않는 수크랄로스와 같은 인공 감미료는 모두 안전성에 대해 의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cyclamate 등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발암성이 지적되어 각국이 사용금지를 발표했습니다. 나중에 이 실험은 재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계속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Row 씨는 “아스파탐이나 수크랄로스 등이 암, 간부전, 간질, 자폐증 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나쁜 것의 유행을 일으키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이러한 주장에는 실제 증거가 없고 반대 증거도 많이 있다”고 말하면서도 2022년 9월에 발표된 한 연구를 소개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의 죠셈 수에즈 씨가 실시한 연구에서는 120명의 피실험자를 그룹으로 나누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사카린 또는 스테비아라는 인공 감미료에 포도당을 섞은 것을 제공해 이 그룹과 '포도당만을 제공받은 그룹', '감미료를 전혀 제공받지 않은 그룹'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물질을 14일간 지속적으로 섭취시킨 조사의 결과에서 감미료를 제공받은 그룹은 장내 세균총에 유의한 변화가 보였고 사카린을 제공받은 그룹과 수크랄로스를 제공받은 그룹에서 보였던 혈당치 반응과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


인공 감미료가 장내 세균총을 변화시킨다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Row 씨는 “감미료는 4종류 모두 장내 세균총을 현저하게 변화시켰고 그 영향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웠습니다. 이 연구는 일반적으로 섭취되는 감미료가 인간에서 생리적 불활성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대기 중의 열을 가두는 온실가스로서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강력한 메탄이 지구 상의 어디에서 대량으로 방출되고 있는지를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기후조사로 메탄의 배출장소를 특정했다고 NASA가 발표했습니다. NASA는 검출된 50개 이상의 메탄 배출영역을 'Super-Emitters''라고 부르며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열쇠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Methane ‘Super-Emitters’ Mapped by NASA’s New Earth Space Mission | NASA
https://www.nasa.gov/feature/jpl/methane-super-emitters-mapped-by-nasa-s-new-earth-space-mission

Methane ‘Super-Emitters’ Mapped by NASA’s New Earth Space Mission

Built to help scientists understand how dust affects climate, the Earth Surface Mineral Dust Source Investigation can also pinpoint emissions of the potent greenhouse gas.

www.nasa.gov


Methane 'super-emitters' on Earth spotted by space station experiment | Space
https://www.space.com/emit-instrument-international-space-station-methane-super-emitters

NASA Finds More Than 50 Super-Emitters of Methane | Smart News|
Smithsonian Magazine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nasa-finds-more-than-50-super-emitters-of-methane-180981045/

NASA의 지표광물분진원조사(EMIT)는 공기 중에 포함된 광물의 분진을 위성으로 검출해 분진이 인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EMIT에는 광물의 분진뿐만 아니라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존재를 검출하는 기능이 있음이 입증되어 지구 상의 어디에서 메탄이 대량으로 방출되고 있는지 매핑할 수 있었다고 NASA가 2022년 10월 26일에 발표했습니다.


화석연료, 산업폐기물, 농업부문에서 메탄을 대량으로 방출하는 시설 및 장비 및 기타 인프라 전반을 NASA는 'Super-Emitters'라고 부릅니다. EMIT가 2022년 7월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된 이후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Super-Emitters는 중앙아시아, 중동 및 미국 남서부 등에서 총 50개가 넘게 확인했습니다. 다음 이미지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카스피해 연안부에서 검출된 메탄을 농도에 따라 보라색이나 노란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넓은 것은 32㎞ 이상 퍼져 있다고 합니다.


메탄은 방출 후 20년간 대기 중의 열을 가두는 효과가 이산화탄소에 비해 1톤당 80배나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편 이산화탄소는 수세기에 걸쳐 대기에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메탄은 약 10년간 존속할 뿐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즉 메탄의 배출량을 줄이면 대기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으로 보이기 쉽고 온난화의 진행을 명확하게 억제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책임자인 빌 넬슨 씨는 “메탄의 배출량을 억제하는 것은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열쇠입니다. 더욱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신속하게 제공한다”고 말합니다. 또한 NASA에서 무인탐사기 등의 연구개발을 하는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연구자인 앤드류 소프 씨는 기자회견에서 "온실가스를 매핑한다는 성과는 EMIT 잠재력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메탄 배출원을 파악함으로써 인간활동으로 인한 배출을 줄일 수 있는 EMIT의 가능성에 우리는 흥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EMIT는 우주정거장의 전망이 좋은 장소에서 광범위한 범위를 반복적으로 관찰하여 수백 개의 Super-Emitters를 식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MIT의 선임연구원인 로버트 그린 씨는 “조사를 계속하면서 EMIT는 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원으로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곳을 관찰해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배출원을 발견할 것”이라고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2년 2월에 시작된 러시아에 의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침공은 반년 이상이 경과한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동부와 남부의 일부 지역은 러시아에 의한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러시아의 점령 지역에서 IP주소가 전리품으로서 빼앗기고 있다고 합니다.

RIPE meetings: IP addresses as spoils of war – TechAint
https://techaint.com/2022/10/30/ripe-meetings-ip-addresses-as-spoils-of-war/

RIPE meetings: IP addresses as spoils of war

The war in Ukraine also affects the Internet administration. IP address managers report problems and fear that addresses will become spoils of war. The war in Ukraine and Western sanctions against …

techaint.com


IP주소 및 자율시스템 관리 및 배포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포럼 European IP Networks(RIPE)의 제85회 회의가 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 회원들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의 점령지역에서 IP주소의 몰수를 막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법무부의 고문인 변호사인 Andrii Pylypenko 씨는 우크라이나의 IP주소를 러시아의 웹사이트로 이전하는 것은 불법이며 러시아 소유자에게 IP주소 이전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Pylypenko 씨의 주장은 우크라이나의 기업이나 대표자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며 IT기업 Web Pro에 소속 중인 Olena Kushnir 씨는 총으로 위협해 IP주소를 강제 이전시킨 사례를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통신협회의 Victoria Opanasiuk 씨는 러시아의 IP주소 강제 이전이 중요한 문제이므로 더 이상 시간을 지체되어서는 안된다고 호소했습니다.


Pylypenko 씨는 가능한 한 최선의 보호조치는 우크라이나의 IP주소와 자율시스템의 이전을 즉시 동결하는 것이라며 유럽, 중동 및 중앙아시아를 관할하는 지역 인터넷 레지스트리인 지역 인터넷 레지스트리 RIPE NCC가 우크라이나 당국과 협력하여 RIPE NCC가 법적 위험을 감수할 가능성을 줄이면서 우크라이나의 IT기업을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에 RIPE NCC의 법무고문인 Athina Fragkouli 씨는 모든 IP주소 이전을 동결함으로써 합법적인 이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또한 자치적인 조직인 RIPE NCC의 대처에 우크라이나 당국이 관여하는 점도 문제가 있다는 것. Fragkouli 씨는 “우리 자신의 약정을 위반하지 않도록 회원이 승인한 대응정책을 채택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정책을 채택하는 데는 몇 개월이 걸릴 전망이며 긴급 해결책이 필요한 우크라이나에게는 너무 느리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인 동결조치는 '계약상의 합의'로 간주하여 새로운 정책이 아니라는 회피책이나 국가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나중에 IP주소의 양도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면책사항 추가 등 정책변경 이외의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emini North Infrared View of Jupiter. source:https://noirlab.edu/public/images/noirlab2116a/


목성 주변의 우주공간은 강한 목성의 자기장으로 채워져 태양계 내 최대의 입자가속기가 되었다. 그 입자들이 어떻게 높은 에너지를 획득하고 있는지,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에 둘러싸인 영역(목성 내부 자기권)에 있어서 고온의 전자가 목성을 향해 흐르고 있다는 증거를 '히사키'의 관측에 의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전통적인 학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이다.

목성은 지구의 1000배 이상의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 자기력선은 목성 주변의 우주공간을 채우고 목성 자기권을 형성하고 있다. 그 목성 자기권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목성 본체에 가까운 내부 자기권에는 방사선 대역이라는 고에너지 전자가 차인 영역이 있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의 전자가속의 메커니즘은 통일적으로 이해되지 않았고 태양계 플라즈마 물리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이 문제에 대한 유력한 학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성 자기권의 외부 영역에는 고온 전자가 있다. 이러한 전자가 자기장의 약한 외부 영역에서 자기장의 강한 내부 영역으로 이동하면 특정 전자기파가 여기된다. 이 웨이브는 공명과정을 통해 전자를 더욱 가속하고 방사선 대전자의 에너지에 도달한다. 이 과정이 정상적으로 계속됨으로써 목성 방사선대가 성립·유지된다는 것이다.

Credit: rawpixel.com Source:https://www.ncsa.illinois.edu/from-planets-to-galaxies-and-gravitational-waves/


여기서 열쇠가 되는 것이 전자기파를 여기시키는 전자가 충분히 있는지 즉 자기장의 약한 영역으로부터 강한 영역으로 고온 전자가 효율적으로 수송되느냐는 것이다. 자기장은 장벽처럼 행동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장이 강한 영역으로 전자를 운반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이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는 목성 자기권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전자를 관측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목성 자기권의 전자의 측정에는 그 곳에 탐사기를 보내고 직접 관측하는 수단도 있다. 이것은 탐사기 위치에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어느 공간 범위에서의 운송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싶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도 있다. 고온 전자의 대국적인 양상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원격관측이 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고온 전자를 직접 원격촬영할 수는 없다. 따라서 원격관측에서 간접적으로 전자밀도와 온도를 도출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히사키에는 내부 자기권에 존재하는 '이오플라즈마 토러스'를 스크린으로서 이용했다. 목성 위성 중 하나인 이오는 목성 중심에서 약 6목성 반경만큼 떨어진 궤도 위를 돌고 있다. 이오에는 활화산이 있으며 가스를 우주공간으로 방출하고 있다. 화산가스는 우주공간에서 이온화되어 목성의 자기장에 포착되어 이오의 궤도를 따라 도넛 모양으로 분포한다(이오플라즈마 토러스). 이 토러스를 구성하는 이온(황, 산소 등)은 주위의 고온 전자와의 충돌여기로 인해 복수의 휘선으로 발광한다. 이러한 휘선의 모습을 조사함으로써 여기원인 고온 전자의 온도와 밀도를 알 수 있다. 이 분석방법은 스펙트럼 진단이라고 불리며 원격관측에서 대국적인 전자온도와 밀도를 도출하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Jupiter Moon Transit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Jupiter_Moon_Transit.jpg


이오플라즈마 토러스가 발하는 휘선의 대부분은 극단자외선(Extreme ultraviolet: EUV) 파장영역에 있다. 엡실론 로켓시험기에 의해 발사된 히사키에는 EUV 파장영역의 관측에서 고파장, 공간분해능, 고검출 효율을 실현해 한층 더 행성 전용의 우주망원경으로서 지속적으로 행성관측을 계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오플라즈마 토러스에 관해서도 지금까지 없었던 고정밀도의 스펙트럼 진단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히사키가 취득한 목성 자기권의 EUV 데이터에 대해서 스펙트럼 진단을 적용했다. 그 결과 이오플라즈마 토러스에는 외부 자기권 기원의 고온 전자가 수 %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그 공간분포로부터 자기권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고효율로 전자의 수송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목성 방사선대의 형성·유지에 필요한 고온 전자 수송의 증거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파악했다는 것이다.

이 운송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이번 관측은 이오플라즈마 토러스를 스크린으로서 활용했다. 그렇게 얻은 결과로부터 이오플라즈마 토러스가 있기 때문에 고효율의 수송이 구동되었고 그것이 목성을 태양계 최강의 입자가속기로 만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太陽系最大の粒子加速器(木星磁気圏)を解剖する
https://www.jaxa.jp/press/2014/09/20140926_hisaki_j.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행동에는 각각 개성이 존재하고 있는데 언제부터 행동의 개성이 발생해 발달해 나가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어의 행동을 출생 직후부터 추적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 행동의 개성은 '생후 1일째'부터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dividuality in clonal fish | Nature Communications
https://doi.org/10.1038/s41467-022-34113-y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dividuality in clonal fish - Nature Communications

You’re unique just like everyone else. But when does such individuality appear? Laskowski et al. find that clonal fish show unique behavioral patterns on their first day of life, and these patterns predict their behavior up to at least 10 weeks later.

www.nature.com


일반적으로 행동의 개성은 유전자나 사회적 환경과 같은 조건의 차이에 근거해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성생식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Amazon molly를 이용한 2017년의 연구에서는 유전자가 같은 개체를 고도로 표준화한 환경에서 사육했음에도 불구하고 생후 7주째에 행동의 개성이 확인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다음은 개성이 나타나는 3개의 패턴을 간단한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왼쪽이 '출생 시점에서 개성이 존재하는 패턴', 중간이 '출생 후 서서히 개성이 나타나는 패턴', 오른쪽이 '특정 시점에서 갑자기 개성이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거기서 라이프니츠 담수생태학·내수면 어업연구소의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Amazon molly를 출생 직후부터 동일 환경에 분리해 고성능의 추적시스템을 이용해 행동을 추적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실험에서는 같은 유전자를 가진 출생 직후의 물고기를 빛이나 온도 조건, 음식, 사회적 밀도 등의 환경을 동일하게 갖춘 수조에 수용했습니다. 그리고 싱글보드 컴퓨터의 Raspberry Pi와 카메라를 사용하여 구축한 자동기록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용 직후부터 생후 10주째까지 물고기 사진을 정기적으로 촬영했습니다.

Amazon molly


사진촬영은 물고기가 행동하고 있는 1일 11시간에 3초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일일 촬영 매수는 1만 3200장에 달하고 실험 기간 중에 촬영된 총 매수는 1마리당 90만 장을 넘었다고 합니다. 이미지 데이터는 하루마다 타임랩스 동영상화되어 커스텀 추적 소프트웨어로 수조 내의 위치좌표를 추출해 유영속도의 중앙값이나 활동경향이라는 행동의 개성을 추적했다고 합니다.

실험결과 Amazon molly의 행동적 개성은 생후 1일째부터 일관되게 존재했고 개성의 차이는 모체나 몸의 크기 등에 의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 생후 10주째에 걸쳐서 점차 개성이 강화되어 갔을 무렵 발달 초기의 개성은 발달 후기의 개성과 유의하고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보았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데이터로부터 추측된 특정 개체의 유영속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출생 직후부터 수영이 빨라진 개체는 그 후의 단계에서 더욱 유영속도가 빨라지는 반먼 느렸던 개체는 그 후도 느려 발달 초기의 개성이 그 후에도 유지, 강화되는 경향이 보여집니다.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에서 출생 직후부터 개성의 차이가 생기는 점에 대해 연구팀은 '어머니의 DNA 메틸화나 호르몬과 같은 모체내 환경의 차이'라는 가설이나 '분자적·신경학적·생리학적 마커의 확률적 변동의 결과”라는 가설을 꼽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한 개체 차이는 환경에 대한 종으로서의 적응성을 증가시켜 유전적으로 동일한 Amazon molly의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

연구팀은 “행동적 개성은 동물집단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우리의 연구는 유전적, 환경적 차이가 없을 때 이러한 개체간 차이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달하는지에 대한 귀무모델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개성은 유전자나 경험의 차이, 특정 생태학적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우리의 연구는 출생 전의 보다 미묘한 과정이 행동적 개성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개체는 태어나면서 독특하지만 평생에 걸친 행동의 변화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에는 일과 사생활의 양립을 추구하는 '워크라이프 밸런스'를 중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일은 일절 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영국의 드몽포트 대학에서 심리학 상급강사인 Lis Ku 씨는 많은 사람은 전혀 노동을 하지 않는 것보다 어느 정도의 노동을 하는 것이 행복해질 수 있다며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Work-life balance: what really makes us happy might surprise you
https://theconversation.com/work-life-balance-what-really-makes-us-happy-might-surprise-you-168446

Work-life balance: what really makes us happy might surprise you

Tipping the scales away from work may not be the wisest way to recalibrate your work-life balance.

theconversation.com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유행은 노동환경의 큰 변화를 일으켰고 많은 사람이 '자신의 삶에 있어서 일이란 무엇인가?'인지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Great Resignation'이라는 노동자의 대량 이직이 사회문제가 되는 등 인생에서 일의 비중을 줄이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많다고 실감하게 됩니다.

실제로 일하지 않게 된다면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금전적 여유가 생긴 사람이 잠시 후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습니다. 이 점을 고려하면 반드시 일을 하지 않는 것이 인생의 행복하다고 말할 수 없고 단순히 노동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이상적인 워크라이프 밸런스가 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Ku 씨는 완벽한 워크라이프 밸런스는 반드시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하는지가 문제인 것이 아니라 '왜 일하는 것인가'가 문제라며 “일은 일관되게 우리의 행복과 적극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정체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피실험자에게 '실험시작까지 15분간 그 자리에서 기다린다' 혹은 '실험에 참가하기 위해 15분간 다른 회장까지 걷기'라는 두 가지 옵션을 제시한 실험에서는 부득이한 이유나 보상을 제시받은 피실험자 이외의 거의 전원이 보다 편한 '15분간 그 자리에서 기다린다'를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이 실험에서는 15분간 걸어온 피실험자는 15분간 기다렸던 피실험자보다 훨씬 행복했던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즉 해야 할 일이 있어 바쁜 상태는 본인이 편해지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라도 행복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나타낸 것입니다.

일과 노력이 행복에 기여한다는 생각은 'eudaimonic happiness'라는 심리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eudaimonic happiness란 사람들이 역할을 하고 잠재력을 실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행복을 가리키는 말로 일이나 노력과 같은 요소는 eudaimonic happiness의 중심이기 때문에 때로는 가혹한 작업이 만족감과 자부심을 유발한다는 것.


또한 2021년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행복도가 자유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상승세가 있었지만 하루 5시간을 넘으면 저하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일부 사람들이 여가시간 동안 노력과 인내를 필요로 하는 취미에 몰두하거나 이미 본업이 있는데 다른 부업을 시작하거나 어떤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선호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고 Ku 씨는 말합니다.

여러 나라에 거주하는 수만 명을 대상으로 한 2022년 연구에서는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고통받지 않는 쾌락적인 행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약 1/4은 eudaimonic happiness에 근거한 의미있는 생활을 선호했고 약 10~15%의 사람들은 다양한 체험을 추구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u 씨는 행복과 삶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생각하고 어떤 행복을 추구하고 싶은지 아는 것이 최적의 워크라이프 밸런스를 찾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번개가 떨어지면 낙하 지점 주위에 자라는 초목의 끝에서 작은 푸른 불꽃이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이라는 현상이 목격됩니다. 이 코로나 방전이라는 현상으로 인해 대기질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고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기상대기과학부의 연구팀이 보고했습니다.

Prodigious Amounts of Hydrogen Oxide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s on Tree Leaves - Jenkins - 2022 -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 Wiley Online Library
https://doi.org/10.1029/2022JD036761

Plant leaves spark with electricity during thunderstorms — and that could be altering our air quality in unpredictable ways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thunderstorm-leaf-discharges-affect-air-quality

Plant leaves spark with electricity during thunderstorms — and that could be altering our air quality in unpredictable ways

During thunderstorms, leaves from trees and other plants create mini electric discharges that can significantly alter the surrounding air quality. But researchers are unsure if this is beneficial or harmful.

www.livescience.com


번개가 떨어졌을 때 낙하 지점 주변의 전기장이 강하게 진동하면 대기 중 분자는 이온과 전자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이 분리된 이온이나 전자가 다른 원자에 충돌해 연쇄반응적으로 전자와 이온이 늘어나는 현상이 코로나 방전입니다. 악천후시 선박의 돛대와 안테나의 끝이 푸르게 빛나는 '세인트 엘모의 불'이라는 현상의 정체는 이 코로나 방전이라고 합니다.

by Nitromethane link: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Corona_discharge_1.JPG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뇌우의 전기장을 재현한 후 다양한 조건에서 8가지 식물의 방전현상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식물로부터의 코로나 방전은 라디칼을 대량으로 발생시켜 주위의 대기질을 크게 변화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식물로부터의 코로나 방전에서 발생하는 히드록실 라디칼과 히드로퍼옥실 라디칼이라는 두 라디칼은 모두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다양한 화합물을 변질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히드록실 라디칼은 메탄과 같은 온실가스와 반응하므로 메탄 제거에 도움이 되지만 산소와 반응하면 오존이 발생하지만 이 오존은 인간에게 유독합니다. 이와 같이 방전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라디칼로 대기의 성분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2021년 8월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대기 중에 약간 존재하는 히드록실 라디칼의 약 6분의 1이 뇌우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낙뢰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 존재하는 방대한 수의 나무를 고려하면 식물에서 발생하는 코로나는 하나하나가 작아도 전체적으로는 대기질에 예측 불가능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대기 중의 히드록실 라디칼의 일부는 식물에서 발생한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논문의 필두저자인 제나 젠킨스 씨는 “세계 전체에서 상시 1800회의 뇌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뇌우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는 약 2조 그루의 나무가 자랍니다. 히드록실 라디칼은 대기에 가장 중요한 연마제로 이 물질이 어디에서 만들어지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대기 중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실험 중에 식물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했을 때 자외선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독일에 본사를 둔 과학자로 구성된 팀이 16세기부터 17세기 오스트리아의 귀족 가정에서 태어난 유아의 미라를 CT 스캔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사인은 '햇빛 부족으로 인한 비타민 D 결핍증'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Frontiers | Adipositas and metabolic bone disorder in a 16th century Upper Austrian infant crypt mummy—An interdisciplinary palaeopathological insight into historical aristocratic life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med.2022.979670/full

Adipositas and metabolic bone disorder in a 16th century Upper Austrian infant crypt mummy—An interdisciplinary palaeopatholog

We describe here the results of a multidisciplinary study on an infant mummy from 16th century Upper Austria buried in the crypt of the family of the Counts of Starhemberg. The macroscopic-anthropological, radiological (whole-body CT scan), histological (s

www.frontiersin.org


‘Virtual autopsy’ identifies a 17th century mummified toddler hidden from the sun - Science & research news | Frontiers
https://blog.frontiersin.org/2022/10/26/virtual-autopsy-identifies-a-17th-century-mummified-toddler-hidden-from-the-sun/

‘Virtual autopsy’ identifies a 17th century mummified toddler hidden from the sun - Science & research news | Frontiers

by Angharad Brewer Gillham, Frontiers science writer Scientists used a ‘virtual autopsy’ to examine the mummy of a child found in an aristocratic family crypt, revealing him most probably as Reichard Wilhelm (1625-1626). Despite his wealthy background,

blog.frontiersin.org


Mummified Baby From Centuries Ago May Have Died From Lack of Sunlight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mummified-baby-from-centuries-ago-may-have-died-from-lack-of-sunlight

Mummified Baby From Centuries Ago May Have Died From Lack of Sunlight

For centuries, the crypt of one of the oldest aristocratic families in Austria has preserved a tragic secret.

www.sciencealert.com


이번 CT 스캔에 의한 조사가 진행된 미라는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귀족 중 하나인 슈타르켄베르크 백작가의 장남으로 보이는 유아의 미라입니다. 이 미라는 슈타르켄베르크 백작가의 지하실에서 발견되었는데 실크코트로 덮여있던 것 외에 목조 관에는 유아의 이름이나 기타 정보가 새겨지지 않았습니다.

조사는 뮌헨의 보겐하우젠 병원의 병리학자인 안드레아스 넬리히 연구팀 주도로 이루어졌습니다. 넬리히 씨는 CT 스캔이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등을 실시해 이 미라의 사인과 사망한 시대를 밝혀냈습니다.

CT 스캔으로 촬영한 유아 미라의 이미지.


연구팀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CT스캔의 결과로부터 이 미라는 생후 10~ 18개월 사이에 사망했고 1550~1635년 사이에 매장된 남아라고 확인했습니다.


이 유아의 갈비뼈에 기형이 발견되었는데 이 기형은 'rachitic 묵주'라고 불리며 비타민 D의 결핍으로 인한 '구루병'의 증상 중 하나로 이 유아도 '구루병'이었다고 생각됩니다.


연구팀은 이 뼈의 이상이 비타민 C 결핍증에 의한 괴혈병으로 인한 가능성도 검토했지만 신체의 연조직은 이 남아가 비만이었다는 것을 나타내 식단에서 얻은 비타민 C의 양은 충분했다고 추측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연구팀은 이 유아가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해 뼈 이상이나 폐렴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습니다.

이 유아가 비만임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D가 결핍된 이유로 넬리히 씨는 "비만과 심한 비타민 결핍증의 조합은 일반적으로 좋은 영양상태와 햇빛 노출의 거의 완벽한 결핍에 의해서만 설명할 수 있다"며 유아는 비타민 D의 생성에 필요한 햇빛에 맞지 않았기 때문에 비타민 D 결핍증이 되어 버렸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이 유아는 폐렴의 징후가 있었습니다. 비타민 D의 결핍은 폐렴을 중증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결과로 사망으로 이어졌다는 겁니다.


이 유아가 햇빛 부족으로 인한 비타민 D 부족이 된 요인으로 넬리히 씨는 “16세기부터 17세기 귀족계급의 사람들은 햇빛에 닿는 것, 특히 햇볕을 피하고 있었습니다. 귀족은 하얗고 얇은 피부를 하고 있었고 슈타르켄베르크 백작의 유아도 마찬가지로 피부에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아 비타민 D가 결핍하게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DariuszSankowski link:https://pixabay.com/ja/photos/%e3%82%ab%e3%83%a1%e3%83%a9-%e5%86%99%e7%9c%9f-%e3%81%8a%e5%9c%9f%e7%94%a3-%e5%86%99%e7%9c%9f%e6%92%ae%e5%bd%b1-1130731/


중요한 것이 좀처럼 기억나지 않거나 자신의 기억과 주위 사람의 기억이 다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많습니다. 인간의 기억이 변질되어 버리는 문제나 자백을 범죄수사에 채용하는 것의 적절성에 대해서 더블린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의 신경학자인 셰인 오마라 씨가 설명했습니다. Sins of

Sins of Memory - Brain Pizza by Shane O'Mara
https://brainpizza.substack.com/p/sins-of-memory

'기억의 7가지 죄'란 표현은 심리학자인 다니엘 셔터 씨의 저서 'The Seven Sins of Memory'가 유래로 셔터 씨가 저서에서 제창한 분류법을 바탕으로 오마라 씨는 기억에 관한 문제를 7가지로 정리했습니다.

◆1:Transience(일과성)

'일과성'이란 기억이 희미해져 버린다는 것. 예를 들면 7세 때의 반 친구의 이름을 전부 기억하기는 어렵듯이 기억은 시간과 함께 흐려집니다.

by jarmoluk link:https://pixabay.com/ja/photos/%e5%86%99%e7%9c%9f-%e6%89%8b-%e6%89%80%e6%9c%89-%e5%b9%b4-%e5%8f%a4%e3%81%84%e5%86%99%e7%9c%9f-256887/


◆2:Blocking(블로킹)

'블로킹'은 어느 기억이 다른 기억과 간섭할 때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웃의 가게 등에서 자주 만나 교류하던 사람과 생각할 수 없는 곳에서 딱 재회했을 때 그 사람의 이름이 순간적으로 떠오르지 않는 케이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심리학 용어로 'lethologica'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3:Absent-mindedness(방심상태)

'방심상태'는 주의력의 부족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즉 주의해야 할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기억이 부호화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4:Misattribution(오귀속)

'오귀속'은 기억 자체는 올바르지만 그 기억의 귀속이 잘못되어 있는 것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흔들다리를 여성과 건넜을 때 두근두근한 경험이 여성의 매력과 연결되어 버린다는 흔들다리 이론도 오귀속의 하나입니다 .

◆5:Suggestibility(피암시성)

'피암시성'이란 새로운 정보의 제공이나 유도심문에 의해 기억이 왜곡되어 버리는 것.

◆6:Bias(바이어스)

'바이어스'란 그 사람의 감정이나 기분 등의 요소가 기억을 최초로 획득했을 때 또는 기억할 때에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가리킵니다.

◆7:Persistence(지속성)

'지속성'이란 유해한 기억이 지속적으로 의식에 들어오는 것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서는 외상(심적 외상)이 된 사건의 소리나 영상이 되살아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이 7가지 중 오마라 씨가 특히 문제시하고 있는 것이 '피암시성'입니다. 미국의 과학적 심리학회가 간행하는 과학지 'Psychological Science'에서 2015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3회의 면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참가자의 70%에게 젊은 무렵에 형사사건을 일으켰다는 완전히 가짜 기억을 심을 수 있었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오마라 씨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백은 매우 의심스럽고 오염되기 쉬운 흔적증거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비영리 활동기관 '이노센스 프로젝트'가 사법에 DNA 감정을 실현했을 때 많은 거짓 자백이나 유죄판결이 뒤집힌 것도 신기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확신을 가지고 떠올린 기억이 실제로 일어난 일과는 전혀 무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지고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며 양성자는 '쿼크'라고 불리는 입자 3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자역학적인 존재이며 어떤 모습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양성자에 관한 수백 개의 실험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함으로써 양성자의 비밀을 밝히려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Inside the Proton, the ‘Most Complicated Thing’ Imaginable | Quanta Magazine
https://www.quantamagazine.org/inside-the-proton-the-most-complicated-thing-imaginable-20221019/

Inside the Proton, the ‘Most Complicated Thing’ Imaginable

The positively charged particle at the heart of the atom is an object of unspeakable complexity, one that changes its appearance depending on how it is probed. We’ve attempted to connect the proton’s many faces to form the most complete picture yet.

www.quantamagazine.org


1967년 스탠포드선형가속기센터가 “양성자에 전자를 충돌시키면 튀어나오는 모습이 바뀐다”는 점을 관찰해 양성자는 많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후 몇 번이나 같은 실험이 실시되어 튀어나오는 모습이나 산란된 입자를 회수하는 식으로 양성자의 내부를 다양한 각도로부터 추측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더욱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와 고에너지의 충돌형 가속기를 사용하면서 쿼크의 존재가 나타났습니다.


양성자는 1개의 업쿼크와 2개의 다운쿼크로 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쿼크의 모델을 움직여 양성자의 형태를 추측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습니다.

양성자를 구성하는 쿼크를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것
https://d2r55xnwy6nx47.cloudfront.net/uploads/2022/10/Proton2_step3.mp4

하드론전자환가속기(HERA)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실험에서는 전자가 운동량이 작은 쿼크와 그 반물질인 반쿼크의 소용돌이에서 튕겨졌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쿼크와 그 반물질인 반쿼크의 소용돌이를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것
https://d2r55xnwy6nx47.cloudfront.net/uploads/2022/10/proton2_step2-longer.mp4

이 결과로 쿼크는 글루온이라는 '힘을 전달하는 입자'에 의해 묶여 있다고 설명되고 각각의 쿼크와 글루온에는 빨강, 녹색, 파랑이라는 3종류의 색전하(Color charge)가 있어 이러한 색을 띤 입자가 자연스럽게 모여 양성자 등의 그룹을 형성하고 중성의 흰색이 된다는 이론이 형성되어 '양자색역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검출이 곤란해질 수 있는 쿼크의 존재나 계산의 복잡성 탓에 양성자의 실태는 미해명인 상태입니다. 차세대 실험에서는 2030년대에 전자·이온충돌형가속기를 기동해 HERA가 남겨둔 과제를 계승해 최초로 양성자의 3D 복원도를 작성하기 위한 고해상도 스냅샷을 찍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현대인들이 당뇨병이나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등 자가면역질환에 걸리기 쉬운 이유는 14세기에 맹위를 떨친 '흑사병'의 영향이라는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Evolution of immune genes is associated with the Black Death | Nature
https://doi.org/10.1038/s41586-022-05349-x

Black Death shaped evolution of immunity genes, setting course for how we respond to disease today – Brighter World
https://brighterworld.mcmaster.ca/articles/black-death-immunity-genes/

Diabetes, arthritis, and multiple sclerosis trace their roots back to the Black Death - Study Finds
https://studyfinds.org/autoimmune-disease-black-death/

Diabetes, arthritis, and multiple sclerosis trace their roots back to the Black Death

Researchers say the bubonic plague that ravaged Middle Age Europe fueled genes that make people vulnerable to autoimmune diseases today.

studyfinds.org


Studying the Black Death at McMaster University on Vimeo
https://vimeo.com/761437726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 시카고 대학, 파스퇴르 연구소 등의 연구자로 구성된 팀은 14세기에 대유행한 흑사병의 면역 관련 유전자를 특정했고 한때는 흑사병으로부터 지켜준 유전자가 현대인의 면역질환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연구팀은 흑사병 이전에 사망한 사람, 흑사병으로 사망한 사람, 흑사병을 살아남은 사람의 시신으로부터 DNA 샘플을 추출해 흑사병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흑사병과 관련된 유전적 적응의 징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4개의 유전자가 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단백질의 생산에 관여했고 흑사병로부터 몸을 지키거나 흑사병에 걸리기 쉬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by Matt Clarke/McMaster University


흑사병이 유행한 14세기 당시 유럽에 사는 사람들은 오랫동안 흑사병균에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흑사병에 대한 저항력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 후 몇 번이나 판데믹이 발생하는 가운데 사망률은 점점 내려갔습니다. 여기에 관련된 것이 'ERAP2'라는 유전자로 ERAP2를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해 생존율이 40%~50% 정도 높았습니다.

그러나 ERAP2는 자가면역질환이 되기 쉬운 유전자이어서 ERAP2를 가진 사람들이 흑사병 유행 속에서 많이 살아남았고 현대인들이 자가면역질환이 되기 쉽다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또 ERAP2가 변화한 것은 아니라 흑사병이 유행하고 있던 당시 자가면역 질환의 리스크가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