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3.04.05 심해의 생물이 거대한 이유
  2. 2023.04.05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 현재의 PC에 최적화된 이미지 코덱 'rdopng'
  3. 2023.04.04 140년간 박물관에 전시되었던 광물이 공룡의 알로 판명
  4. 2023.04.04 역사상 가장 깊은 장소에서 살아있는 물고기의 영상촬영에 성공
  5. 2023.04.04 무료 프라이버시 강화 브라우저 'Mullvad Browser'가 등장
  6. 2023.04.03 3개의 상자에서 당첨을 찾는 확률문제 '몬티 홀 문제'를 알기 쉽게 설명
  7. 2023.04.03 스티븐 호킹이 남긴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가 해결될 가능성
  8. 2023.04.01 인체의 발전시스템과 구조
  9. 2023.04.01 정전기 체질은 정말 존재할까?
  10. 2023.03.30 Google이 게재 중단한 쇼핑앱에 'Android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겨냥한 악성코드'가 포함
  11. 2023.03.28 환자의 진단기록을 컴퓨터가 체크하는 시스템으로 보험회사가 보험금 지불을 대량으로 거부
  12. 2023.03.27 행복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웰빙 판데믹'의 악영
  13. 2023.03.25 소립자 'W보손'의 질량이 지금까지의 추측을 웃돌 가능성
  14. 2023.03.23 웹사이트 사용자를 식별하는 '핑거프린트'는 생각보다 더 지독하다
  15. 2023.03.22 브라우저로 AI용 슈퍼컴퓨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DGX Cloud'를 NVIDIA가 발표
  16. 2023.03.21 Google이 동영상의 고밀도 캡션을 고정밀도로 처리하는 'Vid2Seq'를 발표
  17. 2023.03.21 미래가 과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행성'에 주목
  18. 2023.03.20 진화가 역행한 것처럼 보이는 '퇴행진화'
  19. 2023.03.20 Google Pixel의 스크린샷 편집기능에 취약점...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위험도
  20. 2023.03.17 사법시험을 상위 10%로 통과한 GPT-4를 발표
  21. 2023.03.17 Starlink가 전세계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Starlink Roam'을 개시
  22. 2023.03.14 DeFi를 노린 'Flash Loan 공격'으로 해커가 가상화폐 2600억 원 상당을 빼앗는 데 성공
  23. 2023.03.14 지구생명의 기원이 되는 물질을 발견
  24. 2023.03.13 첫 항성간 혜성은 가장 원시적 혜성
  25. 2023.03.13 한눈에 반하는 것은 욕망이 만들어낸 환상인가?
  26. 2023.03.12 수컷의 세포로 만든 난자로 새끼를 낳는 데 성공
  27. 2023.03.12 Galaxy 카메라의 100배 줌 기능인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한 달의 사진은 'AI처리를 거친 위조'
  28. 2023.03.10 5만 년간 영구동토에 잠들었던 고대의 '좀비 바이러스'가 부활
  29. 2023.03.09 공기 중의 수소를 바로 전기로 변환할 수 있는 효소를 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하는 데 성공
  30. 2023.03.09 Meta, 사이버 스쿼팅 혐의로 도메인 등록자 Freenom을 제소 1
by Willian Justen de Vasconcellos source:https://unsplash.com/photos/p6y9AQ1a1m8


일반적인 크기보다 14배나 긴 오징어나 미니밴 크기의 해면동물 등 심해에 서식하는 생물은 흔히 거대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과학계 뉴스미디어 Live Science가 정리했습니다.

Why are there so many giants in the deep sea?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why-deep-sea-animals-are-giants

뉴질랜드 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아남극 해역에 서식하는 거대한 오징어인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뉴질랜드에서 일반적인 오징어인 '화살오징어'의 약 14배의 길이입니다.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대왕오징어와 함께 세계 최대급의 무척추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둘 다 심해에 서식하는 오징어입니다.

source:https://teara.govt.nz/en/diagram/7902/arrow-giant-and-colossal-squid


바다에 존재하는 먹이 대부분은 얕은 해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바다의 최심부는 다른 해역에 비해 자원이 부족합니다. 캘리포니아의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에서 일하는 알리시아 비톤드 씨에 의하면 먹이가 부족한 장소에 서식하는 생물은 몸을 크게 해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비톤드 씨는 “몸이 큰 생물은 먹이를 찾거나 동종생물을 찾기가 쉬워지고 더 빠르고 멀리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더욱 효율적 대사가 되기 때문에 적은 음식으로 장시간 활동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 덕에 얕은 해역에서 죽은 생물의 사체가 심해까지 도착했을 때 몸의 큰 생물은 다른 생물보다 많은 사체를 먹는 것이 가능해져 많은 에너지를 보다 장시간 체내에 축적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심해의 낮은 수온이 생물의 대사를 현저하게 느리게 함으로써 '심해생물의 거대화'를 조장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심해에 서식하는 그린란드상어는 1년에 1cm밖에 성장하지 않고 약 150년에 걸쳐 성숙하며 체장 24피트(약 7.3미터), 체중 1.5톤까지 성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톤드 씨에 따르면 심해에는 포식자가 없기 때문에 그린란드상어는 매우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 이 그린란드상어와 같이 심해생물에는 성장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케이스가 자주 있다고는 합니다.

by NOAA Ocean Explorer source:https://ja.m.wikipedia.org/wiki/%E3%83%95%E3%82%A1%E3%82%A4%E3%83%AB:Somniosus_microcephalus_okeanos.jpg


저온의 환경에서 생물이 거대하게 성장하는 경우는 심해 이외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남극에서는 거대한 민달팽이나 웜, 바다거미 등이 확인되고 있으며 30피트(약 9.1미터) 정도의 얕은 물에서도 평소보다 거대한 생물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저온환경에서 생물이 거대화하는 현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몬타나 대학의 생체생리학자인 아트 우즈 교수는 “남극대륙에는 거대한 생물이 지표 근처에 서식할 수 있게 하는 뭔가가 있다"며 낮은 온도와 산소공급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미국지질조사소(USGS)에 따르면 심해에서는 산소농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심해에서는 수온이 낮아져 생물의 대사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산소사용률도 낮아진다"고 우즈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즉, 심해에서는 산소농도가 높지만 생물의 산소소비는 느리기 때문에 산소결핍에 시달리지 않고 심해의 생물은 더 크게 몸을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고 우즈 교수는 추정했습니다. 풍부한 산소가 반드시 생물을 크게 성장시킨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크게 성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인 것은 분명하다고 합니다.

source:https://pxhere.com/en/photo/8839


그러나 심해에 서식하는 생물에도 성장의 한계가 보이는데, 2017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북극에 서식하는 바다거미는 길이 12인치(약 30.5cm) 정도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거대한 바다거미는 체내의 산소농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즈 교수는 “북극의 거대 바다거미는 충분한 산소를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크기로까지 성장한 것으로 보여 이미 크기의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고 보인다"고 추정했습니다.

덧붙여 심해의 생물이 거대해지는 이유로 저온의 해수나 먹이의 부족함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생각되기 때문에 체격의 변화에 ​​관한 메카니즘은 생물학적으로 확실한 것은 아무 말도 할 수 없다고 우즈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source:https://pxhere.com/en/photo/764780


PC에서 처리하는 이미지 파일은 다양한 코덱으로 압축된 상태로 저장됩니다. 그러나 Valve나 Microsoft의 직원으로서 일한 경력을 가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Richard Geldreich 씨는 “주류의 코덱은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 현재의 환경에서는 시대에 뒤처진 면도 있다”며 본인이 개발한 코덱 'rdopng'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https://github.com/richgel999/rdopng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github.com


Richard Geldreich's Blog: The Dark Horse of the Image Codec World: Near-Lossless Image Formats Using Ultra-Fast LZ Codecs
http://richg42.blogspot.com/2023/04/a-dead-simple-lossless-or-lossy-lz4.html

The Dark Horse of the Image Codec World: Near-Lossless Image Formats Using Ultra-Fast LZ Codecs

I think simple ultra-high speed lossy (or near-lossless) image codecs, built from the new generation of fast LZ codecs, are going to become ...

richg42.blogspot.com


JPG나 PNG, GIF 등 주류의 이미지형식 대부분은 수십 년 전에 개발된 것이며 각종 이미지의 인코딩이나 디코드를 담당하는 코덱도 개발로부터 수십 년 경과한 것이 주류 코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류 코덱은 컴퓨터의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의 속도나 안정성이 높지 않은 시기에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Geldreich 씨는 “주류 코덱은 스토리지 용량과 네트워크 성능이 발달한 현재 무의미하게 복잡한 압축처리를 실시해 압축풀기 처리에 시간이나 에너지가 낭비에 소비되는 상태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스토리지 용량이나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 현대에서는 압축률이 낮고 고속 처리할 수 있는 코덱이 요구된다고 생각해 고속의 압축 알고리즘으로서 알려진 'LZ4'를 채용한 PNG 이미지용의 코덱 'rdopng'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Geldreich 씨에 따르면 rdopng에 채용한 LZ4에는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실행파일이 비대화되지 않으며 이전부터 개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보안위험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

현시점에서는 rdopng는 불가역압축만 대응하고 있고 앞으로 가역압축에도 대응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Geldreich 씨가 공개한 압축 예시를 보면 불가역압축도 충분히 화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rdopng는 오픈소스로 개발되었으며 아래 링크에서 소스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https://github.com/richgel999/rdopng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 GitHub - richgel999/rdopng: Rate-Distortion Optimized Lossy PNG/QOI Encoding Tool

github.com

Posted by 말총머리
,


인도 중부에서 발견되어 1883년에 런던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광물이 최근 공룡의 알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공룡알을 분석하면 공룡이 둥지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The first known dinosaur egg? A new discovery from the Museum's collection | Natural History Museum
https://www.nhm.ac.uk/discover/titanosaur-dinosaur-egg-agate-museum-discovery.html

The first known dinosaur egg? A new discovery from the Museum's collection

A serendipitous discovery revealed that a beautiful mineral has been hiding a secret for over 170 years.

www.nhm.ac.uk


Centuries-old rock turned out to be ancient dinosaur egg | Miami Herald
https://www.miamiherald.com/news/nation-world/world/article273835070.html

인도 중부에서 채집된 광물표본은 1883년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광물학 컬렉션에 등록되어 지금까지 전시되어 왔습니다. 이 광물은 거의 완전한 구체를 가지고 있으며 직경은 약 15cm로 옅은 분홍색과 흰색 줄무늬를 형성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외형의 아름다움 이외의 중요성은 없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프랑스에서 열린 광물 전시회에서 학예원인 로빈 한센 씨가 런던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된 광물과 비슷한 외형의 공룡알을 본 경험을 떠올리면서 상황이 바뀝니다. 한센 씨에 의하면 그 공룡의 알은 구형으로 껍질이 얇고 중심에 어두운 줄무늬가 있었다고 합니다.

한센 씨는 런던 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한 광물표본을 고생물학자인 폴 바렛 씨와 수잔나 메이드먼트 씨에게 조사를 요청했습니다. 조사결과에서 이 광물표본은 공룡알에 가까운 크기와 모양이었고 줄무늬 주위의 얇은 층은 계란껍질처럼 보였습니다. 또한 이 광물 주위에는 한때 큰 구형의 물체가 2개 모여 있었던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바렛 씨는 CT스캐너를 사용하여 광물에 대한 추가조사를 수행했지만 밀도가 높아 광물의 세부를 관찰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광물표본이 수집된 장소나 크기, 형상, 표면의 특징으로부터 공룡의 알인 것은 거의 확실히 되었습니다. 게다가 이 알은 한때 중국이나 인도, 아르헨티나 등에 서식했던 티타노사우루스의 알의 특징과 일치했습니다.


이 알은 1817년부터 1843년 사이에 인도 중부에서 찰스 프레이저 씨가 발견한 것으로 당시에는 아직 '공룡'이라는 말조차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공룡이 알을 낳는다는 사실은 몽골에서 공룡 둥지가 처음 발견된 1923년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바렛 씨는 "공룡알이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인식되기 전인 80년 전에 수집되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 알을 낳은 티타노사우루스는 체장 37미터, 체중 57톤으로 지구상에 지금까지 존재했던 공룡 가운데 최대급의 육상동물로 알려져 있는데 알의 크기는 직경 약 15cm로 꽤나 작습니다. 바렛 씨는 "티타노사우루스는 육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바다거북이나 악어와 같이 한 번의 산란으로 많은 양의 알을 낳았다고 추정되며 그 수는 약 30~40개로 그 중 몇 개가 성체로 성장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by Garrett Ziegler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garrettziegler/


티타노사우루스가 서식했던 인도 중부는 과거 초대륙에 위치하고 있었고 'Deccan Traps'라는 활발한 화산군이 존재했는데 거대한 몸을 가진 티타노사우루스는 알 위에 앉아 따뜻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따뜻한 땅은 산란 장소로 최적이었다고 합니다.

티타노사우루스가 따뜻한 모래 위에 알을 낳은 직후 근처의 화산이 분화해 용암이 둥지를 덮었고 알은 차가워진 용암 속에 남겨져 내부구조나 배아가 부패했습니다. 그 후 실리카를 많이 포함한 물이 바위나 알의 껍질을 투과하면서 최종적으로는 핑크색의 줄무늬 광물이 되고 6000만 년 후에 인도 중부에서 채굴되어 런던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게 되었다고 보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도쿄해양대학이 동일본 대지진 진원지역을 포함한 일본 주변 심해 관측조사 중 수심 8336m 부근에서 영상에 촬영된 물고기가 '세계 최심부에서 발견된 물고기'로 기네스 세계기록에 인정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日本周辺の超深海調査でギネス世界記録を更新!4/4 に本学で公式認定証授与式を実施いたします
https://www.kaiyodai.ac.jp/upload-file/8ab43ca0cbc3a5800930d499662e295a736e165c.pdf

Scientists break new record after finding world's deepest fish
https://www.uwa.edu.au/news/Article/2023/April/Scientists-break-new-record-after-finding-worlds-deepest-fish

Scientists break new record after finding world's deepest fish

“We have spent over 15 years researching these deep snailfish; there is so much more to them than simply the depth, but the maximum depth they can survive is truly astonishing.” UWA Professor Alan Jamieson

www.uwa.edu.au


이번 조사는 도쿄해양대학 해양환경과학부문의 박사연구원인 기타사토 히로시 씨가 일본측 연구조사 책임자를 맡아 도쿄해양대학・서호주대학・해양연구개발기구・나고야대학・니가타대학・도쿄대학・남덴마크 대학 등으로 구성된 연구그룹이 조사선 Pressure Drop호로 실시한 환태평양 화산대 항해 2022(Ring of Fire 2022)프로젝트입니다.

2022년 9월, 조사선 DSSV Pressure Drop호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장소에 서식하고 있는 물고기의 개체수에 관한 10년간의 연구의 일환으로서 일본 해구,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류큐 해구에서 깊이 8000m・9300m・7300m 영역을 조사했습니다. 이번 기네스 기록에 인정된 물고기의 영상은 이즈·오가사와라 해구의 깊이 8336m 지점에서 촬영된 것으로 Pseudoliparis속의 미지의 종이 헤엄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되었습니다.

서호주 대학이 공개하고 있는 실제 영상을 살펴보면 기네스 세계기록에 인정된 물고기는 영화의 전반부에 등장합니다. 지금까지 살아있는 물고기가 확인된 최심기록은 마리아나 해구의 수심 8178m 지점으로, 이번에는 한층 더 150m 이상 깊은 장소에서 물고기의 영상이 촬영되었습니다.

Finding the world's deepest fish - YouTube
https://www.youtube.com/shorts/TktdNurphxA


수심 8000m 이상이라는 깊이에는 많은 생선이 서식하고 있고 나름 활기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사상 가장 깊은 장소에서 발견된 물고기는 작은 유체였다고 합니다. 통상 심해어의 유체는 성체보다 얕은 곳에 서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Pseudoliparis속은 반대로 유체가 성체보다 깊은 곳에 서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촬영으로부터 며칠 후 일본 해구의 수심 8022m 지점에서 두 마리의 스네일 피쉬(Pseudoliparis belyaevi )가 포획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살아있는 물고기의 포획에 성공한 최심부는 수심 7703m로, 이 스네일 피쉬 2마리는 8000m를 넘는 깊이에서 포획된 최초의 물고기가 됩니다.

서호주 대학의 교수이자 원정대의 주임 과학자이기도 한 앨런 제이미슨 씨는 “나에게 있어서의 진정한 수확은 물고기가 수심 8336m 지점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즈·오가사와라 해구의 환경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이 해구가 가장 깊은 물고기가 있는 장소라고 예측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이번의 탐험 이전에는 그 누구도 이 해구 전체에서 물고기를 본 적도 포획한 적도 없었다”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스웨덴의 VPN 서비스인 Mullvad와 익명 통신 프로토콜 'Tor'를 다루는 Tor Project가 2023년 4월 3일에 'Mullvad Browser'의 출시를 공동 발표했습니다. Mullvad와 Tor Project는 'Mullvad Browser'를 사용하면 핑거 프린트 등의 개인정보 수집으로 인한 추적이 어려워져 브라우징 프라이버시를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Free the internet from mass surveillance. With the Mullvad Browser.
https://mullvad.net/en/browser

Free the internet from mass surveillance. With the Mullvad Browser.

The Mullvad Browser is a privacy-focused web browser developed in collaboration between Mullvad VPN and the Tor Project. It’s produced to minimize tracking and fingerprinting. You could say it’s a Tor Browser to use without the Tor Network.

mullvad.net


We've Teamed Up With Mullvad VPN to Launch the Mullvad Browser | The Tor Project
https://blog.torproject.org/releasing-mullvad-browser/

Windows, macOS 및 Linux 버전이 있으며 Firefox용 브라우저 확장기능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광고차단 확장프로그램인 'uBlock Origin'이 설치되어 있고 Mullvad VPN에 연결할 때 사용할 확장기능인 Mullvad Browser Extension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Mullvad Browser는 Mullvad VPN 없이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or Browser'와 마찬가지로 'New Identity' 버튼이 있어 쿠키나 인터넷 사용기록 등의 정보를 재설정하여 사용자 추적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기본 검색엔진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검색엔진 'DuckDuckGo'입니다.


Tor Project는 Mullvad Browser의 개발목표는 Tor Browser의 개인정보 보호를 Tor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핑거 프린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hide-in-the-crowd(인파에 숨기)' 접근법을 통해 익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비공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어 타사의 추적기와 쿠키도 차단됩니다.

Tor Project의 이그제큐티브 디렉터인 이사벨라 페르난데스 씨는 “Mullvad와 함께 이 브라우저를 개발한 것은 일상적인 브라우징에서의 프라이버시 옵션을 충실히 해 사람들의 행동데이터를 악용하는 오늘날의 비즈니스 모델에 도전하기 위해서로, 우리의 협력이 변화를 촉진해 '디지털의 권리는 인권'이라는 의식을 높이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몬티 홀 문제(Monty Hall problem)'는 결과에 대해 설명을 들어도 납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확률문제인데, 이에 엔지니어 미카엘 파슈키에비치 씨가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데모를 공개했습니다.

Monty Hall explained
https://www.michalpaszkiewicz.co.uk/blog/montyhallexplained/index.html

몬티 홀 문제는 수학이 상식과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좋은 예로, 1975년 스티브 셀빈이 미국 통계학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제시한 것이 처음입니다. 이 문제를 미국의 TV 프로그램 'Let's Make a Deal'이 다루면서 사회자인 몬티 홀의 이름을 따 몬티 홀 문제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by Karen Uppal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MeUflH3DoMU


몬티 홀 문제가 다음과 같습니다.


A・B・C라는 라벨이 붙은 3개의 상자가 자리에 준비되어 있고 문제에 도전하는 사람은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합니다. 덧붙여 3개의 상자 중 하나는 당첨이고 나머지 2개는 당첨실패입니다. 어떤 상자가 당첨인지 알고 있는 출제자는 결과를 공개합니다.


다음 도전자는 나머지 상자 중에서 선택합니다. 이때 도전자는 먼저 선택한 상자를 선택해도 좋고 다른 상자로 바꾸어도 되고 이 과정이 반복됩니다.


이 문제의 특이한 점은 먼저 선택한 상자에서 다른 상자로 바꾸는 행위로 인해 당첨확률이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최종적으로 두 개의 상자에서 당첨이 들어있는 상자를 선택하기 때문에 당첨확률은 1/2(50%)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먼저 상자를 선택하고 결과가 공개된 후 다른 상자로 바꾸면 당첨확률이 66.6%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개의 상자 중에서 당첨이 들어있는 확률은 1/3(33.3%)이기 때문에 나머지 상자에 당첨이 들어있는 확률은 2/3(66.6%)입니다. 그러므로 결과를 출제자가 공개하기 전의 시점에서 최초로 선택한 상자 이외를 선택하는 것이 당첨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사실 출제자가 당첨이 아닌 상자를 하나 공개해도 아무런 영향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최초로 선택한 상자의 당첨확률은 최초와 같은 1/3(33.3%)이기 때문입니다.

파슈키에비치 씨는 몬티 홀 문제를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을 공개했는데 웹페이지 아래쪽에 있는 카드로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Monty Hall explained
https://www.michalpaszkiewicz.co.uk/blog/montyhallexplained/index.html

Monty Hall explained

How to explain the Monty Hall problem to a disbeliever The Monty Hall problem is an excellent example of a problem where mathematics seem to disagree with common sense. It was first presented as a probability puzzle in a letter by Steve Selvin to the Ameri

www.michalpaszkiewicz.co.uk


더욱 알기 쉬운 예는 카드의 매수를 20장(당첨 1장, 당첨실패 19장)으로 늘려 같은 규칙으로 게임을 플레이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 출제자는 18장의 당첨실패를 공개합니다. 그러면 먼저 선택한 카드의 당첨확률은 1/20(5%)이고 그 이외에 당첨이 포함될 확률은 19/20(95%)입니다. 그 때문에 최초로 선택한 카드와는 다른 카드를 선택한 경우에 당첨을 선택할 확률은 19/20(95%)가 되어 압도적으로 당첨확률이 높아집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양자물리학의 법칙에 따르면 물질의 상태가 변화해도 그 '정보'가 손실되지 않고 변화 후 형태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과거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대한 천체가 붕괴되어 형성되는 블랙홀은 원래의 정보가 없어져 버리는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가 생깁니다. 이 패러독스에 대해 영국의 서섹스 대학의 물리학 교수인 자비에르 카르멧 씨가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를 해결하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Quantum gravitational corrections to particle creation by black holes - ScienceDirect
https://doi.org/10.1016/j.physletb.2023.137820

‘Quantum hair’ could resolve Hawking’s black hole paradox, say scientists | Black hole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2/mar/17/quantum-hair-could-resolve-stephen-hawking-black-hole-paradox-say-scientists

‘Quantum hair’ could resolve Hawking’s black hole paradox, say scientists

New mathematical formulation means huge paradigm shift in physics would not be necessary

www.theguardian.com


블랙홀은 탈출할 수 없는 초고밀도 대질량의 천체가 질량, 전하, 각운동량이라는 3가지의 물리량만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이를 블랙홀 털 없음 정리(no-hair theorem)라고 합니다.

블랙홀은 통상의 천체와는 다른 존재이지만 양자물리학적으로 생각하면 정보는 불멸이기 때문에 블랙홀이 되어도 정보가 손실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블랙홀에 흡입되면 물리적 정보가 손실되기 때문에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씨는 블랙홀에서 정보를 보존하지 않는 열적방사(호킹방사) 가 있을 것이라며 이 방사로 정보가 우주에서 상실되는 현상을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라고 명명했습니다.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는 많은 과학자의 연구로 그 해결책에 대해 다양한 가설이 검토되어 왔습니다. 카르멧 씨는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는 양자물리학에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양자 물리학은 블랙홀의 '평생'을 되감을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별을 다시 만들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카르멧 씨는 동료 스티브 수와 함께 2021년부터 블랙홀 정보 패러독스 연구에 임해 왔습니다. 그리고 2023년 3월 호킹 씨가 검토하지 않은 '양자중력 이론'의 영향을 고려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물질이 블랙홀에 의해 붕괴될 때 그 중력장에 희미한 흔적을 남길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흔적은 블랙홀 털 없음 정리를 고려해 'quantum hair'라고 불리고 있으며 블랙홀의 붕괴할 때에 정보가 보존되는 메카니즘이 된다는 것. 이번에 발표된 이론에 의하면 다른 2개의 블랙홀은 비록 질량과 반경이 같더라도 그 중력장에 매우 미묘한 차이가 있다는 것.


카르멧 씨는 “양자중력에 의한 보정은 극히 적지만 블랙홀의 방사를 고려하는 데는 중요합니다. 우리는 양자중력의 효과가 호킹방사를 바꾸고 방사선이 비열적이게 된다는 점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즉, 양자중력을 고려하면 호킹방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호킹방사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장비가 없기 때문에 천체관측을 통해 카르멧 씨의 이론을 테스트하는 확실한 방법은 없습니다. 카르멧 씨는 이 이론을 발전시키는 한 가지 방법으로 지구 상의 연구소에서 블랙홀의 시뮬레이션을 연구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이론물리학자인 토비 와이즈먼 씨는 카르멧 씨의 논문을 "좋은 결과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블랙홀에 의해 상실되는 정보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며 "그들이 보여주지 않은 것이 역설의 핵심으로 이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자역학과 중력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완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 광합성이란 전자의 이동

광합성이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전분과 산소를 만듭니다.

6H2O + 6CO2 → C6H12O6 + 6O2

식물은 엽록체에서 광합성을 하는데 여기에서 전자의 이동이 일어납니다.

2H2O + 빛에너지 → 4H+ + 4e- + O2

태양광의 에너지가 스스로 전자를 꺼냅니다. H는 수소원자로 양성자와 전자(e-)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를 잃은 수소원자는 벌거벗은 양성자가 되는데 이것이 수소이온(H+)입니다. 양성자라고도 합니다.

태양의 에너지가 물을 산소와 양성자와 전자로 분해하는 것이 광합성의 시작입니다.


∆ 체내 발전

양성자라고 하는 것은 플러스의 전하를 띠고 전자라는 것이 마이너스의 전기를 가지는데 이 사실은 엽록체, 이른바 잎에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이라는 생명체에도 전기가 흐르고 있습니다. 그 증거로 하루에 약 10만 회나 고동을 치고 있는 심장이 움직이는 원리는 건전지의 10분의 1~100분의 1 정도의 전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심전도라는 장치는 심장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심장의 전류가 끊어지면 고동이 멈추고 죽어 버립니다.

∆ 세포 내외의 체액

체내의 전기는 세포막의 양성자 구배에 의해 생기는 전위차가 양성자를 기전력으로서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심장의 고동은 전기신호가 1회 발신하면 심장의 근육이 1회 수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신호가 규칙적 고동의 리듬을 새기는 역할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는 세포막의 전위차로 발생하는데, 세포는 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은 성분이 다릅니다. 세포내액은 칼륨이온의 농도가 높고 세포외액은 나트륨이온의 농도가 높습니다. 이 상태라면 세포 내의 전위는 마이너스 70mV로 외부에 비하면 마이너스 80mV 정도로 유지되고 있는데 세포 내가 자극을 받으면 나트륨 채널이 열리고 나트륨이온이 세포 내에 들어옵니다. 그러면 막의 전기가 플러스로 올라갑니다. 그렇게 되면 이번에는 칼륨 채널이라는 것이 열리고 세포 내에 있던 칼륨이온이 세포 밖으로 나가고 그리고 세포 내부가 플러스 40mV가 되면 나트륨 이온의 유입이 멈추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세포가 자극을 받을 때 순식간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세포내액은 마이너스 70mV에서 플러스 40mV까지 상승했지만 전위가 높은 채로는 신호가 되지 않으므로 이번에는 정상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역동작을 합니다. 나트륨이온을 밖으로 내보내고 칼륨이온을 도입하는데, 이것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나트륨 펌프, 정식으로는 '나트륨-칼륨 ATPase'라고 불리는 효소로 이것이 세포막을 관통합니다. 이 나트륨 펌프라는 것은 ATP가 1분자 가수분해될 때마다 칼륨이온을 2개 펌핑하여 3개의 나트륨이온을 배출하는데 이것에 의해 세포가 자극을 받기 전의 상태가 되고 전위도 마이너스 70mV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신호의 전파가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므로 신체도 두뇌도 기능합니다.


위와 같은 채널을 통과하는 흐름으로는 이온농도가 짙은 쪽에서 얇은 쪽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것을 수동수송이라고 하는 데, 이러한 성질에 따라 흐르는 분에는 에너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그 반대의 흐름에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도 여러 번 나온 펌프라는 채널이 가동하는 에너지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전기화학적 잠재력의 구배에 반대되는 능동수송이므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이온의 움직임이 잘 작동하지 않으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복어의 독은 나트륨 채널을 닫습니다. 반대로 전갈의 독은 나트륨 채널을 열린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인간이 죽음에 이르기도 하는데 세포막 채널의 오작동이 미치는 영향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약품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부정맥이나 협심증과 같은 심장병의 경우에는 칼슘 채널의 작용을 제어하여 세포 내에 칼슘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칼슘 길항제'와 역으로 칼륨 채널 개구약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또 위약 중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라는 것이 개발되어 위궤양은 자르지 않아도 치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人体の発電システムとその仕組み
http://mizukagaku.co.jp/blog/1788/#:~:text=%E3%81%93%E3%81%86%E3%81%97%E3%81%9F%E4%BD%93%E5%86%85%E3%81%AE%E9%9B%BB%E6%B0%97%E3%81%AF,%E9%9B%BB%E5%8A%9B%E3%81%A8%E3%81%97%E3%81%A6%E7%94%9F%E3%81%BF%E5%87%BA%E3%81%97%E3%81%A6%E3%81%84%E3%81%BE%E3%81%99%E3%80%82

Posted by 말총머리
,


겨울이 되면 정전기에 고민하는 사람이 많은데, 정전기가 일어나기 쉬운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에는 체질이 크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전기가 일어나기 쉬운 체질을 정전기 체질 또는 대전체질이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체질의 사람은 체내의 전기가 방전되기 어렵고 모이기 쉬운 것이 특징입니다. 겨울에는 공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방전되기 어려워 체질로 인해 더욱 체내에 모이기 쉬워져 버립니다.

∆ 생활습관의 영향

정전기 체질이 되는 원인에는 주로 불규칙한 생활 및 수면 부족, 식생활의 혼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생활습관의 흐트러짐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몸이 산화해 버리면 플러스 전기가 늘어나 혈액이 끈적해져 버립니다.

∆ 정전기를 모으기 쉬운 사람의 경향

일상적 생활습관의 혼란은 피부장벽 기능의 저하로 이어집니다. 장벽기능은 표피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각질층이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 외부에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수분이 잘 축적된 피부의 경우 정전기는 피부의 수분을 통해 평소부터 조금씩 방전되기 때문에 정전기로 통증을 느끼는 일은 별로 없습니다.

한편 건조한 피부의 사람은 수분량이 적기 때문에 정전기가 방전되기 어렵고 몸에 쌓이기 쉬워집니다.


∆ 정전기 체질을 개선

정전기 체질을 개선하려면 식생활이나 수면시간 등 생활습관을 다시 한번 검토해 봅시다. 체질이 약알칼리성이 되면 정전기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전기의 대책으로서 습도를 관리하는 것도 유효합니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25% 이하가 되면 정전기가 발생하므로 가습기 등으로 실내 환경을 관리하면 완화됩니다.

또한 피부와 머리카락의 건조는 자연방전을 방해하기 때문에 크림 등을 사용하여 피부와 머리카락을 보습하여 자연방전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서비스인 Pinduoduo(拼多多)의 Android용 앱에 사용자를 모니터링하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의혹에 대해 보안회사 Lookout의 연구자가 해당 앱이 Android의 취약성을 악용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Android app from China executed 0-day exploit on millions of devices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23/03/android-app-from-china-executed-0-day-exploit-on-millions-of-devices/

Android app from China executed 0-day exploit on millions of devices

Fast-growing e-commerce app Pinduoduo had an EvilParcel stow-away.

arstechnica.com


Pinduoduo는 농가로부터 제공받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다는 e커머스 서비스로 음식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대히트한 앱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보안연구원이 익명으로 과다한 안드로이드 앱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행동을 감시했다고 고발했습니다. 이에 따라 Google은 Pinduoduo의 공식 앱에 Google Play 보호를 적용하여 Google Play 스토어에서 게재를 중단했습니다.

Google flags apps made by popular Chinese e-commerce giant as malware | TechCrunch
https://techcrunch.com/2023/03/20/google-flags-apps-made-by-popular-chinese-e-commerce-giant-as-malware/

Google flags apps made by popular Chinese e-commerce giant as malware

Several apps made by Chinese e-commerce giant Pinduoduo were flagged as malicious and dangerous by Google.

techcrunch.com


이 익명 보안연구자에 의한 고발이 이루어지기 몇 주 전에 Dark Navy라고 자칭하는 조사서비스가 "2022년에서 가장 허용할 수 없는 취약성"이라는 제목의 보안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내용 중에는 유명한 인터넷 업체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안드로이드 OEM 관련 취약점을 파악하고 현재 시장에서 주류인 휴대전화 시스템에 취약성 공격을 구현하고 공개된 앱에 구현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 深蓝洞察 」2022 年度最“不可赦”漏洞
https://mp.weixin.qq.com/s/P_EYQxOEupqdU0BJMRqWsw

「 深蓝洞察 」2022 年度最“不可赦”漏洞

此刻正使用安卓的用户,隐私应得到保护。

mp.weixin.qq.com


이번에 Lookout이 보여준 코드샘플에는 'LuciferStrategy'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LuciferStrategy'는 Dark Navy의 조사보고서에서 복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OEM 코드에 있는 deserialization 취약점을 악용하고 해킹의 첫 번째 단계인 권한 승격을 완료하는 익스플로잇 체인의 코어링크로 표시된 코드에 포함된 문자열이었습니다. 즉,
Dark Navy가 보고서에서 익스플로잇 구현을 지적한 곳은 Pinduoduo의 Android 앱이었다는 것입니다.


Lookout은 사전분석을 통해 Pinduoduo의 Android 앱의 오프플레이 버전에서 적어도 2개가 CVE-2023-20963이라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취약점은 2022년 9월에 발견된 제로데이 취약점으로 앱에 권한 승격을 허용했습니다. 실제로 Pinduoduo의 Android 앱에서도 특권 환경 내에서 개발자가 지정한 사이트에서 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했다는 것.

다음은 CVE-2023-20963을 악용한 익스플로잇 'EvilParcel'과 관련된 코드입니다.


EvilParcel에 관한 코드를 포함한 압축파일 'mw1.bin'를 읽어들이는 부분.


Lookout 연구자는 제로데이 취약점뿐만 아니라 감염된 장치에 위젯 추가, 설치된 앱의 사용통계 추적, 알림 분석, Wi-Fi 및 위치정보 액세스가 이루어진 증거도 나왔습니다.

왜 이러한 악성코드가 앱에 포함되어 있었는지에 대해 Lookout의 연구자는 'Pinduoduo 앱개발자의 의도적 배포', '악의적인 내부관계자의 업무', '외부에서 입수한 비밀키가 유출된 경우', 'Pinduoduo 앱의 소프트웨어 빌드시스템을 침해한 공급망 공격' 등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현재 Google Play 스토어에서 Pinduoduo의 Android 앱을 다운로드할 수 없지만 Samsung이나 Oppo 등 각 스마트폰 메이커가 개설하고 있는 앱스토어에서는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IT 뉴스사이트 Ars Technica는 "Google Play 스토어에서 Pinduoduo를 삭제한 조치는 당연하다"고 보았습니다.

파일을 분석한 Lookout의 연구자 중 한 명인 Christoph Hebeisen 씨는 “이 악의적인 앱은 '앱 기반 맬웨어로서 매우 고급공격'을 수행하는데 최근 몇 년간 이러한 익스플로잇은 대량 배포된 앱에서는 볼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정교한 앱을 기반으로 악성코드가 침입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 익스플로잇은 Anrdoid 사용자가 방어해야 할 중요한 위협"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의 최대 보험회사 중 하나인 Cigna는 회사의 의사가 환자의 의료기록을 보지 않고 보험금 청구를 즉시 거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2개월 만에 30만 건의 보험금 결제를 거부했다고 비영리 뉴스미디어 ProPublica가 보도했습니다.

How Cigna Saves Millions by Having Its Doctors Reject Claims Without Reading Them — ProPublica
https://www.propublica.org/article/cigna-pxdx-medical-health-insurance-rejection-claims

How Cigna Saves Millions by Having Its Doctors Reject Claims Without Reading Them

Internal documents and former company executives reveal how Cigna doctors reject patients’ claims without opening their files. “We literally click and submit,” one former company doctor said.

www.propublica.org


미국에서는 주별 보험 관련 법률 및 규정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보험금을 지불하기 전에 보험회사의 의사가 환자의 진단결과와 의료기록을 확인하여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Cigna에서는 의료책임자가 환자의 기록을 보거나 의학적 판단을 내리지 않고 알고리즘이 환자의 진단기록을 확인하고 보험금 지불을 검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 Cigna의 직원이었던 의사에 따르면 클릭하여 보내는 것만으로 보험금의 지불을 거부할 수 있어서 한 번에 10초가량, 50회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모든 보험금 청구가 이 알고리즘으로 처리되는 것은 아니지만 청구 건수 중 어느 것이 알고리즘으로 처리되고 그 중 어느 것이 거부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합니다.


이 시스템은 'PXDX'라고 불리며 전 소아과 의사에 의해 10년 이상 전에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험금 청구는 의사가 처리하지만 대량 청구를 처리하는 데는 엄청난 비용이 듭니다. 그 때문에 소액의 청구에 대해서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쪽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Cigna의 한 의사는 PXDX를 사용해 불과 2개월 만에 12만1000건의 청구를 거부했고 또 다른 의사들은 그동안 80,000건 이상의 청구를 거부했다고 ProPublica는 보도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전 보험 커미셔너인 데이브 진즈 씨는 “의료기록을 확인하는 데 몇 초가 걸린다는 점을 보면 주법률을 준수한다고 생각되지 않고 조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Cigna의 전 간부라는 익명의 증언자는 “우리는 PXDX가 법적으로 회색일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PXDX의 기획안을 법무부에 보내 확인한 결과 문제없다고 회신했다"며 당시부터 간부 중에는 합법 여부를 의문시하는 목소리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Cigna의 전 직원이었던 2명의 의사는 “PXDX는 환자에게 불공평하다”고 보았습니다.


한편 Cigna는 “ProPublica의 보도는 편향되고 불완전하다"며 PXDX는 특정 정기검사에 대한 청구결제를 가속화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올바른 진단코드로 제출된 청구를 자동으로 승인하는 것”이라고 서면으로 답변했습니다.

혈액검사에 의해 비타민 D 결핍증으로 진단되지만 PXDX에 의해 혈액검사 비용 350달러(약 46만 원)의 지불을 거부된 응급의사 닉 반 타헤이든 씨는 Cigna의 보험금 지불각하에 대해서 독립한 외부기관의 조사에 맡겼습니다. 그러자 혈액검사로부터 7개월 후에 외부기관의 의사가 혈액검사는 의학적으로 필요하고 적절한 것이었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웰빙'은 심신 및 사회적으로 채워져 그 사람이 행복하고 충실한 상태임을 가리키는 말이며, 최근에는 기업이나 교육기관 등이 웰빙을 중시하는 자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웰빙이 사회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뉴질랜드의 오타고 대학에서 사회문화에 대해 연구하는 스티븐 잭슨 교수 연구팀이 웰빙 판데믹의 영향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The wellbeing ‘pandemic’ – how the global drive for wellness might be making us sick
https://theconversation.com/the-wellbeing-pandemic-how-the-global-drive-for-wellness-might-be-making-us-sick-198662

The wellbeing ‘pandemic’ – how the global drive for wellness might be making us sick

The concept of ‘wellbeing’ has been embraced everywhere. But there’s a downside to the obsession with ‘wellness’ that we need to examine.

theconversation.com


웰빙은 현대사회에서 중시되고 있는 개념의 하나로 행복, 생활의 질, 인생의 만족도, 건강 등 다양한 개념과 섞여 있습니다. 잭슨 씨는 웰빙은 '민주주의', '자유'라는 개념과 마찬가지로 무비판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웰빙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문제로 여겨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웰빙에는 주로 두 가지 개념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나타내는 주관적 행복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98년에 쾌활함, 침착, 활력, 평화, 충실감이라는 5가지 요소에 따라 개인의 정신상태를 측정하는 'The WHO-5 Well-Being Index(WHO-5 정신적 건강상태표)'라는 척도를 고안했고 전세계의 정부나 기업이 이 WHO-5 정신적 건강상태표에 근거해 정책을 결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잭슨 씨는 WHO-5 정신적 건강상태표는 주관적 행복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시점이 저해되고 있기 때문에 그 타당성은 의문시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웰빙에 관한 두 번째 개념인 '객관적 행복'은 사회적 불평등의 확대를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에서는 분배, 탄력성, 생산성, 지속가능성 등의 원칙에 근거한 'Living Standards Framework(생활수준 프레임워크)'라는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적인 번영에 대해 측정하고 있다는 것.

이에 대해 잭슨 씨는 “이런 대처는 우리를 둘러싼 광범위한 정치적·경제적 구조가 아니라 개인의 행동이 변화의 결정적 요인이 된다는 특정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에 뿌리를 둔 것이라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WHO-5 정신적 건강상태표나 생활수준 프레임워크와 같은 원칙을 가져와 조직이 종업원의 웰빙을 향상시키려는 대처는 개인적인 활동에 대한 감시나 규제로 이어질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며 잭슨 씨는 “의도적이든 아니든 많은 조직이 웰빙의 원칙과 정책을 해석하고 사용하며 기존의 구조와 계층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웰빙 개선을 내걸어 조직된 부문이나 위원회, 새로운 정책, 프로그램, 워크숍 등의 등장은 조직의 구성원에게 일종의 압력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지 않으면 비협조적이라는 평판을 받을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사람도 의무적으로 이러한 이니셔티브에 참가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심신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

대외적으로 웰빙의 향상에 임하고 있는 것을 어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종업원에게 부담을 주고 있는 이런 스킴을 잭슨 씨는 "웰빙 워싱"이라며 비난했습니다.

잭슨 씨는 “웰빙은 이제 중립적인 영역이 아니라 '권력의 장'이며 당사자가 타인을 희생하여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장이 되고 있다"며 "학자와 정책 입안자, 그리고 시민들은 그것이 도대체 누구의 어떠한 가치관을 대표하고 있는지, 어디에 지배의 책임이 있는지, 그 영향이 누구에게 미치는지를 찾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비판적 고찰이 '웰빙 판데믹'에 대한 백신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의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가 '테바트론 가속기'를 사용한 실험에서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소립자인 위크보손 'W보손'이 이론보다 무거울 가능성이 발견되었습니다.

CDF sets W mass against the Standard Model – CERN Courier
https://cerncourier.com/a/cdf-sets-w-mass-against-the-standard-model/

CDF sets W mass against the Standard Model – CERN Courier

Standing 7σ above the Standard Model prediction, the CDF collaboration's measurement of the mass of the W boson upsets decades of steady convergence between experiment and theory.

cerncourier.com


New ATLAS result weighs in on the W boson | ATLAS Experiment at CERN
https://atlas.cern/Updates/Briefing/2023-W-Mass-Measurement

New ATLAS result weighs in on the W boson

For the past 40 years, the W boson has been making headlines. In the 1980s, the announcement of its discovery helped confirm the theory of the electroweak interaction – a unified description of electromagnetic and weak forces. Today, measurements of its

atlas.cern


Particle’s surprise mass threatens to upend the standard model
https://doi.org/10.1038/d41586-022-01014-5

위크보손은 소립자물리학에서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소립자입니다. 위크보손은 1968년에 이론상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1983년에 유럽원자핵연구기구(CERN)가 그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위크보손에는 W보손과 Z보손이라는 2종류가 존재하고 W보손의 질량은 2017년의 CERN에 의한 측정으로 80.370±0.019기가전자볼트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2022년 4월에 듀크대학의 아슈토시 코트와르 씨 연구팀이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의 테바트론 가속기를 사용해 실시한 CDF 충돌실험에서의 측정결과는 W보손의 질량을 80.434±0.009기가전자볼트라고 추측했습니다.


코트와르 씨 연구팀에 의한 측정결과는 지금까지 예측되었던 W보손의 질량보다 0.064기가전자볼트 크고 또한 오차가 0.009%로 가장 높은 정밀도로 해석했습니다. 이 결과 현재의 소립자물리학의 기둥이 되고 있는 '표준모형'이라고 불리는 소립자의 종류나 질량, 특성 등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의 수정이 필요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 측정결과에 대해 연구팀의 데이비드 토백 씨는 "이 측정이 올바른지 증명하는 것은 소립자 이론전문가나 다른 실험에 달려 있다"며 “종래의 W보손의 질량과 이번 측정결과에 생긴 차이가 어떤 종류의 새로운 소립자나 아원자 입자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한 것일 가능성도 있어 향후 실험에서 이러한 새로운 소립자와 아원자 입자가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보았습니다.

한편 CERN이 2023년 3월에 측정결과를 발표한 대형 하드론충돌형가속기의 실험장치 중 하나인 'ATLAS 검출기'를 이용한 측정에서는 W보손의 질량이 80.360±0.016기가전자볼트로 측정되어 2017년에 실시된 측정보다 약 0.1기가전자볼트 낮지만 이 결과는 표준모형에서 상정되는 W보손의 질량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ay Wennington source:https://unsplash.com/photos/loAgTdeDcIU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나중에 방문할 때 식별할 수 있도록 쿠키를 사용하며 인터넷 사용기록을 기반으로 광고를 게재합니다. 그러나 Firefox 등에는 쿠키를 차단하여 추적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쿠키 대신 사용되는 것이 '핑거프린트'입니다. 이 핑거프린트는 쿠키를 막고 있던 수법이 통용하지 않는다고 개발자인 bitestring 씨가 지적했습니다.

Web fingerprinting is worse than I thought - Bitestring's Blog
https://www.bitestring.com/posts/2023-03-19-web-fingerprinting-is-worse-than-I-thought.html

bitestring 씨는 핑거프린트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FingerprintJS라는 회사의 기능 데모를 이용하여 실증했습니다.

실증실험의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해 "FingerprintJS(https://fingerprint.com)"에 액세스
2: 생성된 핑거프린트 보기
3: 웹브라우저의 캐시 및 기타 모든 사이트 데이터를 삭제 후 다시 액세스
4: FingerprintJS에 엑세스
5 : 핑거프린트와 인터넷 사용기록을 표시.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가 없어도 동일한 핑거프린트가 생성되어 이전에 본 이력을 얻을 수 있다.
6: 웹브라우저의 캐시 및 기타 모든 사이트 데이터를 다시 지우기
7: 프라이버시 브라우징 모드로 FingerprintJS에 엑세스

bitestring씨가 Firefox로 실제로 시도한 결과 첫 번째 액세스로 생성된 핑거프린트는 'sbJMsUtsW8zV7DBS0Fw9'


액세스한 정보를 모두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2번째 액세스에서도 핑거프린트는 동일했고 정보를 모두 삭제한 후 개인 브라우징 모드로 액세스해도 핑거프린트는 동일했습니다.

Firefox에는 핑거프린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privacy.resistFingerprinting' 옵션이 있으며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FingerprintJS'가 더 이상 과거의 브라우징을 인식할 수 없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웹브라우저에서도 확인하면 Google 크롬 및 Chromium 계열의 웹브라우저는 핑거프린트 생성에 무력하며 다른 세션에서도 같은 핑거프린트가 됩니다.


Tor Browser는 브라우징 세션이 더 엄격히 설정되어 있어 핑거프린트도 다른 세션에서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에 bitestring 씨는 핑거프린트로부터 몸을 지키고 싶은 경우는 Tor Browser를 이용하던지 Firefox로 'privacy.resistFingerprinting'을 'true'로 설정하고 Chromium 계통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Brave 브라우저를 추천했습니다.

또한 모바일 버전에서 핑거프린트가 동일하지 않은 것은 Tor Browser와 Firefox에서 'privacy.resistFingerprinting'을 'true'로 한 경우 한정으로, 프라이버시 최강 브라우저를 자칭하고 있는 Firefox Focus로 매회 세션을 클리어해도 핑거프린트는 같았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NVIDIA to Bring AI to Every Industry, CEO Says | NVIDIA Blog
https://blogs.nvidia.com/blog/2023/03/21/gtc-keynote-spring-2023/

GTC 2023 Keynote with NVIDIA CEO Jensen Huang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DiGB5uAYKAg

NVIDIA Launches DGX Cloud, Giving Every Enterprise Instant Access to AI Supercomputer From a Browser

NVIDIA today announced NVIDIA DGX™ Cloud, an AI supercomputing service that gives enterprises immediate access to the infrastructure and software needed to train advanced models for generative AI and other groundbreaking applications.

nvidianews.nvidia.com


NVIDIA to Bring AI to Every Industry, CEO Says | NVIDIA Blog
https://blogs.nvidia.com/blog/2023/03/21/gtc-keynote-spring-2023/

GTC 2023 Keynote with NVIDIA CEO Jensen Huang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DiGB5uAYKAg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인 Oracle과 NVIDEA가 제휴하여 제공하는 DGX Cloud는 NVIDIA AI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NVIDIA DGX AI 슈퍼컴퓨팅 전용 클러스터입니다. 모든 기업이 간단한 웹브라우저에서 AI교육 및 개발을 수행하는 슈퍼컴퓨터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인프라 정비 및 관리의 복잡성이 제거됩니다. DGX Cloud는 월 3만 6999달러(4900만 원)로 월단위 대여를 할 수 있습니다.


NVIDIA의 창업자이자 CEO인 젠슨 후안 씨는 “스타트업 기업은 파괴적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려고 경쟁하고 있으며 기존 기업은 이에 대응하려고 합니다. DGX Cloud를 통해 고객은 세계 규모의 클라우드에서 NVIDIA AI 슈퍼컴퓨팅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라고 소개했습니다.

후안 씨는 2023년 3월 21일에 열린 기술 컨퍼런스 'NVIDIA GTC 2023'의 기조강연에서 ChatGPT 등의 대두와 AI업계의 성장에 대해 'The iPhone Moment(초대 iPhone이 발표되었을 때와 같이 터닝포인트)'라고 표현하며 중요한 국면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후안 씨는 “General AI의 뛰어난 기능으로 기업은 자사의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재고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DGX Cloud는 60GB VRAM을 탑재한 8대의 NVIDIA H100 또는 NVIDIA A100에서 동작하며 노드 전체에서 메모리의 총량은 640GB가 된다고 합니다. DGX Cloud에는 NVIDIA AI플랫폼의 소프트웨어 레이어인 'NVIDIA AI Enterprise'가 포함되어 있어 엔드투엔드 AI프레임워크와 사전훈련된 모델을 제공하여 데이터 과학 파이프라인을 가속화해 DGX Cloud는 AI개발과 배포를 합리화시킵니다. 개발자는 새로운 사전훈련된 모델, 최적화된 프레임워크 및 가속화된 데이터 과학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I 프로젝트를 즉시 시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NVIDIA는 향후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제휴하여 DGX Cloud 인프라를 호스팅할 예정입니다. 2023년 초쯤에 Microsoft Azure에서 DGX Cloud의 호스트를 개시 예정이고 Google Cloud에도 곧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세계 유수의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업인 Amgen, 보험기술의 리더인 CCC Intelligent Solutions,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 제공업체인 ServiceNow가 DGX Cloud를 사용할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Amgen의 디지털 혁신에서 이그제큐티브 디렉터인 피터 그랜서드 씨는 “NVIDIA DGX Cloud와 NVIDIA BioNeMo를 사용함으로써 연구자들은 AI 인프라를 다루고 기계학습 엔지니어링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 더욱 생물학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DGX Cloud의 강력한 컴퓨팅 및 멀티노드 기능을 통해 BioNeMo를 사용한 대규모 언어모델의 교육을 3배 가속화하고 NVIDIA RAPIDS를 사용한 트레이닝 후 분석이 대체 플랫폼에 비해 최대 100배 빨라질 수 있었습니다”라고 전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vel Chuklanov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Hn3S90f6aak


Google의 연구부문인 Google Research가 동영상에 고밀도 캡션을 붙일 수 있는 시각언어 모델인 'Vid2Seq'를 공개했습니다.

Vid2Seq: a pretrained visual language model for describing multi-event videos – Google AI Blog
https://ai.googleblog.com/2023/03/vid2seq-pretrained-visual-language.html

Vid2Seq: a pretrained visual language model for describing multi-event videos

Posted by Antoine Yang, Student Researcher, and Arsha Nagrani, Research Scientist, Google Research, Perception team Videos have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our daily lives, spanning fields such as entertainment, education, and communication. U

ai.googleblog.com


동영상은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과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점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영상은 다른 타이밍에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동영상의 내용을 AI에게 이해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개썰매를 소개하는 동영상의 경우 '개가 썰매를 당긴다'는 긴 이벤트와 '개를 썰매에 연결한다'는 짧은 이벤트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동영상의 내용을 AI에 이해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법으로서 채용되고 있는 것이 고밀도 캡션입니다. Google Research는 몇 분 동안 동영상의 모든 이벤트를 시간에 맞추어 설명하며 짧은 동영상을 한 장에 설명하는 단문 캡션이나 스탠다드 비디오 캡션과는 다르다고 설명합니다.

고밀도 캡션은 시각 및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하고 동영상의 챕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내의 동영상에서의 모멘트 검색을 개선하는 등 폭넓은 용도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고밀도 캡션 기술은 고도로 전문화된 작업별 구성요소를 필요로 해서 강력한 기초모델에 통합하기가 어렵고 수동으로 주석 처리된 데이터세트만 사용하여 학습해서 입수가 매우 곤란하고 확장성이 있는 솔루션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등의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Google Research가 개발한 것이 'Vid2Seq'입니다. Vid2Seq는 언어모델을 특별한 시간토큰으로 보강하여 동일한 출력 시퀀스에서 이벤트 경계와 텍스트 캡션을 원활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Vid2Seq는 고밀도 캡션을 시퀀스2시퀀스의 문제로 공식화하고 특별한 시간토큰을 사용하여 모델이 텍스트의 의미정보와 동영상의 각 텍스트의 근거가 되는 시간적 현지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토큰을 원활하게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모델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Vid2Seq를 사전 학습시키기 위해 라벨 없는 내레이션 동영상을 활용했습니다. 문자화된 음성의 문장을 임의의 이벤트 경계로서 재정의해 문자화된 문장을 임의의 이벤트 캡션으로서 사용합니다. 수백만 개의 내레이션 동영상으로 사전 학습된 Vid2Seq는 YouCook2, ViTT, ActivityNet Captions 등의 고밀도 캡션 벤치마크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또한 Vid2Seq는 몇 장의 고밀도 캡션 설정, 동영상 단락 캡션 작업, 스탠다드 비디오 캡션 작업으로 잘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Vid2Seq에 의한 고밀도 캡션의 사례를 살펴보면 동영상의 1~9초에 '남성이 개를 썰매에 연결하고 있다', 20~50초에 '개가 썰매를 당기고 있다', 45초와 49초에 '개가 대기하고 있다' 등 장면별로 다른 캡션을 붙일 수 있습니다.


Vid2Seq의 코드는 GitHub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scenic/scenic/projects/vid2seq at main · google-research/scenic · GitHub
https://github.com/google-research/scenic/tree/main/scenic/projects/vid2seq

GitHub - google-research/scenic: Scenic: A Jax Library for Computer Vision Research and Beyond

Scenic: A Jax Library for Computer Vision Research and Beyond - GitHub - google-research/scenic: Scenic: A Jax Library for Computer Vision Research and Beyond

github.com


덧붙여 Vid2Seq는 2023년 6월에 개최 예정인 CVPR 2023에서 상세내용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그 때 이렇게 해 두었다면 좋았다' 등 후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많은데, 과거의 행동이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순행성'이라는 개념은 현대과학에서 일반적이지만 일부 물리학자와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미래의 행동이 과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역행성'이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A Growing Number of Scientists Are Convinced the Future Influences the Past
https://www.vice.com/en/article/epvgjm/a-growing-number-of-scientists-are-convinced-the-future-influences-the-past

A Growing Number of Scientists Are Convinced the Future Influences the Past

“Our instincts of time and causation are our deepest, strongest instincts that physicists and philosophers—and humans—are loath to give up,” said one scientist.

www.vice.com


역행성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를 하는 산호세 주립대학의 물리학자 케네스 워튼 씨와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의 휴 프라이스 씨 등 연구팀은 양자역학의 영역에서는 양자얽힘이나 터널효과 등의 불가사의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과거의 행동이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순행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워튼 씨 연구팀에 의하면 역행성과 같은 역인과율은 양자얽힘이나 터널효과 등의 종래의 물리학이나 양자역학에서는 설명이 곤란한 이상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또한 역인과율은 시간이 순행·역행하는지에 관계없이 물리법칙이 같아진다는 '시간 대칭적인 우주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역인과율적 생각은 일반적인 시간여행과는 달리 신호나 물체를 과거에 보낼 수 없습니다. 역인과율이란 미래의 상황이 과거의 상태와 상관된다는 메커니즘이라고 합니다.

웨스턴 대학 로트만 철학연구소의 에밀리 애드럼 씨는 “시간대칭적으로 양자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행성과 같은 소급적 인과관계가 필요하다”며 같은 발생원으로부터 입자를 받은 2명의 인물이 몇 광년 떨어져 있는데도 상관관계를 찾아낸다는 사고실험을 소개했습니다. 애드럼 씨에 따르면 역인과율 연구자들은 이러한 입자가 과거에서 발생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한다고 합니다. 즉, 두 사람이 각각 입자에 대해 수행하는 측정은 과거 입자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워튼 씨는 “역인과율은 양자얽힘에 대해 양자역학보다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며 역행성의 이론은 만물의 이론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중력이 양자수준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역인과율에 대해서는 물리학자나 철학자와 같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뉘어져 있으며 워튼 씨는 “과학자가 실용적인 이유로 작성한 법칙과 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프라이스 씨는 “역인과율이 양자역학과 고전물리학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역행성으로 인해 미래의 상태와 과거의 사건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게다가 역인과율의 사고방식은 파동함수와 파동함수의 수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양자역학과 고전물리학을 통합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워튼 씨는 "우리의 목표는 역인과율에 대한 더 일반적인 모델을 고안하는 것이고 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ohannes Plenio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aWDgqexSxA0


천연의 정밀 카메라라고 할 수 있는 동물의 안구나 뇌에 필적하는 뉴런으로 8개의 다리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문어의 신경절 등 생물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한 진화를 이루어 왔습니다. 한편 시력을 상실한 동굴의 동물이나 조개껍데기가 사라진 조개류 등 언뜻 보면 진화가 역행한 것 같은 형태를 보이는 생물도 있습니다. 그런 진화의 이상에 대해 생물학자가 설명했습니다.

Does evolution ever go backward?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regressive-backward-evolution

Does evolution ever go backward?

In regressive evolution, organisms lose complex features and can appear to evolve "in reverse." But evolution doesn't retrace its steps, experts said.

www.livescience.com


과학을 다루는 뉴스사이트 Live Science에 따르면 생물 중 일부는 '퇴행진화(regressive evolution)'라는 현상으로 복잡한 기능을 잃고 더욱 단순한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변화를 한 동물이 있다는 것. 생물학자는 그런 퇴행진화도 긍정적인 진화의 일부이며 후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런던의 자연사박물관에서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베스오캄라 교수는 “퇴행진화란 이전의 진화과정에서 획득한 복잡한 형태가 소실된다는 것”이라며 퇴행진화의 가장 극단적인 예로 물고기에 기생하는 생물인 'myxozoa'를 꼽았습니다.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Whirling_disease_pathology.jpg


myxozoa는 입도 신경도 내장도 없는 매우 단순한 구조의 생물로 본질적으로 단세포 생물이
입니다. 그 때문에 발견 초기에는 Paramecium와 같은 단세포의 원생동물로 분류되어 있었는데 이후의 연구에서 고도로 퇴화한 동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myxozoa는 원래 해파리의 일종인 자포동물이었지만 기생생활에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덜어내 최종적으로 다세포 생물에서 단세포 생물로 진화를 이루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다세포 생물에서 단세포 생물이 된 것 형태적으로는 퇴행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인데 오카무라 교수는 “단세포 생물로 수렴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진화의 발걸음이 역행하지 않는다는 점은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생물학자인 윌리엄 제프리 교수도 동의했습니다. 예를 들면 어두운 동굴에 서식하는 물고기 중에는 눈이 퇴화한 것이 있는데 이것은 눈이 발달하기 전의 상태로 회귀한 것은 아니다는 것. 안구가 발달하는 과정이 멈추고 피부에 묻힌 흔적기관이 된 눈에 대해 제프리 교수는 "이런 생물은 안구가 퇴행한 것이 아니라 단지 진행을 멈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어떤 기관이 소멸하거나 몸의 부위가 단순화되는 등 눈에 띄는 변화에 주목하기 쉽지만 눈에는 보이지 않는 부위에서 기능이 복잡해지고 있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케이브 피쉬"라 불리는 동굴생물 Astyanax mexicanus는 진동에 반응하는 기관을 발달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주변 상황을 기민하게 감지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by Josh More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의 생물학자인 브라이언 골딩 교수는 “진화가 역행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적응하는 것이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생물의 몸에 있는 변화 일어나면 그 적응은 다른 유전자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 후 한 변화가 역행하더라도 진화가 뒤로 돌아왔다고 말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유전자도 되돌려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블라인드 케이브 피쉬의 경우 눈의 변화는 머리뼈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 때문에 눈의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의 합성에 관한 유전자가 변이해도 안와, 즉 안구가 들어가 있던 머리뼈의 움푹 들어간 곳이 없어지거나 하지 않는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퇴화로 인해 기관이 없어지면 복잡한 기관을 만들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줄기 때문에 생태나 동굴 등의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퇴행진화도 진화의 하나라고 합니다.

퇴행진화에 대해 오캄라 교수는 “개체의 체력을 향상시키는 돌연변이가 선택된다는 점에서 진화는 항상 진보적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 순정 스마트폰인 Pixel 시리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샷 편집기능인 'Markup'에 편집내용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취약점은 이미 최신 업데이트로 수정되었지만 업데이트 이전에 편집된 스크린샷에서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Pixel Markup vulnerability allows screenshots to be un-redacted
https://9to5google.com/2023/03/18/pixel-markup-screenshot-vulnerability/

Pixel Markup vulnerability lets some screenshots be un-redacted, un-cropped; fixed by March update

Besides an Exynos modem vulnerability, the Android 13 QPR2 March 2023 security update fixes an issue with the Pixel Markup screenshot tool...

9to5google.com


Google Pixel ‘aCropalypse’ exploit reverses edited parts of screenshots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3/3/19/23647120/google-pixel-acropalypse-exploit-cropped-screenshots

Google Pixel exploit reverses edited parts of screenshots

The flaw can potentially reveal redacted information.

www.theverge.com


Pixel 시리즈 표준 스크린샷 편집기능인 Markup에 스크린샷을 원래의 편집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진 시기는 2023년 1월 초순이었습니다. 이 취약점을 발견한 엔지니어 Simon Aarons 씨에 따르면 이 취약점은 'aCropalypse'(CVE-2023-21036)로 알려져 있으며 Android용 최신 업데이트인 Android 13 QPR에서 수정되었습니다.


Markup이 탑재된 것은 2018년에 릴리스된 Android 9부터로 Pixel 사용자는 Markup을 사용하여 스크린샷을 자르고 텍스트와 하이라이트를 추가하는 등의 편집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지갑앱 등에 표시되는 신용카드 정보가 포함된 스크린샷을 촬영하고 개인정보를 가리기 위해 카드번호 부분을 검은색으로 칠하고 편집하여 SNS 등에서 공유했다고 가정하면 Markup의 취약점을 통해 이 편집된 스크린샷을 편집 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스크린샷을 Markup으로 편집한 후 공유하는 경우 취약점을 파악하여 정보를 복원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덧붙여 aCropalypse를 발견한 Aarons 씨에 의하면 취약점을 이용해 Markup으로 편집이 끝난 스크린샷을 복원했을 경우, 이미지의 20% 정도가 파손되어 버리지만 나머지 80%는 완전하게 복원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셜미디어가 업로드된 이미지를 재처리하기 때문에 이때 데이터 복원이 어려워진다고 Aarons 씨는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면 Twitter에서는 이미지의 재처리가 이루어져 데이터의 복원은 곤란해지는 모양.

복원에 실패한 스크린샷


Discord도 2023년 1월 17일 이후에는 이미지가 재처리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업로드한 스크린샷은 재처리되지 않고 복원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Aarons 씨는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Markup으로 편집한 스크린샷을 복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웹앱을 Aarons 씨가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과거에 업로드한 이미지가 aCropalypse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에서 앱을 사용해봅시다.

acropalypse
https://acropalypse.app/

Markup으로 편집한 이미지를 복원할 수 있는 원인은 편집된 이미지 버전이 원본 파일과 같은 위치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를 편집하여 새 파일을 만들 때(녹색 부분) 원본 파일은 지워지는 것이 아니라 후미 부분에 남습니다(청색 부분).

Posted by 말총머리
,


2023년 3월 14일에 OpenAI가 GPT-4를 정식 발표했습니다. GPT-4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입력도 가눙한 Multimodal AI(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로서 개발되고 있으며 영어 이외의 언어에서의 성능도 매우 고도의 영역에 도달하고 있다고 합니다.

GPT-4 Research
https://openai.com/research/gpt-4

GPT-4

We’ve created GPT-4, the latest milestone in OpenAI’s effort in scaling up deep learning. GPT-4 is a large multimodal model (accepting image and text inputs, emitting text outputs) that, while less capable than humans in many real-world scenarios, exhi

openai.com


GPT-4 Product
https://openai.com/product/gpt-4

OpenAI는 지금까지도 채팅 AI ChatGPT 등의 고성능 AI를 개발해 왔는데 이번에 발표된 GPT-4의 성능은 기존의 AI를 크게 웃돌고 있다고 합니다. OpenAI와 협력 관계에 있는 Microsoft는 GPT-4를 “iPhone의 최초 등장과 동등한 충격을 주는 존재”라고 평가했습니다.

GPT-3.5를 베이스로 한 ChatGPT는 사법시험에서 하위 10%에 들어가는 성능을 갖고 있었는대 GPT-4에서는 상위 10%에 들어가는 놀라움의 성능을 발휘한다는 것. OpenAI가 공개한 득점표를 확인하면 'Uniform Bar Exam', 'LSAT'와 같은 사법시험과 'SAT' 등의 학력테스트에서 GPT-4가 GPT-3.5를 크게 웃도는 득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 이러한 테스트는 테스트용의 특별한 튜닝을 하지 않고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AI의 성능을 평가하는 MMLU나 HellaSwag와 같은 벤치마크에서도 GPT-4는 GPT-3.5를 크게 웃도는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GPT-4는 영어 이외의 언어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각 언어에서의 성능을 나타낸 이하의 그래프를 보면 GPT-4로 한국어를 처리했을 때의 성능이 GPT-3.5로 영어를 처리했을 때의 성능을 웃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해 GPT-4에서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T-4에게 아래의 이미지의 평범하지 않은 점을 가르쳐 달라고 질문하면 '주행 중의 택시의 지붕에 설치된 거치대에서 다리미를 사용하고 있다'고 정확하게 대답해 줍니다.

GPT-3.5를 탑재한 ChatGPT에서는 소스코드를 써 준다는 조작이 가능했는데 GPT-4에서는 소스코드 기술기능이 향상되었고 상호작용하면서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GPT-4에 프로그래밍을 의뢰하는 모습은 아래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T-4 Developer Livestream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utcGtbnMuQ


영상에서는 GPT-4에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면서 'Discord로 GPT-4와 대화할 수 있는 BOT를 만들어 달라'고 주문하자 GPT-4가 코드를 술술 기술해줍니다.

그러나 GPT-4가 기술한 코드를 실행해 보면 에러가 발생했고 GPT-4에 '이런 오류가 발생했다'고 알렸습니다.

그러면 사과하면서 수정판 코드를 기술해 주었습니다. 이런 작업을 반복하자 주문한 BOT이 완성되었습니다.

GPT-4는 이미 유료 서비스인 'ChatGPT Plus' 회원을 대상으로 공개되었습니다. 또한 아래의 링크에서 API 대기자 목록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GPT-4 API waitlist
https://openai.com/waitlist/gpt-4-ap

Posted by 말총머리
,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Starlink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글로벌 로밍 옵션인 Starlink Roam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Starlink Roam
https://www.starlink.com/roam

Starlink

SpaceX is developing a low latency, broadband internet system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cross the globe. Enabled by a constellation of low Earth orbit satellites, Starlink will provide fast, reliable internet to populations with little or no connecti

www.starlink.com


Starlink Roam은 인터넷 연결이 신뢰할 수 없거나 완전히 이용할 수 없는 장소를 여행하는 고객을 위한 글로벌 로밍 옵션으로 2023년 2월에 월 200달러(약 27만 원)로 테스트를 했습니다.

서비스에는 대륙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지역플랜과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플랜이 있으며 Starlink가 이용 가능한 지역이면 서비스 대상이 됩니다.

Starlink Availability Map
https://www.starlink.com/map


가격은 하드웨어가 할인가로 36만 5000원이고 이용료가 월 9만 9000원입니다.

또한 Starlink에는 캠핑카 등과 같이 집 이외의 환경에서 Starlink를 사용할 수 있는 'Starlink RV(STARLINK FOR RVs)'라는 옵션이 있으며 Starlink Roam은 이 옵션을 리브랜드한 것으로 보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분산형 금융(DeFi)을 취급하는 플랫폼인 Euler Finance가 Flash Loan 공격에 휩쓸려 1억 9700만 달러(약 2630억 원) 상당의 디지털자산이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Hackers steal $197 million in crypto in Euler Finance attack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hackers-steal-197-million-in-crypto-in-euler-finance-attack/

Hackers steal $197 million in crypto in Euler Finance attack

Lending protocol Euler Finance was hit by a cryptocurrency flash loan attack on Sunday, with the threat actor stealing $197 million in multiple digital assets.

www.bleepingcomputer.com


Flash Loan이란 하나의 거래에서 차용인이 대출자로부터 무담보로 대출을 받고 그 자금을 원하는 곳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차용인은 일반적으로 자금을 마진거래에 사용하는데 어느 가상화폐를 가격이 낮은 거래소에서 사 가격이 높은 거래소에서 팔아 이익을 얻으려고 합니다. 이러한 거래를 포함하여 대출에서 상환까지의 일련의 흐름은 모두 동일한 거래에서 동시에 실행되므로 대출부터 반환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몇 초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악용하고 부정하게 가격을 조작하여 거액의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가 Flash Loan 공격입니다.

2023년 3월 12일, Euler Finance는 Flash Loan 공격으로 1억 9700만 달러의 디지털자산을 잃었고 당사가 발행하는 토큰 'Euler'의 가격은 하룻밤 사이에 50%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유출된 디지털자산에는 DAI, WBTC, USDC, stETH 등 여러 토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유출된 것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1억 3580만 달러의 stETH는 추적되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자금을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보안 및 분석 회사인 PeckShield는 Euler의 청산시스템 로직에 결함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PeckShield에 따르면 시스템은 해커가 담보를 초과한 금액을 취급하고 있거나 담보와 대출자금의 전환율이 올바른지 검증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커는 전환율을 조작하고 청산 시에 거액의 이익을 얻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Euler Finance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인 Euler Labs는 보안전문가 및 법집행기관과 협력하여 준비가 되면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에서 최초의 생명출현에 대한 의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생명의 기원에 관한 이론은 123개나 나왔으며 분자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알고리즘으로 규명이 시도되는 등 다양한 접근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에 있는 라트가즈 대학의 연구팀이 2023년 3월에 발표한 내용에서는 지구상 최초의 생명에 있어서 동력이 되는 '대사'의 기원이 있는 물질을 특정해 그것이 지구상에서의 생명을 유발했을 수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Design of a minimal di-nickel hydrogenase peptide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bq1990

Scientists identify substance that may have sparked life on Earth
https://phys.org/news/2023-03-scientists-substance-life-earth.html

Scientists identify substance that may have sparked life on Earth

A team of Rutgers scientists dedicated to pinpointing the primordial origins of metabolism—a set of core chemical reactions that first powered life on Earth—has identified part of a protein that could provide scientists clues to detecting planets on th

phys.org


생명의 기원에 관한 이론으로 '생명의 기원은 번개로 태어났다'는 실험이나 '진흙 속에서 태어났다', '솟아나는 열수로부터 태어났다' 등 태어난 장소와 현상에 대한 가설도 있습니다. 한편 생명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나 DNA를 기원으로 하는 사고방식도 주요한 가설이 되고 있는데 'DNA와 단백질의 양쪽 모두의 합성에 관련되어 있는 RNA가 생명 탄생의 계기'라는 RNA 월드 가설과 '더 단순한 분자에서 시작되었다'는 단백질이나 생명을 촉진하는 대사 시스템에 주목한 '대사 우선 모델'이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라트가스 대학의 연구는 이 '대사 우선 모델'에 가깝고 대사의 기원이 되는 단순한 물질을 발견했다고 연구팀은 발표했습니다.


과학 저널의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논문에서는 무산소 상태인 원초의 지구에서 생명이 살기 위한 대사 프로세스에는 수소가 필요하고 수소가스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는 효소인 hydrogenase가 생명의 조상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존하는 hydrogenase는 수백 개의 아미노산과 복수의 보조인자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성이기 때문에 연구팀은 더욱 작고 단순한 성분의 물질이 있다고 가정하고 '니켈백'이라고 명명한 후 1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니켈 결합 펩티드를 설계하여 실험을 했습니다. 그 결과 "생명의 대사에 관여하는 현대의 효소는 매우 복잡하지만 초기 지구에서는 단순한 펩티드 전구체이며 거기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났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니켈백의 모델을 다른 천연효소와 비교한 것으로 왼쪽이 hydrogenase, 중앙이 니켈백, 오른쪽이 대형이고 복잡한 단백질의 카르복실산 합성효소(ACS)입니다.


연구자들은 니켈을 초기 해양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금속이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니켈이 펩티드와 결합함으로써 니켈원자가 촉매가 되어 수소가스를 생성함으로써 대사를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인 수소를 초기 지구에서도 풍부하게 발생시킬 수 있었다고 보았습니다.

라트가스 대학의 첨단생명공학 및 의학센터 연구원인 비카스 난다 씨는 이 연구에 대해 “과학자 중 일부는 35~38억 년 전 사이에 터닝포인트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점에서 생명 전 분자에 대한 프리바이오틱스 과학에서 생물학적 시스템으로의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고대의 대사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은 펩티드 전구체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생각됩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라트가스 대학이 이끄는 팀과 NASA의 우주생물학 프로그램이 협력하여 실행되고 있으며 NASA의 과학자는 우주에 있는 새로운 생명체의 징후를 나타내는 '바이오 시그니처'를 찾고 있습니다. 2020년 11월에는 NASA의 과학자팀이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생명을 형성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을 바이오 시그니처로 발견했습니다. 난다 씨에 따르면 니켈백과 같은 펩티드도 생명이 탄생하는 행성을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시그니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Detection of Cyclopropenylidene on Titan with ALMA - IOPscience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3847/1538-3881/abb679

‘Weird’ Molecule Discovered in Titan’s Atmosphere | NASA
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20/nasa-scientists-discover-a-weird-molecule-in-titan-s-atmosphere/

‘Weird’ Molecule Discovered in Titan’s Atmosphere

NASA scientists identified a molecule in Titan’s atmosphere that has never been detected in any other atmosphere.

www.nasa.gov


또 난다 씨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지만 이러한 아이디어를 실제 실험실에서 테스트한 예는 거의 없습니다. 이 연구는 단순한 단백질의 대사효소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매우 안정적이고 매우 활동적임을 보여주며 생명의 출발점으로서 그럴듯한 설명이 되고 있다”고 연구의 가치를 평가했습니다. 또한 니켈백을 비롯한 금속 펩티드가 산화환원 반응 등의 많은 반응에서 촉매가 될 가능성을 조사함으로써 주요 고대의 대사반응 네트워크에 대해 펩티드의 기원을 여러 개 규명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보리소프 혜성의 상상도 (제공: ESO/M. Kormesser)


혜성으로서 관측 사상 처음으로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보리소프 혜성(2I/Borisov)은 2019년 12월 태양에 접근했는데 이 혜성이 항성에 접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일 가능성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혜성은 단 하나의 예외를 제외하고 모두 태양계의 외연부에서 탄생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여 얼음이 증발하면 탄생 이래 계속해서 혜성에 갇혀 있던 가스나 먼지가 방출되어 꼬리로 관측된다. 그런 의미에서 혜성은 태양계가 태어났을 때의 정보를 가져오는 원시적 천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혜성도 반복해서 태양에 접근하면 태양으로부터의 방사나 태양풍에 노출되어 성분이 변화해 가기 때문에 원시적 상태가 없어져 간다. 지금까지 발견된 혜성 중에서 가장 원시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은 1997년에 태양에 접근한 대혜성 헤일-밥 혜성(C/1995 O1)으로 1997년 이전에는 한 번만 태양에 접근했다고 생각된다.

2019년 8월에 발견되어 같은 해 12월에 태양에 접근한 보리소프 혜성(2I/Borisov)은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것으로 밝혀진 최초의 혜성이다. 그리고 이번에 아일랜드 아머천문대의 Stefano Bagnulo 씨의 연구팀이 밝힌 바에 따르면 보리소프 혜성은 그 이전에 다른 항성에 접근한 적이 없는 진정한 의미의 원시적인 혜성으로 추정된다.

2019년에 VLT가 파악한 보리소프 혜성. 혜성의 이동에 맞춰 합성되었기 때문에 배경의 별은 선형으로 찍혀있다 (제공 : ESO / O. Hainaut)


Bagnulo 씨는 유럽 남천천문대(ESO)의 초대형 망원경 VLT를 이용하여 보리소프 혜성의 스펙트럼과 편광을 상세히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리소프 혜성의 편광특성은 헤일-밥 혜성 이외의 어느 혜성과도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보리소프 혜성이 헤일-밥 혜성처럼 원시적 혜성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혜성의 스펙트럼도 함께 분석하면 보리소프 혜성은 헤일-밥 혜성보다 더 원시적이며 태양계에 날아오기 전에 단 한 번도 항성에 접근한 적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보리소프 혜성은 탄생했을 때의 정보를 전혀 손대지 않은 채 태양계로 날아온 것이다.

“2개의 혜성이 매우 닮아 있다는 것은 보리소프 혜성이 태어난 환경과 태양계 초기의 환경이 조성이라는 점에서 그다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고 토리노 천문대의 Alberto Cellino 씨는 보았다.

ESO의 Bin Yang 씨 연구팀이 알마망원경과 VLT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리소프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입자를 조사한 결과에서 크기 1mm를 넘는 작은 자갈 정도의 덩어리가 발견되었다. 또한 혜성이 태양에 접근함에 따라 관측되는 일산화탄소와 물의 비율이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것은 보리소프 혜성이 행성계의 다른 장소에서 유래하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증거라고 한다. 즉, 보리소프 혜성은 탄생 직후 중심의 별에서 가까운 곳과 먼 곳 사이에서 이동하고 있었다.

Yang 씨 연구팀은 보리소프 혜성의 고향에서는 행성계의 물질이 거대한 행성의 중력으로 흐트러진 것으로 추정했다. 유사한 공정은 태양계 형성 초기에도 일어났을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最初の恒星間彗星は最も始原的な彗星
https://www.astroarts.co.jp/article/hl/a/11933_borisov

Posted by 말총머리
,


낯선 두 사람이 서로를 보고 한눈에 사랑에 빠지는 과정은 로맨틱한 만남 중 하나입니다. 그런 사랑이 '사랑'인지 아니면 '욕망'인 것인지에 대해 과학계 뉴스사이트 Live Science가 전문가의 견해를 정리했습니다.

Is love at first sight real?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is-love-at-first-sight-real

Is love at first sight real?

Experts suggest the phenomenon is just an illusion.

www.livescience.com


2016년 연구에서 연구자는 “사랑은 '욕망·매료·애착'이라는 3가지로 분류되어 각각의 요소가 서로 보강하고 있다”고 논했습니다. 논문의 저자에 의하면 이 3가지는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뇌에서는 별개의 프로세스로서 처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뇌의 편도체에 의해 조정되고 있는 테스토스테론이나 에스트로겐이라는 호르몬이 욕망에 관여하고 있는 한편 상대에게 끌리는 매료는 보상이나 쾌감 등의 감각에 대해 중요하게 작용하는 측좌핵과 복측피개야에서 결정됩니다. 또 사람이 누군가에게 매력을 느끼고 있을 때는 도파민이나 노르아드레날린, 코르티솔이라고 하는 신경전달물질이 작용하고 있고 애착을 느끼고 있을 때는 옥시토신이나 바소프레신이라는 호르몬이 우위에서 작용하는 상태입니다.


세 가지 유형의 사랑 중 첫눈에 빠진 순간의 두뇌를 지배하는 것은 욕망일 것이라고 영국의 The Bath Couples Therapy Practice의 임상심리학 박사인 에릭 라이든 씨는 보았습니다. 그는 “사랑스럽고 취한 듯한 감정은 오래 지속되지 않고 육체적인 매력과 욕망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라이든 씨가 생각하는 사랑이란 다행감과 강박관념적인 생각이 마음을 채우는 것과 동시에 육체에서는 행복 호르몬의 하나인 도파민이나 애정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옥시토신의 분비가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이것을 전술한 내분비계의 연구에 적용하면 욕망・매료・애착의 3가지 중에서 가장 진정한 사랑에 가까운 것은 애착이라고 합니다.

사랑을 키우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하는 온라인 클리닉 Dr Fox Online Pharmacy의 의료라이터인 데보라 리 씨는 “한눈에 반하는 사람도 있지만 심리학자로서는 이의가 있습니다. 사랑은 상대의 마음과 가치관 혹은 스킬을 사랑하게 되는 가운데 시간을 들여 자라기 때문입니다. 참사랑은 성적매력이나 열정만이 아닙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리 씨에 의하면, 연애의 초기 단계는 의존증을 닮아 있어 사랑이 시작될 때 활성화하는 뇌의 부위는 코카인 중독이 되어 있을 때와 같은 부위라는 것.


2016년 연구에서 로맨틱한 연애와 중독의 유사성에 대해 조사한 중국의 연구자들도 논문에서 사랑을 하고 있는 사람이 상대에게 열중하고 있을 때 그 사람은 기분이 이상해지는 감각과 발작적인 다행감과 함께 기분의 침체를 경험하고 강박적인 혹은 충동적인 행동에 촉진되고 뒤틀린 현실 속에 살며 종종 상대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감정은 관계가 성숙함에 따라 부드러워지므로 연애가 후기에 도달하면 약물중독과는 다르게 됩니다”라고 적었습니다.

첫눈의 사랑은 기억을 처리하는 뇌의 구조가 그렇게 만들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2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기억은 기억했을 때의 감정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 그러므로 파트너를 사랑하는 사람이 상대방과의 만남에 대해 회상하면 당시에는 그렇게 신경이 쓰이지 않았는데 처음부터 좋아했던 것처럼 착각해버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억의 왜곡 외에도 '긍정적인 착각'이라는 현상에 의해서도 파트너에 대한 인식은 영향을 받습니다. 친밀한 상대를 긍정적으로 보는 현상에 대해 파헤친 2018년 연구에서 가장 행복한 커플은 '장미빛깔의 안경'으로 상대를 보고 있는 사람들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상대가 긍정적으로 보이면 의심이나 대립이 적어 관계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게다가 긍정적인 착각에 빠지면 실제로는 친밀해지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첫만남 때부터 사랑하고 있었던 것처럼 느끼는 일도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3년 3월 8일에 런던에서 개최된 '인간게놈 변편집에 관한 제3회 국제회담'에서 불임치료의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의 초기 개념의 실증으로 '수컷 마우스의 세포로부터 난자를 만들고 수정하고 나서 암컷의 마우스에 이식하는 식으로 수컷과 수컷 사이에서 마우스를 낳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The mice with two dads: scientists create eggs from male cells
https://doi.org/10.1038/d41586-023-00717-7

Mice have been born from eggs derived from male cells | New Scientist
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2363627-mice-have-been-born-from-eggs-derived-from-male-cells/

Mice have been born from eggs derived from male cells

A method for turning male cells into egg cells in mice could one day be used to help men in a same-sex couple have children who are genetically related to them both

www.newscientist.com


인간의 세포에는 46개의 염색체가 있습니다. 이 중 한 쌍은 성염색체로 되어 있고 암컷의 경우는 XX, 수컷의 경우는 XY라는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난자와 정자는 생성과정에서 감수분열하기 때문에 핵상은 단상이 됩니다. 즉, 난자에 포함되는 성염색체는 반드시 X, 정자에 포함되는 성염색체는 X 또는 Y가 됩니다. 즉 아이의 성별은 정자의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Author: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source: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Human_male_karyotpe_high_resolution_-_Chromosome_Y.png


수컷과 수컷에서 배아를 만드는 시도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미시간 주립대학 이스트 랜싱교의 발생생물학자인 키스 레이섬 씨는 "2018년에는 ES세포를 사용하여 2마리의 암컷 또는 2마리의 수컷 사이에서 강아지를 낳는 데 성공했고 성장하고 번식력도 있었지만 수컷 사이에서 태어난 강아지는 불과 며칠밖에 살 수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2020년 오사카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에서 게놈생물학을 연구하는 하야시 카츠히코 교수는 성체의 수컷 마우스에서 채취한 세포를 사용하여 난자를 만드는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하야시 교수 연구팀은 수컷 마우스에서 채취한 세포를 재프로그램함으로써 iPS세포를 작성했고 이 세포의 일부가 자연적으로 Y염색체를 잃을 때까지 배양을 계속했습니다.

그 후 염색체의 불안정화를 촉진하는 리버신이라는 화합물로 처리해 성염색체가 XX가 된 iPS 세포를 찾아낸 후 난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유전자 시그널을 가했습니다. 이렇게 형성된 난자를 마우스의 정자로 수정시키고 그 배아를 암컷 마우스의 자궁에 이식했다고 합니다.


이식한 630개의 배아 가운데 7개만 성장했지만 성체가 되어 생식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 향후 이 실험에서 얻어진 새끼 마우스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종래의 방법으로 태어난 개체와 다른 점이 없는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유전자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DNA의 후성적 화학장식이 수컷 세포 유래의 난자에 얼마나 계승되고 있는지도 향후 연구에 기대되는 포인트라고 합니다. 후성유전자는 개체발생이나 세포분화 과정 등 중요한 생명현상에서 필수적인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후성유전자의 변화가 어떠한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야시 교수는 마우스와 인간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이번 연구와 같은 방법을 인간 세포에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합니다. 공동연구자로 교토대학의 발생생물학자인 사이토 츠츠키 씨는 이 연구방법으로 인간의 세포로부터 난자를 만들려고 하면 배양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버릴 가능성이 있어 유전적인 이상이나 후성유전의 변화도 축적되어 버린다고 지적했습니다.

by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genomegov/26990475591


일본생명윤리학회의 멤버로 홋카이도대학안전보건본부의 이시이 테츠야 교수는 “하야시 교수의 연구는 인간의 생식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끌 수 있고 이 연구가 인간에 적용되면 남성커플이 대리모의 협력하에 친자를 가질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0년에 등장한 Samsung의 Galaxy S20 Ultra 5G를 비롯한 Samsung의 하이엔드 스마트폰에서는 AI처리를 한 최대 100배의 '스페이스줌'이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삼성의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한 사진은 "정확한 것이 아니다"라고 Reddit 사용자인 ibreakphotos 씨가 지적했습니다.

Samsung "space zoom" moon shots are fake, and here is the proof : Android
https://www.reddit.com/r/Android/comments/11nzrb0/samsung_space_zoom_moon_shots_are_fake_and_here/

It looks like Samsung is cheating on 'space zoom' moon photos | AppleInsider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3/03/11/samsungs-smartphone-space-zoom-may-lean-heavily-on-ai-for-moon-shots

It looks like Samsung is cheating on 'space zoom' moon photos | AppleInsider

Moon photos taken with the "Space Zoom" of Samsung's flagship smartphone models appear to be more a feat of AI trickery than anything else, a Reddit user's investigation into the feature claims.

appleinsider.com


Reddit 유저의 ibreakphotos 씨는 삼성의 AI처리로 최대 100배 줌을 실현하는 스페이스줌 기능의 신뢰성에 의문을 품어 실제로 스페이스줌을 이용해 촬영할 수 있는 사진을 검증한 결과,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한 사진은 완전한 날조는 아니지만 진짜도 아닌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by Anh Nhat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Aon3Ov8toHM


미국의 기술관련 YouTuber인 MKBHD 씨조차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했다는 사진이 날조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ibreakphotos 씨는 부정하며 "삼성의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한 사진이 위조된 것이라고 증명한 사람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ibreakphotos 씨의 검증작업 살펴보면, 우선 달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170x170 픽셀로 축소하고 가우스 흐림으로 전체를 흐리게 했습니다. 다음 흐림처리가 끝난 달의 사진을 4배로 확대한 것.


170x170 픽셀의 흐림처리된 달의 사진을 모니터에 전체화면으로 표시하고 방의 조명을 모두 끈 후 멀리 떨어져 Galaxy의 스페이스줌 기능을 사용하여 100배 줌으로 흐린 달의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촬영된 사진을 살펴보면 흐림처리로 디테일이 상실되었던 달의 사진이 꽤 세세하게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프레임을 조합해 사진의 디테일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초고해상도 처리와 다양한 달의 사진으로 트레이닝된 특정 AI모델에 의한 디테일의 복원처리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ibreakphotos 씨는 설명하며 "마케팅적으로 사기이며 AI를 이용해 본래 존재하지 않는 디테일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멀티프레임, 멀티노광 등의 언급이 있지만 실제로는 광학계의 처리는 거의 없고 AI를 이용한 디테일의 추가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광학계의 처리로는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복원할 수 없습니다. 달은 지구에 조석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달 이미지로 AI모델을 훈련시키기는 매우 쉽다"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은 이런 의혹에 대해 부정했지만 Galaxy의 카메라 설정에서 Scene Optimizer를 OFF로 하자 스페이스줌으로 촬영해도 달의 디테일이 세세하게 처리되는 현상은 사라졌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ean-Michel Claverie/IGS/CNRS-AMU


북극권에 있는 4만 8500년 전의 영구동토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소생하는 ​​데 성공했다고 프랑스·러시아·독일의 연구팀이 발표했습니다. 얼음 아래에서 총 13종류의 신종 바이러스를 발견한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의 진행에 따라 얼음이 녹는다면 인류가 미지의 병원체와 접촉할 기회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경종을 울렸습니다.

Viruses | Free Full-Text | An Update on Eukaryotic Viruses Revived from Ancient Permafrost
https://doi.org/10.3390/v15020564

An Update on Eukaryotic Viruses Revived from Ancient Permafrost

One quarter of the Northern hemisphere is underlain by permanently frozen ground, referred to as permafrost. Due to climate warming, irreversibly thawing permafrost is releasing organic matter frozen for up to a million years, most of which decomposes into

www.mdpi.com


Scientists revive ‘zombie’ virus that was trapped for 48,500 years in the Arctic’s permafrost | Euronews
https://www.euronews.com/next/2023/03/09/scientists-revive-zombie-virus-that-was-trapped-for-48500-years-in-the-arctics-permafrost

Scientists find 48,500-year-old ‘zombie virus’ in Arctic permafrost

Researchers have revived ancient viruses trapped in the Arctic’s permafrost. They warn dangerous ones might resurface because of climate change.

www.euronews.com


Viruses in permafrost: Scientists have revived a 'zombie' virus that spent 48,500 years frozen | CNN
https://edition.cnn.com/2023/03/08/world/permafrost-virus-risk-climate-scn

Scientists have revived a 'zombie' virus that spent 48,500 years frozen in permafrost | CNN

Sign up for CNN’s Wonder Theory science newsletter. Explore the universe with news on fascinating discoveries, scientific advancements and more. CNN  —  Warmer temperatures in the Arctic are thawing the region’s permafrost — a frozen layer of soi

www.cnn.com


북반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영구동토는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급속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얼음 아래에서 크게 나누어 2개의 위협이 나타나는 것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영구동토에 갇혀 있던 유기물이 분해되어 방대한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를 방출로 기후변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얼음에 얼어 있던 태고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부활하는 것입니다.

프랑스에 있는 엑스 마르세유 대학의 장 미셸 크라브리 씨와 샹탈 아베르젤 연구팀은 2014년에도 3만 년 전 영구동토에서 고대의 거대 바이러스 '피소바이러스(Pithovirus)'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고 2015년에도 ‘몰리바이러스(Mollivirus)’라는 또 다른 거대 바이러스를 영구동토에서 발견했습니다.

독일의 포츠담에 있는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에서 작업 중인 크라브리 씨 / by Jean-Michel Claverie


고대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 온 크라브리 씨 연구팀은 2023년 2월에 학술지 'Virus'에 시베리아에 있는 영구동토 7곳에서 채취한 샘플로부터 연구팀이 '좀비 바이러스'라는 신종의 바이러스를 다수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13종의 새로운 바이러스 중 7종은 판도라 바이러스 속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영구동토의 심부에서 4만 8500년 동안 얼어 있던 판도라 바이러스 예도마(Pandoravirusyedoma)입니다. 아메바에 기생하는 이 바이러스가 영구동토에서 부활한 후에도 감염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아칸트 아메바에 감염되는 대형 DNA 바이러스가 영구동토의 심부에서 4만 8500년 이상 보낸 후에도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판도라바이러스 외에 Cedratvirus, Megavirus, Pacmanvirus, Pithovirus 등 합계 5개의 계통군에 속하는 바이러스를 발견했으며 2만 7000년 전의 맘모스의 털에서 발견된 피소바이러스는 이전의 것과는 다른 신종이었다고 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Pandoravirus(A와 B), Cedratvirus(C), Pithovirus(D), Megavirus(E), Pacmanvirus(F). source:https://www.mdpi.com/viruses/viruses-15-00564/article_deploy/html/images/viruses-15-00564-g001.png


연구팀은 안전을 위해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만을 선택적으로 부활시켰습니다. 크라브리 씨는 해외 미디어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발견된 아메바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는 영구동토에 숨어 있는 바이러스 전체로 치면 빙산의 일각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는 논문에서 발표한 것 이외에 심지어 많은 바이러스의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 바이러스가 아직 살아 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메바 바이러스가 살아있었으므로 다른 바이러스도 여전히 살아 있고 감염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얼음 아래 자고 있던 병원체가 현대 생물을 위협하는 사례는 이미 보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016년에는 녹은 영구동토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탄저병의 포자에 의해 적어도 20명이 탄저증으로 진단되었고 순록 2350마리가 죽는 사태가 시베리아에서 발생했습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가 어느 기간 동안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와 적절한 숙주와 접촉하여 감염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는 아직 모르지만 영구동토 융해가 가속화되고 산업발전의 영향으로 북극권에 사는 사람이 늘어나 지구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mos from Stockphotos.com source: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4N8oM5L7hyM


지구의 토양에 서식하는 일부 세균은 주변에 영양원이 없을 때 공기에 포함된 미량의 수소를 분해하여 전자를 에너지로 꺼내고 씁니다. 호주 모나쉬 대학의 생물의학 연구자인 Rhys Grinter 연구팀은 수소를 분해하는 효소를 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하고 실제로 공기 중의 수소를 직접 전류로 변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했습니다.

Structural basis for bacterial energy extraction from atmospheric hydrogen | Nature
https://doi.org/10.1038/s41586-023-05781-7

Electricity from thin air: an enzyme from bacteria can extract energy from hydrogen in the atmosphere
https://theconversation.com/electricity-from-thin-air-an-enzyme-from-bacteria-can-extract-energy-from-hydrogen-in-the-atmosphere-200432

Electricity from thin air: an enzyme from bacteria can extract energy from hydrogen in the atmosphere

The Huc enzyme can split hydrogen molecules to make electricity, raising the possibility of small devices that run on air.

theconversation.com


토양의 세균 중에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놀랍게도 세균은 연간 7000만 톤의 수소를 공기 중에서 제거하고 있다고 합니다. Grinter 씨의 연구팀은 방선균의 일종인 Mycobacterium smegmatis의 유전자를 해석하고 수소를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변환하는 효소인 hydrogenase를 분리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수소(수소분자)는 양전하를 가진 2개의 양성자가 2개의 전자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연구팀이 'Huc'로 명명한 Mycobacterium smegmatis의 hydrogenase는 이 결합을 절단하여 2개 양성자를 분리하고 전자를 방출시킵니다. 수소의 분해로 인해 방출된 자유전자는 세균의 전자전달계로 흘러들어 가 세포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는 것. 전류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Grinter 씨는 "이것은 Huc가 수소를 직접 전류로 변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대기 중에 차지하는 수소의 비율은 불과 0.00005%에 불과하고 이 정도의 저농도로 존재하는 수소를 소비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촉매에서는 곤란했습니다. 게다가 대기 중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산소도 수소를 소비하는 많은 촉매의 활성을 방해합니다.

Huc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Grinter 씨의 연구팀은 Mycobacterium smegmatis의 유전자를 변경하여 Huc에 특정 화학서열을 추가하고 Mycobacterium smegmatis로부터 Huc를 분리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수년간 실험을 반복하여 마침내 연구팀은 섭씨 -80도~80도의 범위에서 안정된 활성을 가지는 고품질의 Huc 샘플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분리된 Huc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 Huc는 Mycobacterium smegmatis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대기에 포함된 미량의 수소를 바로 전류로 변환하여 전기회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실제로 Huc은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고감도 장치인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로 검출할 수 없을 정도로 미량의 수소를 소비하고 있었고 Huc는 산소로 인해 전혀 저해되지 않는다는 다른 수소 소비형 촉매에는 없는 특성도 발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이 저온전자현미경법과 분광법으로 확인한 Huc의 원자구조 모델 / by Rhys Grinter


연구팀은 Huc가 천연대기 및 수소연료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류를 생성하는 '천연전지'처럼 기능하고 태양광발전의 대안으로 작고 지속 가능한 공기발전장치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Huc을 사용한 '천연 배터리'는 공기 중의 수소로부터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량은 결코 많지는 않지만 생체인증 모니터나 시계, LED, 단순한 컴퓨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인공적으로 제조한 수소연료를 공급하면 더 큰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 또 대기 중에 포함되는 미량의 수소로부터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Huc의 특성을 살려 매우 고정밀의 생체수소 검출센서로서의 응용도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아직 연구의 초기단계이며 실용화에는 Huc의 생산 규모를 현재의 밀리그램 단위에서 킬로그램 단위로 스케일업하는 등 몇 가지 기술적 과제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토양의 박테리아가 어떻게 생존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발견이 생명의 화학을 재검토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미래를 향한 기술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Taylor Vick source:https://unsplash.com/photos/M5tzZtFCOfs


Meta가 도메인 등록기관(도메인 이름등록을 하는 사업자)인 Freenom을 고소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Meta에 따르면 Freenom은 사이버 스쿼팅(도메인 사냥)을 하고 있으며 Freenom이 취급하는 ccTLD(국가 최상위 도메인)의 사용자로부터 Facebook · Instagram · WhatsApp에 대한 피싱공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Sued by Meta, Freenom Halts Domain Registrations – Krebs on Security
https://krebsonsecurity.com/2023/03/sued-by-meta-freenom-halts-domain-registrations/

Sued by Meta, Freenom Halts Domain Registrations – Krebs on Security

The domain name registrar Freenom, whose free domain names have long been a draw for spammers and phishers, has stopped allowing new domain name registrations. The move comes just days after the Dutch registrar was sued by Meta, which alleges the company i

krebsonsecurity.com


Freenom-First-Amended-Complaint-3March2023.pdf
https://krebsonsecurity.com/wp-content/uploads/2023/03/Freenom-First-Amended-Complaint-3March2023.pdf

Freenom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도메인 등록기관으로 ccTLD로써 취급하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cf', 가봉의 '.ga', 적도기니의 '.gq', 말리의 '.ml', 뉴질랜드령 토켈라우의 「.tk」에 대해서 등록료를 무료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Meta는 이 Freenom을 사이버 스쿼팅 및 상표권 침해혐의로 고소한 후 Facebook, Instagram, WhatsApp에서 피싱공격을 활발하게 벌이던 20명의 사용자의 신원정보도 요구했습니다.

2021년 기업경영 컨설턴트인 Interisle Consulting Group이 실시한 피싱공격에 관한 조사에서는 피싱 도메인으로서의 보고 수가 많은 ccTLD의 상위 10위 중 5개가 Freenom의 것이었습니다.


소장에서 메타는 “고객이 위반행위나 피싱행위를 하고 있다고 통보하더라도 Freenom은 같은 고객에게 계속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Freeom은 이 부정이용에 대한 불만을 비즈니스에 불리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무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 스쿼팅을 추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의 일부를 Freenom이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덧붙여 이 고소가 접수된 며칠 후부터 Freenom은 신규 도메인 등록의 접수를 정지했습니다. 보안 뉴스 블로그인 Krebs on Security가 Freenom에게 인터뷰를 요구했지만 반응이 없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