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3.06.23 치아를 보호하는 타액의 작용
  2. 2023.06.22 세계 최대 250MW 배터리시설을 캘리포니아에 완성
  3. 2023.06.22 습관적인 낮잠은 뇌 부피 증가로 이어진다
  4. 2023.06.21 낙뢰로 지금까지 지구상에서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신물질이 생성되다
  5. 2023.06.21 번개를 초당 7000프레임의 고속카메라로 촬영
  6. 2023.06.21 Apple Watch가 수면 중 폐혈전을 경고
  7. 2023.06.21 타이타닉호 부근에서 행방불명된 관광용 잠수정은 개발 초기단계부터 안전성이 의문시되고 있었다
  8. 2023.06.21 세상의 종말 같은 낙뢰 사진
  9. 2023.06.21 암흑물질의 수수께끼를 풀어낼 것으로 기대되는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10. 2023.06.21 Google 대책의 SEO로 만들어지는 검색로봇용 블로그 기사
  11. 2023.06.20 사람이 미세 플라스틱 입자를 흡입하는 메커니즘
  12. 2023.06.20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암이 체내에 퍼지는 원리
  13. 2023.06.20 지진과 우주선의 강도에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다
  14. 2023.06.20 VPN 앱 'Swing VPN'이 이용자를 몰래 DDoS 공격에 가담시켜
  15. 2023.06.20 이 우주는 통째로 블랙홀 안에 있다고 주장하는 '슈바르츠실트 우주론'
  16. 2023.06.19 모래투성이인 풀을 먹는 소의 치아가 마모되지 않는 이유
  17. 2023.06.19 숙주의 수명을 몇 배 이상으로 늘리는 기생충
  18. 2023.06.19 인류의 지하수 과다 사용이 자전축의 기울기를 변동시키고 있다
  19. 2023.06.19 동영상을 고품질 3D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기법이 등장
  20. 2023.06.17 로마 제국의 '수수께끼의 십이면체'
  21. 2023.06.16 대형 트럭으로 인한 비참한 사고를 막는 '간단한 조치'
  22. 2023.06.16 인텔이 12양자비트 양자컴퓨터 칩 'Tunnel Fall'을 발표
  23. 2023.06.15 장치의 전원 LED를 비디오 촬영하여 암호화 키를 훔치는 방법
  24. 2023.06.14 비만의 사람은 '충분히 먹었다'는 신호에 뇌가 반응하는 능력이 손상되어 체중 감량 후에도 회복하지 않는다
  25. 2023.06.13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퀘이사'
  26. 2023.06.12 문어는 자신의 RNA를 재작성하여 수온변화에 적응하고 있다
  27. 2023.06.11 레이저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
  28. 2023.06.09 무료로 GPT-4를 이용하고 요금을 타인에게 지불하게 하는 '해적판 GPT-4'가 횡행
  29. 2023.06.09 태양광발전 위성이 우주에서 지구로의 전력 전송에 성공
  30. 2023.06.08 월 280만 원 상당의 기본소득을 영국이 2년간 시험도입


우리 입안은 타액으로 항상 유지됩니다. 타액은 99.5%가 수분입니다. 타액의 pH는 평균 6.8(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이고 타액의 양이 많을수록 pH는 높아집니다.

타액의 분비량은 1일 1.0~1.5L로 안정기에는 1시간당 평균 19mL인데 비해 수면 중에는 1시간당 평균 2mL로 적어집니다. 즉 수면 중에는 타액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 타액의 작용

(1) 정화 작용
먹은 음식찌꺼기 등을 씻어낸다.
(2) 살균 작용
플라크(치구)의 발생을 억제한다.
(3) 보호 작용
치아에 코팅을 형성한다.
(4) 재석회화 작용
한번 녹은 치아성분의 재침착을 유발한다.
(5) 희석 작용
치아 표면의 산을 희석시킨다.
(6) 완충 작용
pH를 원래 상태로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 타액과 식사와 치아의 관계
식사를 할 때마다 입안의 pH는 산성이 되어 치아의 성분이 녹아납니다. 그러나 타액의 작용에 의해 약 40분 정도에 pH는 원래로 돌아가(완충 작용), 치아의 성분도 원래로 돌아옵니다(재석회화 작용).

그런데 식사의 횟수나 간식이 빈번한 사람은 pH가 돌아오기 전에 음식을 섭취하므로 입안은 산성상태가 길어져 충치가 되기 쉽습니다. 식사와 간식을 제한하고 시간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타액의 양을 늘리기 위해 잘 씹고 타액의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끌어내기 위해서 양치질도 반드시 실천합시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唾液の作用
https://www.ibmjapankenpo.jp/edental/dictionary/mushiba04.html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카운티에 용량 250MW로 세계 최대인 리튬이온 배터리시설이 9월 1일 완성됐다. 건설을 담당한 McCarthy Building Companies의 재생가능 에너지 및 스토리지 그룹이 발표했다.

LS Power Energizes Largest Battery Storage Project in the World, The 250MW Gateway Project in California 2020.8.19
https://www.lspower.com/ls-power-energizes-largest-battery-storage-project-in-the-world-the-250-mw-gateway-project-in-california-2/

2020년 9월 세계 최대 규모인 250MW의 용량으로
이 프로젝트는 Gateway Energy Storage Project로 북미의 에너지 벤처 LS Power가 개발했으머 캘리포니아주 전체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형 배터리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배터리는 CAISO(California ISO) 그리드에 연결되어 있다. 2020년 6월에는 용량이 62.5MW였지만 8월 1일에는 200MW에 도달했다. 9월 1일 현재 이미 230MW로 운영되고 있으며 9월 중에는 250MW에 이를 예정으로 이는 축전시설로서는 세계 최대이다. 프로젝트에는 LG의 셀이 사용되고 NEC도 협력하고 있다고 한다.

LS Power의 CEO인 Paul Segal 씨는 “LS Power는 30년 이상 보다 깨끗하고 혁신적인 에너지로의 전환을 주도해 왔다. LS 파워는 CO2 배출량을 줄이고 우리가 제공하는 시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McCarthy Building Companies의 재생가능 에너지 및 스토리지 그룹 EPC 담당 수석부사장 Dhruv Patel 씨는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 계속 노력하고 캘리포니아주가 야심찬 재생가능 에너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비용효율적인 높은 청정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테슬라와 PG&E는 캘리포니아주 몬테레이에 에너지 저장시설이 있다. 이 시설은 최대 182.5MW의 용량으로 그리드에 최대 4시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번 Gateway 프로젝트는 그것을 웃도는 규모이지만 테슬라와 PG&E는 몬테레이의 용량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Gateway 프로젝트가 세계 최대인 기간도 그리 길지 않을지도 모른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이러한 시설(Gateway와 몬테레이)은 주 전력저장 프로젝트의 일단에 불과하며 다른 배터리시설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석탄화력발전 이탈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 8월 14일에 일어난 계획정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배터리시설은 중요시되고 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5477687 / https://pixabay.com/ja/photos/%E7%9E%AC-%E7%9D%A1%E7%9C%A0-%E3%82%B9%E3%83%8C%E3%83%BC%E3%82%BA-%E7%9C%A0%E3%82%8A-2383407/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낮잠은 뇌의 인지능력에 긍정적이고 단시간의 낮잠은 취하지 않는 사람보다 인지능력 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사례가 있습니다. 최근 새로운 연구에서 습관적인 낮잠이 뇌의 총 부피 증가와의 관련이 나타났습니다.

Regular napping linked to larger brain volume | UCL News - UCL – University College London
https://www.ucl.ac.uk/news/2023/jun/regular-napping-linked-larger-brain-volume

Regular napping linked to larger brain volume

Daytime napping may help to preserve brain health by slowing the rate at which our brains shrink as we age, suggests a new study led by researchers at UCL and the University of the Republic in Uruguay.

www.ucl.ac.uk


Short daytime naps may keep brain healthy as it ages, study says | Neuroscience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3/jun/20/short-daytime-naps-may-keep-brain-healthy-as-it-ages-study-says

Short daytime naps may keep brain healthy as it ages, study says

Brief doze may delay brain shrinkage, which occurs faster in people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www.theguardian.com


이 연구는 우루과이의 공화국대학과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연구자에 의한 것으로 논문은 학술지 'Sleep Health'에 게재되었습니다.

연구팀은 멘델랜덤화법을 이용하여 습관적인 낮잠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는 DNA의 단편을 조사했습니다. 유전적으로 낮잠을 자도록 프로그램된 사람과 그러한 유전적 변이가 없는 사람의 뇌의 건강상태나 인지능력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낮잠이 프로그램된 사람은 뇌의 총용량이 컸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뇌용량의 평균 차이는 2.6세~5.6세의 노화에 상당하다고 추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뇌의 건강과 인지능력에 관한 척도 중 해마용적이나 반응시간, 시각처리에서는 큰 차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by Nick Gonzales / https://unsplash.com/photos/39l1AGq4G8Q


논문의 필두저자인 발렌티나 패스 씨는 “멘델랜덤화법은 출생시 설정된 유전자에 주목함으로써 낮잠과 건강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고 평생에 걸쳐 발생하는 교락인자를 회피합니다. 즉, 우리의 연구는 습관적인 낮잠과 뇌의 총용량 증가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UCL의 빅토리아 가필드 박사는 “단시간의 낮잠이 건강상의 이점을 보여주는 이번과 같은 연구가 낮잠에 여전히 존재하는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번개는 비교적 친밀한 자연현상이지만 대규모 방전으로 발생한 고에너지에 의해 반물질이 생성되는 것이 판명되는 등 아직 과학적인 발견이 끝나지 않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새롭게 낙뢰한 터에서 발견된 섬전암(閃電巖, Fulgurite)이라는 광물 중 우주의 물질과 지구상의 광물 사이에 있는 갭을 메우는 완전히 새로운 광물그룹이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Routes to reduction of phosphate by high-energy events |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https://doi.org/10.1038/s43247-023-00736-2

USF geoscientist discovers new phosphorus material after New Port Richey lightning strike
https://www.usf.edu/news/2023/usf-geoscientist-discovers-new-phosphorus-material-after-new-port-richey-lightning-strike.aspx

USF geoscientist discovers new phosphorus material after New Port Richey lightning strike

Due to a chemical reaction caused by a lightning strike, a new phosphorus material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solid form on Earth.

www.usf.edu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의 지구과학자인 매튜 파섹 씨 등이 플로리다주의 낙뢰현장에서 회수한 '번개 화석'이라 불리는 섬전암의 사진을 살펴보면 안이 공동이 된 튜브모양의 유리질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직경 2cm, 길이 7cm입니다.


이 섬전암을 발견한 장소는 플로리다주 뉴포트 리치의 민가입니다. 낙뢰의 흔적에서 광물을 발견한 집주인은 가치 있는 것으로 보고 판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구입한 파섹 씨는 이탈리아 피렌체대학의 결정학자인 루카 빈디 씨와 함께 광물분석을 했습니다.

섬전암 자체도 희소한 광물이지만 파섹 씨 연구팀의 분석에서 이 섬전암 안에 아인산칼슘(CaHPO3)과 비슷한 특이한 물질이 숨겨져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섬전암을 든 파섹 씨. by Matthew Pasek/University of South Florida


이 물질을 구성하는 인이나 칼슘 등의 원소는 모두 일반적인 것이므로 언뜻 보면 그다지 드물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에 따르면 자연계에 있는 인광물은 산화수가 '+5'인 것과 '-1'인 것밖에 발견되지 않는데 이번 발견된 산화수가 '+3'인 것은 천연 광물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고 합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의 Tian Feng 씨는 섬전암에서 발견된 물질을 재현하려 시료를 1000도까지 가열했지만 실험실 내에서 만들 수는 없었습니다. 이 사실은 +3 산화수의 인광물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특별한 조건과 적절한 타이밍이 갖추어져야 함을 나타냅니다. 연구팀은 시험에 섬전암에 포함되어 있던 철이나 규소도 첨가해 보았지만 결과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플로리다주와 같은 습한 기후에서는 수목뿌리에 철분이 축적되는 경우가 많고 섬전암에서 발견된 물질에 미량의 철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생성물은 낙뢰에 의해 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와 나무의 뿌리에 축적된 철분이 연소하여 생긴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물질은 운석에서 발견되는 것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운석의 유래에 관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것이 지구상에서 발견된 것으로부터 지구상에서의 인의 움직임인 인순환에 관한 지견에 영향을 주어 지구생명의 역사를 풀 열쇠가 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Feng 씨에 의하면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번개에 의한 인산염의 환원이 초기의 지구에서는 널리 일어나고 있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남아 있지만 이번 발견으로 지금까지 생각되지 않았던 형태로 인이 존재할 수 있음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 생성물이 초기 지구에서의 생명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섹 씨와 빈디 씨는 향후 이번에 발견된 물질을 공식적으로 새로운 광물로 선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번개가 떨어지는 순간은 너무 일순간이므로 정확하게 알기 어렵습니다. 그런 번개가 떨어지는 순간을 초당 7000프레임 촬영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공개되어 상상과는 다른 자연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ghtning Storm Recorded at 7000 Frames Per Second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QUIpltFo_fg


검은 구름 속에서 번개가 나타나 가지가 나뉘듯 뻗어나가고 사라지면서 지면을 향합니다.


번개가 땅에 도달하는 순간 거대한 섬광으로 하늘이 새하얗게 변하고 강렬한 플래시가 서서히 희미해지면 지면까지 확실히 뻗은 1개의 번개가 미동이 없이 빛나고 있습니다.


이 섬광은 하늘에서 지면을 향해 진행된 전자와 지면에서 튀어나온 양전하가 충돌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으로 육안으로는 하늘에서 내려온 것처럼 보이는 번개는 낙뢰의 순간에 지상에서도 번개가 생겨 하늘에서의 번개와 합체하여 강렬한 플래시가 되어 빛납니다.

이 낙뢰의 순간을 7000fps의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인물은 Geospace Physics Laboratory의 닌규 류 교수로 7000fps로 촬영한 영상을 700분의 1의 속도로 재생함으로써 육안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자연현상을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영상을 완성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Luke Chesser / https://unsplash.com/photos/LfSuZbuqzco


Apple Watch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체크한 후에 불규칙한 심박이 반복되면 통지해 줍니다. 지금까지 심장발작이나 심장병을 감지해 생명을 구한 케이스가 보고되었는데 새롭게 29세의 여성이 Apple Watch의 도움을 받은 케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Apple Watch saves local woman's life from deadly blood clot | WKRC
https://local12.com/newsletter-daily/apple-watch-saves-local-womans-life-from-deadly-blood-clot-kimmie-watkins-smartwatch-uc-college-medicine-study-becker-doctor-richard-heart-health-cincinnati-ohio

Apple Watch saves local woman's life from deadly blood clot

Her Apple Watch woke her up because her heart rate had spiked to 178 beats per minute.

local12.com


Apple Watch alerts 29-year-old Cincinnati woman to blood clot in lungs while sleeping - 9to5Mac
https://9to5mac.com/2023/06/19/apple-watch-blood-clot-sleeping/

Apple Watch alerts 29-year-old Cincinnati woman to blood clot in lungs while sleeping

A 29-year-old Cincinnati woman named Kimmie Watkins is crediting her Apple Watch for saving her life after it helped doctors...

9to5mac.com


현지 언론 WKRC에 따르면 미국 오하이오주의 신시내티시에 거주하는 키미 왓킨스 씨는 어느 날 아침에 강한 현기증을 느꼈기 때문에 그 날은 안정을 취했다고 합니다. 그동안 심장질환의 기왕력이 없었기 때문에 이 컨디션 불량은 단순한 배고픔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왓킨스 씨는 항상 Apple Watch를 착용해 심박수를 계측하고 있었는데 성인의 일반적인 휴식시의 심박수가 60~80회인데 비해 매분 178심박까지 상승했고 Apple Watch의 통지에 잠에서 깨어났다고 합니다.

곧바로 병원에서 진찰을 받았더니 '안장형 폐혈전 색전증'이라고 진단되었습니다.

안장형 폐혈전 색전증은 좌우 폐의 혈관에 안장과 같은 형태를 한 혈전에 막혀버리는 질병입니다. 신시내티대학 의학부의 심장전문의인 리처드 베커 박사에 따르면 안장형 폐혈전 색전증의 생존율은 50%라고 합니다. 또한 왓킨스 씨는 혈액이 굳어지기 쉬운 응고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항응혈제가 처방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1912년에 침몰한 호화 여객선 '타이타닉호'의 침몰지점을 목표로 잠수하다 2023년 6월 19일에 실종된 관광용 잠수정 '타이탄'은 개발 단계로부터 안전성이 우려되었고 개발 당시의 직원이 모회사인 OceanGate Expeditions에 대해 여러 번 위험성을 알렸으나 계속 무시되었다고 전직 직원의 고발에서 밝혀졌습니다.

Submarine missing near Titanic used a $30 Logitech gamepad for steering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gaming/2023/06/submarine-missing-near-titanic-used-a-30-logitech-gamepad-for-steering/

Submarine missing near Titanic used a $30 Logitech gamepad for steering

While rescuers fear for crew, Logitech F710 PC gamepad sells out within minutes.

arstechnica.com


Why Did the Missing Titanic Sub Use a $40 Video Game Controller?
https://www.vice.com/en/article/bvjjqq/why-did-the-missing-titanic-sub-use-a-dollar40-video-game-controller

타이타닉호의 침몰지점을 관광하는 타이탄에는 잠수정을 조종하는 사령관 1명과 민간인 4명이 승선하고 있었습니다. 2023년 6월 19일 잠수정은 운반선 '폴러 프린스'에서 분리되어 북대서양 케이프 코드 동쪽 약 900마일(약 1450km), 깊이 약 1만3000피트(약 4000m) 지점에서의 통신을 마지막으로 잠수 시작 후 약 1시간 45분 후에 연락이 중단되었다고 이 운반선의 승무원으로부터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타이탄의 조난으로 투어를 운영하는 OceanGate Expeditions의 낮은 안전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습니다. 초기 잠수정의 품질과 안전에 대한 우려로 유인시험 참여를 거부하고 OceanGate Expeditions에서 해고당한 전 잠수정 조종사인 데이비드 록리지 씨는 “부당한 해고를 받았다”며 잠수정의 품질과 안전성에 관한 정보를 고발했습니다. OceanGate Expeditions는 2018년에 잠수정에 관한 기밀정보를 불법으로 공개했다며 록리지 씨를 고소했습니다.

록리지 씨는 “잠수정이 깊이 4000m와 같은 극단적인 심해에 도달했을 때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잠수정의 재질인 탄소에 큰 균열이 생겨 승객이나 승무원에게 중대한 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록리지 씨가 잠수정의 안전성에 대해 OceanGate Expeditions에 우려를 표명했을 때 설계도와 압력 테스트 결과 및 기타 중요한 정보에 대한 열람은 거부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록리지 씨는 2018년 1월에 열린 OceanGate Expeditions의 스톡턴 러시 CEO와 인사부장, 운영부장과 록리지 씨를 포함한 회의에서 “OceanGate Expeditions는 잠수정을 4000m의 깊이까지 강하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잠수정의 전방에 있는 '뷰포트'는 1300m까지의 깊이밖에 견딜 수 없었으나 4000m까지 잠행할 수 있는 뷰포트에 대한 지불을 거부했다고 합니다.

록리지 씨는 “투어에 참가하기 위해 많은 돈을 지불하는 승객은 잠수정의 안전에 대한 우려와 잠수정에 위험한 가연성 물질이 사용된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OceanGate Expeditions에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록리지 씨는 해고되었습니다.

2022년 11월에 방송된 ‘CBS 뉴스 선데이 모닝’에서 리포터 데이비드 포그 씨는 잠수정 타이탄을 보고 노출된 디스플레이와 밸러스트에 건설용 파이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등 잠수정의 많은 부분이 즉석에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인다”고 언급했습니다.

A visit to RMS Titanic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29co_Hksk6o


포그 씨를 안내한 러시 씨는 타이탄의 조종에 57200원으로 판매되는 로지텍의 무선 게임 컨트롤러인 'F710'이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잠수정 '타이탄'의 조난의 원인은 선체의 파손이나 연료의 유출, 산소용기의 파손 등 여러 요인이 상정되고 있는데 선내에는 70시간부터 96시간분의 산소가 갖추어져 있어 현재 소나 탑재 항공기 등 여러 자원을 배치하여 열심히 수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Uğur İkizler / http://www.ikizler.org/wp-content/uploads/2023/06/ZTF_18_1920x1331_2a.png


터키의 천체 사진작가인 Uğur İkizler 씨가 터키에서 발생한 격렬한 뇌우를 50분에 걸쳐 타임랩스로 촬영해 100개 이상의 번개를 1장에 담은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Mudanya Gökyüzünde Gecenin Aydınlığı – ikizler.org – Uğur İkizler
http://www.ikizler.org/index.php/2023/06/18/mudanya-gokyuzunde-gecenin-aydinligi/

Electrifying time-lapse image captures 100 lightning bolts torching the sky over Turkey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planet-earth/weather/electrifying-time-lapse-image-captures-100-lightning-bolts-torching-the-sky-over-turkey

Electrifying time-lapse image captures 100 lightning bolts torching the sky over Turkey

The photographer combined individual images collected over a 50-minute period during an intense thunderstorm in Turkey.

www.livescience.com


이 사진은 터키 북서부에 있는 해안가의 거리인 Mudanya에서 İkizler 씨가 자택 부근의 하늘을 촬영한 것으로 현지 시각인 2023년 6월 16일 23시부터 50분간의 촬영으로 100개 이상의 번개가 포착했다고 합니다. 평균적으로 30초에 1회의 비율로 번개가 발생한 것입니다.

İkizler 씨는 과학계 뉴스미디어 Live Science와의 인터뷰에서 “뇌우는 장대한 시각의 스펙터클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사진에 나타나는 번개는 크게 나누어 3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구름 속에서 방전하는 'cloud-to-cloud', 육지로 떨어지는 'cloud-to-ground', 육지가 아닌 수상에 떨어지는 'cloud-to-water'입니다.

İkizler 씨는 타임랩스가 아닌 사진도 공개했는데 한 순간의 번개에서도 상당한 박력이 느껴집니다.

by Uğur İkizler / http://www.ikizler.org/wp-content/uploads/2023/06/IMG_4352.png


사실 격렬한 뇌우로 많은 낙뢰가 발생한다는 것 자체는 그다지 드물지 않습니다. Live Science에 따르면 세계 규모로 연간 14억 번, 하루에 약 300만 번 번개가 발생하고 있는데 초당 44번 번개가 발생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낙뢰의 전압은 1억~10억 볼트, 전류는 수십억 암페어로 이만큼의 에너지가 있으면 주위 온도를 1만 도에서 3만 3000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태양의 표면온도는 약 5500도입니다.

출처:https://pxhere.com/en/photo/798749?utm_content=shareClip&utm_medium=referral&utm_source=pxhere


또한 İkizler 씨의 사진에서는 번개가 특징적인 지그재그의 궤적을 그리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은 번개가 이러한 형상을 그리는 원인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지만 2022년에 발표된 연구에서 이 궤적은 번개가 지면을 향해 이동할 때에 불규칙하게 축적되는 고전도성 산소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안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유럽우주기관(ESA)이 2023년 7월 1일(토)에 발사를 예정하고 있는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우주 질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다는 수수께끼의 물질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이 어떻게 암흑물질을 조사하는지에 대해 영국의 주요 신문사 The Guardian이 설명했습니다.

Scientists hope Euclid telescope will reveal mysteries of dark matter | European Space Agency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3/jun/18/scientists-hope-euclid-telescope-will-reveal-mysteries-of-dark-matter

Scientists hope Euclid telescope will reveal mysteries of dark matter

European space probe will capture images that will provide insights about what the universe is made of

www.theguardian.com


암흑물질은 관측 가능한 물질로부터 추정되는 질량으로는 회전하는 은하가 항성을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중력을 얻을 수 없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해 광학적으로 직접 관측은 할 수 없는 것이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정체불명의 물질입니다. 주류의 가설에서는 우주의 약 25%가 암흑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70%는 우주의 팽창을 가속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암흑에너지, 나머지 5%가 원자 등 알려진 물질입니다.

암흑물질에 대해서는 5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소립자, 다른 물질을 암흑물질로 바꾸어 증식하는 물질, 음의 질량을 가지는 Dark fluid(암흑 유체)의 일부 등 다양한 가설이 제출되고 있는 한편 암흑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어서 여전히 암흑물질의 정체는 수수께끼에 싸여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ESA는 10억 유로(약 1조 5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수수께끼에 대해 밝혀내려고 합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의 천체물리학 교수인 앤디 테일러 씨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성질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면 우주를 이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으므로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예정되로라면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2022년에 러시아 소유즈 로켓을 사용하여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ESA가 러시아 우주개발기관인 로스코스모스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새롭게 일런 머스크 씨가 이끄는 SpaceX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획은 연기되었습니다. SpaceX의 팔콘9 로켓을 이용한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발사는 2023년 7월 1일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발사 후 약 1개월에 걸쳐 지구에서 150만km 떨어진 제2 라그랑주점까지 이동한다는 것. 제2 라그랑주점은 태양·지구·달을 배후로 하여 심우주를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도 이 지점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암흑물질은 빛을 방출·반사·흡수하지 않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지고 있어서 고성능인 우주망원경이라도 직접 관측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암흑물질의 질량에 의해 생기는 중력렌즈라는 효과를 포착해 암흑물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중력렌즈는 질량이 큰 물질에 의한 중력장을 통과할 때 빛이 굴절되는 현상을 말하며 항성이나 은하 등이 발하는 빛의 진행은 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암흑물질에는 질량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수백만 개의 은하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암흑물질의 질량에 의한 중력렌즈 효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다람대학의 마틸드 주작 교수는 “암흑물질이 만들어내는 중력렌즈는 암흑물질이 무엇으로 되어 있는지를 가르쳐 줄 것입니다. 암흑물질이 가벼운 입자로 되어 있는 경우와 매우 큰 입자로 되어 있는 경우 각각에서 다른 종류의 렌즈가 생성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Bastian Riccardi / https://unsplash.com/photos/0uMU42uRw28


많은 기업이 서비스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지만 Google의 검색결과를 끝까지 정성껏 보는 사람은 적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상위에 게재하는 것은 중요한 포인트이며,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SEO(검색엔진 최적화)에 나름의 힘을 쏟고 있습니다. 최근 구체적으로 검색엔진 로봇에 보여줄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숍블로그의 사례가 소개되었습니다.

Fem Power Gifts by GetBullish Blog – The Bullish Store
https://shop.getbullish.com/blogs/news

Fem Power Gifts by GetBullish Blog

Fun, funny, feminist gifts for all your favorite people – socks, hats, mugs, keychains, pens and pencils, office decor, candles, nameplates and signs, ironic trophies and awards, stickers, pins, wall art, hilarious oven mitts, swear-t kitchen dish towels

shop.getbullish.com


The customers might be human, but the audience is Google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3753963/google-seo-shopify-small-business-ai

The store is for people, but the storefront is for robots

Selling real things to real people means writing a steady stream of nonsense text that only web crawlers will ever read.

www.theverge.com


'The Bullish Store & Gift Shop'은 젠더문제를 취급하는 라이터인 제니퍼 지우라 씨가 개인사이트 'Get Bullish'에서 파생하는 형태로 만든 온라인숍으로 해당 블로그에는 입하한 신상품의 정보와 각종 이벤트에 맞춘 추천 상품의 정리 등의 기사가 게시됩니다. 그러나 Get Bullish에 게재되는 기사는 주로 여성 독자에게 읽을 것을 상정해 쓰여진 것이지만 숍의 블로그에 게재되는 기사는 검색엔진 로봇이 읽는 것을 상정하여 쓰여졌다는 것.

예를 들면 '아버지의 날'의 선물을 정리한 기사는 이런 느낌.

Best Father's Day Gifts 2023 | Gift Ideas – The Bullish Store
https://shop.getbullish.com/blogs/news/fathers-day-gift-ideas-2023

Best Father's Day Gifts 2023 | Gift Ideas

Father's Day is a day of commemoration and celebration dedicated to the fathers who stand tall as pillars of support in their families. This annual occasion honors fatherhood, paternal bonds, an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that fathers make towards shap

shop.getbullish.com


서두에 사진작가 안 게데스의 말이 인용되고 그 다음에 '아버지의 날이란?', '올해의 아버지의 날은 언제?'라는 기본정보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 후 추천 상품이 나오는데 인간 독자가 체크하는 것은 이 상품리스트의 부분만으로 그 외의 문장을 읽는 것은 로봇이라고 합니다.

이 내용에 대해 지우라 씨는 뉴스사이트 The Verge의 취재에서 "만약 내가 사람으로서 원하는 내용, 즉 25000원 이하의 선물을 25개 소개와 같은 각각의 상품의 사진이나 가격, 링크가 들어간 기사를 썼다고 해도 구글은 마음에 들지 않을 것입니다. 즉, (숍의 블로그의 문장은) 모두 검색엔진 전용으로 쓰여진 문장"이라고 말했습니다.

by Growtika / https://unsplash.com/photos/183Yxo3vsGY


지우라 씨는 본업인 라이터로서의 일이 다수 있기 때문에 사이트의 SEO에 쓰는 시간은 전체의 5% 정도. 그래도 Google에서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는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할 수밖에 없는 작업이므로 일찍 작업을 자동화했다는 것.

숍의 블로그의 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필리핀 거주의 어시스턴트. 인간 전용이 아닌 부분의 문장은 'Copymatic'이라는 콘텐츠 작성 AI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있다고 합니다.

Copymatic
https://copymatic.ai/

Generate Content & Copy In Seconds With AI

Use our AI-powered platform to write engaging, conversion-optimized and human-quality copy or content: from social media ads to full landing pages or blog posts in seconds.

copymatic.ai


덧붙여 숍에서는 블로그 뿐만이 아니라 사이트 본체의 상품페이지도 검색대책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설명문은 메이커 제공의 것과 지우라 씨 등이 쓴 것이 혼재하는데 구글은 짧은 상품설명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문장이나 사진을 추가했습니다. 추가하는 문장은 AI에서 생성됩니다. Google은 중복·유사 콘텐츠의 체크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AI를 이용해 메이커 제공의 설명과는 다른 독특한 설명을 붙이는 것도 포인트 중 하나.

지우라 씨는 “나는 C플러스, 혹은 B마이너스 정도의 평가를 얻을 수 있는 작업을 했다고 생각하고 A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SEO 전문가와 경쟁하는 고초를 토로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FLY:D / https://unsplash.com/photos/NXyXNl5LTqM


유체역학을 적용하여 인간이 흡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는 연구를 통해 건강 피해가 우려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입자가 어떻게 사람의 호흡기에 들어가는지를 확인했습니다.

How microplastics are transported and deposited in realistic upper airways? | Physics of Fluids | AIP Publishing
https://doi.org/10.1063/5.0150703

Microplastics Stick Around in Human Airways - AIP Publishing LLC
https://publishing.aip.org/publications/latest-content/microplastics-stick-around-in-human-airways/

Microplastics Stick Around in Human Airways - AIP Publishing LLC

WASHINGTON, June 13, 2023 – Research shows humans might inhale about 16.2 bits of microplastic every hour, which is equivalent to a credit card over an entire […]

publishing.aip.org


연구나 조사에서 식음료나 공기 중에 다량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고 2023년 5월에 발표된 시산에서는 도시에 강하하는 플라스틱은 하루 수십kg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Plastic Forecast | No Plastic Waste | The Minderoo Foundation
https://www.minderoo.org/no-plastic-waste/the-plastic-forecast/

The Plastic Forecast | No Plastic Waste | The Minderoo Foundation

The Plastic Forecast estimates the amount of ‘plastic rain’ to visualise the plastic problem in a call for a robust UN Treaty to end plastic pollution.

www.minderoo.org


1st Plastics Pollution Weather Forecast Predicts 88 Pounds of Microplastic Over Paris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1st-plastics-pollution-weather-forecast-predicts-88-pounds-of-microplastic-over-paris

1st Plastics Pollution Weather Forecast Predicts 88 Pounds of Microplastic Over Paris

Diplomats from 175 countries gathering in Paris for plastics treaty talks on Monday may want to pack an umbrella, but not just because there's a chance of rain.

www.sciencealert.com


독성 오염물질과 화학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흡입하면 심각한 건강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호주와 이란 대학의 연구팀은 2023년 6월에 유체역학을 전문으로 하는 과학지 Physics of Fluids에서 발표한 연구에서 상부기도에서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이동과 침착을 해석하기 위한 계산유체역학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연구 경위에 대해 논문의 필두저자인 뉴사우스웨일스대학 시드니교의 모하마드 S. 이슬람 씨는 “수백만 톤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입자가 물, 공기, 토양에서 발견되고 있고 세계에서 생산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양은 급증하고 있으며 공기 중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밀도도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에 처음으로 사람의 기도 안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발견되면서 호흡기계에 중대한 건강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슬람 씨는 연구에서 다른 형상(구형/4면체/원통형)과 크기(1.6/2.56/5.56마이크로미터)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호흡이 빠른 조건과 느린 조건에서 어떻게 운동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시뮬레이션에서 설정된 이러한 크기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실제로 해부에 의해 사람의 폐조직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호흡이 느린 경우에서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침착 패턴으로 구형(좌), 4면체(우), 원통형(하)의 형상을 한 직경 1.6 마이크로미터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한 것. 천천히 호흡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흡이 빠른 경우에 비해 호흡기에 부착하는 입자가 적으나 분포가 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는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거듭한 결과, 호흡에 의해 흡입된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비강이나 인두라는 특정한 장소에 집중해 부착하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또한 크기가 큰 5.56마이크로미터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입자는 작은 것보다 기도에 축적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 연구가 마이크로 플라스틱에의 노출과 입자의 흡입이 초래하는 우려의 심각성, 특히 산업활동이 활발하고 플라스틱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결과는 건강에 대한 위험평가 방법과 약물투여 방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퀸즐랜드 공과대학의 YuanTong Gu 씨는 “본 연구는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 중에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존재하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체내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암은 한국인의 사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런 암이 인간의 체내에서 어떻게 확대되는지에 대해 과학계 YouTube 채널인 Kurzgesagt가 설명했습니다.

A New Way to Understand Cancer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oJwt9l-XhQ


◆ 배제기(The Elimination Phase)

암은 1개의 손상된 세포로 시작합니다. 세포가 손상되면 깨진 유전자코드를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 후 파손된 세포는 점점 증식해 갑니다. 이것을 방치하면 즉시 위험한 상태에 빠진다고 합니다.


손상된 세포의 발생으로부터 몇 주 동안 손상된 세포는 자신의 복사본을 계속 만들고 하나의 세포가 수십, 수백, 수천 개로 증가합니다.

생성된 세포의 사본은 유전자가 변할 수 있으며 때로는 원래 세포보다 생존력이 뛰어난 세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가 모여 작은 종양이 형성됩니다.


종양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영양소와 산소가 필요하므로 추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주위의 건강한 세포에서 영양과 산소를 ​​빼앗게 됩니다. 건강한 세포는 점차 굶주리고 결국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종양이 어느 정도 커지면 대식세포나 자연살해세포(NK세포)와 같은 면역계가 활성화되게 됩니다. 이러한 면역세포는 종양 내에 침입하여 종양을 형성하는 세포를 찾아내는 대로 공격하고 먹고 소화함과 동시에 체내의 면역시스템 전체에 구제해야 할 암세포가 있다는 것을 전합니다.

그 후 보고를 받은 헬퍼T세포가 '사이토카인'이라는 단백질을 방출해 킬러T세포에 정보를 전달합니다.

킬러T세포는 돌연변이된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종양의 성장을 막습니다.


◆균형기(The Equilibrium Phase)

기본적으로 암세포는 인간이 인식하기 전에 배제기 중에 제거되지만 면역계로부터의 공격을 견딜 수 있는 돌연변이된 암세포는 살아남아 다시 확대나 성장을 시작합니다.

면역계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은 세포는 다시 수천 개의 사본을 만들고 이전보다 강한 종양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종양에 대한 공격경험을 쌓은 면역계는 더욱 강력한 공격을 종양에 가하고 손상된 세포를 제거합니다.


그래도 일부의 돌연변이를 이룬 세포는 살아남아 종양을 형성하고 면역계로부터의 공격을 받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면역계가 종양을 형성하는 세포를 모두 섭취할 수 있다면 인간의 생사와 관련된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결국 돌연변이를 이룬 악성 종양은 인간을 죽일 수 있는 위험한 암으로 성장합니다.

면역계는 세포를 공격하기 전에 한 번 세포를 비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되는 돌연변이 속에서 성장한 종양세포는 자신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계가 가진 수용체에 대해 공격을 하고 반대로 면역계를 불활성화시켜 버립니다.


그 결과 종양세포에 대한 공격기능을 잃은 면역계는 암의 추가 확대를 허용하게 되어 버립니다.

◆도망기(The Escape Phase)

도망기에 들어서면 제어불능인 확대를 계속하는 암에 대해서 킬러T세포를 비롯한 면역계는 공격을 하려 하지만 암으로부터는 조작된 신호가 발생하고 면역계의 작용은 강제적으로 정지되어 버립니다.

확대된 암은 건강한 세포가 생존할 수 있는 공간과 영양을 빼앗아 갑니다.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장기는 그 기능을 멈추고 결국 인간은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인간이 죽으면 그에 따라 암도 죽기 때문에 Kurzgesagt는 "승자가 없는 게임"이라고 비유했습니다.

많은 과학자가 암을 근절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고 최근에는 면역요법이라는 면역반응을 유도, 강화 또는 억제하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면역요법은 약물투여에 의한 종래의 치료법보다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신의 면역세포를 강화함으로써 내성을 가진 병원체의 발생이나 부작용의 병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brigachtal / https://pixabay.com/ja/photos/%E3%83%8E%E3%83%BC%E3%82%B6%E3%83%B3-%E3%83%A9%E3%82%A4%E3%83%88-%E3%82%AA%E3%83%BC%E3%83%AD%E3%83%A9-7589302/


지진은 때로는 큰 인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지진 발생시기와 장소를 예측하는 기술이 매일 연구되고 있습니다.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핵물리학연구소(IFJ PAN)가 우주선과 지진에서 상관관계를 발견했고 우주선의 강도를 관측함으로써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Observation of large scale precursor correlations between cosmic rays and earthquakes with a periodicity similar to the solar cycle - ScienceDirect
https://doi.org/10.1016/j.jastp.2023.106068

Intriguing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s an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992637

Intriguing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s and cosmic radiation

There is a clear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global seismic activity and changes in the intensity of cosmic radiation recorded at the surface of our planet, potentially helping to predict earthquakes. Surprisingly, it exhibits a periodicity that escape

www.eurekalert.org


IFJ PAN의 과학자이자 CREDO 프로젝트의 코디네이터인 피오트르 호모라 박사는 “태양과 심우주에서 오는 우주선과 지진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은 언뜻 보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물리적 기초는 완전히 합리적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호모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에 따르면 액체 금속으로 구성된 지구의 외핵 내에서 일어나는 와전류가 지구의 자기장 생성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 즉, 지진과 관련된 지구 내부의 움직임이 지구의 자기장을 변화시키고 그 자기장의 변화가 우주선에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팀은 보았습니다.

by Tumisu / https://pixabay.com/ja/photos/%E5%9C%B0%E9%9C%87-%E5%9C%B0%E9%9C%87%E8%A8%88-%E8%80%90%E9%9C%87-%E6%B3%A2-%E5%9C%B0%E7%90%83-3167693/


IFJ PAN이 2016년부터 진행하고 있던 CREDO(우주선 초분산 관측소) 프로젝트는 고급과학 검출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탑재된 CMOS 센서와 같은 소형 검출기로부터의 데이터도 수집해 우주선의 변화를 확인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주선의 강도변화와 진도 4 이상의 지진 규모에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주선의 변동은 지진 발생 약 15일 전에 관측되었는데 이에 IFJ PAN의 연구팀은 우주선의 관측데이터로부터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호모라 박사는 “과학의 세계에서는 뒷받침되는 데이터의 통계적 신뢰도로서 표준편차가 5에 도달했을 때 발견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우주선과 지진의 상관관계는 표준편차가 6을 넘어서고 이 상관관계가 우연의 산물일 가능성은 10억분의 1 이하라고 할 수 있어 우주선과 지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통계적 근거를 얻었다"고 보았습니다.

by Ελυαν_Νικόλαος / https://pixabay.com/ja/illustrations/%E5%9C%B0%E7%90%83-%E5%9C%B0%E9%9C%87-%E5%9C%B0%E9%9C%87%E8%A8%88-%E6%B3%A2-%E9%8C%B2%E9%9F%B3-7777688/


다만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지진이 발생하는 타이밍이며 어디에서 지진이 일어나는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또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우주선이 발생했을 때에 한정되고 지진의 규모가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 것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 우주선의 데이터와 지진 데이터의 상관관계에는 10~11년 단위의 주기성이 보였다고 합니다. 이 주기성은 태양 활동의 주기와 유사합니다. 게다가 지구의 항성일인 23시간 56분 4초에 상당하는 주기로 지진활동이나 우주선의 강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으로부터 우주와 지진의 상관관계는 지구 내부의 문제뿐만 아니라 지구 밖의 어떤 요인에 기인하고 있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떤 물리현상으로 이러한 주기성이 발생하고 있는지는 현시점에서는 불분명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VPN 앱으로 배포된 'Swing VPN'이 이용자의 몰래 DDOS 공격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Swing VPN app is a DDOS botnet | Greek geek
https://lecromee.github.io/posts/swing_vpn_ddosing_sites/

Swing VPN app is a DDOS botnet

tldr: Swing VPN is using its user base to DDOS sites using its users as a an attack botnet. Introduction It all started with a friend of mine complaining that his phone was doing a request to a specific app every few seconds. Initial assumption was that th

lecromee.github.io


이 행각을 발견한 lecromee 씨에 의하면 그의 친구가 자신의 휴대전화가 몇 초마다 특정의 ​​웹사이트에 리퀘스트를 송신하고 있다고 알린 것이 발단입니다. lecromee 씨는 당초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2분 정도 조사한 결과, 모든 요청은 VPN 서비스로 휴대전화에 설치된 Swing VPN으로부터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앱은 친구가 방문한 적이 없는 특정 웹사이트에 요청하고 있었으며 요청 페이로드 중에는 해당 사이트의 리소스를 대량으로 요청하는 엔드포인트에 요청을 보내려는 의도가 포함된 특정 데이터도 포함되었습니다.


Swing VPN은 항공사 'Turkmenistan Airlines'가 관리하는 웹사이트 내의 아래의 페이지에 약 10초마다 요청을 전송하고 있었습니다.
https://turkmenistanairlines.tm/tm/flights/search?_token=J8SxUX2Qwzltw4LiHsRHTCtfthgBYxf4hyI8oNly&search_type=internal&depart


이 URL의 특이성에 lecromee 씨는 "이것은 오류가 아니며 사이트에 ping을 보내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우선 lecromee 씨는 통신로그를 확인하기 위한 앱 'pcapdroid'를 자신의 단말기에 인스톨하고 Swing VPN의 동작을 체크하자 약 10초마다 일종의 요청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층 더 조사를 진행한 결과, Swing VPN은 'tm/flights/search'라는 플라이트 검색에 관련할 것 같은 엔드포인트를 요구하는 것이 판명. lecromee 씨는 “플라이트 검색은 많은 데이터베이스와 서버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매우 집중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Swing VPN이 서버 리소스에 스트레스를 주어 일반 사용자가 필요할 때 액세스할 수 없게 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습니다. 10초에 1회 정도의 요청이라면 DDoS 공격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문제는 공격 실행자의 수에 있습니다. Swing VPN은 500만 회 이상 설치되어 있어 10으로 나누어도 초당 50만 건의 요청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Lecromee 씨는 “Swing VPN의 제작자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악의적인 행동을 난독화하고 숨겼습니다. 이는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한 일반 사용자에 대한 불성실한 행동으로 유저의 전화기를 자신들의 범죄행위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덧붙여 Swing VPN은 Android 버전과 iOS 버전 중 문제가 되는 것은 Android 버전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lisovtsew123 / https://pixabay.com/ja/illustrations/%E6%98%9F-%E3%82%B9%E3%83%9A%E3%83%BC%E3%82%B9-%E3%83%96%E3%83%A9%E3%83%83%E3%82%AF-%E3%83%9B%E3%83%BC%E3%83%AB-5981947/


이 우주가 더 큰 '친(親)우주'에 있는 초거대 블랙홀 안에 푹 들어간다는 장대한 이론인 '슈바르츠실트 우주론'에 대해 과학계 뉴스사이트 Live Science가 설명했습니다.

Could Earth be inside a black hole?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space/could-earth-be-inside-a-black-hole

Could Earth be inside a black hole?

And for that matter, could our universe be inside a black hole?

www.livescience.com


만약 지구가 블랙홀에 삼켜지면 스파게티화 현상에 의해 늘어지고 분쇄되어 결국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립니다. 따라서 어느 시점에서 블랙홀이 지구를 삼켰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있지만, 사실 지구가 블랙홀 안에 있을 가능성은 아직도 존재합니다. 지구가 위치한 이 우주가 처음부터 블랙홀에서 탄생했다는 시나리오입니다.

by ipicgr / https://pixabay.com/ja/illustrations/%E6%97%A5%E9%A3%9F-%E5%A4%AA%E9%99%BD-%E3%82%B9%E3%83%9A%E3%83%BC%E3%82%B9-%E6%9C%88-%E6%98%9F-1492818/


슈바르츠실트 우주론, 혹은 블랙홀 우주론이라고 불리는 이 이론에서는 이 우주는 친우주 안인 블랙홀 안에서 팽창하고 있는 중이라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즉, 러시아의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우주 안에 추가로 우주가 있다는 중첩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미국 로드아일랜드대학의 블랙홀 물리학자인 가우라브 칸나 씨에 따르면 블랙홀은 빅뱅의 역버전과 같은 것으로 수학적으로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블랙홀이 모든 물질을 삼키는 초고밀도의 작은 특이점에 수렴해 나가는 것에 비해 빅뱅이론에서는 바로 이러한 특이점이 폭발해 모든 물질이 탄생했다고 설명되고 있습니다.

이 가설에서 빅뱅은 처음에 큰 친우주에 있는 블랙홀의 특이점이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블랙홀 안에 있는 이 고밀도의 중심부가 압축을 거듭하고 그것이 어떤 순간에 폭발하면 블랙홀 안에 아기 우주가 형성된다"고 칸나 씨는 설명했습니다.

블랙홀 사건의 지평면을 넘어서면 다시 돌아올 수 없기 때문에 이 가설을 증명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지만 만약 이 세계가 블랙홀 안에 있다면 그 블랙홀은 엄청나게 거대한 우주 규모의 블랙홀일 것입니다.

by AdisResic / https://pixabay.com/ja/illustrations/%E7%94%B7-%E5%AE%87%E5%AE%99%E9%A3%9B%E8%A1%8C%E5%A3%AB-%E6%98%9F-7722043/


매사추세츠대학 다트머스학교의 수학자인 스콧 필드 씨는 “우리가 블랙홀 안에 있다면 매우 클 것입니다. 지구가 행성 크기의 블랙홀이나 태양계 크기의 블랙홀 속에 갇혀 있다면 과학자들은 좀 더 알고 있을 것입니다. 왜곡, 즉 시간이 느려지거나 물질이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칸나 씨는 “만약 블랙홀 안쪽에 있다면 지구인이 다른 우주로 갈 방법은 없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고대 이집트의 미라의 치아가 상당히 마모된 원인으로 석구로 갈아 만든 밀빵에 섞인 모래가 지적되듯 음식에 포함된 모래와 자갈은 치아의 천적입니다. 그런데 모래나 흙이 묻은 풀을 먹고 나서 정기적으로 입안으로 되돌려 치아로 다시 씹는 '되새김질'을 하는 소 등의 반추동물은 다른 초식동물보다 치아가 마모되지 않습니다. 소의 치아의 건강에는 특수한 위의 작용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독일과 스위스 등으로 구성된 대학의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The Ruminant sorting mechanism protects teeth from abrasives | PNAS
https://doi.org/10.1073/pnas.2212447119

Press release: Healthy teeth thanks to the "washing machine effect”
https://www.uni-goettingen.de/en/73613.html?id=7088

초식동물의 먹이인 풀에는 모래나 먼지가 붙는 데 미세한 입자로 인해 치아가 줄어들면 아무것도 먹을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그 때문에 초식동물 대부분은 에나멜질이 길게 성장하는 치아인 '장관치'를 발달시켜 왔습니다.

by Ignacio Ferre Pérez / https://www.flickr.com/photos/104656857@N06/


소 등의 반추동물도 장관치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초식동물의 치아에 비해 치관, 즉 치경에서 나오는 부분이 조금밖에 없습니다.


같은 것을 먹는데 왜 이런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일 괴팅겐대학의 동물학자인 유르겐 훈멜 교수의 연구팀은 4마리의 소에 모래를 섞은 목초사료를 주고 되새김질을 위해 입으로 되돌린 먹이와 배출한 대변을 채취했습니다.

그리고 샘플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의 주성분인 실리카의 양을 분석한 결과, 대변에는 먹이에 섞은 것과 같은 양의 실리카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입으로 되돌린 먹이에는 거의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먹은 먹이에 포함된 실리카의 84% 전후가 제거되었습니다.

이에 훔멜 교수 연구팀은 “소는 되새김질 때 '루멘'이라 불리는 제1위로 모래를 씻어내고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반추동물은 위를 여러 개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루멘은 최대 크기의 위로 소화를 위한 미생물이 풀을 발효시켜 분해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루멘에 모래와 목구멍을 씻는 기능이 있다는 견해는 과거에 얻은 해부학적 지식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현대의 소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태고 초식동물의 역사와 진화의 발걸음을 밝히는데 있어서도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치아는 화석으로 보존되기 쉽고 특히 초기 초식동물의 생태와 생활환경을 복원하는 경우 치아가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훈멜 교수는 “우리의 연구는 대형 초식동물이 음식을 씹는 것에 대한 기본적이지만 거의 연구되지 않은 측면을 설명하고 치아의 기능과 진화 이해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출처:https://en.m.wikipedia.org/wiki/Temnothorax#/media/File:20140427_163127_7375M.JPG


서유럽에 서식하는 Temnothorax nylanderi라는 개미는 Anomotaenia brevis라는 기생충에 감염되면 일개미로서의 일을 그만두고 수명이 두 배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의 연구팀이 이러한 '숙주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생충'이 개미의 수명을 어떻게 조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논문을 생물학계 프리프린트 서버 bioRxiv에 게시했습니다.

Long live the host! Proteomic analysis reveals possible strategies for parasitic manipulation of its social host | bioRxiv
https://doi.org/10.1101/2022.12.23.521666

Long live the host! Proteomic analysis reveals possible strategies for parasitic manipulation of its social host

Parasites with complex lifecycles often manipulate the phenotype of their intermediate host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ransmission to their definitive hosts. Infection with Anomotaenia brevis , a cestode that uses Temnothorax nylanderi ants as interm

www.biorxiv.org


There's a Parasite That Triples Ants' Lifespans... And It Actually Sounds Pretty Great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theres-a-parasite-that-triples-ants-lifespans-and-it-actually-sounds-pretty-great

There's a Parasite That Triples Ants' Lifespans... And It Actually Sounds Pretty Great

Hosting a parasitic tapeworm isn't usually a desirable state.

www.sciencealert.com


Anomotaenia brevis라는 벌레는 딱따구리를 종숙주로 하는 기생충이며 딱정벌레의 알을 포함한 딱따구리의 분변을 먹은 개미를 중간숙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개미는 여왕개미를 정점으로 하는 집단을 형성하고 살고 있으며, 일개미는 여왕개미를 돌보며 일생을 마칩니다.

기생된 개미는 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치 여왕개미처럼 다른 일개미의 돌봄을 받게 됩니다. 3년에 걸쳐 집단을 계속 관찰한 연구에서는 다른 일개미가 보통 몇 개월 만에 죽어버리는 반면, 벌레에 기생된 일개미는 절반 이상이 3년 이상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y Herman / https://en.m.wikipedia.org/wiki/Temnothorax#/media/File:20140427_163127_7375M.JPG


The Tapeworm That Helps Ants Live Absurdly Long Lives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21/05/ant-tapeworm/618919/

The Never-Aging Ants With a Terrible Secret

A parasite gives its hosts the appearance of youth, and an unmatched social power in the colony.

www.theatlantic.com


독일 마인츠대학의 생물학 교수인 수잔네 포이츠크(Susanne Foitzik) 씨 연구팀은 이 기생충이 개미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개미의 혈액림프를 분석했습니다. 혈관계가 닫히지 않은 해방혈관계를 가지는 연체동물이나 절지동물에서는 혈액·림프액·조직액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체액을 정리하여 혈액림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 기생된 개미의 혈액림프에는 기생충 유래의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기생충 유래의 단백질에는 개미의 외형을 젊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2개의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고 역할이나 종류를 특정할 수 없는 단백질도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기생된 개미는 개미 자체에 의해 생산되는 'vitellogenin-like A'라는 단백질의 양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vitellogenin-like A는 개미사회에서의 분업과 생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생된 개미의 체내에서 이 단백질의 양이 늘어남으로써 다른 개미를 속여 여왕개미와 같은 돌봄을 받는다고 연구팀은 추정했습니다.


기생충이 vitellogenin-like A의 유전자 발현을 적극적으로 조작하고 있는지 아니면 기생에 의한 우발적인 작용으로 vitellogenin-like A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포이츠크 씨는 “사회성 곤충의 카스트는 일반적으로 유전자의 차이가 아니라 유전자 발현의 차이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데 기존의 제어경로를 이용한 이 전략은 기생충에게 유용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이 이용하는 물의 대부분은 풍부한 지하수에 지탱되고 있으며 1993년부터 2010년 사이에 지하에서 끌어올린 물의 양은 2조 톤 이상이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대량의 물이 인위적으로 이동한 결과 지구의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화해 북극점이 약 80cm, 연간 4cm 이상 이동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2023년 6월 15일 과학지 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되었습니다.

We’ve pumped so much groundwater that we’ve nudged the Earth's spin - AGU Newsroom
https://news.agu.org/press-release/weve-pumped-so-much-groundwater-that-weve-nudged-the-earths-spin

We’ve pumped so much groundwater that we’ve nudged the Earth's spin

  AGU press contact: Rebecca Dzombak, news@agu.org (UTC-4 hours) Contact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rs: Ki-Weon Seo,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kiweon@snu.ac.kr (UTC+9 hours) WASHINGTON — By pumping water out of the ground and moving it elsewhere,

news.agu.org


Rampant groundwater pumping has changed the tilt of Earth’s axis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3-01993-z

행성과 같은 천체가 자전하는 기울기는 안정적이지만 행성의 내부와 표면에서 큰 질량이 이동하면 그 영향으로 자전축도 변동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경우 가장 큰 요인은 계절적인 것으로 날씨와 계절의 변화에 ​​따른 대기 덩어리의 움직임으로 인해 지축은 매년 미터 단위로 흔들리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서울대의 지구물리학자인 서기원 교수는 “지구 표면에서 이동하는 모든 질량이 자전축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축의 기울기는 물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변화하는데 지금까지 이러한 물의 이동은 주로 빙하 등의 융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서 교수 연구팀이 지축의 기울기를 설명하기에 충분한 지구의 물의 움직임을 계산해도 데이터와는 맞지 않았다고 합니다. 빙하와 지표의 물의 이동을 고려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연구팀이 도달한 답은 지하수의 움직임이었습니다.

다음은 1993년~2010년 사이 지하수 저류량 변화의 합계(왼쪽)와 거기에 따른 해면의 변동(오른쪽)으로 단위는 수주밀리미터입니다. 파란색이 짙어질수록 지하수가 잘 이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북미 서부와 인도 북서부에서 현저했습니다.


연구팀은 관측에 의해 도출된 지구의 회전축의 변화와 물의 움직임을 모델화하고 나서 우선 빙하나 빙상만을 고려하여 계산을 실시한 다음, 지하수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2150기가톤, 즉 2조 1500억 톤의 지하수가 이동한 경우에만 지축의 기울기가 관측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양의 물은 세계의 해수면을 6.24mm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만약 지하수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실제 지구의 극점의 움직임과 계산 결과 사이에는 약 78.48cm의 오차가 생겨 버린다는 것.


이 결과로부터 연구팀은 지하수의 이동에 의해 지구의 회전극은 1993년부터 2010년 사이에 동경 64.16도를 향해 약 78.48cm 이동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것은 지하수의 영향만으로 북극점이 러시아의 노바야 제믈랴를 향해 연간 약 4.36cm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관측된 극점의 움직임(빨간색 화살표)을 지하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계산 결과(파란색 파선 화살표)와 고려하는 경우(파란색 실선 화살표)와 비교한 그림입니다. 지하수의 이동을 고려한 결과는 관측된 극점의 움직임과 잘 일치하고, 지하수가 지구의 자전축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크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 교수는 “회전극의 흔들림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던 것은 매우 기쁜 일입니다. 한편 지구의 주민으로서, 또 아이를 가지는 아버지로서 지하수의 사용이 해수면 상승의 또 다른 원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놀라움과 우려를 느낀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화상·영상을 입체로 변환하는 기술 'Neural Radiance Fields(NeRF)'로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한 긴 영상을 취급하는 것은 어렵고 품질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최근 한국과학기술원과 국립대만대학, Meta, 메릴랜드대학교 컬리지파크교의 연구자들이 긴 영상에서도 고품질의 3D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는 기법을 고안해냈습니다.

Progressively Optimized Local Radiance Fields for Robust View Synthesis
https://localrf.github.io/

Immersive 3D Rendering from Casual Video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VizL7q9o-5Y


화상·영상을 입체로 변환하는 기술 'Neural Radiance Fields(NeRF)'는 3차원의 위치정보와 시야의 방향을 밀도나 색에 대응시켜 볼륨표현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볼륨 렌더링을 사용하여 픽셀을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이 렌더링 프로세스는 미분 가능하며 모든 광선을 렌더링하여 재구성 오류를 최소화하여 장면표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합성 오브젝트라면 유계영역에서 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매우 유효합니다.

현실 풍경의 경우 카메라에 가까운 물체와 먼 물체도 포함되기 때문에 조금 어려워집니다. 모든 카메라가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는 정규화 디바이스 좌표(NDC)를 사용해 공간을 변형시켜 경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가 안쪽을 향한 360도 사진의 경우 'Mip-NeRF 360'이 공간을 유계영역에 매끄럽게 변형시키기 위한 수축조작을 제공해 줍니다.


그러나 어려운 것은 긴 궤적에서 캡처된 대규모 장면의 모델링입니다. 수축기술은 여전히 ​​적용 가능합니다.

렌더링 결과는 처음에는 좋은 것처럼 보였지만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품질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연구팀이 생각한 것은 궤적을 따라 여러 국소적인 방사휘도 필드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고품질의 재구성 및 자유시점 합성결과를 유지하면서 매우 긴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남은 과제는 카메라의 구도입니다.

대부분의 NeRF는 SfM(Structure from Motion) 알고리즘을 통해 카메라 구성을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SfM 알고리즘은 견고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구도추정에 실패하면 해결책이 없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방사휘도 필드와 함께 카메라 프로세스를 예측하는 수법. 이 수법은 짧은 시퀀스이면 잘 작동하지만 긴 시퀀스라면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국소적인 방사휘도 필드를 만드는 틀로 카메라 프로세스를 점진적으로 추정하기로 했습니다. 국소적 추정과 점진적인 추정을 통해 더 높은 견고성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렌더링은 인접한 방사휘도 필드의 결과를 혼합하여 원활한 전환을 실현합니다.


영상 후반부에서는 다른 NeRF와의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연구팀의 기술이 긴 시퀀스에서도 매끄러운 렌더링에 성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Kleon3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18_Rheinisches_Landesmuseum_Bonn,_Dodekaeder_%26_Ikosaeder.jpg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기원후 수백 년에 걸쳐 영화를 누렸던 로마 제국의 유적에서 지금까지 100개 정도의 '수수께끼의 십이면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십이면체가 도대체 ​​무엇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는지 뉴스미디어 BigThink가 소개했습니다.

Mysterious dodecahedrons of the Roman Empire - Big Think
https://bigthink.com/strange-maps/roman-dodecahedrons/

Mysterious dodecahedrons of the Roman Empire

The first of many dodecahedrons was unearthed almost three centuries ago, and we still don't know what they were for.

bigthink.com


1739년 영국의 하트퍼드셔주 애스턴에서 최초의 십이면체가 발견된 이후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116개가 영국 북부와 헝가리에 걸쳐 광범위하게 출토되었습니다. 크기는 4cm~11cm로 제각각이었고 대부분의 십이면체는 중심을 향해 구멍이 열려 있으며 각의 정점에는 둥근 돌기가 붙어 있습니다.

대부분은 청동기이고 돌로 만들어진 것도 있고 구멍이나 돌기가 없는 것도 보석고에서 발견된 사례도 있기 때문에 소유자가 이 십이면체를 귀중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by Woudloper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User:Woudloper


이 십이면체가 장난감인지 도구인지에 대한 의문은 현시점에 이르기까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개의 용도가 추정된다고 합니다.

수수께끼의 십이면체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운세에 사용된 도구'라는 가설입니다. 1082년 제네바에서 발견된 십이면체에는 십이별자리의 라틴어 이름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점성술이나 어떠한 의식에 사용되었다는 가설이 유력시되었습니다. 십이면체는 로마 제국의 북서부에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당시 그 주변에 살았던 갈리아인이나 켈트인의 영향을 받은 의식에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2022년 벨기에에서 십이면체가 발견되었을 때 프랑스의 갈로-로망 문화박물관의 Guido Creemers라는 학예원이 “기독교 하에서 금지된 운세·마법 등 신비한 활동 때문에 비밀리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이런 활동은 당시 허가되어 있지 않고 위반자에게 강한 처벌을 가했기 때문에 문헌정보가 발견되지 않는 이유"라고 추정했습니다.

by G.Garitan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0/Chatillon_sous_les_cotes_dod%C3%A9caedre_Li%C3%A9nard_1884_100196.jpg


BigThink에 의하면 그 밖에도 게임의 주사위로 사용되었다는 가설과 어망의 추라는 가설, 군사 목적을 위해 토지를 측량하는 도구나 위조 동전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춘분·추분의 날이나 보리 씨 뿌리기의 최적일을 결정하는 캘린더라는 가설도 나왔습니다.

또 1960년대 고고학자들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비슷한 십이면체를 발견했다는 것. BigThink는 “이것은 로마 제국의 시대의 것이 아니지만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번성하고 있던 국가가 로마 문화에 영향을 받은 증거일지도 모른다”고 보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트럭의 차체 아래에 승용차 등이 잠입하는 'underride(언더라이드)'라는 형태의 교통사고에 의한 사상자 수는 간이한 안전장치를 트럭에 추가하는 것만으로 경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당국이 무시하고 대책을 실시하지 않았던 실태가 비영리 보도기관인 ProPublica와 미국의 TV프로그램 FRONTLINE의 공동취재에서 밝혀졌습니다.

How Regulators Failed to Act to Prevent Underride Crashes — ProPublica
https://www.propublica.org/article/underride-crashes-nhtsa-dot-iihs-safety-cars-trucks

Trapped Under Trucks: The Inside Story of the Government’s Failure to Prevent Underride Crashes

For decades, federal safety regulators ignored credible scientific research and failed to take simple steps to stop gruesome roadway crashes involving heavy trucks. Meanwhile, the bodies piled up.

www.propublica.org


2017년에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생한 언더라이드 사고의 모습을 담은 현장 사진을 살펴보면 현대 엘란트라를 시속 40마일(시속 약 64km)로 운전하고 있던 리카르도 마르코스 씨(오른쪽)는 귀가 도중에 갑자기 옆길에서 합류해 온 대형 트럭에 추돌해 그대로 사망했습니다.


검사관의 보고서에 의하면 이 충돌로 마르코스 씨는 갈비뼈를 골절했고 간과 비장이 파열, 목도 부러져 뇌의 전두엽이 손상됐다는 것. 현지 수사관은 충돌의 책임은 트럭 측에 있다며 운전자를 과실치사죄로 기소했지만 결국 기소는 철회되었습니다.

이러한 비참한 사고는 드문 일이 아닙니다. 승용차나 SUV 등이 대형 트럭의 하단에 잠입해 버리는 언더라이드에 의해 미국에서만 매년 수백 명이 생명을 잃고 있습니다.

언더라이드는 트럭의 뒷부분과 양쪽에 '언더라이드 가드'라는 철제 가드를 설치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언더라이드 가드 설치의 의무화는 느리게 진행되고 있지 않습니다.


ProPublica와 Frontline은 1960년대 이후 언더라이드 사고에 대해 보고한 수천 페이지에 걸친 정부의 문서를 입수하고 그 내용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도로안전당국인 운수성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의 결과를 오랫동안 무시하고 언더라이드의 위험을 경감하는 간단한 조치를 강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NHTSA가 조치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이 사고로 얼마나 많은 희생이 발생했는지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NHTSA는 2023년에 들어서 마침내 정확한 실태를 파악할 수 없었다는 것을 공적으로 인정했는데, NHTSA가 수집한 통계정보에 따르면 2021년에는 언더라이드 사고로 400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것. 전문가들은 실제 사망자 수가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또 규제당국은 트럭 운송업계의 저항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예를 들어 트럭업계는 1980년대에 리어범퍼(리어 언더라이드 가드)를 장비시키면 1대당 127달러(약 1만8000엔)의 비용이 든다고 추정했고 업계 로비스트는 안전대책은 엄청난 비용이 들고 미국경제가 지속적인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해 왔습니다.


NHTSA의 최고 임원으로 근무한 경력을 지닌 데이비드 프리드먼 씨는 “NHTSA는 수십 년 전부터 언더라이드에 의한 사망사고를 줄이려고 노력해 왔지만 산업계가 당국의 노력을 억제하고 방해했다"고 말했습니다.

자동차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설계된 안전대책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충격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범퍼나 크래셔블 존, 운전자나 동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전형적인 세미 트레일러의 하단은 노면에서 약 4피트(약 121cm)의 높이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기술은 무의미하게 되어 버립니다. 그 때문에 충돌의 충격이 윈드스크린을 직격해 차의 지붕을 지지하는 지주(필러)가 부러져 트레일러의 하부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을 밀어 넣고 종종 에어백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언더라이드 가드가 장착되어있는 경우(위)와 바람막이용 판밖에 없는 경우(아래)를 비교한 충돌실험의 양상인데 사람이 타고 있는 공간의 손상이 완전히 다른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언더라이드 가드 보급을 향한 대처는 1967년 할리우드 스타의 제인 맨스필드가 언더라이드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당시 대형 트럭의 후부에는 언더라이드 가드(당시의 명칭은 리어가드)의 장착이 의무화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규제가 느슨해 리어가드의 크기나 강도의 기준은 없었기 때문에 차가 추돌하면 간단하게 부서져 버려 언더라이드 사고를 막는 효과는 거의 발휘되지 않았습니다.

강도가 낮은 언더라이드 가드의 효과를 검증했을 때의 모습을 살펴보면 충돌과 동시에 부러져 빠져 버립니다.


반면에 견고한 언더라이드 가드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차체가 트럭 아래로 잠입하는 것을 방지한 덕분에 추돌한 차의 운전석은 무사했습니다.


수년간 후방의 언더라이드 가드에 관한 규제에 반대해 온 미 트럭협회(ATA)는 최근 들어 규칙을 지지하는 방침으로 태도를 완화했습니다. 그러나 ATA를 포함한 업계단체는 차체 측면에 설치하는 언더라이드 가드에 대해서는 여전히 강경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개인운전자와 소규모 트럭 운송회사를 대표하는 단체인 Owner-Operator Independent Drivers Association의 부회장으로 자신도 이전에 트럭운전사였던 레이 퓨 씨는 “실제로 트럭을 운전한 경험자로서 말하자면 사이드 언더라이드 가드가 작동하고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특정 사례와 특정 상황이 존재하는 것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이드 언더라이드 가드로 인해 인명이 희생될 수도 있습니다”라며 언더라이드 가드의 필요성에 신중한 견해를 보였습니다.

트럭운전자가 정부의 정책과 신기술에 불신감을 느끼는 이유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75년에 NHTSA는 대형 트럭과 트레일러에 안티록 브레이크를 의무화하는 규칙을 마련했는데 문제가 많아 고장나기 쉬운 것으로 나중에 판명되어 트럭 운전사들은 제동능력을 상실해 도로 옆으로 넘어질 수밖에 없는 사태를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언더라이드 가드의 의무화는 비용과 구원받는 생명의 줄다리기가 됩니다. NHTSA의 계산에 의하면 미국의 새로운 세미트레일러 트럭에 언더라이드 가드를 설치하면 7억7800만 달러(약 1조 980억 원) 이상의 비용이 들고 연간 17.2명의 사망을 막을 뿐이라고 것.

그러나 이 추계에 납득하지 않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교통안전보험협회 차량연구센터의 연구자인 매트 블랑볼로 씨는 “측면의 언더라이드 가드가 구할 수 있는 생명의 현실적인 수치는 연간 159명에서 217명으로 NHTSA의 조사결과보다 훨씬 높다”며 “NHTSA는 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Intel이 2023년 6월 15일에 양자컴퓨터 연구용 칩 'Tunnel Fall'을 발표했습니다. Tunnel Fall을 사용하면 연구자는 대규모 실험장비를 준비하지 않고도 양자컴퓨터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Intel’s New Chip to Advance Silicon Spin Qubit Research for Quantum Computing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newsroom/news/quantum-computing-chip-to-advance-research.html#gs.0rodgr

Intel’s New Chip to Advance Silicon Spin Qubit Research for Quantum...

Intel makes new quantum chip available to university and federal research labs to grow the quantum computing research community.

www.intel.com


Intel Introduces Tunnel Falls Silicon Qubit Research Chip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r3KnEUkxj3M


양자컴퓨터는 현행 컴퓨터의 성능을 크게 웃도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전세계에서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 연구에는 대규모 실험설비가 필요하며 예산이 적은 연구기관이나 팀의 진입이 어려운 문제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텔은 대규모 설비가 없어도 양자컴퓨터 연구를 할 수 있는 칩으로서 Tunnel Fall을 개발했습니다.

by by IBM Research / https://www.flickr.com/photos/ibm_research_zurich/50252942522


Tunnel Fall은 12양자비트(큐비트)의 양자컴퓨터 칩으로, Intel이 CPU의 생산으로 축적해 온 극단 자외선 리소그래피(EUV)등의 기술을 이용해 생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Tunnel Fall의 제조라인에는 기존의 CPU 제조라인과 유사한 것을 이용하고 있어 실리콘 웨이퍼 전체에서 95%라는 높은 수율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Intel은 미 육군연구소가 주도하는 양자컴퓨터 연구지원 프로그램 'Qubits for Computing Foundry(QCF)'의 일환으로 Tunnel Fall을 여러 연구기관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샌디아국립연구소나 로체스터대학, 위스콘신대학 매디슨교에 Tunnel Fall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도 제공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샌디아국립연구소의 드와이트 루먼 박사는 “Tunnel Fall은 서로 다른 양자비트 부호화의 비교와 새로운 양자비트 동작모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플랫폼”이라며 “Tunnel Fall의 신뢰성으로 샌디아국립연구소는 양자컴퓨터 개발에 종사하는 인력을 새롭게 맞이하고 신속하게 훈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덧붙여 Intel은 Tunnel Fall에 이어지는 차세대 양자컴퓨터 칩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 중에 차세대 칩을 출시예정이고 향후 상용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많은 전자장치에는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LED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LED를 비디오 촬영하여 디바이스의 암호화 키를 복원할 수 있다는 비디오 베이스의 암호해독법을 해커 벤 나시 씨 팀이 밝혔습니다.

Video-Based Cryptanalysis
https://www.nassiben.com/video-based-crypta

Video-Based Cryptanalysis

           Ben Nassi,  Etay Iluz,  Ofek Vayner,  Or Cohen,  Dudi Nassi,  Boris Zadov,  Yuval Elovici           Cornell Tech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 TLDR We were able to recover secret keys from non-compromised

www.nassiben.com


Hackers can steal cryptographic keys by video-recording power LEDs 60 feet away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23/06/hackers-can-steal-cryptographic-keys-by-video-recording-connected-power-leds-60-feet-away/

Hackers can steal cryptographic keys by video-recording power LEDs 60 feet away

Key-leaking side channels are a fact of life. Now they can be done by video-recording power LEDs.

arstechnica.com


Video-Based Cryptanalysi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ITqBKRZvS3Y


디바이스가 CPU를 이용한 처리를 했을 때의 소비전력량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닙니다. 전력소비량의 변화는 전원 LED의 약간의 깜박임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의 LED도 깜박입니다.


나시 씨가 개발한 것은 이 LED의 깜박임을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시큐리티 카메라로 촬영하는 수법입니다. 이런 식으로 공격자는 장치가 암호화 및 해독에 사용하는 비밀 암호화 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방법을 살펴보면, 촬영한 전원 LED의 영상을 확대 후 롤링셔터를 이용해 색의 판독을 합니다.


프레임당 LED 색상의 미묘한 변화를 포착하여 암호화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확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삼성 갤럭시 S8을 충전하는 USB 허브에 연결된 스피커의 LED를 iPhone 13 Pro Max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갤럭시 S8의 378 비트의 암호화 키를 얻었다고 합니다.


LED의 색의 차이는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차이인데 RGB 수치에는 미묘한 차이가 나와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카드 리더의 경우 16m 떨어진 곳에서 네트워크 카메라로 LED를 촬영하고 영상을 분석하여 256비트 ECDSA 키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나시 씨에 의하면, 이 취약성은 전원 LED가 아니라 암호 라이브러리의 문제로, 전원 LED는 악용을 위한 시각적인 인프라를 제공해 버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에 입증된 공격을 막는 방법은 최신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비만인은 하루에 필요한 섭취 칼로리를 초과한 양을 먹어 버리는 경향이 보이고 체중 감량 후에도 체중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예일대학과 하버드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새로운 논문에서는 비만인 사람의 뇌는 '벌써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했다'는 위장의 시그널에 반응하지 않게 되어 체중 감량 후에도 그 능력은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iminished brain response to nutrients observed in people with obesity | YaleNews
https://news.yale.edu/2023/06/12/diminished-brain-response-nutrients-observed-people-obesity

Diminished brain response to nutrients observed in people with obesity

A new study reveals a diminished response to nutrients among people with obesity — and that this brain response is not recovered after weight loss.

news.yale.edu


Obesity changes the brain, with ‘no sign of reversibility,’ expert says | CNN
https://edition.cnn.com/2023/06/12/health/obesity-changes-brain-wellness/

Obesity changes the brain, with ‘no sign of reversibility,’ expert says | CNN

CNN  —  Obesity may damage the brain’s ability to recognize the sensation of fullness and be satisfied after eating fats and sugars, a new study found. Further, those brain changes may last even after people considered medically obese lose a signific

www.cnn.com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 매년 400만 명 이상이 비만을 원인으로 하는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어 비만에 영향을 주는 생물학적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2023년 1월 발표된 논문에서는 마우스가 고지방식을 계속 먹으면 칼로리 섭취량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이 파괴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지만 인간의 영양소 신호전달에 대해서는 이해되지 않은 점도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예일대학의 내분비학 연구자인 미레이 사리 씨가 이끄는 연구팀은 실제로 체질량 지수(BMI)가 25 이하인 표준 체중인 피험자 28명과 BMI가 30 이상인 비만 피험자 30명을 모집해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피험자들은 각각 간격을 두고 행해진 3회의 실험 세션에 참가했습니다. 세션 전날 피험자들은 전원이 집에서 같은 식사를 했고 다음날 아침이 되어 영양튜브가 삽입될 때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영양튜브를 통해 '설탕(글루코오스)이 들어간 물', '지질이 들어간 물', '물' 중 하나를 피험자의 위로 직접 보내 뇌활동의 변화를 fMRI와 단일광자 방사단층촬영(SPECT)을 이용하여 30분에 걸쳐 관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표준 체중의 피험자는 당 또는 지방이 위장으로 보내지면 선조체라는 뇌영역의 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조체는 음식을 섭취할 때 보상과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선조체의 활동 저하는 몸에 영양이 주어졌다고 뇌가 인식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조체의 활동 저하와 동시에 도파민의 방출도 확인되어 뇌의 보상중추도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리 씨는 “우리는 선조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렇게 뇌 활동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것은 음식이 위 안으로 들어가면 더 많은 음식을 먹으러 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한편 비만인 피험자에서는 당만이 뇌활동의 변화를 일으키고 지방은 뇌활동이나 도파민 수준에 변화를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 발견은 매우 흥미로운 것이라고 전문가는 지적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이번 연구에 직접 관여하지 않은 케임브리지 대학의 I. Sadaf Farooqi 씨는 “브로콜리 대신 햄버거를 먹고 싶어지는 것은 햄버거에 포함된 지방이 생물학적으로 뇌에 더 좋은 반응을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비만 피험자에게 12주에 걸친 체중감량 프로그램을 실시해 10%를 감량시킨 후 다시 같은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그런데 체중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이었던 피험자의 뇌는 여전히 지방에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사리 씨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뇌가 포만감과 만족감을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이 발견은 다이어트에 성공해도 몇 년 후에 체중이 돌아가는 사람이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라고 보았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체중이 증가하는 어느 시점에서 뇌가 변화하고 지방에 대한 감지능력을 잃는지를 밝히지 않았으며 유전자가 특정 영양소에 대한 뇌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어 연구결과를 적절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사리 씨는 “체중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먹는 양을 줄여 운동량을 늘리면 좋은데, 뇌 문제로 인해 식사량이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은하의 중심에 존재하고 물질을 기세 좋게 뿜어내면서 1조 개의 항성에 필적하는 파워로 밝게 빛나는 천체가 퀘이사입니다. 때로는 은하를 파괴할 정도의 놀라운 파워를 지닌 퀘이사에 대해 과학을 다루는 YouTube 채널 Kurzgesagt가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했습니다.

The Black Hole That Kills Galaxie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V4Z8EdiJxgk


퀘이사는 비교적 작은 천체이지만 기본적으로 은하의 중앙에 존재하고 1조 개분의 항성에 필적하는 밝기로 빛나며 물질을 뿜어내고 있는 천체입니다.

퀘이사는 현존하는 가장 밝고 강력한 천체로 알려져 있으며 주위의 우주를 완전히 바꾸어 버릴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습니다.


그런 퀘이사의 발견은 1950년대에 우주의 곳곳에서 수수께끼의 강력한 전파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천문학자가 알게 되면서 시작됩니다. 전파의 발생원은 천체망원경에서는 내부구조를 확인할 수 없었고 전파망원경을 이용해야 비로소 관측이 가능한 천체인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이 천체는 광원이 항성처럼 점으로 보이는 천체였기 때문에 "준항성상 전파원(quasi-stellar radio source)"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또한 약어로 '퀘이사(Quasar)'라고도 합니다.


퀘이사에는 깜박이는 천체와 전파를 방출하는 천체, X선이나 가시광선을 방사하는 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퀘이사의 스펙트럼은 강한 적색편이를 가지는 데 우주의 팽창에 수반하여 광속의 30% 이상이라고 하는 엄청난 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먼 천체인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지구로부터 수십억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도 밝고 크게 보이는 원인은 퀘이사의 실제 밝기는 우리은하가 발하는 밝기의 수천 배이기 때문입니다.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총 100만 개 이상의 퀘이사를 발견했으며 모두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퀘이사 대부분이 먼 곳에 있어 빅뱅으로부터 30억 년 후라는 우주 형성의 초기에 수의 피크를 맞이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빅뱅으로부터 30억 년 후라는 미성숙한 우주 초기 단계에서 퀘이사가 격렬하게 빛나는 에너지를 낳을 수 있는 요인은 '초거대 블랙홀'에 있습니다.

대다수 은하의 중심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초거대 블랙홀 주위의 가스나 먼지가 흡입될 때 블랙홀의 주위를 돌면서 원반을 형성합니다. 이 원반은 '강착원반(Accretion Disk)'이라고 불립니다.

블랙홀에 흡입되는 물질은 사건의 지평면을 넘어서기 전에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여 엄청난 운동에너지와 함께 블랙홀에 흡수됩니다. 블랙홀에 흡입되는 물질이 방출하는 에너지는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약 60배에 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강착원반 내에서는 물질끼리의 마찰로 온도가 섭씨 수십만도 이상으로 상승해 물질이 플라즈마화됩니다. 그 때문에 강착원반으로부터는 X선이나 가시광선, 전파 등의 다양한 전자파가 맹렬한 기세로 방출됩니다.

이처럼 활발하게 활동하는 은하의 중심부분은 '활동은하핵'으로 불리며 퀘이사는 이 활동은하핵의 1종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우주 크기의 약 3분의 1이었던 우주의 초기에는 가스와 먼지가 현재보다 격렬하게 부딪치고 강한 마찰열이 발생했습니다. 그 때문에 활발한 퀘이사가 많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활발한 퀘이사는 "제트"라고 불리는 수십만 광년의 크기로까지 성장하는 거대한 물질의 빔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격렬한 제트는 별의 형성에 필요한 가스를 과도하게 가열해 버려서 별의 형성이 정지합니다. 뿐만 아니라 제트가 가스를 은하 밖으로 밀어내면 퀘이사뿐만 아니라 은하도 기아상태가 되어 새로운 별의 원료를 잃게 됩니다.

한편으로 발생한 충격파나 퀘이서로부터의 제트에 의해 가스가 압축되어 단기간은 새로운 별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또 제트에 의해 압출된 가스는 은하계에 들어오는 가스와 섞여 재활용됩니다.


그러나 한번 기아상태에 빠진 퀘이사는 초거대 블랙홀만을 남기고 소멸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금까지 지구가 속한 우리은하에 한때 퀘이사가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우리은하의 중심에 존재하는 '궁수자리A*'가 태양의 400만 배 질량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한때 퀘이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습니다.


수십억 년 후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충돌했을 때에는 중심부의 블랙홀끼리가 합체해 새로운 초거대 블랙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새로운 퀘이사가 탄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erry Kirkhart / https://www.flickr.com/photos/jkirkhart35/


변온동물인 문어는 체온조절 기능을 체내에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문어의 뇌는 수온의 변화에 ​​항상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그러나 매우 높은 지능을 가진 문어는 수온의 변화에 ​​따라 신경세포의 RNA를 그 자리에서 재작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 결과 문어는 수온의 고저에 대응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시카고대학 해양생물학연구소의 조슈아 로젠탈 씨 연구팀에 의해 보고되었습니다.

Octopuses Can Rewire Their 'Brains' by Editing Their Own RNA on The Fly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octopuses-can-rewire-their-brains-by-editing-their-own-rna-on-the-fly

Octopuses Can Rewire Their 'Brains' by Editing Their Own RNA on The Fly

Octopuses have found an incredible way to protect the more delicate features of their nervous system against radically changing temperatures.

www.sciencealert.com


Octopuses rewire their brains to adapt to sea | EurekAlert!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991042

Octopuses rewire their brains to adapt to seasonal temperature shifts

Octopuses don’t thermoregulate, so their powerful brains are exposed to—and potentially threatened by—changes in temperature. Researchers report June 8 in the journal Cell that two-spot octopuses adapt to seasonal temperature shifts by producing diff

www.eurekalert.org


돌연변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될 수 있는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이지만 RNA 재작성은 개체가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시적인 수단입니다. 일반적으로 RNA의 재작성은 많은 식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물에서는 문어나 오징어 등의 두족류 이외에서는 드물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로젠탈 씨는 “RNA를 재작성함으로써 생물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다”며 “두족류에 의한 RNA의 재작성은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수단인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문어가 수온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RNA를 재작성하는지, 또 RNA를 재작성으로 문어의 뇌내의 단백질의 기능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로젠탈 씨 연구팀에 의하면 야생 문어는 다양한 수심으로 이동했을 때의 급격한 수온의 변화와 계절의 변화와 같은 완만한 수온 변화의 양쪽에 노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RNA의 재작성이 수온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야생의 '캘리포니아 투스팟 문어'를 포획하여 따뜻한 바다를 본뜬 22℃의 수조와 차가운 바다를 본뜬 13℃의 수조로 나누어 각각 순응시켰습니다. 몇 주 후 각 문어의 RNA를 DNA와 비교하여 이미 알려진 편집 부위 60,000개 이상에서 RNA 편집이 이루어진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by Robin Gwen Agarwal (ANudibranchMom on iNaturalist) / https://www.flickr.com/photos/30314434@N06/


텔아비브 대학의 에리 아이젠버그 씨는 “수온에 적응하기 위한 RNA의 재작성은 이번 조사를 실시한 약 6만 곳의 편집 부위 중 약 3분의 1이 되는 2만 곳 이상의 부분에서 관측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 "재작성이 이루어지는 RNA는 신경계에 관련되는 RNA인 것이 많아 차가운 해수의 문어 쪽이 더 자주 RNA의 재작성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문어의 RNA 재작성이 이루어지는 타이밍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실험에서는 문어의 유체를 사용하여 약 20시간에 걸쳐 14℃에서 24℃까지 0.5℃ 단위로 수온을 상승시켰습니다. 또한 동시에 24℃에서 14℃까지 0.5℃씩 수온을 저하시키는 실험도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수온 변화 전, 수온 변화 직후, 4일 후의 시점에서의 RNA 재작성의 정도를 측정했습니다. 실험 결과 수온변화의 완료로부터 1일 이내에 RNA의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관측되었고 4일 후의 시점에서는 그 후에도 지속되는 새로운 RNA의 상태로의 변화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인트 프란시스 대학의 매튜 버크 씨는 "우리는 지금까지 문어 RNA의 재작성이 몇 주 이내에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몇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문어의 RNA 재작성이 단백질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신경계의 기능에 중요한 키네신과 시냅토타그민이라는 2가지의 단백질에 주목했고 RNA의 재작성 전후를 비교했습니다. 비교 결과 따뜻한 환경에 놓인 문어에서도, 차가운 환경에 놓인 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RNA의 재작성에 의해 이러한 단백질의 구조에 변화가 생겼고 그 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by edmondlafoto / https://pixabay.com/ja/photos/%E8%87%AA%E7%84%B6-%E5%8B%95%E7%89%A9%E7%9B%B8-%E5%8B%95%E7%89%A9-%E7%86%B1%E5%B8%AF-3262715/


또한 RNA의 재작성에 의한 수온변화에의 적응은 이번 조사된 캘리포니아 투스팟 문어뿐만 아니라 근연종의 베릴 투스포트 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관측되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다른 문어나 오징어에서도 온도에 적응하기 위한 RNA의 재작성을 하고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그러나 문어가 이 RNA의 재작성을 어떻게 제어하고 있는지, 왜 수온이 낮을수록 빈번한 RNA의 재작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는 것. 연구팀은 앞으로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문어나 다른 두족류가 저산소 상태나 수질 오염 등의 수중 환경에 따라 RNA의 재작성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레이저는 의료용 기기나 통신기기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SF 작품의 무기 등으로도 자주 등장하고 현대에는 실제로 레이저 무기가 실현되고 있습니다. 그런 레이저의 원리를 사이언스를 다루는 YouTube 채널 Kurzgesagt가 설명했습니다.

How do Lasers Work? #shorts #kurzgesagt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RzwaiFvyN6s


레이저 광선은 매우 강하게 집광하여 만든 에너지의 다발입니다. 레이저 광선에 포함된 모든 광자는 정확히 동일한 주파수를 가져야 합니다. 이것을 Kurzgesagt는 같은 음색을 가진 "빛의 합창단"과 유사한 것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베이스가 되는 것은 원자입니다. 원자는 다양한 에너지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가장 에너지가 낮은 상태라면 주변 에너지를 흡수하고 여기합니다.


이 여기상태에 있는 원자에 적절한 주파수의 광자를 부딪칩니다. 그러면 원자는 여기상태에서 에너지의 낮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부딪힌 광자의 완전한 카피가 생성됩니다. 이 구조를 응용하여 레이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것 중 하나는 여기된 원자가 들어있는 상자입니다. 그리고 광자를 반사하고 상자 안에 가두는 거울. 마지막으로 광자를 복제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광자입니다.


여기상태의 원자가 들어간 상자에 광자를 투입하고 거울로 광자를 반사하여 상자 안에 넣으면 광자가 여기상태의 원자에 부딪혀 복제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광자를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 이 모은 광자를 상자에서 방출하면 레이저 광선이 되는 것입니다.


최초의 레이저 장치가 제조된 시기는 1960년으로 당시 이 장치는 광합성 장치라고 불리고 있었고 "문제를 찾기 위한 해결책"이라고 농담조로 취급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후 "레이저"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고 현재에 이르게 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Emiliano Vittoriosi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fvxNerA8uk0


공동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서비스를 악용하고 개발자가 눈치채지 못한 채 공개해버린 OpenAI의 API 키를 스크래핑하여 GPT-4를 무료로 사용하는 수법이 확인되었다고 Motherboard가 보고했습니다.

People Are Pirating GPT-4 By Scraping Exposed API Keys
https://www.vice.com/en/article/93kkky/people-pirating-gpt4-scraping-openai-api-keys

People Are Pirating GPT-4 By Scraping Exposed API Keys

Why pay for $150,000 worth of OpenAI access when you could just steal it?

www.vice.com


현시점에서 GPT-4 등의 대규모 언어모델을 사용하려면 OpenAI 사이트에서 계정을 만들어 신용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계정을 만들면 AI를 사용하기 위한 고유한 API 키가 부여되므로 앱개발자는 자신의 앱에 이 키를 통합하여 AI를 활용한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API 키를 사용하면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OpenAI는 API 키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에서 "API 키는 비밀입니다. API 키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공개하지 마십시오"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Motherboard는 타인으로부터 훔친 API 토큰을 사용하고 Discord 서버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무료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사례를 발견했습니다. 도난당한 API 키 중에는 2023년 6월의 사용량이 1039.37달러(약 140만 원)에 달하는 것도 있었다고 합니다. 'Discodtehe'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어떤 인물은, r/ChatGPT라는 Discord 서버에서 "이렇게 엉망으로 처리해도 내 계정은 아직 정지되지 않았다"라고 공언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API 키는 온라인 코딩 플랫폼인 Replit(Repl.it)을 통해 유출된 것으로 보입니다. Motherboard가 Discord의 채팅로그를 조사한 결과, 3월에 투고된 한 메시지는 "얼마 전 Repl.it을 스크레이핑하자 OpenAI의 API 키가 1000개 이상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는 것.


Replit에서 사용자는 'Repl'이라는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으며 Repl은 기본적으로 게시상태입니다. Replit의 고문 변호사 겸 사업개발책임자인 세실리아 지니티 씨는 Replit에는 API 키를 취급하기 위한 'Secrets'라는 기능이 있는데 일부 사람은 실수로 토큰을 Secrets에 저장하는 대신 Repl 코드에 직접 쓰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토큰을 직접 보호할 책임이 있으며 공개 코드에 이러한 토큰을 저장해서는 안됩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Discodtehe라는 인물은 API 키를 스크래핑할 뿐만 아니라 'GPT-4와 GPT-3.5-turbo에 무료 액세스'를 하는 Discord 서버를 공개하고 있다는 것. 또한 API 키의 무료 액세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이트를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사이트는 Replit에서 호스팅되었으며 현재는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액세스가 가능했을 때 Motherboard가 해당 사이트에 액세스하면 입력란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OpenAI에서 보낸 링크를 클릭하여 초대를 받고 청구처를 Discodtehe가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조직명 'weeeeee'로 설정하도록 안내되었습니다.

by Emiliano Vittoriosi / https://unsplash.com/ja/%E5%86%99%E7%9C%9F/l1xWsz0ntvA


Discodtehe 등이 사용하고 있던 Discord 서버의 관리자는 "자원봉사인 모더레이터가 모든 프로젝트를 체크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유저에게 금지령을 내고 대응하고 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Discord 서버의 커뮤니티 멤버의 반응은 부정적인 반면 구글 클라우드 계정의 API가 도난당했다는 화제가 드물다며 구글의 API 키가 도난당하지 않는 이유는 Google이 더 나은 인증 프로세스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OpenAI 홍보담당자는 Motherboard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큰 오픈 리포지토리의 자동 스캔을 수행하고 OpenAI의 키를 발견하는 즉시 모든 것을 취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API 키가 생성될 때 API 키를 공개하지 않기 위해 사용자에게 조언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API 키를 공개했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들면 즉시 키를 업데이트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궤도상에 발사된 우주 태양광발전과 무선 전력 전송 기기의 프로토타입이 가동되어 우주공간에서의 무선 송전 및 전력을 지구에 조사하는 실험이 성공했습니다.

In a First, Caltech's Space Solar Power Demonstrator Wirelessly Transmits Power in Space | www.caltech.edu
https://www.caltech.edu/about/news/in-a-first-caltechs-space-solar-power-demonstrator-wirelessly-transmits-power-in-space

In a First, Caltech's Space Solar Power Demonstrator Wirelessly Transmits Power in Space

A space solar power testbed launched into orbit in January has transmitted energy wirelessly using fabric-like transmitting arrays.

www.caltech.edu


New Satellite Successfully Beams Power From Space - Universe Today
https://www.universetoday.com/161759/new-satellite-successfully-beams-power-from-space/

2023년 1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팀이 만든 유닛 'SSPD'가 SpaceX 로켓에 탑재되어 발사되었습니다.

SSPD에는 중요한 3개의 장비가 탑재되었습니다. 접힌 약 1.8m 사방의 구조물(솔라패널 등)을 전개하기 위한 기구 'DOLCE(Deployable on-Orbit UltraLight Composite Experiment:궤도상 전개형 초경량 복합 재료 실험기)'와 32종류의 태양전지에서 우주공간에 가장 적합한 것을 찾기 위한 유닛 'ALBA', 그리고 이번 실험에 성공한 'MAPLE(Microwave Array for Power-transfer Low-orbit Experiment: 전력전송형 저궤도 실험용 마이크로파 어레이)입니다.

SpaceX - Transporter 6 (Dedicated SSO Rideshare) - Falcon 9 Block 5 Rocket Launch
https://www.spacelaunchschedule.com/launch/falcon-9-block-5-transporter-6-dedicated-sso-rideshare/

SpaceX - Falcon 9 Block 5 | Transporter 6 (Dedicated SSO Rideshare) Rocket Launch

Dedicated rideshare flight to a sun-synchronous orbit with dozens of small microsatellites and nanosatellites for commercial and government customers.

www.spacelaunchschedule.com


MAPLE은 전력을 마이크로파로 변환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메커니즘을 갖춘 유닛입니다. 파동과 파동이 부딪쳤을 때 생기는 간섭을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장소에 에너지 대부분을 집중시킬 수 있어 가동부품 없이 초점과 방향을 바꾸는 기능을 실현했습니다.


MAPLE의 본체를 살펴보면 이번 우주에서 행해진 실험에서는 MAPLE에 탑재된 전파송신기(TRANSMITTERS)에 의해 태양에너지가 직류전기로 변환되어 약 30cm 떨어진 반대쪽에 있는 수신기(RECEIVERS)에 도달한 후 전력이 수신기에 연결된 LED로 전달되어 LED가 켜져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캠퍼스의 옥상에 설치된 수신기로 MAPLE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것에도 성공했으며 이로써 우주공간에 설치한 송수신기 간의 신호 전달 및 우주에서 지구를 향한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팀을 이끄는 알리 하지밀리 교수는 “우리가 아는 한 우주에서 무선에너지 전송을 입증한 사람은 없다”며 팀의 목표는 장치의 경량화와 저비용화에 있으며 접어 로켓에 수납할 수 있는 유연성 등이 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밀리 씨는 MAPLE과 병행하여 ALBA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향후 몇 개월 이내에 DOLCE 실험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하지밀리 교수는 “인터넷이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모든 사람에게 제공한 것처럼 무선에너지 전송이 모든 사람에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전송 인프라가 불필요해져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황폐한 지역에도 에너지를 보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매월 무조건 돈을 지급하는 기본소득을 도입했을 때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조사하기 위해 영국에서 월 1600파운드(약 280만 원)를 2년간 지급하는 테스트가 이루어집니다.

Universal basic income of £1,600 a month to be trialled in two places in England | Universal basic income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2023/jun/04/universal-basic-income-of-1600-pounds-a-month-to-be-trialled-in-england

Universal basic income of £1,600 a month to be trialled in two places in England

Scheme to run for two years and participants will be monitored to see what effect it ha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www.theguardian.com


Money for nothing: Universal income trialled in England for first time | The Independent
https://www.independent.co.uk/news/uk/politics/universal-basic-income-trial-england-uk-b2350443.html

Money for nothing: Universal income trialled in England for first time

Two areas have been selected to pilot the policy, Jon Stone reports

www.independent.co.uk


정부가 국민에게 무조건 돈을 지급하는 '기본소득'은 빈곤을 박멸하는 것이라고 지지하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 비용부담에 대상은 좁혀야 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실제로 기본소득이 도입되면 사람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영국에서 2년간의 테스트 실시가 결정되었습니다.

시험지역은 잉글랜드 북동부 Jarrow와 런던의 북쪽에 있는 East Finchley의 2개 지구로, 자원봉사자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된 30명을 대상으로 실시됩니다. 대조군으로서 기본소득이 지급되지 않는 그룹도 마련됩니다.


계획을 지지하는 싱크탱크 Autonomy의 연구책임자인 윌 스트롱 씨는 “사람들이 무조건의 일시금을 얻었을 때 일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며 또한 “기본소득이 보장된다면 이 나라의 복지가 변할 수 있습니다. 선행연구에서 기본소득은 빈곤을 직접적으로 완화하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행복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잠재적인 이익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수장인 앤디 버넘 씨도 2022년에 실시한 생활비 위기에 관한 강연에서 “기본소득으로 모든 사람은 견고한 기반을 구축하고 안전한 생활을 보내 여러 걱정이 없어질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기본소득을 지급받은 경우의 노동의욕에 대해서는 2022년의 연구에서 “기본소득을 받더라도 노동의욕은 잃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Basic income would not reduce people’s willingness to work - Leiden University
https://www.universiteitleiden.nl/en/news/2022/01/basic-income-would-not-reduce-peoples-willingness-to-work

Basic income would not reduce people’s willingness to work

A basic income would not necessarily mean that people would work less. This is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behavioural experiments by cognitive psychologist Fenna Poletiek, social psychologist Erik de Kwaadsteniet and cognitive psychologist Bastiaan Vuyk

www.universiteitleiden.nl


덧붙여 2020년의 판데믹 중에 기본소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170명을 넘는 국회의원이나 귀족으로부터 나왔는데 리시 수낙 재무장관은 “기본소득에는 찬성하지 않지만 복지제도 개선에 70억 파운드(약 12조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사회에서 가장 약한 입장의 사람들을 위한 세이프티넷을 강화해 왔다”며 의회의 요구를 거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