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2.01.08 부정행위가 의심될 정도의 빠른 타이핑이 가능한 키보드 'CharaChorder'
  2. 2022.01.06 금붕어가 '어류운전차'를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
  3. 2022.01.06 코로나19 오미크론은 쥐에서 변이되어 사람에게 감염된 것으로 밝혀져 1
  4. 2022.01.04 약한 인간이 야생동물로부터 습격받기 어려운 이유
  5. 2021.12.31 남극의 붕빙 아래에는 적어도 6000년 전부터 생명의 오아시스가 있었다
  6. 2021.12.29 Snapdragon 8 Gen 1을 탑재한 'Xiaomi 12', 'Xiaomi 12 Pro'...보다 저렴한 'Xiaomi 12 X'
  7. 2021.12.29 남극대륙이 얼음으로 덮인 이유
  8. 2021.12.28 중국, 유엔에 SpaceX에 관한 불만을 제출...일론 머스크에 중국으로부터 비난이 쇄도
  9. 2021.12.28 지구 자기장의 움직임이 활성화...원인은 연구자에게도 불분명
  10. 2021.12.27 '장내세균이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가설이 잘못되었을 가능성
  11. 2021.12.25 현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허수가 필요하다
  12. 2021.12.25 목성탐사기 주노가 수록한 '가니메데의 소리'를 NASA가 공개
  13. 2021.12.22 번개의 생성을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14. 2021.12.22 자동차만한 노래기의 화석을 발견
  15. 2021.12.22 'Google 드라이브'에서 부적절한 파일을 단속 시작
  16. 2021.12.18 "워프버블의 생성에 성공했다"는 주장에 천체물리학자가 반론
  17. 2021.12.17 브라우저의 프라이버시 기능을 역이용해 사용자를 추적하는 '풀파티 공격'
  18. 2021.12.16 양자컴퓨터에 '우주선'이 심각한 오류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
  19. 2021.12.16 '머리가 투명한 심해 물고기'의 희귀 영상이 공개 중
  20. 2021.12.15 사상 최초 태양 코로나에 탐사기 도달 성공을 NASA가 발표
  21. 2021.12.14 아기가 방출되는 화학물질은 여성을 공격적으로 만들고 남성을 순종하게 만드는 것으로 판명
  22. 2021.12.14 완전 전동으로 총성·초연·마즐플래시·약협이 전혀 없는 비살상 무기 'e-Shotgun'
  23. 2021.12.14 코로나19가 인체의 면역시스템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
  24. 2021.12.13 신경세포 전체 매핑에 성공한 생물은 불과 1종...신경과학의 강력한 데이터가 되는 '커넥톰'이란?
  25. 2021.12.09 세계 최초로 '워프버블'의 생성에 우연히 성공
  26. 2021.12.09 아마존이 컨테이너를 자작해 해상유통의 대혼란을 회피한 치밀한 전략
  27. 2021.12.07 약 2250억 원의 암호화자산이 해킹에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
  28. 2021.12.07 Apple의 분실물 추적기 'AirTag'를 자동차도둑이 악용
  29. 2021.12.07 나이가 들수록 눈썹이 풍성해지는 현상이 남성에서만 발생하는 이유
  30. 2021.12.04 1000억 원이 넘는 '메타버스의 토지'가 불과 1주일 사이에 거래되다


키보드를 고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좌우분리형 키보드나 격자배열 키보드라는 일반적인 키보드와는 다른 형상인 것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 독특한 키보드 중에서도 'CharaChorder'는 레버 모양의 부품을 대량으로 배치한 기발한 외형을 하고 있는데 타이핑 테스트에서 부정행위가 의심될 정도로 빠른 타이핑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CharaChorder - Type at the Speed of Thought - Peripheral Device
https://www.charachorder.com/

CharaChorder - Type at the Speed of Thought - Peripheral Device

Imagine if your mouse and keyboard had a baby with a stenograph...on steroids. CharaChorder is first device to ever offer both character and chorded text entry.

www.charachorder.com


This Keyboard Lets People Type So Fast It's Banned From Typing Competitions
https://www.vice.com/en/article/3abavv/this-keyboard-lets-people-type-so-fast-its-banned-from-typing-competitions

This Keyboard Lets People Type So Fast It’s Banned From Typing Competitions

A new peripheral lets you keep typing without ever lifting a finger. When it comes to gaming and typing competitions, is it cheating?

www.vice.com


'CharaChorder'의 외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이트와 블랙의 레버가 좌우에 9개씩 합계 18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레버는 상하좌우 4방향으로 움직이고 각각의 방향에 알파벳이나 방향키, 마우스의 이동 등이 할당되어 있습니다.


또 CharaChorder에는 「h」 「e」 「l」 「o」를 순서에 관계없이 동시 누르면 「hello」라고 입력되고 「w」 「o」 「r」 「l」 「d」 를 동시에 누르면 'world'라고 입력하는 입력 보조기능 'Chorded'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Chorded와 독특한 레버입력을 조합하는 식으로 일반적인 키보드에 비해 필요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500% 삭감된다는 것.


CharaChorder의 개발자인 Riley Keen은 CharaChorder를 사용하여 타이핑 사이트 Monkeytype에서 500WPM(1분에 500단어 입력할 수 있는 속도)라는 최고점수를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1문자마다의 입력 간격이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속도에 도달하고 있었기 때문에 Monkeytype가 부정행위로 보고 랭킹에는 반영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현재 CharaChorder는 품절인 상태이고 입력 보조기능 Chorded를 탑재한 일반적인 외형의 키보드 'CharaChorder Lite'가 2022년 3월에 등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CharaChorder Lite - Pre-Order | CharaChorder
https://www.charachorder.com/product-page/charachorder-lite

CharaChorder Lite - Pre-Order | CharaChorder

CharaChorder Lite is a simple yet powerful twist on your keyboard. While you can output individual characters, you can also press many keys together simultaneously to output entire words or phrases in a single keystroke. Our patented technology allows you

www.charachorder.com


Posted by 말총머리
,


동물에게 있어서 '네비게이션:은 먹이의 채집이나 동료의 탐색, 도망, 장소 찾기 등 생존에 있어서 중요한 능력입니다. 이스라엘의 네게브벤 글리온대학의 Shachar Givon 씨는 네비게이션 능력이 환경이나 생태계에 의존하는 것인지 보편적인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주행 가능한 기능을 탑재한 수조인 '어류운전차(Fish Operated Vehicle : FOV)'를 만들어 금붕어를 넣고 목표를 향해 운전하는 능력을 단련시키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From fish out of water to new insights on navigation mechanisms in animals - ScienceDirect
https://doi.org/10.1016/j.bbr.2021.113711

Scientists train goldfish to drive a fish-operated vehicle on land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science/2022/01/goldfish-can-learn-to-drive-and-navigate-terrestrial-environments/

Scientists train goldfish to drive a fish-operated vehicle on land

The fish learned to operate a fish tank on wheels.

arstechnica.com


연구팀은 40cm×40cm×19cm 크기의 수조에 바퀴를 붙인 FOV를 제작했습니다. FOV는 수족관을 내려다보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금붕어가 특정 벽면에 가까워지고 바깥쪽을 향할 때 그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실험에 참가한 금붕어는 체장 15cm~18cm, 체중 80g~120g의 금붕어 6마리.

FOV는 3m×4m 방의 중앙에 배치했고 방의 벽은 삼면이 하얗고 한쪽에는 창문이 있고 나머지 일면은 하얀 커튼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동목표로 착색한 60cm × 40cm 파도가 벽면에 배치되었습니다.


실험은 금붕어가 수조에서 목표를 확인하고 그 방향으로 FOV를 '운전'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FOV가 목표에 도착하면 금붕어에게 0.002g의 먹이가 주어졌습니다.

이 결과 금붕어는 FOV를 목표지점을 향해 '운전'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

Givon 씨는 금붕어가 공간파악 능력과 네비게이션 능력을 평상시 서식하는 수중과는 완전히 다른 육지환경에서 발휘했다는 실험결과에 네비게이션 능력이 보편적인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주인 오미크론은 전세계에서 급속하게 감염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런 오미크론이 설치류의 체내에서 진화한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는데, 중국과학원대학의 연구팀이 “오미크론 변이는 인간으로부터 감염된 쥐에서 돌연변이한 후 다시 인간이 감염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Evidence for a mouse origin of the SARS-CoV-2 Omicron variant - PMC
https://www.ncbi.nlm.nih.gov/labs/pmc/articles/PMC8702434/

Evidence for a mouse origin of the SARS-CoV-2 Omicron variant

The rapid accumulation of mutations in the SARS-CoV-2 Omicron variant that enabled its outbreak raises questions as to whether its proximal origin occurred in humans or another mammalian host. Here, we identified 45 point mutations that Omicron acquired ..

www.ncbi.nlm.nih.gov


오미크론은 2021년 11월 24일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보고되어 같은 달 26일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감염 증가가 우려되는 변이주'로 지정했습니다. 오미크론의 특징은 예외적으로 돌연변이의 수가 많다는 것으로 지금까지 보고된 데이터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종래의 변이주보다 폐에 주는 데미지가 적고 중증화 위험이 낮다고 생각되지만 백신에 대한 내성이 높고 매우 높은 감염력을 가진다고 여겨집니다.


그런 오미크론은 인간 사이에서 감염이 확대되는 가운데 돌연변이된 것이 아니라 설치류 등 다른 동물종 사이에서 진화한 것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었습니다.

Where did ‘weird’ Omicron come from?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where-did-weird-omicron-come

Where did ‘weird’ Omicron come from?

Mutations could have accumulated in a chronically infected patient, an overlooked human population, or an animal reservoir

www.science.org


Some experts believe Omicron variant may have evolved in an animal host
https://www.statnews.com/2021/12/02/some-experts-suggest-omicron-variant-may-have-evolved-in-an-animal-host/

Some experts suggest Omicron variant may have evolved in an animal host

Some experts speculate the Omicron variant evolved not in an immunocompromised person, as widely believed, but in another animal species.

www.statnews.com


중국과학원대학의 연구팀에 따르면 오미크론이 가진 스파이크 단백질에 관한 유전자 서열은 인간에서 진화한 돌연변이와는 크게 달랐지만 쥐의 세포환경에서 진화한 돌연변이와 비슷했다는 것. 또 오미크론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는 쥐의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오미크론의 돌연변이 부분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이 2020년 중반에 인간에서 쥐로 확대되었고 쥐 사이에서 감염이 퍼지면서 돌연변이를 획득했고 2021년 후반에 오미크론이 되어 인간 사이에서 다시 감염이 확대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다양한 종을 뛰어넘어 감염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대유행이 충분히 제어될 때까지 동물 유래의 변이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하며 이번 연구결과는 “야생동물에 퍼져 있는 다른 변이가 인간 사이에서 대유행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전략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곰 등의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산을 걸을 때 '동물은 인간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존재를 알리면 습격당하지 않는다'는 조언을 듣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동물 속에서는 그다지 강한 존재가 아니고 종종 곰이나 악어 때로는 기르는 개 등에 습격당해 사망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의문에 대해 과학계 미디어 LiveScience가 설명했습니다.

Humans are practically defenseless. Why don't wild animals attack us more?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why-predators-dont-attack-humans.html

Humans are practically defenseless. Why don't wild animals attack us more?

Without tools, we're practically defenseless.

www.livescience.com


위스콘신대학 매디슨교의 고인류학자인 존 호크스 씨는 "인간의 이족보행'이 야생동물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며 "침팬지와 고릴라 등 다른 영장류를 살펴보면 그들은 위협을 나타내기 위해 직립한다"고 설명합니다.

인간은 이족보행을 함으로써 자신을 더 크게 보여주어 다른 종에 위협을 주는 데 성공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러나 이족보행은 일반적으로 사족보행 동물보다 움직임이 느려 사족보행 동물을 쫓거나 반대로 도망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야생동물이 굳이 인간을 공격하려고 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도 존재합니다. 호크스 씨는 인간과 침팬지와 같은 영장류가 외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집단형성을 선택했다고 말합니다. 즉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인 것이 이족보행과 함께 인간을 야생동물로부터 지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 게다가 인간이 기술을 진보시켜 활이나 총과 같은 원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개발한 결과로 무기만 있으면 야생동물과 싸워 이기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또 인간이 드물게 야생동물에 습격당하지 않는 이유로는 인간을 습격하는 큰 포식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둔 비영리 보전과학단체인 Conservation Science Partners에서 보전생물학 주임 과학자로 일하는 저스틴 슬라치 씨는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자신들이 활동하는 장소에서 대형 포식자를 제거해 왔다"고 말합니다.

미국에서는 1973년에 '멸종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그동안 대형 포식자와 그 서식지는 큰 손실을 입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북아메리카에 사는 늑대는 멸종 직전에 몰렸고 퓨마도 미국 동부에서는 플로리다주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사라졌습니다.

인간과 서식지가 가까운 다른 포식자도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데 슬라치 씨는 인간의 위협을 벗어난 동물이 인간을 경계하는 방법을 터득했다고 주장합니다. "매우 논리적인 이유로 큰 포식자 중에는 피포식자가 포식자를 두려워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인간에 대한 건전한 공포심을 가진 동물도 있다"고 슬라치는 말합니다.


슬라치 씨의 연구팀은 2019년의 연구에서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 마운틴스에 설치한 스피커로 시나 책의 구절을 온화한 목소리로 읽는 목소리를 내보내 야생동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인간의 목소리는 적대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스피커의 주변으로부터 퓨마 등의 포식자를 쫓아내는 효과가 있었고 그 결과로 인해 작은 피포식자가 많이 서식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슬라치 씨는 포식자가 인간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인간과 포식자 사이에 발생하는 분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포식자가 보여주는 인간에 대한 두려움은 매우 긍정적인 빛입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포식자와 인간이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없이 퓨마와 곰 , 늑대가 존재하는 장소에도 하이킹을 할 수 있다"고 슬라치 씨는 보고 있습니다. LiveScience는 포식자가 존재하는 곳을 걸을 때 집단으로 행동하고 목소리를 내어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등 멀리 있는 포식자가 먼저 도망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을 권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영국남극관측대(BAS)나 알프레드웨게너극지해양연구소(AWI)의 연구팀에 의한 조사에서 남극의 붕빙(ice shelf) 아래에 예상보다 많은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Richness, growth, and persistence of life under an Antarctic ice shelf: Current Biology
https://doi.org/10.1016/j.cub.2021.11.015

Scientists find unexpected trove of life forms beneath Antarctic ice shelf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1/12/29/22857125/discovery-antarctic-ice-biolife-ice-shelf

Scientists find unexpected trove of life forms beneath Antarctic ice shelf

Researchers discovered more species than ever before.

www.theverge.com


남극의 붕빙은 160만 제곱킬로미터라는 거대한 면적으로 그 아래에는 완전한 어둠이 퍼져 있는 지구상에서 가장 알려지지 않은 표층의 서식지라고도 불립니다.

2021년 2월에는 BAS가 남극 웨델해 남부의 필히너 붕빙 아래에서 알려지지 않은 생물을 발견했습니다.

Frontiers | Breaking All the Rules: The First Recorded Hard Substrate Sessile Benthic Community Far Beneath an Antarctic Ice Shelf | Marine Science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mars.2021.642040/full

Breaking All the Rules: The First Recorded Hard Substrate Sessile Benthic Community Far Beneath an Antarctic Ice Shelf

The seafloor beneath floating ice shelves accounts roughly a third of the Antarctic’s 5 million km2 of continental shelf. Prior to this study, our knowledge of these habitats and the life they support was restricted to what has been observed from eight b

www.frontiersin.org


Accidental discovery of extreme lif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mvCvsWu1VgQ


2021년 12월 20일 과학지 Current Biology에 게재된 논문은 AWI가 2018년에 웨델해 남동부 익스트롬 붕빙의 해저에서 채취한 생물종에 관한 것으로, 표본 채취지점은 외해로부터 몇km 떨어져 있었지만 77종류의 생물이 발견되는 등 표본은 빛과 먹이가 있는 외양의 대륙붕보다 생물다양성이 풍부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채취한 표본의 일부
이끼벌레의 단편.

by David Barnes


표본의 현미경 조사로 4개의 종에서 외양 대륙붕에 서식하는 유사종과 동등한 성장을 이룬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발견된 생물 대부분은 식물성 플랑크톤인 미세조류를 먹이로 했는데 붕빙 아래에 퍼져있는 암흑의 해저에서는 식물이나 조류가 서식할 수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연구팀은 “외양으로부터 충분히 한 조류가 옮겨져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외 발견된 사체의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으로 연대가 현대부터 5800년 전까지 폭넓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붕빙 아래 적어도 6,000년에 걸쳐 생명의 오아시스가 존재했음을 시사합니다.

덧붙여 붕빙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붕괴가 진행되고 있어 그 아래 생태계를 보호하고 연구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1년 12월 28일 Xiaomi가 Qualcomm의 스마트폰용 플래그십 SoC 'Snapdragon 8 Gen 1'을 탑재한 스마트폰 'Xiaomi 12', 'Xiaomi 12 Pro' 및 'Snapdragon 870 5G'를 탑재한 'Xiaomi 12 X'를 발표했습니다.

Xiaomi 12 and 12 Pro debut with Snapdragon 8 Gen 1 chipsets, Xiaomi 12X comes with SD870 - GSMArena.com news
https://www.gsmarena.com/xiaomi_12_and_12_pro_debut_with_snapdragon_8_gen_1_chipsets_xiaomi_12x_comes_with_sd870-news-52456.php

Xiaomi 12 and 12 Pro debut with Snapdragon 8 Gen 1 chipsets, Xiaomi 12X comes with SD870

All three phones will be available in China from December 31.

www.gsmarena.com


Xiaomi 12는 Xiaomi mi 8에 이어 출시된 소형의 플래그쉽 스마트폰입니다. 디스플레이는 최대 120Hz로 동작하고 FHD+를 지원하는 Samsung의 6.28 인치 OLED 패널에 매입형 광학식 지문인증을 탑재했습니다. 후면은 Sony IMX766 센서를 탑재한 26mm 5000만 화소의 카메라와 시야각 123도 12mm 1300만 화소의 카메라, 50mm·500만 화소의 트리플 카메라로 8K 24fps, 4K 60fps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합니다. 전면에는 1080p 60fps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3200만 화소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고 이러한 카메라에는 Xiaomi가 독자 개발한 피사체의 얼굴이나 그 외의 배경요소를 계속 락할 수 있는 오토포커스 기술인 'Cyber Focus'가 제공됩니다.


배터리는 4500mAh, 67W의 급속충전 외에 50W의 고속 무선충전, 10W의 리버스 무선충전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OS는 Android 12 기반 MIUI 13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컬러는 블랙・블루・핑크라는 3색 전개로 모델은 ROM 128GB・RAM8GB, ROM 256GB・RAM8GB, ROM 256GB・RAM12GB. 판매가격은 각각 3699위안(약 67만 원), 3999위안(약 72만 원), 4399위안(약 79만 원)입니다.

Xiaomi 12 Pro는 1440p 해상도의 6.73인치 AMOLED 패널. 후면은 Sony IMX707 센서를 탑재한 24mm 5000만 화소, 48mm 5000만 화소, 시야각 115도 5000만 화소의 카메라. 전면에는 26mm 32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는 4600mAh, 120W의 급속충전, 50W의 고속 무선충전, 10W의 리버스 무선충전에 대응하며 컬러는 블랙・블루・핑크・그린 4색. 모델은 ROM 128GB RAM 8GB, ROM 256GB RAM 8GB, ROM 256GB RAM 12GB의 3종으로, 판매가격은 각각 4699위안(약 85만 원), 4999위안(약 90만 원), 5399위안(약 97만 원) 입니다.


Xiaomi 12 X는 최대 120Hz에서 작동하는 6.28인치 OLED 패널. 카메라 성능은 Xiaomi 12와 같습니다만, 무선충전 비대응 등 약간 기능이 축소되어 있습니다. 컬러나 모델도 Xiaomi 12와 같고 가격은 3199위안(약 58만 원), 3499위안(약 63만 원), 3799위안(약 68만 원)입니다.


Xiaomi 12 시리즈는 2021년 12월 31일 발매되고 당분간 중국에서만 출시될 예정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극한의 땅으로 알려진 남극대륙. 그 넓이는 무려 호주대륙의 2배 면적이고 평균적으로 두께 2㎞의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습니다. 그런 남극대륙도 1억 년 정도 전에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녹색의 대지였습니다. YouTube의 과학계 동영상 채널 'SciShow'에서 남극대륙이 얼음의 땅이 될 때까지의 변천을 설명합니다.

How Antarctica Froze Over
https://www.youtube.com/watch?v=2r-IjEPojkw


남극대륙이 극한의 땅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물 위에 떠다니는 얼음덩이로 덮인 북극과 달리 남극은 '대륙'입니다. 그 크기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2배로 산맥이나 계곡 등에서 기복이 풍부하지만 평균 2킬로미터에 달하는 두꺼운 얼음에 완전히 덮여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부터 이런 모습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우연히 이런 모습이 되었을 뿐입니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남극대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얼음에 덮히게 되었는지 연구해 왔습니다.

놀랍게도 남극대륙은 과거 대부분의 기간 녹색으로 덮여 있었다. 그리고 한랭화가 시작되기 전에는 풍부한 생명이 서식하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억 년 정도 거슬러 올라가면 남극대륙에는 공룡 등의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는 광대한 침엽수림으로 덮여 있었습니다. 당시의 남극대륙은 현재보다 북방에 위치했고 당시의 지구의 기후도 현재보다 온난했습니다. 지구는 온난기에 있었고 영구적인 얼음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지구가 현재와 같이 남극과 북극이 영구적으로 얼어붙는 냉량한 상태로 변모하는 데에는 꽤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지질학자는 남극 빙상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를 시신세부터 점신세 사이인 대략 3,400만 년 정도라고 추정합니다.

남극대륙이 한랭화된 과정은 조금 복잡합니다. 당시의 남극대륙의 환경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지역은 온난하고 습한 쥬라기 초기를 맞이했지만 남극대륙은 다른 대륙과 비교할 때 추운 기후로 현재와 같은 어둡고 차가운 겨울철이 종종 도래했습니다. 게다가 현재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한 남극대륙은 지각변동으로 인해 서서히 남방으로 밀려났습니다.

가장 큰 변동은 남극대륙이 고립되어 이어져 왔던 남아메리카대륙이나 호주대륙과 멀리 떨어진 결과, 남극지의 큰 특성 중 하나인 '남극환류'가 탄생했습니다. 남극환류란 남극대륙의 주위를 주회하는 해류입니다. 멕시코 만류와 같은 다른 해류는 진로를 바꾸어 온난한 해수와 한랭한 해수를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남극환류는 차가운 해수를 남극대륙의 주위에 가둔 채 주회시켜 따뜻한 해수를 차단시켰기 때문에 극한의 기후가 계속되고 있다고 연구자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 분야는 연구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당시는 남극대륙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가 추워지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를 '대빙하기(The Big Cill)'라고 부르는 연구자도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대규모 기후변화가 이산화탄소량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시의 지구의 대기나 해수에서 이산화탄소가 줄어들고 있었던 증거가 태고의 화석이나 퇴적물에 화학물질의 형태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지각변동으로 대륙이 융기하여 산맥이 많이 태어났습니다. 남극대륙 주변에서는 한랭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인도 아대륙은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이 융기하기 시작했습니다. 방대한 암반이 노출되어 '화학적 풍화'를 일으켰습니다.

화학적 풍화에서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어 봉쇄되어 버립니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빗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탄산을 생성하고 암반을 녹입니다. 녹은 암석은 하천으로 흘러들어 가 바다로 옮겨집니다. 플랑크톤을 비롯한 해양생물은 스스로 외부껍질을 생성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용융성분을 흡수합니다. 여기서도 이산화탄소가 봉쇄되어 버립니다.

사실 플랑크톤은 기후변화에 있어서 여러 가지 면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이 작은 유영하는 생명체는 지금도 화석이 남극에 대량으로 남아 있습니다. 지질학자들은 남극대륙이 다른 대륙에서 분열된 시대의 플랑크톤 화석이 급증하고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이로 인해 남극환류의 조류가 강해짐에 따라 심해의 영양소 풍부한 찬 해수가 표층에 승류하는 양이 늘었다고 추측하는 과학자들도 있습니다. 이런 용승작용은 얕은 물의 생물에게 풍부한 영양분을 운반합니다.

이렇게 풍부한 영양분을 얻은 해양 플랑크톤은 큰 번영을 이루었습니다. 늘어난 해양 플랑크톤은 그 외각에 이산화탄소를 점점 가둡니다. 플랑크톤이 사멸해 해저에 가라앉으면 그 외각은 석회화되어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봉쇄되어 갑니다.

이러한 해양상의 변화는 남방만이 아니었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도 있습니다. 지각 변동으로 지구의 해류가 크게 변했습니다.

2015년 현대의 기후와 해양을 연구하는 컴퓨터 모델에 당시의 해류상태를 입력하고 당시의 해류변화를 조사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러자 남아메리카대륙과 남극대륙 사이에 드레이크해협이 탄생함으로써 남극환류의 흐름이 바뀌면서 지구 전체의 해류에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심해의 탄소를 표층으로 운반하는 해류 전체의 속도가 저하되어 탄소는 점점 심해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그 밖의 요인이 400만 년 정도의 시간에 걸쳐 지구 전체의 이산화탄소량을 저감시켜 지구의 기온이 저하되었다고 합니다.

동시에 남극도 한랭화했습니다. 우선 남극대륙의 고산에 빙하가 형성되어 그것이 서서히 계곡이나 저지에 퍼져나가 빙상이 되어 갔습니다.

빙상은 일단 형성되면 점점 가속화합니다. 얼음은 반사율, 즉 빛을 반사하는 힘이 매우 강합니다. 햇빛은 얼음 위에서 튀어 오르는데 햇빛의 온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얼음의 표면적이 많을수록 햇빛이 반사되어 대기가 따뜻해지지 않습니다.

빙상이 두꺼워짐에 따라 점점 고도가 높아집니다. 그러면 대기가 얇고 차갑게 되고 한층 더 얼음이 생기는 연쇄반응이 일어납니다. 즉 빙상은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빙상은 추가적으로 빙상의 성장을 일으켜 수만 년이 지나면서 지구의 기온은 계속 떨어졌고 남극대륙의 빙상은 더욱 성장했습니다. 우리가 아는 현재의 아름다운 '남극 빙상'은 이렇게 1,400만 년 전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NVIDIA Corporation.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nvidia/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설립한 민간 우주기관인 SpaceX에 대해 중국이 유엔에 "SpaceX의 소형 위성을 피하기 위해 회피행동을 강요당했다"고 불만을 제출했습니다. 이에 중국의 인기 SNS 웨이보(Weibo) 상에서는 머스크 CEO에 대한 비난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Chinese citizens slam Musk online after space station near-misses |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china/chinese-citizens-slam-musk-online-after-space-station-near-misses-2021-12-27/

Chinese citizens slam Musk online after space station near-misses

Chinese citizens lashed out online against billionaire Tesla founder Elon Musk's space ambitions on Monday after China complained that its space station was forced to take evasive action to avoid collision with satellites launched by Musk's Starlink progra

www.reuters.com


Elon Musk, SpaceX face China backlash after space station near-misses
https://www.cnbc.com/2021/12/27/elon-musk-spacex-face-online-backlash-in-china-after-space-station-near-misses.html

Elon Musk, SpaceX face online backlash in China after space station near-misses

Musk and SpaceX faced online backlash in China after a note sent to the UN revealed the company's satellites almost collided with China's space station in 2021.

www.cnbc.com


China says SpaceX satellites nearly collided with space station
https://nypost.com/2021/12/27/china-says-spacex-satellites-nearly-collided-with-space-station/

China says SpaceX satellites nearly collided with its space station

China’s space station has twice been forced to take evasive action to avoid colliding with small satellites launched by Elon Musk’s SpaceX, the country said.

nypost.com


2021년 12월 6일 국제연합 중국정부 대표부가 국제연합 우주국 사무총장 앞으로 “중국의 우주정거장이 2021년 7월 1일과 10월 21일 SpaceX의 인공위성과 접근해 안전확보를 위해 충돌회피 제어를 실시했다”고 항의문을 보냈습니다.

Information furnished in conformity with the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https://www.unoosa.org/res/oosadoc/data/documents/2021/aac_105/aac_1051262_0_html/AAC105_1262E.pdf

이 항의문은 달과 그 외 천체를 포함한 우주공간의 탐사 및 이용에 있어서의 국가활동을 규율하는 원칙에 관한 조약(우주조약)의 제 5조 중의 '조약의 당사국은 우주비행사의 생명 또는 건강에 위험이 있을 우려가 있는 현상을 달 그 밖의 천체를 포함한 우주공간에서 발견했을 때는 즉시 이것을 조약의 다른 당사국 또는 국제연합사무총장에게 통보한다'는 부분을 논거로 하고 있다는 것.

보도에 따르면 항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SpaceX의 인공위성은 위성인터넷 서비스인 Starlink 부문에 의해 발사된 인공위성 약 1900기 중 2개라고 합니다. 일련의 충돌회피 사건에 대해 중국은 우주조약 제 6조의 '조약의 당사국은 달 그 외의 천체를 포함한 우주공간에서의 자국의 활동에 대해 그것이 정부 기관에 의해 행해지는지 비정부 단체에 의해 행해지는지에 관계없이 국제적 책임을 갖고 자국의 활동이 이 협약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확보할 국제적 책임을 가진다'는 부분을 인용해 체결국에 이번 건을 통지할 것을 국제연합 우주국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by SpaceX. https://unsplash.com/photos/Ptd-iTdrCJM


위와 같이 중국 측은 주장하고 있습니다만, 이에 대해 미국의 보도기관은 주장의 검증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SpaceX에 코멘트를 요구했지만 답변은 없었다고 합니다.

참고로 SpaceX는 Starlink를 구축하기 위해 인공위성 약 1900기를 궤도에 올려 놓고 있지만 앞으로 더 늘릴 전망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Jamie Street. https://unsplash.com/photos/_94HLr_QXo8


지구의 자기장은 40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신의 자기장 모델은 2015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202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급속한 자기장의 활성화로 모델 수정이 필요해졌음이 밝혀졌습니다.

Earth’s magnetic field is acting up and geologists don’t know why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0007-1


'자기장'의 존재는 일상생활에서 강하게 의식하지는 않지만 삶에서 사용되는 기술에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 지도의 내비게이션 기능에서 자신의 방향이 거의 올바르게 표시되는데 GPS(전지구 측위 시스템)와 지자기 센서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와 진행방향을 산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자기장의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원인의 하나로 생각되는 것이 '지구 자극의 이동'입니다.

자석에 반드시 N극과 S극이 2개 한쌍으로 존재하듯 거대한 자석인 지구에도 2개의 자극이 있습니다. 북반구에 있는 것이 '북자극', 남반구에 있는 것이 '남자극'으로 각각 극점(북극점·남극점)과는 1000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북극점·남극점이 어디까지나 지리학적으로 정해진 지점인데 반해 북자극·남자극은 지자기의 변동에 의해 이동하기도 합니다.

아래의 자료는 교토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부속 지자기세계자료해석센터가 작성한 12세대의 국제표준 지구자기장(IGRF-12)에 근거한 자극의 위치의 변천을 나타낸 것으로 남자극은 남극대륙에서 남극해의 인도양 쪽인 북서로 이동했습니다.


한편 북자극은 1980년은 캐나다의 누나부트 준주 내에 있었지만 북진해 2010년에 북극해의 북위 85도에 도달. 2015년은 더욱 높은 위도로 이동해 2018년의 점은 그려져 있지 않습니다만 날짜 변경선을 넘어서 서반구로부터 동반구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이 북자극의 급속한 이동으로 인해 북극처럼 자기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지점에서는 자기장 모델의 오차가 커지고 있습니다. 자기장 모델의 오차가 커지면 그 모델을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

연구자들은 추가적인 원인으로 코어의 깊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체자기'를 지적합니다. 북자극은 캐나다와 시베리아 지하에 있는 2개의 큰 '자기장의 반점'에 의한 영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는데 유체자기의 제트파가 캐나다의 지하 자기장의 힘을 약화시킨 결과로 북자극이 시베리아 쪽으로 당겨지고 있다는 견해입니다.

다만 구체적인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 인간의 장내세균의 생태계(장내세균총)가 건강이나 정신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장내세균이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주창하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호주의 연구팀은 “장내세균총이 자폐증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자폐증의 아이에게 보이는 성질이 장내세균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Autism-related dietary preferences mediate autism-gut microbiome associations: Cell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1)01231-9

Gut bacteria don't cause autism. Autistic kids' microbiome differences are due to picky eating
https://theconversation.com/gut-bacteria-dont-cause-autism-autistic-kids-microbiome-differences-are-due-to-picky-eating-170366

Gut bacteria don't cause autism. Autistic kids' microbiome differences are due to picky eating

New research dispels the myth that gut bacteria causes autism. Rather, changes in the gut bacteria of some people with autism are driven by restricted diets or ‘picky eating’.

theconversation.com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광범성 발달장애 등을 포함한 자폐 스펙트럼증(ASD)의 사람들은 변비나 설사 등 장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찰결과에 장내세균총과 자폐증의 관계에 대해 주목이 모였습니다. 지금까지 'ASD인 사람의 장내세균총을 마우스에게 이식하면 자폐증과 같은 행동을 취한다'나 '장내세균총을 이용한 치료법이 자폐증의 증상을 완화한다', ' ASD인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장내세균총에 차이가 있다'는 등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일부 연구자들은 '장내세균총이 자폐증을 일으키고 있다'는 가설을 주장했는데 이에 퀸즐랜드대학의 Chloe Yap 박사 연구팀은 모든 연구결과를 비교 검토하면 장내세균총과 자폐증을 연결시키는 증거에는 모순이 있고 많은 연구는 과학적 설계에 중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과학적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자폐증과 장내세균총을 연결하는 과대선전은 기세를 키워 자폐증의 치료를 내세우는 근거가 없는 '장내세균 테라피'나 식이요법도 등장했다고 합니다. Yap 박사는 이러한 치료법이 효능과 안전성이 부족한 데다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ASD인 아이나 그 가족에 관한 광범위한 임상학·생물학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호주 자폐증 바이오뱅크나 쌍둥이의 뇌의 발달이나 정신건강, 행동, 생물학적 샘플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퀸즐랜드 쌍둥이 사춘기 뇌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ASD인 어린이와 장내세균총과의 연관성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에서는 ASD인 아이 99명으로부터 수집한 분변샘플과 자폐증의 형제를 가지지만 본인은 자폐증이 아닌 51명의 아이와 자폐증인 형제를 가지지 않는 97명의 아이로부터 채취한 분변샘플에 포함된 미생물의 DNA에 대해 비교했습니다. 또 아이의 임상적인 데이터나 가족 구성, 생활 스타일, 식사 등 장내세균총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요인에 대해서도 조사했다고 합니다.

분석 결과, 자폐증과 장내세균총 전체의 구성이나 다양성 사이의 관련은 발견되지 않았고 600종 이상의 장내세균 중 자폐증과의 관련이 나타난 것은 1종밖에 없었습니다. 과거의 연구에서 자폐증과의 관련이 지적되었던 여러 세균군에 관해서는 이번 연구에서는 자폐증과의 관련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대신 ASD인 아이들은 과거의 연구에서도 지적된 대로 편식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경향은 관심과 감수성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자폐증의 성질과 관련이 있는 것 외에도 편식을 하는 아이는 장내세균총의 다양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고 대변이 설사처럼 되기 쉬운 점도 밝혀졌습니다.


게다가 유전적 데이터를 고려한 분석에서도 자폐증이나 한정된 흥미와 관심은 편식과 관련되었지만 장내세균총과 직접 대응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장내세균총이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지지하지 않습니다. 자폐증상과 관련된 형질과 선호도는 다양하지 않은 식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다양성이 부족한 장내세균총과 설사같은 배설을 초래한다”고 Yap 박사는 설명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서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장내세균의 이식 등의 개입에는 신중해야 한다며 유해해질 수 있는 치료법에 관심을 가지는 것보다 편식하기 쉬운 자폐증 아이의 식생활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현실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본래 존재하지 않을 수'인 허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최근의 두 연구에서 드러났습니다.

Quantum theory based on real numbers can be experimentally falsified | Na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4160-4

Quantum theory based on real numbers can be experimentally falsified - Nature

A Bell-like experiment that discriminates between real-number and complex-number multipartite quantum systems could disprove real quantum theory.

www.nature.com


Physical Review Letters - Accepted Paper: Testing real quantum theory in an optical quantum network
https://journals.aps.org/prl/accepted/0907bY08X531687d3971977071a6d5f742cb036ed

Imaginary numbers could be needed to describe reality, new studies find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imaginary-numbers-needed-to-describe-reality

Imaginary numbers could be needed to describe reality, new studies find

Theories based only on real numbers are incapable of explaining the results of this new experiment.

www.livescience.com


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인 양자역학에 있어서는 순수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의 일부에 사용됩니다.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방정식에서 허수가 사용되는 이유가 허수가 없으면 방정식이 성립되지 않기 때문인지 단지 허수를 사용해 복잡한 방정식을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어서인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습니다

양자역학의 창시자인 엘빈 슈레딩거조차도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방정식에 복소수를 포함하는 의미에 대한 회의적인 관점을 보여줍니다. 사실 슈레딩거는 파동함수를 허수 없는 실수로만 표현하는 방법을 구상했으며 이후의 물리학자들도 양자론의 허수를 실수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계속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되는 것이 허수 없이도 올바르게 양자론이 기능하느냐는 점입니다. 이에 2021년 12월 15일 학술지 Nature에 게재된 연구와 같은 날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된 두 연구는 비교적 간단한 실험을 통해 '양자역학이 맞다면 허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실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슈레딩거의 파동함수의 허수를 실수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잘못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연구에 종사한 스페인 광과학연구소의 이론물리학자인 마크 올리비에 레노 씨는 “양자역학의 창시자인 슈레딩거는 이론 안에 나오는 복소수를 해석하는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방정식이) 허수를 가지는 것 자체는 매우 합리적인 것이지만 현실의 요소로 허수를 식별하는 명확한 방법은 없다"고 과학계 미디어 Live Science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Nature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허수가 파동함수에 있어서 정말로 중요한 요소인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고전적인 양자실험인 '벨의 부등식'을 응용한 방법이 고안되었습니다. 실험에서는 먼저 2개의 독립적인 광원(S, R)을 기본 양자 네트워크의 3개의 검출기(A, B, C) 사이에 배치하고 광원 S에서 2개의 광입자 또는 광자를 하나는 A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B방향으로 방출합니다. 반면에 광원 R은 두 개의 광자를 B와 C방향으로 방출합니다. 우주가 허수에 기초한 표준 양자역학에 의해 설명되는 경우에는 A와 C에 도달한 광자는 양자 얽힘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양자역학의 모든 것을 실수로 설명할 수 있다면, 광자는 양자 얽힘을 일으켜야 합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를 입증하기 위해 레이저빔을 결정에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양자 얽힘을 일으킨 광자가 방출되었지만, 검출기 A와 C에 도달한 시점의 광자가 얽혀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즉 허수를 사용하여만 양자역학을 올바르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입니다.

연구에 종사한 레노 씨는 “일부 실험에서 무엇이 나오는지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실험에 사용된 물리적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가정하지 않고 많은 잠재적인 설명을 제외할 수 있다"며 미래에는 물리학자가 완전한 양자론에 도달하기 위해 제일원리에서부터 구축된 실험이 다소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번 연구결과가 미래의 양자인터넷 원리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NASA가 2021년 12월 17일에 목성탐사기 '주노'가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의 근처를 통과할 때 수록한 전자파 데이터를 소리로 변환한 '가니메데의 소리'를 공개했습니다. 이 관측데이터는 목성의 극단적인 자기장과 그것이 목성의 가장 큰 위성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내는 데 중요합니다.

NASA’s Juno Spacecraft ‘Hears’ Jupiter’s Moon
https://www.jpl.nasa.gov/news/nasas-juno-spacecraft-hears-jupiters-moon

NASA’s Juno Spacecraft ‘Hears’ Jupiter’s Moon

Lia Siegelman, a physical oceanographer and postdoctoral fellow at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ecided to study the dynamics of Jupiter’s atmosphere after noticing that the cyclones at Jupiter’s pole

www.jpl.nasa.gov


Listen to Jupiter's moon Ganymede - Axios
https://www.axios.com/listen-audio-jupiter-moon-ganymede-a90093e5-1861-42fb-91e7-fc174efc4f0f.html

Listen to Jupiter's moon Ganymede

The 50-second audio track sounds alien.

www.axios.com


Scientists baffled after recording ‘eerie sounds’ coming from Jupiter’s moon
https://nypost.com/2021/12/21/scientists-baffled-after-recording-eerie-sounds-coming-from-jupiters-moon/

Scientists baffled after recording ‘eerie sounds’ coming from Jupiter’s moon

Data captured as the Juno mission flew within 645 miles of mysterious space objects was turned into an audio clip by scientists.

nypost.com


NASA가 공개한 '가니메데의 소리'

Audio of Juno's Ganymede Flyby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_09R6jIo74U


이 소리의 근원이 되는 전자파 데이터는 2021년 6월 7일에 목성탐사기 주노가 가니메데의 자기권을 통과할 때에 관측한 것으로 이때 주노는 가니메데의 지표로부터 645마일(약 1038km)까지 접근했으며, 이는 2005년 5월 NASA의 목성탐사기 갈릴레오가 가니메데에 접근한 이래 가장 가니메데에 근접한 순간이었습니다.

주노 미션의 주임연구원인 스콧 볼튼 씨는 “이 소리는 가니메데의 옆을 지나는 주노에 자신도 동승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와일드한 사운드입니다. 중반 즈음에 소리가 급격히 고주파수로 변화하는데 이것은 주노가 가니메데의 자기권의 새로운 영역에 들어갔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합니다.

by NASA/JPL-Caltech/SwRI/MSSSImage. Source:https://www.jpl.nasa.gov/images/pia25031-giant-storms-and-high-clouds


또 주노에 탑재된 전파관측기 'Waves'를 담당하는 아이오와대학의 윌리엄 카스 씨는 "최접근 직후 보이는 주파수의 변화는 가니메데의 밤에서 낮으로 이동한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합니다.

주노는 가니메데뿐만 아니라 목성의 자기분포를 매핑하여 목성의 적도에 있는 수수께끼의 이상현상인 대청점(Great Blue Spot)에 대해서도 조사했습니다. 망원경으로 보이지 않는 이 대청점은 주위의 흐름에 반하여 초당 약 4cm의 속도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약 350년에 걸쳐 목성을 일주하고 있습니다. 한편 목성의 적도 바로 아래에 있는 대적점(Great Red Spot)은 서쪽으로 이동해 약 4년 반 주기로 목성을 일주합니다.

by NASA/JPL-Caltech/SwRI/John E. Connerney. Source:https://www.jpl.nasa.gov/images/pia25035-mapping-jupiters-great-blue-spot


이 새로운 자기장맵을 통해 목성의 제트기류인 대상풍이 대청점을 움직이게 한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이것은 목성의 표면에서 관측되고 있는 띠 모양의 바람이 가스행성 내부의 깊숙히 도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주노의 관측으로 목성에서 관측되는 소용돌이가 지구의 소용돌이와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에서 왼쪽이 노르웨이해에서 발생한 식물 플랑크톤을 촬영한 것으로, 오른쪽이 목성의 난류의 이미지입니다. 목성에서 발생한 소용돌이는 지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가 크지만, 이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목성의 대기의 작용을 조사함으로써 지구의 기상현상에 관한 메커니즘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by NASA OBPG OB.DAAC/GSFC/Aqua/MODISImage. Source:https://www.jpl.nasa.gov/images/pia25037-vortices-on-jupiter-and-earth


덧붙여 주노는 이전에 '목성의 노래'도 관측했습니다.

Plasma Sounds at Jupiter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lP0gpjgJBxw

Posted by 말총머리
,


번개가 어떻게 생성되는지는 현대의 과학으로도 밝혀지지 않았는데, 이 수수께끼를 규명하기 위해 은하의 관측에 사용하는 전파망원경 LOFAR(LOw Frequency ARray/저주파 어레이)를 사용해 번개가 생성되는 모습을 고해상도 3D 데이터로 파악했습니다.

Radio Telescope Reveals How Lightning Begins | Quanta Magazine
https://www.quantamagazine.org/radio-telescope-reveals-how-lightning-begins-20211220/

Detailed Footage Finally Reveals What Triggers Lightning | Quanta Magazine

Scientists have never been able to adequately explain where lightning comes from. Now the first detailed observations of its emergence inside a cloud have exposed how electric fields grow strong…

www.quantamagazine.org


The Spontaneous Nature of Lightning Initiation Revealed | Earth and Space Science Open Archive
https://www.essoar.org/doi/10.1002/essoar.10508882.1

The Spontaneous Nature of Lightning Initiation Revealed

Here, we present new radio interferometer beamforming observations of lightning initiation using data from the Low Frequency Array (LOFAR). We show that the first lightning source in the flash incre

www.essoar.org


번개에 대한 연구는 옛날부터 존재했으며, 1752년에는 벤자민 프랭클린이 벨을 이용한 실험으로 번개의 정체가 전기인 것을 밝혀냈습니다. 그러나 실은 번개는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대한 수수께끼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번개가 생성되는 과정의 주류적인 가설로는 '뇌운 속에서 작은 얼음의 결정이 상승하고 얼음 알갱이로 내릴 때, 결정 안의 음으로 대전된 전자가 마찰로 떨어지고 구름의 상부가 양으로 대전하고 하부가 부로 대전해 거대한 불꽃을 낳는 전계가 생성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구름 속의 전장은 불꽃을 낳기에는 너무 작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뇌운 속에 로켓이나 풍선을 보내어 조사해도 역시 불꽃을 낳기에 충분한 전장은 관측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번개가 생성되는 수수께끼를 밝히는 데 있어서의 문제는 구름이 불투명하고 정밀도가 높은 카메라라도 번개가 생성되는 그 순간을 촬영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뉴햄프셔대학의 물리학자인 Joseph Dwyer 교수는 네덜란드에 있는 전파망원경 LOFAR을 이용했습니다.

LOFAR


LOFAR은 일반적으로 은하간 가스 및 자기폭풍과 같은 우주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합니다. 번개는 빛과 함께 무선펄스를 발산하는데 무선펄스는 빛과 달리 두꺼운 구름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LOFAR은 이 무선펄스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번개를 고해상도로 3차원 매핑을 할 수 있다는 것. 번개를 무선검출기로 매핑하는 시도는 처음이 아니지만 대부분의 이전 시도는 저해상도에 2차원적이었으므로 LOFAR을 사용한 관측과는 다릅니다.

LOFAR에서 관찰한 데이터의 애니메이션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볼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https://d2r55xnwy6nx47.cloudfront.net/uploads/2021/12/Lightning_1238x826_Lede_Video.mp4


2018년 8월 연구팀은 LOFAR을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뇌운의 깊이 70미터에서 무선펄스가 발생하고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이 관찰한 무선펄스의 패턴은 번개의 형성에 대한 2개의 가설을 지지한다고 합니다. 하나는 '우주선이 뇌운 속의 전자와 충돌하고 전자 눈사태로 인해 전장이 강화된다'는 가설이고 다른 하나는 '얼음결정이 충돌하여 양과 음으로 하전되는데 양으로 하전된 얼음은 공기에서 더 많은 전자를 수집해 스트리머(방전로)가 늘어나게 된다. 이 스트리머는 주위의 공기를 가열해 공기중으로부터 보다 많은 전자를 떼어내, 얼음의 결정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번개가 형성된다'는 가설입니다.

연구자들은 스트리머가 대량으로 형성됨으로써 무선펄스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전자 눈사태가 멈춘 곳에서 번개가 형성된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전세계에서 봉쇄가 이루어진 결과, 얼음결정의 핵이 되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감소했습니다. 이 시기에 번개 발생이 10% 감소한 것이 관측되어 연구자의 생각은 이 관측결과와도 일치합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얼음입자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았고 '첫번째 전자는 어디에서 오는가', '얼음입자 근처에서 방전이 어떻게 일어나는가' 등 의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스트리머가 어떻게 번개를 생성하는지에 대한 수수께끼가 남습니다. 한편 지금까지의 번개에 대한 연구는 고해상도 데이터의 부족으로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구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는 번개 연구의 중요한 단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자동차 크기의 몸길이를 가진 초거대 노래기가 태고 당시에 잉글랜드 북쪽에서 서식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Millipedes 'as big as cars' once roamed Northern England, fossil find reveals
https://phys.org/news/2021-12-millipedes-big-cars-roamed-northern.html

Millipedes 'as big as cars' once roamed Northern England, fossil find reveals

The largest-ever fossil of a giant millipede—as big as a car—has been found on a beach in the north of England.

phys.org


An extinct millipede the length of a car once roamed northern England : NPR
https://www.npr.org/2021/12/20/1065759563/extinct-millipede-car-northern-england-arthropleura

An extinct millipede the length of a car once roamed northern England

A group of geologists stumbled on the fossil of the giant creature, known as Arthropleura, during a "social trip" to England's Northumberland region in 2018. It's the largest such fossil ever found.

www.npr.org


이 화석은 케임브리지대학의 조사팀에 의해 잉글랜드 북쪽에 위치한 노샘버랜드에서 2018년 1월에 발견되었습니다. 화석을 포함한 바위가 낙하한 충격으로 깨지면서 노출된 화석을 조사팀의 일원이 우연히 발견했다는 것. 조사팀을 이끄는 닐 데이비스 씨는 “화석의 발견은 완전히 우연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분석 결과, 발견된 화석은 Arthropleura라고 불리는 3억 년 전에 서식한 노래기의 일종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발견된 화석은 Arthropleura의 일부분만으로, 실제 체장은 약 2.7m, 체중은 약 50kg이었다고 추정됩니다.


이번에 발견된 화석에는 머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Arthropleura의 생태를 추측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래도 데이비스 씨는 Arthropleura의 몸의 길이를 바탕으로 "Arthropleura가 무엇을 먹고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식한 시대에는 영양가 높은 견과류와 씨앗이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무척추동물이나 양서류 등 작은 척추동물을 포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습니다.

데이비스 씨에 따르면 화석이 발견된 지역은 사암이 많아 일반적으로 화석을 보존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으로 여겨지고 있었다며 “이번에 발견한 화석이 보존되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라며 사람들이 화석을 찾지 못한 곳에서도 실제로 많은 화석을 발견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myvaartha news.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142381379@N06/


Google이 2021년 12월 14일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Google 드라이브' 이용약관을 개정하고 정책 위반으로 판단된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대책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Google Workspace Updates: New notifications when Drive content violates abuse program policies
https://workspaceupdates.googleblog.com/2021/12/abuse-notification-emails-google-drive.html

New notifications when Drive content violates abuse program policies

Quick launch summary  When a Google Drive file is identified as violating Google's Terms of Service or program policies , it may be restric...

workspaceupdates.googleblog.com


Google Drive could soon start locking your files | TechRadar
https://www.techradar.com/news/google-drive-could-soon-start-locking-your-personal-files

Google Drive could soon start locking your files

New Google Drive policy cracks down on ‘abuses’ of the platform

www.techradar.com


Google에 따르면 Google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이 정책 위반이라고 판단되면 파일 이름 옆에 플래그가 표시되어 공유 불가가 되고 소유자 이외는 액세스 할 수 없게 된다는 것. 불법이라고 판단된 파일의 소유자에게는 그 사실을 통지하는 아래와 같은 메일이 송신됩니다.


이번 조치의 목적은 사이버범죄, 혐오 발언, 아동학대, 지나치게 성적인 콘텐츠의 확산을 포함한 서비스의 악용을 막기 위해서라고 Google은 설명합니다. 한편 IT계 뉴스사이트 TechRadar는 “사용자의 파일이 정당한 이유 없이 갑자기 액세스 불능이 된다는 시나리오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며 구글이 규약 속에서 '예술, 교육, 다큐멘터리, 과학적인 고찰 등의 예외'를 설정하고 있지만, 자신의 개인적인 사진이 이에 해당하는지 구체적으로 불분명하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2021년 9월 Google 드라이브에 탱크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백업했던 연구자가 '테러활동에 종사하고 있다'는 이유로 계정이 잠기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Google has locked my account for sharing a historical archive they labeled as "terrorist Activity" - Google Drive Community
https://support.google.com/drive/thread/127021326/google-has-locked-my-account-for-sharing-a-historical-archive-they-labeled-as-terrorist-activity


그래서 TechRadar가 Google에 콘텐츠를 검토하는 과정을 밝히도록 요청하자 Google은 "Google 드라이브는 항상 개인정보를 존중하면서 사용자와 사회의 보안을 보호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Gmail 수년 동안 피싱이나 악성코드 위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해 온 것처럼 Google 드라이브에 유사한 보호기능을 도입하는 것은 모든 사용자를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라고 심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NASA의 존슨우주센터에 있는 '이글웍스 연구소'를 창설한 해롤드 화이트 씨는 발표한 논문을 근거로 "워프버블 생성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SF영화에 나오는 듯한 '워프'를 가능하게 하는 아공간 워프버블을 만들어냈다는 주장에 대해 천체물리학자인 이단 시겔 씨는 "과학적인 증명이 불충분하다"며 주장의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I wrote the book on warp drive. We didn't make a warp bubble. - Big Think
https://bigthink.com/starts-with-a-bang/no-warp-bubble/

I wrote the book on warp drive. No, we didn't accidentally create a warp bubble.

The same (former) NASA engineer who previously claimed to violate Newton's laws is now claiming to have made a warp bubble. He didn't.

bigthink.com


화이트 씨는 DARPA(국방고등연구계획국)로부터 자금제공을 받아 '카시미르 공동'이라고 불리는 구조에 대해 연구를 하던 중에 우연히 워프버블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세계 최초로 '워프버블'의 생성에 우연히 성공
https://perfectmoment.tistory.com/m/2550

세계 최초로 '워프버블'의 생성에 우연히 성공

'거대한 우주선이 몇 광년의 거리를 워프로 순식간에 이동한다'는 SF로 친숙한 워프드라이브는 지금까지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이라고 알려져 왔습니다. 워프드라이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

perfectmoment.tistory.com


그러나 시겔 씨는 화이트 씨가 과거에 EM드라이브 라는 우주선의 엔진에 대해 물리법칙에 모순되는 내용을 주장하고 있었던 것을 지적하며 "충분한 뒷받침 없이 장대한 주장을 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합니다. "워프버블의 생성에 성공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몇 가지 있다며 조목조목 제시했습니다.

◆워프버블이나 워프드라이브란 무엇인가?

워프버블은 워프드라이브를 실현시키기 위한 요소라며 워프드라이브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광속을 넘는 속도로의 우주항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인 워프드라이브는 특수상대성이론이 아닌 일반상대성이론을 베이스로 한 것으로, 특수상대성이론은 공간을 평평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일반상대성이론은 공간을 왜곡된 것으로 인식합니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 물체는 광속에 접근할 수 있지만 도달하거나 넘을 수는 없다고 보지만 공간이 왜곡되는 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충분한 물질과 에너지가 있으면 종이를 접을 때처럼 두 점 사이의 공간을 왜곡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우주선은 큰 중력에 의해 찢어집니다.


1994년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 물리학자인 미겔 알쿠비에레 씨가 '알쿠비에레 드라이브'를 제창했습니다. 알쿠비에레 씨는 물질과 에너지가 블랙홀 바깥에 있는 '양의 왜곡'을 낳고 음의 질량이나 에너지가 '음의 왜곡'을 만들어낼 경우에 양과 음의 에너지를 모두 조작하는 방식으로 우주선은 웜홀 없이 광속에 제한받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양과 음의 에너지가 같은 양만큼 존재할 때 우주선 전방의 공간을 압축해 동시에 후방의 공간을 희박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우주선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쿠비에레 드라이브입니다. 이때 우주선은 '워프버블'에 싸여 공간의 왜곡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압축된 공간을 똑바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워프드라이브가 없으면 우주여행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인해 제한됩니다. 예를 들면 광속의 99.992%로 적색왜성 TRAPPIST-1까지 이동한 경우, 여행자의 감각으로는 왕복에 1년 걸리지만 지구의 시간에서는 81년이 경과합니다. 이 현상은 우주선이 광속에 가까워지면 우주선 내의 시간흐름이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워프드라이브는 공간을 광속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닌 공간을 왜곡해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므로 시간지연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알쿠비에레 드라이브와 카시미르 효과

위와 같이 알크비에레 드라이브는 음의 물질과 음의 에너지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음의 에너지는 아직 가설상의 존재입니다. 한편 알쿠비에레가 워프드라이브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것은 통상의 물질이나 에너지가 낳는 것과는 반대 타입의 왜곡이며, 당시와 현대와는 우주의 에너지 그 자체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기 때문에 반드시 음의 에너지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가능성도 주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받은 것이 1948년에 물리학자 헨드릭 카시미르에 의해 제창된 카시미르 효과입니다. 카시미르 효과는 오랫동안 이론적인 것이었는데 1997년에 '진공 중에 매우 작은 거리를 두고 2장의 평면 금속판을 설치하면 판 외부의 에너지가 판 사이의 에너지보다 커지고 플레이트가 서로 당겨진다'는 실험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워프드라이브에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던 음의 에너지는 카시미르 효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고 합니다. 다만 시겔 씨는 "어디까지나 추측의 영역을 나오지 않는 것으로, 카시미르 효과는 워프공간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지만 워프버블과 동등하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Source:https://ja.wikipedia.org/wiki/%E3%82%AB%E3%82%B7%E3%83%9F%E3%83%BC%E3%83%AB%E5%8A%B9%E6%9E%9C#/media/%E3%83%95%E3%82%A1%E3%82%A4%E3%83%AB:Casimir_plates-ja.png


◆화이트 씨는 무엇을 논문에 쓴 것인가?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화이트 씨 연구팀은 미크론 스케일의 다양한 형상을 한 전기전도체를 사용하여 수백 마이크로 볼트의 전위(또는 전압의 변화)를 생성했다고 합니다. 실험내용은 카시미르 효과에 대한 과거의 실험이나 예측과 일치했지만 시겔 씨는 “연구팀이 카시미르 효과에 대해 실시한 실험과 논문에 쓰여진 수학적 계산은 다르다"며 본래 이 논문은 실험에 관한 것이 아닌 이론에 대해 기술한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물리학자가 연구에 참가하지 않았다는 점에도 의문을 나타냅니다. 논문은 일반적으로 단일 원자에 적용되는 동적진공 모델을 사용하여 카시미르 효과에 의해 생성된 공간의 에너지밀도를 밝히는 것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조건을 변화시키면 진공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 관찰했습니다.

연구팀이 제시한 것은 카시미르 공동에 의해 생성된 3차원적인 에너지밀도가 알크비에레 드라이브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밀도와 약간의 정성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는 것이며, 정량적 의미에서의 일치는 없었다”며 내용은 실험적인 것이 아닌 수치적으로 계산된 것에 지나지 않고 미시적인 규모와 매우 작은 에너지밀도의 한정적인 것으로 추측이 많아 모든 것이 증명된 것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화이트 씨의 주장은 장래에 증명될지도 모르는 흥미로운 아이디어이지만 "진실에 접근하고 싶을 때만큼 생각에 회의적이어야 한다"고 시겔 씨는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브라우저는 웹사이트가 열거나 소비할 수 있는 리소스의 양을 제한하고 있으며, 다른 브라우징 컨텍스트는 동일한 풀에서 리소스를 소비합니다. 따라서 브라우저는 각 사이트에 개별 리소스 세트를 제공하여 트래커가 사이트간에 사용자를 추적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티셔닝'이라는 기능을 도입했는데 이것을 악용하는 '풀파티 공격'에 대해서 웹브라우저 Brave의 개발팀이 설명했습니다.

[2112.06324] Pool-Party: Exploiting Browser Resource Pools as Side-Channels for Web Tracking
https://arxiv.org/abs/2112.06324

Pool-Party: Exploiting Browser Resource Pools as Side-Channels for Web Tracking

We identify a new class of side-channels in browsers that are not mitigated by current defenses. This class of side-channels, which we call "pool-party" attacks, allow sites to create covert channels by manipulating limited-but-unpartitioned resource pools

arxiv.org


Preventing Pool-Party Attacks | Brave Browser
https://brave.com/privacy-updates/13-pool-party-side-channels/


파티셔닝은 한 사이트의 트래커가 다른 사이트의 사용자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도록 크로스사이트 추적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합니다. 예를 들어 'site-a.example'과 'site-b.example'이 모두 'tracker.example'의 추적 스크립트를 포함하더라도 파티셔닝을 통해 '각 사이트를 같은 사람이 방문한 것'을 tracker.example이 눈치채는 것을 방지하고 트래커가 여러 사이트간에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연결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브라우저가 관리하는 리소스는 웹스토리지와 네트워크, CSS 캐시, 폰트 캐시 등 여럿 존재합니다. 파티셔닝 가능한 리소스는 브라우저마다 다르며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ivacyTests.org: open-source tests of web browser privacy
https://privacytests.org/

Which browsers are best for privacy?

An open-source privacy audit of popular web browsers.

privacytests.org


풀파티 공격이란 사이트측이 이 리소스 풀의 파티셔닝을 악용해 공격자가 사이트간에 공유되는 리소스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사이트간 통신을 하고 트래킹을 한다는 것입니다.

Brave는 “이 풀파티 공격은 모든 일반적인 브라우저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악용할 수 있고 사이트 경계를 넘어 공유되는 모든 리소스 풀은 사이트 간 추적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Brave는 광대역폭의 리소스 풀 제한을 해제하여 공격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 풀파티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데스크톱 및 Android용으로 배포할 계획입니다. 또 Apple, Google, Mozilla 등 다른 브라우저를 개발하는 기업과도 연계하여 웹브라우저 전체가 풀파티 공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다만 소셜 뉴스사이트인 Hacker News에서는 “Brave의 기사를 읽은 것만으로는 풀파티 공격의 영향과 대책이 불분명하고 내용도 과거에 지적되었던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을 재분류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댓글도 달리고 있습니다.

I did some digging. To me it was rather unclear about the impact of this. Furthe... | Hacker News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29571633

Posted by 말총머리
,


양자역학에서의 중첩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양자컴퓨터는 기존의 고전적인 컴퓨터에서는 불가능한 수준의 속도로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Google의 양자컴퓨터 연구팀 Quantum AI의 과학자들은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의 방사선인 우주선이 양자컴퓨터의 동작에 중대한 에러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했습니다.

Resolving catastrophic error bursts from cosmic rays in large arrays of superconducting qubits | Nature Physic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7-021-01432-8

A potential hangup for quantum computing: Cosmic rays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science/2021/12/cosmic-rays-can-swamp-error-correction-on-quantum-processors/

A potential hangup for quantum computing: Cosmic rays

For quantum chips, the problems they cause are too big for error correction.

arstechnica.com


전통적인 컴퓨터는 '0' 또는 '1'이라는 상태만을 취할 수 있는 비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양자컴퓨터는 양자의 중첩으로 '0'과 '1' 양쪽의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양자비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초고속 계산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양자비트는 다양한 환경 요인으로 인해 의도한 상태에서 벗어나 버리기 때문에 양자컴퓨터에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기존 컴퓨터에서 오류감지 정정을 양자컴퓨터에서 수행하는 양자 오류수정입니다. 양자컴퓨터에 의한 계산결과가 올바른 것임을 보증하기 위해서 양자비트의 에러를 정정하는 것은 중요하다는 것.

그런데 Google의 연구팀은 양자프로세서에서 양자 오류정정 테스트를 했을 때 산발적으로 오류정정이 실패해 버리는 이상한 현상에 직면했습니다. 이 원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양자비트에 발생하는 에러가 '우주선'에 의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합니다.


고에너지의 방사선인 우주선은 전하의 이동이나 보존에 의존하는 고전적인 컴퓨터에도 에러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양자컴퓨터와는 영향을 미치는 메카니즘이 다릅니다. 우주선이 양자비트에 충돌하면 진동에너지가 포논이라는 준입자로 작용하는데 이 포논이 양자비트의 상태를 혼란시켜 에러가 발생한다는 것.

실제로 연구팀은 프로세서에서 양자비트를 26개 선택하여 단일 양자상태로 설정하고 프로세서를 공회전 상태로 방치함으로써 양자비트에 우주선 유래 오류가 발생하는지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100마이크로초간 양자비트의 전형적인 에러율은 26개 중 4개였지만 우연히 우주선이 맞으면 에러율은 26개 중 24개로 뛰어올랐습니다. 또 프로세서 전체에서의 양자비트의 상태를 추적했는데, 처음에는 우주선이 충돌한 장소에 가까운 양자비트에 한정되어 있던 에러가 포논이 프로세서 전체에 퍼지면서 충돌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자비트에서도 에러율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양자 오류정정은 인접한 양자비트 그룹을 단일 논리단위로 설정하여 개별 양자비트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합니다. 그러나 우주선 충돌로 인한 포논은 준입자로 행동하기 때문에 인접한 모든 양자비트의 상태를 동시에 혼란시켜 버려 양자 오류정정이 방해되어 버린다고 연구팀은 말합니다.

또 우주선에 의한 충돌이 드물게 발생한다면 에러를 포함한 계산결과를 파기하고 다시 계산하면 일단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비교적 작은 양자프로세서에서도 10초마다 오류를 경험했기 때문에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는 계산을 양자컴퓨터에서 수행하려면 너무 우주선 충돌빈도가 높습니다.


불행하게도 현시점에 양자컴퓨터에 대한 우주선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는데, 연구팀은 천문학자들이 이미지 하드웨어 설계에서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포논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므로 유사한 솔루션이 양자컴퓨터로 전환될 수 있다고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망원경처럼 원통형으로 튀어나온 양안이 특징인 심해어인 데메니기스를 포착한 희귀 영상이 미국 몬테레이만 수족관 연구소(MBARI)의 연구팀이 공개했습니다.

New footage shows bizarre deep-sea fish that sees through its forehead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barreleye-fish-seen-on-dive

New footage shows bizarre deep-sea fish that sees through its forehead

Barreleye fish live in the ocean twilight zone.

www.livescience.com


New deep-sea sighting: The barreleye fish has a transparent head and tubular eye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Akv36y8WLYA


데메니기스의 가장 큰 특징은 투명한 돔 모양의 머리와 위쪽으로 향한 원통형 눈입니다.


녹색을 띤 데메니기스의 눈은 정면뿐만 아니라 바로 위로 향할 수 있으며 액체로 채워진 투명한 돔 모양의 머리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습니다. 또, 얼굴의 정면에 있는 눈과 같은 기관은 먹이의 냄새를 맡기 위한 콧구멍이라고 합니다.


동영상을 공개한 MBARI는 데메니기스가 서식하는 해역에 5600회 이상 무인잠수기(ROV)를 보내 약 2만 7600시간분의 촬영을 실시해 데메니기스를 포착한 횟수는 불과 9회였다는 것. ROV의 조종사를 맡은 MBARI의 토마스 노울즈 씨는 데메니기스를 발견했을 때의 심경에 대해 "우리 모두가 이것은 일생에서 단 한 번의 사건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았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물리학에 관한 세계 최대의 학회 미국지구물리학연합의 대회의 AGU Fall Meeting 2021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역사상 처음으로 태양 코로나에 탐사기가 도달한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NASA Enters the Solar Atmosphere for the First Time | NASA
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21/nasa-enters-the-solar-atmosphere-for-the-first-time-bringing-new-discoveries

NASA Enters the Solar Atmosphere for the First Tim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 spacecraft has touched the Sun. NASA’s Parker Solar Probe has now flown through the Sun’s upper atmosphere – the corona – and sampled particles and magnetic fields there.

www.nasa.gov


태양의 바깥쪽에 퍼지는 가스층인 태양 코로나와 태양이 발하는 '태양풍' 등을 조사하기 위해 NASA는 2018년 8월에 파커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 , PSP)라는 탐사기를 발사했습니다.

NASA’s Parker Solar Probe Begins Journey to the Sun – Parker Solar Probe
https://blogs.nasa.gov/parkersolarprobe/2018/08/12/nasas-parker-solar-probe-begins-journey-to-the-sun/

NASA’s Parker Solar Probe Begins Journey to the Sun – Parker Solar Probe

At Cape Canaveral Air Force Station’s Space Launch Complex 37, the Delta IV Heavy rocket with NASA’s Parker Solar Probe, lifts off at 3:31 a.m. EDT on Sunday, Aug. 12, 2018. The spacecraft was built by Applied Physics Laboratory of Johns Hopkins Univer

blogs.nasa.gov


지구와 달리 태양은 가스로 된 덩어리입니다. 가스는 중력이나 자력에 이끌려 태양을 덮고 있지만 열과 압력으로 인해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중력이나 자력의 영향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버리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알벤 임계면'이라고 불리는 태양 대기의 끝과 태양풍의 경계에서 임계면이 어디에 있는지는 지금까지 확실히 알 수 없었고, 태양의 표면으로부터 10태양반경(약 690만km)~20태양반경(약 1390만km)의 범위에 있다고 생각되어 왔습니다.

NASA에 따르면 파커 솔러 프로브는 2021년 4월의 8번째 근일점 통과(태양 스윙바이)시 태양표면에서 18.8태양반경(약 1310만km)으로 알벤 임계면을 통과했다고 전송해왔다는 것. 이것은 역사상 처음으로 탐사기가 태양 코로나를 만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커 솔러 프로브는 여러 번 태양 코로나를 출입하여 알벤 임계면이 부드러운 구형이 아닌 표면에 요철이 있는 모양으로 밝혀졌습니다.

파커 솔러 프로브의 목적지는 알벤 임계면이 아니며, 최종적으로는 태양으로부터 8.86태양반경(약 620만km)까지 접근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몇 번의 태양 스윙바이와 금성 스윙바이를 실시해 2024년 이후에 태양에 가장 근접할 전망입니다.

파커 솔러 프로브의 발사 이후의 과정은 아래의 영상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NASA's Parker Solar Probe Touches The Sun For The First Tim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LkaLfbuB_6E

Posted by 말총머리
,


동물은 페로몬이라고 불리는 화학물질을 생성하여 체외로 분비하고 다른 개체의 행동이나 발육에 변화를 촉진합니다. 그러나 인간이 페로몬을 분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과학적 증거는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와이츠만 과학연구소의 신경과학자인 노암 소벨 씨 연구팀이 인간 여성 특히 아기가 방출하고 있는 '헥사데카날(HEX)'이라는 무취의 화합물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Sniffing the human body volatile hexadecanal blocks aggression in men but triggers aggression in women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bg1530

Chemical emitted by babies could make men more docile, women more aggressive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chemical-emitted-babies-could-make-men-more-docile-women-more-aggressive

Chemical emitted by babies could make men more docile, women more aggressive

Finding could point to a possible pheromone in people

www.science.org


연구팀에 따르면 헥사데카날은 여성의 공격적인 행동을 조장하고 남성의 공격적인 행동을 둔하게 한다는 것. 인간은 피부, 타액, 배설물로부터 헥사데카날을 방출하는데 특히 아기는 머리에서 방출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벨 씨 연구팀이 헥사데카날을 단리해 마우스의 케이지에 넣어 본 결과, 마우스에 대해서 안정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강한 좌절감과 그에 대응하는 측정 가능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개발된 컴퓨터 게임을 126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플레이시키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피실험자의 절반은 헥사데카날을 반죽한 크림을 윗입술에 붙이고 플레이했고, 나머지 절반은 헥사데카날을 포함하지 않는 크림을 붙여 플레이했습니다.

피실험자는 보이지 않는 상대와 협상하면서 돈을 나누는 가상체험을 했습니다. 피실험자는 인간과 협상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컴퓨터와 협상하고 있었다는 것. 다만 협상은 피실험자에게 좌절감을 주도록 설계되어 피실험자가 '상대 몫'으로 전체의 90% 미만의 금액을 나타내면 컴퓨터는 'NO!'라고 새빨간 문자를 표시해 피실험자의 제안을 거부합니다.


그 후 피실험자는 동등한 조건으로 상대에게 소리로 타격을 가하는 게임을 플레이했습니다. 피실험자의 공격성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통증의 레벨'을 나타낸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소리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그 결과 헥사데카날에 노출된 피실험자 중 여성의 19%가 평균보다 공격적인 행동을 취한 반면, 남성은 18.5% 이상이 평균보다 공격적이지 않은 행동을 취했습니다.


연구팀은 기능적 자기공명이미지(fMRI)를 사용하여 피실험자의 뇌활동을 모니터링하면서 헥사데카날에 노출된 피실험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행동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여성 피실험자의 평균 13%에서 공격성이 늘었고 남성 피실험자의 평균 20%에서 공격성을 약화된 것에 더해 헥사데카날이 뇌활동에서 남녀에게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은 공격성을 제어하는 뇌영역의 신경전달이 감소했고 남성은 그 영역의 전달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에 헥사데카날이 유아의 생존과 관련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포유류에서 암컷은 아기를 보호하기 위해 공격성을 발휘해야 할 상황이 많으며 수컷은 자신의 자손을 공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소벨 씨는 “헥사데카날이 페로몬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인간의 행동, 특히 공격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3D프린터로 제조되는 완전 전동 코일건 'e-Shotgun'이 등장했습니다. e-Shotgun은 철제 코인으로 된 특제 탄환을 1분간에 2400발이라는 페이스로 사출 가능하며, 폭동의 진압이나 점포 경비 등의 비살상을 목적으로 한 상황에서의 활약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e-Shotgun – Advanced coilgun
https://e-shotgun.com/

e-Shotgun

Advanced coilgun

e-shotgun.com


일반적인 총기는 약협에 담긴 화약에 점화하여 탄두를 날리는 화기가 주류이지만, e-Shotgun은 전자석 코일을 사용하여 철제 코인을 날린다는 완전 전동의 비살상 무기로 총 중량은 약 4kg. 배럴 상부에는 배터리 잔량이나 매거진 잔량, 연사속도 설정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동시에 5발의 탄환을 사출할 수 있는 샷건모드에서는 분간 2400발이라는 연사속도로 사격이 가능합니다. 총알은 1발당 18그램의 코인형 철제 총알로, 매거진 용량은 50발. 유효 사정은 12미터이고 낮은 관통력과 높은 스토핑력을 실현하고 있어 폭도의 진압이나 금융기관의 방위 등의 비살상 용도에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e-Shotgun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아래의 영상에서 볼 수 있습니다.

Tech fans' dream gun! Advanced coilgun Player edition (Gen.3)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z8b474wu-w


총성 자체는 없습니다만, 사격시에는 코인형의 탄환 자체가 내는 소리가 납니다. 제조사는 매우 낮은 손상성이라고 소개하지만 수박 정도는 가볍게 분쇄하고 맥주캔도 손쉽게 관통하며 완전 자동으로 쏘면 브라운관 TV를 완전히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e-Shotgun은 화약도 공기압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총기'나 '에어건'의 정의에서 벗어나는데, 사용시에는 그 나라의 법집행기관에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기존의 총포 소지 허가 등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Founding Edition'이라고 하는 선행 판매 모델이 1299달러(약 148만 원)이고 희망 소매가격은 1980달러(약 225만 원)이 될 예정으로, 공식페이지에서는 지문인증 기능이나 리모트락 기능, 빅데이터 통계분석 기능 등을 탑재한 'Professional Edition'의 등장이 예고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홋카이도대학대학원의학연구원의 고바야시 히로이치 교수 연구팀이 신형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어떻게 인체의 면역체계에서 벗어나 감염을 지속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습니다.

SARS-CoV-2 inhibits induction of the MHC class I pathway by targeting the STAT1-IRF1-NLRC5 axis | Nature Communications
https://doi.org/10.1038/s41467-021-26910-8

SARS-CoV-2 inhibits induction of the MHC class I pathway by targeting the STAT1-IRF1-NLRC5 axis - Nature Communications

The presentation of viral antigens to T cells via the MHC molecules i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host response to viral infection. Here the authors suggest SARS-CoV-2 possesses the immune evasion strategy against the MHC class I pathway by targeting key

www.nature.com


新着情報: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免疫逃避メカニズムの解明に成功~病態の理解と新規治療法への貢献に期待~(医学研究院 教授 小林弘一)
https://www.hokudai.ac.jp/news/2021/11/post-936.html

新着情報: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免疫逃避メカニズムの解明に成功~病態の理解と新規治療法へ

2021年11月16日 ポイント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細胞障害性T細胞からの逃避機構を解明。●ウイルス原因遺伝子の同定に成功。●免疫応答を利用した新規治療法に期待。 概要 北海道大学大学

www.hokudai.ac.jp


COVID-19 Breakthrough: Scientists Discover How the SARS-CoV-2 Virus Evades Our Immune System
https://scitechdaily.com/covid-19-breakthrough-scientists-discover-how-the-sars-cov-2-virus-evades-our-immune-system/

COVID-19 Breakthrough: Scientists Discover How the SARS-CoV-2 Virus Evades Our Immune System

A discovery by researchers at the Texas A&M College of Medicine could lead to new therapies to prevent the virus from proliferating in the human body. The immune system is a complex network of cells and proteins that is designed to fight off infection and

scitechdaily.com


인간의 면역계는 복수의 방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것이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몸을 지켜 줍니다. 이 방어시스템 중 '바이러스를 체내에서 제거하는 데 필요한 면역세포'가 세포독성T세포입니다. 세포독성T세포는 바이러스 항원을 발견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발견하고 파괴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방지합니다.

면역세포가 바이러스 항원을 찾을 수 있게 하려면 MHC클래스I라는 분자가 필요한데, 고바야시 교수 연구팀은 SARS-CoV-2 감염자의 폐나 인후의 세포에서는 감염의 방어에 필요한 MHC클래스I의 양이 적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또 조사를 진행한 결과에서 MHC클래스I의 양을 늘리는데 필요한 면역계의 NLRC5라는 단백질의 양과 기능도 SARS-CoV-2에 의해 억제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즉 SARS-CoV-2는 NLRC5의 양과 기능을 모두 저하시킴으로써 MHC클래스I의 발현 장애를 일으켜 세포독성T세포에 의한 면역반응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연구팀은 SARS-CoV-2의 어느 유전자가 면역계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는지 그 메커니즘도 규명하는 데 성공해 SARS-CoV-2가 면역계로부터 벗어나 일정 기간 인체에 잠복후 증식한 뒤 타인에게 감염시키는 메카니즘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바야시 교수는 "SARS-CoV-2가 인체에서 매우 쉽게 증식하는 이유는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가 NLRC5의 기능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ORF6이라는 억제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MHC클래스I 역시 저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연구팀이 SARS-CoV-2의 특정 유전자가 면역억제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냈기 때문에 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고바야시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한 텍사스A&M대학 의학부의 폴 데 피게일레드 부교수는 “이 새로운 발견으로 SARS-CoV-2의 특정 유전자를 차단할 수 있는 신약을 개발 가능하게 되어 면역계가 SARS-CoV-2와 영구적으로 싸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0년 하버드대학의 신경과학자와 구글의 엔지니어가 인간의 뇌의 신경세포를 염색하여 매핑한 것을 공동으로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이 공동연구에서 이루어진 매핑은 인간의 뇌 전체의 불과 100만분의 1. 신경세포를 매핑하는 '커넥톰'이 어떤 것인지를 과학계 미디어 Quanta Magazine이 설명했습니다.

New Brain Maps Can Predict Behaviors | Quanta Magazine
https://www.quantamagazine.org/new-brain-maps-can-predict-behaviors-20211206/

New Brain Maps Can Predict Behaviors

Rapid advances in large-scale connectomics are beginning to spotlight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neural circuitry. They also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wiring diagrams” alone.

www.quantamagazine.org


하버드대학의 제프 리히트만 씨 연구팀은 인간의 뇌를 5000개 이상의 조각으로 절단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혈관과 신경세포의 영상화를 실시하여 매핑에 성공했습니다. 오랫동안 커넥톰에 종사해 온 리히트만 씨는 “신대륙을 발견한 것 같다”며 성과를 기뻐했지만, 인간의 뇌 전부를 맵핑하는 데 훨씬 긴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도 인정했습니다.


신경세포가 어떻게 배치되는지나 신경세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은 뇌의 소유자인 생물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는지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합니다. 한 실험에서는 커넥톰으로 동물의 다음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났고 또 다른 실험에서는 신경세포가 동작하는 일정한 규칙을 커넥톰에서 이끌어 낼 가능성이 나타났다는 것. 이러한 지식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뇌 전체의 매핑이 불가결한데 단 1종의 생물을 대상으로 성공했습니다. 그 생물은 몸길이가 불과 1mm인 선충의 일종입니다


선충의 커넥톰이 완성된 시기는 1986년으로 단 302개의 신경세포만을 가지는 선충을 대상으로 매핑이 이루어져 약 5000의 화학시냅스나 약 2000의 신경절 접합부, 약 600의 갭결합 등 모든 부위가 어떠한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지가 정확하게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는 전자현미경의 이미지와 광학문자인식(OCR)을 이용하여 손으로 그린다는 방식으로 15년 이상 걸려 이루어졌습니다.

현재는 화상인식 기술의 진보로 선충의 커넥톰에 걸리는 시간은 1개월까지 단축되었습니다. 복수의 선충을 매핑함으로써 '행동패턴이 각각 다른 별개체에서도 교미중에 주위의 환경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작용은 모든 개체에서 일관된다' 등의 연구성과를 얻었습니다. 신경세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과학계에서는 커넥톰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충보다 복잡한 생물일수록 뇌의 모든 구조를 매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뇌만으로도 1000억 개 정도의 신경세포를 가진 인간에서는 일부 신경세포가 여러 사람으로 일치했다고 해서 그것이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인 것인지는 불분명합니다. 리히트만 씨는 “100명 정도를 매핑할 수 있으면 어느 정도 명확해질 것”이고 보고 있습니다만, 1인당 1.4PB(약 1400TB)라는 정보량의 매핑을 실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커넥톰의 연구는 부분적이면서도 중요한 진보를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2020년에는 Drosophila의 뇌의 대부분인 25,000개의 신경세포를 매핑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초파리가 비행할 때 활발해진다는 수십 개의 새로운 신경세포와 회로의 발견에 이르렀고 이 매핑은 초파리 연구의 이정표로 환영받고 있습니다.


커넥톰은 단순히 신경세포의 매핑을 하는 것이어서 신경세포가 얼마나 많은 정보량을 전달하고 있는지 등 커넥톰만으로는 모르는 점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히트만 씨는 커넥톰이 신경과학의 강력한 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기술혁신으로 인해 대규모 커넥톰 연구가 현실이 되고 있다"며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거대한 우주선이 몇 광년의 거리를 워프로 순식간에 이동한다'는 SF로 친숙한 워프드라이브는 지금까지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이라고 알려져 왔습니다. 워프드라이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주선을 아공간의 장소인 '워프버블'로 감싸야 하는데, 새롭게 DARPA(국방고등연구계획국)로부터 자금제공을 받아 워프드라이브와는 무관한 연구를 하고 있던 연구팀이 워프버블을 우연히 생성했다고 보고했습니다.

DARPA Funded Researchers Accidentally Create The World's First Warp Bubble - The Debrief
https://thedebrief.org/darpa-funded-researchers-accidentally-create-the-worlds-first-warp-bubble/

DARPA Funded Researchers Accidentally Discover The World's First Warp Bubble - The Debrief

Warp drive pioneer Dr. Harold G “Sonny” White has reported the successful manifestation of an actual, real-world “Warp Bubble.”

thedebrief.org


워프드라이브는 물리학자 미겔 알쿠비에레 씨가 제창한 '알쿠비에레 드라이브'라는 이론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SF드라마 시리즈 '스타트렉'에 등장하는 워프항법을 힌트로 한 알크비에레 드라이브는 '우주선의 후방 시공을 팽창시키는 동시에 전방 시공을 수축시켜 우주선을 움직인다'는 이른바 시공의 파도를 타고 서핑을 하듯 항행한다는 아이디어입니다.


알쿠비에레 드라이브는 학술적으로는 평가되었지만 실현을 위해서는 특수한 재료와 방대한 에너지가 필요하여서 실용화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013년 NASA의 존슨우주센터 '이글웍스 연구소'를 창설한 해롤드 화이트 박사는 알크비에레 드라이브의 측정기준을 손봐 특수소재와 에너지사용량을 크게 삭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는 것. 이 공로를 인정받아 비공식이지만 알크비에레 드라이브는 '알크비에레/화이트 워프드라이브'라고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워프드라이브의 이론은 화이트 박사에 의해 진화했지만 여전히 이론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최신 연구에서 화이트 박사는 실제로 '워프버블'을 출현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워프버블은 우주선을 감싸고 시공연속체를 왜곡하여 우주선을 추진시키기 위한 아공간 출현현상을 의미합니다. "분명히 해두고 싶은 점은 우리가 발견한 것은 '워프버블의 유사품'이 아닙니다. 작지만 우리는 진짜 워프버블를 발견했다"고 화이트 박사는 주장합니다.


화이트 박사는 원래 워프버블과는 별도로 '카시미르 공동'이라고 불리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구조에 대해 DARPA의 자금을 받아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카시미르 공동에 대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우연히 워프버블에 대한 발견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어떤 목적을 위해 연구를 해, 전혀 예기치 않은 것을 발견한다"라는 말의 좋은 사례"라고 화이트 박사는 말합니다.

카시미르 공동에 대한 발표에서 화이트 박사 연구팀은 “알크비에레 측정기준의 요건을 엄밀하게 충족하고, 부의 에너지 밀도분포를 예측하는 마이크로/나노 스케일의 구조를 발견했다”며 논문은 진짜 워프버블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나노구조에 대해 언급한 세계 최초의 검토된 논문이라고 화이트 박사는 주장했습니다. 이 나노구조를 이용하면 알크비에레 드라이브가 요구하는 부의 에너지 밀도분포를 실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화이트 박사는 생각합니다.


덧붙여 연구팀은 현재 카시미르 공동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우주선을 구축·테스트할 계획은 없다면서도 구체적인 '워프드라이브 우주선'의 아이디어에 대해서 몇 가지 제안을 공개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쇼핑사이트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물동량에 미 캘리포니아주의 항구에서는 선박이나 컨테이너가 대혼란에 빠져 유통이 몇 주 단위로 늦어지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별 탈 없는 배송을 실현하고 있는 아마존이 어떤 방법을 취하고 있는지에 대해 CNBC가 취재했습니다.

How Amazon beats supply chain chaos with ships and long-haul planes
https://www.cnbc.com/2021/12/04/how-amazon-beats-supply-chain-chaos-with-ships-and-long-haul-planes.html

Amazon is making its own containers and bypassing supply chain chaos with chartered ships and long-haul planes

Amazon is avoiding supply chain chaos by making its own containers, chartering ships and leasing long-haul planes to get goods from China to the U.S. faster

www.cnbc.com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에서는 입항 대기중인 컨테이너선이 유례없는 규모로 몰려 유통이 멈추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해 외식이나 여행에 대한 사람들의 지출이 줄어든 반면, 전자제품 등의 지출이 증가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유통이 혼란에 빠지고 제품의 도착 지연이 발생하는 가운데 '다음날 배송'이라는 신속한 배송을 실현하는 아마존은 가능한 한 많은 제품을 배송하기 위해 투자를 계속해 왔습니다. 2019년 아마존이 배송에 들인 비용은 380억 달러(약 43조 원)였지만 2021년에는 그 비용이 610억 달러(약 69조 원)로 증가했습니다. 또 컨설팅기업인 SJ Consulting Group에 따르면 Amazon이 취급하는 배송물 중 타사를 거치지 않고 Amazon에서 배송되는 배송물은 2019년 47%에서 크게 증가해 72%에 이른다고 합니다.


아마존의 배송전략 중 하나는 '중국에서 독특한 화물컨테이너를 제조'하는 것입니다. 배송지연의 원인으로 세계적인 컨테이너 부족이 지적되고 있으며, 컨테이너 가격은 유행 전 10배에 해당하는 2만 달러(약 2300만 원)까지 상승했습니다.

Where are all the containers? The global shortage explained
https://www.hillebrand.com/media/publication/where-are-all-the-containers-the-global-shortage-explained


Amazon은 지난 2년간 5000~1만 개의 컨테이너를 중국에서 제조하여 미국으로 반입했다는 것. 2021년 10월 5일에는 Amazon 컨테이너를 대량으로 적재한 화물선 Star Lygra가 텍사스주 휴스턴에 도착했습니다.


아마존은 2015년에 독자적인 해상화물 사업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017년 아마존은 중국에서 풀필먼트 by 아마존을 전파하기 위해 중국 자회사를 통해 글로벌 화물수송업을 시작했습니다. 원래 화물수송업의 선박은 재목·화물·곡물·농산물을 운반하기 위한 다목적선이었지만, 컨테이너 부족이나 유통의 악화에 Amazon은 이것을 컨테이너선으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Amazon은 이익률이 높은 제품의 배송에는 보잉777 같은 항공기를 임대하여 중국에서 미국으로의 배송에 이용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 민간의 화물선을 전세해 혼잡한 로스앤젤레스가 아닌 워싱턴의 항구에 짐을 운반해 거기에서 트럭으로 로스앤젤레스에 짐을 운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노동자의 부족도 세계적으로 물류의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아마존은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2021년에 고용하고 있는 계절노동자 전원에게 최대 3000달러(약 340만 원)의 사인 온 보너스 (입사시 일시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2021년 직원 수는 2020년에 비해 5만 명 증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암호화자산 거래소인 BitMart에서 2021년 12월 4일에 대규모 해킹이 발생하여 최소 1억 5000만 달러(약 1700억 원) 상당의 암호화자산이 도난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부 보안기업은 피해총액이 약 2억 달러(약 2250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BitMart Security Breach Update – BitMart
https://support.bmx.fund/hc/en-us/articles/4411998987419

BitMart Security Breach Update

12/6/2021 Update:Dear BitMart Users,In response to this incident, BitMart has completed initial security checks and identified affected assets. This security breach was mainly caused by a stolen pr...

support.bmx.fund


Hackers take $196 million from crypto exchange Bitmart, security firm says
https://www.cnbc.com/2021/12/05/hackers-take-196-million-from-crypto-exchange-bitmart-in-large-breach.html

BitMart says it will compensate victims of $196 million hack and restore trading by Tuesday

Crypto exchange Bitmart says it will compensate victims of the $196 million hack.

www.cnbc.com


Bitmart hacked for $200M following Ethereum, Binance Smart Chain exploit
https://cointelegraph.com/news/bitmart-hacked-for-200m-following-ethereum-binance-smart-chain-exploit

Bitmart hacked for $200M following Ethereum, Binance Smart Chain exploit

The hackers made away with a mix of over 20 tokens that includes altcoins such as BNB, Safemoon, BSC-USD and BPay.

cointelegraph.com


BitMart의 창업자 겸 CEO인 Sheldon Xia 씨가 Twitter에 당사의 ETH(이더리움) 핫월렛과 BSC(바이넌스 스마트체인) 핫월렛 중 하나와 관련된 대규모 보안침해가 있었고 해커는 약 1억 5000만 달러의 자산을 인출했을 수 있다고 알렸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관련 보안기업인 PeckShield는 이더리움에서 1억 달러(약 1120억 원), 바이넌스 스마트체인에서는 9600만 달러(약 1080억 원)가 도난당해 피해액은 총 약 2억 달러에 달한다는 견적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바이넌스 스마트체인에서는 밈코인인 BabyDoge 코인을 비롯한 합계 20종류의 암호화자산이 도난당하는 등 피해규모는 광범위합니다.


BitMart는 이번 해킹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공표하고 있지 않습니다만, Peckshield에 따르면 '트랜스퍼 아웃 스왑 워시'라는 전형적인 수법이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BitMart에서 탈취한 암호화자산을 1inch라는 분산형 암호화자산 거래소를 통해 이더리움 내 통화인 Ether로 환금 후 거기에서 발신자와 수신자의 주소 사이의 링크를 끊어 거래를 익명화하는 서비스 Tornado Cash에 송금하여 자금추적을 곤란하게 하는 수법입니다.


미국의 뉴스미디어 CNBC는 BitMart에 고객의 자금이 해킹의 대상이 되었는지 여부와 피해를 입은 사용자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는지 등을 문의했지만 응답은 얻지 못했습니다. Xia 씨의 Twitter 계정에 기재되어 있던 이메일 주소에도 연락했지만 '액세스가 거부되었다'는 메시지가 되돌아왔다는 것.

BitMart는 당분간 출금을 일시중지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애플이 개발한 분실물 추적기 'AirTag(에어태그)'는 애플의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분실물의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소형 디바이스로, 도난당한 자동차를 되찾는데 도움이 된 사례가 보고되는 등 전세계에서 분실물의 수색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롭게 AirTag를 자동차도둑이 활용하고 있다는 보고가 캐나다 경찰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VEHICLE THEFT WARNING AND PREVENTION TIPS
https://www.yrp.ca/en/Modules/News/index.aspx?feedId=eec058e4-5b49-437f-89cd-d222d7465de7&newsId=167fa5b3-3583-431d-8cc0-91e49aee3bff

Apple AirTags being used by thieves to track high-end cars to steal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cars/2021/12/apple-airtags-being-used-by-thieves-to-track-high-end-cars-to-steal/

Apple AirTags being used by thieves to track high-end cars to steal

Canadian police say they've had five such incidents since September.

arstechnica.com


AirTag는 Apple이 2021년 4월에 발표된 분실물 추적기로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는 작은 사이즈의 본체를 소중한 물품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디바이스입니다.

by Hideya HAMANO. Source:https://www.flickr.com/photos/mawari/51128868305


AirTag는 손쉽게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어서 스토커 행위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어 Apple은 AirTag의 알림기능 조정 등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강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AirTag가 자동차도둑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실태를 캐나다의 요크지역을 관할하는 경찰조직 York Regional Police가 보고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2021년 9월 이후에 AirTag를 이용한 자동차도둑이 5건 발생했다는 것. 해당 사건에서는 '대상 차량이 쇼핑몰 등 공공장소에 주차되었을 때 AirTag를 찾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고 자동차의 위치를 추적해 피해자의 주거에서 훔친다'는 수법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경찰은 “자동차도둑은 새로운 수법을 계속 개발하고 있으며 차량도난 사건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아래와 같은 도난대책을 권고했습니다.

・시정 가능한 차고에 주차한다
・핸들락을 이용한다
・차량진단 포트에 대한 액세스 차단
・고품질의 감시카메라를 구입하여 적절하게 설치 ・차량을 정기적으로 점검


AirTag에는 'AirTag의 소유자가 AirTag에서 떨어져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음이 울린다'거나 '자신의 것과 다른 Apple ID와 연동된 AirTag가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에 Apple 장치에 알림보내기'라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또 알림수신을 위한 Android 앱 개발 계획 등 AirTag로 추적당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노화로 인해 머리카락이 적어지는 현상은 인류에게 주어진 숙명이지만, 한편으로는 남성 중에는 나이가 들수록 눈썹이 풍성해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눈썹, 귀털, 코털이 풍성해지는 현상이 남성에서만 생기는 수수께끼에 대해 피부과 의사인 다니로 델 캄포 씨와 마리 진 씨가 설명했습니다.

Why do men's eyebrows get bushier with age?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older-men-bushy-eyebrows

Why do men's eyebrows get bushier with age?

And why doesn't it happen to women?

www.livescience.com


델 캄포 씨는 나이에 있어서의 얼굴 털의 남녀 차이는 대표적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원인이라고 설명합니다. 2020년 폴란드의 바르샤바대학과 포즈난의과대학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모근을 감싸는 조직인 모낭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은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지만, 폐경 후 여성에 한해서는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모든 체모의 뿌리인 모근은 아나겐이라 불리는 성장기와 카타겐이라 불리는 휴지기, 테로겐이라고 불리는 휴면기라는 3단계의 시기를 거친 후 최종적으로 빠집니다. 그리고 몸의 부위에 따라 머리카락의 태어나는 방법이 다른 이유는 성장기·휴지기·휴면기라는 기간의 길이가 부위마다 다른 것이 원인이라는 것. 모근의 성장기는 두피의 경우는 2~7년이지만 눈썹의 경우는 불과 30일로 1cm 이상의 길이가 되지 않습니다.

이 기간의 길이와 관련된 것이 테스토스테론입니다. 진 씨에 따르면 모낭의 구조와 성장기·휴지기·휴면기의 길이는 다양한 호르몬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테스토스테론으로 대표되는 남성호르몬은 체모에 대해 성장기·휴지기·휴면기의 길이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합니다.

눈썹·코털·귀털의 모낭은 남성호르몬으로 인해 성장기·휴지기·휴면기가 연장되지만 모발의 경우는 성장기·휴지기·휴면기가 짧아지는 변화가 발생합니다. 체모와 머리카락의 경우에 정반대의 반응이 생기는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테스토스테론이 원인으로 남성은 머리카락이 얇아지고 동시에 얼굴의 털이 진해집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당연히 남성이 많고 여성은 적지만 여성의 경우 폐경을 경계로 난소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멈추고 남성이 70세를 넘어도 테스토스테론을 계속해서 생성하는 반면 여성은 50세경에 폐경이 발생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털의 변화는 남성에게만 발생한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Facebook이 회사명을 Meta로 변경하는 등 가상공간에서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메타버스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NFT 관련 정보를 취급하는 DappRadar가 메타버스의 토지가 고액으로 거래되고 있는 현상을 보고했습니다.

Over $100 million in Metaverse Land Sales Last Week
https://dappradar.com/blog/over-100-million-in-metaverse-land-sales-last-week

Over $100 million in Metaverse Land Sales Last Week

The Sandbox alone attracted more than $86 million in land sales

dappradar.com


Gold Rush in the Metaverse, Land Selling for Millions – Top 10 NFT Sales
https://dappradar.com/blog/gold-rush-in-the-metaverse-land-selling-for-millions-top-10-nft-sales

Gold Rush in the Metaverse, Land Selling for Millions – Top 10 NFT Sales

Decentraland, The Sandbox and Axie Infinity among most expensive NFT sales

dappradar.com


가상공간에서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는 가상공간내의 토지를 NFT로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도 합니다. DappRadar는 이 가상공간내의 토지가 매우 높은 가격으로 매매되고 있다며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The Sandbox'에서 1주일 사이에 총 8656만 달러(약 980억 원)의 토지가 매매되었다고 전합니다. 그 밖에도 'Decentraland'에서는 1553만 달러(약 170억 원), 'Cryptovoxels'에서는 268만 달러(약 30억 원), 'Somnium Space'에서는 110만 달러(약 12억 원)의 토지가 일주일 사이에 거래되었습니다.


DappRadar는 "The Sandbox의 땅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거래되는 NFT 컬렉션입니다. 또 Decentraland의 땅은 8번째로 많이 거래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DappRadar가 정리한 2021년 11월 22일~28일 기간에 거래된 NFT의 가격 데이터를 확인하면, 가장 고액으로 거래된 NFT는 Decentraland의 토지로, 그 가격은 242만 달러(약 27억 원)에 달합니다.


메타버스의 토지가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DappRadar는 "확실히 메타버스의 토지는 NFT 업계의 큰 히트"라며 "The Sandbox와 Decentraland와 같은 가상세계에 대한 큰 주목은 Facebook이 최근 Meta로 리브랜드한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