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2.02.26 러시아 전투기 6대를 격추시켰다는 우크라이나군의 에이스 '키예프의 유령'의 격추 영상은 시뮬레이션
  2. 2022.02.25 블랙라이트로 비추면 빛나는 유전자 조작 열대어가 자연계에서 번식
  3. 2022.02.21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은 4000경 개
  4. 2022.02.20 사랑니가 어른이 되고 나서 나오는 이유
  5. 2022.02.14 남성은 점점 어려운 처지로 몰리고 있다
  6. 2022.02.14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최초의 우주사진을 공개
  7. 2022.02.10 Starlink의 인공위성 40기가 지구의 대기권에 재돌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SpaceX가 공표
  8. 2022.02.10 중력렌즈를 이용해 5150광년 떨어져 있는 블랙홀의 관측에 성공
  9. 2022.02.04 블랙홀을 부정한 아인슈타인
  10. 2022.02.04 지성의 대결...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
  11. 2022.02.04 미국을 패전으로 몰아넣은 '맥나마라의 오판'
  12. 2022.02.03 테슬라가 일시정지하지 않는 버그로 5만 대 이상을 리콜
  13. 2022.02.03 해저에서 발광하며 영원히 살아가는 거대 생물체 'Giant Pyrosome'
  14. 2022.02.03 인류가 밤부터 아침까지 푹 자게 된 시기는 산업혁명 이후
  15. 2022.01.31 인간의 유전자를 알면 투약방법이 바뀌어 난치병 치료가 가능해져
  16. 2022.01.28 20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가 보관된 하드웨어 월렛의 비밀번호를 까먹은 인물을 위해 해커가 취한 방법이란?
  17. 2022.01.27 Amazon의 가격 최적화 서비스 'Sold by Amazon'이 독점금지법 위반일 가능성
  18. 2022.01.26 무료인 Facebook의 개발도상국용 데이터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요금을 청구하고 있다
  19. 2022.01.25 통가의 화산분화가 얼마나 컸는지 한눈에 알 수 있는 사이트 'How big was the Tonga eruption?'
  20. 2022.01.25 Google 드라이브에 '1'만 입력한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저작권 침해 경고가 발생
  21. 2022.01.24 양자얽힘의 순간을 세계 최초로 이미지에 기록하는데 영국의 연구팀이 성공
  22. 2022.01.23 주식이나 금보다 유리한 투자는 ‘레고투자’...평균 수익률은 무려 연 11%
  23. 2022.01.22 스위스의 명봉 마터호른은 2초에 1회 주기로 흔들리고 있다
  24. 2022.01.22 해달이 추운 바다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25. 2022.01.21 사람의 눈을 스캔하여 단명을 예측하는 AI가 등장
  26. 2022.01.19 Lenovo에 탑재된 AMD CPU에 벤더락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고시장이 혼란
  27. 2022.01.18 무한히 뜨거워진 것은 어떤 색으로 보일까?
  28. 2022.01.17 성간 유기물이 지구의 물의 기원...지구형 행성의 물의 기원 규명에 기대 1
  29. 2022.01.11 달의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큐브'의 정체
  30. 2022.01.09 지자기 역전이 약 100년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판명


2022년 2월 24일에 시작된 러시아에 의한 우크라이나 침공 속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있는 에이스 파일럿이 30시간 동안 러시아군의 기체 6대를 격추해 '키예프의 유령(Ghost of Kyiv)'이라고 불리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습니다. 정말로 혼자서 러시아의 기체를 6기 격추한 파일럿이 있는지 그 진위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어도 키예프의 유령에 의한 격추 영상이라며 SNS에서 나돌고 있는 영상이 시뮬레이션 영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Is This 'Ghost of Kyiv' Video Real? | Snopes.com
https://www.snopes.com/fact-check/is-this-ghost-of-kyiv-video-real/

Is This 'Ghost of Kyiv' Video Real?

The "Ghost of Kyiv" may be real, but this video is not.

www.snopes.com


인터넷상에 떠도는 정보의 진위를 확인하는 사이트 Snopes.com에 따르면 '키예프의 유령'이 러시아기를 격추하는 장면이라며 나돌고 있는 영상은 사실이지만 설명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합니다.

실은 아래의 영상은 YouTube에 Comrade_Corb 씨가 업로드한 것으로 타이틀을 번역하면 '키예프의 유령 | 우크라이나군의 MiG-29와 러시아군의 Su-27의 도그파이트를 DCS로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입니다. 동영상의 설명란에도 전장을 시뮬레이트할 수 있는 Digital Combat Simulator World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실제로 러시아기를 격추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GHOST OF KIEV | dogfight between Ukrainian MiG29 and Russian Su27 simulated in DCS World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BBJ_JzV8u4


이 영상이 시뮬레이션인 점과 '키예프의 유령'과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혼자서 러시아의 기체를 6기나 격추했다는 에이스 파일럿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습니다.

정보에 따르면 '키예프의 유령'은 시뮬레이션 영상처럼 MiG-29로 Su-27과 MiG-29를 각각 1기, Su-35와 Su-25를 각각 2기 격추했다는 것. 우크라이나군 관계자는 실제로 복수의 러시아 군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러시아 측은 타스통신을 통해 주장을 부정했습니다.

The Ghost of Kyiv, Ukraine's urban legend of a hero ace pilot | Marca
https://www.marca.com/en/lifestyle/world-news/2022/02/25/621851ddca4741a0458b4652.html

The Ghost of Kyiv, Ukraine's urban legend of a hero ace pilot

If you have been following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Ukraine, you might've already stumbled upon the urban legend of 'The Ghost of Kyiv'. Twitter is going wild with the alleg

www.marca.com

Posted by 말총머리
,
by Karen Swain. https://www.flickr.com/photos/museumwebbie/


유전자 조작 기술의 발전으로 관상어 시장에서는 선명한 물고기나 블랙라이트를 조사하면 빛나는 물고기 등 화려한 외형의 물고기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런 유전자 조작을 한 관상어가 자연계에 정착하고 있는 사례가 과학지 Science에 보고되었습니다.

Transgenic glowing fish invades Brazilian streams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transgenic-glowing-fish-invades-brazilian-streams

Transgenic glowing fish invades Brazilian streams

Aquarium curiosity appears to be thriving after escape from fish farms and may threaten local biodiversity

www.science.org


이전에는 외형이 화려한 관상어를 생산하기 위해 인위적 교배를 반복하는 품종개량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블랙라이트를 조사하면 빛나는 물고기 등의 기묘한 특징을 가진 관상어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 예로 GloFish라는 브랜드명의 물고기는 블랙라이트를 조사하면 핑크색이나 녹색으로 빛나는 데 6마리 세트 구성으로 56.99달러(약 7만 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유전자 조작 생물을 자연계로 유출시키는 것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2014년 플로리다주 운하에서 살아있는 GloFish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운하에는 큰입우럭 등의 포식자가 서식했기 때문에 GloFish는 번식을 못하고 포식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2015년에는 브라질의 제브라피쉬(Zebrafish)의 포식자가 존재하지 않는 하천에서 관상용으로 유전자 조작된 제브라피쉬가 발견되었습니다. 브라질에서 유전자 조작 제브라피쉬를 발견한 연구팀은 문제의 제브라피쉬는 일반적인 제브라피쉬에 비해 조기에 성숙하므로 증식을 계속하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게다가 유전자 조작 제브라피쉬는 천연 제브라피쉬보다 눈에 띄는 색조를 띄고 있기 때문에 교배로 눈에 띄기 쉬운 색조의 제브라피쉬가 많이 태어나면 포식자에게 노려지기 쉬워진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by Dennis Amith. https://www.flickr.com/photos/kndynt2099/


브라질에서 유전자 조작 제브라피쉬를 발견한 Andre Magaryanis 씨는 현재 유전자 조작 제브라피쉬의 개체수는 적지만 앞으로 큰 문제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큰 질량으로 인해 시공이 왜곡되어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특이점이 존재하는 천체가 블랙홀입니다. 이탈리아의 연구기관인 International School for Advanced Studies(SISSA)의 연구팀이 관측 가능한 우주에 존재하는 항성 블랙홀의 수를 계산하여 그 수가 4000경 개에 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The Black Hole Mass Function Across Cosmic Times. I. Stellar Black Holes and Light Seed Distribution - IOPscience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3847/1538-4357/ac34fb

How Many Black Holes Are in the Universe? 40,000,000,000,000,000,000
https://scitechdaily.com/how-many-black-holes-are-in-the-universe-40000000000000000000/

How Many Black Holes Are in the Universe? 40,000,000,000,000,000,000

With a new computational approach, SISSA researchers have been able to make the fascinating calculation. Moreover, according to their work, around 1% of the overall ordinary (baryonic) matter is locked up in stellar mass black holes. How many black holes a

scitechdaily.com


Bad Astronomy | Black holes number in the quintillions in the entire Universe | SYFY WIRE
https://www.syfy.com/syfy-wire/bad-astronomy-black-holes-quintillions

There are 40 quintillion black holes in the observable Universe. More or less.

How many black holes are there? I don't mean near the Sun, or even in the galaxy. I mean, how many black holes are there in the entire observable Universe? Turns out about 40 billion billion of them. For those who like numbers, that's 40,000,000,000,000,00

www.syfy.com


지구가 존재하는 우리은하에 속하는 별은 약 2000억 개로 추정합니다. 그 중에는 지구처럼 작은 별도 있고 태양의 10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는 거대한 별도 존재합니다. 비율로 보면 태양보다 질량이 작은 별이 전체의 80% 정도이고 태양과 동등한 질량을 가진 별이 10% 정도, 태양보다 큰 질량을 가진 별이 10% 정도입니다.

이와 같이 우주의 단위 부피당 어떤 질량의 별이 어떤 빈도로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함수를 '별 질량함수'라고 부릅니다. 질량이 높은 별은 수명이 짧고 반대로 질량이 작은 별은 수명이 길기 때문에 별 질량함수는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합니다. 또한 별은 우주에서 무한히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소원자 등으로 구성된 가스구름에서 태어나는데 유한량이므로 은하에서 만들어지는 별의 수는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별 질량함수로 천체의 수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블랙홀에 대해서도 이 별 질량함수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다만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이 폭발하여 생성되는 블랙홀은 탄생까지 매우 긴 시간이 걸리고 소멸되기까지 영원같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 때로는 블랙홀끼리가 합체할 가능성도 있어서 통상의 천체와는 별 질량함수가 크게 다릅니다.

SISSA의 연구팀은 블랙홀의 질량분포를 밝히고 블랙홀의 별 질량함수를 특정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얼마나 많은 질량의 블랙홀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존재비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규명하면 우주나 은하에 대한 이해가 더욱 넓어집니다.

SISSA의 연구팀이 전용 소프트웨어로 계산을 실시한 결과로 태양의 5배~50배 질량을 가지는 블랙홀의 수는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고 합니다. 또 블랙홀이 합체할 확률은 지금까지의 관측결과와 일치하는 것도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계산결과로 블랙홀의 수를 계산한 결과 지구를 중심으로 반경 465억 광년의 관측 가능한 우주에 포함되는 항성 블랙홀의 수는 40×10^18개 즉 4000경 개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덧붙여 이 4000경 개의 블랙홀을 모두 더하면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 총 중량의 1% 가량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데 실제로는 블랙홀 질량의 대부분이 암흑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물질이 블랙홀의 질량을 구성하는 비율은 전체의 15% 정도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유치와 영구치에 비해 상당히 늦게 자라나는 사랑니의 수수께끼에 대해 과학계 뉴스사이트 Live Science가 설명합니다.

Why do wisdom teeth come in so late?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why-wisdom-teeth-emerge-late

Why do wisdom teeth come in so late?

Were these late-blooming teeth ever useful to humans?

www.livescience.com


영어권에서는 사물의 분별이 하는 시기에 자라나는 점에서 'wisdom teeth(지혜의 치아)'라고 불립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라나면서 통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현대에는 발치로 제거하는 조치가 일반적입니다.

사랑니가 아이일 때 자라나지 않는 수수께끼에 대해서는 2021년 10월에 발표된 영장류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에서 '턱의 길이'가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아이에게서 사랑니가 자라지 않는 이유는 턱 속에 사랑니가 성장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고 현대인이 사랑니를 뺄 수밖에 없게 된 이유는 나무의 열매나 야채, 야생동물의 고기 등 딱딱한 음식을 먹지 않게 된 결과로 인해 턱이 짧아져 사랑니를 문제없이 저장해 둘 공간이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By Ixitixel. https://commons.wikimedia.org/wiki/User:Ixitixel


이와 같이 공간부족이 원인이라는 가설 외에도 사랑니가 백업으로 사용되는 치아라는 가설도 존재합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 메디컬센터에 근무하는 치과의사인 스티븐 켐프먼 씨에 따르면 고대인은 어떠한 사정으로 치아를 잃거나 마모된 경우에는 사랑니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메인 치아를 잃을 시기가 주로 20세 무렵이었다는 것. 켐프먼 씨에 따르면 12세경에 자라나는 상악 제2대구치에도 충치로 치아를 상실했을 때의 백업으로서의 역할이 있다고 합니다.

모든 사람이 사랑니를 발치하는 것은 아니고 방치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 잇몸이 후퇴해 나가기 때문에 어렸을 때는 숨어 있던 사랑니가 노출되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켐프먼 씨는 “치과의사가 사랑니를 빼려고 하면 돈벌이 목적이라고 비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10대 젊은이의 엑스레이를 몇 장이라도 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pics_pd. Source:https://pixnio.com/zh/%e4%ba%ba/%e7%94%b7%e5%ad%90/%e7%94%b7%e4%ba%ba-%e5%bf%a7%e9%83%81-%e9%bb%91%e6%9a%97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최근의 미국사회에서의 남성의 궁핍한 처지가 부각되고 있다'라는 칼럼을 2020년 대통령선거의 후보자이자 기본소득의 기수로서도 유명한 사업가 앤드루 양 씨가 The Washington Post에 기고했습니다.

Opinion | Andrew Yang: The boys are not all right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2022/02/08/andrew-yang-boys-are-not-all-right/

미 질병예방관리센터의 통계에서 소년이 주의결함·다동성 장애라고 진단될 가능성은 소녀의 2배 이상이라는 것. 또 소년원에 들어갈 확률은 5배 이상으로 고등학교의 졸업률은 남학생이 낮은 상황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계속됩니다. 미국에서는 2021년까지 5년간 대학생 수가 150만 명 줄었는데 감소분의 71%가 남성이었습니다. 2021년도 대학생에서 차지하는 남성의 비율은 40.5%로 사상 최저입니다. 또한 2022년 1월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67.9%로 남성의 3분의 1 이상이 실업 중이거나 비노동자가 되었습니다.


남성의 급여도 줄어들어 실질 기준으로 남성임금의 중앙값은 1990년부터 감소했습니다. 취업률과 수입이 모두 줄어든 영향으로 18~34세 미국인 남성에서 파트너와 동거하고 있는 사람보다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 상황에 있습니다. 게다가 중년남성 사이에서는 자살이나 약물 및 알코올 의존증 등에 의한 사망 이른바 '절망사'가 2000년 이후 20년간에 급증했습니다.

이런 점에서 앤드루 양 씨는 “지역이나 민족을 불문하고 미국의 소년이나 성인 남성은 오랫동안 계속 몰락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파멸적인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정치지도자는 이 위기에 대처하지 않는 대신 소년과 남성을 도와야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 자체로 취급했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양 씨는 남학생의 교육으로 성과를 올린 학교의 시책을 타교로 확대하고 직업훈련 강화와 Big Brothers Big Sisters of America와 기독교청년회(YMCA) 등 청소년 육성에 주력하고 있는 비영리 단체에 대한 투자를 주장합니다. 또 정부에 대해서는 결혼상담에 대한 지원과 어린이 세금공제 강화 등을 통해 특히 저소득층 사람들이 가정을 갖게 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양 씨는 “우리는 남자다움을 유해한 것으로 정의하는 것을 그만두고 긍정적인 남자다움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제도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개혁이 미국에서 남성의 쇠퇴를 막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1년 12월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의 후계기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최초로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관(ESA), 캐나다우주청(CSA)이 중심이 되어 개발을 진행해 차세대 우주관측을 담당하는 존재로 기대받고 있습니다.

Photons Received: Webb Sees Its First Star – 18 Tim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https://blogs.nasa.gov/webb/2022/02/11/photons-received-webb-sees-its-first-star-18-times/

Photons Received: Webb Sees Its First Star – 18 Tim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Credit: NASA Lee esta nota en español aquí.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is nearing completion of the first phase of the months-long process of aligning the observatory’s primary mirror using the Near Infrared Camera (NIRCam) instrument. The team’

blogs.nasa.gov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1990년에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의 후계기로 개발된 우주망원경으로 약 30년 전에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과 비교해 성능이 대폭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주경이 구경 2.4m 한 장 거울에서 육각형 세그먼트 18장을 연결한 총 구경 약 6.5m로 변경된 점이 특징. 그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2021년 12월 25일에 발사되었고 2022년 1월 4일에는 주경의 전개에 성공했습니다. 그 후 주경의 각도 조정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NASA’s Webb Telescope Reaches Major Milestone as Mirror Unfolds | NASA
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webb-telescope-reaches-major-milestone-as-mirror-unfolds

NASA’s Webb Telescope Reaches Major Milestone as Mirror Unfolds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team fully deployed its 21-foot, gold-coated primary mirror, successfully completing the final stage of all major spacecraft deployments to prepare for science operations.

www.nasa.gov


The Launch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9tXlqWldVVk


그리고 2022년 2월 11일에 각도조정 중에 촬영된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사진에는 18개의 별이 찍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별은 모두 큰곰자리의 'HD 84406'라고 불리는 1개의 별로 주경의 각도조정이 완료되어 있지 않아 주경을 구성하는 육각형 세그먼트와 같은 수인 18개가 찍혀 있습니다.


NASA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각도조정용으로 촬영된 '셀카사진'도 공개했습니다. 셀카사진에는 18장의 주경이 찍혀 있고 그 중 1장이 밝게 빛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ASA에 따르면 셀카사진에 찍힌 육각형 세그먼트 중 밝은 별에 각도가 맞추어진 1장만이 빛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NASA에 따르면 현재 주경의 각도는 시뮬레이션과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으며 각도조정은 향후 약 1개월에 걸쳐 완료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Official SpaceX Photos. https://www.flickr.com/photos/spacex/


우주개발 기업인 SpaceX가 전개하는 위성인터넷 'Starlink'의 인공위성 40기가 발사 당시 자기폭풍의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궤도에 들어가지 못했기 때문에 지구의 대기권에 재돌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SpaceX가 발표했습니다.

SpaceX - Updates
https://www.spacex.com/updates/

SpaceX

SpaceX designs, manufactures and launches advanced rockets and spacecraft.

www.spacex.com


Geomagnetic storm costs SpaceX 40 freshly launched Starlink satellites - Space Explored
https://spaceexplored.com/2022/02/08/geomagnetic-storm-costs-spacex-40-freshly-launched-starlink-satellites/

Geomagnetic storm costs SpaceX 40 freshly launched Starlink satellites

Last week, SpaceX launched Starlink 4-7, carrying 49 satellites into low Earth orbit. Now, up to 40 of those satellites are a complete loss, as a result of a geomagnetic storm. The launch occurred from LC-39A at Kennedy Space Center in Florida on Thursday,

spaceexplored.com


A geomagnetic storm may have effectively destroyed 40 SpaceX Starlink satellites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2/2/8/22924561/spacex-starlink-satellites-geomagnetic-storm

A geomagnetic storm may have effectively destroyed 40 SpaceX Starlink satellites

Premature atmospheric reentry

www.theverge.com


SpaceX는 현지 시각 2022년 2월 3일 13시 13분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상업적 발사로켓 팔콘9를 사용하여 지구의 낮은 궤도에 49개의 Starlink 위성을 발사했습니다.

Starlink 위성은 동작하는 궤도보다 낮은 궤도에 전개해 그 후 정상적인 궤도로 위성을 상승시키는 조작을 합니다. 그 이유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위성이 발견했을 때 궤도를 이탈시켜 다른 위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페이스 파편을 생성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인데, SpaceX는 "전개고도가 낮기 때문에 더 높은 성능의 위성이 필요하고 상당한 비용이 듭니다. 그러나 이것은 지속 가능한 우주환경을 유지하는 데 올바른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SpaceX는 공식성명에서 이번 발사된 Starlink 위성은 2월 4일에 발생한 자기폭풍의 영향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자기폭풍은 대기의 온도와 밀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데 이번 자기폭풍에서는 대기의 항력이 평상시보다 50% 증가했다고 합니다.

by Official SpaceX Photos. https://www.flickr.com/photos/spacex/


SpaceX는 자기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Starlink 위성의 비행위치를 바꾸고 미 우주군과 인공위성 매핑서비스를 제공하는 LeoLabs와 연계하여 정보수집과 제공에 노력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예비분석에서는 저고도에서의 저항이 증가했기 때문에 위성이 안전모드에서 벗어나 궤도를 올리는 조작을 할 수 없고, 최대 40기의 위성이 지구의 대기권에 재돌입하거나 이미 재돌입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SpaceX는 말합니다.

이번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지 않은 Starlink 위성이 다른 위성과 충돌할 위험은 없고 대기권 돌입시 불타도록 설계되어 새로운 파편이 생성되거나 지구에 잔해가 쏟아질 위험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Icarus (MACS J1149 Lensed Star 1).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Icarus.png


블랙홀은 빛조차 삼켜버리기 때문에 망원경 등으로 직접 관측하는 것은 어려워 중력파나 감마선 버스트 등의 블랙홀의 특징적인 현상을 이용한 관측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해외 연구팀이 '중력렌즈'라는 현상을 이용하여 지구로부터 약 5150광년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블랙홀 관측에 성공했습니다.

[2201.13296] An Isolated Stellar-Mass Black Hole Detected Through Astrometric Microlensing
https://arxiv.org/abs/2201.13296

Rogue black hole spotted on its own for the first time | Space
https://www.space.com/rogue-black-hole-isolated-discovery

Rogue black hole spotted on its own for the first time

The isolated stellar-mass black hole is the first of its kind ever detected, scientists say.

www.space.com


지구가 속한 우리은하에는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진 '항성질량 블랙홀'이 수억 개 있다고 추정합니다. 항성질량 블랙홀은 지금까지 여러 개 관측되었는데 이것들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중성자별과 같은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관측했습니다. 주위에 규모 있는 천체가 존재하지 않는 독립적인 블랙홀이 관측된 사례는 없어 연구팀은 독립적인 블랙홀 관측에 착수했습니다.


연구팀은 블랙홀 등 강력한 중력장이 빛을 구부리는 '중력렌즈'라는 현상을 이용해 블랙홀의 관측을 시도했습니다. 중력렌즈는 블랙홀뿐만 아니라 중성자별이나 백색왜성 등의 대규모 천체도 일으키는 현상으로, 중력렌즈로 인해 빛이 구부러진 지점을 지구에서 관측하면 그 지점이 어두워진 것처럼 보입니다. 연구팀의 일원인 카이라스 사프 씨는 블랙홀로 인한 중력렌즈는 장기간에 걸쳐 주위의 밝기에 영향을 준다고 말합니다. 게다가 블랙홀은 다른 대규모 천체와 달리 볼 수 없기 때문에 빛이 장기간에 걸쳐 구부러지고 그 원인을 육안할 수 없는 지점이 있다면 거기에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검출된 약 6년분의 중력렌즈 이벤트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지구로부터 약 5150광년 떨어진 위치에서 위의 조건에 맞는 중력렌즈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발견된 'MOA-2011-BLG-191/OGLE-2011-BLG-0462'라고 불리는 중력렌즈 이벤트의 관측결과를 나타내며, 관측일에 따라 중심 부근의 별의 밝기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은 태양의 약 7.1배의 질량을 가지고 시속 16만2000km로 계속 이동하고 있다는 것. 연구팀은 이 블랙홀이 초신성 폭발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는데 그 기세로 계속 움직이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사프 씨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망원경과 NSF 벨라 C 루빈 천문대에 설치된 최신 망원경 등이 향후 독립적인 블랙홀의 관측에 매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교과서에 쓰여 있는 지식만으로는 과학의 묘미는 결코 맛볼 수 없다. 논쟁을 통해 하나의 개념을 구축해 나가는 프로세스, 과학을 둘러싼 사람들의 수많은 시행착오 등 아인슈타인도 실수는 많이 했다. 그러나 그것은 아인슈타인의 과학자로서의 평가를 높이는 것으로 작용했고 결코 낮추지는 않았다.

블랙홀이 존재하는 근거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에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아인슈타인 자신은 1939년의 논문에서 블랙홀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중력다체로 이루어진 구대칭성을 가지는 정지계에 대해'라는 논문이 발표되고 나서 수개월 후 오펜하이머와 스나이더의 '연속적인 중력수축에 대해'라고 제목을 붙인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일반상대성 이론을 사용하여 어떻게 블랙홀이 생성되는지를 현대물리학의 방식으로 처음 보여준 것이었다.

Albert Einstein and Robert Oppenheimer.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Einstein_oppenheimer.jpg


아인슈타인과 오펜하이머 이 두 사람은 당시 면식은 없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고 오펜하이머는 맨해튼 계획이라는 다른 세계에 몸을 던지게 된다. 그러나 전후 오펜하이머는 아인슈타인이 있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소장으로 취임한다. 여기서 두 사람은 자주 대화를 나누었다. 블랙홀이 화제에 포함되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적어도 1939년 이후 이 두 명의 저명한 과학자가 블랙홀 연구를 한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출처 참고 번역
· Wikipedia
· The Reluctant Father of Black Holes(SCIENTIFIC AMERICAN June 1996)

Posted by 말총머리
,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직접적인 논쟁은 두 번 모두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열렸다. 벨기에에서 화학회사를 일으켜 자산을 형성한 에르네스트 솔베이가 과학의 기초연구를 진흥하기 위해 저명한 학자를 초청해 온 솔베이 회의로 아인슈타인과 보아는 1927년 제5회 솔베이 회의에서 얼굴을 마주쳤다.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의 결함을 증명하기 위해 차례차례로 제출하는 사고실험을 많은 학자는 무시했지만 보어는 혼자 주의 깊게 고심했다.  

1930년의 솔베이 회의에도 당시 초일류인 과학자들이 참가했다. 우리에게 친한 이름으로는 퀴리 부인이 있다. 그런데 이 회의에서 아인슈타인은 시한장치가 탑재된 광자상자를 제출했다.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은 양자역학의 중요한 이론인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가 성립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이론이 틀리다면 양자역학 전체가 무너질 위기였다.

1개의 밀봉된 상자가 있다. 그 안에는 하나하나 광자를 발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자에는 구멍이 하나 뚫려 있다. 그 구멍은 시계와 연동한 셔터로 극히 짧은 시간에 개폐되어 광자가 하나 빠져나가는 시간을 포착할 수 있다. 그 상자는 스프링으로 매달려 있다. 광자가 하나 빠져나가면 저울로 광자의 무게를 알 수 있다. 이것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에너지와 질량은 =로 연결된다는 특수상대성 이론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렇게 무게를 알면 에너지가 계산에서 나오는 것이다. 즉 아인슈타인이 제출한 쌍은 시간과 에너지의 쌍이기도 하다. 양자역학에서는 둘 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다고 말했지만 아인슈타인은 둘 다 정확하게 계산해냈다. 보어에게는 매우 충격적인 것이었다. 그는 제대로 된 반박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다음날 아침 보어의 승리가 다가왔다.  

상자 안에서 튀어나온 광자의 질량을 계산하기 위해 스프링 저울이 놓여 있다. 상자가 가벼워지면 스프링으로 인해 위로 움직인다. 상자는 지구의 중력 속을 움직이고 있는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중력 속을 물체가 움직이면 시간은 느려진다. 즉, 시간은 정확하지 않다. 물체가 움직이면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상대성 이론의 결론이다. 아인슈타인은 스스로 낳은 상대성 이론에 의해 논쟁에서 패하는 아이러니한 결과가 되었다.  

출처 참고 번역
· Wikipedia
· 英知の対決 =アインシュタイン・ボーア論争
http://blog.livedoor.jp/notesfromjoanna/archives/7363622.html

Posted by 말총머리
,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패전한 이유는 몇 가지 있는데 그 하나가 '맥나마라의 오판'입니다.

The McNamara Fallacy – measurement is not understanding
http://mcnamarafallacy.com/

1965년 11월부터 1975년 4월에 걸쳐 남북으로 분단된 베트남의 통일을 둘러싸고 전개된 것이 베트남 전쟁입니다. 베트남 전쟁은 냉전시대의 미국과 러시아의 대리전쟁이라고도 불리며, 미국은 남베트남을 대표하여 북베트남의 공산주의자와 싸우기 위해 엄청난 수의 미군을 보냈습니다. 이 전쟁에 미국이 관여하는 동안 84만 9018명의 병사가 사망했고 이 중 5만 8318명은 미군이었습니다.

이만큼 많은 희생을 치르면서도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패했습니다. 그 원인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 '맥나마라의 오판'입니다. 베트남 전쟁 당시 국방장관을 맡고 있던 로버트 맥나마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정량적 관측만으로 결정을 내리고 다른 모든 요소를 무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맥나마라는 '과학적 관리법'으로 알려진 프레드릭 테일러가 확립한 과학적 측정방법을 배웠는데 이 경험을 바탕으로 맥나마라는 정량적 지표를 사용하여 베트남 전쟁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맥나마라는 '미군의 사망자 수와 적병의 사망자 수의 비율'에 주목해 미군의 사망자 수보다 적군이 더 많은 사망자를 내므로 승리 중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맥나마라는 전쟁이 양군뿐만 아니라 관계국가의 민간인도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맥나마라는 '측정할 수 없는 것을 관리할 수 없다'는 유명한 비즈니스 문구를 이용해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확신해 사망자 수 이외의 정량화할 수 없는 지표는 "전쟁의 승패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하며 무시했습니다.

그 결과 널리 알려진대로 미국의 패전으로 전쟁은 끝났습니다.


그 때문에 'A:현실의 정량적 모델이 항상 다른 모델보다 정확하다고 마음대로 생각하는 것', 'B:가장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량적 측정이야말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해 버리는 것', 'C:정량적 측정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 이외의 요인을 무시하거나 어떠한 영향은 없다고 축소시키는 것'이 맥나마라가 저지른 정량적 오류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정량적인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맥나마라의 오판'처럼 정량분석이 항상 가장 효과적인 옵션이라고 결정하는 것이 실수라는 것입니다.

맥나마라의 오판은 군사전략가만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숫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주의해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디지털 비즈니스에서는 온라인상에서 수집한 방대한 양의 정량적 데이터가 마케팅이나 상품개발 등 모든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과 소비자 모두 맥나마라의 오판을 이해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맥나마라와 같이 정량적 지표를 다루는데 있어서 실수에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는 '분석의 관점을 넓게 갖고 양적 질적 지표를 다양한 관점에서 확인하면서 과제를 검토하고 표면적인 조사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조사도 동시에 실시해야 하는데, 인터뷰가 좋은 방식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의 국가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2022년 2월 1일에 교차로에서 완전히 정지하지 않는 문제로 테슬라의 완전자동운전차 5만 3822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Tesla recalls nearly 54,000 vehicles that may disobey stop signs | Reuters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recalls-nearly-54000-us-vehicles-rolling-stop-software-feature-2022-02-01/

Tesla recalls nearly 54,000 vehicles that may disobey stop signs

Tesla Inc will recall 53,822 U.S. vehicles with the company's Full Self-Driving (Beta) software that may allow some models to conduct "rolling stops" and not come to a complete stop at some intersections posing a safety risk.

www.reuters.com


Tesla to recall of FSD Beta software in driver-safety measure
https://www.cnbc.com/2022/02/01/tesla-to-recall-fsd-beta-software-that-let-drivers-roll-past-stop-signs-.html

Tesla to recall FSD Beta software that lets drivers slowly roll past stop signs

Newer versions of FSD Beta (2020.40.4.10 or later), which are subject to the recall, gave drivers an option to slowly roll past stop signs.

www.cnbc.com


Tesla recalls 53,822 cars because they won’t stop at stop signs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cars/2022/02/tesla-recalls-53822-cars-because-they-wont-stop-at-stop-signs/

Tesla recalls 53,822 cars because they won’t stop at stop signs

The government is not happy with the software's "rolling stop" function.

arstechnica.com


NHTSA는 이번 리콜의 대상이 되는 차종이 'Full Self-Driving(FSD:완전자동 운전)' 베타판 버전 2020.40.4.10 이후를 탑재한 Model S・X・3・Y의 일부라며 이러한 차종에서는 완전히 정지해야 하는 교차로에서 일시정지하지 않는 '롤링스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문제는 'Assertive' 모드라는 운전기능으로 인해 롤링스톱이 가능한 점이 교차로 등에서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킬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주의 주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SNS상에서 화제되면서 발각되었습니다.

by Mario Duran-Ortiz. https://www.flickr.com/photos/30998987@N03/


테슬라는 이번 리콜에 대해 롤링스톱을 무효로 하는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하여 대응할 예정으로 2022년 1월 27일 시점에서는 이번 문제에 관련하는 보증청구나 현장보고, 충돌사고, 부상사고, 사망사고는 없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테슬라의 일론 마스크 CEO는 트위터에서 "안전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차는 시속 2마일(시속 약 3.2킬로)까지 감속해 차도 보행자도 없는 시야가 양호한 장소에서 전진을 계속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테슬라는 2021년 12월에도 운전 중에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능이 논란이 된 후 NHTSA가 조사에 나서자 운전 중인 드라이버가 게임을 즐길 수 없게 조치하는 등 종종 안전면에 대해서 지적받고 있습니다.

Tesla, bowing to pressure, stops allowing drivers to play video games while driving | Tesla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technology/2021/dec/23/tesla-vehicles-video-games-driving

Tesla, bowing to pressure, stops allowing drivers to play video games while driving

The company will send out a software update that will prevent its games from being played on center consoles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www.theguardian.com


Tesla will stop letting people play games in cars that are moving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1/12/23/22852283/tesla-nhtsa-in-car-games-driving-passenger-play-arcade

Posted by 말총머리
,


플랑크톤의 일종인 불우렁쉥이(Pyrosome)는 무수한 개체가 모여 군체를 구성하는 생물로 이름대로 바다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불우렁쉥이 중에서도 인간을 통째로 삼킬 수 있는 거대 사이즈의 군체를 형성하는 'Giant Pyrosome'에 대해서 해양보호단체 Oceana가 설명했습니다.

Giant Pyrosome - Oceana
https://oceana.org/marine-life/giant-pyrosome/

Giant Pyrosome

Giant Pyrosomes are bioluminescent (light producing), giving rise to the common name, which comes from the Greek for fire (“pyro”) and body (“soma”). The light produced by Giant Pyrosomes is particularly bright and long lasting and is beautiful to

oceana.org


SHOCKING: Giant Pyrosome Wide Enough to Fit Human | Oceana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fOUTxiS_kI


Oceana에 따르면 Giant Pyrosome의 발광은 다른 불우렁쉥이에 비해 오래 지속된다는 것.


Giant Pyrosome의 군체를 가까이서 보면 작은 개체가 무수히 모여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iant Pyrosome의 군체는 튜브형태로 길이는 18m에 달하고 직경은 인간이 쏙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큽니다.


군체를 형성하는 개별 플랑크톤은 군체로부터 분리되어도 계속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Giant Pyrosome은 모든 개체가 동시에 죽지 않는 한 살아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Oceana는 "Giant Pyrosome은 이론적으로 영원히 살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Giant Pyrosome은 무성생식뿐만 아니라 다른 개체군과 유성생식를 할 수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현대에는 밤이 되면 침대에 들어가서 아침까지 푹 잔다는 패턴이 당연한 라이프스타일입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수면을 취하게 된 시기는 산업혁명 이후의 일이며, 그 전에는 도중에 깨어나 2회로 나누어 수면을 취하는 '이상수면(二相睡眠)'이 일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런 이상수면에 대해서 미국의 월간지 The Atlantic이 설명했습니다.

Can Medieval Sleeping Habits Fix America’s Insomnia?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ideas/archive/2022/01/medieval-sleeping-habits-insomnia-segmented-biphasic/621372/

Can Medieval Sleeping Habits Fix America’s Insomnia?

The history of “first sleep” and “second sleep” holds surprising lessons about preindustrial life, 21st-century anxiety, and the problem with digging for utopia in the past.

www.theatlantic.com


역사가 Roger Ekirch 씨는 산업혁명 이전의 수면습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Ekirch 씨는 1600년대에 쓰여진 영국의 범죄보고서에서 'first sleep(제1 수면)', 'second sleep(제2 수면)'라는 단어를 발견했습니다. 게다가 그 후의 조사에서도 'primo somno(라틴어)', 'primo sonno(이탈리아어)', 'premier sommeil(프랑스어)'라는 용어가 타국의 문헌에서도 발견되어 중세 유럽에서는 2회로 나누어 수면을 취하는 이상수면 습관이 있었을 가능성이 떠올랐습니다.

첫 번째 수면과 두 번째 수면 사이에 깨어있는 시간대는 프랑스어로 'dorveille(수면과 각성 사이)'라고 불렸습니다. 사람은 dorveille에서 화장실을 가거나 난방을 조정하고 기도를 하거나 반려동물과 스킨쉽을 나누었다고 합니다. 16세기에 종교개혁의 주역이 된 신학자인 마르틴 루터는 “저는 매일 밤 일어나면 흔히 방귀를 뀌어 악마를 쫓아낸다”고 일기에 적었습니다.

Source:https://ja.wikipedia.org/wiki/%E3%83%95%E3%82%A1%E3%82%A4%E3%83%AB:Lucas_Cranach_(I)_workshop_-_Martin_Luther_(Uffizi).jpg


Ekirch 씨는 이상수면의 습관이 사라진 시기는 근대로 18세기 산업혁명 이후는 생산성이 미덕이 되어 일에 효율성이 요구되었고 시간에 따라 하루의 행동을 결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의 생활리듬이 크게 바뀌어 이상수면의 습관이 사라졌다고 Ekirch 씨는 생각합니다. 특히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19세기 중반에 사회 전체에서 일찍 일어나는 생활습관이 권장되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19세기 말에는 전기조명이 등장했기 때문에 인간의 체내시계는 크게 영향을 받게 됩니다. 1990년대에 미국 국립정신위생연구소에서 행해진 연구에서 피실험자에게 야간 시간대에 조명을 금지했는데 실험개시로부터 몇 주일 만에 1일의 수면이 복수회로 분절화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하버드대학에서 수면을 연구하는 찰스 체슬러 씨는 “우리는 조명을 켤 때마다 자신의 수면에 영향을 주는 약을 실수로 복용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표현했습니다.


Ekirch 씨의 연구를 근거로 '인간은 본래 이상수면이 당연했는데 한번 자면 아침까지 일어나지 않는 단상수면은 비교적 새로운 것이고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Eklirch 씨는 단상수면이 잘못되었고 이상수면이 옳다는 주장은 결코 사물의 전용을 포착한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Ekirch 씨는 산업혁명 이전의 수면습관은 낭만적이지 않다며 과거에는 심야에 범죄가 횡행했고 강도에 생명을 빼앗길 가능성은 지금보다 훨씬 높았으며 건축기술도 미숙했기 때문에 집은 비가 새기 쉬웠고 내화·내서·내한 성능이 낮았으며 벼룩이나 이 등의 해충에 시달리는 경우도 자주 있었습니다.

또 프랑스에서는 dorveille의 시간대에 가사를 해내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여성에게는 실질적으로 노동시간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게다가 이 dorveille 이후 수면을 취하기 위해 아편 등의 마약을 섭취하는 경우도 많아서 약물과다로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2021년에 실시된 연구에서는 수면을 2회 이상으로 나누는 다상수면은 전체적으로 수면의 질이 낮고 얕은 수면을 길게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중세유럽에서의 이상수면은 결코 현대의 단상수면보다 좋은 것이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Ekirch 씨는 “역사적으로 인간의 수면이 오늘보다 좋지 않았습니다. 수면의 목적이 정신적, 육체적 행복이라고 한다면 밤부터 아침까지 잠드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은 약 3만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2004년에 인간게놈(인간의 전유전 정보)의 염기서열의 해독이 완료되어 인간은 약 3만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각각의 유전자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관해서는 일부만을 알거나 거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하고 감정에 관련된 부분 등은 동물실험이 어려워 모든 것을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유전자정보를 알면 투약방법이 바뀐다

유전자를 알면 의료분야에서 큰 변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을 대사하는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정상인과 같은 양의 약을 처방하면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유전자정보를 통해 사전에 알면 투여하는 양을 줄이거나 약물을 변경하여 몸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현재 맞춤형 의료라는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에 최적화한 의료의 제공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있는데 유전자정보가 규명되면 큰 한 걸음이 될 것 같습니다.


가까운 미래의 보험증에는 유전자정보가 기록된 IC칩이 부착되어 약사는 이러한 정보와 그에 기초한 AI의 판단을 참고로 약을 짓게 될 것입니다.

난치병의 원인을 밝혀 치료에 연결

유전자정보로 난치병이라는 질병의 규명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난치병 환자의 게놈과 건강한 사람의 게놈을 비교하여 원인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근이영양증과 같은 하나의 유전자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병은 원인유전자가 거의 밝혀졌습니다. 여러 유전자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추정되는 정신분열증이나 나르코렙시(과면증의 하나) 등도 밝혀졌습니다. 관여하는 유전자가 많은 질환일수록 필요한 데이터가 늘어나 규명이 힘들지만 성공한다면 치료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 Wikipedia
- ヒトの遺伝子がわかれば、投薬方法が変わり難病治療が可能に
https://yumenavi.info/lecture_sp.aspx?%241&GNKCD=g009285&OraSeq=5160335&ProId=WNA002&SerKbn=3&SearchMod=3&University=V&Page=1&KeyWord=%E6%A8%AA%E6%B5%9C%E8%96%AC%E7%A7%91%E5%A4%A7%E5%AD%A6

Posted by 말총머리
,


가상화폐를 인터넷으로부터 격리하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 월렛. 그러나 이 하드웨어 월렛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200만 달러(약 23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는 인물이 등장했습니다. 이 하드웨어 월렛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상황은 비교적 빈번한데, 해커인 친구에게 이 하드웨어 월렛을 해킹하도록 요청해 대처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Cracking a $2 million crypto wallet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2/1/24/22898712/crypto-hardware-wallet-hacking-lost-bitcoin-ethereum-nft

Cracking a $2 million crypto wallet

Breaking through crypto security

www.theverge.com


2018년 초 댄 라이히와 그 친구는 비트코인으로 다른 가상화폐인 세타(Theta) 토큰을 5만 달러(약 5700만 원)어치 구매했습니다. 당시 세타토큰은 1개당 불과 21센트(약 240원)이었기 때문에 라이히 씨는 대량의 세타토큰을 입수하게 됩니다. 라이히 씨는 중국에 거점을 두는 가상화폐 거래소에 세타토큰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몇 주 후에 중국 정부에 의한 광범위한 단속이 시작되면서 그대로 둔다면 거래소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어 세타토큰도 취급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라이히 씨는 가상화폐를 통신으로부터 격리된 장소에 보관하는 하드웨어 월렛에 세타토큰을 보관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라이히 씨는 Trezor이 만든 하드웨어 월렛을 구입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세타토큰을 보관했습니다. 그 후 라이히 씨는 바쁜 일상에 치이면서 하드웨어 월렛의 존재를 완전히 잊어버렸다고 합니다.

어느 날 세타토큰을 현금화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 라이히 씨는 친구가 하드웨어 월렛의 비밀번호가 적힌 종이를 분실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당초 라이히 씨는 4자리의 비밀번호를 설정했다고 생각해 입력하며 숫자를 추측하려고 했지만 실패할 때마다 대기시간이 2배로 연장되어 갔다고 합니다. 또 비밀번호 입력에 16회 실패하면 하드웨어 월렛 내의 데이터가 모두 자동으로 삭제되는 사양이었기 때문에 라이히 씨는 비밀번호를 입력해 찾는 시도를 포기합니다.


하드웨어 월렛에 저장된 세타토큰의 가치는 최소 1만2000달러 정도였지만 가격상승으로 300만 달러(약 34억 원)까지 상승한 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블록체인으로 구축된 가상화폐를 이용하려면 비밀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비밀키 혹은 비밀키를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어의 문자열(시드) 없이는 가상화폐를 판매하고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비밀키를 얻을 수 있다면 한 번의 익명 트랜잭션으로 가상화폐를 얻을 수 있습니다. 비밀키는 가상화폐의 소프트웨어 월렛에 저장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월렛은 인터넷에 있으므로 원격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라이히 씨가 사용한 USB 메모리 크기의 하드웨어 월렛은 비밀키를 로컬장치에 저장해 인터넷으로부터 격리하고 안전하게 가상화폐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용시에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라이히 씨처럼 가상화폐를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가상화폐 관련 조사기업인 Chainalysis에 따르면 비밀키를 분실하거나 소프트웨어 월렛이 저장된 PC나 스마트폰을 분실함으로써 가상화폐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된다는 사례는 상상 이상으로 많다고 합니다. Chainalysis의 추정에 따르면 665억 달러(약 76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이 비밀키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된 상태라고 합니다.


세타토큰의 가치가 급등한 2020년이 들어 라이히 씨는 하드웨어 월렛에 접근하는 방법을 필사적으로 찾기 시작했습니다. 2018년에 Trezor이 제작한 하드웨어 월렛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발견했다는 하드웨어 전문가의 강연을 발견한 라이히 씨는 이 전문가에게 연락했지만 돕는 것을 거부했다고 합니다.

그 후 스위스의 금융업자가 "프랑스에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할 수 있는 지인이 있다"고 소개했지만 하드웨어 월렛을 금융업자에게 맡기고 프랑스까지 옮겨 달라는 요구가 있었습니다.

그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에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하는 계획이 좌절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보다 좋은 선택지가 생겼다고 합니다. 그 선택지는 미국의 하드웨어 해커인 조 그랜드 씨에게 의뢰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랜드 씨는 10세 무렵부터 하드웨어 해커로 활약해 온 인물로 유명한 해커집단인 L0pht의 일원이며 1998년에 상원의회에서 취약성에 대해 강연한 이력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을 운영하는 전기기사이기도 한 라이히 씨는 그랜드 씨가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바로 확신했다고 합니다.

라이히 씨로부터 하드웨어 월렛의 크래킹을 의뢰받은 그랜드 씨는 같은 하드웨어 월렛을 여러 개 구입한 후 3개월에 걸쳐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하는 방법을 연구해 실험용으로 구입한 것을 크래킹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랜드 씨에 따르면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선행연구가 있는데, 2017년 영국 하드웨어 해커인 Saleem Rashid 씨가 기술저널리스트인 Mark Frauenfelder 씨가 소유한 Trezor이 제작한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한 방법이 참고가 되었다는 것.


Rashid 씨는 Trezor의 하드웨어 월렛이 전원을 켜면 시큐러티로 보호된 플래시메모리 부분에 보존되고 있는 비밀번호의 카피를 메모리(RAM)에 카피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취약점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월렛을 펌웨어 업데이트 모드로 시작하고 독자적으로 만든 코드를 설치하여 RAM의 비밀번호를 읽는 데 성공했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데이터를 읽기 전에 RAM의 데이터를 지워버리면 비밀번호가 영원히 없어져 버리게 됩니다.

그 외에도 Rashid 씨가 Trezor의 하드웨어 월렛을 크래킹하는 방법을 공개하자 Trezor사는 하드웨어 월렛의 사양을 변경해 기동시에 RAM에 카피되는 비밀번호를 펌웨어 갱신모드가 되었을 때에 RAM에서 삭제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그랜드 씨는 2018년에 발표된 'wallet.fail'이라는 기술에 주목합니다. 이 방법은 Trezor의 하드웨어 월렛에 있는 '시동시 RAM에 복사된 비밀번호를 삭제하지만 다른 단계에서 삭제된 비밀번호가 복원된다'는 사양을 찌른 공격입니다.

Trezor의 하드웨어 월렛에 탑재된 마이크로컨트롤러에는 RAM을 읽을 수 없는 가장 안전한 'RDP2', RAM을 읽을 수 있는 'RDP1'과 'RDP0'라는 3가지의 보안레벨이 존재합니다. Trezor의 하드웨어 월렛에서는 RDP2를 이용함으로써 RAM내의 비밀번호가 가로채어질 위험이 막혀 있는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흐르는 전압에 영향을 주는 칩에 폴트 인젝션 공격을 가하면 보안레벨을 RDP2에서 RDP1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allet.fail은 폴트 인젝션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Rashid 씨가 고안한 공격방법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랜드 씨는 라이히 씨의 하드웨어 월렛에 설치된 펌웨어 버전에서 하드웨어 월렛을 켤 때 비밀번호가 RAM에 복사된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이는 비밀번호를 스토리지에서 복사하고 비밀번호의 마스터키는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만약 크래킹을 잘못해서 하드웨어 월렛의 RAM을 삭제해도 비밀번호는 스토리지에 남아 있으므로 비밀번호가 사라져 버리는 위험을 한없이 낮추면서 크래킹에 도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랜드 씨는 'wallet.fail'을 기반으로 크래킹을 실행해 약 3시간 반이 걸려 마침내 하드웨어 월렛의 비밀번호를 읽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라이히 씨는 4자리의 비밀번호를 설정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5자리의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Trezor사는 라이히 씨의 하드웨어 월렛을 그랜드 씨가 크래킹하는 데 성공했다는 보도에 "크래킹에 사용된 취약점은 이미 수정되었으며 당사의 모든 신제품은 수정된 부트로더로 배송됩니다”라고 트윗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Yender Gonzalez. https://unsplash.com/photos/lX5OfZFjHWk


Amazon이 2019년부터 도입한 마켓플레이스에 출품한 상품의 가격을 경쟁 서비스도 포함해 최저가로 자동적으로 최적화해 주는 서비스 'Sold by Amazon(SBA)'을 워싱턴주 밥 퍼거슨 사법장관이 독점금지법 위반이라고 고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G Ferguson investigation shuts down Amazon price-fixing program nationwide | Washington State
https://www.atg.wa.gov/news/news-releases/ag-ferguson-investigation-shuts-down-amazon-price-fixing-program-nationwide

SBA는 Amazon 마켓플레이스에 출품된 상품의 가격을 다른 출품자나 월마트나 eBay 등 경쟁 서비스도 포함해 최저가로 조정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판매자가 SBA를 적용할지 여부는 선택사항이며 적용할 경우 가격은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스스로 결정할 수 없지만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저 수익'이 보장됩니다.

판매자가 이 '최저 수익'에 동의하는 경우에는 만약 SBA가 '최저 수익'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해 버리면 아마존으로부터 차액보증이 이루어집니다. 한편 '최저 수익' 이상의 가격으로 팔리면 수수료를 뺀 차액을 판매자와 아마존이 나눕니다.

by Wicked Monday. https://unsplash.com/photos/jxhM5Ni46zw


밥 퍼거슨 사법장관이 이끄는 워싱턴주 사법장관사무소에 따르면 SBA가 일부 상품에 적절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는 보다 저렴한 Amazon의 프라이빗 브랜드 상품을 선택하게 유도해 출품자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

퍼거슨 사법장관사무소는 "SBA는 아마존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당하게 경쟁을 억제했습니다. 불법적인 가격조작"이라며 킹카운티 상급법원에 고소했고 동시에 “아마존은 전미에서 SBA를 중지하고 독점금지법을 준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고서를 사법장관사무소에 제출하고 독점금지법의 집행지원을 위해 225만 달러(약 25억 8000만 원)를 지불할 것”이라는 법적구속력이 있는 결의를 제출했습니다.

퍼거슨 사법장관은 “아마존과 같은 거대 기업이 이익을 올리기 위해 가격을 고정하면 소비자의 이익이 훼손된다”며 “이번 조치는 제품의 혁신과 소비자 선택을 촉진하고 주와 판매자에게 시장을 좀 더 경쟁력 있는 것으로 만드는 행동”이라고 말했습니다.

by Christian Wiediger. https://unsplash.com/photos/rymh7EZPqRs


덧붙여 사법장관사무소에 따르면 2020년 3월에 정식조사가 시작되었고 Amazon은 2020년 6월에 SBA를 중지했는데, Amazon은 "SBA의 중지는 조사와는 무관계"라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Meta는 신규 사용자를 획득하기 위해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데이터 요금이 없이 Facebook의 한정판을 포함한 여러 웹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는 플랜'을 통신사업자와 제휴한 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플랜에는 큰 결함이 있어 사용자가 예기치 않은 요금청구를 받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Facebook Promised Poor Countries Free Internet. People Got Charged Anyway. - WSJ
https://www.wsj.com/articles/facebook-free-india-data-charges-11643035284

Facebook Promised Poor Countries Free Internet. People Got Charged Anyway.

Its global program, designed to boost growth outside the U.S., leads to unexpected data costs. The company, which knows about the problem, blames software glitches.

www.wsj.com


선진국에서 Facebook의 성장은 이미 정체한 상태이기 때문에 Meta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신규 사용자를 획득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Wi-Fi 서비스를 구축하거나 광섬유를 부설하기 위한 로봇을 개발해 해저케이블을 부설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Meta는 통신용량이 한정되어 있어도 이용할 수 있는 저대역폭 버전의 Facebook이나 웹사이트를 이용 가능하게 하고 Wi-Fi 대응으로 통신료가 들지 않는 저렴한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서비스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Meta가 개발도상국용으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 요금의 무료 플랜은 전화요금을 포함해도 매월 수천 원 수준이어서 선불식의 스마트폰에서도 이용 가능하다는 것.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은 2021년 10월에 작성된 내부문서를 바탕으로 이 무료 플랜 계약자가 현지 통신사업자로부터 고액의 요금을 청구받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내부문서에는 2021년 7월에 통신사업자가 무료 플랜의 사용자에게 청구한 요금의 합계액이 전년도 동월은 130만 달러(약 15억 원)였던 것과 비교해 780만 달러(약 90억 원)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파키스탄의 카슈미르 지방에 사는 35세의 고등학교 교사인 자파르 이크바르 씨는 Meta가 제공하는 무료 플랜 사용자 중 한 명입니다. 월 수익이 175달러(약 20만 원)인 이크바르 씨에게 있어서 통신비는 사활문제인데 선불분은 곧바로 소진하게 되어 있어 데이터 사용의 청구금으로 매월 500파키스탄 루피(약 3200원)~600파키스탄 루피(약 3800원)를 지불하고 있다는 것. 이크바르 씨가 계약하고 있는 파키스탄의 통신사업자 Telenor Pakistan에서는 Meta의 무료 플랜 사용자에 대해 매일 합계 1만 4736달러 96센트(약 1680만 원)의 데이터 요금이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입수한 내부문서에서는 '무료 플랜 사용자가 데이터 요금을 통신사업자가 부담한다고 생각해 많은 동영상을 시청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자신이 데이터 요금을 지불하는 상황이 되었다'고 설명되어 있다는 것. 한 직원은 내부문서에서 '이 상황은 Facebook이 내거는 투명성 정책을 위반하고 있다'고 메모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하고 있습니다.

Meta의 홍보담당자는 무료 플랜의 사용자가 가입했을 때에 '동영상의 열람은 무료 플랜의 적용 외가 되어 데이터 요금이 발생한다'고 통지하지만 이 통지기능이 반드시 작동하는 것은 아니라서 무료 플랜의 데이터 요금이 부풀어버린 원인이었을지도 모른다고 해명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2년 1월 15일에 통가에서 발생한 화산분화의 위력은 히로시마형 원폭의 500배 이상이고 그 영향은 섬을 거의 완전히 날려버릴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런 대분화의 규모를 세계 각국의 국토와 비교해 폭발의 크기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지도가 공개되었습니다.

How big was the Tonga eruption?
https://graphics.reuters.com/TONGA-VOLCANO/lgpdwjyqbvo/

How big was the Tonga eruption?

Visualising the true scale of the volcanic blast visible from space.

graphics.reuters.com


NASA 등의 조사로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해저화산의 분화가 직경이 약 650km에 달해 그 규모는 20세기 최대급의 분화라고도 불리는 1991년 필리핀의 활화산인 피나투보산의 분화에 필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by NOAA. https://graphics.reuters.com/TONGA-VOLCANO/lgpdwjyqbvo/cdn/images/original-plume/SEQ-2022-01-15T05_10_00Z.jpg


그러나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화산은 남태평양의 해저화산으로 근처에 크기를 비교할만한 것이 없기 때문에 분화 당시의 위성사진만으로는 규모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로이터는 폭발을 세계 각국의 지도와 겹쳐서 그 크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통가의 화산분화와 한반도를 비교하면 거의 통째로 삼켜져 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분화가 0~8까지 있는 화산폭발지수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만약 피나투보산과 같은 규모라면 '6'이 됩니다.

호주 모나시대학의 화산학자인 Raymod Cas 씨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통가의 분화에 관한 데이터에 따르면 화산성 가스와 화산재는 적어도 상공 20km까지 날아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on Tyson. https://unsplash.com/photos/jy8z4NBIYSQ


Google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Google 드라이브에 '1'만 입력한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하면 어떠한 이유로 저작권 침해 경고가 발생한다는 현상이 보고되었습니다.

Dr. Emily Dolson (@emilyldolson) https://twitter.com/emilyldolson


문제를 보고한 인물은 미시간주립대학의 학자인 에밀리 돌슨 씨. 이 불가사의한 저작권 침해 경고가 파일명과 관련있는지 아니면 파일의 내용과 관련있는지 궁금했던 Hacker News 유저가 돌슨 씨처럼 숫자 '1'만 포함된 각기 다른 텍스트 파일을 만들어 Google 드라이브에 업로드했습니다. 이 유저가 준비한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은 'one.txt', 'onev2.txt', 'output04.txt', 'output05.txt'로 파일에 입력한 내용은 1과 1의 뒤에 텍스트의 개행에 사용하는 '\n'나 '\r\n'을 입력한 것도 함께 업로드했다고 합니다.

업로드 직후에는 특별히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약 1시간 후에 업로드한 파일의 대부분에 저작권 침해를 알리는 경고 플래그가 떴다고 합니다. 파일명이 다르더라도 대부분의 파일에 저작권 침해 경고 플래그가 떴습니다.


덧붙여 이 불가사의한 저작권 침해의 경고 플래그에 대해서 "이 프로세스는 유저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자동 의사결정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GDPR에 근거하면 유럽연합에서는 불법"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HOTOGRAPH BY SCHOOL OF PHYSICS AND ASTRONOMY, UNIVERSITY OF GLASGOW


· 두 입자가 강한 상호관계에 있는 '양자얽힘'이라는 현상을 영국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이미지에 기록하는 데 성공했다.
· 이번 실험에서 얻은 화상처리 기술은 양자컴퓨팅과 양자암호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시양자의 세계를 역학으로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양자얽힘'이라는 현상이 있다. 양자얽힘이란 2개의 입자가 강한 상호관계에 있는 상태로 입자의 스핀, 운동량 등의 상태를 마치 동전의 앞뒤와 같이 공유하는 운명공동체와 같은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한 입자를 관찰할 때 스핀이 위쪽이면 다른 하나는 순간적으로 아래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양자얽힘에 있는 두 입자 사이의 상태는 어느 규모의 거리라도 유지된다고 한다. 이 동기의 속도가 빛의 속도를 넘고 마치 공간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비국소성에 위대한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한때 "소름끼치는 원격작용"이라고 불렀을 정도다.


양자얽힘의 이미징에 성공

그런 양자얽힘 상태를 이미지에 담는데 최근 영국의 글래스고대학 연구팀이 성공했다. 양자얽힘 상태에 있는 광자의 모습을 포착해 오픈액세스의 과학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서 이미지를 공개했다. 이것은 양자얽힘의 판단 기준이 되는 '벨의 부등식'의 붕괴를 바탕으로 양자얽힘을 실험적으로 가시화하는 기술로, 얽힘상태에 있는 입자 쌍이 하나의 화상에 담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매크로 세계의 물질상태는 관측자가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결정된다. 대조적으로 미크로의 세계에서는 양자가 실제로 어떤 상태에 있는지는 무언가에 '관측'될 때까지 불확정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양자얽힘 현상은 실험적으로 입증되었지만 '관측될 때까지 상태가 결정되지 않는 양자얽힘'을 어떻게 이미지에 담는 실험적 셋업을 고안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양자얽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벨의 부등식'이라 불리는 식이 사용되었다. 벨의 부등식은 고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입자의 상관관계의 상한을 나타낸 수식으로, 이것으로 실험이 양자적인 것인지 고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벨의 부등식의 상한이 깨지면 실제로 두 입자가 양자얽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연구팀은 자발적 파라메트릭 하향변환(SPDC)이라 불리는 수법을 이용해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었다. IMAGE BY SCHOOL OF PHYSICS AND ASTRONOMY, UNIVERSITY OF GLASGOW


연구팀은 자발적 파라메트릭 하향변환(SPDC)이라 불리는 수법으로 우선 광자를 얽히게 했다. 그런 다음 빔스플리터로 광자쌍을 두 개로 나눴다. 광자1의 통로에는 통과시에 랜덤하게 위상이 정해지는 필터(0°,45°,90°,135°)를 설치했고 광자2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곧게 진행된다. 연구팀은 광자 1과 얽힌 광자 2를 같은 타이밍에 포착했을 때에만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러한 가시기록을 작성했다.

4가지의 다른 위상에서 보이는 양자의 얽힌 이미지는 4만 프레임을 조합한 것이다. 광자쌍은 필터를 통과하기 전에 분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둘 다 필터의 위상과 동일한 상전이를 하는 것을 관측할 수 있다.

즉 광자1이 위상필터를 통과한 순간 쌍이 되는 광자2의 상태가 결정되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위상데이터를 벨의 부등식으로 테스트했는데 2개의 광자가 '양자얽힘' 상태에 있었다는 것을 보고했다.

IMAGE BY SCHOOL OF PHYSICS AND ASTRONOMY, UNIVERSITY OF GLASGOW


양자컴퓨팅에도 적용 가능

“우리가 포착한 이미지는 자연의 기본적 성질을 우아하게 표현한 것으로 그것을 최초로 이미지로 볼 수 있었던 것”이라고 박사는 말한다. "이것은 양자컴퓨팅의 새로운 분야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유형의 이미지 처리에 도움이 되는 훌륭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 양자 이미징 기술은 빛의 양자적 상태의 모든 가능성에 접근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벨의 부등식은 양자컴퓨팅이나 암호화 분야에서 이미 응용되고 있는 컨셉이다. 그러므로 이번 실험에서 새롭게 얻은 화상처리 기술은 양자를 이용한 시스템의 성능을 추측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전망하고 있다.

출처 참고
- Imaging Bell-type nonlocal behavior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aw2563

Imaging Bell-type nonlocal behavior

We report the violation of a Bell inequality within full-field coincidence images of a phase object probed by entangled photons.

www.science.org

Posted by 말총머리
,


일반적으로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은 레고이지만 영화나 캐릭터와 협업하여 제조된 레고세트의 미개봉품은 주식이나 채권 등 자산보다 우수한 투자처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LEGO: THE TOY OF SMART INVESTORS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275531921001604

LEGO: THE TOY OF SMART INVESTORS

We study financial returns on alternative collectible investment assets, such as toys, using LEGO sets as an example. Such iconic toys with diminishin…

www.sciencedirect.com


Collectible LEGO sets have an 11% annual yield. They're a better investment than stocks, gold, or art
https://www.zmescience.com/science/news-science/lego-sets-better-investment-stocks-523/

Collectible LEGO sets have an 11% annual yield. They're a better investment than stocks, gold, or art

Collecting old sealed LEGO sets used to be seen as a geeky hobby. But it can actually be a smarter investment than most securities.

www.zmescience.com


와인이나 클래식 자동차, 미술품 등의 수집품은 주가가 폭락하는 경제위기가 일어나도 가치가 떨어지기 어렵고 오히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올라가므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자산입니다. 그런 전통적인 수집품은 널리 연구되고 있는 한편 생산이 중지된 모델카나 바비인형 등의 장난감은 지금까지 그다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러시아국립연구대학경제고등학원의 빅토리아 도브린스카야와 줄리아 키시로바는 1987년부터 2015년 사이에 발매된 레고세트 2322점의 발매 당시 가격과 미개봉 세트가 경매로 낙찰될 때의 금액을 비교해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레고의 가격변동은 연률 마이너스 50%에서 플러스 600%까지 편차가 있었지만 평균 이익률은 연 11%로 일반적인 주식거래나 금투자를 웃도는 이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석대상이 된 세트 중에는 8년간의 이익률이 2230%, 즉 구입가의 20배 이상까지 급등한 사례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익률이 높은 레고세트는 피스의 수가 적은 소형세트나 반대로 피스의 수가 많은 대형세트였습니다. 소형세트에는 다른 세트에는 없는 독특한 파츠나 피규어가 들어 있을 가능성이 높았고 대형세트는 생산 수가 적고 성인 콜렉터 사이에서 인기인 것이 이유입니다. 또 영화나 서적, 역사적인 사건 등의 특정 테마를 본떠서 만들어진 세트는 높은 가격이 책정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스타워즈의 레고세트 중에서도 피스의 수가 레고 사상 최다라는 '밀레니엄 팔콘'은 2007년에 400달러(약 42만 원)로 발매된 것이 2014년에는 미개봉품이 경매에서 1만 5000 달러(약 1510만 원)로 낙찰되었습니다.

by Bill Toenjes. https://www.flickr.com/photos/toomuchdew/


레고를 투자대상으로 볼 때는 개봉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인터넷 경매사이트인 Catawiki의 경매인 Gerben van IJken 씨도 “컬렉션용 장난감은 한번 개봉하면 자동으로 가치가 25% 이상 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경기의 동향이나 주식의 가격 움직임에 가격이 연동하지 않는 레고는 가격이 무너지기 어려워 금융시장의 변동에 대한 위험분산으로서 기능합니다. 미술품이나 골동품도 같은 성질을 가지는 자산이지만 레고세트는 단가가 싸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허들이 낮은 만큼 인내가 필요하고 이익률이 플러스가 되기 위해서는 제조중지로부터 적어도 최저 3년은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것. 또 보관장소나 우송료의 관계로 주식이나 채권보다 거래비가 높습니다.


논문의 필두저자인 Dobrynskaya 씨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개봉되지 않은 세트 특히 한정판이나 낡은 희귀 세트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20~30년 전에 만들어진 세트는 레고의 팬들에게는 그리운 것이어서 고가에 거래됩니다. 그러나 모든 세트가 똑같이 가격이 오르는 것은 아니고 안목을 키우기 위해서는 레고의 팬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Samuel Ferrara. https://unsplash.com/photos/IEHPDNk2-8w


스위스와 이탈리아의 국경에 우뚝 솟은 해발 4478m의 마터호른은 관광객뿐만 아니라 전세계 등산가들에게 인기가 높은 산으로 스위스를 상징하는 명봉입니다. 취리히공과대학 스위스지진국의 연구팀이 이 마터호른이 약 2초에 한 번의 주기로 앞뒤로 진동하고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Spectral amplification of ground motion linked to resonance of large-scale mountain landforms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12821X21005513

Spectral amplification of ground motion linked to resonance of large-scale mountain landforms

Amplification of seismic energy in steep topography plays an important role controlling the location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Alpine mountain…

www.sciencedirect.com


How the Matterhorn sways | @theU
https://attheu.utah.edu/facultystaff/how-the-matterhorn-sways/

How the Matterhorn sways | @theU

U professor Jeff Moore takes his methods for measuring rock arch motion to the Swiss Alps.

attheu.utah.edu


연구팀은 “지구의 움직임은 모든 물체를 진동시키고 있지만, 다행히도 평소에는 우리가 그 진동을 느낄 수 없습니다. 전세계의 다양한 물체에는 공명을 일으키는 고유 진동수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우리는 마터호른과 같은 큰 산에서도 공명으로 인한 진동이 검출되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마터호른에는 해발 4470m의 산 정상과 북동쪽 능선에 있는 긴급피난소 '솔베이 비버크', 산기슭의 여러 곳에 지진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지진계는 산의 모든 움직임을 고해상도로 기록해 스위스지진국에 자동으로 전송합니다. 연구팀은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Matterhorn의 공진 주파수와 방향을 도출했습니다.


그 결과 마터호른은 거의 남북방향으로 0.42Hz, 동서방향으로도 같은 주파수로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진폭의 범위는 거의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부터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여서 인간은 지각할 수 없는 레벨의 흔들림입니다.


또 마터호른의 기슭에 있는 기준점과 비교해 정상의 흔들림은 고유 진동수의 범위에서 최대 14배나 강했습니다.


연구팀은 마터호른의 진동을 80배로 고속화해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로 만들어 공개했습니다.

마터호른의 진동
https://d26toa8f6ahusa.cloudfront.net/wp-content/uploads/2021/12/13140000/MH54_20190905_02Hxy_80X_earthquake.mp3

연구팀은 마터호른 이외의 산도 이 같은 진동을 하고 있다고 예상해 중앙 스위스에 있는 Grosser Mythen이라는 훨씬 작은 산에서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마터호른의 약 4배의 주파수로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터호른의 조사에 참가한 유타대학에서 지구물리학을 연구하는 제프리 무어 준교수는 “마터호른과 같은 큰 산의 진동을 조사한 이번 연구는 강한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경사 안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지도 모릅니다. 산기슭의 지면 움직임은 정상에서 증폭되어 산사태나 낙석 등이 일어나기 쉽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항온동물인 포유류는 바깥 기온이 변화해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공기 중보다 체온이 빼앗기기 쉬운 수중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그 중에서도 해달은 수생 포유류 중에서도 특히 몸이 작아 열이 발산되기 쉽지만 오호츠크해와 북미 연안 등의 추운 해역에서 별탈없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해달이 어떻게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지에 대해 텍사스A&M대학의 연구자들이 설명했습니다.

Sea otters demonstrate that there is more to muscle than just movement – it can also bring the heat
https://theconversation.com/sea-otters-demonstrate-that-there-is-more-to-muscle-than-just-movement-it-can-also-bring-the-heat-165804

Sea otters demonstrate that there is more to muscle than just movement – it can also bring the heat

New research finds that ‘leaky mitochondria’ help keep sea otters warm.

theconversation.com


물은 공기보다 빨리 체온을 빼앗기 때문에 많은 수생 포유류는 단열을 위해 두꺼운 지방층을 가지고 있지만, 몸의 작은 해달은 두꺼운 지방이 없습니다. 대신 해달은 1제곱인치(약 6.45제곱센티미터)당 100만 가닥이라는 경이적인 밀도의 체모로 이루어진 모피를 가지고 있어 이 모피에 넣은 공기의 층이 단열재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모피를 유지보수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어 해달이 하루 활동의 10%는 모피 속의 공기를 유지하기 위한 손질에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Grooming Otter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Z4OKk2lErwc


그러나 아무리 밀도가 높은 모피가 열의 방출을 막아준다고는 해도 그것만으로 해달이 추운 바다에서 살아남는 것은 아닙니다. 해달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몸의 대사기능을 이용하고 있는데 같은 크기의 육생 포유류에 비해 대사율은 약 3배나 높다는 것. 대사가 좋다는 것은 에너지효율이 나쁘다는 의미로 인간이 하루에 필요한 음식은 체중의 2% 정도인 반면 해달은 하루에 체중의 20% 이상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해달의 음식섭취량을 체중 70kg의 인간에게 적용하면 하루에 14kg 이상의 음식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동물이 섭취한 음식은 그대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없고, 우선은 소화기관이 지방이나 당 등의 영양소로 분해하고 혈액으로 옮겨져 몸의 다양한 조직의 세포에 흡수됩니다. 그리고 세포내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라는 소기관이 섭취한 영양소를 '생체에너지 통화'라고도 불리는 아데노신삼인산(ATP)으로 변환하여 이 ATP를 에너지로 만들어 세포는 일합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영양소가 ATP로 변환되는 과정에서는 어느 정도의 영양소가 ATP로 변환되지 않고 열에너지로서 발산되고 있으며, 많은 척추동물은 일부러 ATP변환효율을 낮추어 열을 생산합니다. 체내의 모든 조직에서는 대사와 함께 열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포유류의 체중의 약 30%를 차지하는 근육은 특히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 열을 만듭니다. 운동을 하면 몸이 뜨거워지는 것은 근육의 대사로 영양소가 열로 변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텍사스A&M대학과 알래스카사우스이스트대학, 몬터레이베이수족관 등의 팀이 실시한 해달의 대사기능에 관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크기의 해달에서 채취한 근육샘플을 산소소비량이 측정되는 작은 방에 놓고 근육조직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사용했는지 모니터링했습니다.

대사과정을 자극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가 ATP 생산에 사용한 에너지량과 열로 변환된 에너지량을 측정했는데, 해달의 근육은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많은 에너지가 ATP로 변환되지 않고 열로 발산되었는데 이것이 추운 바다에서 해달이 체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놀랍게도 스스로 수영할 수 없는 어린 해달의 근육에서도 성체와 비슷한 대사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우리의 연구는 근육이 분명히 활동 이상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지어 사용하는 에너지의 양을 극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합니다.

만약 향후의 연구에서 안전하고 가역적으로 안정시의 골격근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발되면 의사는 비만을 억제하기 위해 환자가 연소하는 칼로리량을 늘리는 치료도 가능합니다. 반대로 골격근 대사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발되면 장시간 우주여행 등에 필요한 식량과 자원의 양을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전망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중국인, 호주, 독일 국적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이 사람의 눈을 스캔하여 그 사람이 단명할지를 예측하는 심층 학습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새롭게 개발된 알고리즘은 망막에서 예측되는 생물학적 연령과 실연령의 갭을 바탕으로 단명할 위험을 높은 정밀도로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Retinal age gap as a predictive biomarker for mortality risk |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https://bjo.bmj.com/content/early/2021/11/17/bjophthalmol-2021-319807

Retinal age gap as a predictive biomarker for mortality risk

Aim To develop a deep learning (DL) model that predicts age from fundus images (retinal age)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tinal age gap (retinal age predicted by DL model minus chronological age) and mortality risk. Methods A total of 80 

bjo.bmj.com


Something in Your Eyes May Reveal if You're at Risk of Early Death, Study Shows
https://www.sciencealert.com/looking-deep-into-your-eyes-could-reveal-whether-you-re-a-fast-ager

Something in Your Eyes May Reveal if You're at Risk of Early Death, Study Shows

A quick and pain-free scan of the human eyeball could one day help doctors identify 'fast agers', who are at greater risk of early mortality.

www.sciencealert.com


연구팀은 UK 바이오뱅크에 등록한 4만 6969명을 촬영한 총 8만 169장의 안저화상을 바탕으로, 이 중 사전병력이 없는 1만 1052명의 안저화상 1만 9200장을 이용하여 심층 학습모델의 학습과 검증을 실시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심층 학습모델은 시각정보를 신경신호로 변환하는 망막을 스캔해 그 사람의 생물학적 연령을 예측하도록 훈련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 개발한 심층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남은 3만 5917명을 포함한 안저화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예측된 연령과 피실험자의 실제 연령을 비교했고 심층 학습모델은 피실험자의 실제 연령을 평균 3.55년 이내의 오차로 예측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또 안저화상이 촬영되고 나서 약 11년 후까지 1871명의 피실험자가 사망했는데 망막스캔으로 산출한 생물학적 연령과 실연령의 갭을 이 사망률 데이터와 비교하는 분석도 했습니다. 그 결과 망막스캔으로 예측된 생물학적 연령이 실연령보다 고령인 사람일수록 단명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심층 학습모델이 예측한 연령이 실연령보다 1세 연상이었을 경우 그 후 11년에 있어서의 사망위험이 2% 상승했습니다. 한편 심혈관계 질환이나 암으로 인한 사망은 망막스캔으로 산출한 생물학적 연령과 실연령의 갭과 관련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어디까지나 관찰에 근거한 것으로 망막스캔으로 산출한 연령과 사망률의 상승을 링크시키는 생물학적 요인은 불분명합니다만 '망막이 노화에 매우 민감한 조직'이라고 추정한 과거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막에는 혈관과 신경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혈관이나 뇌의 건강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해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


지금까지도 망막스캔에서 심혈관질환이나 신장병, 노화의 징후를 검출하는 연구는 행해지고 있었지만 '망막스캔으로 산출한 생물학적 연령과 실연령의 갭'을 사망률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망막과 실제 연령의 갭과 심혈관질환과 암 이외의 요인에 의한 사망률의 중요한 연관성은 뇌와 눈에서의 링크를 나타내는 증거의 증대와 함께 망막이 신경학적 질병의 '창'이라는 개념을 지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과거의 연구에서는 안저화상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최근에는 의학의 발전으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사망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망막의 생물학적 연령과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관련이 낮아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또 치매를 앓고 사망한 피실험자는 전체적으로 불과 20명이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망막에서 예상되는 생물학적 연령과 치매의 발생 리스크를 연결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rom retinal fundus photographs via deep learning |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1-018-0195-0

Google’s new AI algorithm predicts heart disease by looking at your eyes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18/2/19/17027902/google-verily-ai-algorithm-eye-scan-heart-disease-cardiovascular-risk

Google’s new AI algorithm predicts heart disease by looking at your eyes

The eyes have it.

www.theverge.com


In our eyes, Google’s software sees heart attack risk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the-switch/wp/2018/02/19/google-used-artificial-intelligence-to-predict-heart-attacks-with-the-human-eye/

신체의 생물학적 연령을 조사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DNA메틸화나 Transcriptome의 측정 등이 있습니다만, 이러한 방법은 망막스캔보다 정확하지 않고 비용이나 신체적 부담도 큽니다. 한편 망막스캔은 5분 이내에 쉽게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망막과 신체의 생물학적 관련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면 임상의가 환자의 사망위험을 측정할 수 있는 우수한 의료기기가 개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Anchoring Trust: A Hardware Secure Boot Story
https://blog.cloudflare.com/anchoring-trust-a-hardware-secure-boot-story/

AMD PSB vendor locking enabled by Default on Ryzen Pro desktops, seriously damaging the second hand market. : Amd
https://www.reddit.com/r/Amd/comments/rpuqj9/amd_psb_vendor_locking_enabled_by_default_on/

Lenovo Vendor Locking Ryzen-based Systems with AMD PSB

Lenovo is vendor-locking its AMD Ryzen based platforms with AMD PSB including its Ryzen Pro ThinkCentre Tiny platforms

www.servethehome.com


Anchoring Trust: A Hardware Secure Boot Story
https://blog.cloudflare.com/anchoring-trust-a-hardware-secure-boot-story/

AMD PSB vendor locking enabled by Default on Ryzen Pro desktops, seriously damaging the second hand market. : Amd
https://www.reddit.com/r/Amd/comments/rpuqj9/amd_psb_vendor_locking_enabled_by_default_on/

AMD PSB vendor locking enabled by Default on Ryzen Pro desktops, seriously damaging the second hand market.

Posted in r/Amd by u/FedsAgainstGunS • 1,521 points and 305 comments

www.reddit.com


개조된 OS나 해킹용 OS를 기동시켜 기밀정보를 훔치는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보안수준이 필요한 컴퓨터에서는 이전부터 'UEFI Secure Boot'라는 기능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시스템의 전원을 켤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UEFI 펌웨어에 트러스트 앵커를 설정하고 이후의 프로세스에서는 적절한 디지털서명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기동프로세스에 대한 공격을 방지하지만 UEFI 자체에 대한 공격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에 하드웨어의 선에서 기동프로세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AMD가 개발한 것이 'Platform Secure Boot(PSB)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미리 AMD CPU를 설정하여 UEFI를 실행하기 전에 '하드웨어 제조업체 순정 UEFI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어서 불법 UEFI로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PU 설정에는 1회밖에 쓸 수 없는 OTP 퓨즈형의 메모리가 이용되기 때문에 한번 설정을 한 CPU는 다른 메이커의 제품에서는 이용할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

2020년경부터 서버용 제품으로 PSB가 이용되게 되었고 언뜻 보통 CPU로 보이는데 특정 메이커의 시스템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CPU가 나돌게 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리고 2021년 말에 Lenovo의 일반 사용자용 제품과 AMD Ryzen Pro의 조합에서 디폴트로 PSB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Lenovo 제품에 부속되어 온 AMD Ryzen Pro가 다른 메이커의 시스템에 이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CPU로 변경했을 때의 셋업에서 잘 읽지 않고 'Y'를 연타하고 있으면 CPU가 Lenovo 제품에 벤더락되어 버린다는 것. 아래의 화면에서 'N'을 누르면 CPU를 벤더락인 상태로 하지 않고 셋업을 할 수 있습니다.


CPU가 벤더락되어 있는지는 외관에서는 판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중고 AMD Ryzen 제품을 구입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색온도란 빛의 색을 K(켈빈)이라는 열역학적 온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주황색에서 흰색, 청색으로 변화해 갑니다. 그것을 근거로 무한히 뜨거운 것을 생각했을 때에는 어떤 색이 되는지에 대해 수리과학의 연구프로젝트 The Azimuth Project가 공식블로그에서 설명했습니다.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 Azimuth
https://johncarlosbaez.wordpress.com/2022/01/16/the-color-of-infinite-temperature/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This is the color of something infinitely hot. Of course you’d instantly be fried by gamma rays of arbitrarily high frequency, but this would be its spectrum in the visible range. This…

johncarlosbaez.wordpress.com


금속을 가열하면 빨강과 주황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 빛을 거의 완전히 흡수하여 반사하지 않는 흑체라는 것을 상정했을 때, 어느 온도에서 흑체가 방사하는 빛의 파장이 색으로 나오게 되고 고온이 되면서 빨강에서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으로 변화하고 더욱 고온이 되면 청색에서 진청색이 된다는 것.

by Hołek.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570047


이 빛을 분석한 스펙트럼은 레일리-진스의 법칙에 기초한다. 이 법칙은 흑점이 뜨거워질수록 근사치로서 정확한 것이 되기 때문에 '무한히 뜨겁게 한 흑점'의 색도 예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이 법칙에 따르면 색이 온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밝기가 온도에 의존해 모습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The Color of Infinite Temperature. https://johncarlosbaez.wordpress.com/


게다가 색이 모습은 단순한 물리학뿐만 아니라 인간의 지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파리의 국립고등통신학교의 강사인 데이비드 마도아 씨에 따르면 레일리-진스의 법칙에 대한 인간의 눈의 반응을 규명함으로써 Windows 환경에서도 기준이 되는 sRGB의 색공간에서 상정한 색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을 감안하면 무한히 뜨거운 것의 색은 sRGB에서 (148,177,255)로 나타나는 아래와 같은 색에 가깝습니다. 이 색은 항성이 초신성 폭발하여 형성되는 전형적인 중성자별의 색이며 초기 우주의 색이기도 하다고 설명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포인트
· 성간 분자구름의 먼지에 포함된 유기물을 가열하면 물이 대량으로 생성되는 것을 발견.
· 얼음이 없는 2.5 천문단위보다 안쪽 영역에서도 유기물이 물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제시.
· 지구형 행성의 물의 기원 규명에 기대.

홋카이도대학 저온과학연구소의 가나이 아키라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그룹은 성간 분자구름의 먼지에 대량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가열하면 물이 많이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지금까지 지구에 물을 공급한 물질로는 혜성의 얼음이나 탄소질 운석에 포함된 물을 포함한 광물 등이 후보였습니다. 그러나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탐사의 결과 혜성얼음의 기여는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탄소질 운석으로는 지구의 물이 너무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구의 물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미궁에 빠졌습니다.

성간 분자구름 유래의 유기물은 얼음이 없어져 버리는 태양으로부터 2.5 천문단위의 거리보다 안쪽의 영역에서도 남아있기 때문에 유기물로부터 물이 만들어진다는 결과는 지구뿐만이 아니라 화성이나 소행성의 물의 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성과입니다.


'하야부사 2'가 채취한 시료 중의 유기물 분석을 더하면 지구를 비롯해 지구형 행성의 물이나 유기물의 기원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연구성과는 2020년 5월 8일 Scientific Reports 잡지에 게시되었습니다.
 
■논문 정보
논문 이름: “Precometary organic matter: A hidden reservoir of water inside the snow line

Posted by 말총머리
,


2021년 12월에 달의 표면에서 발견된 '수수께끼의 큐브'에 대해서 중국의 월면탐사차 옥토끼 2호가 더욱 접근을 해 정체가 특정되었습니다.

玉兔日记上新!小房子神秘面纱被揭开
http://www.cnsa.gov.cn/n6758823/n6758838/c6813049/content.html

穿越1000米来看你,大家关注的小房子来了 『玉兔二号駕駛日記』(29)
https://mp.weixin.qq.com/s/VgtehRidYL8-dk9YtENQfg

穿越1000米来看你,大家关注的小房子来了 『玉兔二号驾驶日记』(29)

看我们来揭秘神秘小屋。

mp.weixin.qq.com


Mystery 'moon hut' is actually an adorable rabbit-shaped rock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moon-hut-rabbit-rock

Mystery 'moon hut' is actually an adorable rabbit-shaped rock

When China's lunar rover first discovered it, the rock appeared cube-shaped.

www.livescience.com


수수께끼의 큐브는 옥토끼 2호가 80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발견된 것으로, 운석의 충돌로 생긴 바위일 가능성이 추정되고 있었습니다.

Source:http://www.cnsa.gov.cn/n6758823/n6758844/n6760026/n6760035/c6805180/content.html


艰难爬坡!玉兔迎来月背最大坡度 『玉兔二号驾驶日记』(28)
https://mp.weixin.qq.com/s/dpKkjWHk9tay3JERnrfuUw

艰难爬坡!玉兔迎来月背最大坡度 『玉兔二号驾驶日记』(28)

艰难爬坡!玉兔迎来月背最大坡度

mp.weixin.qq.com


Mystery Cube Found on The Far Side of The Moon Is Probably Not an 'Alien Hut'
https://www.sciencealert.com/mystery-cube-found-on-the-far-side-of-the-moon-is-probably-not-an-alien-hut

Mystery Cube Found on The Far Side of The Moon Is Probably Not an 'Alien Hut'

There's something strange in the lunar neighborhood.

www.sciencealert.com


옥토끼 2호는 해가 뜨고 있는 동안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큐브의 탐색에 2~3개월이 걸릴 전망이었지만 효과적인 이동방법이 짜여지면서 37일만에 59.7m 이동하는 데 성공했고 2021년 12월 27일에 드디어 카메라로 큐브의 정체를 포착했습니다.

옥토끼 2호가 촬영한 큰 크레이터와 그 앞에 있는 수수께끼의 큐브


사진을 확대한 결과 큐브가 아닌 토끼와 유사한 모양의 돌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22년에 옥토끼 2호는 토끼모양의 돌 주위를 탐색하고 있는데, 달에 도착해 내달린 합계 주행거리는 1km를 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의 자기장은 끊임없이 변동하고 있어 대략 20~30만 년에 1회 남북이 완전히 뒤바뀌는데, 다음 지자기 역전은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아 약 100년 내에 반전이 완료할지도 모른다고 구미합동 과학반이 미국의 지구물리학회가 발행하는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에 발표한 최신 논문에서 밝혔습니다.

Earth’s magnetic field could flip within a human lifetime
https://news.berkeley.edu/2014/10/14/earths-magnetic-field-could-flip-within-a-human-lifetime/

Earth’s magnetic field could flip within a human lifetime

UC Berkeley geophysicist Paul Renne, grad student Courtney Sprain and their Italian and French colleagues found that Earth’s last magnetic reversal took place 786,000 years ago and happened v…

news.berkeley.edu


지금까지 지구 자기장의 역전은 최대 7000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2004년 조사).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생각도 못했던 빠른 속도로 남북 지자기가 바뀌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역전속도에 한층 더 파고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앞선 지구자기장 역전은 약 100년 만에 완료되었다는 놀라운 숫자도 발표했습니다.

로마 근교의 호수 바닥에 1만 년간 화산분화 때마다 퇴적으로 생긴 화산재의 지층을 검증하고 확인한 결과라고 합니다. UC버클리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화산재의 지층에는 당시의 자기장 방향이 그대로 '프리즈(고정)'되어 남아 있기 때문에 연대를 조사하면 역전의 시기가 언제이고 역전완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렸는지에 대해 확실한 것을 추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 역전이 앞선 것과 같은 급격한 스피드로 일어날지 어떨지는 모르지만 일어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도 없다"고 UC버클리의 공동집필인 Paul Renne 씨는 말합니다.

아래의 지도에서는 약 78만 9,000년 전부터 북극이 남극대륙을 수천 년간 해매기 시작하고 78만 6,000년 전에 방향이 뒤집혀 북극권에 안착한 양상을 나타냅니다

UC버클리


지구 자기장이 끊임없이 변동한다는 사실은 이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북극은 지난 200년 정도 사이에 600마일(966km) 이동하고 있으며 올 여름에는 유럽우주기관(ESA)의 위성관측 데이터로 지자기가 약해지고 있는 지역과 강해지고 있는 지역이 생긴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류의 흐름의 변화가 인간생활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활주로에 방위자침의 방향에 맞춘 번호를 표시하고 있는 공항에서는 지자기 변동에 맞추어 명칭을 변경하거나 번호표기를 바꾸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클랜드 국제공항에서 27번 활주로가 28번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남북 역전의 날이 가깝다는 것 자체는 그렇게 놀라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결과대로 급격하게 일어난다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이 일어날지 우려되기도 합니다. 자기장이 약해진다는 것은 우주로부터 유입되는 발암성 방사선으로 인해 암발생률의 증가와 전력공급망이나 자기장에 민감한 시스템 등 인프라가 받는 영향도 상당할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