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0.08.01 'Google 포토'의 사진과 'Google지도'을 연계하여 타임라인에 행선지와 사진을 표시하는 방법
  2. 2020.08.01 Google · Facebook · Amazon · Apple이 반복하는 '사소하지만 심각한 거짓말' 5가지
  3. 2020.08.01 '장기간의 재택근무'로 컨디션을 무너뜨려 버리는 사람은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
  4. 2020.08.01 SIM카드 : 클론의 습격
  5. 2020.08.01 iPhone의 이어스피커 고장은 매우 드물다
  6. 2020.08.01 통화 중에 자신의 목소리가 상대방에게 잘 들리지 않을 경우의 대처법
  7. 2020.08.01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이라면 이어스피커의 고장일지도!
  8. 2020.08.01 [통화 문제] 상대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현상의 원인
  9. 2020.07.31 신용카드의 보안코드란? 인터넷 쇼핑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
  10. 2020.07.31 신용카드의 부정사용 · 스푸핑의 원인과 수법 그리고 대책
  11. 2020.07.31 SIM카드의 분실에 주의...모든 것을 잃을 우려도
  12. 2020.07.31 스마트폰의 도난 · 분실 대책...SIM 카드에 비밀번호를 설정
  13. 2020.07.31 '스톤헨지의 거석은 도대체 어디에서 옮겨져 왔는가?'라는 오랜 수수께끼가 규명되다
  14. 2020.07.30 Pinterest(핀터레스트)란? 인스타그램과의 차이점과 기본적인 사용법
  15. 2020.07.30 iOS 11에서는 지문인증을 빠르게 해지하여 경찰의 개입을 저지할 수 있다
  16. 2020.07.30 스마트폰의 지문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는 방법
  17. 2020.07.30 Microsoft가 세계 최초로 수소를 이용하여 데이터센터를 48시간 연속 가동하는데 성공
  18. 2020.07.30 Microsoft가 오픈소스 3DCG 소프트웨어 'Blender'의 개발기금에 참여
  19. 2020.07.29 중국으로부터 수수께끼의 '종자'가 배송되어 오는 사건이 속출
  20. 2020.07.29 "Google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일부러 오해를 유발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했다"고 국가기관이 제소
  21. 2020.07.29 식수에 포함된 '리튬'은 자살과 치매 예방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22. 2020.07.29 여러 웹서비스에서 사용가능한 유일무이한 계정 이름을 찾는 서비스 'namae'
  23. 2020.07.29 1억년 전 지층에서 살아있는 미생물을 발견
  24. 2020.07.29 왜 사람을 잘 관리하려면 "'1대 1'보다 '4대 1'인 것이 중요한가?
  25. 2020.07.29 Google이 대서양을 관통하여 미국과 유럽을 잇는 해저케이블 'Grace Hopper'의 부설을 발표
  26. 2020.07.29 인류 문명은 20년~40년 이내에 붕괴로의 귀환불능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론물리학자가 경고
  27. 2020.07.27 Google Glass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소프트웨어
  28. 2020.07.27 Android 패턴잠금을 강제로 해제하는 5가지 방법
  29. 2020.07.27 안드로이드 패턴잠금의 취약점은 이미 대책이 완료되어 사용할 수 없다
  30. 2020.07.27 Android 스마트폰의 `패턴잠금`이 패스워드 잠금보다 안전할지도


촬영한 사진을 Google 포토에 업로드하고 Google지도에 연계하면 자동으로 그 장소에 갔던 날짜와 사진이 지도에 표시되어 앨범과 같이 됩니다.


◆ Google지도을 Google 포토와 연계하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위치명 · 지명으로 검색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정보를 ON으로 해두면, Google 포토에 저장된 사진이 자동으로 Google지도의 지도에 연계되어 장소 이름 · 지명으로 사진을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 Google지도의 타임라인에 사진이 나열된다

Google지도의 타임라인에 날짜별로 사진이 정렬되어 방문한 장소에서 촬영한 사진이 마치 사진앨범처럼 나타납니다.


◆ Google지도를 Google 포토에 연계하는 방법


1) 먼저 Google지도를 열고 왼쪽 상단의 ≡ 을 누릅니다.
2) 타임라인을 누릅니다.
3) 오른쪽의 ... 을 누릅니다.
4) 설정을 누릅니다.
5) Google 포토를 ON으로 합니다. 완료


◆ Google지도의 타임라인에서 사진을 보는 방법


1) Google지도를 열고 왼쪽 상단의 ≡ 을 누릅니다.
2) 타임라인을 누릅니다.
3) 오늘을 누른 다음 캘린더를 표시합니다.
4) 달력에서 사진을 표시할 날짜를 선택합니다.
5) 사진을 확인하고 싶은 날짜를 선택하면 시간 · 장소와 함께 사진이 나열됩니다. 완료


◆ 정리


두 요소가 함께 작동하여 그때의 추억을 선명하게 떠올리게 하는 편리한 도구로 변신합니다!

Google지도를 Google 포토와 연계하면 여행의 기념앨범도 되고, 기록으로도 매우 편리합니다.

연계는 매우 간단해서, 한 번 설정하고 나면 즉시 자동으로 연계됩니다.

그러나 모든 위치가 자동으로 함께 기록되므로 만약 방문한 장소와 사진의 촬영 위치를 기록하길 원치 않을 때에는 연계를 OFF로 하면 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20년 7월 29일 반독점 소위원회가 열린 공청회에서 Google의 샌더 피챠이 CEO, Amazon의 제프 베조스 CEO, Facebook의 마크 저커버그 CEO, Apple의 팀쿡 CEO 등이 증언이나 답변을 하였습니다. 답변에서 CEO들은 그럴듯한 '말을 반복했지만, 거기에는 심각한 거짓말이 포함되어 있다고 기술 칼럼니스트 제프리 A 파울러 씨가 지적하고 있습니다.

The 5 biggest little lies tech CEOs told Congress - and u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technology/2020/07/29/big-tech-ceo-hearing-lies/


Congress forced Silicon Valley to answer for its misdeeds. It was a glorious sight | Technology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commentisfree/2020/jul/30/congress-forced-silicon-valley-to-answer-for-its-misdeeds- it-was-a-glorious-sight

공청회에서는 "Facebook의 Instagram 인수가 '경쟁자의 무력화'가 목적이었다"라고 밝혀졌고, 베조스 CEO가 타사의 판매 데이터를 사용한다는 의혹에 대해 "정책을 위반한 적이 없다고 보장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등 수많은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추궁에 "나는 그것에 대해 모른다" "다음에 연락하겠습니다"라는 말을 반복하고 있어 The Guardian은 "이러한 기술기업은 수년 동안 자신들의 비즈니스 행동에 대한 진실을 요구받지 않았기 때문에 답변을 준비하지 않았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부시 행정부, 오바마 행정부 시절에도 이번 공청회에서 밝혀진 수많은 증거가 있었음에도, 반독점 소위원회는 합병을 인정해온 점이 큰 문제로 올라 있습니다.


또한 이 기업들은 그동안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중요합니다" "소비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선을 실시하고 있습니다"라는 말을 거듭하면서 실제 행동은 그 말을 반영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워싱턴포스트의 기술 칼럼니스트 제프리 A 파울러 씨는 "공청회에서는 각 CEO가 반복한 '작지만 중대한 결과를 가져올 5가지 거짓말 '이 밝혀졌다"고 말합니다.

1 :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하에 두고 있다

피챠이 CEO와 저커버그 CEO가 주장하는 것처럼 소비자들이 플랫폼에서 개인정보 설정을 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들을 사용하는 방법이 막연하거나 사용하기 난해한 경우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없다'와 동의어입니다. 2019년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81%가 "기업에 의한 데이터의 수집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59%는 기업이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공청회에서 의원으로부터 "당신은 '더 많은 데이터의 수집이 Google에 모이는 돈을 늘어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라는 겁니까?"라고 추궁을 받은 피챠이 CEO는 "오늘 모아진 데이터의 대부분은 사용자를 돕고 개인화된 경험을 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반복할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Google은 세계 최대의 광고회사이며, 수집하는 데이터만이 그 원동력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의원은 피챠이 CEO에게 "Google의 지배를 위해, 사용자가 항복할 수밖에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2 : 사용자에게 선택의 여지가 있다.

"결정은 소비자가 한다" "사용자에게 선택의 여지가 있다"는 발언도 CEO들로부터 많이 발언 되었습니다. 그러나 기술기업은 "사용자는 편의에 의해 움직인다"고 이해하고 있으면서, 제품을 불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선택을 강요합니다.

피챠이 CEO는 "소비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정보의 잠재적인 소스를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만, 선택이 존재하여도 인기있는 웹브라우저인 Google Chrome이 가장 인기있는 OS인 Android에 포함된 상황을 Google이 조성하는 한 Google 검색을 사용하지 않고 정보에 액세스 하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고 해도 그것이 사용자의 Google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아닙니다.

"이 4개 회사의 서비스를 어떤식으로든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제로루도 · 나도라 의원은 말했습니다.


3 : 기술기업은 그만큼 큰 존재가 아니다

베조스 CEO는 "Amazon의 점유율은 25조 달러 규모의 세계 소매시장 중 1% 미만, 미국 소매시장의 4% 이하입니다"라며 회사가 시장 독점에 해당하는 만큼 큰 규모가 아님을 강조했다. 그러나 조 네구즈 의원은 베조스 CEO에게 왜 주유소를 포함한 모든 소매점을 경쟁자로 생각했는지를 물었습니다. 온라인 쇼핑에서 Amazon은 미국 시장의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서 등 카테고리를 한정하면 점유율은 더욱 커집니다.

베조스 CEO는 소매의 '유통 경로'와 전체 '시장'의 정의를 애매하게 하려고 했고, 다른 CEO들도 마찬가지로 시장의 정의를 모호하게 하는 식으로 답변하였습니다.


4 : 가장 관련성이 높은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

피챠이 CEO는 "우리는 항상 사용자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Google은 해마다 웹사이트로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결과 화면에 사용자를 머물게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Amazon의 스마트 스피커는 Amazon 이외의 제품에 사용자가 검색했을 때에도 Amazon 제품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이것은 베조스 CEO도 인정하는 점입니다. '가장 관련성이 높은 정보'라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자사 제품에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5 : 소셜미디어는 유해한 정보에서 이익을 얻지 않는다

저커버그 CEO는 소셜미디어가 사람들을 해칠 수 있는 콘텐츠의 확산을 제한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Facebook에는 잘못된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Facebook의 비즈니스가 사용자의 주의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고,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내는' 모델이기 때문에 콘텐츠가 자극적이고 논란이 있는 내용일수록 확산되어 버리는 것이 원인. '광고를 표시한다'는 목적을 위해 '이용자를 플랫폼에 체류시키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참여가 우선시 된다'는 비즈니스야말로 Facebook의 잘못된 정보확산의 문제의 근원이라는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유행에 따라 근로가 재택근무로 전환되어 일이 쉬워지고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왔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 재택근무로 컨디션을 무너뜨린 사람도 있습니다. 두 유형의 분기점이 되는 요인에 대해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대학에서 인재관리에 관해 연구하는 캐롤 쿠릿쿠 씨 등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Thinking about working from home long-term? 3 ways it could be good or bad for your health
https://theconversation.com/thinking-about-working-from-home-long-term-3-ways-it-could- be-good-or-bad-for-your-health-141374

COVID-19의 유행에 따라 재택근무로의 전환이 급격히 이루어졌습니다. IBM의 씽크탱크가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75%가 코로나 유행의 종식 후에도 재택근무를 희망했고 일본능률협회의 조사에서도 재택근무자의 80%가 종식 후에도 재택근무를 계속했으면 좋겠다고 바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재택근무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쿠릿쿠 씨는 재택근무가 건강에 좋을지 또는 나쁠지를 결정하는 '3가지' 이유를 들고 있습니다.

◆ 1 : 재택근무시의 운동량이 충분한가
재택근무 중에는 집에 있는 간식을 손쉽게 꺼내먹을 수 있고 활동량이 줄어 재택근무로 체중이 늘었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또한 휴식시간도 명확하지 않고 동료의 소통도 줄어 장시간 의자에 앉은 채 PC를 계속 응시하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화면을 장시간 쳐다보면 망막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고 몸에 맞지 않는 의자에 앉아 있으면 허리 통증과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시간 앉아 생활하면 건강과 수명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많이 발표되고 있어 재택근무는 운동 부족이 큰 과제가 될 것이다고 쿠릿쿠 씨는 지적합니다.

그러나 재택근무 중에도 자주 휴식을 취하고 몸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가끔 집안일이나 강아지와 산책을 하거나 또는 계단의 오르내림이나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하거나 하는 것으로, 재택근무 중의 운동 부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재택근무중인 직원이 운동 부족이 되지 않도록 작업 일정을 관리하고 적당한 휴식을 취하도록 촉구하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등 운동 부족 해소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2 : 재택근무로 여가시간이 증가하는가, 아니면 근무시간이 증가하는가

재택근무는 출퇴근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근 분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실이라면 재택근무는 직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볼 수 있지만 쿠릿쿠 씨는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쿠릿쿠 씨는 "통근은 직원의 업무와 사생활을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서비스업 및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업무에서 작업 모드와 사생활 모드를 잘 전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 3 :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가, 아니면 외롭다고 느끼는가

재택근무를 하면 동료나 상사에 의해 작업이 중단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회사에서 일하는 것보다 자신의 일에 집중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이익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모든 직원이 룸메이트나 가족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회사의 동료와의 교류에 크게 도움을 받고 있다는 직원도 있습니다. 실제로 사무실에서 약간의 잡담을 나누는 직원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고 동료를 돕거나 하여, 건강한 정신상태로 일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습니다.

사무실에서의 잡담을 재택근무로 재현하는 것은 어려워 재택근무 중 강한 고독감을 기억하고 기분의 침체와 불면증 등의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쿠릿쿠 씨는 기업이 '가상 카페' 등의 비공식적인 상호작용 공간을 제공하여 직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등 도움을 주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지적합니다. 또한 "주 4일 재택근무를 하고 하루는 출근하는, 재택근무와 사무실 근무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근무 체계를 권장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SIM카드 : 클론의 습격

IT 2020. 8. 1. 12:25



SIM카드는 복제를 할 수 있다

SIM카드에서 처음 발견된 취약점 중 하나는 '클론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클론의 작성은 SIM카드의 내용을 읽어 다른 SIM카드의 메모리에 기록한다는 뜻입니다. 하드웨어의 관점에서 보면, SIM카드는 단순한 스마트카드에 불과해, 유사한 것을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고 칩 정도의 가격으로 살 수 있습니다. 복제할 수 있는 것도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여러 SIM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가 없었을 당시에는 복수의 SIM카드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복제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SIM카드의 교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MultiSIM라는 방식입니다. MultiSIM은 기본적으로 확장 메모리를 탑재한 스마트카드이며, 일반적으로 여러 SIM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관합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교체없이 SIM을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다시 시작할 때마다 다음 SIM카드에 상당하는 셀의 시퀜스가 선택된다'는 간단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었습니다. 물론 여러 SIM카드가 동시에 작동할 수는 없습니다. 단말기 측에서는 일단 전원이 꺼지고 SIM카드가 바뀐 후 다시 전원이 켜져야 인식됩니다.

10년 전 MultiSIM은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흥미롭게도 더미 스마트카드, 스마트카드를 읽고 쓸 수 있는 PC 어댑터, 전용 소프트웨어가 들어있는 DIY 키트를 판매하고 있었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SIM카드 복제는 악의적인 활동에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범인은 겨냥한 SIM카드에 짧은 시간이라도 액세스 할 수 있다면, 클론을 만들어 정규 SIM카드에 침입할 수 있습니다. 정규 가입자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인식되고 있을 때, 클론의 SIM카드가 활성화되면 통신이 끊어져 버립니다만, 정규 가입자는 전혀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경우 수신 통화 및 수신 메시지는 모든 범죄자에게로 전송됩니다. 또한 범죄자는 피해자를 대신하여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인터넷 검색 등도 가능합니다.

휴대전화의 화면에 네트워크 표시 등 및 통신 사업자의 이름이 평소처럼 표시되므로 피해자는 아무것도 모른 채 연결되어 있다고 착각합니다. 그러나 단말기를 다시 시작하거나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강제로 업데이트하거나 하지 않으면(일반적으로 몇 시간 간격으로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전화를 걸 수 없습니다.

당초 복제 SIM은 기본적으로 어디에서나(다른 대륙에서도!) 인식했습니다. 잠시 후 이를 눈치챈 통신사업자는 대책으로서 원시적인 보안 메커니즘을 도입했습니다. 가입자가 마지막으로 인식된 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갑자기 인식된 경우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입니다.

그래도 범죄자가 피해자로부터 가까운 곳에 있을 경우 정상인식으로 판단될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보안 대책은 소용이 없습니다.


왜 SIM는 복제가 가능할까?

네트워크에서 가입자 인증에 사용되는 Ki(Key Identification)키는 일반적으로 SIM카드에서 읽을 수 없습니다. SIM카드 프로세서는 이 키를 '내부'에서 호출합니다. 즉, 이 키는 무선으로 공유되는 것이 아닙니다. 메모리가 보호된 파티션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키를 읽을 수 있는 API는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암호해독법입니다. SIM카드에서 A3 알고리즘을 반복해서 달리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임의의 RAND를 처리하고 SRES 리스폰스를 생성시켰다면, 어떤 의존성을 찾아내어 Ki 열쇠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10년 전 PC에서조차 이러한 처리를 단 몇 분만에 완료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SIM카드는 일종의 자폭 ​​타이머를 탑재하고 있으며, 암호 알고리즘의 실행 횟수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에 실행 횟수의 상한이 65,536회로 설정된 경우, 이 한도에 도달하면 SIM카드의 프로세서는 SRES 리스폰스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Ki가 제대로 계산되지 않으면 그 SIM카드는 전혀 쓸모없게 되어 교체가 필요합니다. 정규 SIM카드를 사용하고도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한치가 처음부터 낮게 설정되어있는 카드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으면 충분히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행히도 암호해독법으로 Ki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은, A3 알고리즘의 가장 오래된 버전 COMP128v1을 지원하는 SIM카드뿐입니다. 이 SIM카드는 일부 통신사업자로 지금도 사용하고 있고, 클론 작성이 가능합니다. 최첨단 통신사업자는 이미 COMP128v2과 COMP128v3 알고리즘으로 전환하여 RAND-SRES의 조합 수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앞의 방법으로 Ki키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통신사업자의 SIM카드 데이터베이스 또는 SIM카드 제조업체에서 통신사업자에게 보내는 특별한 룩업 테이블에 액세스 가능하면 한 번에 대량의 SIM카드 키 세트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통신사업자 또는 SIM 업체의 내부 정보에 무단 액세스 해줄 공범이 필요합니다.

떠도는 소문에 따르면, 요즘의 PC라면 무선으로도 열쇠를 가로채 그 자리에서 해독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Ki키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SIM카드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출처 번역
SIMカード:クローンの攻撃
https://blog.kaspersky.co.jp/sim-card-history-clone-wars/10118/

SIMカード:クローンの攻撃

SIMカードは複製できます。どうしてそんなことが可能なのでしょう?サイバー犯罪との関連は?

blog.kaspersky.co.jp

Posted by 말총머리
,


다른 부품의 결함 또는 본체 고장의 경우가 많다.

iPhone을 이용한 통화에서 상대방의 목소리는 화면 상단의 틈새에서 들려옵니다.
그 안쪽에 이어스피커 부품이 들어있어 소리를 울려주는 것입니다. 그럼 상대방의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 이어스피커가 고장일까?

그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례에서는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화면이 깨지는 않았지만, 상대방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어버려, 매장에서 이어스피커를 교환했지만 고쳐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상태을 파악해보니, 매너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 '헤드폰'으로 표시되었습니다. 이어폰을 꽂지 않았고 무언가에 막혀 있지도 않았습니다.

떨어뜨린 충격으로 이어폰이 꽂혀있다고 잘못 인식이 되어버려, 음성출력이 이어폰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어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올 리가 없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어폰잭에 도크 커넥터를 삽입해서 제거하면 헤드폰 상태가 풀려 이어스피커에서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었습니다.

매장에서 수리를 시작한 지 몇 년째이지만, 이어스피커의 교체가 필요했던 경우는 5건도 없었습
니다. 그만큼 이어스피커가 손상될 확률이 낮은 것입니다.


본체가 원인인 경우


해결은 손쉬운 경우와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손쉬운 경우는, 다시 시작하거나 리셋으로 해결됩니다.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는, 본체가 이어스피커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iOS를 버전업하니 통화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어스피커를 교환해도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이어폰을 사용하면 통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계속 사용하는 것은 가능했습니다.

본체가 문제인 경우에는 iOS의 버전업이나 공장초기화로 해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생각되는 원인들


1) 마이크를 막고 있다

iPhone에는 3가지의 마이크가 탑재되어 있으며, 각각 듣기, 말하기, 노이즈 캔슬링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통화시 음성을 수집하는 저변 마이크(이어폰잭의 오른쪽 옆)과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후면 마이크(카메라와 플래시라이트 사이)을 손가락이나 커버에 막히면 말하기 음량이 작아지거나 잡음이 섞이기도 합니다.


2) Dock 커넥터의 결함

Dock 커넥터는 충전과 PC 연결시 케이블을 연결하는 슬롯입니다. 이 부분은 저변 마이크와 일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서 문제를 일어나고 있다면 마이크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3) 잡는 방식이 부적절

손가락으로 저변 마이크와 후면 마이크를 막고 통화하거나 iPhone 본체와 입이 멀리 ​​떨어져 있는 등, 마이크가 목소리를 수집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있으면 당연히 상대방에게 목소리가 도착하기 어렵게 될 것입니다.


4) 상대방의 문제

상대방에 문제의 원인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일단 상대에게 볼륨 조절과 본체의 확인을 요구합시다.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익숙한 '다시 시작'을 시도합시다. 다시 시작해도 지속될 경우에는 마이크의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이크 상태 확인 방법

음성 메모앱을 이용하여 목소리를 녹음합니다.
이때 파형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마이크가 소리를 수집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상대방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어버린 경우나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의 대부분은 이어스피커라는 부품이 고장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어스피커의 구조.


iPhone의 이어스피커는 화면의 상단에 붙어있습니다.
통화시 귀에 닿는 부분의 아래에 스피커가 붙어있어 제대로 작동하면 거기에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들려옵니다.


전면 카메라와 이어스피커가 있고, 두 부품의 금속 단자의 접점이 합쳐져, 통화시 소리가 만들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접점이 어긋나 있거나 어느 부품이 고장이 나버린 경우 목소리가 들리지 않거나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고장의 원인


1) 강한 충격이 가해져 부품이 손상

낙하 등의 강한 충격으로 제품 자체에 결함이 생겨버리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iPhone의 부품은 정밀기기이므로 손상되면 작동하지 않게 되어버립니다.


2) 침수에 의한 고장

침수에 의한 영향으로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정밀기기이므로 물에 아주 약합니다.
물에 빠트리지 않아도 침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욕실의 증기 등에 의해 단말기 내부에 결로가 생겨, 이로 인해 침수되어 부품의 손상으로 연결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iPhone7 이후의 단말기는 방수 기능이 있지만, 여전히 침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결로에 의해 부품이 젖어버리면 거기에서 녹이나 부식이 진행되어 전기의 흐름이 나빠져 다양한 문제가 나오게 됩니다.


3) 노후화에 따른 고장

흔치 않지만, 열화에 의해 부품의 고장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어스피커는 전면카메라와의 접점이 잘 달라붙어 있지 않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열화에 의해 단자 및 접점 부분이 닳아 있거나, 본체 내부에 먼지가 쌓여, 먼지 등에 의해 접점이 틀어져 들리지만, 소리가 작거나 노이즈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이어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지 않거나 소리가 작거나 하는 원인은 기본적으로 이 3가지에 의한 고장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상대 : "여보세요"
자신 : "여보세요? 잘 들리지 않는데?"

전파 상태도 좋고, 낙하나 침수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되었다! 이런 때에는 고장이 아닌 뜻밖의 부분에 원인이 있는 사례가 많습니다 .

여기에서는 iPhone의 통화 중에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된 경우의 대처법을 소개합니다.

.

상대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원인은?


- 음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 이어스피커가 이물질에 막혀 있다
- 이어폰잭이 막혀 있다
- Bluetooth가 연결되어 있다
- 노이즈 캔슬링이 꺼져 있다


음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무언가에 부딪히거나 본체를 만지고 있는 동안 무의식중에 볼륨 버튼을 조작했을 수 있습니다 .


이어스피커가 이물질에 막혀 있다

이어스피커는 iPhone 패널의 상단에 있는 가늘고 긴 선같은 부분으로 내부는 메쉬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먼지나 귀지 등이 부착하면 통화할 때 상대방의 목소리가 잘 들리기 힘들어집니다. 면봉이나 붓으로 가볍게 닦아내고 마지막에 압축공기 캔을 살포하면 깨끗해집니다.

또한 보호필름을 이어스피커에 덮어씌운 것은 아닌지 체크하십시요


이어폰잭이 막혀있다

이어폰잭이 막혀 있으면 '이어폰 상태'라고 인식되어 잘 들리지 않게 됩니다. 면봉이나 이쑤시개로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청소합시다.


Bluetooth가 연결되어 있다

Bluetooth가 켜져 있으면, 그쪽이 우선되어 전화가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Bluetooth는 제어 센터에서 해제할 수 있습니다.


노이즈 캔슬링이 꺼져 있다

노이즈 캔슬링은 통화시 주변 소음을 없애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iOS7부터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시 시작'을 시도하십시오.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다시 시작하거나 리셋을 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어스피커의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어스피커의 상태 체크 방법


iPhone은 표준으로 음성 메모앱이 탑재되어 있으니, 이를 이용하여 확인합시다.
음성 메모앱을 실행합니다. 중간의 붉은 ○ 표시를 누르면 녹음이 시작됩니다. 무언가를 녹음시킵니다. 오른쪽 스피커 마크를 탭하여 흰색으로 전환합니다.
(파란색이라면 스피커, 흰색이라면 이어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옵니다.)
재생 버튼을 눌러 재생합니다.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이어스피커의 고장이라고 판단해도 좋을 것입니다.
나름 복잡하지만 스피커 모드 또는 이어폰으로도 통화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보안코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할 때 카드번호와 유효기간과는 별도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코드입니다.

보안코드란 무엇인가?

모든 인터넷 쇼핑몰이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보안 의식이 높은 업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보안코드는 카드 본체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신용카드 뒷면 또는 표면에 기재된 3자리 혹은 4자리 번호가 보안코드입니다.
신용카드의 종류에 따라 기재되어 있는 부분이나 위치가 미묘하게 다릅니다.
또한, 모든 카드회사가 보안코드를 채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카드에 인쇄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보안코드의 인쇄가 지워져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보안코드는 카드번호와 같이 요철이 있는 표시가 아니라 단순히 인쇄되었기 때문에 마모되어 사라져 버리는 일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카드회사에 직접 문의하십시오.
.
어떤 부정행위를 방지하는가

보안코드는 매장에서 카드의 자기정보를 도용하는 스키밍과 무작위로 카드번호를 생성하는 크레딧 마스터 등의 범죄를 방지하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악용을 방지하는 메커니즘

보안코드는 신용카드 권면의 인쇄에 의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입니다.
자기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으로 소유자가 아닌 제삼자가 보안코드를 알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의 본체를 확인해야만 합니다.
이처럼 보안코드는 더 견고하게 본인인증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스키밍과 크레딧 마스터 등의 부정이용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보안코드 관리는 주의해야...

보안코드 관리에 주의하지 않으면 피싱을 당할 우려가 있습니다. 피싱은 금융기관이나 신용카드 회사로 가장한 위장 이메일을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보내어 가짜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넷 사기입니다.


피싱 대책


1)
인터넷 쇼핑몰의 결제 화면, 카드사의 마이페이지 로그인 화면 이외의 페이지에서 보안코드를 입력하라고 요구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2)
URL이 SSL인증서가 들어있지 않은 'http://'로 시작하고 부자연스러운 한국어 표기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3)
본인확인을 공고히 하기 위해 회원가입시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2단계인증 메일이 올 수 있습니다. 이를 위장한 사이트 유도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보안코드는 만능인가

신용카드 본체의 도용에 의한 스푸핑과 같은 범죄는 막을 수 없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용카드 결제의 도용이 일어나는 원인과 위험


인터넷 쇼핑을 즐기기에 편리한 신용카드 결제입니다만, 최근 도용에 따른 피해액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모르는 사이에 카드번호 또는 카드 자체가 위조되거나 하여 다양한 범죄에 악용될 위험이 있습니다.


악용 수법과 위험


악용이 되어 버리는 원인은 소비자에 기인한 예도 있고, 인터넷 쇼핑몰(EC 사업자)에 의한 정보유출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법1. 피싱 사기
금융기관을 가장한 사이트를 메일로 보내어 가짜 사이트로 유도한다. 이를 통해 카드정보를 부정하게 입수한다.

수법2. 스키밍
스캐너로 카드의 자기데이터를 읽어 위조카드에 데이터를 복사한다.

수법3. 인터넷쇼핑 사기
가상의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를 개설하여 가상의 상품을 판매한다. 카드결제 후 상품이 배송되지 않는다.

수법4. 악성 데이트 사이트
데이트 사이트에 가입시켜 신용카드로 포인트를 구매시킨다. 다양한 수법으로 포인트를 소모시킨다. 자신의 의사로 사이트를 이용한 탓에 고소를 주저하는 피해자도 많고, 사기인지 입증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수법5. 스푸핑
제삼자가 카드 주인인 양 신용카드를 이용한다.
누군가가 무단으로 입수한 신용카드를 사용한다. 대부분이 EC사업자의 카드정보 유출에 의한 것.

수법6. EC사업자에 의한 정보유출
취약점이 있는 경로를 통해 사이버공격에 가해 EC사이트에 침입한다. 개인정보에서 카드정보를 훔쳐 악용한다. 보안에 만전을 기하여도 조직적 공격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수법 외에도 비밀번호를 카드 뒷면에 메모하거나 생년월일로 설정하고 있거나 하면, 만일 카드를 분실했을 때 악용되어 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카드 도난 보험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한 번 부정이용이 되어버리면 그 카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카드 재발급 절차가 발생하므로 유의합시다.

신용카드의 부정이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악용되었을 때의 조기 발견과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소비자의 경우 신용카드 명세서를 확인하는 습관으로, 기억에 없는 부정이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EC사업자)의 경우는 빈번하게 고액의 상품을 주문하는 행위 등 수주 동향을 확인하여 부정이용을 감지하고 위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부정 사용을 발견한 경우에 취하여야 할 조치

1) 카드회사에 연락하여 사용을 중지한다.
2) 경찰에 피해신고를 한다. (도난 신고/분실 신고)
3) 경찰에서 발행된 접수번호를 카드회사에 고지한다.
4) 카드회사에서 보내오는 서류에 기입한다.
5) 새 번호로 카드가 재발급되는 것을 기다린다.
6) 새 카드가 도착하면 인출 계좌를 다시 등록한다.
※ 신용카드 발급업체에 따라 위와 다를 수 있습니다.

만일 카드가 도난, 부정 사용된 것을 알게 되면 위의 단계를 참고하여 차분히 대응해 갑시다.


보상은 되는가? 누가 보상해 줄 것인가


신용카드는 도난 보험을 가진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신용카드의 헤비 유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용카드를 만들 때 송부되어 오는 약관도 좀처럼 끝까지 읽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도난 보험에 들어있기 때문에 안심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원인에 따라 보상되는 경우와 보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명세서 도착 직후나 부정 발각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원칙적으로 카드회사가 보상해줍니다. 또는 인터넷 쇼핑몰(EC사업자)가 부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보상되는 경우와 되지 않는 케이스를 소개합니다.

카드회사에 의해 보상되는 경우
-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 카드를 분실 또는 도난당한 후 일정 기간 이내

카드회사에 의해 보상되는 않는 경우
- 비밀번호가 카드 뒷면에 쓰여 있었다.
- 비밀번호가 생년월일이다
- 비밀번호가 차량번호이다
- 카드 뒷면에 서명하지 않았다
- 가족에 의한 이용
- 천재지변으로 인한 부정 이용
- 카드의 부정사용 발생 후 일정 기간 이상 경과
- 경찰에 피해신고를 하지 않았다
- 카드를 타인에게 맡기고 있었다

인터넷 쇼핑몰(EC사업자)에 의해 보상되는 경우
- 인터넷 쇼핑몰에 의해 카드정보가 누출된 경우

※ 발행 카드회사에 따라 다르므로 소지 카드회사에 개별적으로 문의해 주십시오.


악용을 막기 위한 대책
· 신용카드에 반드시 서명한다.
· 비밀번호는 누구에게나 추측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 카드를 불필요하게 가지고 다니지 않는다.
· 매월 사용내역을 확인한다.
· 수상한 메일은 열지 않는다.
·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쇼핑을 한다.
· 부장사용을 눈치채면 카드회사에 연락을 한다.
· 경찰에 피해신고를 낸다.

Posted by 말총머리
,


SNS나 온라인뱅킹의 보안에 신경을 쓰는 사람은 많다고 생각합니다만, 스마트폰의 ​​SIM카드는 어떨까요. 이 작은 카드로 돈과 개인정보를 도용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SNS의 프로필, 사진 갤러리, 스마트폰, PC, 은행 계좌...
이러한 자산을 보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SIM카드는 중요한 데이터와 돈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보호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 왜 ​​SIM카드가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요?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이 작은 플라스틱 덩어리는 마이크로칩이 내장되어 있고, 연락처 목록이나 로그인 데이터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2단계인증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만, 이 인증방법으로 SMS로 전송되는 일회용 코드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 코드는 디지털 라이프의 문을 여는 열쇠와 같은 것입니다. 체인의 강도는 가장 약한 매듭에서 결정된다고 격언과 같이 개인정보의 안전은 ​​SIM카드를 무단 액세스로부터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Facebook이나 Gmail과 같은 많은 Web사이트, 그리고 대부분의 온라인뱅킹 서비스는 사용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전화번호를 계정에 연동하여 이용자가 문자메시지로 일회성 코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회성 코드는 계정에 대한 액세스 암호를 변경하거나 거래의 확인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범죄자가 암호를 특정하여도 일회성 코드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계정에 무단 액세스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인증방법은 온라인 자산을 보호하는 매우 강력한 수단으로 간주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본래의 소유자만이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전제가 서 있는데, 실제로는 휴대전화를 훔치는 경우나 외부인에 부정하게 사용되어 버리는 경우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휴대폰과 ​​SIM카드 자체가 누군가의 손에 넘어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최악의 패턴은 은행 정보가 들어있는 휴대전화를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이 '최고의 조합'이 범죄자의 손에 넘어갔다면 전 재산을 순식간에 빼앗길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카드에서 카드로의 직접거래가 대중화되어 있어서 이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사람의 ​​SIM카드에서 쉽게 돈을 보낼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안전성은 SIM에 달렸다

더 쉬운 방법은 다른 사람의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온라인 상점에서 쇼핑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카드의 인증 정보 및 해당 카드에 연동된 전화번호로 전송되는 일회성 코드뿐. 즉, 온라인 뱅킹의 암호를 아무리 복잡하게 만들어도 무용하다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의 잠금해제를 위해 사용하는 코드도 소용이 없습니다. ​​SIM카드를 다른 장치에 삽입하여 본인 앞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형식상으로는 불법거래를 은행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절차는 힘들지도 모릅니다. 은행은 쇼핑을 한 것이 본인임을 굳게 믿고 있으며 이를 뒤집기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신용카드의 인증정보와 SMS로 보내오는 일회성 코드만으로 온라인 거래를 할 수 있고, 많은 범죄자에게는 온라인뱅킹의 로그인 정보조차 불필요

휴대전화만 분실했을 경우는 다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범죄자가 돈을 훔치는데 필요한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단, 이 경우에는 각종 온라인 서비스의 개인정보에 접근할 위험이 있습니다. 원리는 매우 간단합니다. 휴대전화에 도착하는 확인코드만 있으면 많은 Web사이트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게으른 해커도 누군가의 휴대전화 또는 ​​SIM카드가 손에 들어오면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들에게 '기부'를 요구하는 정도는 합니다. 폰 주인의 친구와 가족에게 갑자기 돈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메시지를 보냅니다. 지인으로부터의 긴급한 메시지라면 돈을 송금해버리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약용 가능한 데이터를 범죄자에게 이용당하는 경우는 휴대폰의 도난뿐만이 아닙니다. 범죄자들이 ​​​​SIM카드에 일시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으면 충분합니다. 몇 분이면 일회성 코드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훔쳐서 인터넷뱅킹 서비스에서 거래하거나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들에게 악의적인 링크를 이메일로 보내거나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대전화가 무사히 돌아와도 어떻게 조작되었는지 전혀 눈치채지 못할 것입니다. 이와 같이, ​​SIM카드를 일시적으로 분실한 것만으로도 금전적 손해를 보고,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IM카드의 분실에 의해 일어나는 문제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SIM카드의 비밀번호(PIN 코드)를 복잡하게 설정합시다. (0000 또는 1234과 같은 간단한 코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이렇게 해두면 자신의 전화번호를 마음대로 사용당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출처 번역
SIMカードの紛失に注意:すべてを失う恐れも
https://blog.kaspersky.co.jp/make-your-sim-secure/5526/

SIMカードの紛失に注意:すべてを失う恐れも

SNSやオンラインバンキングの保護に気を使う人は多いと思いますが、スマートフォンのSIMカードはどうでしょうか。この小さなカードが原因でお金や個人情報を盗まれてしまうこともありま�

blog.kaspersky.co.jp

Posted by 말총머리
,


정보처리추진기구(IPA)의 조사에 따르면, 암호 및 얼굴 인식 등으로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사용자는 불과 27%였다. 화면잠금 기능으로도 이 형국이니, SIM 카드 잠금 기능 등은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스마트폰에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사람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SIM 카드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보안 기능이다.

SIM 카드는 휴대전화 가입자 정보가 기록된 작은 IC카드. 이를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 삽입하여 전화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SIM 카드를 도난당하면 발생하는 리스크

비밀번호나 지문 등으로 단말기를 보호하고 있어도 SIM 카드를 빼어 같은 휴대전화 회선을 지원하는 다른 단말기에 꽂으면, 당신의 전화번호와 이용요금으로 자유롭게 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인터넷 서비스에 중에는 휴대폰 번호를 본인확인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곳도 많다. SMS(단문 메시지)로 인증코드 로그인하거나 암호 재설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그 서비스에 침입될 우려도 있다.


SIM 카드의 무단 사용을 방지 '잠금 기능'

SIM 카드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4~8 자리의 번호(PIN 코드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SIM 카드에 설정하여 이 번호로 사용자를 확인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이 'SIM PIN' 및 'SIM 카드 잠금' 등으로 불리는 SIM 카드의 잠금 기능이다. 이 기능을 활성화한 SIM 카드는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전원을 켜거나 할 때마다 자동으로 잠금이 걸려, 올바른 PIN 코드를 입력해야만 전화를 걸거나 통신을 할 수 있다.


PIN 코드의 입력 시도는 3회까지로, 연속 3회 입력에 실패하면 'PIN 잠금'이 걸리고 이후 PIN 코드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PIN 잠금이 걸린 SIM 카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PIN 잠금해제 코드(PUK 코드 : Personal Unblocking Key)'가 필요하다. PUK 코드는 SIM 카드의 서류에 기재되어있는 경우도 있고 지원센터에 문의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 PUK 코드를 10회 잘못 입력하면 SIM 카드가 완전히 잠기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SIM 카드 자체를 교체하지 않으면 회선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PIN 코드 설정/해제/변경

PIN 코드를 설정하거나 취소 변경은 iPhone의 경우는 [설정] → [이동통신] → [SIM PIN]에서 설정한다. Android 기기의 경우 설정에서 화면잠금 및 보안 관련 메뉴로 이동하면 'SIM 잠금' 및 'SIM 카드 잠금'이라는 항목이 있다. PIN 코드는 통신업체의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적절하게 수정해 두자.

Posted by 말총머리
,


스톤헨지는 영국 남부 솔즈베리 근교에 위치한 고대 유적이며 거대한 바위가 직립하여 환상(環状)으로 늘어선 모습은 옛부터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어 왔습니다. 영국 연구팀이 스톤헨지의 거석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한 결과, '스톤헨지의 거석은 도대체 어디에서 옮겨져 왔는가? "라는 오랜 수수께끼가 밝혀졌다는 합니다.

Origins of the sarsen megaliths at Stonehenge | Science Advances
https://advances.sciencemag.org/content/6/31/eabc0133

Origins of the sarsen megaliths at Stonehenge

The sources of the stone used to construct Stonehenge around 2500 BCE have been debated for over four centuries. The smaller “bluestones” near the center of the monument have been traced to Wales, but the origins of the sarsen (silcrete) megaliths that

advances.sciencemag.org


Stonehenge : how we revealed the original source of the biggest stones
https://theconversation.com/stonehenge-how -we-revealed the-original-source-of-the-biggest-stones-143564

We Finally Know Where The Megaliths of Stonehenge Really Came From
https://www.sciencealert.com/scientists-finally-crack-the-mystery-of-the-origins-of-stonehenge-s-boulders

We Finally Know Where The Megaliths of Stonehenge Really Came From

Stonehenge, a Neolithic wonder in southern England, has vexed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for centuries with its many mysteries: How was it built? What purpose did it serve? Where did its towering sandstone boulders come from?

www.sciencealert.com


선사시대 사람들에 의해 제작된 스톤헨지는 연간 1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있는 관광 명소이며, 수백년 전부터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스톤헨지는 수수께끼가 많고, '스톤헨지에 사용된 거대한 돌은 어디서 옮겨져 왔는가?'라는 의문도 4세기 동안 해명되지 않은 상태였다고 합니다.

스톤헨지에는 2종류의 돌이 사용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암인 '사루센 돌',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화성암과 사암으로 구성된 '블루스톤'입니다.


스톤헨지의 안쪽에 말굽 모양으로 배치된 블루스톤은 스톤헨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290km 정도 떨어진 프레세리 힐스에서 채석되었을 가능성이 과거의 연구에서 밝혀져 있습니다. 한편, 직립 결합된 모습으로 스톤헨지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사루센 돌은 어디에서 옮겨져 온 것인지 규명하지 못했습니다.

사루센 돌의 구조는 기원전 250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직한 2개의 거석에 1개의 거석을 떠받치는 높이 7m 정도의 구조가 5쌍, 그 주위에 직경 약 100m의 원을 그리며 높이 4m~5m의 거석이 강직하고 있습니다. 한여름 아침에는 스톤헨지의 입구에 해당하는 힐 스톤에서 태양이 뜨고 중심의 제단 돌에 빛이 닿는 것을 보아 설계자는 천문학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스톤헨지의 사루센 돌은 스톤헨지에서 북쪽으로 약 30km 정도 떨어진 말보로 구릉에서 옮겨져 온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보로 구릉은 꽤 범위가 넓기 때문에 선사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사루센 돌을 이용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욱 정확한 생산지의 특정이 필요했습니다.

브라이튼 대학 , 본머스 대학 , 레딩 대학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연구자를 포함한 학제 연구팀은 스톤헨지에 사용된 사루센 돌의 출처를 조사하기 위해 전통적인 지구화학적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연구팀은 현존하는 모든 사루센 돌에 대해 휴대용 X선 형광분광법(PXRF)라는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이 조사는 스톤헨지의 바로 옆까지 근접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스톤헨지가 폐쇄된 야간과 이른 아침에 조별을 나눠, 거대한 바위에 사다리를 걸쳐 조사했습니다.

PXRF 분석 결과, 스톤헨지의 사루센 돌은 단 2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돌이 일반적인 화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혀졌습니다. 이 결과는 스톤헨지에 사용된 사루센 바위가 여기저기서 이송되어 온 것이 아니라 동일한 장소에서 옮겨져 온 것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1958년에 열린 스톤헨지 복구 작업 중에 행방불명이 되어, 2018년에 반환된 '사루센 돌 내부의 균열에서 추출된 파편'에 대해서도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ICP- MS)'라는 수법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스톤헨지의 사루센 돌에서 보인 화학적 특징을, 사루센 돌이 채석 가능한 20곳의 후보지에서 채취된 샘플의 화학적 특성과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것은 말보로의 남서쪽에 있는 웨스트우드뿐이었다고 합니다. 이 결과에서 연구팀은 스톤헨지의 사루센 돌은 대부분 웨스트우드에서 옮겨져 온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사람들이 거석을 운반하는 경로와 방법 등 고고학적 의문의 해명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논문의 대표저자인 데이비드 내쉬 씨는 지적합니다. 블루스톤이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운반되어 온 것과 최대 30톤이나 되는 거석을 운반하는 어려움에 대해 언급한 내쉬 씨는 "스톤헨지의 건설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그곳에는 매우 조직화된 사회가 있었다고 생각됩니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interest는 인터넷상의 이미지를 자신의 '보드'에 '핀'하여 모으거나 다른 사람의 보드에 부착된 이미지를 '리핀'할 수 있는 이미지를 북마크하는 수집도구입니다.

Pinterest는 단지 이미지를 수집하는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매우 심오한 서비스로,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사진 전문 SNS 'Instagram'과도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1. Pinterest란?


Pinterest는 인터넷의 Web사이트 또는 Pinterest에 있는 이미지를 자신의 보드에 수집할 수 있는 '이미지 수집 서비스'입니다.

SNS가 아니다! 북마크로서의 Pinterest

Pinterest는 소셜미디어가 아닙니다.
이미지 위주의 SNS라고 생각되기 쉽상입니다만, 실은 Pinterest는 Facebook과 Twitter는 물론, 자주 혼동되는 Instagram과도 전혀 다른 것입니다.
Pinterest는 '북마크 툴(Visual Bookmarking Tool)'입니다


Pinterest는 미래의 자신을 위한 도구

Facebook과 Instagram 등의 일반적인 SNS는 어제의 사건이나 과거에 일어난 일에 관한 내용을 올려 친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witter에서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라는 내용이 많고,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가 중심이 될 것입니다.

반면 Pinterest는 '미래의 자신을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라는 이미지입니다.

예를 들어, 여행을 계획할 때 목적지를 확인하기 위해 Pinterest를 보거나 외출을 위한 코디를 조사하거나 DIY를 위해 도움이 될 것 같은 사진을 찾아다니는 등과 같은 형태로, 어디까지나 미래의 자신의 활동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라는 위치입니다. 감각적으로는 'SNS'라기보다는 '검색에 가깝습니다 .

사용법도 직접 찍은 사진을 올리는 것보다 Web사이트의 사진이나 다른 사람이 핀한 사진을 수집하는 것이 중심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미지의 원본 사이트에 링크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북마크로도 사용됩니다.

'행동'을 촉진시키는 Pinterest

Pinterest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행동은 주로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Pinterest는 이 'Do'의 매력이 다른 서비스에 비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Do라는 것은 즉, 제품 구입이나 액션의 실행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정보를 욕구하여 Pinterest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초기에 구매 의욕이 높아, 결과적으로 구매율도 높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TouchID(지문인증)은 경찰이나 국경경비로부터 iPhone의 열람을 요구받았을 경우, 법적 그레이존에 있게 된다. 그러나 iOS 11의 최신 업데이트로 문제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새로운 기능은 일부에서는 'cop button'라고도 부른다. 왜냐하면 iPhone 소유자가 TouchID을 즉시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행자나 경찰의 조사를 받을 일이 많은 사람은 길고 복잡한 암호를 설정해 두는 조치로, 경찰에게 iPhone의 내용을 보지 못하게 한다.

현재 경찰은 iPhone 소유자에게 지문을 사용하여 잠금해제할 것을 강요할 수 있다. 그러나 암호를 강요할 수는 없다. 암호는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기 때문이다.

Twitter 사용자 @alt_kia에 따르면, 전원 버튼을 빠르게 5번 누르면 제2의 화면이 나타나는데,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잠금해제 할 수 없게 된다.


이 기능의 본래 목적은 긴급시에 iPhone을 잠금해제하여 911 등 긴급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Engadget에 따르면, 전원 버튼을 5번 누르면 도움을 부를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동시에 TouchID는 잠금해제를 할 수 없게 된다.

평소 TouchID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경찰이 iPhone의 잠금해제를 요구하는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 원문 ]

Posted by 말총머리
,


스마트폰의 지문센서를 통한 잠금해제를 해지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여, 기존의 패턴이나 패스워드 등으로 잠금해제를 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Android 스마트폰을 예로 들지만, iPhone에서도 같습니다.


지문인증의 단점

지문만 있으면 본인이 의도하지 않아도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자는 사이에 누군가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도 잠재적으로 있습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지문인증을 해지해 두는 것이 안전하지만, 다시 지문을 등록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지문인증을 비활성화하려면?

1) 스마트폰을 다시 시작

지문인증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는 것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스마트폰을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는 부팅 후 1회째에는 지문인증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미리 설정된 기존의 패턴이나 암호에 의한 해제를 요구하게 되어 있습니다.

지문인증을 통해 잠금해제를 시도하면 "단말기를 다시 시작한 후에는 패턴의 입력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2) 전원 메뉴에서 잠금

Android 9 Pie 등의 Android OS에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렀을 때 표시되는 전원 메뉴에서 잠금할 수 있습니다.

다시 시작하려면 시간이 걸리니, 지원하는 기종에서는 잠금 작업을 하는 편이 빠르겠죠.

Posted by 말총머리
,


Microsoft는 2020년 7월 27일 '세계 최초의 시도로서 수소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48시간 연속으로 데이터센터의 전력을 조달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실험의 성공을 통해, Microsoft는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Azure의 데이터센터에 사용하던 디젤 발전기를 수소연료 전지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Microsoft tests hydrogen fuel cells for backup power at datacenters | Innovation Stories
https://news.microsoft.com/innovation-stories/hydrogen-datacenters/

Microsoft tests hydrogen fuel cells for backup power at datacenters | Innovation Stories

In a worldwide first that could jumpstart a long-forecast clean energy economy built around the most abundant element in the universe, hydrogen fuel cells have powered a row of datacenter servers for 48 consecutive hours, Microsoft announced Monday. The fe

news.microsoft.com


Microsoft는 이전부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절약 및 청정에너지의 도입에 주력하였고 2012년에는 폐수를 이용한 발전소와 통합된 데이터센터의 개발에 착수. 2016년에는 바다의 조력으로 발전하고 해수로 냉각하는 데이터센터를 개발하는 계획 'Project Natick'을 시동하였고 2018년에는 실제로 스코틀랜드의 연안 바다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로 인한 자연환경의 부담 저감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노력에 이어 Microsoft는 7월 27일에 신재생에너지를 다루는 기업 Power Innovations와 공동으로 수소연료 전지의 시험을 시행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수소연료 전지를 이용하여 데이터센터를 48시간 연속 가동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Microsoft에 따르면, Azure 데이터센터는 파이브 나인(99.999 %)의 가동률을 달성하기 위해 백업 전원으로 디젤 발전기를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데이터센터의 백업 전원의 향후 전망에 대해 Microsoft의 최고인프라엔지니어인 마크 먼로 씨는 "수소연료 전지는 매우 고가였지만, 최근에는 백업 전원인 디젤 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비용이 낮아지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아래 사진은 이번 실험에서 실제로 사용된 고분자 전해질막(PEM) 연료전지 시스템. 데이터센터의 백업 전원으로 PEM 연료전지 시스템을 채용한 이유에 대해 먼로 씨는 "가동 후 몇 초로 최대 출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리하여 바닥에 두거나 유휴상태로 전환시키기가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먼로 씨에 따르면 이번에 조달한 출력 250kW급 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소에서 실행되는 컴퓨팅을 위한 백업 전원 시스템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것. 먼로 씨는 앞으로 더 높은 출력 3㎿급 수소연료 전지 시스템을 마련하여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Microsoft는 1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이 마이너스가 되는 탄소 네거티브를 달성하고 2050년까지 창업 이래 배출해온 모든 이산화탄소를 환경에서 제거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었고, 그 일환으로 향후 '수소 경제'의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오픈소스 3DCG 소프트 'Blender' 도구 개발을 지원하는 개발기금에 Microsoft가 참가하였다고 발표되었습니다.

Microsoft joins the Blender Development Fund - blender.org
https://www.blender.org/press/microsoft-joins-the-blender-development-fund/

Microsoft joins the Blender Development Fund — blender.org

Microsoft is joining the Blender Foundation's Development Fund as a Corporate Gold member!

www.blender.org


'Blender'는 상업용 소프트웨어에 뒤지지 않는 기능을 갖춘 오픈소스이고 무료 3DCG 제작 소프트웨어입니다. 제작한 3DCG는 상업적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Microsoft에서도 AI의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합성 3D 모델과 인간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Microsoft의 Blender 개발기금 참가는 'Blender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나타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 Blender를 개발하고 있는 Blender 재단의 톤 로센다루 회장은 "Blender에 대한 지지 표명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업계가 오픈소스로 전환하고 또한 기여하는 방법을 찾았다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신호이기도 합니다"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미 Blender는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 '포트나이트'의 개발사인 Epic Games가 13억 원을 기부하고 있습니다. Epic Games 외에도 NVIDIA, AMD가 '후원자'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Microsoft는 'Corporate Gold'로 이름이 올라 있습니다. 이 랭크에는 Ubisoft, Intel, 스웨덴의 게임개발 회사 · Embark Studio, 홍콩의 디지털미디어 기업 · CGGE Institute가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수수께끼의 '종자'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사건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각 주의 농무부는 이 씨앗을 정원에 심어 않도록 국민에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27 States Issue Warnings About Seed Packets From China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20/07/26/us/seeds-from-china-mail.html

27 States Issue Warnings About Seed Packets From China

State agriculture officials are urging residents not to plant the seeds, which were mailed in pouches featuring Chinese characters.

www.nytimes.com


'DO NOT plant them :'Officials in multiple states warn of mysterious seeds received in the mail from China | FOX6Now.com
https://fox6now.com/2020/07/27/do-not-plant-them-officials-in-multiple-states-warn-of- mysterious-seeds-received-in-the-mail-from-china/
.
미국의 27개 주에서 '주문하지 않은 '씨앗'이 중국에서 배송되어 온다'라는 불가사의한 사건이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버지니아의 농업소비자서비스 장관은 "유사한 사건에 대한 신고가 1000건 이상이었다"고 하며 루이지애나 농림부는 "보내져 온 종자를 100건 이상 확인했다"라고 코멘트하고 있어, 비슷한 사건이 미국에서 속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씨앗은 소포에 넣어져 각 가정에 배송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워싱턴에 보내진 종자


보내져 온 씨앗의 종류는 여러가지로 루이지애나 농림부는 "보내져 온 씨앗의 일부는 수련의 씨앗이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패키지에도 일관성은 존재하지 않고, "China Post(중국 우정)"의 문자와 중국어가 적힌 흰 소포나 노란 소포로 배송된다고 합니다.
또한 내용물이 '보석' '이어폰' '장난감'이라고 패키지에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일련의 사건은 리뷰 점수를 높이기 위해 상품을 무료로 닥치는대로 보내버리는 'Brushing(브러싱)'이라는 사기에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 주 농무부는 송부된 종자에 어떤 위험이 있을지 미지수이기 때문에 결코 씨앗을 심지 않도록 경고하고 있으며, 일부 주 농무부는 "패키지와 씨앗을 밀봉하고 즉시 손을 씻습니다"라고 패키지 자체의 취급에 대해서도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종자의 수입은 미국 농무부 동식물 검역국 식물방역과가 실시하는 '식물방역검역 프로그램'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며, 배송되어 온 씨앗은 식물방역검역 프로그램에서 정한 규칙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씨앗에 숨어있는 병원균과 곤충뿐만 아니라 정체불명의 씨앗이 침략적 외래종인 경우에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뉴스를 보도한 뉴욕타임스는 "워싱턴의 중국 대사관은 코멘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적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높은 품질의 광고를 표시하거나 서비스 개선 등에 활용합니다. 호주 재무부 산하 기관인 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ACCC)가 2020년 7월 27일, "Google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자의 오해를 유발하는 방법으로 동의를 얻었다"며 호주연방법원에 제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Correction : ACCC alleges Google misled consumers about expanded use of personal data | ACCC
https://www.accc.gov.au/media-release/correction-accc-alleges-google-misled-consumers-about-expanded-use-of -personal-data-0

Australia sues Google over data collection practices that merged DoubleClick data to create single user profiles •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ter.com/2020/07/27/australia_sues_google/

Australia sues Google over data collection practices that merged DoubleClick data to create single user profiles

Alleges opt-in that promised “more control” actually sent more data without informed consent. Google 'strongly disagrees'

www.theregister.com


ACCC takes second swing at Google for allegedly misleading customers - Cloud - Software - Storage - iTnews
https://www.itnews.com.au/news/accc-takes-second-swing-at-google-for-allegedly-misleading-customers-550880

ACCC takes second swing at Google for allegedly misleading customers

This time over expanded use of personal data.

www.itnews.com.au


ACCC의 Rod Sims 의장은 Google을 제소한 이유에 대해 "우리가 제소한 이유는 Google과 관련이 없는 웹사이트에서의 활동을 포함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Google이 어떻게 취급하는지에 대해, Google이 호주 소비자들에게 오해를 유발시켰다고 의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코멘트하고 있습니다.

Google이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이전부터 알려진 사실이었지만, ACCC는 Google이 자사의 웹사이트 등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와 인터넷 광고게재 인프라 더블클릭을 통해 입수한 개인정보를 통합하는 움직임을 문제삼고 있습니다. 더블클릭은 Google이 2008년에 인수한 광고게재 인프라. 인수 초기에는 더블클릭과 Google의 정보는 개별적으로 저장되었고 더블클릭을 통해 얻은 정보는 Google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더블클릭의 Cookie정보와 개인식별 가능한 정보를 통합하는 것은 사용자의 동의가 있지 않는 한 하지 않습니다"라고 명기되어 있으며, 동시에 "우리는 이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기록된 당신의 권리를 귀하의 명시적인 동의없이 저하시킬 수는 없습니다"라고 적혀있었습니다.

2016년 6월 이후 Google은 사용자에게 'Google 계정의 새로운 기능'이라는 팝업을 보냈습니다. 이 팝업에는 "당신의 계정에 몇 가지 옵션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그로 인해 당신은 Google에서 수집하는 데이터와 그 사용방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Google은 관련성이 높은 광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라고 적혀있어 변경에 대한 동의를 사용자에게 요구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Google는 '동의가 없는 한 더블클릭 정보와 Google의 정보를 통합하지 않는다'는 사용자 정책을 변경했습니다. 새로운 정책은 "Google 서비스 또는 Google이 제공하는 광고를 개선하기 위해 귀하의 계정 설정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와 응용프로그램의 활동이 개인정보와 연동될 수 있습니다"라고 변경되어 있었습니다.

이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가 팝업 알림정보의 '동의'를 클릭하면 Google 이외의 웹사이트와 응용프로그램에서 활동이 Google 계정 등의 정보와 통합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CCC는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변경 및 내용을 명시하지 않고 동의를 구하는 수법이 사용자의 오해를 유발했고, Google은 이익을 위해 사용자를 의도적으로 속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Sims 씨는 "Google은 개인식별이 가능한 형태로 수집하는 정보의 범위를 대폭 확대했습니다. 여기에는 타사 웹사이트에서 행해지는 아주 미묘한 개인정보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Google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적 동의없이 광고를 제공했다"고 말합니다.

한편 Google은 ACCC의 제소에 대해 2016년 6월에 광고시스템 및 관련 사용자 제어를 업데이트한 것은 인정했지만, 사용자에 대한 통지는 알기 쉬운 형태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정보의 통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ACCC의 주장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호주에서는 다양한 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활발이며, 2019년 10월에는 위치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ACCC가 Google을 제소했습니다. 또한 2020년 4월에는 'Google이나 Facebook 등의 디지털 플랫폼이 뉴스 콘텐츠에서 얻는 수익을 콘텐츠를 생성한 기존 미디어에 배분하는 규칙의 작성을, 호주 정부가 ACCC에게 지시했다는 보도도 나왔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리튬은 스마트폰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등 현대생활에 필수적인 물질이면서, 조울증 환자 등에 처방되는 의약품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섹스 대학의 브라이튼 서섹스 의과 대학 (BSMS)과 킹스칼리지 런던이 2020년 7월 27일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식수에 포함된 리튬과 자살률의 감소에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ssociation between naturally occurring lithium in drinking water and suicide rates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cological studies |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Cambridge Core

Lithium in Drinking Water Linked With Lower Suicide Rates - Neuroscience News
https://neurosciencenews.com/water-lithium-suicide-16708/

Lithium in Drinking Water Linked With Lower Suicide Rates - Neuroscience News

Study reports naturally occurring lithium in public drinking water may lower suicide rates. Researchers found that in geographical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lithium in drinking water, suicide rates were lower in the population.

neurosciencenews.com


WHO의 조사에 따르면 자살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80만 명 이상에 이르다고 합니다. 이것은 세계의 어딘가에서 40초에 1명이 자살한다는 계산이 됩니다. 또한 2019년 말부터 유행이 확산하고 있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영향으로 '미국인의 3분의 1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가 되었다"고 보고되는 등 정신 건강 악화는 어느 때보다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BSMS의 역학 및 공중위생 연구원이며 이번에 발표된 논문의 대표 저자이기도 한 Anjum Memon 교수는 "COVID-19의 유행과 그에 따른 공중위생상의 문제를 겪고 있는 전례가 없는 시대에는 사회 전체의 정신 건강을 개선하고 불안과 우울증, 자살의 발병률을 줄일 방법을 고안하는 일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그래서 Memon 씨 연구팀은 우울증 치료 약물과 기분 장애가 있는 사람의 자살 위험을 경감시키는 의약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에 착안한 연구를 시행했습니다.

연구팀은 1946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횡단적으로 분석하고, 수도 등 공공 식수에 포함된 리튬의 농도 및 자살에 의한 사망률의 관계를 탐구했습니다. 연구에 사용된 총 415건의 논문에는 일본 · 미국 · 영국 · 이탈리아 · 호주 · 그리스 · 리투아니아 등 총 1,286곳의 도시와 지역에서 채취된 식수 샘플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 연구의 결과, 식수에 포함된 미량 리튬의 농도와 자살에 의한 사망률 사이에는 일관된 역상관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Memon 씨는 이 결과에 대해 "식수에 포함된 미량 리튬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 방지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그 식수가 제공되는 지역 사회의 정신 건강의 개선에도 기대를 가질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캐나다의 정신과 의사인 Wegdan Rashad 씨는 리튬이 정신 건강을 개선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 "리튬은 뇌신경 세포의 기능과 생존에 필수적인 신경영양인자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리튬은 신경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 3월에 공개된 일본의 연구에서도 수돗물에 포함된 고농도 리튬은 자살 예방 효과와 치매 예방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리튬은 수돗물뿐만 아니라 생수와 음식으로도 섭취할 수 있으며, 특히 멸치와 마른 톳, 마른 미역, 마른 다시마 등의 건조 해산물에 풍부하게 들어있다고 합니다.

微量なリチウムの可能性〜自殺や認知症を予防できるか〜
https://www.jstage.jst.go.jp/article/jsbpjjpp/31/1/31_30/_pdf

Posted by 말총머리
,


여러 웹서비스에 동일한 계정 이름을 사용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여러 서비스에서 동일한 계정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지 검색할 수 있는 'namae'으로 유일무이한 계정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namae
https://namae.dev/

namae — name new project

Check availability of your new app name for major registries at once.

namae.dev


namae에서는 Github Organization · GitLab · npm · Rust · PyPI · RubyGems · OCaml · Homebrew · Linux · Twitter · Instagram · Spectrum · Slack · Heroku · Vercel · Netlify · AWS S3 · Firebase · js.org · Github 저장소 · App Store 등의 웹서비스에서 계정 이름이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 표면의 약 70%는 해양에 덮여 있으며, 해저에서는 고대의 퇴적물이 지층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해저의 퇴적물을 연구하여 해저의 생태계와 과거의 기후, 판 구조론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양연구개발기구(JAMSTEC)가 이끄는 연구팀이 새로이 공룡이 생존했던 백악기에 해당하는 약 1억년 전 해저 퇴적물에서 미생물을 발견했을뿐 아니라 연구실 내에서 증식시키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습니다.

Aerobic microbial life persists in oxic marine sediment as old as 101.5 million years | Nature Communica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0-17330-1


白亜紀の海底堆積物で微生物が生きて存在していることを発見~超貧栄養環境下で眠り続けた生命?~<プレスリリース<海洋研究開発機構 | JAMSTEC
http://www.jamstec.go.jp/j/about/press_release/20200729/

白亜紀の海底堆積物で微生物が生きて存在していることを発見~超貧栄養環境下で眠り続けた��

2020年 7月 29日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株式会社マリン・ワーク・ジャパン 1. 発表のポイント ◆430万年前~1億150万年

www.jamstec.go.jp

Deep sea microbes dormant for 100 million years are hungry and ready to multiply
https : // phys .org / news / 2020-07-deep-sea-microbes-dormant-million.html

해저에는 해류에 의해 운반되어 온 다양한 입자가 퇴적하는 것 외에도 플랑크톤의 배출물이나 사체 등의 유기물도 쌓여 있습니다. 해저 퇴적층에는 미생물 등도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미생물은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퇴적층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으며, 지층이 형성된 당시의 미생물이 그대로 갇히기도 합니다.

JAMSTEC의 유우키 주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연구용의 심해시추선인 JOIDES를 타고 남태평양 환류영역이라는 해역의 퇴적층을 뚫어 채취한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 유우키 씨는 "우리의 핵심 질문은 과연 영양이 제한된 환경에서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지, 아니면 존재할 수 없느냐는 점이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아래의 영상에서 이번 발견에 대해 유우키 씨가 설명하고 있습니다.

1億年前の地層から生きた微生物を発見! JAMSTEC 諸野祐樹主任研究員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R7xrhwyth0

미생물이 갇혀있던 1억 150만년 전 지층은 먹이도 거의 없는 매우 빈곤한 영양환경이었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미생물도 죽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떻게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유우키 씨는 앞으로도 연구를 진행해 가고 싶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팀워크를 원활히 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관리는, 관리하는 인원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어려워지는데, 다른 한편으로는 '1명을 관리하는 것보다 4명을 관리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스타트업을 운영하기 위한 요령과 방법을 공유하는 블로그 Stay SaaSy이 '1대 1 관리가 왜 실패하는가 '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Why It 's Easier to Manage 4 People Than It Is to Manage 1 Person · Stay SaaSy
https://staysaasy.com/management/2020/07/24/Managing-One-Person.html

Why It's Easier to Manage 4 People Than It Is to Manage 1 Person · Stay SaaSy

24 Jul 2020 • management It’s easier to manage 4 people than it is to manage one person. The primary reason for this is the inherent over-reli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ager and a single report. Let’s dive deeper. It’s not uncommon for a

staysaasy.com


'1명의 관리자가 1명의 직원을 관리하는 일대일 관리가 왜 실패하는가'의 이유를 한마디로 설명하면 '관리자가 직원으로부터 제출되는 단 하나의 업무보고에 의존한 평가를 내릴 것이기 때문'이라고 Stay SaaSy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신입 매니저는 자신의 일이 잘 되고 있는지를, 관리받는 사람, 즉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람이 제출하는 보고서에 의존하게 됩니다. 관리하는 사람이 1명일 경우, 보고서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면 관리자의 피드백은 100% 부정적인 것이 되어 버립니다.

다른 한편, 1대 1의 보고서에서 좋은 평가를 얻으면 보고서의 평가는 100% 좋은 것이 됩니다. 좋은 평가를 내린 관리자는 비판적인 평가를 하지 않게 되고 관리자인 상사가 부하의 업무에 지나치게 간섭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기도 합니다.


또한 1대 1의 경우 관리자에 문제가 있을 경우, 직원은 도움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매니저와 직원이 항상 대결하고 의견충돌이 일어나는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또한 관리자가 1명의 직원에서만 업무보고를 받으면, 팀에서 뭔가 실수가 일어났을 때 알아채지 못할 수 있다고 Stay SaaSy는 설명합니다. 보고서가 팀 구성원이 토론하고 서로 협력하여 작성되지 않고, 1명에서만 보고서가 제출되는 경우, 그 내용은 다른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자존심이 넘치는 것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리자가 실수하거나 보고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를 고려하지 않고, 미숙한 매니저에게 일대일 관리를 맡기면 상황의 악화가 예상됩니다.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다음의 3가지 포인트를 Stay SaaSy가 제안합니다.

· 처음 매니저를 경험하는 사람이 장기간에 걸쳐 1명의 직원밖에 없는 팀을 맡는 상황은 피할 것.

· 1명의 직원에 대해 1명의 관리자가 붙는 경우, 관리자가 그 분야의 전문가인지 확인한다. 때로는 의도적으로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관리자로 선정되지만, 전문성이 부족하고 실수가 빈번하면 관리자로서의 평가가 내리막치게 될 수 있습니다.

· 아무리 비용이 들더라도 1명의 관리자가 하나의 보고서만 받는 상황은 피할 것. 엔지니어링 업계 보고서는 비교적 새로운 내용으로 채워져 있는데, 관리자는 그 '내용영역'의 전문가가 아닙니다.

관리자는 보고서의 성공을 위해 투자를 해야 하지만 과도한 투자는 실패로 이어집니다. 또한 보고서가 성공하면 관리자는 보고서에 과도하게 의존하여, 팀에 필요 이상의 요구를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유행으로 자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동영상을 보거나 멀리 있는 친구와 원격으로 마시기를 하거나 여가를 보내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Google은 대서양을 건너 미국과 영국, 스페인을 연결하는 해저케이블 'Grace Hopper'를 부설한다고 발표했습니다.

Announcing Google 's Grace Hopper subsea cable system | Google Cloud Blog
https://cloud.google.com/blog/products/infrastructure/announcing-googles-grace-hopper-subsea-cable-system

Announcing Google’s Grace Hopper subsea cable system | Google Cloud Blog

The Grace Hopper private subsea cable ready to connect the UK and Spain to the US.

cloud.google.com


Google To Build New Transatlantic Data Cable
https : / /www.androidheadlines.com/2020/07/google-to-build-new-transatlantic-data-cable.html

검색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Google은 이전부터 세계의 인터넷망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해저케이블의 부설을 진행했습니다. 2019년에는 미국과 남미를 연결하는 'Curie'의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미국과 프랑스를 잇는 해저케이블 'Dunant', 포르투갈과 남아공을 연결하는 'Equiano' 설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새로이 Google이 발표한 Grace Hopper는 대서양을 건너 미국과 영국, 스페인을 연결하는 해저케이블입니다. Grace Hopper라는 명칭은 프로그래밍 언어 COBOL의 개발자로 알려진 미국의 군인 · 계산기 과학자 그레이스 호퍼 씨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Grace Hoppe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Announcing the Grace Hopper subsea cable - YouTube
https://youtu.be/2Ryo9q2RrPc

Posted by 말총머리
,


자연과학 분야의 학술 잡지 Nature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논문에서 두 명의 이론물리학자가 "이대로의 속도로 삼림의 벌채가 계속되면 지구상의 인구를 유지해 나갈 수 없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Deforestation and world population sustainability : a quantitative analysis | Scientific Report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0-63657-6


Theoretical Physicists Say 90 % Chance of Societal Collapse Within Several Decades
https://www.vice.com/en_us/article/akzn5a/theoretical-physicists-say-90-chance-of-societal-collapse-within-several-decades

Theoretical Physicists Say 90% Chance of Societal Collapse Within Several Decades

Deforestation and rampant resource use is likely to trigger the 'irreversible collapse' of human civilization unless we rapidly change course.

www.vice.com


논문은 칠레의 타라파카 대학 전자공학과 마우로 볼로냐 교수와 앨런튜링 연구소의 제럴드 아키노 박사에 의해 집필된 것.

지구상에서 인류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숲의 존재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6000만 평방 km였던 숲은 4000만 평방 km 이하로 줄어들었습니다. 2000년 ~ 2012년의 기간에 잃어버린 숲은 230만 평방 km로, 이와 비슷한 속도로 숲을 잃어간다면 100년에서 200년 정도에 모든 삼림이 소멸하게 됩니다.

'마지막 남은 1그루의 나무가 벌채된 순간부터 인간사회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인간사회는 더 일찍부터 영향을 입게 됩니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상황은 '모아이상'으로 알려진 이스터 섬의 삼림벌채 사례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모델링하여 계산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인류가 파국적인 붕괴에 직면하지 않고 생존할 가능성'은 매우 낮고, 급격한 인구 감소로 안정 상태에 이르거나, 또는 완전한 멸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귀환불능점'은 20년부터 40년 이내에 도래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명을 유지하면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대미문 수준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아키 노 박사는 "기술 수준의 향상은 인구 증가나 삼림 벌채의 증가로 이어지는 한편, 새로운 자원의 유효 활용에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생태계의 파괴를 회피 · 방지하는 해결책을 세울 수도 있고 마지막 기회로 외계에 문명을 재구축할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논문은 산림의 파괴 속도가 유지된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벌채 억제나 조림 등에 따라 삼림 벌채의 속도는 둔화되고 있으며, 인구 증가율도 21세기 중반 이후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최악의 시나리오가 반드시 도래한다고 단정을 짓지는 못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매사추세츠 대학의 사이버범죄수사 전문가팀이 Google Glass와 web카메라 등의 장치로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도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한다. (CNN)


이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그림자를 모니터링하여 터치한 부분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한다. 실험에서는 동영상 촬영에 Google Glass와 휴대전화, Web카메라 등이 이용되어 Apple iPad 또는 Google Nexus7 태블릿, iPhone5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있었다는 한다.


은행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동안은 비디오 카메라가 향해지면 경계하겠지만, Google Glass와 스마트시계 같은 장치로 몰래 촬영되면 깨닫지 못할지도 모른다. 실험을 이끈 Xinwen Fu 씨에 따르면, Google Glass는 이러한 취약점을 잘 노릴 수 있는 '게임체인저'라고 한다.


이에 대해 Google은 "개인정보의 보호를 염두에 두고 Google Glass를 디자인하고 있으며, 촬영 중에는 신호로 불이 켜집니다. 따라서 비밀번호를 비밀리에 입수하기 위한 장치로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Posted by 말총머리
,


Android 패턴잠금은 보안수준이 높아서 안심이지만 패턴을 잊어버리면 큰일입니다.

어떤 패턴으로 등록했는지 잊었을 때 잠금을 강제해제하는 방법이 있으면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Android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패턴잠금을 잊은 경우에는 5가지의 강제해제 방법이 있습니다. 



1. 안드로이드 잠금해제 도구 `4uKey for android`


4uKey for android를 사용하려면 컴퓨터에 이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으십시오.


4uKey for android

https://download.tenorshare.jp/go/4ukey-for-android_1447.exe


1 단계 : 컴퓨터에 Android 기기를 연결

2 단계 : `잠금을 해제하시겠습니까` 화면에서 시작 버튼을 클릭

3 단계 : `단말기의 데이터가 없어져도 좋은가요` 질문에 `예`를 클릭


몇 분 후 해제가 완료됩니다.




2. `내 기기 찾기`에서 android 암호를 해독하는 방법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단말기가 켜져 있고 Google계정에 로그인해야 합니다. 또한 단말기가 wifi에 연결되어 있고 Google Play에서 보기 설정이 되어있을 필요도 있습니다. 그리고 위치 정보와 `내 기기 찾기`가 켜져 있어야 합니다.


1 단계 : PC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Android 장치관리자를 엽니다. Google계정에 로그인하고 잠금을 강제해제하려는 장치를 선택합니다.

2 단계 : `단말기 데이터를 삭제` 항목에 들어갑니다.

3 단계 : `단말기 데이터 삭제`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단말기는 초기화가 됩니다. 그리고 android의 암호화를 해제합니다.



3. 5회 연속 실패하여 해제


Android의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5번 연속 실패 모드를 사용하여 해제합시다.

패턴잠금을 5회 입력하면 "30초 후에 다시 시도하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그 상태로 한 후의 단계를 설명합니다.


1 단계 : 컴퓨터에서 Android 장치관리자에 액세스

2 단계 : Google계정에 로그인

3 단계 : 잠금해제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

4 단계 : 새 암호를 설정하기




4. 단말기를 강제로 리셋


1 단계 : 전원을 끄고 전원 버튼과 볼륨의 마이너스 버튼을 함께 누르거나 전원 버튼과 볼륨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버튼을 함께 눌러 복구모드로 들어갑니다.

2 단계 : 볼륨 위/아래 버튼으로 선택메뉴를 이동시켜 wipe data/factory reset을 선택하고 전원 버튼으로 확인합니다. 그 다음에 나오는 wipe cache partition을 선택하고 확인합니다.

3 단계 : 다음은 Yes를 선택하고 확인합니다. 스마트폰은 완전히 재설정되어 새것처럼 되었습니다.




5. Find My Mobile (SAMSUNG 스마트폰)


만약 SAMSUNG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Find My Mobile 을 사용하여 패턴잠금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Find My Mobile은 Google의 `내 기기 찾기`와 비슷합니다

1 단계 : PC에서 Find My Mobile의 사이트에 액세스합니다.

2 단계 : Google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3 단계 : 왼쪽에 나오는 잠금옵션을 선택한 다음, 새 암호를 설정합니다.


이렇게 Find My Mobile을 사용하여 새로이 설정한 비밀번호로 새롭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hoto by Andrew Ridley on Unsplash


안드로이드의 패턴잠금의 취약점 이용


패턴잠금의 도중에 잠금버튼을 누르거나 음성입력으로 계산기를 호출하여 거기에서 전화번호부에 이동하여 홈버튼을 누르면 잠금이 해제된 홈으로 들어가 집니다.

제법 많이 취약점이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거의 사용할 수 없게 되어버렸습니다.

youtube 등에서 확산되는 여러 비법을 시도해보았지만 하나도 재현성이 없습니다.



◆ google계정을 통한 잠금해제

모델에 따라 패턴잠금은 5번 실패를 하면 google계정을 입력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기종도 있습니다.


◆ 패턴잠금을 추측해 본다

'패턴잠금은 수많은 조합이 있고, 추측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생각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추측하기 쉬운 패턴인 것도 많고, 게다가 그 형태는 특징이 있는 것이 많다고 합니다. 추측하기 위한 재료도 많이 있습니다.


Android 패턴잠금의 규칙 

  • 4개 이상의 점을 연결
  • 한 번에 잇기
  • 라인은 크로스도 가능
  • 점은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지만, 통과할 수 있다


패턴잠금을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피지의 흔적이 남기 쉽습니다. 이 지문의 흔적과 패턴잠금 조건을 결합하여 높은 확률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Android의 잠금해제의 리스크


Android 보안 소프트웨어 중에는 연속으로 잠금해제를 실패하면 카메라로 촬영하는 기능을 가진 앱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패턴잠금의 조합은 알파벳 세 글자 정도의 암호와 비슷한 경우의 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파벳 대소문자의 합계가 52문자이기에 52×52✕52=140608.

한편 패턴잠금의 조합의 수는 140704가지 


이 정도라면 쉽게 해킹이 가능해 보입니다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FBI조차 패턴잠금을 해제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보통의 패스워드는 무차별 스크립트를 만들어 실행시키면 되지만, 패턴잠금의 경우는 화면에 손가락을 달리게 해야한다는 것이 포인트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물론 이중인증이 있거나 그 밖에도 보안대책이 있을 것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