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0.09.02 전기자동차는 가솔린자동차에 비해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것인가?
  2. 2020.09.02 정찰위성의 눈을 속이기 위한 탱크 형태의 눈속임용 풍선 외
  3. 2020.09.02 잇몸에서 고름이 나왔다! 5가지 원인과 치과에서의 치료 방법
  4. 2020.09.02 Microsoft가 딥페이크 대책 툴 'Video Authenticator'을 발표
  5. 2020.09.02 PC 해킹은 악성코드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그 수법이란?
  6. 2020.09.01 LSD, 헤로인 등의 환각제를 투여하면 뇌가 어린시절로 돌아가는 '피닉스 효과'란?
  7. 2020.09.01 Google Play에서 200만 명이 감염된 악성코드 'FalseGuide'
  8. 2020.09.01 만성적인 수면부족에 의해, 뇌가 '자기 파괴'를 한다는 연구결과
  9. 2020.09.01 원반으로 이루어진 우주
  10. 2020.09.01 세포는 바퀴로 움직이고 있었다!
  11. 2020.09.01 은하 중심의 블랙홀 발전...'발전기 모델'을 통한 블랙홀의 활동을 규명
  12. 2020.09.01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를 Google 이미지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이 업데이트에서 추가
  13. 2020.09.01 IP주소를 추적하는 여러가지 방법
  14. 2020.09.01 은행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이유
  15. 2020.09.01 우주에서는 퀘이사에 의한 거대한 에너지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다
  16. 2020.08.31 기밀이었던 사상 최대의 수소폭탄인 '차르 봄바'의 다큐멘터리 영상을 러시아의 국영 원자력 기업이 공개
  17. 2020.08.31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이 자금 부족으로 곤경에 처해 있다
  18. 2020.08.31 어느 신경외과 의사가 마리화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꾼 이유
  19. 2020.08.31 방사선을 견디는 이상한 열매 '데이노코커스 라디오두란스'
  20. 2020.08.31 뉴런의 이온채널이 전위차를 조절하는 방법을 이미지와 함께 설명
  21. 2020.08.31 미생물은 우주 공간에서도 장시간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 '생명은 우주에서 유래했다'는 가설의 유력한 근거가 될까
  22. 2020.08.31 인류가 오래전부터 동경해 온 '음속'이란 무엇인가?
  23. 2020.08.30 iPhone을 사용하면 데이트 앱에서 매력이 76% 증가한다는 조사 결과
  24. 2020.08.30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에 휘둘리는 러시아
  25. 2020.08.30 범고래, 상어를 먹어치우다
  26. 2020.08.30 핵융합 발전이 인류를 구원하는 것은 아니다
  27. 2020.08.30 오보!? 세계를 흥분시킨 블랙홀의 사진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
  28. 2020.08.30 초거대 질량의 블랙홀에 삼켜지는 은하의 모습과 감마성에 의해 사라져 가는 고스트 성운
  29. 2020.08.30 마스터키의 구조와 문이 열려는 원리
  30. 2020.08.30 세탁건조기가 필요할까? 4년 동안 사용하여 알게 된 단점 8가지. 그래도 절대 필요해!


과연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는 안전한가라고 불안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실 전기자동차는 오히려 가솔린자동차보다 안전할지도 모릅니다.

Are electric cars more likely to catch fire?
https://money.cnn.com/2018/05/17/news/companies/electric-car-fire-risk/

Are electric cars more likely to catch fire?

Recent fiery crashes involving Tesla are rais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electric cars. But carrying a tank of gasoline poses it own risks.

money.cnn.com


비영리조직 바텔기념 연구소의 조사부장이며, 전기자동차의 화재 위험 전문가인 스티븐 리사 씨는 "가솔린 차량의 화재 사고는 교통정체가 일어난 경우에만 뉴스로서 가치가 있지만, 전기자동차의 화재 사고는 그대로 뉴스거리가 됩니다."라고 말합니다.


전기자동차는 가솔린자동차보다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가


작년 가을 미국의 교통안전국을 위해 바텔기념 연구소가 실시한 심층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차량을 화재 위험의 관점에서 비교 결과, 리튬이온 전지 구조에서의 화재 및 폭발 가능성 및 중증도는 가솔린자동차, 디젤자동차와 비슷하거나 약간 가벼운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미국방화협회에서 열람할 수 있는 최신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미국에서 17만 4천 건의 차량 화재가 발생하였고, 사실상 모든 경우에서 가솔린 차량이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3분에 1건의 속도로 차량 화재가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테슬라 사는 가솔린 차량은 테슬라 차량보다 11배나 화재를 일으키기 쉽다고 합니다. 분석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10억 마일(16억 킬로미터)별로 비교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총 75억 마일(120억 킬로미터)을 주행한 30만대의 테슬라 차량 중 화재가 보고된 것은 40대였습니다. 그러나 리사 씨는 현재 유효하고 검증된 데이터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Azreey


리튬이온 전지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의 화재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리튬이온 배터리와 관련하여 눈길을 끌었던 뉴스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휴대전화, 노트북 심지어는 보잉 여객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화재 사고는 충돌 사고 또는 운전 중에 배터리가 손상된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

테슬라 사가 말하기를, "테슬라의 배터리팩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사례는 거의 없고, 만약 발생한다면, 그 사고가 상당히 심상치 않다거나 심각한 경우입니다"고 말합니다.

리튬 배터리 화재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설명하면, 1~2개의 전지가 단락되어 열이 발생하고, 배터리의 화학물질에 인화합니다. 이것이 인접한 셀에 문제를 일으켜 불이 확산하여 커집니다. 즉 '열 폭주'라는 상태가 발생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가솔린 화재와 어떻게 다른가


가장 큰 차이는 불이 붙을 때까지의 시간입니다. 가솔린 화재의 경우 휘발유가 불꽃과 접촉한 시점에서 즉시 인화하여 급격히 넓어집니다. 배터리 화재는 일반적으로 불을 일으키는 열량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시간 차이는 꽤 좋은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충돌 사고에 휘말린 차량의 승객은 불이 돌기 전에 대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도 있어, 충격으로 배터리가 손상된 경우, 드라이버는 그 피해를 깨닫지 못하고 차를 차고에 주차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테슬라 사는 소방관이 배터리를 완전히 진화하는 데 24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화재 위험은 줄일 수 있나


전지를 더 가볍고 효율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안전성 높은 새로운 재료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릿사 씨는 "가솔린은 매우 위험한 물건입니다. 우리는 130년의 세월을 들여 디자인과 경험을 통해 가솔린자동차를 가능한 안전하게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리튬 전지의 안전성 연구에 관해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정찰위성에 의한 목표의 탐색 및 모니터링은 현대의 전쟁에서는 당연한 것이 되었습니다. 그런 정찰위성의 눈을 속이기 위하여 고안된 각양각색의 눈속임용 풍선들. 원시적인 방법인 것 같지만, 조금 거리를 두면 구별이 되지 않으며, 마치 대부대가 전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Russia 's inflatable decoy weapons and military hardware in pictures_CCTV -International
http://english.cctv.com/photo/album/20100408/101849_0.shtml

Russia’s inflatable decoy weapons and military hardware in pictures_CCTV-International

Any enemy surveillance of this site would result in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heavily-fortified area, with fighter planes ready to scramble at any moment. But look closer...

english.cctv.com


이 눈속임용 풍선은 러시아 Rusbal사의 작품. 공기를 불어넣어 부풀리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엔진의 열을 감지하는 열 스캔이나 금속에 반응하는 전파 스캔에 대해서도 위장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Su-27과 Mig-29 , Mig-31 등 주력급 선수들이 즐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들은 모두 풍선. 멀리서 보아서는 전혀 모릅니다.


이동할 수 있는 미사일 발사기


막대기로 지지되는 전차


안테나를 전개하고 정찰 중인 것처럼 보이는 야전 통신차.


이곳은 레이더 시설.


실제로 부풀리거나 정리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

Средства имитации и маскировки
https://www.youtube.com/watch?v=buno2KCSDFo


사람에 비해 상당히 거대한 트럭.


공기를 빼면 흔적도 없습니다.


성인 2명이 충분히 운반 가능한 가벼움.


이러한 눈속임용 풍선은 미국의 Aerostar사 등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 · 제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잇몸 문제 중에는 붓기와 출혈 외에 고름이 나오는 배농이 있습니다.
배농이 발생하면 구취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잇몸 안쪽의 턱뼈에 심한 트러블이 일어나고 있을 우려도 있으므로 방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잇몸에서 고름이 나오는 주요 원인 5가지


1. 잇몸 질환에 의해 치주 포켓에서 세균이 염증을 일으키고 있다

건강한 사람도 치아와 잇몸의 경계에는 홈이 존재하고 정상적인 깊이는 1mm~2mm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홈이 3mm 이상이 되면 '치주 포켓'이라고 합니다.
치주 포켓 내에 존재하는 세균이 번식하여 붓기와 출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그것을 계속 방치하면 배농이 일어나게 됩니다.

1-1. 치과에서의 치료 방법

절개하여 잇몸 내부를 청소

배농이 일어날 정도의 치주 질환은 이미 중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는 잇몸을 절개하여 고름을 짜내는 치료와 SRP(스케일링 및 root planing)로 치주 포켓에 들어간 치석과 감염 조직을 제거하는 치료를 합니다.

1-2. 치주 질환에 의한 염증을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

치주 질환은 방치하면 결코 낮지 않습니다. 세균에 의한 치주 포켓은 더욱 깊어져, 치아를 지지하는 뼈를 서서히 녹입니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흔들리고 빠져버리는 병을 '치조 농루'라고 하는데, 그 증상은 말기의 잇몸 질환임을 의미하며,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잇몸 질환은 1개의 치아에만 한정되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서, 여러 치아를 동시에 잃을 위험이 매우 높은 질병입니다.


2. 사랑니와 잇몸 사이에서 세균이 염증을 일으키고 있다

사랑니 주위염이라는 사랑니 문제가 있습니다. 사랑니 주위염은 사랑니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들어가서 염증이 일어나고 통증을 발생시킵니다. 사랑니가 옆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되어 있어, 머리가 완전히 잇몸 밖으로 나오지 않았거나 잇몸이 어중간하게 쓰이고 있는 경우에 일어나기 쉽고, 방치하면 고름이 생기고 통증도 악화합니다.


2-1. 치과에서의 치료

항생제 복용과 발치

기본적으로는 항생제 복용만으로 증상은 안정되지만, 자주 반복된다면 사랑니 발치를 권장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임신 입덧에 의한 관리 부족으로 인해 사랑니 주위염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임신 중에는 마취는 물론, 약물 처방에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에, 빨리 대책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2. 사랑니가 고름을 일으키고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

사랑니 주위염을 방치하면 배농에 의해 구취가 강해지는 것 외에 구강 전체가 오염되고, 다른 치아의 충치와 잇몸 질환의 발생으로 연결됩니다. 또한 통증이 생겨 음식을 반대측 치아로 씹게되므로, 치합의 균형이 무너지고 치열의 변화나 턱관절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근첨병변에 의해 치아 뿌리 끝에 고름이 있다

신경을 잃은 치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로는, 치아의 뿌리 끝에 고름이 쌓이는 근첨병변이 있습니다. 발생한 고름은 턱뼈에서 점차 커지고, 잇몸을 뚫고 배농할 수 있으며, 배농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농이 일어나면, 턱뼈의 압력이 줄어들어 위화감을 느끼는 정도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배농이 일어나지 않으면 고름의 출구가 존재하지 않아 턱뼈에 강한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갑자기 서 있을 수 없을 정도의 심한 통증에 습격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3-1. 치과에서의 치료

근관치료의 재치료, 발치

근첨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근관치료로 내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를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나 근관치료의 재치료의 경우 한 번 깎은 치아의 내부를 더욱 깎아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치아가 깨져버릴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근관치료에 정평이 있는 치과에서 정확한 치료를 받읍시다.

방치해 버리면, 고름이 더욱 확대되어 원인인 치아뿐만 아니라 주위의 치아도 발치해야 하는 처지가 됩니다. 근첨병변은 결코 자연치료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배농의 유무에 관계없이 가능한 빨리 치과에서 치료를 받도록 합시다.

3-2. 근첨병변을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

근첨병변에 의해 생긴 고름은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녹아 생긴 것입니다. 원인이 되는 세균을 제거하지 않는 한 낮지 않고, 방치하면 점점 고름도 커집니다. 그리고 뼈의 양이 줄어듭니다.
또한, 상악의 근첨병변은 부비강염을 발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4. 치아에 금이 생겨 틈새에 세균이 쌓인다

신경을 잃은 치아는 신경이 있는 치아에 비해 매우 취약하여, 균열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신경이 있으면 깨지는 통증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지만, 통증을 느끼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버리면, 그 틈새에 세균이 들어가 증식하고 염증이나 배농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치아 파절은 잇몸 질환이나 근첨병변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부자연스럽게 치아가 흔들리고 씹을 때 통증이 동반되는 등의 증상은 골절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강한 힘으로 이를 악물거나 격렬한 스포츠 등을 하면 골절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4-1. 치과에서의 치료

발치

골절이 일어난 경우는, 세균이 침투할 틈새를 없애기 위해 파절된 한쪽 또는 치아 자체를 발치해야 합니다. 이를 반 남긴 상태에서 인접 치아와 브릿지로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골절 부위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므로 사전에 확인을 합시다.

4-2. 치아가 깨진 채로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

치아의 파절을 방치하면 골절된 틈새로 세균이 침투하여 근첨병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상악에 파절된 치아가 있는 경우에는 상악동염의 발병 원인이 되며, 치아뿐만 아니라 두통 등 다른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5. 발치했지만 치아의 뿌리가 남아있다

치아의 뿌리가 구부러지거나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거나 하면 발치시 턱뼈에서 갈라져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밖으로 나올 수도 있지만, 안에서 세균에 의한 염증이 생기고 붓기와 배농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1. 치과에서의 치료

경과를 관찰 후 남은 부분 제거

우선은 엑스레이로 턱뼈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조각난 치아와 뿌리 끝이 남아있어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경과를 지켜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잇몸의 붓기와 배농이 일어난다면, 마취를 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5-2. 남은 치아의 뿌리를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

염증 등의 이변이 없는 경우는 방치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염증이 있는 경우는 근첨병변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치과에서 남은 치아를 제거해야 합니다.


정리


잇몸에서의 배농은 가벼운 증상이 아니며 심각한 문제가 일어나고 있는 사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치해 버리면 그만큼 치아를 잃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부디 자기 판단으로 대처하지 마시고 가능한 빨리 치과에서 진찰을 받도록 합시다.

출처 참조 번역
歯茎から膿が出た!5つの原因と歯科での治療方法について
https://www.harada-shika.jp/blog/archives/4046

歯茎から膿が出た!5つの原因と歯科での治療方法について « はらだ歯科 ブログ |ブログ/Blog��

歯茎から膿が出た!5つの原因と歯科での治療方法について 2016-12-21 歯茎のトラブルの中には、腫れや出血のほかに、膿がでる排膿というものがあります。 排膿が起こると、口臭の原因にな��

www.harada-shika.jp

Posted by 말총머리
,


Microsoft는 인공지능(AI)으로 영상을 합성하여 위화감 없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 '딥페이크'의 대책 툴인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를 발표했습니다.

New Steps to Combat Disinformation - Microsoft on the Issues
https://blogs.microsoft.com/on-the-issues/2020/09/01/disinformation-deepfakes-newsguard-video-authenticator/

New Steps to Combat Disinformation - Microsoft on the Issues

Today, Microsoft announces two new technologies to help battle disinformation – Newsguard, which will allow users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content they are reading, and Video Authenticator, which can detect deepfakes and other synthetic meda – as p

blogs.microsoft.com


Microsoft creates a new tool to spot 'deepfake' videos and images - SiliconANGLE
https://siliconangle.com/2020/09/01/microsoft-created-new-tool-spot-deepfakes/

Microsoft creates a new tool to spot 'deepfake' videos and images - SiliconANGLE

Microsoft creates a new tool to spot 'deepfake' videos and images - SiliconANGLE

siliconangle.com


AI가 영상을 합성하는 딥페이크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진짜 영상과 분별할 수 없게 되는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딥페이크를 활용하면 유명인이 실제로 말한 적이 없는 발언을 하는 동영상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2020년 11월에는 미국대통령 선거가 다가오고 있어 딥페이크를 이용한 정치적 인상 조작이 다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딥페이크에 대항하기 위해 Microsoft는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가짜 뉴스와 온라인 선거에 대한 해킹에 대항하는 프로젝트인 Defending Democracy Program을 추진. 그 일환으로 딥페이크 대책 툴인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을 발표했습니다.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는 동영상과 사진을 분석하여 딥페이크에 의해 발생하는 인간의 눈으로는 알 수 없는 수준의 퇴색 및 그레이 스케일 등을 감지하고, 딥페이크 의한 편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신뢰 점수'를 산출. 딥페이크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줍니다.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를 사용하여 실제로 영상을 판정하는 데모도 공개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왼쪽이 무편집 동영상, 오른쪽이 딥페이크로 편집된 동영상입니다.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는 발언하고 있는 여성의 얼굴에 테두리와 '신뢰 점수'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프레임이 녹색이면 딥페이크가 사용되지 않았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빨간색일 경우에는 딥페이크가 사용되었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에는 제작자가 디지털 해시와 인증서를 이미지와 동영상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디지털 해시와 인증서를 확인하여, 이미지와 동영상 편집되지 않았다는 것이, 높은 확률로 보장된다고 Microsoft는 적고 있습니다.

Microsoft Video Authenticator는 Microsoft의 클라우드 플랫폼 Microsoft Azure에서 실행된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해킹'이라고 하면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것을 상상하지만, 컴퓨터의 인쇄회로 기판에 직접 작업을 하는, 하드웨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해킹도 존재합니다. 그런 기판에 대한 해킹 수법과 대책에 대해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가 운영하는 뉴스사이트 'IEEE Spectrum'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Three Ways to Hack a Printed Circuit Board - IEEE Spectrum
https://spectrum.ieee.org/computing/hardware/three-ways-to-hack-a-printed-circuit-board

Three Ways to Hack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oduction is an underappreciated vulnerabil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spectrum.ieee.org


2018년에는 Apple과 Amazon에 출하된 Supermicro사의 메인보드에 대해, 중국의 인민해방군이 데이터를 훔치기 위해 칩을 탑재했다고 Bloomberg가 보도. 결국 보도의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만, PCB를 통한 해킹이 이뤄질 가능성을 강하게 의식하게 하는 사건이 되었습니다.


인쇄회로 기판을 통한 해킹 기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인쇄회로 기판설계자는 먼저 보드의 모든 부품의 연결 관계를 담은 회로도를 작성. 다음은 회로도를 바탕으로 부품 각각에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보드의 부품 위치를 기록한 기판의 패턴을 만듭니다. 패턴은 2개의 ASCII 파일인 거버 파일과 드릴 파일로 추진됩니다. 거버 파일은 기판을 도형으로 나타내고 드릴 파일은 기판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 PCB 제조업체는 이 두 파일을 바탕으로 기판을 제조합니다. 즉, 인쇄회로 기판을 해킹하려면 '회로도', '패턴', '거버 파일과 드릴 파일'중 하나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설계도, 패턴, 거버 파일과 드릴 파일의 3가지의 단계 중 변조 탐지가 어려운 것이 설계도와 거버 파일과 드릴 파일의 2가지 단계라고 IEEE Spectrum은 설명합니다. 회로도는 설계자의 의도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다른 무언가를 참조하여 공격을 알아내기가 어렵다는 것. 또한 거버 파일과 드릴 파일은 ASCII 형식의 파일이며, 암호화를 통한 보호 기능이 없어 인간도 해독이 가능합니다. 거버 파일은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변조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이 중 하나의 설계 단계에서 조작에 성공한 공격자는 생산 공정, 수리 공정, 수송 공정의 어딘가에서 부품을 회로에 삽입해야 합니다. 생산 공정은 공급망 자체의 변경을 필요로 해서 어렵지만,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수리 공정은 부품의 추가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창고 등에 보관되어있는 기판에 직접 수작업으로 부품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by Dmitry Djouce


IEEE Spectrum은 만일 공격자가 인쇄회로 기판의 해킹에 성공했을 경우에 전개되는 공격 내용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SMBus에 액세스하여 공격합니다. SMBus는 메인보드의 전압과 클럭 주파수를 제어하는 칩으로 암호화가 수행되지 않습니다. 전원 컨트롤러 등을 추가하여 SMBus에 대한 접근에 성공한다면, 전압을 변경하여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CPU와 보드의 센서 간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SPI 버스에 액세스하여 공격합니다. SPI 버스는 BIOS 등의 중요한 코드가 액세스에 이용하는 버스로, SPI 플래시메모리를 추가하여 SPI 버스에 액세스하여 BIOS를 통해 하드웨어 구성을 변경하거나 악의적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세 번째는 LPC 버스에 액세스하여 공격합니다. LPC는 전원 및 기타 중요한 제어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는 버스로, 공격자에게는 매력적인 버스. LPC 버스는 시스템관리 컨트롤러 BMC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BMC를 통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거나 BMC를 통해 SPI 버스에 액세스하여 BIOS에 패치를 적용하는 게 가능하다고 IEEE Spectrum는 설명합니다.


이러한 기판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 검사 및 인공지능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직접 확인도 가능합니다. 참조 번호의 유무, 부품의 참조 번호와 회로도, 패턴, BOM에 나와 있는 참조 번호와 일관성, 부품의 형상, 기판상에 구현되지 않은 부품을 확인하여 해킹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메인보드는 수천 가지의 부품을 탑재하고 있어서 악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IEEE Spectrum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문제에 대한 감도를 높여 계획적으로 감시하면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Apple의 전 CEO인 스티브 잡스는 LSD의 경험에 대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경험 중 하나"라고 말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LSD를 비롯한 환각제는 많은 국가에서 불법 약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질병의 치료약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환각제를 투여한 사람의 뇌는 어린아이의 뇌처럼 된다'는 '피닉스 효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The Phoenix Effect – qwerky science
https://mad.science.blog/2020/04/26/the-phoenix-effect/

The Phoenix Effect

Psychedelics may induce the same state of mind as the childhood critical period of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flexibility and fluidity of this state of mind may be key to the way humans develop,…

mad.science.blog


The Phoenix Effect: Reversing Mental Age With Psychedelics – qwerky science
https://mad.science.blog/2020/08/16/the-phoenix-effect-reversing-mental-age-with-psychedelics/

The Phoenix Effect: Reversing Mental Age With Psychedelics

INTRODUCTION There are some overlaps in the effects of serotonergic psychedelic drugs such as LSD, peyote, psilocybin mushrooms and also the state of mind that newbor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

mad.science.blog


Your Brain On LSD Looks A Lot Like A Baby's : NPR
https://www.npr.org/2016/04/17/474569125/your-brain-on-lsd-looks-a-lot-like-a-babys

Your Brain On LSD Looks A Lot Like A Baby's

For the first time, scientists have scanned the brains of subjects taking LSD, and found that the LSD state mimics that of infants. NPR's Rachel Martin speaks with researcher Robin Carhart-Harris.

www.npr.org


LSD 같은 환각제를 사용한 연구는 오랫동안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지만, 2014년에 '40년 만에 인간에게 LSD를 투여하는 허가를 받았다'고 하여 과학자 로빈 해리스 박사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해리스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신경정신 약리학센터에서 환각제의 연구를 하는 인물로, 약물을 투여받은 뇌의 영향을 조사하고 환각제를 사용한 우울증 등 심리 치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2016~2017년 해리스 박사는 마법의 버섯이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해리스 박사는 '환각제가 두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새로운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보여줍니다. 그 중 하나가 '환각제를 투여받은 사람의 뇌는 아이의 뇌와 비슷하다'는 것.

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의 뇌는 성숙한 성인의 뇌에 비해 세로토닌의 분비량이 많다는 등 다양한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fMRI를 사용하여 어린이와 어른의 뇌를 스캔한 실험에서는 '마음의 이론'에 관련된 뇌의 네트워크와 통증에 관련된 네트워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인의 뇌는 아이의 뇌에 비해 이러한 네트워크의 활동이 적다고 합니다. 그러나 LSD를 투여받은 성인의 뇌는 전체의 연결이 증가하고 평상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의 연결도 확인되었습니다. LSD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을 때의 뇌는, 유아의 뇌의 활동과 유사하다고 연구자들은 보고 있습니다.

또, 아이의 뇌는 성인의 뇌에 비해 'default-mode network(DMN)'의 활동이 적은 것도 알려져 있습니다. DMN의 감소는 환각제를 투여받은 사람에게서도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Colin Maynard


'환각제는 어린 시절의 중요한 기간을 상기시킨다'는 가설을 '피닉스 효과'라고 합니다. 환각제의 피닉스 효과로 인해 사람들은, 성인이 아닌 순수한 어린시절로 돌아가, '환생'을 체험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 '아이의 뇌 상태'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해리스 박사는 "1분 동안 모든 것이 이상하게 느껴져 웃고, 행복한 상태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다음 1분 동안 갑자기 급변하여 통곡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감정의 섬세함과 놀라운 상상력이 환각제에 의해 발생합니다"라고 답합니다. 어린시절로 돌아간다고 들으면 행복한 이미지를 떠올립니다만, 어른의 감각이 아이에 비해 둔한 것은, 자신을 지키기 위한 지식의 축적에 의한 것이며, 어린아이로 돌아가면 그만큼 상처받기 쉽다고 합니다.

Ana Tablas


또한, 해리스 박사는 환각제를 사용한 경험이 신비로운 것처럼 취급되는 것에 대해 "윌리엄 워즈워스 같은 작가는 유아의 상태를 '천국과 같은 상태' 즉 사람이 신이라고 불리는 존재에 가까운 상태라고 말하고 있어, 매우 흥미롭습니다"라고 말합니다.

피닉스 효과는 아직 과학적으로 논의 중으로 입증된 것은 아니라는 합니다. 피닉스 효과를 입증하려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Google 광고로 모집한 피험자에 Psilocybin을 투여하여 fMRI로 뇌를 검사하고, 별도로 모집한 7세 미만 어린이의 뇌를 스캔한 이미지와 비교한다는 실험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포켓몬GO(Pokémon GO)' 등의 인기 앱의 공략법을 설명하는 가이드 앱에서 잘못된 광고 표시를 하거나 단말기를 장악할 수 있는 악성코드 'FalseGuide'가 탑재되어 있었던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 FalseGuide가 탑재된 앱은 Google Play 스토어에서 다운로드된 것으로, 피해자는 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FalseGuide misleads users on GooglePlay | Check Point Blog
http://blog.checkpoint.com/2017/04/24/falaseguide-misleads-users-googleplay/

FalseGuide misleads users on GooglePlay - Check Point Software

Update: Since April 24, when the article below was first published, Check Point researchers learned that the FalseGuide attack is far more extensive than

blog.checkpoint.com


Beware! New Android Malware Infected 2 Million Google Play Store Users
http://thehackernews.com/2017/04/android-malware-playstore.html

Beware! New Android Malware Infected 2 Million Google Play Store Users

FalseGuide, a new Android malware has infected nearly 2 million Google Play Store Users

thehackernews.com


보안업체 Check Point의 연구원이 Google Play 스토어에 등록된 40개 이상의 가이드 앱에 악성코드 FalseGuide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60만대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된 것으로 추산되었는데, Check Point의 후속 조사를 통해 가장 오래된 것은 2016년 11월에 Google Play 스토어에 등록된 것으로 2017년 4월까지 약 5개월간 색출되지 않고 다운로드가 가능한 상태로 등록되어 있었으며, 200만 명 이상이 피해를 당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FalseGuide가 포함된 앱은 설치할 때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며, 이에 동의하면 앱을 사용자가 삭제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그 후 악성코드는 앱 개발자가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크로스플랫폼 서비스 'Firebase Cloud Messaging'에 단말기를 등록. 공격자가 단말기에 링크된 메시지를 보내 설치하고 악성 팝업 광고를 표시하여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입니다.

현재 발견된 피해는 악성 팝업 광고를 표시하는 데 그치고 있지만, FalseGuide은 기술적으로 감염된 단말기로 봇넷을 짜거나 터미널을 완전히 장악하거나 개인 네트워크에 침입할 수 있다고 Check Point는 경고하고 있습니다.


Check Point에 따르면, FalseGuide이 포함된 첫 번째 앱은 Sergei Vernik와 Nikolai Zalupkin라는 러시아인의 이름으로 등록된 것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FalseGuide 탑재 앱의 많은 수가 러시아어 이름의 앱이지만, 그중에는 'Guide or FIFA Mobile', 'Guide for LEGO City My City', 'Guide for Pokemon GO', 'Guide For FIFA 17' 등의 영어 제목도 있으며, 그중에는 'Guide for Shadow fight 3 and 2'와 같이 최대 50만 번 이상 다운로드 된 인기 가이드 앱도 있다고 합니다.


Check Point는 FalseGuide의 존재를 Google에 통지하고, 통지 후 즉시 해당 앱은 Google Play 스토어에서 삭제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앱이 Google Play 스토어에서 삭제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의한 피해는 계속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Check Point는 FalseGuide이 가이드 앱을 대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한 이유에 대해 "앱이 인기가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앱 업체와 달리 가이드 앱은 소규모의 개발자여도 개발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앱의 선택을 잘못하기 쉬운 측면일지도 모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만성적인 수면부족이 뇌의 '식작용'을 담당하는 세포를 활성화시켜, 시냅스의 분해를 촉진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또한 수면부족은 알츠하이머병 등의 신경변성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높을 수 있다고 한다.

며칠 동안 잠들지 않는 날이 계속되면 점차 생각이 정리되지 않고, 전혀 일이나 공부를 할 수 없게 된다 ──. 수면부족이 계속되면 기력도, 체력도 사고 능력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실감하지만, 더 우려되는 것은 뇌에서 발생하는데, 그것이 마우스를 사용한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다. 한마디로 말하면, 그것은 "뇌세포의 자기 파괴"이다.

이탈리아의 마르케 공과대학 임상실험 의학과 미셸 베렛시 박사가 'Journal of Neuroscience'에 발표한 연구에서, 만성 수면부족을 원인으로 한 물리적 뇌 손상이 세포 레벨로 설명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주로 뇌의 청소 나 관리를 하고 있다 'glial'세포에 의한 'phagocytosis(식작용)'이다.

식작용은 생체에 있어서 이물질로 인식되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죽은 세포 등을 흡수하는 역할이며, 몸(조직, 혈액 내)에서는 대식세포와 단핵구 등이 담당하고 있다. 뇌는 glial세포인 아스트로 사이트와 microglia가 식작용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croglia는 주위의 환경을 관리하고, 배회하면서 뉴런의 활동을 모니터하고, 오래되거나 죽은 세포를 식작용에 의해 흡수하거나 한다. 아스트로사이트는 더 이상 필요없는 시냅스(신경세포의 접합 부분)의 가지치기와 잔해 제거 또는 연결 회로의 재형성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주로 자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지만, 베렛시의 이전 연구에서는 자고 있을 때보다 일시적인 수면 부족의 경우가 아스트로사이트 유전자가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뇌내 환경의 혼란이나 염증 반응에 의해서도 활성화하는 microglia가 수면부족에 의해서도 활성화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태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이러한 아스트로사이트와 microglia의 특성이, 다양한 수면/각성 패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마우스의 뇌로 조사한 것이다. 그래서 연구팀은 마우스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했다. 각 그룹은 마우스 6~8마리로 구성되었다.

숙면 그룹 : 6~7시간 제대로 자는 그룹
숙면 방해 그룹 : 잠자는 동안 여러 번 깨워져 숙면이 방해된 그룹
수면부족 그룹 : 평소보다 8시간 이상 깨어 있는 그룹
만성 수면부족 그룹 : 자극을 주어 4일 반 동안 깨워져 있던 그룹

수면부족으로 '시냅스가 먹힌다'

마우스의 뇌에서 아스트로사이트의 활동은 이러한 4개의 그룹에서 크게 달랐다. 실험 결과, 숙면 그룹의 아스트로사이트 활성은 5.7퍼센트였던 반면, 숙면 방해 그룹은 7.3퍼센트, 수면부족 그룹은 8.4퍼센트, 만성 수면부족 그룹은 13.5%로, 수면이 부족할수록 아스트로사이트가 활동적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면부족이 발단이 되어 아스트로사이트를 활성화시켜 시냅스의 연결과 그 잔해를 더욱 분해하여 버리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로 만성 수면부족 그룹의 마우스의 시냅스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허브' 역할을 하는 성숙한 시냅스일수록 아스트로사이트의 표적이 되어 더 분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성 시간 연장에 따라 뇌신경 활동을 통해 축적된 분자 부산물도 증가했다. 연구진은 아스트로사이트의 청소 관리 기능(기본 식작용)이 더 자주 사용하는 시냅스에 대응한 결과인 것은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즉 수면부족이 계속되면 뇌신경끼리 연결하는 시냅스의 일부가 아스트로사이트에게 그대로 먹혀버리는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microglia도 만성 수면부족에 의해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수면부족 그룹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시냅스 구성 요소에 대한 식작용이, 만성 수면부족 그룹에서는 증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만성 수면부족으로 인한 염증의 증가와 microglia 활성화의 관련은 보이지 않았고, 연구자들은 만성 수면부족으로 유발된 다른 요인이 microglia를 활성화시킨 것은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과도한 microglia의 활성은 알츠하이머병 등의 신경 장애와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여기서의 발견이 더 심각하다"고 논문 필두자인 베렛시는 자료에서 언급하고 있다 .

수면부족과 신경퇴행성 질환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많은 사람이 만성적인 수면부족에 있다. 지금까지의 수많은 연구에서, 수면부족과 알츠하이머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고 있어, 수면부족에 의해 축적되는 단백질의 종류도 몇 가지들 수 있다. 수면의 질 향상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으로 이어진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만성 수면부족은 각종 질병 관련 단백질의 증가 요인이 되고 있다.

베렛시가 이끄는 연구팀은 앞으로 수면부족에 의한 아스트로사이트와 microglia의 영향이 어느 기간 동안 계속되는지를 조사할 예정이다.

출처 참조 번역
慢性的な睡眠不足によって、脳は「自己破壊」する:研究結果
https://wired.jp/2017/08/13/lack-of-sleep/

慢性的な睡眠不足によって、脳は「自己破壊」する:研究結果

慢性的な睡眠不足が、脳内の「食作用」を担う細胞を活性化させ、シナプスの分解を促進させる、という研究結果が発表された。さらに睡眠不足は、アルツハイマー病などの神経変性疾患を�

wired.jp

Posted by 말총머리
,
NASA Hubble Space Telescope


우리가 사는 태양계와 은하계는 팬케익 같이 평평한 회전 원반이다. 젊은 별이나 블랙홀, 쌍성 주위 등에도 가스와 암석의 원반이 있다. 원반은 우주의 도처에 존재하고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밝게 빛난다. 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은 무엇일까?

원반 내부에서는 물질이 중력에 의해 중심을 향해 떨어지는데. 그 때 손실되는 '중력 포텐셜 에너지'가 물질끼리의 마찰에 의해 열이나 빛이 방출된다. 하지만 이 정도의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물질이 중심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질량 유입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다.

ALMA (ESO/NAOJ/NRAO)/M. Kornmesser (ESO)


최근 이 수수께끼에 돌파구를 열었다. 강착원반 내 물질이 전도성을 가지고 자기를 띠고 있다면, 자기장에 의해 원반의 물질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알아냈다. 이 불안정성에 의해 난류가 발생하여, 원반 안에서 다양한 물질의 충돌이 일어나고 물질의 유입이 촉진되는 것 같다.

원반은 행성계의 근원이 되는 원시 행성계 원반이나 블랙홀 주위의 원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자기가 유발하는 난류가, 다른 유형의 다양한 원반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젊은 별과 활동은하의 핵 등의 원반은 입자 제트를 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트와 원반의 난류와의 관련도 주목 대상이다.

우리가 사는 태양계를 만들어 낸 것도 강착원반이었다. 강착원반의 해명은 인류가 어떻게 탄생했는지에 대한 해명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

저자
Omer Blaes
캘리포니아대학 샌타바버라 교의 물리학 교수로 지속적으로 강착원반의 동적 구조를 연구해 왔다. 1985년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의 국제첨단연구소에서 Ph.D.를 취득 후, 캘리포니아공과대학과 토론토의 캐나다이론천체물리학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에 종사했다. 전문은 고에너지천체물리학. 강착원반의 연구 외에도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백색왜성 등 소형 천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원제 이름
A Universe of Disks (SCIENTIFIC AMERICAN October 2004)

Posted by 말총머리
,


바퀴의 회전은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이동양식입니다. 생명현상은 일반적으로 기계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바퀴는 동물의 이동기관으로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바퀴가 동물의 체내에서 진화하지 않은 이유는, 지구의 표면에 요철이 있어 바퀴에 의한 이동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한편, 생물의 표피는 비교적 평탄하여, 생체조직 속에서 아메바로써 기어서 이동하는 세포에 눈을 돌려보면, 어쩌면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세포가 존재하는지도 모릅니다.

연구팀은 물고기의 표피에 난 상처의 복구를 위해 상처 부위를 향해 이동하는 세포에 주목하여, 세포 내부의 골격 구조와 움직임을 직접 입체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세포 이동의 메커니즘의 해명에 임했습니다.

세포 내에서 회전하는 '바퀴' Okimura et al., 2018


본 연구 성과는 영국의 온라인 국제전문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습니다.
Okimura, C., Taniguchi, A., Nonaka, S. and * Iwadate, Y. (2018). Rotation of stress fibers as a single wheel in migrating fish keratocytes . Scientific Reports 8 : 10615. doi : 10.1038 / s41598-018 -28875-z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의 관측을 통해 우리가 사는 은하계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은하가 그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위의 가스는 그 주위를 회전하면서 천천히 낙하하며 강착원반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물질의 전부가 블랙홀에 삼켜지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제트라는 초고속 흐름에 의해 먼 곳으로 방출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은하가 가지는 자기장의 역할을 중시하고, 자기장의 강착원반을 거대한 직류발전기로 취급합니다. 그러자 제트는 그것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다양한 은하 중심 활동 현상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고 발전성 있는 모델을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I. 연구의 배경 · 목적

우리의 태양계는 우리은하에 속해 있습니다. 우리은하는 근처의 안드로메다 은하와 마찬가지로 나선형 팔을 가진 나선은하입니다. 우주에는 이 외에도 팔과 같은 구조를 가지지 않는 타원은하도 존재합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해, 이러한 전형적인 은하의 중심에는 태양의 수백만 배에서 수십억 배의 질량을 가진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부터 은하 중 극소수는 그 중심이 비정상적으로 활발하고 전자기 방사의 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들을 '활동은하 중심핵(AGN)'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파은하라는 종류는, 제트라는 가늘게 좁혀진 ​​고속 플라즈마류의 대칭이 종종 은하 자신의 규모를 넘는 규모로 관측됩니다. AGN의 에너지원은 블랙홀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특별히 눈에 띄는 활동을 보여주지 않는 보통의 은하도 모두 블랙홀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의외의 발견이었습니다. 또한 근처에 있는 보통 은하의 중심에서 약한 전자기 방사선을 조사해 보면, 넓은 주파수 영역에 펼쳐져 있고 거의 AGN과 비슷한 스펙트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약하지만, 제트 모양의 구조가 보이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즉, AGN와 보통 은하의 차이는 그 중심의 구조가 질적으로 전혀 다르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블랙홀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의 다소와 같은 양적인 차이가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멀리서 블랙홀을 향해 낙하해가는 물질(가스)은 발전소의 댐에 저장된 물처럼, 낙차에 따라 중력에너지를 개방하고, 이를 전력과 같은 다른 유형의 에너지로 변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하 중심부의 가스는 일반적으로 중력 중심을 제대로 노리고 들어오는 것은 아니므로, 중력의 우물 안에서 회전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 때 마찰력이 작동하면,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열로 변환하면서 서서히 중심부에 떨어집니다. 따라서 고온 가스는 회전면에서 원반 모양으로 퍼진 구조가 되며, 이를 강착원반이라고 합니다. 비유하자면 우주의 거대한 플라이휠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이 이온화 가스의 플라이휠이 실제로 우주의 자기장 속에서 회전하는 것을 중시하고, 거기에다 그것을 직류발전기로 간주합니다. 이 발전기 모델에 따라, 우선 보통 은하의 중심핵과 스펙트럼에, 그것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는 전파은하 중심핵의 성질을 통일적으로 이해하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입니다.

ESO/L. Calçada


II. 주요 성과

강착원반이라는 양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생기는 기전력은, 원반상에 직류전류를 구동하고, 그 전류의 쥴발열에 의해 원반은 가열됩니다. 전류는 강착원반의 외부에서부터 고치형 구조의 초(sheath)를 거쳐 극축(중심축) 부근에 도달하고, 귀환전류로 원반내연부에 돌아옵니다. 극축을 중심으로 모인 전류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이 부분에 있는 이온화 가스를 바깥쪽으로 가속함과 동시에, 가늘게 응축하며 작용합니다. 이것이 제트의 생성과정입니다. 즉, 제트는 강착원반 발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발전기 모델은, 강착원반 내연부에서 발생하는 제트를, 대국적인 전류의 순환 형태로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모델에 따라 원반의 전자기 방사 스펙트럼을 계산하고 우리은하나 전파은하의 중심핵에 대한 관측 결과를, 만족할 만한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은하와 전파은하의 스펙트럼의 유사성은, 이러한 유형의 중심핵이 블랙홀에 물질공급량(질량의 강착 속도)이 각각의 기준 한계치보다 훨씬 작게 공급되는 것으로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강착원반 바깥의 크기를 이론적으로 예언하여, 관측값과 높은 일치를 얻었고, 자기장의 존재가 물질의 강착 속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었습니다. 이 강착 속도의 억제 현상은 관측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그 이유가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III 향후의 전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질량의 강착 속도가 기준 한계치에 비해 매우 작은 경우에 관해서는, 자기장내의 강착원반의 구조와 성질에 대해 꽤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전파은하 관측이 시사하는 바에 따르면, 사실 이 케이스는 웅대한 제트가 발달하기 쉬운 환경에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 과제는 제트의 형성과 구조에 대한 정량적인 논의를 진행하여, 특히 강착원반 내연부에서의 상승 과정을 규명하고 그와 함께 강착율을 포함하여 그 밖에도 어떤 물리적 요소가 제트 강약을 좌우하는지에 대해 해명해 갈 예정입니다. 이미 제트의 근원에서 충분히 떨어진 영역의 구조에 대해서는 해결한 부분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역시 근원 부분입니다. 또한 중심부에는 분사되지 않고 그대로 블랙홀까지 낙하한 플라즈마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의 흐름의 구조와 거기에서의 전자방사에 대해서도 해명해야 합니다. 이 영역은 블랙홀의 극히 근방에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무시할 수 있었던 일반상대론적 효과를 직접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블랙홀의 자전의 영향 등도 논의할 것입니다. 또한 질량의 강착 속도가 훨씬 큰 경우의 강착원반의 구조와 성질 및 다른 여러 종류의 AGN과의 관련 등 많은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IV 학술 논문 등

1. "Analytic Model of MHD Hollow-Cone Jets"
by O. Kaburaki, Prog. Theor. Phys. Suppl. 155, 349-350 (2004).
2. "Viscosity-Driven Winds from Magnetized Accretion Disks"
by D. Maruta & O. Kaburaki, Astrophys. J. 593, 85-95 (2003).
3. "Effects of Winds on Radiation Spectra from Magnetized Accretion Discs "
by N. Yamazaki, O. Kaburaki & M. Kino, Mon. Mot . R. Astron. Soc. 337, 1357-1367 (2002).
4.Effects of Finite Resistivity on Magnetorotational Instabilities in a Realistic Accretion Flow "
by O. Kaburaki, N. Yamazaki & Y. Okuyama, New Astron 7, 283-292 (2002).
5. "Criterion for Generation of Winds from Magnetized Accretion Disks "
by O. Kaburaki, Astrophys. J. 563, 505-511 (2001).
6. "Radiation Spectra from Advection-Dominated Accretion Flows in a Global Magnetic Field"
by M. Kino, O. Kaburaki & N. Yamazaki, Astrophys. J. 536, 788-797 (2000).
7. "Analytic Model for Advection-Dominated Accretion Flows in a Global Magnetic Field "
by O. Kaburaki, Astrophys. J. 532, 210-218 (2000).

연구원
鏑木 修(카부라기 오사무)
Osamu KABURAKI
야마구치 대학 이학부 자연정보과학과 물리학 강좌교수
연락처
e-mail : kaburaki@sci.yamagichi-u.ac.jp

출처 참조 번역
銀河中心のブラックホール発電
https://www.sci.yamaguchi-u.ac.jp/ja/research/science/kaburagi.html

銀河中心のブラックホール発電 — 山口大学理学部

「銀河中心のブラックホール発電」 pdfファイル [概要] 最近の観測によって、我々の住む天の川銀河をはじめ一人前の銀河はすべて、その中心にブラックホールを持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

www.sci.yamaguchi-u.ac.jp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은 2020년 8월 31일(월)에 발표한 업데이트에 따르면, Google 이미지 검색에서 손쉽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와 상업적 사용이 가능한 이미지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찾는 이미지의 이용약관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Learn how to find image licensing information on Google Images
https://blog.google/products/search/learn-how-find-image-licensing-information-google-images/

Learn how to find image licensing information on Google Images

We’re making it easier to identify the right image to use, and to find guidelines for how to license images on the web.

blog.google


먼저 Google 이미지 검색하고 단어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이미지가 대량으로 표시되지만, 무료로 사용해도 좋은 로열티 무료 이미지와 전재 불가 유료 이미지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미지를 좁히려면 '도구'를 클릭.

'라이센스'를 클릭하면 'Creative Commons 라이센스'와 '상업 및 기타 라이센스'가 표시됩니다. 무료로 사용할 이미지만 표시하려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를 선택하십시오.


그러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목록이 쭉 표시됩니다. '사용 시 저작권자의 표시가 필요',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 제한', '수정 불가' 등의 자세한 사항은 각 웹사이트의 이용약관을 참조할 필요가 있으므로 주의.

'상업 및 기타 라이센스'는 주로 유료로 사용할 이미지와 라이센스가 필요한 이미지 등이 표시됩니다.

각 이미지의 상세한 이용약관을 확인하려면 이미지 왼쪽 하단에 표시된 '라이센스 가능' 배지를 클릭하여 '인증 정보'를 클릭. 각 웹사이트의 이용약관 페이지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다른 사람이나 자신의 IP주소 또는 수신된 메일이 어느 나라에서 보내져 온 것일까...
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웹사이트의 IP주소


1)
Windows에서 '시작'→ '모든 프로그램'→ '보조 프로그램'을 클릭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웹사이트에 ping을 보내면, 그 웹사이트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상대방의 URL로 신호(ping)를 보내면, 돌아오는 신호에서 웹사이트의 정보 및 ping의 응답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명령 콘솔에 'ping [URL]'을 입력합니다. 
(예) : ping www.facebook.com

3)
웹사이트의 이름 옆에 IP주소가 표시됩니다. 이어 ping이 응답하는 데 걸린 시간이 초 또는 밀리 초 단위로 표시됩니다.

IP주소는 점으로 4개로 구분된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Facebook의 IP주소는 '31.13.91.36'입니다.

 

메일의 IP주소


1)
메일의 송신지 IP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메시지 헤더를 확인합니다.


2)
메시지를 엽니다. '보기' 메뉴에서 헤더를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받는 사람/보낸 사람의 입력란에 헤더 정보가 표시됩니다.

Mac에서는 'View'→ '메시지'→ '전체 헤더보기'를 선택합니다.
Windows (Outlook)에서는 '대화 상자 시작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메시지 옵션'의 대화 상자(속성)의 '인터넷 헤더'에 헤더가 표시됩니다.

 
3)
'Received'이라는 필드 옆에 'from ...'라고 있는데, 그 안에 IP주소가 표시됩니다. 표시되는 IP주소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붙여넣습니다. 여기에서는 '66.220.155.163'를 선택하여 복사합니다. 헤더에는 메시지가 'mx-out.facebook.com'으로부터 보내졌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그러면 그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검증해 봅시다.
명령 콘솔을 열어, 여기에서는 ping을 기존의 웹사이트 주소에 보내는 대신 whois로 검색합니다.

4)
명령 콘솔 화면에서 whois 66.220.155.163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릅니다. 입력한 IP주소가 데이터베이스에 보내져 조회를 거쳐 그 IP주소에 대한 등록 정보가 돌아옵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가 Facebook의 서버로부터 보내져 온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 등록 기관의 주소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 방법으로 ip-lookup 같은 IP주소 검색사이트를 이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whois 검색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trace root의 실행


명령 콘솔을 열어 tracert <IP주소>를 입력합니다. trace root을 실행하면 상대의 IP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포인트


현실 세계에서는 영화와 같은 수는 없습니다. 메일을 보낸 사람이 누구인지를 찾으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의사항


IP주소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를 위장하는 등 극단적인 조처를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폐와 동전은 국가의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있지만, 민간 은행에서도 돈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인쇄기로 돈을 찍어내는 것도 아닌데, 은행에서 어떻게 돈이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엔지니어 Atte Juvonen 씨가 알기 쉽게 해설하고 있습니다.

Atte Juvonen - Banks create money out of thin air, but it 's less impressive than it sounds
https://www.attejuvonen.fi/money-out-of-thin-air/

Atte Juvonen - Banks create money out of thin air, but it's less impressive than it sounds

Atte Juvonen

www.attejuvonen.fi


은행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예금 업무입니다. 이에 대해 Juvonen 씨는 "은행 예금의 정체는 단순한 차용증서(IOU)에 불과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은행에 100달러를 맡긴다고 합시다. 그 결과 맡긴 사람이 가지고 있던 돈은 수중에서 없어져 버립니다만, 대신에 그 사람은 언제든지 은행에서 100달러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즉, 은행에 100달러를 예금하는 것은 은행이 발행한 100달러 어치의 IOU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일 이 은행 거래가 100달러의 예금뿐이었을 경우, 은행의 대차대조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은 '자산' 항목으로 여기에 현금 100달러가 포함됩니다. 그리고 바로 '부채' 항목에는 예금 100달러가 포함됩니다. 이 부채는 은행의 예금자에 대한 채무라는 뜻입니다.


은행은 예금 업무 외에 대출을 실시하는 역할도 합니다. Juvonen 씨에 따르면, 이 대출도 IOU의 교환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Juvonen 씨라는 사람이 은행에서 10달러를 빌려, 나중에 이자를 포함한 11달러를 상환한다는 대출을 하면, 다음과 같이 은행과 Juvonen 씨 사이에서 10달러와 11달러의 IOU가 교환됩니다.


대출을 시행한 뒤 은행의 대차대조표가 다음. 자산과 부채의 항목에 Juvonen 씨가 반환 예정인 11달러와 Juvonen 씨에게 빌려준 10달러가 각각 작성되었습니다. 이때 은행의 부채 합계는 110달러이지만, 은행 금고에는 100달러밖에 없습니다. 이 차이가 '은행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만들어 낸 돈'이라는 것입니다.


이 구조는 독일의 경제학자인 리처드 베르너 씨가 201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통화 공급량은 마치 '동화에 나오는 요정이 만든 마법의 가루'처럼 은행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생성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한편, 베르너 씨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은행뿐"이라고 말합니다만, Juvonen 씨는 이에 대해 "명백한 잘못"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위의 방법으로 합법적으로 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은행뿐입니다만, 그것은 법률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고, 은행만이 특별히 돈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04년 6월에 오픈한 세계적인 온라인포커 서비스인 Full Tilt Poker는 베팅을 교환할 수 있는 결제시스템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은행보다 빠르게 돈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플레이어들은 영화 티켓의 양도 등 포커 아닌 것으로도 Full Tilt Poker의 결제시스템을 활용하였습니다.


Full Tilt Poker는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은행은 아니기 때문에, Full Tilt Poker의 운영자는 2011년 4월에 도박법 위반 등의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실제로 Full Tilt Poker가 은행처럼 이용되고 있던 것을 들어, Juvonen 씨는 "Full Tilt Poker는 은행이 아닌 기업이 IOU를 만든 예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이런 점에서 Juvonen 씨는 "은행 예금과 대출은 단순한 IOU의 발행 및 교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은행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돈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그 돈의 정체인 IOU는 누구나 만들 수 있으므로 은행에 특별한 힘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먼 은하의 중심에서 빛나는 퀘이사의 상상도 Illustration : NASA, ESA, and J. Olmsted (STScI)


우주에 떠 있는 허블우주망원경(HST) 특유의 웅장한 발견입니다. 미국의 버지니아공대와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의 연구원들이 HST에 통한 자외선의 관측데이터를 바탕으로 13개의 퀘이사를 분석한 결과, 그중 3개에서 관측사상 가장 강력한 에너지의 방출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에너지의 방출'이라고 하면 제트 분사처럼 한 방향으로의 분사를 상상하기 쉽지만, 퀘이사의 경우는 공 대칭의 아웃플로우가 초고속으로 밖으로, 밖으로 퍼져 간다고 합니다. 파도처럼 물결치며 성간 물질과 충돌을 반복하면서 은하 전체에 파급되는 그 거대한 에너지는, 별의 재료가 되는 분자 가스와 먼지 입자를 흩어지게 하여, 새로운 별의 생성을 방해하고 심지어는 은하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합니다.


퀘이사란?


'퀘이사'는 우주 최고의 밝기를 자랑하는 천체. 그런데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가장 밝은 퀘이사도 13등성 정도의 밝기밖에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퀘이사가 훨씬 먼 우주에 있기 때문입니다. 퀘이사로부터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에는 수십억 년이라는 지구의 시간이 지나고 있으므로, 현재 관찰되는 퀘이사는 먼 옛날, 아직 우주가 젊은 시절에 존재했던 과거의 모습입니다.

ESO/M. Kornmesser


퀘이사의 중심에는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있어, 밝게 빛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블랙홀을 향해 물질이 떨어질 때, 그 물질이 가지고 있던 위치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결국 빛이 방출됩니다. 그 밝기는 블랙홀을 품고 있는 은하 전체가 내는 빛의 1,000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은하를 휘몰아치는 폭풍


그만큼 굉장한 퀘이사의 빛은 동시에 엄청난 방사압을 발하고 있습니다. 빛도 압력을 가지고 있어서, 블랙홀의 중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방출되는 폭풍같이 격렬한 방출을 일으킵니다.

NASA에 따르면 퀘이사의 폭풍은 광속의 몇 퍼센트에 이르는 초고속으로 은하계 전체에 퍼져서, 먼지 및 가스 등의 성간 물질을 날려버리고, 향후 적어도 1,000만 년간은 계속된다고 합니다. 버지니아공대의 선임연구원으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Nahum Arav 씨에 따르면 '퀘이사에서 파생된 바람은 매년 태양 수백개에 해당하는 질량을 움직일 정도로 파워풀한 것이라고 합니다.

ESA/Hubble & NASA


HST 특유의 발견


퀘이사가 내는 격렬한 아웃플로우는 이전부터 이론적으로 존재가 확인되어 있었지만, 직접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Nahum 씨 연구팀은 HST의 우주기원분광기(COS)를 사용하여 13개의 퀘이사 아웃플로우를 관측했습니다. 아웃플로우가 은하를 앞질러 나갈 때, 성간 물질에 충돌하여 가스와 먼지가 고온에 가열되어 빛을 냅니다. 이 빛을 COS에서 관측하여 스펙트럼이 도플러 효과에 의해 편이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이 편이의 정도에서 가스의 속도를 계산한 결과, 빛의 속도의 몇 퍼센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NASA가 보도 자료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HST가 커버하고 있는 자외선 파장대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관측된 13개의 퀘이사 중 3개에서는 사상 최고속의 아웃플로우가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아웃플로우 중 하나가 3년 동안 초당 1만 9000㎞에서 2만 500㎞까지 가속한 것도 밝혀졌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왜 그런지는 아직은 설명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ESO/M. Kornmesser


은하의 수가 적은 이유


왜 퀘이사가 방사하는 아웃플로우가 이만큼 주목을 받고 있을까? 그 배경에는 이론과 실측치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은하 형성을 설명하는 지금까지의 이론대로라면 이 우주에는 더 많은 은하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은하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은하 형성이 저해되고 있다고 생각되었는데, 퀘이사의 아웃플로우로 설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구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던 우주론 연구자인 Jeremiah P. Ostriker 씨도 "관측된 퀘이사의 아웃플로우을 시뮬레이션에 넣으면 은하 형성의 문제가 풀린다"고 동의합니다. 더 자세하게 알고 싶은 분은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s'에서 출시되는 Nahum 씨 연구팀의 연구를 체크하세요.


우리은하는 괜찮아?


우리은하의 중심에도 '궁수자리A*'라는 이름의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합니다만, 퀘이사가 빛나는 훨씬 먼 은하에 비하면 우리은하는 100억 년 이상의 세월을 거쳐 활동성이 떨어져 있고. 중심에 있는 블랙홀도 지금은 많은 물질을 삼키지 않기 때문에, 퀘이사 활동도 정지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일설에 따르면, 퀘이사와 같이 매우 높은 광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태양 1개 이상의 질량을 통째로 블랙홀에 매년 공급해야 한다고 합니다.

태양 1개만큼을 삼킨 반동으로 태양 수백 개만큼의 질량을 옮길만한 강력한 폭풍을 일으키는 블랙홀. 그런 퀘이사가 저 멀어 우주에서 빛나고 있는 광경은 압권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宇宙ではクェーサーによる強大なエネルギーの波が起きている
https://www.gizmodo.jp/2020/03/quasar-huge-energy-wave.html#cxrecs_s

宇宙ではクェーサーによる強大なエネルギーの波が起きている

スケールが大きすぎて痛快。宇宙に浮かぶハッブル宇宙望遠鏡(HST)ならではの壮大な発見です。米バージニア工科大学と宇宙望遠鏡科学研究所の研究者たち...

www.gizmodo.jp

 

Posted by 말총머리
,


러시아의 국영 원자력 기업인 로스아톰이 1961년의 실험에서 폭발했던 '폭탄의 황제'라고도 불린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수소폭탄인 '차르 봄바'의 다큐멘터리 영상을 YouTube에 공개했습니다.

Russia Declassifies Video From 1961 of Largest Hydrogen Bomb Ever Detonated | Smart News | Smithsonian Magazine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russia-declassifies-video-1961-largest-hydrogen-bomb-ever-detonated-180975669/

Russia Declassifies Video From 1961 of Largest Hydrogen Bomb Ever Detonated

The blast was over 3,000 times bigger than the bomb that destroyed Hiroshima

www.smithsonianmag.com


아래의 영상은 로스아톰에 의해 공개된 차르 봄바의 폭발 실험의 모습을 담은 영상. 40분 이상의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되어있고 사상 최대의 폭탄 폭발의 순간이 영상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차르 봄바의 폭발 순간을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핵폭발 때 발생하는 버섯구름의 전경을 프레임에 넣기 어려울 정도여서, 그 폭발의 규모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당연하지만 공개된 영상에서는 차르 봄바의 기술적인 세부사항이 공개되지 않도록 편집되어 있다고 합니다.

Испытание чистой водородной бомбы мощностью 50 млн тонн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nbC7BxXtOlo


당시 소련이 개발한 인류 역사상 최대의 수소 폭탄인 차르 봄바의 정식 명칭은 'РДС-202(RDS-220)'로 TNT 환산으로 약 100메가 톤의 위력을 갖도록 설계된 폭탄입니다. 실제로 전쟁에서 무기로 사용되었던 것은 아니고, 핵실험에서만 사용된 수소폭탄으로, 실험 시에는 50메가 톤으로 위력이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그래도 히로시마에 떨어진 리틀보이의 약 3,000배의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실험 시 차르 봄바의 투하를 한 것은 특별한 개조를 한 Tu-95라는 전략폭격기로 Tu-95는 폭발에서 발생하는 열선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도료가 칠해져 있었다고 합니다. 기체 바닥의 중앙에 설치된 차르 봄바는 길이 26피트(약 7.9미터), 높이 7피트(약 2.1미터)라는 매우 거대한 수소폭탄이었기 때문에, Tu-95는 일부 문과 연료탱크를 제거하여 겨우 차르 봄바의 설치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투하 순간. 차르 봄바는 북극해에 있는 소련령의 노바야제믈랴 제도의 상공에서 투하되었습니다.


차르 봄바는 낙하산이 장착되어 있었으며, 이 폭탄을 투하하는 Tu-95가 폭발 충격의 안전권으로 대피할 시간을 벌기 위한 것입니다. 감속용 낙하산은 무게는 800kg에 달했다고 합니다.


카운트가 제로를 가리켜...


폭발


주변 일대가 폭발에 의한 눈부신 빛으로 하얗게...


차르 봄바를 투하한 Tu-95의 조종석. 폭발의 순간 조종석은 강렬한 빛에 싸입니다.


강렬한 폭염이 구름에까지 도달합니다.


상공의 구름에서 촬영된 폭발의 순간. 이 강렬한 빛은 노르웨이 북부에 있는 저피욜덴이라는 산의 국경 경비병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차르 봄바의 폭발 순간의 빛은 약 620마일(약1000km) 떨어진 곳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버섯구름이 구름 위에 펼쳐집니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멋진 버섯구름을 형성.


이 버섯구름의 높이는 무려 에베레스트의 약 7배인 42마일(약 68km)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버섯구름은 폭발이 매우 고온의 가스 거품을 생성할 때 형성되는 것입니다. 핵폭발의 경우에는 폭탄은 X선을 방출하여 주위의 공기를 이온화 가열합니다. 핵폭탄으로 인한 불덩어리는 높게 상승하나, 대류권 계면에 부딪혀 위로 팽창할 수 없어 평평하게 확산하며 버섯 모양을 형성해 나갑니다.


그러나 차르 봄바가 형성한 버섯구름은 성층권을 통과하여 확대하였고, 중간권까지 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흑백 사진으로 인쇄된 버섯구름.


차르 봄바는 냉전시대에 개발된 수소폭탄입니다. 역사학자 로버트 S 노리스 씨가 뉴욕타임스에 "냉전시대에는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강렬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모두 더 큰 폭탄을 손에 넣으려고 하였고, 소련은 그 경쟁에서 승리하게 되었습니다"라고 적고 있어, 차르 봄바가 미국과의 수소폭탄 개발 경쟁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거대한 수소폭탄의 개발에 대해 점차 관심을 잃어가, 1961년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던 로스웰 킬 패트릭 씨는 "거대한 수소폭탄의 무기로서의 가치는 매우 의심스러워, 개발 가치가 없다고 미국 정부는 판단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이후 미국은 핵 개발의 소형화를 전개해, 핵무기를 트럭과 잠수함 등으로 수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홍콩의 일간 영자지 South China Morning Post가 "중국의 반도체 제조업이 자금 부족에 직면하여 여러 반도체 제조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좌절하고 있다"며 중국의 반도체 제조 사업의 처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China’s semiconductor drive stalls in Wuhan, exposing gap in hi-tech production capabilities | South China Morning Post
https://www.scmp.com/economy/china-economy/article/3099100/chinas-semiconductor-drive-stalls-wuhan-exposing-gap-hi-tech

China’s chip making dream hits the buffers in Wuhan

Construction on a US$20 billion state-of-the-ar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 in Wuhan has stalled, the latest problem to beset China’s chip making ambitions.

www.scmp.com


중국 우한에 있는 반도체 파운드리인 Wuhan Hongx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HSMC)의 반도체 제조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은 2018년. 이 프로젝트는 회사가 받은 200억 달러의 투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자리매김한 일대 프로젝트였습니다. 그러나 건설 시작 후 약 2년이 경과한 2020년 7월 이 프로젝트에 2,900만 달러(약 310억 원)을 출자한 우한의 지방 정부는 "HSMC의 반도체 제조공장은 부분적으로 완성했지만, 자금 부족으로 추락했다"며 "건설을 계속하기 위한 준비가 불충분하고, 회사는 중앙 정부의 보조금 신청을 할 수 없다"고 보고했고. 이 보고는 후에 삭제되었습니다.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HSMC 및 공장 제조를 도급받은 건설 업체는 거액의 빚을 지고 있다는 것. HSMC의 반도체 제조공장의 모습은 "크레인 몇 대와 건설근로자를 위한 기숙사, 공중에 튀어나온 철골만 보일 뿐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은 거의 볼 수 없다"고 적고 있습니다.

By Wuhan Hongx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outh China Morning Post의 취재에 대해 HSMC의 최고경영자인 Chiang Shang 씨는 "금융 문제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했다"며 "정부의 보고는 내가 파악하지 못한 정보뿐이었지만, 나에게 재무에 관한 책임이 없다"고 해명합니다.

반도체 사업에 고전하고 있는 중국 기업은 HSMC만이 아닙니다. 2020년 초에 미국의 파운드리 업체인 GlobalFoundries과 성도시 지방 정부가 1억 달러(약 1,100억 원)을 지출하여 건설한 반도체 공장도 약 2년간의 휴업 끝에 폐쇄가 결정. 2020년 7월에는 중국 정부로부터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아 난징에 건설된 Tacoma Nanjing Semiconductor Technology의 반도체 공장은 투자 유치에 실패하여 파산했습니다.

By Wuhan Hongx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이처럼 중국이 반도체 제조에서 고전을 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South China Morning Post는 "치열한 기술 전쟁으로 미국의 반도체 기술에서 분리된 중국은, 서양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노력은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적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신경외과 의사이자 CNN의 의료담당 기자이기도 한 Sanjay Gupta씨는 몇 년 전 미국에서 출판된 의료용 마리화나에 관한 문헌을 읽은 후, TIME지에서 [왜 나는 마리화나의 사용에 반대하는가?]라는 기사를 쓸 정도로 마리화나 사용에 대해 반대의 자세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의료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몇 년에 걸쳐 조사를 진행한 결과, 마리화나 사용에 긍정적으로 변했고 그 이유를 CNN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Dr. Sanjay Gupta : Why I changed my mind on weed - CNN.com
http://edition.cnn.com/2013/08/08/health/gupta-changed-mind-marijuana/

Dr. Sanjay Gupta: Why I changed my mind on weed - CNN

Over the last year, Dr. Sanjay Gupta has been working on a new documentary called "Weed." The title "Weed" may sound cavalier, but the content is not.

www.cnn.com


적절한 조사를 하지 않고 마리화나에 대해 부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었던 점을 사과하고 싶다고 말하는 Gupta 씨는 몇 년 전까지 의료용 마리화나를 복용하는 환자와, 단지 마리화나를 피우고 고양되어 기분이 좋아지고 싶은 사람을 똑같이 취급해 버렸다는 것. 또한 미국 정부의 마약단속국에 의해 마리화나 규제물질법 중에서도 가장 위험성이 높은 스케쥴I로 분류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고 합니다.

마리화나에 대한 Gupta 씨의 자세를 바꾼 하나의 사건은, 타고난 발작을 앓는 Charlotte Figi 씨와의 만남이었습니다. Figi 씨는 7종류의 약을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3세가 될 때까지 1주일에 300번 발생하는 발작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만, 의료용 마리화나를 복용하기 시작한 이후로, 발작의 횟수가 달에 2~3회 정도까지 감소. Figi 씨의 한 건 이후에도 Gupta 씨는 Figi 씨 이외에도 많은 환자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의학적 입장에 있으면서 마리화나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점을 사과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By Chuck Grimmett


Gupta 씨는 마리화나가 많은 약물 중에서도 '의학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렵고, 매우 남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되어 있는 즈케쥴I로 분류된 것에는 절대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마리화나가 스케쥴I로 분류된 계기는 Roger O. Egeberg라는 의사가 1970년 8월 14일 마리화나에 관한 문서를 정부에 제출했습니다. Egeberg 의사가 제출한 문서에는 "우리의 마리화나에 관한 연구는 아직 고려해야 할 구멍이 있지만, 더 자세한 정보를 찾을 때까지 스케쥴I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적혀 있으며, 과학적인 근거가 전혀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Egeberg 의사는 "마리화나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중이다"라고 적고 있습니다만, 그 연구가 완수될 수는 없었다는 것. 또한 Gupta 씨가 조사를 계속한 결과, Egeberg 의사가 하던 연구는 70년 전에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 결과가 이미 나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즉, 이미 알려진 데이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Egeberg 의사는 같은 연구를 반복했다는 것.

지금으로부터 약 70년 전인 1944년 Fiorello LaGuardia 뉴욕시장은 뉴욕과학연구소에 마리화나에 대한 연구를 명령합니다. 그 연구결과는 마리화나는 코카인이나 헤로인과 비교해 동등한 중독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2013년 현재 마리화나를 사용하는 성인 남성의 9~10%에서는 의존성이 인정되고 있습니다만, 마리화나보다 위험도가 낮은 스케쥴II로 분류되는 코카인은 성인 사용자의 20%, 헤로인은 25%가 중독에 빠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물론 마리화나를 사용하면 불면증이나 불안, 신경증 등의 금단증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헤로인이나 코카인보다 높은 의존성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By US Army Africa


1943년까지 마리화나는 신경 질환의 진통제로 미국의 약제조서에 등록되어 있었지만, 2013년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강렬한 통증을 동반하는 신경통의 통증은 아편 열매에서 생성된 모르핀이나 코돈이 흔히 처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진통제는 신경통에 그다지 효과를 발휘하지 않습니다. 무서운 것은, 미국은 19분에 1명이 처방된 약의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다는 조사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마리화나의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사례는 Gupta 씨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최근에는 내과 의사의 76%가 유방암의 진통제로 마리화나의 사용을 승인한다는 조사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마리화나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우에는 불법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승인이 필요합니다. 마리화나를 연구하기 위하여 승인을 얻어야 하는 기관 중에는, 마리화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NIDA(국립약물남용 연구소)가 있습니다. NIDA에서 연구의 허가를 얻는 것 자체가, 마리화나 연구의 제동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스페인과 이스라엘에서는 암 치료에 마리화나를 사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PTSD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어 자신의 생각을 바꾼 Gupta 씨는, 1970년부터 계속되는 마리화나에 대한 연구의 부족을 채우기 위해, 의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약속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Credit: TEM of D. radiodurans acquired in the laboratory of Michael Daly,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Bethesda, MD, USA.


데이노코커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는 방사선을 견디는 이상한 열매'라는 뜻으로 한때 Micrococcus radiodurans라고불렸다. 그람양성세균(그람염색 자체는 양성이지만 계통, 구조적으로는 음성균에 가깝다.)으로 분류되는 극한 환경 미생물로, 방사선내성 생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생물이다. 10Gy의 방사선에 인간을, 60Gy의 방사선에 대장균을 죽일 수 있지만, D. radiodurans는 5,000Gy에 노출되어도 사멸하지 않고 15,000Gy에서도 37%가 살아남는다.

또한, 방사선뿐만 아니라 고온, 저온, 건조, 낮은 압력, 산성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다. D. radiodurans는 여러 극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생물이다. 따라서 기네스북은 세계에서 가장 방사선에 강한 세균으로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D. radiodurans보다 강한 방사선 내성을 나타내는 생물(Thermococcus gammatolerans , Rubrobacter radiotolerans P-1)도 서서히 발견되고 있다.

1956년에 코발리스의 오레곤 농업시험장에서 A.W.앤더슨에 의해 발견되었다. 당시 식품 저장의 연구를 위해 쇠고기의 통조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그 통조림을 저장하고 기간이 경과한 후 일부가 부패해 부풀어올라 버렸다. 앤더슨은 즉시 원인을 조사하여 강한 방사선을 견딘 세균을 분리하였다. 그것이 D. radiodurans이다.

처음에는 모양이나 성질에서 Micrococcus로 분류되었지만, 매우 강한 방사선 내성을 가지는 점, 세포벽의 구조가 다르고 16S rRNA 계통해석의 결과도 달라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Micrococcus와는 다른 세균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새로 마련된 Deinococcus속(이상한(Deino)+과일(coccus, 구균에 자주 사용된다)로 분류되었다. 현재, 방사성 폐기물 등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하고 기대되고 있다.


방사선 내성의 메커니즘


방사선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은, 강력한 DNA 복원능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일반 생물은 감마선에 노출되면 DNA가 수백 조각으로 절단되어 회복하지 못하고 죽지만, D. radiodurans는 평균 12~24시간에 걸쳐 DNA를 복원한다. 이 DNA 복원능력을 획득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어느 가설에 의하면 건조한 환경에 견디기 위해서라고 한다. 실제로 건조도 DNA의 단편화로 이어지는 데다 데이노코커스 라디오두란스는 건조에 견디는 균이며, 방사선에 약한 변이주는 건조에도 약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방사성에 대한 내성은 넓은 분류 범위에서 볼 수 있는 성질이다. 예를 들어 방선균문이나 프로테오 박테리아, 유리 고세균 중에도 10,000Gy 정도의 방사선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이 각각 고립되어 존재한다. 진핵 생물 중에도 곰팡이 등 비교적 강한 방사선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

출처 참조 번역
デイノコッカス・ラディオデュランス
https://ja.m.wikipedia.org/wiki/%E3%83%87%E3%82%A4%E3%83%8E%E3%82%B3%E3%83%83%E3%82%AB%E3%82%B9%E3%83%BB%E3%83%A9%E3%83%87%E3%82%A3%E3%82%AA%E3%83%87%E3%83%A5%E3%83%A9%E3%83%B3%E3%82%B9

デイノコッカス・ラディオデュランス - Wikipedia

ja.m.wikipedia.org

Posted by 말총머리
,


뇌를 구성하는 세포인 뉴런(신경 세포)의 신호 전달에 관련된 '이온채널'의 구조에 대해, 신경과학을 배우기 시작한 사람을 위한 도표와 함께 해설을, 재무회계 소프트웨어 'Vena Solutions' 기술팀 이오우리 쿠라무초후 씨가 공개하고 있습니다.

The magic of ion channels in the neurons | Iouri Khramtsov
https://i-kh.net/2020/08/26/the-magic-of-ion-channels/

The magic of ion channels in the neurons

A few weeks ago, for various reasons I decided to start reading a neuroscience textbook (Fundamental Neuroscience). Though dense, it’s packed with interesting information that filled a lot of gaps in

i-kh.net


쿠라무초후 씨는 뉴런의 이온채널의 구조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쿠라무초후 씨의 설명은 주로 책 'Fundamental Neuroscience (신경과학의 기초)'에서 인용하고 있는 것.

우선, 신경은 세포체 · 돌기(Dendrites) · 축삭(Axon)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포체에서 분기된 복수의 돌기는 다른 세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축삭은 다른 세포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뉴런의 세포체는 칼슘 · 칼륨 · 나트륨 · 염소 등의 이온에 덮여 있습니다. 뉴런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온채널은 특정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이온을 통과시키는 작은 밸브와 같은 것입니다. 이온채널은 신경전달물질 등의 특정 화학물질과 결합하여 열리는 것과 세포의 전위차가 높아지면 열리는 것이 있습니다. 전위차가 높아지면 열리는 이온채널을 "전위의존성 이온채널"이라고 하며, 나트륨 · 칼륨 · 칼슘 등 각 이온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합니다.

다음 그림은 안정 시의 이온채널의 활동을 나타냅니다. 파란색 점은 나트륨, 파란색 선은 전위의존성 나트륨 채널, 빨간색 점은 칼륨, 빨간색 선은 전위 의존성 칼륨 채널입니다. 중앙의 검은색 라인의 상단이 뉴런의 바깥, 아래쪽이 뉴런 내부를 나타냅니다. 왼쪽에 있는 것은 세포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안정시의 전위차는 -70mV 전후로 채널은 모두 닫힌 상태.


그러나 무엇인가의 이유로 뉴런 내외의 전위차가 -55mV를 넘으면 나트륨 채널이 열리고, 많은 나트륨 이온이 뉴런에 유입됩니다. 유입된 나트륨 이온은 양의 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뉴런의 전압은 + 30mV까지 상승합니다. 그 후 칼륨 채널을 열고, 나트륨의 양전하에 맞서 칼륨 이온을 방출하여 전위차의 상승을 완만하게 합니다.


나트륨 채널이 닫힌 후, 칼륨 이온을 방출시킴으로써 전위차가 저하 전위차가 -70mV의 안정 상태에 가까워지자 칼륨 채널이 서서히 닫히기 시작합니다. 각 채널의 개폐는 몇 밀리 초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과정을 통해 캡처하거나 방출하는 이온의 수는 미량이기 때문에 신경 내외의 이온의 전체적인 농도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축삭의 이온채널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온채널이 존재하는 것은, 뉴런의 미엘린 층(Myelin layers)이라는 축삭 간의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절연체와 같은 물질로 덮여있지 않은 부분.


미엘린 층은 중앙에 슈반세포(Schwann cell)를 가지고 있고 수십 μm 간격으로 축삭을 덮고 있습니다. 미엘린 층이 없는 node of Ranvier라는 부분에 이온채널이 집중되어 있으며, 다음 청색으로 쓰여진 부분이 이온채널(Ion channels)입니다. 미엘린 층에 의해 이온채널이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전위차 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지구 상의 생명의 기원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습니다. 그중에서 제창된 '생명은 다른 천체에서 유래했다'는 가설인 판스페르미아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3년간 진행된 '미생물을 우주 공간에서 배양하는 실험'의 결과, 미생물은 우주 공간에서도 장시간 생존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생명이 다른 천체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Frontiers | DNA Damage and Survival Time Course of Deinococcal Cell Pellets During 3 Years of Exposure to Outer Space | Microbiology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micb.2020.02050/full

DNA Damage and Survival Time Course of Deinococcal Cell Pellets During 3 Years of Exposure to Outer Space

The hypothesis called “panspermia” proposes an interplanetary transfer of life. Experiments have exposed extremophilic organisms to outer space to test microbe survivability and the panspermia hypothesis. Microbes inside shielding material with suffici

www.frontiersin.org


微生物は紫外線下で長期間生存可能: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曝露実験|プレスリリース |CNNニュース掲載(8/27更新)|生命科学部:ニュース&トピックス - 2020年度|東京薬科大学
https://www.toyaku.ac.jp/lifescience/newstopics/2020/0826_3998.html

微生物は紫外線下で長期間生存可能: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曝露実験|プレスリリース |CNNニ�

プレスリリース 報道機関各位 本学名誉教授 山岸明彦らのグループは、宇宙空間を生命が移動する「パンスペルミア」仮説の検証実験を行いました。 その結果、火星と地球の間の最短の移�

www.toyaku.ac.jp


판스페르미아설은 1908년 스웨덴의 과학자인 스반테 아레니우스(1859년-1927년)가 발표한 가설로 '지구 상의 생명의 기원은, 운석 등에 부착하여 행성 간 이동해 온 생명이 씨앗이다'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자외선을 차단하기만 하면 미생물의 포자는 장기간 우주에서 생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93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고초균 포자가 알루미늄 돔 안에서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6년간 생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암석 등으로 보호된 상태라면 포자는 우주 공간을 이동 가능하다고 하는 '리소판스페르미아설'이 나타났습니다.

도교약과대학의 야마기시 아키히코 명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판스페르미아설을 더욱 검증하기 위한 '민들레 계획'을 실시하였습니다. 계획에는 26개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2015년부터 3년간 미생물이 우주 공간에서 생존하는 방법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방사선에 강한 세균으로 알려진 'Deinococcus radiodurans'을 포함하는 Deinococcus주의 균체 덩어리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우주 공간에 노출한 후, 미생물의 생존 여부가 조사되었습니다. 샘플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에 항상 노출되게 됩니다.


그 결과, 0.5밀리미터를 초과하는 모든 샘플이 3년을 살아남았습니다. 또한 분석 결과 샘플의 표면에 있는 세균은 사멸하면서도 보호층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세균의 콜로니가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이 밝혀졌습니다. 연구팀은 직경 1밀리미터의 박테리아 콜로니라면 자외선에 노출된 상태에서 최대 8년,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라면 수십 년 동안 우주 공간에서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화성과 지구의 이동에는 평균 수천만 년 걸린다고 하지만, 최단인 경우에는 수개월에서 수년 안에 이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받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조건에서도 콜로니를 형성한 미생물은 화성과 지구를 이동이 가능하다며 리소판스페르미아설을 지지했습니다.

이번 연구 주제인 '생명의 기원'은 과학계에서도 가장 큰 수수께끼 중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RNA가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반복하여 유전 정보의 복제를 하게 된 것이 원시 생명의 시작이 아닐까'라고 하는 'RNA 세계'가 주장되고 있습니다. '생명은 우주에서 한 번도 탄생하지 못했다' 또는 '생명은 적당한 환경이 있으면 반드시 탄생한다'라는 부분에서 논의가 분분하지만, 판스페르미아설이 입증된다면 우주 어딘가에서 발생한 생명이 지구에 도착하여 지구상에 생명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훨씬 높아집니다. 즉, 지구상의 생명은 화성에서 탄생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덧붙여 이번 실험은 지상에서 400km의 고도에서 실시되었습니다만, 지구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밴 앨런대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방사선에 대한 내성은 충분히 검증되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우주에서 가장 빠른 것은 빛으로 그 속도는 초속 30만 킬로미터에 달합니다. 그러나 지구 상에서는 초속 약 340미터의 음속이 속도의 장벽이 되고 있어, 인류는 오랜 기간 비행기가 음속의 벽을 넘는 방법을 연구해 왔습니다. 그런 음속에 대해 과학 뉴스사이트 ZME Science가 해설하고 있습니다.

What, really, is the speed of sound?
https://www.zmescience.com/science/what-is-speed-sound-2625234/

What, really, is the speed of sound?

Unlike the speed of light, this one isn't constant.

www.zmescience.com


우리가 소리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입자의 움직임이나 진동이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대기 중의 입자에 의한 진동입니다. 예를 들어 '소리내어 말하기'란 폐에서 밀려난 공기가 성대와 충돌하여 진동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진동이 상대의 귀의 고막에 충돌하고, 고막에 전달된 진동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뇌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듣기'가 실현됩니다.
.


물리학의 관점에서는, 소리는 해변으로 밀려드는 파도와 같은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 소리의 크기는 파도의 높이(진폭)에 따라, 음정은 파도가 해안에 충돌하는 빈도(주파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파도가 멀리 가면 갈수록 파도가 가지는 에너지는 줄어들고, 결국 소리가 사라집니다. 지구 반대편의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또한, 소리의 전달 방법은 파도를 전하는 '매체'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 동영상을 보면 고체 · 액체 · 기체에서 소리의 전달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peed propagation with animated dominoes - Why speed is fastest in solid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BYe4x3x35is


반대로 말하면,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이 아무것도 없다면 소리가 전혀 전달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 공간에서 뭔가를 외쳤다 해도 아무도 들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주복을 맞대어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매질의 탄성에 따라 소리의 전달 양상이 달라집니다. 탄성은 굽힘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 (강성)과 어느 정도 변형시킬 수 있는지의 한계 (탄성 한계)를 특징으로 합니다. 철과 고무는 모두 탄성이 있지만, 철은 강성이 높고, 고무는 탄성 한계가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철과 고무의 전달 양상은 크게 다릅니다.

즉, 소리의 전달 방법은 매질의 탄성과 밀도에서 크게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수소와 산소는 탄성은 비슷하지만 수소 쪽이 밀도가 낮아집니다. 그러나 수소를 매질로 했을 때의 음속은 초속 약 1270미터이며, 산소를 매질로 한 경우는 초속 약 326미터입니다. 또한 철은 훨씬 밀도가 높지만 탄성도 높기 때문에 철을 통해 전해지는 소리의 속도는 초속 약 5120미터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 주위에 있는 대기의 경우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소리는 기본적으로 초속 약 340미터로 전해집니다. 비행기의 속도를 추구할 때, 이 초속 340미터가 '음속의 장벽'이 되어 가로막습니다. 음속이 속도 추구의 장벽이 되는 이유 중 하나가 '소닉 붐의 발생'이 원인입니다.

음속을 넘어 비행하는 비행기가 충격파와 소닉 붐을 발생시키는 모습은 다음의 동영상에서 볼 수 있습니다.

Supersonic Flight, Sonic Boom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WGLAAYdbbc


음속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비행기는 눈앞의 공기를 압축해 버립니다. 이윽고 이 압축된 공기는 마하1(대기에서 전해지는 소리의 속도)에서 비행기의 기수로부터 전부 폭발하듯 퍼져나갑니다. 이 매우 압축된 공기에 의한 폭발이 닿는 범위에 있는 사람은, 소닉 붐이라는 큰 소리가 들립니다. 그리고 비행기는 음속을 넘어 날고 있기 때문에 소닉 붐은 '비행기가 관찰자의 앞을 통과한 이후에 들리게 됩니다.

인류가 음속을 넘을 수 있었던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1947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육상에서의 음속 비행이 기본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초음속 비행은 여전히 비행기 기술 추구의 중요한 항목이 되고 있습니다."라고 ZME Science는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Daniel Romero


스마트폰의 매입 대리점인 CompareMyMobile이 데이트(매칭) 앱과 스마트폰의 기종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iPhone 유저는 데이트 앱에서 76%도 매력도가 늘어난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Tech me out | CompareMyMobile
https://www.comparemymobile.com/features/tech-me-out/

Tech me out | CompareMyMobile

Could your phone be keeping you single? Our new study dived head first into the world of online dating and found the wrong phone could make you up to 75% less swipeable

www.comparemymobile.com


An iPhone makes you 76% more attractive on dating apps | Appleinsider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0/08/28/an-iphone-makes-you-76-more-attractive-on-dating-apps

An iPhone makes you 76% more attractive on dating apps | Appleinsider

A new study says that Apple iPhone users are more likely to get a match than Android owners on popular dating apps — and you have almost no hope if you use Blackberry.

appleinsider.com


최근에는 데이트 앱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유행에 따라 이용자 수와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용자가 급증 중인 데이트 앱에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일치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용자는 자신의 프로필과 사진을 이성의 눈에 매력적으로 비치게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것만이 아니라 '사용하고 있는 휴대전화'까지 신경을 써야 할 수도 있습니다.

CompareMyMobile의 조사에 따르면, 밀레니엄 세대 젊은이는 상대가 어떤 차를 타고 다니는지보다 상대가 어느 메이커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더 관심을 가진다고 합니다.

다음의 그래프는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에 따른 데이트 앱에서의 매칭율 변화'를 보여줍니다. Apple 제품은 일제히 매칭율이 상승하였고, 특히 iPhone 사용자는 평균보다 76%나 매칭율이 상승했습니다. 한편, Google(10%), 소니(14%), Huawei(23%), OnePlus(30%), BlackBerry(74%) 등 업체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매칭율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어느 정도 '상대가 어느 제조업체의 가젯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신경쓰는가?를 정리한 것이 다음의 그래프. 왼쪽이 '남성이 상대가 사용하는 가젯에 영향을 받는 비율', 오른쪽이 '여성이 상대가 사용하는 가젯에 영향을 받는 비율' 세로는 연령층을 나타냅니다. 놀랍게도 상대가 사용하는 기기 제조업체에 영향을 받는 비율은 압도적으로 여성이 높고, 남성은 여성만큼 상대가 사용하는 가젯 업체에 구애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26세 이상의 남성에서는 상대가 사용하는 기기 제조업체에 영향을 받는 비율이 10% 미만으로 매우 낮습니다.


또한, 도시별로 보면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캐나다 밴쿠버, 영국 맨체스터 같은 도시 사람들이 특히 상대가 사용하는 업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도시별로 특히 매력적인 가젯이 다른 점으로, 뉴욕에서는 Apple의 EarPods, 런던과 로스앤젤레스, 밴쿠버에서는 iPhone 11, 샌프란시스코와 맨체스터에서는 Apple Watch가 가장 인기 있는 가젯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구 1,000만 명 미만의 나라가 강하게 나오는 이유

러시아가 이웃 나라 '독재자'에 휘둘리고 있다. 인근의 독재자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지만, 주인공은 서쪽의 이웃 벨라루스의 알렉산더 루카센코 대통령이다.

7시간 넘는 마라톤 회견에서 러시아를 비판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폴란드 사이에 위치한 소국이다. 러시아와 같은 슬라브계 주체의 국가로 인구는 1000만 명 미만. 한때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의 하나로, 가장 친러시아적인 국가로 분류되어 왔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 3일 루카센코 대통령이 국내에서 연 기자회견에서다. 7시간이 넘는 이례적인 마라톤 회견으로 러시아에 대한 불평과 불만을 늘어놓은 것이다.

대통령의 불만은 3가지로.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공급 문제, 양국 간 국경 관리 문제, 그리고 러시아에 의한 벨라루스의 식품 수입 제한의 문제이다.

우선 에너지 문제. 벨라루스는 석유, 천연가스의 조달을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가스의 미결제 대금이 5억 5000만 달러에 달했다는 이유로 올들어 벨라루스를 위한 원유 공급량을 일방적으로 줄이기 시작했다. 대통령은 이를 '합의 위반'이라며 토라진 것이다.

천연가스의 미결제 대금은 계약 가격이 1000㎥당 132달러였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가 지난해 연중 107달러밖에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다.

그런데 루카센코 대통령은 국제 유가 하락의 상황을 감안하면 러시아산 가스 가격이 83달러가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벨라루스는 가스 대금 지불을 낮출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원유 공급을 줄이는 방법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단언했다.

'우리는 형제 국가이지 아니한가?'


대통령은 러시아 유전 개발권을 벨라루스 기업에 부여하는 것까지 요구. 거기에 더해 '우리는 이란과 아제르바이잔의 원유를 조달하면 러시아의 원유 없이도 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러시아도 알고 있지 않느냐'고 러시아 정부의 고압적인 대응에 분노를 터뜨렸다.

러시아에 의한 '국경 지대' 설치에 반발

다음은 국경 관리의 문제. 벨라루스는 러시아가 주도하는 유라시아경제동맹에 가입했고 양국 간 국경 관리도 원칙적으로 폐지되어 있다.

그런데 러시아의 연방보안국(FSB)은 최근 벨라루스와의 국경 지역인 스몰렌스크, 브랸스크, 프스코프의 3개소에 '국경 지대' 설치를 명령했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이 결정이 국경 관리의 부활로 이어진다며 반발하는 것이다.

사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과 유럽 및 일본을 포함한 80개국을 대상으로 5일 이내의 체류라면 비자 없이 입국을 인정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러시아의 '국경 지대'설치는 그것에 대응한 것으로, FSB는 특히 벨라루스 통한 테러리스트 유입을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대통령은 사전에 아무런 타진도 없었다며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라고 비난했다.

그리고 식품의 수입 제한 문제. 대통령은 러시아 연방 동식물검역감독기관이 위생 관리의 문제를 이유로 벨라루스로부터의 육류, 유제품 등의 수입을 수시로 금지, 제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해당 기관장의 대응이 '벨라루스 국민에게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며 형사 사건으로 입건하도록 내무성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러시아에게도 변명거리는 있다. 서구의 식료품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이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령 크림반도를 합병한 2014년 이후 구미로부터의 식료품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위기에 따라 구미가 발동한 대러시아 경제제재에 대한 대항 조치이지만, 금수 대상인 구미 식료품들이 벨라루스를 통해 러시아 시장에 유입되는 사례가 빈발했다.

이달 초에 예정되어 있던 모스크바 방문도 보류

벨라루스는 한때 러시아에 의한 크림반도 합병을 지지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였다. 2014년 3월 유엔 총회에서 '우크라이나의 영토 일체성'에 관한 결의를 표결했을 때도 러시아를 제외한 구소련 국가에서 반대한 나라는 아르메니아와 벨라루스뿐이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위기에는 매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독일과 프랑스가 중재한 휴전 협의의 장을 제공한 예도 있었다.


러시아가 발동한 구미 식료품 금수 조치에 부정적으로, 자국에 '엄청난 손실'을 주고 있다고 한다면 대통령으로서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이러한 일련의 러시아 조치에 양보를 얻을 수 없는 한 푸틴 대통령과 회담해도 '의미가 없다'며 국제회의를 비롯한 양국 정상회담을 거부할 태세다. 실제로 지난해 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유라시아경제동맹 정상회의는 결석하였고, 이달 초로 예정된 모스크바 방문도 보류되었다.

벨라루스 대통령의 심상치 않은 '분노'에 당황한 러시아. 루카센코 대통령의 마라톤 회견이 있었던 당일 즉시 양국 관계에 대한 이례적인 코멘트를 발표했다.

- 러시아는 벨라루스와의 통합프로세스의 계속을 우선 과제로 보고 있다 -

코멘트는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경제 문제는 실무 협의를 통해 냉정하게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경 지대' 설치도 제3국 시민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국경 관리를 도입할 의도는 추호도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에너지 문제에 관해서는 '러시아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1,800만 ~ 2,300만 톤의 원유를 관세 제로로 벨라루스에 공급해왔다'며 그에 따른 러시아의 세입 감소는 223억 달러에 달했다고 구체적인 숫자를 들어 거액의 지원을 벨라루스에 실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벨라루스의 분노를 내버려둘 수 없는 이유

러시아 국민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러시아 여론조사 센터가 실시한 조사에서는 시장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벨라루스에 원유 · 천연가스 공급에 69%가 반대하고 78%가 양국 간 무비자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푸틴 정권이 루카센코 대통령의 분노를 그대로 내버려둘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루카센코 씨는 1994년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이미 5선에 성공하고 있다. '형제 국가' 러시아와의 관계를 최우선으로 하며 한때 국내에서 야당 세력의 탄압과 언론 통제를 강화하여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라고 불리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제재를 부과한 적도 있었다.


우크라이나 위기의 장기화의 영향으로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관계는 점점 어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유럽과의 관계도 고려하여 정치범 석방 등에도 응했다. EU 측도 지난해 인권 문제 개선을 이유로 제재의 대부분을 해제하고 있다.

대통령이 80개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비자 면제 단기 입국을 인정하는 조치를 내놓은 것도 서방과의 관계 개선과 교류 확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벨라루스의 '러시아 이탈'을 묵인하면 러시아에게 타격이 될 수 있다. 첫째, 러시아가 주도하는 유라시아경제동맹에 미치는 영향이다. 현재 벨라루스 외에도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이 정식 가맹하고 있지만, 그 성과는 부족하여 회원국의 불만도 많다. 만일 벨라루스가 빠진다면, 이 동맹은 점점 유명무실해질 수도 있다.

출처 참조 번역
欧州最後の“独裁者”に振り回されるロシア
https://business.nikkei.com/atcl/report/16/040400028/022200023/

Posted by 말총머리
,
Image : Hennie Otto / Marine Dynamics / Dyer Island Conservation Trust


범고래의 상어 사냥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것 같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해양 생물의 보호활동 단체 The Dyer Island Conservation Trust에 따르면 지난달 5월부터 이미 백상아리 4마리가 범고래의 점심 식사로 포식되었다고 합니다. 그것도 영양가 있는 내장만 선별적으로 먹고 나머지는 방치했다고 합니다.

범고래에 포식된 4.1m의 상어.

Image : Hennie Otto / Marine Dynamics / Dyer Island Conservation Trust


지금까지는 1997년 캘리포니아에서 범고래가 백상아리를 강타하고 있는 모습이 촬영된 적이 있는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올해 5월에 얼굴을 먹힌 상태의 백상어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간스바이에서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사체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

이전의 발견에서는 간을 먹힌 상태였는데, 이번은 위장과 고환도 남김없이 먹혀 있었다고 합니다. 간은 영양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범고래가 간을 노리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합니다.

어찌되었건 백상어에게는 악몽의 시작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상어를 무서워했지만, 상어에겐 범고래인지도 모릅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바다에 들어갈 때는 범고래와 상어, 모두 조심하세요!

Image : Hennie Otto / Marine Dynamics / Dyer Island Conservation Trust
Source : Marine Dynamics SharkWatch SA Blog

Posted by 말총머리
,


원자로의 상식을 뒤집을까

세계 제일의 규모를 자랑하는 핵융합 실험로 'ITER'의 건설이 드디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원자로는 원자 폭탄에 사용된 것과 같은 '핵분열'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고 있었기 때문에, 상응하는 위험이 존재했습니다. 한편, ITER는 원자로이면서도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 만약 ITER가 성공한다면 인류는 화석 연료를 태우거나 핵폐기물의 처리에 고생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입니다.

ITER는 과연 인류의 기대에 부응할 것인가

하지만 핵융합만으로는 인류는 구원받지 못한 것이라고 Gizmodo US의 Yessenia Funes 기자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지구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에는 기술뿐만 아니라 우리 개개인의 행동 변화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핵융합 기술의 이점, 그리고 그 뜻밖의 함정에 대해서 Funes 기자가 깊이 파고들었습니다.

---

프랑스 남부의 생폴레 듀란스.

이 땅에 놓인 핵융합 실험로 'ITER'의 건설 사이트에서 드디어 조립을 시작했습니다.

ITER는 일본 · EU · 미국 · 러시아 · 한국 · 중국 · 인도 등 7개국에 걸쳐 운영하고 있는 초대형 국제 프로젝트로, 2025년의 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의 약자로, 라틴어로는 '길'도 의미하고 있다고 하며, 양자과학기술 연구 개발기구에 따르면 '핵융합 실용화의 길 - 지구를 위한 국제 협력의 길'이라는 소망도 담겨있다고 합니다.

ITER가 개척하는 길. 그것은 석유와 핵분열에 의지하지 않는 미래입니다.


핵분열과 핵융합의 차이


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지금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자로는 450기. 그 모두가 핵분열 반응에서 에너지를 추출합니다. 한편, ITER은 별이 빛을 만들어내는 핵융합 반응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같은 '원자력'임에도 차이는 커서, 과학자들은 수년 동안 핵융합 반응을 지구 상에서 재현하려고 시도했습니다. ITER는 이 시도를 처음으로 대형화한 것입니다.

"핵분열과 핵융합의 차이점 중 하나는, 핵분열 원자로는 개발을 시작하여 몇 년 후에 실현할 수 있었는데 반해, 핵융합 원자로는 60년 이상 지난 지금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여실히 말해주고 있습니다."

ITER에 종사해 온 Eugenio Schuster 교수(미국 리하이대학)은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핵융합 쪽이 훨씬 더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입니다.


핵분열 반응의 위험


그러나 조기에 실용화된 핵분열 쪽은 불행히도 안전성 면에서의 과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

핵분열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방사성 원소에 중성자를 부딪쳐 핵분열의 연쇄를 일으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반응을 제어하면서 실행하는 것이 원자로이고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원자폭탄입니다.

원자폭탄이 빚어낸 참극은 말할 것도 없고, 원자로도 멜트다운 위험의 수반 외에도 대량의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도 안고 있습니다.

또한, 핵분열 반응에 사용되는 우라늄의 채굴이 환경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사례도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우라늄의 채굴로 나바호 족의 땅을 오염시켜 건강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고 합니다.

"우라늄 오염이 나바호 같은 미국 원주민 지역 사회에 미치는 피해는 심각합니다"라고 말하는 환경보호단체 Diné CARE의 사무국장 Carol Davis 씨. "우라늄에 오염된 식수가 방치되어 있고, 나바호의 사람들은 그 물을 마시고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에서만도 9만톤의 핵쓰레기가 갈 곳을 잃어 헤매고 있는 지금, 건강 피해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핵분열 반응에 회의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많고, Davis 씨도 그중 한 사람입니다. 대량의 방사선 물질을 퍼뜨리는 위험 외에도 풍력이나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자금을 빼앗고 있다는 엄격한 견해를 숨기지 않습니다.


핵융합 반응의 장점


핵융합은 그 이름대로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하는 반응을 통해 융합했을 때 큰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핵융합은 별의 중심핵에서 만들어지는 에너지의 근원으로. 태양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났을 때 생성되는 막대한 에너지에 의해 빛나고 있습니다.


별의 중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지구 상에서 재현하려면, 1억 5000만 도라는 초고온 환경이 필요합니다. 물질을 1만 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플라즈마'라고 불리는 제4의 상태가 되어 원자핵과 전자가 뿔뿔이 흩어지게 됩니다. 1억 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자핵이 빠르게 날아다니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원자핵끼리 엄청난 속도로 충돌하고 합체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으로 바뀌는 ── 즉, 핵융합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일억 도로 가열된 플라즈마라고 들으면 매우 위험한 느낌이 있지만, 이 플라즈마는 초전도 자석에 의해 도넛형의 장비에 갇히기 때문에 외부에 누출될 염려는 없다고 합니다. 핵융합 반응은 원자로가 멜트다운될 위험이 없고 우라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필요한 것은 물과 리튬) 지구온난화 가스를 직접적으로 배출하지 않습니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보면 재생에너지와 같은 장점이 있고 동시에 같은 에너지량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면적은 훨씬 작습니다. 또한 지금까지의 원자로처럼 반감 기간이 긴 방사성 폐기물과 원전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습니다." (Schuster 교수)

ITER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트리튬)를 핵반응시킵니다. 중수소는 바닷물 속에 자연스럽게 존재하고 있는 것을 사용해, 삼중 수소는 자연에 존재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리튬으로 만들어냅니다.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리튬과 물(해수)의 양은 채굴 산업 등에 비하면 미미해. ITER가 연간 소비하는 연료의 총량은 겨우 250킬로그램라고 합니다 . 게다가 Schuster 교수의 지적에 따르면, 중수소를 꺼낸 해수는 대부분이 바다로 되돌려져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고 합니다.


핵융합의 함정


ITER에 대한 우려는 환경 부하가 아니라 오히려 안전성입니다.

프린스턴 대학 조교로 ITER에 참여하는 Egemen Kolemen 씨는 "핵분열 반응과는 다르지만, 핵융합 반응 역시 핵반응입니다. 따라서 소량이지만 핵쓰레기가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습니다"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핵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그 쓰레기의 부담을 둘러싸고 불평등이 일어납니다.

"핵융합로에 관해서는 믿을 수 없는 이점이 선전되고 있어 경계해야 하며, 동시에 비용면에도 제대로 눈을 돌려 누가 그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해야 합니다"고 경고하는 목소리를 내는 환경보호 단체 Diné CARE에서 활동하는 Leona Morgan 씨. "우리는 지금까지 원자로를 둘러싸고 인권 침해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목격해 왔습니다. 우선은 이 문제에서 배우고 교훈을 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핵융합로를 만들기 전에 먼저 핵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공정하게 결정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미국의 과거를 뒤돌아보면, 핵쓰레기 문제가 소수 민족과 저소득층 커뮤니티에 너무 무거운 부담을 강요해온 것은 부인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핵융합은 인류를 구원하지 못한다


지금 ITER는 지속 가능한 인류의 발전을 지원하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실험단계이지만, ITER가 성공하면 석유 연료에 의지하지 않는 발전이 가능하게 되어, 지구온난화에 제동을 걸 수 있을지도 모르고, 핵분열 원자로와도 이별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핵융합은 기술에 불과하며 기술만으로는 인류는 구원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완벽한 에너지원을 개발한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지구온난화를 멈추려는 우리 각자의 행동 변화가 핵심입니다 . 온난화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깨끗한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동시에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 새로운 생활 양식을 습관화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게다가, 원래 온난화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취약 계층인 마이너리티에 엉뚱한 비용을 지불하게 한다면 본말전도입니다.

핵융합에 필요한 리튬은 주로 아르헨티나와 칠레에서 채굴됩니다. 현지에 사는 원주민들 사이에선 채굴에 필요한 대량의 수자원 및 토양 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연못이나 하천은 점차 말라 지하수가 고갈되고, 물은 점점 희귀해질 것입니다. 평화 목적의 핵융합 에너지조차도 큰 비용을 안고 있는 것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核融合は人類を救うわけじゃない
https://www.gizmodo.jp/2020/08/nuclear-fusion-will-not-save-us.html#cxrecs_s

核融合は人類を救うわけじゃない

「原子炉」の常識を塗りかえられるか。世界一の規模を誇る核融合実験炉「ITER」の建設がついに始まりました。これまでの原子炉は、原子爆弾に使われたの...

www.gizmodo.jp

 

Posted by 말총머리
,


일본 국립천문대의 미요시 마코토 씨가 지적한 내용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블랙홀의 이미지는, 천체로부터 신호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생긴 샘플링 바이어스(정보의 편향과 같은 것)에 의해 링의 형태로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것입니다.

이 블랙홀 사진은 지구 규모의 망원경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에 의해 촬영되었는데, 전 세계의 다양한 위치에 있는 망원경을 조합하여 각각 취득한 신호를 하나의 이미지로 구축하였다고 합니다.


얻어진 데이터의 총량은 수 페타바이트(100만 기가바이트)에 이르고, 이 데이터는 독일의 막스플랑크 전파천문학연구소와 미국 매사추세츠 덤불관측소에 설치된 전용 슈퍼컴퓨터에서 처리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국제 협력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일대 프로젝트였습니다.


이미지에 보이는 수수께끼의 꼬리


미요시 씨가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중 하나가 블랙홀의 사진에 희미하게 비치는 4개의 꼬리.

이것을 직선으로 연결해주면 이런 느낌.


이 선의 폭이 블랙홀의 크기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와 겹쳐 보면 이런 느낌.


늘어나고 있는 꼬리의 방향과 원본 이미지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유명한 제트가 보이지 않는 수수께끼


또 다른 계기는, 촬영된 이 M87라는 천체의 유명한 '제트'가 사진에 찍혀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블랙홀은 강한 중력으로 물질을 흡입하는 한편, 광속의 99.99% 이상의 속도로 물질을 분사하는 '제트'라는 운동을 합니다.

그 유명한 제트가 보이는 이미지


이처럼 분명히 존재하는 제트의 모습이 이번 사진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도너츠형으로 보인다


이번 블랙홀을 촬영하는 데 사용한 것은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전 세계에 흩어진 망원경을 이용하여 측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각각의 관측 기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고, 그것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정리했습니다.

그 정보의 변화를 정리한 것이 아래의 그림입니다.

색상별로 나뉘어져 세로축은 각각의 신호 세기이고, 가로축은 관측된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강도 높게 관측할 수 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 점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세로축은 취득한 데이터 샘플 수, 가로축은 데이터가 가지는 이미지에서의 폭을 보여줍니다.


위 그림에서 대체로 40 부근의 신호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이 결여된 데이터의 부분이야말로 이번 블랙홀에서 보인 링의 폭에 해당합니다.


그러면 실제로 포착된 이미지를 확인하자.


이것은 우리가 본 적이 없는 이미지의 이전 처리 단계입니다.


그러면 중간에 검은, 신호가 적은 상이 떠올라 보입니다.

이와 같이, '정보가 없는' 것이, 마치 중간에 둥근 구조가 '있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정보의 부족이 초래한 오해


실제로 '측정하지 못한 것'과 '일어날 수 없는 것'의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미요시 씨는 시사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HOTOGRAPH COURTESY OF ESA / HUBBLE / NASA


빛나는 가스와 별들로 이루어진 거대 성운이 다른 별의 방사선에 의해 우주의 한쪽 구석에서 사라져 가고 있다. 그리고 은하수를 꼭 닮은 나선은하의 중심에서 초거대 질량의 블랙홀이 모든 별을 삼키고 있다. 그런 아름답고도 무서운 우주의 모습을, 탐사선은 담담히 촬영하여 인류에게 사진으로 전달하고 있다.

超大質量ブラックホールに飲み込まれる銀河の姿から、消えゆく「ゴースト星雲」まで:今週の宇宙ギャラリー
輝くガスと星たち
https://wired.jp/2018/12/06/ghost-nebula/

超大質量ブラックホールに飲み込まれる銀河の姿から、消えゆく「ゴースト星雲」まで:今週��

輝くガスと星たちからなる巨大星雲が、別の恒星からの放射線によって宇宙の片隅で消えていこうとしている。そして、天の川銀河にそっくりな渦巻銀河の中心では、超大質量ブラックホー�

wired.jp

 

tofoli.douglas

고스트 성운(Ghost Nebula)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 있다. 지구에서 불과 1,500광년 거리에 있는 이 성운은 몇 광년 거리에 있는 '카시오페아자리 감마성'에 의해 소멸의 위기에 몰려 있다. 이 강력한 항성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받아 고스트 성운은 Hα(에이치알파)선을 방출하고 있다. 이온화된 수소 원자가 방출하는 휘선 스펙트럼의 하나로, 붉게 보이는 이유이다. 고스트 성운은 결국에는 파괴될 운명인데,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 영역에 있는 모든 성운이 카시오페아자리 감마성에 의해 천천히 지워져 없어지고 있다.



PHOTOGRAPH COURTESY OF ESA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가 화성에 있는 그릴리(Greeley) 분화구라는 영역을 촬영하고 16의 화성 궤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조합했다. 황갈색의 평평한 표면에 크기가 다른 다수의 분화구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화성의 이 지역에 많은 운석이 충돌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PHOTOGRAPH COURTESY OF ESA

약 4,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NGC 5033'은 모양도 크기도 은하수(직경 약 1억 광년)와 유사하지만 큰 차이점이 있다. 우선 핵이 매우 활발하고, 그 기세는 초거대 질량 블랙홀에 의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 그리고 활동은하 핵이 있는 '세이퍼트 은하'로 분류된다는 점이다. 이 사진은 블랙홀이 주변의 모든 별을 삼키고, 그 결과 중심에서 파장이 다른 전자기 스펙트럼이 방사상으로 퍼져있는 모습을 비추고 있다. 슬프게도, 우리가 이러한 별들을 위해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 광경이 허블 망원경의 카메라에 포착된 시점에는 이미 4,000만 광년이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별들은 이미 삼켜진 후이기 때문이다.



PHOTOGRAPH COURTESY OF ESA

화성에서 떠나기 전에 이 착색된 작은 언덕을 보았으면 좋겠다. 이것은 ExoMars Trace Gas Orbiter에 탑재된 고성능 카메라 'CaSSIS (Colour and Stereo Surface Imaging System)'가 포착한 것으로, 화성 쥬벤타에 계곡(Juventae Chasma)이라는 영역에 위치한다. '화성의 그랜드캐넌'이라고 불리는 매리너스 협곡(Valles Marineris)의 북쪽에 해당한다. 과학자들은 퇴적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축적했는지를 알기 위해 이 같은 작은 언덕을 조사하고 있다. 퇴적된 층의 조성과 그 형성의 구조를 해명할 수 있으면, 먼 옛날에 이 지역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PHOTOGRAPH COURTESY OF NASA

기후예보 전문채널도 깜짝 놀랄 이 사진은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안에 있는 '우주의 한랭전선'을 포착한 사진이다. 2개의 은하단의 충돌로 '은하 가스'의 춤사위가 발생하고 있다. 오른쪽에서는 새로우며 온도가 낮은 영역이 넓어지고, 왼쪽으로는 오래된 가스가 그 영역을 벗어나는 모습이 비추어지고 있다. 은하끼리의 충돌에 의해 내부의 가스가 해방되어 우주로 방출된다. 이러한 가스는 일반적으로 은하의 다른 곳보다 온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은하 규모의 '우주의 한랭전선'이 생긴다. 이 놀라운 이미지는 3개의 X선 관측위성, 즉 미항공우주국(NASA)의 찬드라, ESA의 XMM-Newton, 독일항공우주센터 주도의 ROSAT를 사용하여 촬영된 것이다.



PHOTOGRAPH COURTESY OF NASA

이 소용돌이 치는 태풍은 NASA의 목성 탐사선 '주노'가 목성의 구름을 약 32,000마일(약 51,500km) 위에서 촬영한 것이다. 이런 선명한 이미지는 천문학자들에게 엄청나게 매력적인 것이다. 'White Oval A5'라는 고기압 구조의 상세 이미지는 목성 연구에 혁명을 가져오고 있다.

Posted by 말총머리
,
Morning Brew


마스터키는 하나로 많은 잠금장치를 열 수 있는 열쇠의 대장입니다. 호텔 등에서는 마스터키가 상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객실 열쇠를 잃어버렸거나 훼손되었을 때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아파트 등 관리자가 마스터키를 가지고 있으면 만일의 경우에 유용합니다.

이 마스터키는 다른 키와 같이 스페어 키(예비 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제작이기 때문에 스페어 키를 만드는 것은 추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마스터키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를 주의해야 합니다.


마스터키의 기본


모든 객실을 열 수 있는 마스터키는 '부모 키'라고 하며, 한 객실만 열 수 있는 열쇠를 '아이 키'라고 합니다. 임대 주택 입주 시에 전달되는 키나 호텔에 숙박할 때 전달되는 객실의 열쇠도 전부 아이 키입니다. 아이 키는 부모 키보다 모양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 키와 아이 키를 아마추어가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면 외형으로 판단할 수 없을 것입니다.


마스터키로 잠금장치를 여는 방법


열쇠는 열쇠 구멍에 삽입하여 내부의 실린더를 조작하여 열리는 구조입니다. 톱니 부분과 일치하는 실린더가 아니면, 돌려서 잠금을 해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마스터키는 실린더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터키 하나로 어느 방도 열 수 있는 것입니다.


왜 마스터키가 필요한가?


숙박 시설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게 손님을 대피시키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러한 비상사태에 많은 열쇠를 갖고, 한 방씩 열쇠를 바꿔가며 잠금을 해제하기에는 너무 오래 걸려 버립니다. 마스터키 하나로 여러 방을 잇달아 열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빠른 구출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대 주택 등에서는 장기간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는 마스터키를 사용하여 실내에 들어가 안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열쇠를 분실했을 때도 마스터키만 있으면 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터키는 불시의 비상사태에 필요한 것입니다.



마스터키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마스터키를 조합하고 시스템화하여 활용이 가능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5가지의 키 시스템에 대해 소개합니다.

◆ 마스터키 시스템
1개의 마스터키로 복수의 잠금을 여는 방식을 마스터키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그랜드 마스터키 시스템
마스터키 시스템의 그룹이 여러 개 존재하고, 그 모든 그룹을 열 수 있는 열쇠입니다. 예를 들어, 숙박 객실 수가 많은 호텔 등은 층마다 그랜드 마스터키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5층의 그랜드 마스터키라면, 5층의 객실 전체를 열 수 있습니다.

◆ 그레이트 그랜드 마스터키 시스템
그랜드 키 시스템을 더욱 집합시킨 마스터키 시스템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객실을 열 수 있는 열쇠입니다.

◆ 역마스터키 시스템
여러 키에서 특정 잠금장치를 열 수 있는 것이 역마스터키 시스템입니다. 아파트 입구 등 개인의 집 열쇠로 공유 영역의 잠금장치를 열 수 있습니다.

◆ 건설 키 시스템
건설 중인 건물 등 공사 관계자와 소유자가 모두 잠금장치를 열 수 있습니다. 공사가 완료되면 소유자가 정품 키를 사용하는 시점에서 실린더의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전의 키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구조입니다.

Jaye Haych


스페어를 만들 수 있다?


마스터키는 스페어를 작성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마스터키의 중요성에서 스페어 키를 만들 때 신분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잡한 구조 때문에 거리의 열쇠공은 만들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 사용하면 범죄에 연루될지도....


만약 어떤 이유로 마스터키가 제삼자의 손에 넘어가 버리면 건물 내부 곳곳에 침투되어 버리는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분실한 경우에는 마스터키를 관리하는 사람까지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마스터키를 분실했을 때는 즉시 통보하고, 마스터키에 따라서는 모든 잠금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단순한 분실이 아닌 도난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악용될 우려가 있으므로 즉시 경찰에 상담합시다.

Posted by 말총머리
,

 

1. 일반 세탁기에 비해 크다


기존의 세로로 긴 일반 세탁기는 슬림하지만, 우리집에서 사용하는 드럼식 세탁건조기는 뚱뚱합니다. 임신한 배처럼 앞이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폭이 크기 때문에 세탁기를 두는 곳에 들어가는지 체크가 중요합니다!

좁은 세탁실이라면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2. 건조기를 사용할 때마다 필터 청소가 필요


세탁건조기의 건조 필터를 열어 매번 청소해야 합니다.
건조 필터를 칫솔로 청소합니다. 매번은 역시 귀찮네요!
그러나 이 작업은 1분이 채 걸리지 않아, 빨래를 손으로 너는 것보다 수고는 덜합니다.

 

3. 일주일에 한 번은 배수 필터의 청소가 필요


오랫동안 소중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한 번의 배수 필터 청소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청소를 빼먹으면 건조를 한 후 세탁물에서 냄새나는 일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4. 전기 요금이 걱정


세척에서 건조까지 대략 3시간 반 정도 걸립니다. 세탁 양이 적을 때는 2시간 반이면 됩니다만,
5인 가족의 집에서는 매회 3시간 반이 걸립니다.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는, 도대체 언제까지 돌아가는 걸까라고 ... 불안했습니다 ^^;

그만큼 오랜 시간 동작합니다.

전기 요금이 걱정되어 버립니다만, 실은 그렇게 걸리지 않습니다!

전기 요금은 하루 1번 세탁 건조라면 월 5,000원 정도입니다.


5. 건조할 때 소리가 크다


건조할 때 세탁건조기의 파워는 대단합니다.

만져보면 세탁기 자체가 뜨거워져 있고, 덜컹덜컹 흔들리며 소리를 냅니다. 세탁실의 문을 닫아두면, 자는 아이를 깨울만큼 큰 소리는 나오지 않습니다.

최신형은 더 소리가 작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6. 많은 세탁물을 한 번에 건조할 수 없다


세탁건조기는 빨 수 있는 세탁물의 양과 건조할 수 있는 세탁물의 양이 다릅니다.

그래서 세척에서 건조까지 원스톱으로 하기 위해서는 건조할 수 있는 양밖에 돌릴 수 없습니다.

대략 10㎏ 세탁기로 한 번에 건조할 수 있는 양은 6㎏입니다.

 

7. 매번 건조기를 사용하면 옷이 상하기 쉽다


건조기를 매일 사용하면 역시 옷에는 데미지가 큽니다.

그러나 건조에 강한 소재의 옷이라면 신경을 쓰지 않아도 좋습니다.

 

8. 아이가 안에 들어가 질식사하는 사고가 있었다


5세 어린이가 세탁건조기에 들어가 질식사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세탁기의 문이 열려 있으면 장난끼에 들어가 보고 싶어지는 모양입니다.

차일드락 기능이 있으면 제대로 활용합시다.


그래도 제가 세탁건조기를 추천하는 이유는 이 3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 가사노동의 시간 단축
무수히 많은 가사노동 중에서 '빨래 널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빨래한 경험도 없는 남편도 가능하다
조작이 매우 간단하여 남편도 손쉽게 돌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자 분 중에는 가전을 좋아하시는 분도 많습니다.
남편의 가사 참여도를 높일 절호의 기회입니다

- 아침 시간에 여유가 있다
아침 시간의 여유가 만들어져 아이들과 어울리며 보낼 수 있습니다

빨래를 말리는 15분을 커피를 마시는 시간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돈으로 귀중한 시간과 마음의 여유를 얻는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