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0.11.27 대량 살처분된 밍크가 좀비처럼 무덤에서 나오는 사태가 발생
  2. 2020.11.27 1조 2000억 트랜지스터 수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칩 'Wafer Scale Engine'에 의한 시뮬레이션은 물리법칙을 초월할 정도로 쾌속
  3. 2020.11.27 '공상의 산물'이었던 레이저 무기는 어떻게 현실적인 무기가 되었는가
  4. 2020.11.27 케네디 대통령 암살사건의 치료에 임했던 의사가 당시를 회상하는 인터뷰에 응하다
  5. 2020.11.27 '핵융합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큰 전진, 레이저 핵융합이 중간 이정표에 접근
  6. 2020.11.27 비누의 화학
  7. 2020.11.26 '비누'와 '합성세제'의 차이
  8. 2020.11.26 비누와 세제의 과학
  9. 2020.11.26 인간에서 채취되지 않기 위해 진화한 식물이 있다
  10. 2020.11.26 암호 분석 등에 사용되는 '레인보우 테이블'의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
  11. 2020.11.26 '치과 치료'에 얽힌 불공평하면서 살벌한 역사
  12. 2020.11.25 플라즈마의 구조와 종류, 발생조건
  13. 2020.11.24 무료로 브라우저에서 어떤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Cover Your Tracks'
  14. 2020.11.24 우주에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15. 2020.11.24 작업의 우선순위를 4가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아이젠하워 매트릭스'란?
  16. 2020.11.24 '잠재적인 패턴'을 무의식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높은 사람은 상위존재인 신을 믿을 가능성이 높다
  17. 2020.11.22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전지구적 영향과 대책
  18. 2020.11.22 '추위 알레르기'를 가진 남성이 샤워 후 죽을 뻔했다는 사례
  19. 2020.11.21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하는 '4가지'
  20. 2020.11.20 Google이 전 세계로 'Messages' 앱의 RCS 기능을 확장...end-to-end 암호화도 예정
  21. 2020.11.20 iPhone 12 Pro Max의 카메라는 "놀라운 것"이라고 카메라앱 개발자가 극찬
  22. 2020.11.20 마이크가 없는 로봇청소기를 이용한 도청의 위험
  23. 2020.11.19 생선 비린내는 식초가 잡아준다
  24. 2020.11.19 세간에 큰 충격을 준 '역사에 기록된 강도 · 절도 사건 7선
  25. 2020.11.19 요산 수치를 낮추는 커피 마시기
  26. 2020.11.18 [통풍] 어느 날 갑자기 습격해오는 심한 통증
  27. 2020.11.18 미군이 앱에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매집하는 것으로 판명
  28. 2020.11.17 Intel을 업계의 정상에 세우고 다시 위기에 빠트린 '파괴적 혁신' 이론이란?
  29. 2020.11.16 Google이 모바일 데이터를 매월 260MB 낭비하고 있다는 집단소송이 제기되다
  30. 2020.11.15 스티브 잡스의 기발한 매니지먼트 기술이 Apple을 계속해서 성공시키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돌연변이종의 감염 사례가 보고된 결과, 밍크의 대량 살처분을 실시한 덴마크에서 살처분이 된 밍크가 무덤에서 나오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밍크의 살처분을 받아들였던 지역의 시장은 밍크를 화장하도록 당국에 요청했다고 합니다.

Døde corona-mink presser sig op fra graven: Én meters dybde kan ikke holde dem nede | Midt- og Vestjylland | DR
https://www.dr.dk/nyheder/regionale/midtvest/doede-corona-mink-presser-sig-op-fra-graven-en-meters-dybde-kan-ikke

Døde corona-mink presser sig op fra graven: Én meters dybde kan ikke holde dem nede

Gasser får aflivede mink til at svulme op og trænge op igennem jordoverfladen.

www.dr.dk


Culled mink rise from the dead to Denmark's horror | Denmark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0/nov/25/culled-mink-rise-from-the-dead-denmark-coronavirus

Culled mink rise from the dead to Denmark's horror

Carcasses rose to surface at improvised mass grave owing to gases from decomposition

www.theguardian.com


COVID-19: Denmark minks seem to be rising from the dead
https://www.usatoday.com/story/news/world/2020/11/25/covid-19-denmark-mink-rising-from-the-dead/6426378002/

Dead minks infected with a mutated form of COVID-19 rise from graves after mass culling

Minks infected with a mutated strain of COVID-19 in Denmark have “risen” from the dead, igniting a national frenzy and calls to cremate carcasses.

www.usatoday.com


2020년 11월 4일, 밍크에게서 발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의 돌연변이종이 인간에 감염되었다는 사례가 덴마크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세계 최대의 밍크 산업을 보유한 덴마크는 이 보고에 따라 밍크 1,500 ~ 1,700만 마리의 도살 처분을 결정했고, 확인된 감염자가 6000만 명을 돌파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COVID-19)에 대해 신속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그러나 돌발적으로 이루어진 밍크 대량 살처분에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살처분은 1m 깊이의 구덩이에 밍크의 시체를 투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습니다만, 밍크 시체가 지상에 노출되는 사태가 덴마크 서쪽 Holstebro시에서 발생했습니다. 다음은 덴마크방송협회가 보도한 Holstebro시 교외에 위치한 군사훈련장 내에 굴착된 매장지의 상황. 밍크 시체가 지상에서 보이는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밍크의 대량 살처분을 담당한 덴마크 경찰청의 토마스 크리스텐슨 대변인은 "시체가 부패하면 가스가 발생하고 시체 자체가 팽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시체의 팽창에 의해 밍크가 지상에 밀려 올려진 최악의 상황입니다. 유틀란트 반도 서부의 토양은 모래가 많아서 가벼워 더 많은 흙을 동원해야 했습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by dyrevern. https://www.flickr.com/photos/dyrevern/


밍크에서 전파되는 SARS-CoV-2는 주로 호흡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밍크 시체가 SARS-CoV-2를 확산시킬 가능성은 낮다고 추정하지만 크리스텐슨 대변인은 "일반적인 병원균의 위험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20cm × 22cm라는 크기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칩 'Wafer Scale Engine'을 탑재한 데이터센터용 모듈 'Cerebras CS-1'에 의한 시뮬레이션 속도의 검증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구팀의 발표에 의하면, '마침내 현실의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속도로 시뮬레이션 기반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2010.03660] Fast Stencil-Code Computation on a Wafer-Scale Processor
https://arxiv.org/abs/2010.03660


Wafer scale Cerebras CS-1 flexes its muscles in scientific tasks - CPU - News - HEXUS.net
https://hexus.net/tech/news/cpu/146986-wafer-scale-cerebras-cs-1-flexes-muscles-scientific-tasks/

Wafer scale Cerebras CS-1 flexes its muscles in scientific tasks

The single 462cm2 chip is 200x faster than the NETL Joule 2.0 (84k core) supercomputer.

hexus.net


Trillion-transistor chip breaks speed record
https://techxplore.com/news/2020-11-trillion-transistor-chip.html

Trillion-transistor chip breaks speed record

The biggest computer chip in the world is so fast and powerful it can predict future actions "faster than the laws of physics produce the same result."

techxplore.com


2019년 신생 기업 Cerebras Systems는 미국국립에너지기술연구소와 협력하여 거대한 칩 'Wafer Scale Engine'을 개발했습니다. 이 Wafer Scale Engine은 TSMC의 16nm 프로세스 노드를 채용하고 있으며, 1조 200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탑재해, 약 40만 개의 스파스 선형대수학 계산코어를 탑재한 사상 최대의 컴퓨터 칩이라고 화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Wafer Scale Engine을 탑재한 냉장고만 한 크기의 딥러닝 시스템이 'Cerebras CS-1'입니다.


Wafer Scale Engine의 코어에 탑재되는 18GB의 SRAM은 메모리 대역폭이 9.6PB/s이고 100Pbps로 작동하는 'Swarm'이라는 네트워크 패브릭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Cerebras System은 "CS-1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AI 계산시스템"이라고 어필합니다.


그리고 Cerebras Systems와 에너지기술연구소의 공동연구팀이 CS-1로 발전소의 연소공정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총 1만 6000코어 Intel Xeon 칩을 탑재한 HP 정품 슈퍼컴퓨터 'Joule 2.0'이 6밀리초 걸리는 계산을 CS-1은 불과 28마이크로초에 해내어, 약 200배 이상의 속도로 계산해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탑재 CPU와 GPU의 수에 관계없이 현재의 슈퍼컴퓨터 중 CS-1의 성능에 필적하는 것은 없다"고 연구팀은 주장합니다.

어떻게 Joule의 200배 이상의 속도로 계산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연구팀은 "Joule에 사용되는 Intel Xeon 캐시는 SRAM의 성능을 끌어내는 효과가 낮고, Intel Xeon가 Wafer Scale Engine의 코어에 비해 40%의 성능밖에 내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아닐까"라고 추측합니다.


Cerebras Systems는 "CS-1의 작업은 과학 계산의 성능에 큰 진보의 문을 엽니다. CS-1은 100만 개 이상의 유체셀을 실시간보다 고속으로 시뮬레이션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처음으로 실증해 보였습니다. CS-1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에서 현재의 동작 조건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즉 CS-1은 물리법칙이 동일한 결과를 실현하는 것보다 빨리 어떻게 될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또한 Cerebras Systems는 차세대 Wafer Scale Engine을 탑재한 CS-2의 개발에 착수하고 있다고 합니다. IT계 뉴스사이트 Hexus에 따르면, TSMC의 7nm 공정 노드를 채용하여 트랜지스터 수는 2조 6000억, AI코어는 85만 개로 늘려 CS-1의 두 배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ndrew 'FastLizard4'Adams https://www.flickr.com/photos/fastlizard4/


광선총이나 레이저 총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무기라고 생각되었고 SF영화나 만화에서만 취급되던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레이저 무기는 조금씩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인류가 어떻게 레이저 무기를 실현했는지에 대해 무기와 차량 관련 뉴스를 다루는 The Drive가 정리하고 있습니다.

How The Once Elusive Dream Of Laser Weapons Suddenly Became A Reality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37775/how-the-once-elusive-dream-of-laser-weapons-suddenly-became-a-reality

How The Once Elusive Dream Of Laser Weapons Suddenly Became A Reality

One of Lockheed Martin's top directed energy minds explains how breakthroughs in communications and industrial tech made laser weapons possible.

www.thedrive.com


'광선을 발사하여 데미지를 준다'는 레이저 무기의 아이디어 자체는 오래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으며, 1898년에 발표된 H · G 웰즈의 SF소설 '우주전쟁'에서는 화성인이 탑승한 Tripod(삼각전차)으로 'Heat Ray(열선)'를 발사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Heat Ray는 '알 수 없는 재료로 만든 포물면 거울로부터 임의의 개체에 평행빔으로 투사되는 열에너지'로 밝은 백색 빛의 형태이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설정입니다.

단일 파장 지향성과 융합성이 뛰어난 레이저는 1957년에 발명되었지만, 발명으로부터 60년 이상 지난 2020년에도 레이저는 무기로서 실용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군수기업인 록히드 마틴의 레이저 센서시스템 부문 수석연구원인 로브 압자르 박사는 레이저 무기 개발이 좀처럼 부진했던 이유 중 하나로 "레이저 무기의 원래 용도가 전략적 방어 임무였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by Photograph Curator. https://www.flickr.com/photos/127906254@N06/


군사 임무 중에서도 특히 어려운 임무가 탄도미사일로부터 국토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레이저 무기가 있으면 탄도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습니다만, 날아오는 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이 가능한 레이저 무기는 너무나 크기 때문에 트럭과 비행기, 선박조차도 탑재 및 운용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불확실한 공격에 대비하여 운용과 유지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고출력 레이저 무기의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시도하는 것은 너무 하이리스크 로우리턴이었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20세기 말 냉전이 종료되고 핵탄두 탑재 탄도미사일을 가지고 대국이 대치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현재 실전에 위협이 되는 것은 거대한 핵미사일이 아니라 무장한 무인항공기와 박격포, 로켓포 등 대량생산된 저가 무기입니다. 전쟁의 양상이 바뀌어 '전략적 방어'보다 '전술적 방어'가 중요시되어 '매우 빠르게 반응하고 매우 짧은 시간에 효과를 내는 것'이 요구되었습니다.

1960년경에 광섬유가 등장함에 따라 레이저 무기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광섬유는 '적은 손실률로 빛을 장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는 특성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90년경부터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장치의 개발이 시작되었고, 현재의 초고속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이 광섬유 통신기술은 곧 광섬유 레이저 기술의 개발로 이어집니다. 광섬유 레이저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고출력 레이저 무기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by Groman123. https://www.flickr.com/photos/pkirtz/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무기는 하나의 고출력 레이저를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레이저를 하나로 묶어 레이저를 발사합니다.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으로 분해되지만, 파이버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무기는 바로 이 프리즘 성질을 역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의 빛을 하나로 묶어버린다는 것입니다.

광섬유 레이저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전력의 30%~35%를 레이저로 변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언뜻 보면 변환효율이 낮은 듯하지만, 종래의 고체 레이저와 비교하면 전력 변환효율은 10% 포인트 가량 올랐다고 합니다. 또한 레이저 무기 자체도 작고 강력해져 군용차량과 함정, 항공기에 탑재하기도 쉬워졌습니다.

실제로 2014년 12월 미 해군은 이미 1발에 1,000원이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수송상륙함에 탑재한 레이저 무기를 발사하는 실험을 공개했습니다.


또한 2020년 5월에는 미 해군은 군함에서 레이저 빔으로 드론을 격추하는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단순히 드론과 로켓포를 격추할 뿐만 아니라 전투기와 미사일의 전방에 탑재하여 극초음속 비행을 실현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레이저 무기 기술은 록히드 마틴이 업계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압자르 박사는 "저비용의 무인정찰기 격추에 높은 비용의 고성능 유도미사일을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운영 비용이 낮은 레이저를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위협에 높은 반응속도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위협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옵션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바로 록히드 마틴의 타사를 압도하는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World 's Direction


1963년 11월 22일 미국 텍사스에서 유세를 하고 있던 제35대 미국대통령 존 F. 케네디가 퍼레이드 도중 총격살해되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총격 후 케네디 전 대통령이 옮겨진 텍사스 댈러스의 파크랜드 기념병원에서 케네디 전 대통령의 소생을 시도했던 의료팀이 당시의 일을 회상하는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JFK in Trauma Room One : A Witness Remembers | MedPage Today
https://www.medpagetoday.com/emergencymedicine/emergencymedicine/89772

JFK in Trauma Room One: A Witness Remembers

At just 25, Joe Goldstrich, MD, was the youngest member of the Kennedy treatment team

www.medpagetoday.com


Could We Save JFK Today? | MedPage Today
https://www.medpagetoday.com/meetingcoverage/acep/ 89463

의료계 미디어 MedPage Today가 실시한 인터뷰에 응한 인물은 사건 당시 25세의 의대생이었던 Joe Goldstrich 씨입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의 치료에 임한 의료팀의 막내였던 Goldstrich 씨는 1963년 11월 22일 아침 다른 환자의 수술을 실시, 전경부 추간판을 절제했다고 합니다. 수술은 성공했지만 "출혈에 의한 기도폐색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신경외과 책임자인 Kemp Clark 박사가 지적했기 때문에 Goldstrich 씨는 기관절개에 관한 책을 도서관에서 읽거나 환자의 모습을 확인하는 등 평범한 오전을 보내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점심을 먹고 있을 시점에 원내에 Clark 박사를 찾는 호출이 울려퍼져 '기도폐색이 일어난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했던 Goldstrich 씨는 서둘러 환자의 병실로 향했습니다. 환자는 평안한 모습으로 잡지를 읽고 있어, 왜 Clark 박사가 불려나갔는지 Goldstrich 씨는 몰랐다고 합니다. Goldstrich 씨가 곤혹스러운 모습을 보이자 환자는 창문을 통해 병원의 입구를 가리키며 "아마 병원에 세워진 리무진과 관계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퍼레이드 중 총격된 케네디 전 대통령과 존 코널리 텍사스 주지사를 태운 리무진이었습니다.

Goldstrich 씨는 케네디 전 대통령이 들것에 옮겨지는 것과 거의 동시에 응급실에 들어갔습니다. Goldstrich 씨는 들것에서 수술대로 케네디 전 대통령의 몸을 옮겼고 1도어 냉장고 정도의 크기인 제세동기를 응급실에 옮겨 넣는 등 주로 잡일을 소화했다고 합니다. Goldstrich 씨는 환자가 케네디 전 대통령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합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은 목의 아래쪽에 비교적 작은 상처, 오른쪽 머리에 큰 상처가 있었고 병원에 도착했을 때 맥박이나 혈압 없이 심장마비 직후의 환자가 보이는 임종기호흡을 천천히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의료팀의 일원이었던 Terry Kowalenko 의사는 케네디 전 대통령에 대한 치료는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이루어졌다고 증언합니다.

의사들은 목의 상처에서 기관절개술을 실시하여 인공호흡기에 연결하였고 애디슨병에 의한 부신피질 기능부전이 있어 300mg의 하이드로 코티손을 투여했습니다. Kowalenko 씨는 현재라면 목의 상처를 절개하고 삽관하는 대신 입으로 삽관을 실시하는 등 치료 과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거의 현재와 같은 치료가 이루어졌다고 증언합니다.

그리고 응급실의 디렉터였던 Charlie Baxter 씨가 케네디 전 대통령이 심장마사지를 실시하여 소생을 시도했지만 효과가 없었습니다. Clark 박사가 응급실에 들어와 "오 하나님이여 .Charl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그의 뇌가 바닥에 떨어져 있다"고 지적했고 이후 공식적인 사망선고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이 당시 응급실에는 케네디 전 대통령의 영부인이었던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씨가 있었다고 합니다만, Clark 박사는 재클린의 모습을 보지 못했습니다. Goldstrich 씨에 따르면, 재클린 씨는 의사가 사태에 대해 매우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충격을 받은 것 같았다고 합니다.

또한 케네디 전 대통령의 치료에 임한 외과의사 James Carrico 씨는 과거의 증언에서, 의료팀은 이전에도 수많은 환자에 유연한 치료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환자가 현직 대통령이었다는 점은 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확실히 누구든지 감정적인 영향을 받지만, 감정적인 측면에 의해 우리는 더 빨리 생각보다 잘 작동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Carrico 씨는 말합니다.

Goldstrich 씨는 인터뷰에서, 케네디 전 대통령은 아마 도착하기 전에 죽었지만, 당시는 전문의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견해는 아마추어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언급합니다. 또한 치료에 대해 후회가 있다면 "목의 상처에 기관절개술을 실시하여 삽관한 것"이라며, Goldstrich 씨는 목의 상처를 보았을 때 기관절개를 하지 않고도 튜브를 넣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선배 의사에게 "절개술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전하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케네디 대통령 암살사건에 관한 여러 의혹 중 하나는 '저격은 후방에서뿐만 아니라 앞에서도 이루어진 것은 아닐까'라는 것이 있습니다. 목의 상처는 그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이었지만 불행히도 상처는 기관절개시 훼손되었고 어느 방향에서 저격된 것인지 분석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Goldstrich 씨는 당초 케네디 전 대통령의 목 앞쪽에 있던 상처의 윤곽이 깨끗해 "전방에서 피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몇 번이나 총격 당시의 영상을 돌려본 결과 "정면에서 저격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생각을 고쳤다고 합니다.

또한 Goldstrich 씨는 개인적으로 케네디 전 대통령의 팬으로 케네디 전 대통령의 철학이나 의제에 공감하고 있었다고 말합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의 죽음이 선고된 후 평상복으로 갈아입은 Goldstrich 씨는 군중에 섞여 귀가했습니다. "간호학교 기숙사 앞의 거리에는 많은 사람이 모여 있었고, 나는 군중에 섞여 있었습니다. 나는 병원에 있었다는 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고 단지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있었습니다"라고 Goldstrich 씨는 말합니다. 일련의 사건으로 면역력이 떨어졌는지 다음 23일에는 독감에 걸렸지만 24일에 무리하게 병원에 출근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역시 컨디션이 나빴던 그는 원내에서 낮잠을 취했고, 잠에서 깰 즈음 주변이 소란스럽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이때 비로소 Goldstrich 씨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사건의 범인으로 체포된 리 하비 오스월드가 총격을 받아 파크랜드 기념병원으로 이송된 것을 알았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핵융합발전은 청정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미래의 기술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연구개발에 큰 진전을 나타나고 있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발전의 중간 이정표는 '플라즈마 점화'에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미국의 국립점화시설(NIF)가 이 중간 이정표에 도달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Laser fusion reactor approaches 'burning plasma'milestone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mag.org/news/2020/11/laser-fusion-reactor-approaches-burning-plasma-milestone

Laser fusion reactor approaches ‘burning plasma’ milestone

After a decade, National Ignition Facility nears a self-heated, sustained reaction, though net energy gain is still elusive

www.sciencemag.org


2020년 지구상의 에너지는 거의 화석연료에 의해 조달되고 있습니다만, 화석연료는 유한하고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에 이것을 대체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 가능성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는 것이 핵융합 에너지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는 수소와 헬륨처럼 가볍고 작은 원자핵의 원자 또는 동위원소의 원자핵끼리 융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그리고 핵융합발전은 크게 분류하면, 강한 자력선을 발생시켜 플라즈마를 가두는 '자장밀폐방식'과 강력한 레이저를 연료에 조사함으로써 핵융합을 일으키게 하는 '관성밀폐방식'이 존재합니다. 여러 연구기관이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프랑스에 건설 예정인 국제열핵융합실험로 'ITER'는 자장밀폐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건조를 시작했지만, 아직 목표로 하는 에너지 효율성의 실현은 멀었다고 합니다.


한편, NIF는 관성밀폐방식의 핵융합발전을 합니다. 관성밀폐방식은 연료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팽창하는 플라즈마를 레이저의 힘으로 억누르고 폭축(implosion)을 발생시킵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연료 내부에서 가벼운 원소를 융합시키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레이저를 모든 방향에서 정밀하게 연료에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레이저를 직접 연료로 조사하는 방법도 있지만, NIF는 Hohlraum라는 작은 금속을 가열하고 그 때 발생하는 X선 펄스에 의해 연료캡슐이 가열되여 핵융합이 발생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NIF는 2010년부터 핵융합발전 실험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처음 3년간은 한번의 레이저 조사로 약 1kJ의 에너지밖에 얻지 못하여 목표까지는 요원한 상태였습니다. 당시의 상황에 대해 연구원은 "시뮬레이션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었다"고 말합니다.

연구팀은 테스트 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중성자 검출기를 추가하여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의 3D뷰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에너지 누수를 추적하고 문제를 파악 · 해결했습니다. 또한 초기의 레이저 조사에서는 온도 상승이 천천히 이루어져 압축이 어려웠는데, 이에 연구팀은 온도를 올리고 X선 에너지를 연료캡슐이 더 흡수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그리고 더 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캡슐의 소재는 플라스틱에서 밀도가 높은 다이아몬드로 바꾸었습니다.


몇 년에 걸쳐 이러한 개선을 거듭한 결과, NIF는 한번의 레이저 조사로 60kJ 가까운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NIF의 디렉터인 마크 허먼 씨에 따르면, NIF는 가까운 시일 내에 'NIF가 얼마나 플라즈마 연소에 접근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레이저를 연속 조사하여 측정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측정에서는 1회당 에너지량이 100kJ 가까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NIF가 일단 임계값에 도달하면 핵융합이 더욱 쉽게 된다고 허먼 씨는 말합니다.

핵융합발전이 현실화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이를 위해 시도할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고 합니다. 허먼 씨는 "나는 낙천주의자이며 가능한 한 NIF를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Hohlraum의 모양과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X선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두는 이중벽 연료캡슐 등 다양한 아이디어에 도전해 간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비누의 화학

과학 & 기술 2020. 11. 27. 01:00

 

■ 비누를 만드는 방법

비누의 원료는 동식물성 유지입니다. 유지는 글리세린에 3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과 같은 강알칼리와 반응시키면 가수분해하여 지방산나트륨(비누)과 글리세린이 됩니다.

The Chemistry of Soap
https://images.app.goo.gl/nw5hHtTUeowbnyBS7

Image: The Chemistry of Soap – Wild Earth Apothecary

Found on Google from wildearthapothecary.wordpress.com

www.google.com


사용되는 유지에 따라 지방산의 종류가 다릅니다. 원료 유지에 따라 성질이 다른 비누가 만들어집니다. 비누는 길이가 다르거나 이중결합이 있거나 없는 등 다양한 지방산의 혼합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팜유에 포함된 프릴산 및 올레산을 비교해 보면,      

프릴산 CCCCCCC-COOH      
올레산 CCCCCCCCC = CCCCCCCC-COOH  

라는 식으로 길이는 2배 이상 차이납니다. 일반적으로 탄소수가 많고 이중결합이 없는 지방산으로 만들어진 비누는 물에 녹기 어렵고, 비누찌꺼기가 생기기 쉬운 반면 이중결합이 있는 지방산으로 만들어진 비누는 산화되기 쉬워 누렇게 변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누는 이와 같이 동식물성 유지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기름을 먹은 경우에도 지방은 장에서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되어 소화흡수가 됩니다. 즉 비누는 자연계에 극히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며,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물질의 일부입니다. 그러므로 비누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독성도 작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비누의 성질을 알자

비누는 계면활성제로서 매우 뛰어나고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면 지금까지 비누의 단점이라고 생각되었던 점이 장점으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또한 능숙하게 비누를 사용하여 비누의 능력을 100% 살릴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비누의 농도와 오염물질의 용해량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비누의 농도가 낮을 때는 완전히 오염물질을 녹이지 못합니다. 비누가 미셀을 만들어 기름을 녹이기 위해서는 수중에 0.06%(600ppm) 이상의 농도가 필요합니다. 일반 세탁으로 사용되는 비누 농도는 0.13%(1300ppm) 정도입니다. 세탁물의 양에 맞게 비누를 넣지 않고, 너무 적은 농도일 경우 전혀 세정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너무 높은 농도일 경우에는 낭비일 뿐만 아니라 대량의 비누찌꺼기가 발생하여 헹구는데 많은 물을 사용하게 됩니다.

합성세제는 10ppm 정도의 적은 농도에서도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므로 비누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농도 범위가 넓어 사용하기 쉽습니다만, 헹굼이 어려워 언제까지나 거품이 남아있습니다. 비누는 헹굼 1회 정도로 계면활성제로서의 힘을 잃게 됩니다. 비누가 거품이 잘 사라지는 이유가 이 성질 때문입니다. 배수를 생각하면 비누는 즉시 비누찌꺼기가 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만, 합성세제는 오염을 널리 퍼뜨립니다. 강과 바다에 도달해도 본래 녹지않는 다른 오염물질을 녹여 물을 탁하게 하거나 수생생물이 오염물질을 흡수하게 합니다.


비누가 알칼리성의 물은 사용할 수 있지만, 중성이나 산성의 물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누는 지방산이온으로써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지만, 산성의 물(수소이온이 많은 물)에서는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지방산(분자)'이 됩니다. 이것은 물에 녹기 어렵고 계면활성 작용도 없습니다. 비누액에 식초를 넣으면 비누액이 하얗게 탁해지고 거품이 사라집니다. 그러나 지방산 분자를 알칼리화하면 지방산 이온이 되어 계면활성 작용이 되살아납니다. 가루비누에 알칼리 조제(탄산나트륨)를 넣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경도 성분이 있으면 비누찌꺼기가 발생합니다. 비누는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금속비누(비누찌꺼기)를 만듭니다. 비누찌꺼기는 매우 물에 녹지 않아 옷이나 배수구에 부착되는 말썽꾸러기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石けんの作り方
http://sekken-life.com/life/soap_chem.htm

Posted by 말총머리
,


용도나 형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나 원료, 제조법, 성분이 다른 전혀 다릅니다.

비누의 역사

비누의 기원은 약 1만 년 전으로 인간이 불을 사용하게 되고 고기를 구워 먹기 시작했습니다. 그 때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과 재가 반응한 토양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흙'으로 발견된 것이 비누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천연소재만을 사용한 구식 비누의 오랜 역사는 사람이나 환경에 친화적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합성세제의 역사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은 비누의 원료인 오일이 부족하여 비누를 제조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석유를 원료로 한 합성세제입니다. 그 후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석유자본의 생산 증대, 전기세탁기의 보급, 미국 및 유럽의 경수 지역에서는 비누의 단점(비누 찌꺼기)이 없는 합성세제가 급속하게 주류가 되어 갔습니다. 미국에서는 1952년, 일본에서는 1963년에 합성세제의 사용량이 비누의 사용량을 초과했습니다. 한편 지난 60년 동안 다양한 환경문제나 건강피해가 거론되게 되었습니다.

File:Cleaning product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Cleaning_products_aisle,_Laundry_soaps_and_detergents,_Meny_Supermarket,_Bergen_Storsenter_Shopping_Mall,_Bergen,_Norway,_2017-10-23.jpg


재료에 관하여

'비누'는 천연유지 또는 지방산, 합성세제는 석유와 천연유지로 만들어집니다.

비누
천연유지 지방산(우지 · 야자유 · 쌀겨기름 등)

합성세제
석유와 천연유지


제조법 대해서


비누의 제조법
비누는 천연유지(또는 천연유지가 원재료인 지방산)를 원료로 '비누화법' 혹은 '중화법'이라는 제조법으로 만들어집니다.
천연유지 등의 원료를 가성소다 · 가성칼륨과 반응시킴으로써 비누가 완성됩니다.

천연유지(또는 지방산)+가성소다, 가성칼륨 = 비누


합성세제의 제조법
합성세제는 제조공정에 대규모 생산시설이 필요합니다. 우선 석유에서 알카리 벤젠 · 알파 올레핀 · 고급알코올 등의 합성계면활성제 원료를 만듭니다. 게다가 황산화(술폰화)와 중화 등 복잡한 화학합성을 거쳐 합성계면활성제를 만들어냅니다. 또한 빌더(조제) 등을 첨가하여 합성세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식물 유래'라는 광고문구를 앞세우는 천연유지를 원료로 한 합성세제도 존재하지만, 석유 유래의 합성세제와 같이 복잡한 화학합성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합성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성분에 대해서

비누는 '비누 소지'나 '알칼리 비누 소지' 또는
'순비누분(지방산 나트륨, 지방산 칼륨)'이라는 성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합성세제는 화학합성으로 만들어진 합성계면활성제가 주성분입니다.
즉, 제품의 성분 표시를 보면
비누와 합성세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합성세제의 경우 품명에 '세제'라는 표기가 있고 비누의 경우는 '비누'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합성세제와 비누가 합쳐진 '복합 비누'라는 것도 있습니다. 성분에 '비누'라는 표기가 없으면 합성세제로 보아도 거의 틀림없습니다.

계면활성제란?

'계면활성제'는 기름과 물 등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 사이에 있는 경계면(계면)의 성질을 바꾸어 혼합되도록 하는 물질입니다. 샴푸 등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이러한 작용으로 물만으로는 떨어지지 않는 왁스나 헤어스프레이, 피지 등을 감싸 제거하기 쉽게 합니다.


합성계면활성제는 약 2,000 종류. 그 중에는 PRTR 제도에서 '사람의 건강이나 생태계에 해로울 수 있는 화학물질'로 지정한 합성계면활성제도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비누나 세제를 사용하면 얼룩이 잘 떨어지는데 그 비밀은 계면활성제라는 물질에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란?

계면활성제는 물질의 경계에 작용하여 그 성질을 변화시키는 물질로 비누나 세제가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한 주성분입니다. 비누나 주방용 합성세제, 세탁용 합성세제, 바디샴푸, 샴푸 등 모든 세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화학구조에는 친수기(물에 친화적 부분)와 친유기(기름에 친화적 부분)가 있어, 그 구조에 의해 기름때 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의 구조
What Are Surfactants
https://images.app.goo.gl/rd6pAEeaP2KW6Luz8

이미지: What Are Surfactants | School of Chemistry | University of Bristol

Google에서 검색된 bristol.ac.uk 이미지

www.google.com


얼룩이 떨어지는 원리

마른 물건의 표면에 물을 떨어트리면 물이 둥근 입자(물방울)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의 입자가 둥글게 되는 것은 물분자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표면장력'이라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면활성제가 작용하면 이 표면장력이 약해져 물이 물건에 침투하기 쉬워집니다.


식사를 한 후의 식기 및 땀 등이 묻은 옷은 세척만으로는 좀처럼 깨끗하게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오염의 주요 원인은 기름에 의한 것입니다. 물과 기름은 일반적으로 분리되어 버립니다만, 계면활성제가 작용하면 양자가 섞일 수 있게 되어 깨끗이 씻어내릴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가 기름때에 붙어 이를 감싸고 입자 형태로 물로 운반합니다. 이러한 작용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신체나 식기,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비누에 대해서

비누는 지방에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혼합하여 가수분해한 것으로, 이 반응을 비누화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긴 지방산염이라는 물질이 계면활성제입니다. 가정에서 나오는 폐유 및 수산화나트륨과 물을 혼합하고 있으므로 재활용과 환경보전의 일환으로 가정에서도 만들 수 있지만 신중한 취급이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수산화나트륨은 독극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石けんと洗剤の科学
https://www.city.saitama.jp/sciencenavi/kurashi/004/p039256.html#:~:text=%E6%B0%B4%E3%81%AE%E7%B2%92%E3%81%8C%E4%B8%B8%E3%81%8F,%E3%81%AF%E6%B2%B9%E3%81%AB%E3%82%88%E3%82%8B%E3%82%82%E3%81%AE%E3%81%A7%E3%81%99%E3%80%82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은 자연계의 500배 속도로 식물을 멸종시키는 등 자연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 새로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빠르게 진화한 '몸 색깔이 변화하는 식물'의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Commercial Harvesting Has Driven the Evolution of Camouflage in an Alpine Plant : Current Biology
https://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20)31655-9


Chinese flower has evolved to be less visible to pickers | Plant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20/nov/20/chinese-flower-fritillaria-delavayi-evolved-less-visible-pickers

Chinese flower has evolved to be less visible to pickers

Fritillaria delavayi,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urning grey to blend into rocks

www.theguardian.com


중국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Fritillaria delavayi'라는 녹색의 꽃은 구근이 한약재로도 쓰이는 백합과의 식물입니다. 최근 가격이 1kg당 480달러 정도에 거래되면서 대량으로 채집되고 있습니다. 그런 Fritillaria delavayi가 사람의 눈을 피하기 위해 눈에 띄기 어려운 갈색이나 회색의 꽃을 피우도록 진화하고 있다는 논문이 생물학 관련 학술지인 Current Biology에 게재되었습니다.

Fritillaria delavayi의 변화에 대해 보고한 중국과학원 곤명식물연구소의 연구원인 얀 니우 씨는 "우리는 당초 Fritillaria delavayi의 몸 색깔의 변화는 초식동물에 의한 포식이 일으킨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주위에 그런 초식동물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인간에 의한 채집이 원인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중국과학원 곤명식물연구소와 엑서터대학 연구팀은 Fritillaria delavayi가 서식하는 지점과 사람이 거주하는 마을과의 거리와 인간의 출입 용이성 등 환경을 현지에 가서 조사하고 현지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인간이 출입하는 것이 곤란하고 채집이 활발하지 않은 지역에 서식하는 Fritillaria delavayi의 대부분은 왼쪽 사진처럼 녹색의 몸 색깔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채집이 왕성한 지역에서는 오른쪽 사진처럼 갈색이나 회색의 몸 색깔을 한 개체가 많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인간은 갈색이나 회색의 몸 색깔을 한 Fritillaria delavayi를 발견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Fritillaria delavayi의 몸 색깔의 변화는 인간에 의한 채집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엑서터대학 환경보전센터의 마틴 스티븐스 씨는 "이 사례는 인간이 야생동물에 대해 어떻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많은 식물은 초식동물에 의한 포식에 대항하기 위해 몸 색깔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만, Fritillaria delavayi는 인간의 채집을 피하기 위해 몸 색깔을 변화시킨 것입니다. 그 밖에도 인간의 영향에 의해 식물의 급속한 진화가 촉진된 사례는 이것 외에도 있을 테지만, 놀랍게도 이러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암호 및 키 같은 중요한 데이터는 '해시함수'로 단방향 변환을 실시하여 유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호와 해시값의 조합을 기록한 레인보우 테이블을 통해 해시값으로 암호를 해석하는 공격을 받을 위험이 있습니다. 그런 레인보우 테이블의 구조에 대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Kestas Chris Kuliukas 씨가 설명합니다.

How Rainbow Tables work
http://kestas.kuliukas.com/RainbowTables/

How Rainbow Tables work

How Rainbow Tables work I found the creator of Rainbow Table's paper, aimed at cryptanalysts, was pretty inaccessible considering the simplicity and elegance of Rainbow Tables, so this is an overview of it for a layman. Hash functions map plaintext to hash

kestas.kuliukas.com


해시함수는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는 함수로 변환 전의 문자열에서 변환된 문자열을 계산할 수는 있지만 변환된 문자열에서 변환 전의 문자열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변환 전 문자열은 '평문(Plaintexts)', 변환된 문자열은 '해시(Hashes)'라고 부르며 암호 및 키 등을 해시함수로 평문에서 해시값으로 변환해두면, 만일 해시값이 노출되었다 하여도 평문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의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평문에서 해시값으로 변환한 결과는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평문과 해시값의 조합'을 안다면 해시값으로 평문을 '환원'할 수 있습니다. 이 성질을 이용한 것이 평문과 해시값의 조합을 기록한 '레인보우 테이블'로 해시값을 쿼리하여 조합이 기록된 평문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발상 자체는 간단한 레인보우 테이블이지만, 방대한 종류의 조합을 모두 기록하면 데이터 용량이 너무 커져 버린다고 Kuliukas 씨는 말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인보우 테이블에 내장되어있는 것이 '환원함수'입니다. 환원함수는 해시값을 평문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해시값으로 변환 전의 평문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해시값으로 변환 전의 평문과는 다른 평문을 생성하는 함수인 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레인보우 테이블은 해시함수와 환원함수를 사용하여 평문을 해시값으로, 그 해시값을 평문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대량의 평문과 해시값의 조합을 하나의 체인으로 생성합니다. 최종적으로 기록되는 것은 체인의 첫 번째 평문과 마지막 해시값뿐이라고 Kuliukas 씨는 설명합니다.


레인보우 테이블에 의한 해시값에서 평문으로 환원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입수한 해시값을 체인의 마지막 해시값과 비교. 일치한 경우에는 그 체인을 복원하고 마지막 해시값에 대응하는 평문이 목표로 하는 평문입니다.

앞의 단계에서 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수한 해시값을 환원함수로 평문으로 환원한 후 해시함수로 해시값을 계산합니다. 계산한 해시값을 체인의 마지막 해시값과 비교합니다. 즉, 체인의 '마지막의 바로 앞 해시값'에 입수한 해시값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체인 생성시의 처리를 도중에 실시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런 식으로 체인을 거슬러 올라가 입수한 해시값에 처리를 더해 가고, 그때마다 체인의 마지막 해시값과 비교. 마지막 해시값과 처리 후의 값이 일치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어느 단계에서 마지막 해시값과 처리 후의 값이 일치하는 경우, 그 체인에는 입수한 해시값이 포함되어 있다고 Kuliukas 씨는 설명합니다. 체인을 복원하면 원하는 평문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레인보우 테이블은 이렇게 하여 데이터의 양을 줄이면서 엄청난 조합 수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레인보우 테이블의 약점은 다른 값에서 동일한 계산 결과를 이끌어내는 '충돌'이라는 것. 2개의 체인이 충돌하면 똑같은 값밖에 생성되지 않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저장할 수 있는 정보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레인보우 테이블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환원함수를 단계별로 변경하고 있다고 Kuliukas 씨는 설명합니다.


대표적인 레인보우 테이블에는 'RainbowCrack'가 있는데, MD5나 SHA1, SHA256 등의 해시함수를 GPU로 병렬분석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치과에 가는 것이 무엇보다 싫다'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만, 21세기 치과 치료는 과거 수백 년 전의 치과 치료와 비교하면 매우 발전하였고 고통과 유혈도 최소화되었습니다. 그런 '치아 치료'에 관련한 역사에 대해 영국의 주간신문 economist 인터넷판이 보도했습니다.

Our relationship with teeth is uneven, messy and grim - Telling the tooth
https://www.economist.com/prospero/2018/05/16/our-relationship-with-teeth-is-uneven-messy-and-grim


18세기에 활약한 프랑스의 치과의사 피에르 포샤르는 1728년에 출간한 '치과의사 또는 치과개론'이라는 치과 의학서에서 치아의 구멍에 넣는 충전재와 치열 교정 장치, 치과용 의자와 같은 도구를 소개했습니다. 이 책은 잇몸질환을 처음 세상에 소개한 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유럽의 구강외과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당시는 치아를 잃은 사람들을 위한 의치가 제공되지 못하였고, 때로는 시신에서 치아를 뽑아 의치를 대신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치과의사와 시체도둑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19세기에 발생한 워털루 전투 후에는 전사한 많은 병사의 시체에서 치아를 빼내었고 그 이빨은 '워털루 이빨'로 불리며 유통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피에르 포샤르가 치과 치료에 큰 진전을 가져온 이후에도 의사의 대부분은 치과의사를 업신여기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중세 이후 유럽에서 수술을 도맡기도 했던 이발사가 치과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James Gillray, Dentistry Cartoon.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James_Gillray,_Dentistry_Cartoon_Wellcome_L0000324.jpg


치과 치료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에 격차가 매우 생기기 쉬운 특징이 있는데, 가난한 사람은 자신의 앞니를 이식용으로 판매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18세기의 뉴욕에서 발행된 신문에는 '2기니(현대의 가치로 환산해 약 52만 원)에 앞니를 판매하지 않겠습니까?'라는 광고가 게재되기도 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그을음 투성이가 된 굴뚝 청소부가 귀족에게 자신의 치아를 팔았고, 치과의사가 치아를 뽑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부유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매일 양치질을 빠뜨리지 않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갈 여유도 있어서 치아가 건강합니다. 영국에서는 65세 이상에서 가장 빈곤한 계층은 부유한 계층과 비교하여 평균 8개도 치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웨덴의 연구에서도 빈곤층의 3~6세의 아이들은 부유한 계층의 아이들보다 충치에 걸릴 위험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마야 문명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골의 치아 표면에 옥이 덧씌워진 것도 발견되고 있어, 옛부터 '깨끗한 치아'는 사회적 지위와 결부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y Conor Lawless


수백 년 전부터 치아와 빈부 격차는 관련이 있었지만, 21세기에는 자주 양치질을 하는 등 가정에서 케어를 열심히 하여 이전보다 저렴한 방법으로 자신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치아를 최대한 잃고 싶지 않은 사람은 꾸준하고 올바른 양치질 습관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물질의 3가지 상태 이외에도 물질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면 나타나는 또 하나의 상태가 존재합니다. 그것이 '플라즈마'라는 물질의 제4의 상태입니다.

물질은 어떤 원자가 결합된 '분자'로 되어 있습니다. 분자끼리의 결합이 강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① 고체 : 분자들이 단단히 결합되어 모양이 변하지 않는 상태
② 액체 : 분자들이 결합되어 있지만, 모양이 변하는 상태
③ 기체 : 분자끼리의 결합이 느슨해 모양과 밀도가 변화하는 상태
④ 플라즈마 : 기체 분자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 (이온화된 기체)


플라즈마의 종류

몇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느 단위의 공간에 포함된 분자 중 어느 정도의 분자가 이온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리도'에서는 대부분의 분자가 기체 상태로 약간의 분자만 이온화되어 있는 '약이온화 플라즈마'와 모든 분자가 이온화된 '완전이온화 플라즈마'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존재하는 환경의 '압력'으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

1기압 정도의 평범한 환경에서 발생시킨 '대기압 플라즈마'와 우주에 가까운 환경에서 발생시킨 '진공 플라즈마'가 있습니다.


자연계의 플라즈마

플라즈마는 사실 우리에게 익숙한 것입니다.

'번개'는 전기를 띤 구름과 대지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전 현상으로 200만 ~ 10억 볼트의 전압에서 전자가 발사되고 그 에너지에 의해 방전 경로에 있는 대기가 이온화 플라즈마 상태가 됩니다.


'태양'은 핵융합에 의해 엄청난 에너지가 만들어져 매우 고온이기 때문에 전체가 플라즈마 상태입니다. 또한 태양으로부터 방사된 '태양풍'도 플라즈마입니다. 태양풍이 지구의 자력선을 따라 대기에 쏟아지는 것에 의해 생기는 '오로라'는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해 대기 중의 산소와 질소가 발광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또한 우리 주변에 인공적으로 발생시킨 플라즈마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촛불 등의 '불꽃'은 물질이 점화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불타고 있는 물질 자체가 이온화되어 플라즈마 상태가 됩니다.

'형광등'은 방전에 의해 형광등 속의 수은을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으로 발광시키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 TV와 살균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조건

플라즈마는 압력과 온도에 의해 발생의 용이성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어느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합니다.


어느 공간의 대기압을 1기압 정도로 유지하고 안에 놓아둔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후 온도를 올리면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물질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 조건입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주어지는 에너지에 따라 원자가 활성화하여 전자가 튀어나오기 쉬워집니다. 즉 이온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 공간의 기체를 자꾸 뽑아내어 진공 상태로 만들었다고 가정합시다. 위의 예처럼 2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면 즉시 플라즈마가 발생합니다. 원자와 전자의 밀도를 낮게 하는 것도 발생시키는 조건이 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진공의 우주는 물질의 99%가 플라즈마 상태에 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레이저를 쏘아 국소적으로 온도를 올리거나 전자레인지처럼 물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원자를 활성화시켜 온도를 올리는 과정에서도 발생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5分でわかるプラズマ!仕組みや種類、発生条件などをわかりやすく解説!
https://honcierge.jp/articles/shelf_story/6166

Posted by 말총머리
,


PC의 구성 및 설치된 글꼴 등은 사용자마다 미묘하게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어서, 디지털상에서 개인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별정보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런 식별정보가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수집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Cover Your Tracks'를 전자프런티어 재단이 공개하고 있습니다.

Cover Your Tracks
https://coveryourtracks.eff.org/


Cover Your Tracks의 메인 화면은 이런 느낌.


Cover Your Tracks는 전자프런티어 재단이 이전에 공개했던 '자신의 브라우저가 얼마나 추적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Panopticlick를 업데이트한 것으로, 식별정보를 Panopticlick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다고 합니다.

'TEST YOUR BROWSER'를 클릭하여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얼마나 식별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확인해보십시오.

Posted by 말총머리
,


로켓 공학의 기초를 놓았던 러시아 과학자인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1920년에 고안한 '우주에 거대한 발전소를 만들어 지구에 대량의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아이디어는 오랫동안 SF작가 밖에 주목하지 않았지만, 기후변화가 문제시되고 있는 최근에는 과학자들이 실현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런 우주에서의 태양광발전에 대해 리버풀대학 항공우주공학과 강사인 아만다 제인 휴즈와 스테파 소루디니 씨가 설명합니다.

Solar power stations in space could be the answer to our energy needs
https://theconversation.com/solar-power-stations-in-space-could-be-the-answer-to-our-energy-needs-150007

Solar power stations in space could be the answer to our energy needs

How solar power stations in orbit could become a reality in the coming decades.

theconversation.com


우주에서의 태양광발전에는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태양광발전 시설의 큰 약점인 '반나절 밖에 태양광을 얻을 수 없고, 빛이 닿는 각도에 따라 발전 효율이 달라진다'는 점인데, 우주에 발전시설을 쏘아올리면 항상 태양광을 얻을 수 있는 궤도로 돌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상에서는 대기가 태양광의 일부를 반사해버립니다만, 우주라면 더 많은 태양광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 시설과 같은 대규모 구조물을 어떻게 조립, 발사, 배치하느냐'는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충분한 에너지를 생산히기 위해서 태양광발전소는 축구장 약 1400개 분량에 해당하는 10평방킬로미터의 면적을 필요로 할 수 있고, 이만큼의 시설을 로켓으로 발사한다면 비용도 엄청나게 증가하게 됩니다.


과학자들에 의해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가 수천 개의 소형 위성을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태양광발전 시설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2017년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연구팀은 수천 개의 솔라패널로 구성된 모듈형 태양광발전 시설을 설계했습니다. 이 설계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패널은 1평방미터 당 불과 280g이라는 초경량형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태양의 빛과 이온을 반사하여 돛에 모아 진행하는 솔라세일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영국의 리버풀대학은 태양전지를 끼워 넣은 접을 수 있고 가벼우며 반사율이 높은 돛을 3D프린트로 제조하여, 태양광발전 시설이 될 솔라세일을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에서의 발전은 '만든 전기를 어떻게 지구에 전송하는가'라는 문제도 있습니다.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은 '태양광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마이크로파나 레이저로 변환하여 지상에 보낸다'는 구상입니다.


이미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전기의 무선에너지전송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5년에 실시된 실용화 실증 데모에서는 5.8GHz 대역의 전파로 55m 떨어진 곳까지 전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송전 전력 약 1.8kW에서 수전 전력은 약 320~340W라는 것 때문에 실용화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릴 예정입니다.

또한 중국에서도 전력의 무선전송 기술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해지고 있으며, 2050년까지 최대 2GW의 전력을 지구로 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Omega' 시스템의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중국의 태양광패널 제조업체인 출하량 세계 1위 JinkoSolar는 中国航天科技集団有限公司(China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과 공동으로 우주 태양광발전의 기술개발에 착수하기로 2020년 1월에 발표했습니다.


'우주에 태양광발전 시설을 만들어 지구에 전송한다'는 100년 전에 제창된 아이디어는 기술의 진보에 의해 조금씩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휴즈 씨와 소루디니 씨는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우주에서의 태양광발전 시설의 개발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희망은 그것들이 언젠가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중요한 도구가 되는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Community Solar = Solar for Everyone https://chesapeakeclimate.org/maryland/community-solar-for-everyone/

Posted by 말총머리
,


직장이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작업을 '중요하고 긴급하다',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다', '중요하지 않지만 긴급하다', '중요하지도 긴급하지도 않다'는 4가지로 나누는 방법이 '아이젠하워 매트릭스'입니다.

The Eisenhower Matrix : Introduction & 3-Minute Video Tutorial
https://www.eisenhower.me/eisenhower-matrix/

The Eisenhower Matrix: Introduction & 3-Minute Video Tutorial

The Eisenhower Matrix, also known as Urgent-Important Matrix, is a decision making principle and productivity tool that helps prioritize your many tasks.

www.eisenhower.me


'아이젠하워 매트릭스'라는 명칭은 미국의 제34대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내가 안고있는 문제는 긴급과 중요라는 2종류가 있다. 긴급한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고, 중요한 것이 결코 긴급한 것은 아니다"라는 연설을 했다는 것에서 유래합니다. 이 연설은 1954년 노스웨스턴대학에서 개최된 세계교회협의회 제2차 총회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해당 발언은 노스웨스턴대학의 학장이었던 J 로스코 밀러 박사의 말을 인용하는 형태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아이젠하워 매트릭스'를 표시하면 이런 느낌. 각각의 매트릭스에 배분된 작업을 왼쪽 → 오른쪽 → 왼쪽 → 오른쪽 아래의 순서대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Author:Davidjcmorri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7_habits_decision-making_matrix.png


◆ 긴급과 중요의 차이


긴급 작업은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들은 '지금'해야 할 일. 긴급 작업은 무엇보다 우선하여 처리되어야 합니다.

한편 '중요'는 장기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좋은 목표 · 사명 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요' 작업은 천천히 시간을 들여 해내는 것으로 달성하면 새로운 가능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실제로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1 : 중요하고 긴급하다

여기에는 즉시 처리하여야 되는 것을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반드시 지켜야 하는 마감 직전의 작업이나 중요한 메일, 우는 아기를 달래거나 화장실 막힘을 처리하는 작업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항상 발생하고 항상 대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이고, 가능한 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를 달래는 방법을 사전에 몇 가지 준비해두면 좋고 마감 직전의 작업은 매일 조금씩 해두면 여유를 가질지도 모릅니다.


2 :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음

장기적으로 대처할 수 있거나 날짜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을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한 달 후의 회의를 위한 서류 작성과 장기적인 계획의 수행, 개인적인 것이라면 운동, 취미, 자신의 미래를 위한 활동 전반 등이 해당됩니다. 본래는 태스크 소화 시간의 대부분을 이 작업의 소화에 지출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이 우선순위가 낮은 긴급 작업을 우선해 버려,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은 작업은 나중에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중 일정 시간을 반드시 이 작업에 할당하거나 긴급 작업이 정말 긴급한 것인지 재고하는 작업 등을 수행해야 합니다.


3 : 중요하지 않지만 긴급하다

갑자기 걸려온 전화나 동료로부터 갑자기 요청받은 일 등은 중요성이 낮지만 빨리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에 분류됩니다. 긴급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은 이 작업을 우선하기 쉽지만, 시간을 빼앗겨 버리고 중요한 작업을 해낼 수 없게 되어버린다면 의미가 없습니다. 여기에 분류되는 작업은 타인에게 할당하거나 또는 세분화하여 그 중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을 '중요하고 긴급하다'에 배분하거나 때로는 거절합니다.

4 : 중요하지도 긴급하지도 않다

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는 작업을 분류합니다. 소요되는 시간은 가능한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동일한 종교가 주류인 지역에서도 개인에 따라 종교를 신앙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과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잠재적인 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사람들은 신을 믿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Implicit pattern learning predi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belief in God in the United States and Afghanistan | Nature Communica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0-18362-3


Study Suggests Unconscious Learning Underlies Belief in God |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Georgetown University
https://gumc.georgetown.edu/news-release/study-suggests-unconscious-learning-underlies-belief-in-god/

Study Suggests Unconscious Learning Underlies Belief in God -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WASHINGTON (September 9, 2020) — Individuals who can unconsciously predict complex patterns, an ability called implicit pattern learning, are likely to hold stronger beliefs that there is a god who creates patterns of events in the universe, according to

gumc.georgetown.edu


Unconscious learning fosters belief in God, study finds - UPI.com
https://www.upi.com/Science_News/2020/09/09/Unconscious-learning-fosters-belief-in-God-study-finds/9091599651763/

Unconscious learning fosters belief in God, study finds

People who unconsciously predict complex patterns are more likely to hold a strong belief in God -- a God who creates order in an otherwise chaotic universe.

www.upi.com


많은 사람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과 종교적인 것을 믿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개인 간의 종교적 신념의 차이는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신앙심의 차이는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소속된 사회집단과 인구통계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고 합니다.

조지타운대학의 연구팀은 일상생활에서 '잠재적인 패턴'을 학습하는 능력의 차이가 신앙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잠재적인 패턴을 부지불식간 중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세상에는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질서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세계를 구축하는 '신'의 존재를 믿기 쉽다는 예상을 연구팀은 세웠습니다.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미국과 아프가니스탄이라는 지리적으로나 종교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각각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미국의 연구팀은 워싱턴DC에 거주하는 주로 기독교를 믿는 199명을, 아프가니스탄의 연구팀은 카불에 거주하는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 148명을 피실험자로 모았습니다.

피실험자에게는 화면에 표시되는 4개의 원형 중 채워진 원형의 위치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는 작업이 주어졌습니다. 4개의 원형은 빠르게 화면에 표시되고 사라지기 때문에 피실험자는 화면을 주시하고 채워진 원형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키를 눌러야 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채워진 원형이 조작되어 있었는데, 50%의 시도에서는 어떤 원형이 채워질지 완전히 무작위였고, 나머지 50%는 피실험자에게는 통지되지 않은 '잠재적인 패턴'에 따라 원형이 채워졌습니다. 만약 피실험자가 잠재적인 패턴을 시도 도중 학습한 경우, 피실험자는 원형이 표시되고 나서 키를 누를 때까지의 반응시간이 점점 짧아집니다. 이번 실험에서 미국과 아프가니스탄 모두에서 잠재적인 패턴을 학습하는 피실험자가 나타났고, 원형이 표시되기 전에 키를 누르면 피실험자도 있었다고 합니다.

실험 후 연구팀은 피실험자에게 '원형 표시에 일정한 패턴이 있었는지 여부'를 물어 학습이 무의식적이었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피실험자가 '패턴이 있었다'고 대답하는 비율은 키를 누를 때까지의 반응시간과 정확도와 관계하지 않았고 피실험자의 학습은 무의식적인 것이었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실험 데이터와 피실험자의 종교적 신념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장 잠재적인 패턴을 학습하는 데 뛰어났던 사람은 '우주의 질서를 확립하는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 아프가니스탄 모두에서 확인되었고, 지역을 불문하고 공통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의 신앙심의 변화'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잠재적인 패턴 학습이 뛰어난 사람은 어린시절에 신을 믿지 않았어도 성장 후 신을 믿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연구에 참가한 Adam Green 교수는 "질서를 만들어내기 위해 세계에 개입하는 신을 믿는 것은 세계 종교의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것은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연구가 아니고, 뇌가 신을 믿게 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연구입니다. 뇌가 무의식적으로 환경 패턴을 식별하는 능력이 특출한 사람은 그 패턴을 더 상위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실험을 이끈 Zachary Warren 씨는 "우리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두 문화 사이에서 인지 과정과 신념의 패턴이 중복된다는 것입니다. 아프간인과 미국인은 적어도 종교 신념과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특정 인지 과정이 비슷할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Creator: GaiBru Photo https://printpackhub.com/18-year-olds-solution-to-the-microplastic-crisis-wins-the-google-science-fair/


마이크로 플라스틱 (영어 : microplastics)는 생물물리학적 환경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이며, 특히 해양환경에서 매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일부 해양연구원은 1mm보다 작은 현미경 크기의 모든 플라스틱 입자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채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뉴스톤넷의 메쉬 크기가 333μm(0.333mm)임을 인식하고 있고, 5mm보다 작은 입자로 정의하는 연구자도 있다.

해양생물이 마이크로 플라스틱 자체와 그것에 부착된 유해 물질(PCB와 DDT 등)을 섭취하여 생물 농축에 의해 바다새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과학적인 검증 ·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고 세계가 발생량 억제 및 회수를 목표로 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발생원과 확산 상황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발생원이 의심되는 것은 복수 존재한다

산업용 연마재, 세안제, 화장품 또는 모래용 연마제 등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생산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또는 다양한 소비자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전단계 원료(펠렛)로 간접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생산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마이크로 비즈라고도 함 (en : Microbead)

특히 해양쓰레기 등의 큰 플라스틱 재료가 파괴되며 점점 미세한 조각이 된 결과로 환경에 형성된 마이크로 플라스틱. 이 파괴를 초래한 원인은 파도와 같은 기계적인 힘과 태양광, 특히 자외선(UVB)이 일으키는 광화학적인 과정이다.
집에서 의류의 세탁에 의한 직물의 합성섬유의 탈락. 하수도에 흘러들어 가는 세탁 폐수 중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입자와 자연환경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조성과 비교한 결과, 1mm 크기 이하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오염의 대부분이 탈락한 합성섬유라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최근 수십 년간 세계 플라스틱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전세계 해양에 널리 분포하게 되었고 그 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구밀집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북극의 해빙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Creator: Makia Minich https://www.hcn.org/issues/50.20/pollution-tiny-bits-of-plastic-permeate-our-world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90%의 소금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발견했고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상당량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 평균은 평균적인 성인이 소금을 통해 1년간 섭취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약 2000개로 추산하고 있다. 소금은 인간의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아, 소금 결핍은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여서 인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푸트니크는 2018년 3월 25일 기사에서 태평양을 표류하는 쓰레기를 약 7만 9000톤으로 산출한 후, 그 중 31%가 마이크로 플라스틱이라고 했다. 또한 동일본 대지진에 의해 해양에 유출된 쓰레기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바다뿐만 아니라 대기에도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2019년 8월 14일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북극의 내리는 눈에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섞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바람에 타고 장거리 비행하여 북극까지 운반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그 과정의 전모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2019년 4월 15일에 Nature Geoscience에 발표된 연구논문에서도 프랑스의 피레네 산맥에 내리는 눈에도 섞여 있었다. 2020년 6월 24일에는 남극에 서식하는 Cryptopygus antarcticus의 체내에서 폴리스티렌의 파편이 발견되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THE PLASTIC IN BOTTLED WATER https://www.parley.tv/updates/2018/3/13/plastic-in-bottled-water


해양환경에 대한 잠재적 영향

2008년 9월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의 워싱턴대학 타코마교에서 개최된 마이크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존재 영향 및 환경 운명에 대한 최초의 국제연구워크숍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해양환경에 문제를 초래한다는 점에 합의했다.

·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해양환경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이러한 입자의 체류기간이 길다.(따라서 앞으로도 집적할 가능성이 높다)
· 해양생물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섭취가 입증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더 사이즈가 큰 플라스틱에 중점을 두어 왔다. (낚싯줄이나 어망 등) 플라스틱에 얽히거나 플라스틱을 섭식하거나 목이 막혀 질식한 생물이 쇠약해지고 죽음에 이르거나 육지에 발이 묶여 꼼짝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사례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5mm보다 작아서 눈에 띄지 않는 존재이다. 이 크기의 입자는 매우 다양한 생물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형태이지만, 이를 섭취하는 것으로 입증된 예는 침적물섭취성의 갯지렁이(Arenicola marina) 및 여과섭식성 홍합(Mytilus edulis) 2가지의 사례밖에 나와 있지 않다. 먹이사슬의 하위에 있는 생물종의 섭취 영향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점이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 영양단계를 통해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전환하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Tiny plastics are potentially dangerous for turtles too https://www.aims.gov.au/docs/media/latest-releases/-/asset_publisher/8Kfw/content/tiny-plastics-are-potentially-dangerous-for-turtles-too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섭취한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의 3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 섭취기관 또는 소화관의 물리적 폐색 또는 손상
· 섭취 후 플라스틱 성분의 화학물질이 내장에 침출
· 흡수된 화학물질의 장기에 의한 섭취와 농축

작은 동물은 거짓 포만감에 의해 음식 섭취가 줄어들 위험이 있으며, 그 결과 기아 상태에 빠지게 되거나 물리적 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나 해양생물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은 현시점에서는 불분명하다.

또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생물상을 살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어 있기 때문에, 각지의 대양에 확산할 기회가 증대함으로써 전 세계의 헤양생물 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 침략적 외래종의 확산은 범존종의 확산만큼 큰 문제이다.

해양환경에 유입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약 절반이 물에 뜨는 재질이지만, 생물의 부착에 의해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저에 침몰하기 쉬워진다. 침몰된 플라스틱은 저서생물 및 저질의 가스 교환 과정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지만, 우려되는 것은 큰 플라스틱 쓰레기의 경우다.

마이크로 플라스틱과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

플라스틱 입자는 환경과 주변 해수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합성유기화합물(예를 들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 POPs 등)을 그 표면에서 흡수함으로써 고도로 축적해 운반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이러한 경로를 통해 POPs를 환경에서 생물로 매개시키는 매개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아직은 알 수 없지만,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에 들어가는 잠재적인 입구임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제조 중에 추가된 첨가제가 섭취 후 침출되어 생물에 심각한 해를 입힐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플라스틱 첨가제에 의한 내분비 교란은 사람과 야생생물의 생식에 관련된 건강에 동등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Nurdle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Nurdles_01_gentlemanrook.jpg


현재의 수준에서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PCB · 다이옥신 · DDT 등의 POPs가 대양의 세계적으로 중요한 지구화학적 저수지가 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작은 규모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화학적 저수지로써 큰 역할을 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대도시의 항만 및 농업 폐수와 산업 폐수가 집중되는 배수로 등의 오염된 인구밀집 지역에서는 저수지 기능이 있다고 추정된다.

석유계 폴리머의 대부분은 생분해성이 없다. 한편 이미 생분해성을 지닌 폴리머(생분해성 플라스틱)가 개발되고 있지만, 그 물성은 기존의 석유계 폴리머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많다. 따라서 기존의 석유계 폴리머와 동등한 물성 및 생분해성을 겸비한 고분자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분해성을 가지는 고분자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바이오매스 플라스틱)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고 있다고 생분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석유계 고분자에서도 생분해성을 가진 것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들을 대대적으로 사용하기 이전에 환경의 특성을 상세하게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실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유럽아카데미에 의한 정책에 대한 과학적 조언(Science Advice for Policy by European Academies)이 2019년 1월 9일에 유럽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환경에서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농도는 낮고 임계값을 밑돌고 있으며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인간 또는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신뢰할 수 있는 증거는 없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오염이 지금의 속도로 계속되면 상황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식품안전기관(EFSA)은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인체 내에서의 영향은 독성을 밝히기에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유해 여부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견해를 공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8월 22일에 수돗물과 생수에 포함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제한된 정보 하의 판단이며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정리했다. 또한 플라스틱의 환경으로의 유출 감소는 긴급 과제라고 강조했다. 세상에는 대변에 오염된 안전하지 않은 식수를 마시고 있는 사람들이 여전히 20억 명 이상 존재하며 거기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 활동

2016년 5월 16일 도야마시에서 열린 선진 7개국(G7) 환경장관회의에서 바다를 떠도는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해 '바다의 생태계를 위협하다'는 인식을 확인했다.

Microplastics in the Azore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RaceforWater_PeterCharaf_MicroplasticsAzores_(2).jpg


유럽연합(EU)은 마이크로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EU 내에서 유통되는 플라스틱 용기 · 포장 등을 모두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2030년까지 전환할 방침을 2018년 1월 16일에 발표했다. 재활용 기술향상을 위해 1억 유로를 투입했다.

영국의 테리자 메이 총리는 2018년 1월 11일, 2042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을 가능한 한 제거한다는 장기환경계획을 발표했다.

해양국가인 일본에서는 환경부가 주체가 되어 다른 해양쓰레기와 함께 조사 · 대책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6월 28 · 29일에 오사카시에서 개최된 제14회 20개국 지역정상회의(G20회의)에서, 2050년까지 새로운 해양 오염을 제로로 줄이는 구상인 '오사카 블루오션 비전'이 제창되었고, 일본이 2025년까지 세계 전역에서 1만 명의 인재를 육성하고 폐기물 재활용 기술을 수출하는 등의 지원을 할 계획도 발표했다.

출처 참조 번역
マイクロプラスチック
https://ja.m.wikipedia.org/wiki/%E3%83%9E%E3%82%A4%E3%82%AF%E3%83%AD%E3%83%97%E3%83%A9%E3%82%B9%E3%83%81%E3%83%83%E3%82%AF

Posted by 말총머리
,


추위에 약한 사람 중에는 겨울의 도래를 괴로워하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추위에 약한 것을 넘어 추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특이 체질의 남성이 하마터면 죽을 뻔했다는 사례가 의학 저널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에 게재되었습니다.

Cold Anaphylaxis : A Case Report -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https://www.jem-journal.com/article/S0736-4679(20)30968-9/


Man Almost Dies From an Allergic Reaction to Cold Air After a Shower
https://www.sciencealert.com/man-almost-dies-from-an-allergic-reaction-to-cold-air-after-stepping-out-of-his-shower

Man Almost Dies From an Allergic Reaction to Cold Air After a Shower

Stepping out of a hot shower into a cold bathroom almost killed a Colorado man, who had developed a serious allergic reaction to cold temperatures.

www.sciencealert.com


세계에는 보기 드문 알레르기 증상과 체질을 가진 사람이 존재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물 알레르기'로 인해 목욕과 샤워를 할 수 없는 여성과 '차가움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는 남성 등의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차가움을 느끼지 않는 체질과는 반대로, '추위 알레르기'로 인해 사경을 헤맸다는 인물은 미국 콜로라도주에 사는 34세의 남성입니다. 이 사례를 보고한 논문에 따르면, 남성은 샤워를 하고 나온 뒤 갑자기 바닥에 쓰러져 버린 것. 쓰러져 버린 남성은 가족에 발견되어 구급차에 실렸습니다.

구급대원이 도착했을 때에는 남성의 몸은 두드러기로 덮여 있었으며 호흡조차 곤란한 상황이었습니다. 구급대원은 산소와 에피네프린에 의한 조치를 취하면서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중환자실에 옮겨진 남성은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전신이 땀투성이 상태였지만, 에피네프린 주입 등에 의한 치료를 받고 회복하여 목숨을 건졌다고 합니다.

남성의 치료를 담당한 의사는 얼음 큐브를 5분간 피부에 올려놓고 상태를 살피는 '아이스 큐브 테스트' 결과, 남성을 '한랭 두드러기'라고 진단했습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추위에 노출되면 두드러기를 나타내는 증상이지만 심한 경우 알레르기가 발병하며 그것이 원인이 되어 혈압의 급격한 저하, 기도 폐색에 의한 호흡 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는 보기가 드문 증상으로 세계에 얼마나 유병자가 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미국국립보건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부 유럽에서의 발생률은 0.05% 정도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남성은 열대 기후 미크로네시아에서 여름에도 눈이 내릴 수 있는 콜로라도주에 이주했을 당시 가벼운 '추위 알레르기' 증상이 나온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증상이 온화했고 아나필락시스로 인해 생명의 위험에 닥쳤던 적은 없었습니다.

남성은 병원에서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후, 앞으로 온몸이 추위에 노출되거나 찬물의 접촉을 피하도록 지도받고 퇴원했습니다. 비상시에 자신이나 가족도 에피네프린 주사를 할 수 있도록 과민증 보조치료제 EpiPen도 처방되었습니다.

by Tokyogirl79.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pi-Pen_2016.jpg

 

Posted by 말총머리
,


자연과 접촉하는 것은 심신의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대신 자연과 접촉하는 레크리에이션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연 속에서 보내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건강 효과에 대한 과학계 뉴스사이트 Inverse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하는 4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Four ways nature makes you healthier
https://www.inverse.com/mind-body/nature-benefits-physical-health

Four ways nature can boost your physical health

Spending time outside has powerful physiological benefits that last long after you're back inside.

www.inverse.com


Inverse에 따르면, 선진국 사람들은 하루 중 90%를 실내에서 보내고 있고 나이가 들수록 야외에 나가 자연과 접촉하는 빈도가 감소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활력과 건강은 자연과 접촉하며 증진하는데, 대표적인 다음과 같은 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 1 : 면역력을 향상

자연 속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 면역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2020년의 연구에서는 도시에 사는 아이들이 자연을 재현한 놀이터를 설치한 보육센터에 1개월 다닌 결과, 장내 세균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면역조절 경로가 강화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생물 다양성 가설'이라는 가설에 따르면, 자연환경과 접촉하면 인간의 장내 세균에 다양성이 높아지고 면역계가 촉진되며 알레르기나 염증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초기 연구결과는 이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연 노출은 신체의 '투쟁 도피 반응'을 해제하고 휴식 모드로 전환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투쟁 도피 반응은 절박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면역체계를 포함한 몇 가지 중요하지 않은 기능을 종료하기 때문에, 투쟁 도피 반응에서 몸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2 : 스트레스 경감

자연 속에서 보내는 시간이 짧은 경우 인간은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만성 스트레스는 소화기관의 문제나 두통, 심장질환, 수면장애, 체중 증가 등과 관련있다고 합니다. 또한 자연이 풍부한 도시에 사는 것은 성인의 심혈관 질환과 비만, 당뇨병, 천식, 정신 건강의 악화 등의 위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자연과의 접촉은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해 준다고 합니다.


◆ 3 : 진통 효력

만성통증을 경험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산림요법의 효과를 조사한 2016년의 연구에서는 산림요법을 받은 피실험자가 통증과 우울증 증상의 상당한 감소 및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개선을 보고했습니다.

2005년에 피츠버그대학 연구팀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가 햇빛이 비추는 방에 입원한 경우, 복구하는 동안 통증이나 스트레스가 감소했고 진통제의 투여량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4 : 수면의 질 개선

햇빛에 노출되면 비타민D의 생합성과 일산화질소의 방출, β-엔돌핀의 생산 및 활동일주기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수면의 질이 개선되고 기분이 한결 좋아진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리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RCS)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를 대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강력한 인스턴트 메시징 표준입니다. Google의 공식 메시징 앱인 'Messages'에도 RCS 채팅 기능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2020년 11월 19일에 "거의 전 세계에 Messages의 RCS 기능을 배포했다"고 Google이 발표했습니다. Google은 향후 RCS에 의한 1대 1 커뮤니케이션을 end-to-end 암호화할 예정입니다.

Helping you connect around the world with Messages
https://blog.google/products/messages/helping-you-connect-around-world-messages/

Helping you connect around the world with Messages

Messages expands RCS messaging and provides added security protections in chat conversations with end-to-end encryption

blog.google


Google is rolling out end-to-end encryption for RCS in Android Messages beta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0/11/19/21574451/android-rcs-encryption-message-end-to-end-beta

Google is rolling out end-to-end encryption for RCS in Android Messages beta

Can we get some privacy in here?

www.theverge.com


RCS는 단순히 수신알림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룹 채팅 및 음성메시지의 교환, 음성 · 영상 통화, 파일 사이즈가 큰 이미지 및 비디오의 송수신, 콘텐츠 공유, 화면 공유 등이 가능한 규격입니다. 오랫동안 SMS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어 왔던 RCS이지만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SMS를 대체하는 것은 곤란했고, 통신사업자도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아 인지도가 낮았습니다.


그래서 Google은 2019년부터 공식 메시징 앱 'Messages'에서 RCS를 지원하는 Android 사용자에게 RCS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2019년 6월에는 영국에서, 11월에는 미국에서 제공이 시작되는 등 Google은 순조롭게 전개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그리고 2020년 11월 19일, Google은 공식블로그에서 "Messages 앱에서의 RCS 지원을 거의 전 세계에 배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 일부 국가에서는 배포를 완료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 많은 Android 사용자가 RCS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Google은 Messages에서 RCS 통신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1대 1 채팅 내용을 end-to-end 암호화할 예정을 발표. 2020년 11월부터 Messages의 베타테스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베타테스터를 대상으로 자동으로 Messages의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고 합니다.

end-to-end 암호화가 구현되면 1대 1 대화를 통신사나 Google도 읽을 수 없게 된다는 것으로,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큰 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nd-to-end 암호화는 Messages의 송수신자가 모두 Messages를 설치하고 채팅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Google의 Messages에서 지원되기 이전에도 각국에서 RCS를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지만, 여전히 RCS의 지명도는 낮은 상태입니다.

과거에는 Messages 앱 베타 버전을 이용하여 RCS를 지원하지 않는 캐리어 사용자도 RCS를 사용할 수 있는 허점이 발견되었습니다만, Google이 의도한 동작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Enable RCS in Messages on any Android phone and carrier - 9to5Google
https://9to5google.com/2019/10/26/enable-rcs-android-messages/

Enable RCS in Messages on any Android phone and carrier - 9to5Google

This has been a big week for RCS with the four US carriers announcing (a Google-less) plan to roll out the SMS/MMS successor. Enable RCS Android Messages...

9to5google.com

 

Posted by 말총머리
,


2020년 11월에 새로운 iPhone 시리즈로 iPhone 12, iPhone 12 mini, iPhone 12 Pro, iPhone 12 Pro Max 4기종이 등장했습니다. 이 중 iPhone 12 Pro Max는 특히 카메라의 성능이 높아, 카메라앱 'Halide'의 개발을 담당하는 전 Apple 디자이너 Sebastiaan de With 씨도 그 성능을 극찬하고 있습니다.

The iPhone 12 Pro Max : Real Pro Photography | by Sebastiaan de With | Nov 2020 | Halide
https://blog.halide.cam/the-iphone-12-pro-max-real-pro-photography-267ad4ac94e2

The iPhone 12 Pro Max: Real Pro Photography

We’ve been testing the iPhone 12, but our iPhone 12 Pro Max tests were quite surprising.

blog.halide.cam


iPhone 12 Pro Max의 광각카메라의 센서는 지금까지의 iPhone에 비해 47% 큰 것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47% 크다는 것을 de With 씨가 그림으로 표헌한 것이 아래의 이미지. 왼쪽이 iPhone 12 Pro Max 탑재 센서, 오른쪽이 기존의 센서를 나타냅니다.


카메라의 센서는 빨강 · 초록 · 파랑의 빛을 모읍니다. 센서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민감하게 빛을 모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e With 씨가 촬영한 사진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아래의 이미지. 원문 블로그에는 2160 × 1680 픽셀의 크기로 게재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낮에 촬영한 사진에서는 그다지 차이가 식별되지 않아 많은 리뷰어가 "iPhone 12 Pro와 iPhone 12 Pro Max의 카메라는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하는 이유라고 de With 씨는 추측합니다.

윈쪽이 이전 센서
오른쪽이 최신 센서


de With 씨에 따르면 기본 카메라앱으로 촬영한 사진은 품질이 떨어진다며, Halide의 RAW 촬영에 의한 사진촬영 비교도 실시했습니다. 품질이 떨어지는 이유는 노이즈 감소 기능에 의해 디테일의 세부사항이 흐림처리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윈쪽이 기본 카메라앱
오른쪽이 Halide의 RAW 촬영


다양한 촬영을 한 de With 씨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세세한 디테일이 망가져 버리는데, iPhone 12 Pro Max의 카메라는 픽셀 단위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세밀하게 기록된다고 말합니다. 특히 RAW 촬영을 하면 자세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앞으로 Apple이 카메라의 개선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de With 씨는 추측합니다. 또한, Apple은 iPhone12 Pro와 iPhone12 Pro Max로 촬영한 사진의 RAW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게 하는 'Apple ProRAW'를 출시할 예정이며, 이미 개발자에게 제공되는 iOS 14.3 베타 2에서는 Apple ProRAW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카메라앱 개발자로서 de With 씨는 iPhone 12 Pro Max의 카메라를 "놀라운 것"이라고 표현합니다. 이 하드웨어를 살리는 앱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기쁨도 내비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로봇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연구팀은 로봇청소기가 사용하는 레이저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가 있는 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나 시청중인 TV프로그램의 음성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때문에 소유자가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도청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합니다.

Spying with Your Robot Vacuum Cleaner : Eavesdropping via Lidar Sensors
(PDF 파일) https://www.cs.umd.edu/~nirupam/images/2_publication/papers/LidarPhone_SenSys20_nirupam.pdf


Could your vacuum be listening to you? Researchers hacked a robotic vacuum cleaner to record speech and music remotely - ScienceDaily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11/201117210102.htm

Could your vacuum be listening to you? Researchers hacked a robotic vacuum cleaner to record speech and music remotely

A team of researchers demonstrated that popular robotic household vacuum cleaners can be remotely hacked to act as microphones.

www.sciencedaily.com


인기있는 로봇청소기는 빛을 이용한 원격탐사 시스템인 LIDAR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메릴랜드대학의 Nirupam Roy 씨와 싱가포르대학의 Jun Han 씨 연구팀에 따르면, LIDAR를 이용한 로봇청소기는 마이크를 탑재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청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

LIDAR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한 로봇청소기는 방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감지합니다. 이 신호로 로봇청소기는 맵을 만들고 어디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인식합니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가 이때 만든 맵은 많은 경우 클라우드에 저장되기 때문에 정보유출의 위험이 있다는 것은 지금까지 지적되어 왔습니다. 이 정보에는 사용자의 수익을 예측하는 '집의 크기'와 기타 라이프 스타일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궁극적으로 광고주에 넘어가 마케팅에 이용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이것 외에 '음성정보'까지 외부에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합니다.


LIDAR 같은 레이저를 이용한 도청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음파는 물체를 진동시키고 있는데 이 진동은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에도 약간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1940년대의 스파이 활동에 이용되는 레이저 마이크는 이러한 변화에서 음성을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레이저 마이크는 유리창과 같은 매끄러운 것으로 반사되어야 한다는 점이 실무상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한편 LIDAR의 경우 반사시키는 대상의 모양과 밀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로봇청소기가 수신하는 신호는 재현하는 음파의 일부이지만 이 일부 신호에서 음파 전체를 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팀은 실험했습니다.


연구팀은 우선 로봇청소기를 해킹하여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위치를 제어합니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방해하지 않고 로봇청소기가 받은 데이터를 Wi-Fi를 통해 자신의 노트북 PC에 전송하도록 했습니다.

게다가, 연구원은 '컴퓨터 스피커를 통해 숫자를 계산하는 목소리'와 'TV 프로그램의 음성'이라는 두 가지에 대해 도청 실험을 실시. 방에 휴지통, 골판지 상자, 테이크 아웃 음식 용기, 플라스틱 가방 등 다양한 아이템을 둔 상태에서 로봇청소기가 받은 신호를 인간의 음성이나 TV프로그램에 대해 학습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 90%의 정확도로 계산된 숫자를 특정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90% 이상의 정확도로 TV프로그램의 특정을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이 실험에서 사용한 시스템을 'LidarPhone'으로 명명했습니다.


"우리가 전화로 음식을 주문하고 PC를 통해 회의를 하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러한 위협은 그 어느 때보다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화로 신용카드나 은행에 관련된 대화를 하는 경우도 잦습니다. 하지만 더 우려되는 것은 '하루에 몇 시간 일하고 있는지', '시청하는 TV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있는 정치적 입장'이라는 정보가 유출되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특정 메시지의 대상을 결정하고, 선거를 조작하려고 시도할 때, 이 정보는 매우 유용합니다"라고 Roy 씨는 논평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LIDAR는 스파이 행위에 이용되는 취약점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스마트폰 얼굴인식에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 역시 비슷한 위험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에는 물고기를 통째로 사오거나 대량으로 구매하지 않습니다. 핵가족, 일인 가정이 늘어난 영향이 큽니다.

식초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냄새를 없애줍니다. 고기의 내장의 악취 제거는 식초를 넣은 물에 데치면 확실히 사라집니다.

생선 비린내의 원인물질은 트리메틸아민입니다. 이것이 분해되어 메틸아민이라는 물고기의 비린내를 유발합니다.


■ 부패 냄새의 발생 원리

트리메틸아민 >> 메틸아민

■ 식초에 의한 냄새의 변화

트리메틸아민 + 초산 >> 아세트산 트리메틸 암모늄


여기에 초산을 더하고 중화하여 염(산과 알칼리의 중화에 의해 생성되는 것, 식탁의 소금과는 다르다)이 만들어 집니다. 소금은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냄새만 없어집니다. 식초가 냄새의 원인물질과 반응하여 냄새가 나지 않는 다른 물질로 변화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산미도 없어집니다. 그것과 냄새의 근원은 물고기의 피부 아래와 피부와 몸 사이에 있는 지방 부분에 많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강도 및 절도 사건은 범행의 대담함과 피해의 크기 등이 세간의 강한 관심을 끌고,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가 제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외 미디어 All That 's Interesting이 세간에 큰 충격을 준 7건의 강도 · 절도 사건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7 Of The Biggest Heists In History That Left Police Baffled
https://allthatsinteresting.com/biggest-heists-in-history

History's 7 Craziest Heists, From The Delivery Guy Who Robbed A Bank To The Theft Of The Mona Lisa

Before the $100 million Antwerp Diamond heist of 2003, the 1963 robbery of an English train was one of the most lucrative grafts in history.

allthatsinteresting.com


◆ 1 :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의 강도사건

보스턴에 있는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은 세계 각지의 회화 · 조각 · 태피스트리 등의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1990년 3월 18일 자정 경찰을 가장한 두 사람이 미술관을 방문하여 경비원에게 입장을 요구했습니다.

당일은 아일랜드계 이민자가 많은 보스턴에서 성대하게 경축하는 '성 패트릭의 날'의 밤으로 경비원은 '소음에 대한 신고가 있었다'는 2명의 주장을 의심스럽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윽고 두 사람은 경비원에게 수갑을 채워 구속하여 지하실에 감금했습니다. 그동안 범인들은 렘브란트의 그림 3점, 드가의 그림 5점, 베르메르의 그림 1점, 고대 중국의 잔, 나폴레옹의 군기 끝에 붙어있던 타카 조각 등 총 13점의 미술품을 훔쳐 달아났습니다.

이 강도사건으로 인한 피해 총액은 5500억 원 이상이었으며, 특히 베르메르의 '합주'는 시가 2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고 있었습니다. 사건발생에서 30년 가까이 경과한 현시점까지 범인은 체포되지 않았고 미술품의 행방도 묘연합니다.

by Phil Roeder. https://www.flickr.com/photos/tabor-roeder/


◆ 2 : Lufthansa 강탈 사건

1978년 미국 뉴욕의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일어난 Lufthansa 강탈 사건은 현금 500만 달러와 보석 100만 달러가 도난당한 사건입니다. 피해액은 현재 가치로 환산해 2340만 달러 (약 243억 원)으로 당시로선 미국 범죄 사상 최고의 피해액이었습니다.

사건의 발단이 된 것은 케네디 국제공항의 직원이었던 Louis Werner가 도박으로 거액의 빚 지었고, 돈을 빌려준 마피아에게 'Lufthansa의 화물에서 현금을 훔쳐 빚을 상환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마피아 지미 버크는 여러 동료와 함께 강도 계획을 수립했고 1978년 12월 11일에 계획을 실행에 옮겼습니다. 케네디 국제공항에 있는 Lufthansa의 항공화물 터미널에 침입한 강도단은 직원을 인질로 잡고 약 1시간에 걸쳐 현금이나 보석을 훔치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강도단의 드라이버였던 Edward Parnell이 도주 차량의 처분을 게을리하여 여자친구의 집 앞에 주차한 상태로 두었기 때문에 수사의 손이 서서히 다가옵니다. 버크는 입막음을 목적으로 관계자들을 차례로 살해했으나 1979년에 체포되어 살인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습니다.


◆ 3 : 앤트워프의 다이아몬드 절도 사건

벨기에의 앤트워프는 다이아몬드의 거래가 산업화되어 있어 세계의 다이아몬드 원석이 모이는 곳입니다. 물론 다이아몬드는 삼엄한 보안하에 보관되어 있었습니다만, 전문 도둑이었던 Leonardo Notarbartolo는 '다이아몬드를 거래하는 측'으로 가장하여 이 문제를 극복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2000년 계획에 돌입한 Notarbartolo는 앤트워프의 중심에 있는 다이아몬드 거래업체 전용 오피스 빌딩을 빌려 정식 보석상을 가장하면서 건물 내부의 보안을 조사했습니다. 이 빌딩의 지하에는 업체를 위한 대여금고가 구비되어 있었는데, Notarbartolo는 보석상의 신분으로 몇 번이나 대여금고를 방문하였고 경비원과 친분을 쌓았다고 합니다. 18개월에 걸친 조사를 통해 계획을 치밀하게 구축한 Notarbartolo는 유럽의 전문가를 결집. 총 5명의 절도단은 2003년 2월 16일 밤에 금고로 침투해 1억 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훔쳤습니다.

그런데 절도단의 일원인 Pietro Tavano가 영수증과 비어진 보석가방 등의 소각을 게을리하여 경찰이 이를 단서로 Notarbartolo 등 4명을 체포했습니다. '키 위조 전문가'였다고 알려진 1명은 여전히 붙잡히지 않았고, 도난당한 보석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4 : 목걸이형 폭탄이 장착된 피자배달부 강도사건

2003년 8월 28일 피자배달부인 브라이언 웰스는 펜실베니아 · 에리의 교외에 있는 탑에 피자를 배달했습니다. 이 때 웰스 씨는 '목걸이형 폭탄'을 장착당했고, 목걸이 폭탄을 해제하는 키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 작업을 수행하라'고 적힌 문서를 건네받았습니다.

웰스 씨는 문서의 지시에 따라 은행을 습격하여 8700달러 정도의 현금을 입수했지만, 자신의 차 옆에 서 있는 상태로 경찰에 잡혔습니다. 폭탄의 존재를 경찰에 알린 웰스 씨는 바닥에 앉혀졌고, 경찰은 폭탄처리반을 불렀지만, 처리반이 도착하기 3분 전에 목걸이 폭탄이 폭발하여 웰스 씨는 사망했습니다.

수사당국에 의해 마조리 딜 암스트롱이라는 여자가 주모자로 지목되었고 다른 공범과 짜고 웰스 씨를 함정에 빠뜨렸다고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검찰은 웰스 씨도 처음에는 강도 계획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만, 웰스 씨의 유족은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마조리 딜 암스트롱은 종신형을 선고받아 2017년 옥중에서 사망했습니다.


◆ 5 : 모나리자 도난 사건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대표적인 명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모나리자의 명성이 높아진 계기가 된 것이 1911년에 발생한 '모나리자 도난 사건'입니다.

1911년 8월 20일 빈센초 페루자는 루브르 박물관에 몸을 숨기고 휴관일인 다음날까지 가만히 기다렸습니다. 한때 루브르 박물관에서 근로했던 페루자는 미술관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휴관일의 루브르 박물관을 의심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모나리자의 앞에 도착한 페루자는 주위에 사람이 뜸해진 틈을 노려 그림을 옷 속에 숨겨 달아났습니다.

경찰의 수사는 난항을 거듭해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를 오인체포하는 사태까지 초래했습니다. 약 2년 동안 자신의 아파트에 모나리자를 보관하고 있던 페루자는 1913년에 이탈리아에서 판매를 시도한 것을 계기로 체포되었습니다. 페루자는 '모나리자를 조국인 이탈리아에 반환하고 싶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모나리자의 판매를 노리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 주장은 의심스럽다고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모나리자는 이 도난 사건을 계기로 명성을 높아져, 현재 8억 6000만 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by Bhasker Hariharan https://www.flickr.com/photos/gromhellscream/


◆ 6 : DB쿠퍼 사건

1971년 11월 24일에 발생한 'DB쿠퍼 사건'은 상업 항공산업의 역사에서 유일한 미해결된 납치 사건입니다.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워싱턴주 시애틀로 가는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305편에 댄 쿠퍼라고 자칭하는 사람이 탑승했습니다. 쿠퍼의 나이는 40대 중반으로 검은 비옷에 비즈니스 정장, 셔츠를 입고 있었다고 합니다.

비행기가 이륙하자 쿠퍼는 승무원에게 '서류가방에 폭탄이 있다'고 전했고 공항에 착륙하여 현금 20만 달러와 4개의 낙하산, 착륙 시 305편에 급유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쿠퍼는 침착한 태도로 시애틀 타코마공항에서 현금 및 낙하산을 넘겨받았고 승객들을 해방했습니다.

쿠퍼는 비행기는 다시 이륙시켜 네바다주 리노공항으로 향했는데 이 비행 중에 쿠퍼는 기체 후방에서 낙하산을 이용해 낙하했다고 보여집니다. 결국 305편은 리노공항에 착륙했지만, 기내에는 쿠퍼의 모습이나 현금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후 현금의 일부가 발견되는 등 진전이 있었지만, 쿠퍼의 정체는 현재까지 미궁입니다.


◆ 7 : 1963년의 대열차 강도사건

19세기에 다발한 열차 강도는 20세기 들어 감소했지만, 1963년에 발생한 열차 강도사건은 세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경험 많은 범죄자 브루스 레이몬즈을 필두로 한 강도단은 '런던에서 글래스고로 향하는 열차로 수백만 파운드(당시 환율로 수십억 원)의 현금을 운반된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열차 강도를 계획합니다.

강도단은 1963년 8월 8일 밤에 신호를 조작하여 열차를 정지시켰고 멈춘 열차에 탑승 중이던 승무원을 때려 기절시켰습니다. 그리고 강도단은 운전자를 위협하여 자신들의 트럭이 위치한 부근까지 열차를 조종하였고 현금을 트럭에 옮겼다고 합니다. 도난당한 현금은 260만 파운드이며,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4000만 파운드(약 550억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경찰이 수사를 진행하여 1963년 말까지 10명의 강도단 멤버가 체포된 후, 5년간 추가로 3명이 체포되었습니다. 브라질로 피신한 로널드 빗구즈 도 2001년에 영국으로 귀국했을 때 체포되어 2009년까지 수감되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remium-geisha-coffee-bean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Premium-geisha-coffee-beans.jpg


요산 수치가 높으면 엄지발가락 등에 결정화하고 심한 통증으로 고생하는 발작이 나타납니다. 통풍발작이라고 불리는 증상입니다.

'바람이 부는 것만으로도 아프다'로 표현될 정도로 발작이 심하게 됩니다. 옛날에는 호화스러운 질환으로 취급되었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이 예비군입니다.


요산이란?


우리가 생활해 나가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하는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항상 변화하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그 때 필요한 에너지의 남은 찌꺼기가 요산입니다. 우리의 몸 안에 축적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1,200㎎가량이 간, 신장, 그 외의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UricAcid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UricAcid.png


1일 700㎎을 소변과 대변으로 배출하고 식품의 섭취와 체내 생산으로 700㎎을 축적합니다. 결과적으로 1200㎎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배출량이 적어지거나 생산이 많아지면 체내의 요산 수치가 높아집니다. 이 상태가 고요산혈증, 통풍발작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입니다.

특히 남성은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높아지는 원인 중 하나는 식생활에 있습니다.

수치가 높아지면 소변이 산성화하기 쉬워집니다. 소변이 산성화되어 버리면 요산이 녹기 어렵고, 그리 인해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건강한 소변은 알칼리성으로, 항상 알칼리성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산성뇨가 되어 녹아나는 양이 부족해지면 체내의 요산이 점점 늘어납니다. 이러한 상태가 '고요산혈증'입니다. 이 상태가 오래가게 되면 혈액에서 요산이 결정화됩니다. 결정화되면 혈액의 흐름이 나빠져, 특히 체온이 낮은 곳에 침착합니다. 점점 침착하면 그 부위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이 염증 상태를 통풍이라고 부르며 매우 심한 통증이 수반하는 통풍발작이 나타납니다.

Uric acid crystals (urine)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Uric_acid_crystals_(urine)_-_%C3%9Crik_asit_kristalleri_(idrar)_-_01.png


커피가 요산 수치를 낮춘다?


커피에는 요산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좋지 않다는 기사도 보입니다.

공익재단법인 일본의료기능평가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커피의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통풍이 되기 어렵다'고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커피의 섭취와 발병의 관계를 살펴보면, 1일에 전혀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의 통풍 발병 위험을 1로 하면 '1일 1잔 미만', 1일 1~3잔', '1일 4~5잔', '하루 6잔 이상' 중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그 위험이 낮아집니다.

'1일 1잔 미만'은 0.97
'1일 1~3잔'은 0.92
'1일 4~5잔'은 0.6
'하루 6잔 이상'은 0.41

이 연구결과는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의 연구팀이 12년간 4.5만 명에 대상으로 얻은 데이터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대학이 비슷한 연구를 실시했고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결과를 보면 커피를 장기간 계속 복용하는 것은 통풍의 발병위험을 낮추기 위해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요산과 푸린체의 관계


요산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은 푸린체에 있습니다. 푸린체는 우리의 장기를 활동하게 하거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가 됩니다. 생명활동에 관계하는 중요한 것으로 빠뜨릴 수 없는 물질입니다. 그러나 혈중농도가 높아지면 많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카페인이 많이 들어있는 녹차 등을 과음하면 이뇨작용이 작동하여 혈중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카페인도 푸린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카페인이 통풍에 좋지 않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커피와 요산의 관계


커피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커피는 요산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카페인은 요산을 높일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커피의 카페인에 대한 연구도 동시에 진행되었습니다.

카페인이 없는 커피와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진 결과, 요산 수치에 대한 영향은 변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커피가 요산 수치를 낮추는 작용에 대한 원리가 아직 규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커피에 들어있는 폴리페놀이 내리는 효과가 있다는 가설은 있습니다. 카페인은 수치를 높이는 작용이 있지만,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다르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요산을 낮추는 커피 마시는 방법


과다섭취의 위험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 할 연구결과가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하루 6잔을 마시는 것이 적절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하루 한 잔을 마시는 것만으로도 적정한 수치 유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커피에는 옥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요관 결석이나 신장 결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결석 병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설탕은 당분이기 때문에 비만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산 수치를 낮추려면 설탕을 넣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우유도 푸린체를 포함한 음료이지만 수치를 높이지 않고 내리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통풍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참고 :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gout in men : a prospective study'

Posted by 말총머리
,


통풍이란 어떤 병?


● 어느 날 갑자기 엄지발가락에 생기는 심한 통증 발작
통풍은 어느 날 갑자기 엄지발가락 등의 관절이 붓고 심한 통증을 습격하는 질병으로 남성에게 많은 병입니다. 이 증상은 발작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통풍발작'이라고 불리며 발작이 발생하면 2~3일 정도 걸을 수 없을 정도의 통증이 계속됩니다.
그 통증은 점차 누그러집니다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유사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발작 때마다 병태는 악화되어 갑니다.


● 통풍 예비군, 고요산혈증이란?
통풍의 배후에는 '고요산혈증'이라는 질병이 숨어 있습니다. 고요산혈증은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요산이 너무 증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요산은 몸의 신진대사에 의해 발생하는 노폐물입니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요산은 생산과 배출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요산이 과잉으로 만들어지거나 배출이 잘되지 않으면 체내의 요산이 적정량을 초과하게 됩니다. 이렇게 혈액 속의 요산의 농도가 7.0mg/dl을 초과한 상태가 고요산혈증입니다.

고요산혈증은 자각증상이 없지만, 요산 농도가 높은 상태가 계속되면 혈액에 녹아 나오지 못했던 요산이 결정화하여 관절과 조직에 쌓여갑니다. 관절에 쌓인 요산결정에 면역세포가 반응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통풍이 됩니다.

Gout Signs and Symptom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Gout_Signs_and_Symptoms.jpg


통풍은 왜 무서운거야?


● 죽음에 이르게 하는 무서운 합병증
통풍의 발작은 고통스러운 것입니다만, 통풍의 무서운 점은 그것만이 아닙니다. 요산이 높은 상태를 방치하면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고요산혈증은 당뇨병이나 고지혈증, 고혈압을 합병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생활습관병은 동맥경화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며, 여러 요인이 중첩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 뇌출혈이나 뇌경색 등의 뇌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신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체내에 요산이 증가하면 관절뿐만 아니라 신장에도 결정화된 요산이 쌓일 수 있습니다. 신장 속에 요산결정이 쌓이면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요산결정이 쌓이기 쉬워지는 악순환이 만들어집니다. 이런 악순환을 통해 만성신부전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요산결정이 요로에 쌓이면 요로결석이 되어 신장이나 요관, 방광 등에 결석이 생기기도 합니다.

A seated gouty man with his bandaged leg on a gout stool.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_seated_gouty_man_with_his_bandaged_leg_on_a_gout_stool._Co_Wellcome_V0011155.jpg


통풍의 원인은?


● 통풍의 위험인자는?
통풍의 원인이 되는 고요산혈증은 생활습관 특히 식생활이 크게 관계하고 있습니다.
요산은 '푸린체'가 분해되어 만들어집니다. 푸린체는 세포의 신진대사와 에너지대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며, 식품으로도 푸린체를 섭취하고 있습니다. 푸린체는 고칼로리식, 레버와 새우 등 동물성 식품, 주류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러한 식품을 과식하면 푸린체의 과다섭취로 연결되고, 알코올은 체내에서 푸린체의 합성을 촉진하여 요산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고칼로리 음식과 다량의 음주가 초래하는 비만도 큰 위험인자입니다. 비만은 요산의 배출을 나쁘게 하기 때문에 체내의 요산량이 증가하기 쉽습니다.


■ 통풍의 위험인자
· 과식
· 고칼로리 음식
· 동물성 식품의 과다섭취
· 다량의 음주
· 운동 부족


● 운동이나 스트레스에도 요산 수치는 상승
심한 운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도 요산 수치의 상승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격렬한 운동으로 많은 땀을 흘린 경우에는 체내 요산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합니다. 이 때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지 않으면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통풍이 생깁니다.

통풍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험 요인은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줄일 수 있다
통풍을 예방 ·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식에 주의하고 비만을 해소, 푸린체가 많이 포함된 고칼로리 음식과 술을 자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요산의 배출을 촉진하고 통풍발작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수분은 달콤한 주스와 주류가 아닌 물이나 차를 마시도록 합시다.

또한 스트레스를 잘 해소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통풍 및 고요산혈증이 발병한 경우에는 심한 운동이 일시적으로 요산치를 상승시키고 통풍발작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A swollen and inflamed foot; gout is represented as an attack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_swollen_and_inflamed_foot;_gout_is_represented_as_an_attac_Wellcome_V0010853.jpg


■ 생활습관 개선의 포인트
· 과식을 하지 않는다
· 푸린체를 많이 포함한 식품을 자제한다
· 음주는 적당량을 지킨다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한다
· 적당한 운동습관을 가진다
·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해소한다

■ 푸린체가 많이 포함된 식품
· 소 · 돼지 · 닭의 간
· 쇠고기나 돼지고기
· 정어리와 전갱이 등의 건어물
· 새우, 낙지 등
· 맥주, 일본 술, 소흥주, 와인 등

■ 푸린체가 적은 식품
· 쌀, 빵, 메밀 등의 곡류
· 야채 · 과일류
· 해조류
· 계란
· 두부 등
· 소주, 위스키, 브랜디 등


● 이런 검사로 알 수 있다
통풍 검사는 혈액 검사로 요산 수치를 측정합니다. 요산 수치가 기준치 7.0mg/
dl을 초과하면 혈액에 녹아나지 않은 요산의 결정화가 시작되어 요산결정이 관절과 그 주변, 신장이나 요로에 쌓여갑니다.

출처 참조 번역
【痛風】 ある日突然、激痛におそわれます
https://www.kyoukaikenpo.or.jp/g4/cat450/sb4502/p017/

Posted by 말총머리
,


외신 Motherboard가 2020년 11월 17일 다양한 앱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미군이 구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Motherboard가 위치정보를 유출하고 있는지 확인한 앱 중 일부는 9800만 회 이상 다운로드되는 무슬림을 위한 기도용 앱 등 무슬림을 주요 대상으로 한 앱이 여러 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How the US Military Buys Location Data from Ordinary Apps
https://www.vice.com/en/article/jgqm5x/us-military-location-data-xmode-locate-x

How the U.S. Military Buys Location Data from Ordinary Apps

A Muslim prayer app with over 98 million downloads is one of the apps connected to a wide-ranging supply chain that sends ordinary people's personal data to brokers, contractors, and the military.

www.vice.com


Motherboard가 앱 개발자의 취재 등에 통해 특정한 미군에 대한 위치정보 판매 경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Babel Street라는 기업이 판매하고 있는 'Locate X'라는 서비스를 통한 경로입니다. Locate X는 미군에서 대테러 및 특수 정찰을 담당하고 있는 미국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 액세스 권한의 판매를 통해 미군에 사람들의 위치정보를 흘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Babel Street는 자사 서비스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완전히 익명화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Motherboard에 정보를 보낸 전 Babel Street 직원은 Locate X의 익명처리에 대해 "솔직히 놀이 같은 것"이라고 증언했습니다. USSOCOM은 Locate X의 '추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Babel Street에서 구입하고 있으며, 텍스트 분석에 특화한 'Babel X' 등 다른 서비스도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공공기록에서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USSOCOM의 대변인인 팀 호킨스 씨는 "Locate X에서 구입한 권한은 해외에서 활동하는 특수작전 부대의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미국 시민의 개인정보, 자유권, 헌법과 기타 법률에 규정된 법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과 절차를 엄격히 준수하고 있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한편, 매사추세츠 해사대학의 Mark Tallman 조교수는 Motherboard의 취재에 대해 "내 의견으로는, 외국 기업체가 이러한 데이터를 악용하려고 하는 것은 사실상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다는 가정은 어리숙한 생각입니다"라고 말합니다.

Motherboard가 포착한 미군에 위치정보를 흘리고 있는 두 번째 경로는 'X-Mode'라는 기업입니다. X-Mode는 여러 스마트폰 앱에서 직접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브로커를 통해 군에 판매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X-Mode가 위치정보 수집에 사용하는 앱에는 무슬림을 위한 데이트 앱 'Muslim Mingle'과 메카의 방향을 표시하는 앱 'Muslim Pro' 등 무슬림을 겨냥한 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uslim Pro는 공식사이트에서 '가장 인기있는 이슬람 앱'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Google Play 스토어에서 5000만회 이상, iOS 등 다른 플랫폼에서는 총 9800만 회 이상 다운로드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 밖에도 보수계 앱 'Accupedo', 채용 정보 검색 어플리케이션 'CPlus for Craigslist', 태풍이나 허리케인 추적 앱 'Global Storms' 등 다양한 앱이 X-Mode에 정보를 보내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자사가 개발한 앱이 X-Mode에 데이터를 전송했다는 소프트웨어 업체의 CEO는 Motherboard와의 인터뷰에서 "X-Mode가 데이터를 군에 판매하고 있었다고는 알지 못했습니다. 어디에도 명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X-Mode가 군과 협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없습니다"고 증언했습니다.

이처럼 불투명한 루트에서 위치정보가 군대에 판매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Motherboard는 "이 뉴스는, 드론 공격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입한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비난받는 미군이 기업 등의 개인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구입하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무슬림을 겨냥한 앱이 주요 통로의 일부였다는 점은, 미군이 이슬람 테러 그룹을 상대로 중동에서 수십 년 동안 전개한 군사 작전 중에 수십만 명의 민간인을 살해해 온 점을 감안하면 주목할 만하다"고 지적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JiahuiH. https://www.flickr.com/photos/huangjiahui/


1993년 x86 아키텍처 CPU의 Pentium 브랜드를 구축한 Intel은 Pentium II의 염가판으로 발표한 저가형 엔트리 브랜드가 'Celeron'입니다. 그런 Celeron의 배경에 있는 Intel의 기술전략 '파괴적 혁신'에 대해 비영리 싱크탱크 '이노 사이트'의 연구원인 제임스 올워스 씨가 설명합니다.

Intel 's Disruption is Now Complete | by James Allworth | Nov 2020 | Medium
https://jamesallworth.medium.com/intels-disruption-is-now-complete-d4fa771f0f2c

Intel’s Disruption is Now Complete

“Look, Clayton, I’m a busy man and I don’t have time to read drivel from academics but someone you told me you had this theory… and I’m…

jamesallworth.medium.com


'파괴적 혁신'은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가 제창한 이론입니다. 기술은 본래 주류 시장의 주요 고객이 평가하는 성능 지표에 따라 진화합니다. 한편 '파괴적 혁신'은 기존의 기술보다 성능은 낮지만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는 특징을 가진 '파괴성 기술'을 진화시켜, 틈새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Intel의 3번째 직원이며 전 회장 겸 CEO였던 앤드루 그로브 씨는 '파괴적 혁신'을 제창한 크리스텐슨 교수의 저서 '혁신의 딜레마'를 지난 10년 동안 읽은 가장 중요한 같은 책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그로브 씨는 저서를 읽었을 뿐만 아니라 크리스텐슨 교수의 이론을 Intel의 경영전략에 포함시켰습니다. 당시부터 Intel은 AMD와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데스크톱 PC용 CPU 시장에서 격전을 벌이고 있었지만, 그로브 씨는 자신의 Pentium 브랜드의 점유율을 잠식할 것을 각오로 저가형의 이익률 낮은 Celeron 시리즈의 출시를 결정했습니다.

by yum9me. https://www.flickr.com/photos/yum9me/


Celeron은 Pentium II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므로 처음에는 매출이 그다지 좋지 않았지만, L2캐시를 탑재하는 등의 개량을 한 2세대 Celeron이 경우에 따라서는 Pentium II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명나 히트를 칩니다. Celeron의 발매에 의해 확실하게 Pentium의 점유율이 잠식되어 버렸지만 최종적으로 Intel은 시장점유율의 35%를 획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동시에 1991년부터 전개하고 있는 'Intel Inside'라는 캐치프레이즈도 침투하여 2000년 전후 Intel은 Microsoft와 함께 데스크톱 PC의 대명사적인 기업으로 데스크톱 PC용 CPU 시장의 패권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1987년부터 Intel의 경영에 종사하고 있던 그로브 씨는 1998년에 CEO에서 물러나 2005년 회장직을 은퇴. 같은 해에 Intel의 CEO로 취임한 인물이 폴 오텔리니 씨였습니다. 오텔리니 씨는 당시 Mac의 새로운 전개를 모색하던 Apple과 제휴해 취임 후 서서히 'Intel 기반 Mac'을 실현했습니다.

2006년에 개최된 Apple의 기조연설에서 Intel 기반 iMac이 처음 발표된 때 Intel의 작업복을 입은 오텔리니가 반도체 실리콘을 들고 등장했던 당시의 모습을 아래의 영상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First Intel Mac (10 Jan 2006)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cp49Tmmtmf8?t=61


올워스 씨는 "완전히 Intel이 승리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확실히 Apple과 Intel의 거래는 Intel에 있어서 지금까지 실현되지 못했었던 만큼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Intel이 데스크톱 PC용 CPU 시장을 지배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오히려 'Intel이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생각하는 기업과의 관계를 구축했다'라는 의미에서 중요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사실 Intel 기반 iMac을 발표한 1년 후에 등장한 자사 스마트폰인 iPhone 칩을 Intel이 개발한다는 이야기도 부상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Intel과 Apple의 협의도 있었다는 것.

그러나 Intel의 칩이 탑재된 iPhone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오텔리니 씨는 CEO 퇴임 1개월 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Intel과 Apple의 협의는 iPhone이 도입되기 전이며, 모두 iPhone이 무엇을 하는 물건인지를 몰랐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던 칩 중에는 일정한 가격을 지불하기를 원하는 칩이 있었고, 그 가격은 우리의 예측 비용보다 낮습니다. 나는 알 수 없었다. 그 비용은 수량으로 보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 보면 그 예측 비용은 잘못 계산되었으며, 수량은 예상의 100배였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Intel은 당시 이미 PDA나 3G 휴대폰을 위한 ARM 아키텍처 기반의 32비트 프로세서인 XScale을 출시했습니다. 만약 Intel이 XScale에서 더 전력효율이 향상된 제품을 개발하여 iPhone에 탑재하는데 성공했다면 지금과는 다른 미래가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Apple은 최근까지 Mac에 Intel의 칩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2020년 11월 11일에 자체 개발 SoC 'M1'을 탑재한 최초의 Mac을 발표했습니다.


기술계 뉴스사이트 AnandTech는 Intel Core i9 시리즈와 Apple SoC를 벤치마크 테스트 'SPECint2006'의 계측에 의한 성능 결과를 비교한 다음 그래프를 작성했습니다. 세로축이 성능 값이고 가로축이 칩이 출시될 시기입니다.


그리고 다음이 1995년 크리스텐슨 교수가 발표 한 '파괴적 혁신' 이론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처음에는 성능적으로 열등한 기술도 그것이 시장점유율을 크게 확대함으로써 기존의 기술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개선되어 간다'는 것입니다. 올워스 씨는 Intel Core i9와 Apple SoC의 비교 그래프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합니다.


올워스 씨는 "Apple이 M1을 발표한 시점이 바로 Intel과 Apple의 선이 교차했을 때입니다. 그리고 ARM 기반의 칩이 Intel에 있어서 마지막 아성인 서버 비즈니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는 것도 시간의 문제일 것입니다"라고 예측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Blogtrepreneur. https://www.flickr.com/photos/143601516@N03/


모바일 데이터의 사용 요금을 걱정하여 트래픽을 체크한 적이 있는 사람 중 일부는 OS나 제조사가 미리 설치한 앱이 의외로 많은 통신 용량을 사용하고 있어 놀란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Google이 스마트폰의 통신 용량을 낭비했다고 미국의 Android 사용자가 Google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습니다.

CLASS ACTION COMPLAINTJURY TRIAL DEMANDED
(PDF 파일) https://regmedia.co.uk/2020/11/13/taylor-v-google.pdf


New lawsuit : Why do Android phones mysteriously exchange 260MB a month with Google via cellular data when they 're not even in use? •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ter.com/2020/11/14/google_android_data_allowance/

New lawsuit: Why do Android phones mysteriously exchange 260MB a month with Google via cellular data when they're not even in us

Ad giant sued after mobile allowances eaten by hidden transfers

www.theregister.com


영국 IT계 뉴스사이트 The Register가 2020년 11월 14일에 Android 사용자의 스마트폰 통신 용량을 가로챘다고 Google이 11월 12일에 기소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소송은 일리노이 · 아이오와 · 위스콘신주에 사는 총 4명의 원고가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북부지구 연방지방법원에 제기한 것. 원고는 기소장에서 "Google은 Android 사용자의 허가를 받지 않고 한정된 통신 용량을 소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가 문제로 삼고 있는 것은 Wi-Fi를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앱의 데이터가 아니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이 모바일 데이터를 통해 처리한 Android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통신입니다.


Android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약관과 개인정보보호 정책 등 4가지 약관에 동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원고는 "어떤 약관에도 사용자의 통신 용량을 사용하여 백그라운드 통신을 한다고 명기되어 있지 않습니다"라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원고가 실제로 새로 구입한 Samsung Galaxy S7으로 Google 계정에 로그인하고 Wi-Fi에 연결하지 않은 채 방치한 결과, 스마트폰은 하루 8.8MB의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었으며, 통신의 94%는 Google과 스마트폰 사이에서 발생한 것이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한 달에 총 260MB 분량의 데이터 통신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실험에서는 모든 앱이 종료되는 유휴상태였지만, Google 서버와 단말기 사이에 1시간에 약 16회, 24시간에 약 389번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통신 내용을 조사한 결과 Google이 수집하고 있는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강도 등을 기록한 로그파일과 OS의 메트릭에 관한 데이터라는 점도 밝혀졌습니다.


원고는 이러한 데이터에 대해 "Google은 광고 사업을 위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표시되지 않아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프리로드 된 광고를 전송하고 있습니다"라고 비난합니다.

The Register는 Google에 취재를 시도했으나, Google은 언급을 회피했습니다. 또한 광고모니터링 서비스를 다루는 Method Media Intelligence의 최고수익책임자인 마크 골드버그 씨는 "프리로드 광고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도 광고비를 청구할 수 있는 이벤트로 집계됩니까?"라는 The Register의 질문에 "예, 가능성은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이번 소송에서 원고는 Google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용한 통신 용량에 상당하는 대가의 회복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금액은 이번에 문제가 된 사례가 시작된 지난 몇 년간을 소급하면 총 500만 달러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by Andrea Fistetto. https://www.flickr.com/photos/andreafis/


Apple의 CEO인 스티브 잡스는 Apple을 파산 직전의 상태에서 1000조 원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는 점에서 카리스마 경영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작가 William Gallagher 씨는 잡스의 공적을 "기업의 구조를 검토하고 근본적으로 바꾼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 기발한 매니지먼트 방법이 현재의 Apple을 계속해서 성공시키고 있다고 말합니다.

How Steve Jobs 's unorthodox management continues to make Apple a success | AppleInsider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0/10/26/how-steve-jobss-unorthodox-management-continues-to-make-apple-a-success

How Steve Jobs's unorthodox management continues to make Apple a success | AppleInsider

When he returned to Apple, Steve Jobs dismantled its typical corporate structure and radically changed how the entire business was managed. The benefits of that rethinking about corporate structure are still being leveraged today.

appleinsider.com


조직 구성원의 노동에 관한 사회학의 법칙에는 '피터의 법칙'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피터의 법칙은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려 출세하지만, 그 극한에서부터 무능해지므로 관리자는 무능한 사람들로 가득하다'라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많은 기업이 피터의 법칙에 의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버드 비즈니스리뷰에 따르면, 잡스가 Apple로 돌아온 1997년의 시점에서 Apple은 8000명의 직원과 연간 700억 원의 수익이 나는 결코 작은 회사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잡스는 Apple에 복귀 직후 기업 구조를 재검토하여 피터의 법칙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큰 성공을 손에 쥐었습니다. 그 결과 Apple은 2019년 시점에 13만 7000명의 직원과 연간 2600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잡스가 Apple에 돌아와서 즉시 착수한 매니지먼트는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1 : 기존의 기업구조를 타파

잡스가 Apple에 돌아온 당시 Apple은 많은 기업과 마찬가지로 제품마다 사업이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Mac은 하나의 사업 단위로 존재했고 독립적 총괄 매니저를 두었으며 손익계산서를 비롯한 재무관리도 별도었습니다. 이 같은 구조에서는 총괄 매니저는 자신의 총괄 사업의 지출과 수익에만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지 않고, 단기 이익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잡스는 각각 손익계산서를 가진 독립적인 사업 단위를 폐지했습니다. 1997년 이후 Apple은 하나의 손익계산서만 가지게 됩니다.


2 : 매니저를 해고하기

위와 같은 사업정리를 할 때 잡스는 기능별 조직을 구축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문 관리직이 아닌 제품의 전문가가 관리직으로 투입되게 되었습니다. 이는 Apple을 떠나기 전에 잡스가 Apple은 대기업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여 매니지먼트의 프로를 고용했는데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치입니다.

"그들은 관리 방법을 알고 있었습니다만, 그 이외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위대한 사람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인물'에게서 무엇을 배울까요? 매니저로서 우수한 인물에 대해 고민한 결과 '매니저가 되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지만, 아무도 하지 않는,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결단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답에 도달했습니다. 이런 사람이 좋은 일을 하는 것입니다"라고 잡스는 1984년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그래서 잡스는 관리직을 고용하지 않고 전문가를 교육하여 관리직으로 승격시킨다는 방법을 취했습니다.


관리밖에 할 수 없는 관리직을 해고하고 전문가에게 경영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Apple은 관리직이 갖추어야 하는 특성을 명확히 했습니다. 1997년부터 2020년까지 Apple의 관리직은 각각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자신의 분야에 관여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에 대해 동료들과 협력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2020년의 Apple은 1997년의 Apple과 동일하지 않지만, 팀 쿡 CEO는 2020년 현시점에서도 하나의 손익계산서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by Brecht Bug. https://www.flickr.com/photos/93779577@N00/


그러나 팀 쿡 CEO가 조직 구조를 변경한 부분도 있는데, 예를 들어 '휴먼 인터페이스 팀'은 한때 소프트웨어 부문의 일부였지만 하드웨어 산업 디자인 팀과 통합했습니다. 다른 전문지식을 결합하여 더욱 서로를 보완하는 형태가 된 것입니다. 또한, 1990년대에 인재를 필요로 했던 'Mac용 프린터 관련 부문'은 이미 필요성이 없어지고 있으며, 그 대신에 기계학습 및 AI 관련 부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초점을 맞추어야 할 분야가 변화하고, 그 변화에 따라 조직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관리자가 수행할 작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Apple의 '실제로 전문 분야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방법은 변경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Apple은 큰 혁신을 일으키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고 Gallagher 씨는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