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0.11.04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에서 '생명의 기원이 될 수 있는 분자'를 발견
  2. 2020.11.04 세계인구의 증가가 둔화, 2100년 110억 명으로 절정에 도달 1
  3. 2020.11.03 마스크가 '기대 이상으로' 바이러스 감염증 대책에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를 알기 쉽게 해설한 동영상
  4. 2020.11.03 경차는 정말 사고에 취약한가?
  5. 2020.11.03 시공을 맡길 업체를 선정할 때 주의할 점
  6. 2020.11.02 정부가 살인을 정당화하기 위해 Facebook을 이용하고 있다
  7. 2020.11.02 누수가 누전 화재의 원인!? 피해와 원인, 해결 방법
  8. 2020.11.02 해커가 주의 웹사이트에서 유권자 정보에 액세스하여 협박 메일을 전송
  9. 2020.11.02 아파트에서 누수가 발생했을 때의 원인과 대처
  10. 2020.11.02 스스로 누수 조사를 하는 방법 · 찾아내는 방법
  11. 2020.11.02 왜 '자유의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하는가?
  12. 2020.11.01 상사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부하에게서 보이는 의외의 '손해'
  13. 2020.11.01 '시간은 돈이다'란 격언으로 유명한 벤저민 프랭클린이 말하는 8가지의 '돈 이야기'
  14. 2020.11.01 조현병의 회복을 촉진하는 가족의 대처법 2
  15. 2020.11.01 물과의 접촉으로 발화하는 금수성 물질
  16. 2020.11.01 자신의 복부를 절개하여 충수절제 수술을 한 의사
  17. 2020.10.31 수많은 화재의 원인이 되는 자연발화의 종류
  18. 2020.10.31 일상에 숨어있는 자연발화의 위험성
  19. 2020.10.31 도료의 의한 자연발화에 주의
  20. 2020.10.31 분진폭팔을 일으키는 알루미늄 분말
  21. 2020.10.31 마녀는 예로부터 장사에 능숙했고 현대에는 마법이 수조 원 규모의 산업이 되었다
  22. 2020.10.30 문어가 빨판을 통해 '먹이를 맛보는 메커니즘'이 규명되다
  23. 2020.10.29 안경을 착용하면 잘 보이는 이유
  24. 2020.10.29 고양이로부터 배우는 '자연체로 사는 법'
  25. 2020.10.28 코로나바이러스는 150개 이상의 단백질을 모방하는 '흉내의 달인'
  26. 2020.10.28 과도한 육체노동은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 2
  27. 2020.10.27 박쥐가 병에 걸리지 않고 다수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메커니즘이란? 2
  28. 2020.10.26 5년에 걸쳐 촬영한 '오리온성운'을 1장의 사진으로 완결...초고해상도의 미려한 사진이 공개 중
  29. 2020.10.26 빛을 95.5% 반사하는 '궁극의 흰색 페인트'가 개발되다
  30. 2020.10.26 미국에서 '살인벌'이라고 두려워하는 장수말벌의 둥지를 처음으로 제거하는 데 성공


62개인 토성의 위성 중 가장 거대하고 태양계 내에 있는 위성 중 유일하게 풍부한 대기를 가진 천체가 '타이탄'입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팀이 타이탄의 대기권에서 '잠재적으로 생명을 형성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etection of Cyclopropenylidene on Titan with ALMA - IOPscience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3847/1538-3881/abb679


‘Weird’ Molecule Discovered in Titan’s Atmosphere | NASA
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20/nasa-scientists-discover-a-weird-molecule-in-titan-s-atmosphere/

‘Weird’ Molecule Discovered in Titan’s Atmosphere

NASA scientists identified a molecule in Titan’s atmosphere that has never been detected in any other atmosphere.

www.nasa.gov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와 메탄으로 되어 있습니다. 기압은 지구의 약 1.45배, 대기 밀도는 지구의 4배로, 호수와 강, 비와 구름, 심지어는 지하에 소금물의 바다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어, 25억 년 전 지구와 비교적 유사한 환경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NASA의 과학자팀이 칠레 북부에 있는 알마망원경으로 타이탄의 대기 성분을 조사하던 중 그 스펙트럼에서 환상탄화수소인 Cyclopropenylidene(C3H2)이라는 물질이 검출되었다는 것. NASA · Goddard 우주비행센터의 행성과학자인 코너 닉슨 씨는 "Cyclopropenylidene의 흔적을 발견했을 때에는 정말 의외의 분석 결과라고 먼저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하며 발견 당시의 놀라움을 나타냅니다.

타이탄의 대기 중에서 벤젠 이외의 환상탄화수소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어서, 닉슨 씨는 지금까지 수집된 유사한 데이터가 없는지 2004년부터 2017년까지의 토성탐사선 카시니가 보내온 데이터를 재확인하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 타이탄 주변의 질량분석기 데이터에서 Cyclopropenylidene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닉슨 씨에 따르면 타이탄의 대기에 어떻게 Cyclopropenylidene이 존재하는지, 또 다른 천체의 대기에서는 Cyclopropenylidene이 검출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닉슨 씨는 "이 Cyclopropenylidene는 유전정보의 매체인 DNA와 RNA의 핵산염기의 일부가 될 수 있으므로 타이탄의 대기 중에서 Cyclopropenylidene을 발견했다는 것은 중요합니다"라고 말합니다.

2026년에 타이탄에 착륙기를 보내는 미션 '드래곤플라이'의 부주임 연구원인 멜리사 트레이너 씨는 "타이탄은 생명이 태어난 고대 지구와 유사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실험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드래곤플라이를 통해 우리는 Cyclopropenylidene보다 큰 분자를 찾을 예정입니다. 그러나 '복잡한 유기분자가 형성되어 지표면에 쏟아진다'는 화학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기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증가율은 지역에 따라 다르고 많은 나라에서 인구가 감소

뉴욕, 6월 17일 오늘 발표된 유엔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현재 77억 명에서 2050년 97억 명으로 향후 30년 동안 20억 명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유엔경제사회국 인구부가 발표한 '세계인구 추계 2019년판:요지'는 세계인구의 패턴과 전망을 포괄적으로 전망한 보고서입니다. 조사결과는 세계인구가 금세기 말경 거의 110억 명으로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World population growth, 1700-2100, 2019 revision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World_population_growth,_1700-2100,_2019_revision.png


보고서에서는 평균 수명의 연장과 출산율 저하에 의해 세계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됩니다. 결과적으로 세계인구의 규모, 구조, 분포의 변화는 경제적인 풍요로움과 사회의 복지를 개선하면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세계가 합의한 목표를 담은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의 달성에 크게 영향을 줍니다.

세계인구는 증가를 계속하지만, 지역에 따라 증가율에 큰 차이

이 새로운 인구 예측에 따르면 향후 2050년까지 예상되는 세계인구 증가의 절반 이상은 인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콩고 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인도네시아, 이집트, 미국(예측되는 인구의 증가가 많은 순서) 9개국에서 발생합니다. 인도는 2027년경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Yick Cheong building in Quarray Bay Hong Kong https://www.flickr.com/photos/93986495@N00/3519916738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인구는 2050년까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99% 증가). 2019년부터 2050년까지 인구증가율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지역으로는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56%),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46%), 호주와 뉴질랜드(28%), 중앙 · 남아시아(25%),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18%) 동 · 동남아시아(3%), 유럽 · 북미(2%)를 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의 출산율은 1990년 여성 1인당 3.2명에서 2019년에는 2.5명으로 감소하여 2050년에는 2.2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9년 시점에서 여성 1인당 출생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4.6명),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3.4명), 북미 · 서유럽(2.9명) 및 중앙 · 남아시아(2.4명)로 여전히 2.1명을 웃돌고 있습니다(1세대의 대체를 확보하고 이민자의 유입이 없다고 가정하면,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 1인당 2.1명이라는 출산율이 필요합니다).


劉振民 유엔경제사회문제담당 사무차장에 따르면, 이 보고서는 행동과 개입의 타겟을 어디에 모아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로드맵입니다.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국가 가운데는 가난한 나라가 많기 때문에 빈곤을 근절하고 남녀평등을 달성, 기아와 영양실조와의 투쟁,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보건 · 교육 제도의 범위와 질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인구의 증가가 추가적인 과제를 들이대고 있다"

생산연령 인구의 증가가 경제성장의 기회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와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지역의 일부 국가에서는 최근 들어 출산율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나, 생산연령 인구(25~64세)가 다른 연령대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인구 보너스'라는 현저한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가 다가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 '인구 보너스'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특히 청소년의 교육과 보건에 투자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조건을 정비해야 합니다.

최빈국 국민의 평균 수명은 여전히 세계 평균에 7년 낮아...

세계의 출생시 평균 수명은 1990년 64.2세에서 2019년에는 72.6세로 늘어났고 2050년에는 77.1세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국제적인 평균 수명의 격차 축소라는 점에서 상당한 진전이 보이지만, 여전히 큰 격차가 남아 있습니다. 2019년 현재, 후발 개발도상국의 출생시 평균 수명은 세계 평균에 7.4세 밑돌고 있는데, 주요 요인으로는 어린이와 임산부의 사망률이 높은 것 외에도 폭력과 분쟁, HIV 확산에 의한 영향의 지속을 들 수 있습니다.

Physical Aging, image of elderly couple https://en.m.wikipedia.org/wiki/File:Physical_Aging,_image_of_elderly_couple.jpeg


세계인구는 고령화, 65세 이상 연령층이 가장 빠른 확대

2019년 현재 세계인구 11명 중 1명(9%)이 65세 이상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이 비율은 2050년에 6명 중 1명(16%)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2019년부터 2050년에 걸쳐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중앙 · 남아시아,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라틴아메리카 · 카리브 지역에서는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50년까지 유럽 · 북미 지역에 사는 4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8년에는 최초로 전 세계의 65세 이상 인구가 5세 미만 어린이의 수를 추월했습니다. 80세 이상 인구도 2019년 1억 4,300만 명에서 2050년에는 4억 2,600만 명으로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산연령 인구 비율 저하가 사회보장 제도에 압력

노동연령 인구와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잠재적 부양지수는 전 세계적으로 감소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비율이 1.8로 세계에서 가장 낮습니다. 또한 유럽과 카리브해를 중심으로 한 29개국에서는 이미 잠재적 부양지수가 3이하입니다. 2050년까지 유럽 · 북미, 동 ·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48개국에서 잠재적 부양지수가 2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낮은 수치는 고령화가 노동시장과 경제 실적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가 노인의 공적 의료, 연금 및 사회보장 제도를 구축하고 유지하려고 하는 가운데, 향후 직면하게 될 자금 압박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인구 감소를 경험하는 국가가 증가

2010년 이후 27개 국가와 지역에서 인구가 1% 이상의 감소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는 낮은 출산율이 계속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낮은 출산율의 인구 규모에 대한 영향이, 높은 이민자 유출비율에 의해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2050년에 걸쳐 55개 국가와 지역에서 인구가 1%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그 중 26개국에서는 10% 이상의 인구 감소가 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2019년부터 2050년까지 인구가 3,140만 명 약 2.2%의 감소를 이룰 것으로 예측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국제 이동이 인구 변동의 주요 요인

2010년부터 2020년에 걸쳐 14개 국가와 지역에서는 이민자가 100만 명을 넘는 순증이 일어난 반면, 10개국에서는 이와 동일한 규모의 이민 유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장 큰 이민 유출 중에는 이민노동자에 대한 수요(방글라데시, 네팔과 필리핀)와 폭력과 치안 악화, 무력 분쟁(미얀마, 시리아, 베네수엘라)을 요인으로 하는 것이 있습니다. 벨라루스, 에스토니아,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세르비아 및 우크라이나에서는 지난 10년간 이민이 순증되어 사망률과 출산율의 차이로 인한 인구 감소가 일부 상쇄될 전망입니다.

출처 참조 번역
世界人口の増大が鈍化、2050年に97億人に達した後、 2100年頃に110億人で頭打ちか
https://www.unic.or.jp/news_press/info/33789/#:~:text=%E3%83%8B%E3%83%A5%E3%83%BC%E3%83%A8%E3%83%BC%E3%82%AF%E3%80%816%E6%9C%8817%E6%97%A5,%E6%A6%82%E8%A6%B3%E3%81%97%E3%81%9F%E5%A0%B1%E5%91%8A%E6%9B%B8%E3%81%A7%E3%81%99%E3%80%82

世界人口の増大が鈍化、2050年に97億人に達した後、 2100年頃に110億人で頭打ちか:国連報告書(

増加率は地域によって異なり、さらに多くの国で人口が減少ニューヨーク、6月17日 – 本日発表された国連の新たな報告書によると、世界人口は現在の77億人から205...

www.unic.or.jp

 

Posted by 말총머리
,


많은 연구에 의해 일정 수의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으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COVID-19)의 대유행이 억제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직감으로는 '절반의 사람이 마스크를 하면 감염도 반감한다'고 생각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마스크가 COVID-19를 포함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는 이러한 직감을 훨씬 웃도는 것이라고 교육 정보 동영상 등을 취급하는 YouTube 채널 MinutePhysics이 해설하고 있습니다.

Why Masks Work BETTER Than You 'd Think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Y47t9qLc9I4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킬 위험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마스크'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이 마스크는 '50%의 효과가 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리를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모두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그 효과는 '50%'보다 높습니다. 왜일까요?


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극단적인 예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만약 세상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이 없다면 마스크의 혜택도 제로입니다.


만약 모든 사람이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착용한다면 감염도 50% 감소하는 것이 아닌 75% 감소합니다.


이 마스크는 '착용자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와 '착용자의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있다'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2개의 마스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확산하는 바이러스는 먼저 그 사람이 착용하고 있는 마스크에서 50% 감소된 후 다른 사람의 마스크에서 추가로 50% 감소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가 75%의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입니다.

불행히도 현실은 모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감염자와 비감염자가 접촉하는 패턴은 4가지입니다.


첫번째는 감염자와 접촉자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이 경우 마스크의 혜택은 제로입니다.
두번째는 감염자만 마스크를 쓰고 있는 케이스. 이 경우 마스크의 효과는 50%입니다.
세번째는 접촉자만 마스크를 쓰고 있는 케이스. 상기와 같이 감염이 50% 억제됩니다.
네번째는 양자가 마스크를 쓰고 있는 케이스. 앞서 언급했듯이 마스크의 효과는 75%입니다.


조금 전 '모두가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마스크의 효과는 75%'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면 50%의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모든 접촉 중 4분의 1은 '마스크를 미착용'이고 4분의 1은 '감염자만 마스크를 착용', 4분의 1은 '접촉자만 마스크를 착용', 4분 1은 '양측이 마스크를 착용'입니다.

그 결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이 전체의 2분의 1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접촉의 4분의 3이 마스크를 착용 중이며, 그중 일부는 양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직관적으로 보면 '절반의 사람들이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으면 '50%×50% =25%'로 감염 억제율은 25%'입니다. 물론 마스크가 단방향의 효과밖에 없는 경우에는 이것이 정답입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마스크는 양방향 효과가 있으므로 실제 억제 효과는 44%. 즉 5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50%의 사람만 착용한 경우에도 감염을 거의 반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마스크의 착용 비율과 마스크의 효과를 어떤 값으로 가정해도 항상 '실제 효과'가 '직감'을 능가합니다.


그럼 이것을 COVID-19에 적용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1명의 COVID-19 환자가 COVID-19를 감염시키는 수는 2.5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역학적으로 형용하면 기본재생산수는 2.5입니다.


이것을 60% 감소시켜 1미만으로 만들면 감염의 확산은 신속하게 억제됩니다.


60%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는 '착용 비율'과 '마스크 효과'의 조합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예를 들면 '60%의 사람'이 '60%의 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착용하면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 동영상은 이해하기 쉽게하기 위해 많은 요소를 배제하고 있어서 COVID-19가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MinutePhysics는 '효과가 100%인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모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수의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한다면 전염병을 물리칠 수 있습니다.'라고 결론짓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경차는 작은 자체 덕분에 운전하기 쉬운 반면 차체가 가볍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높다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안전성이 의문시되는 경우가 많고, 조금이라도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반 자동차를 구입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경차는 정말 위험할까?


경차의 사고 사망률은 다른 차량과 다르지 않습니다
'경차 = 사고 위험이 크다'고 연상하기 쉽지만, 사실은 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다른 차량과 거의 동일합니다. 자동차 사고 발생시의 파워가 막대하기 때문에 어떤 차량도 위험합니다.

Toyota Pixis 2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Toyota_Pixis_2.jpg


상호사고 사망률은 약간 높다


사고의 전체 사망률은 경차가 0.26%, 일반 자동차는 0.22%이며, 차량끼리 부딪치는 상호사고의 경우 경차 0.22%, 일반 자동차 0.19%입니다. 전체와 상호사고 모두 경차가 사망률은 높지만 그다지 큰 차이는 없습니다. 상호사고로 경차의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차체의 가벼움이 원인입니다. 차끼리 부딪치면 큰 충격이 발생하고, 가벼운 것이 날아가 크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같은 속도로 부딪쳤을 경우에도 외부에서의 힘의 영향을 받기 쉬워 상호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단독일 경우는 일반 자동차의 사망률이 더 높다


단독 사고 사망률만을 보면 경차 4.47%, 일반 자동차 4.51%로 일반 자동차가 사망률은 다소 높습니다. 그 이유는 차체 중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벽이나 난간 등 고정된 물건에 부딪쳤을 경우 무게가 가벼운 편이 피해가 적습니다. 고정된 물건에 부딪치는 경우 '자동차의 무게' 와 '속도'가 사고시에 발생하는 파워입니다.

Honda Today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Honda_Today.jpg


경차의 사고에 대한 안전성


· 차체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경차는 사고를 나면 즉시 파괴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일반 자동차에 비해 경차는 사고로 대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차체가 손상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탑승한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파괴되기 때문에 위험한 것이 아니라 차체가 파괴되기 때문에 인간의 피해가 적다는 것입니다.

· 차체의 가벼움은 위험하면서도 안전하다
차체의 가벼움은 경차만의 특징이지만, 이것은 안전과 위험이라는 두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차체가 가벼우면 사고시에 발생하는 파워가 줄어들어 사망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또한 대인사고에서도 일반 자동차보다 피해가 적은 경향이 있고 부상도 경미한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위험한 이유는 대형차량과의 충격에 약한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상호사고의 경우는 차체가 무거운 만큼 안전성은 향상되므로 트랙처럼 대형차량과 접촉한 경우, 가벼운 접촉만으로도 튕겨져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 브레이크시의 제동거리가 짧다
브레이크시의 제동거리가 짧은 점도 경차만의 특징입니다. 제동거리는 제동조작 후 자동차가 멈출 때까지의 거리로 경차는 차체가 가벼워 제동이 쉽습니다. 제동거리가 짧아 급제동을 걸었을 때 즉시 멈출 수 있습니다. 다른 차량보다 긴급 회피 성능이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사고에 대비한 경차 선택의 포인트


· 뒤쪽의 여유공간
뒤쪽에 공간이 있는 차량은 충돌시 충격이 분산되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뒤쪽이 가득찬 경우에는 충격이 고스란히 전달되어 차내의 인간에 미치는 영향이 강해지기 때문에 위험도가 높습니다.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후방에 여유가 있고, 넓은 실내 공간이 있는 모델을 선택합시다.


· 측면 보호 에어백
자동차의 안전장치에는 에어백이 있지만,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보호 에어백이 붙어있다면 더욱 안심이 됩니다. '사이드 에어백', '커튼 에어백' 장착 모델이라면 사고시 충격을 흡수하기 쉽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탑재되지 않은 모델도 옵션으로 붙은 경우가 있으므로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설치를 추천합니다.

· 미끄럼 방지 기능
미끄럼 방지 기능은 미끄러짐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궤도를 수정하는 기능입니다. 경차는 차체가 가벼워서 옆바람의 영향을 받아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 안전을 위한 자동 브레이크 내장
자동 브레이크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능입니다. 저속일 경우라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브레이크 조작이 늦었을 때 사고의 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완전히 사고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만, 위험은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요구한다면 체크해야 할 기능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리노베이션을 고려할 때 주의해야 할 우선순위에 '업자 선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리노베이션은 아무리 소규모라도 건물에 칼을 대는 수술입니다. 업자 선정이 중요합니다.

이런 업체는 주의!


싼 가격을 강조한다
어느 작업도 '적정 가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대로는 위험하다'고 불안을 부추긴다
실제로 내진성 등에 문제가 있는 등 위험한 상태일 가능성이 신축보다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불안을 부채질하여 계약을 서두르게 하거나 추가 공사를 종용해 오는 업체를 주의해야 합니다.

영업사원과 공사를 하는 업체의 연계가 되지 않는다
지난 몇 년 동안 급증하고 있는데, 대부분 프리랜서로 영업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영업사원은 지붕 수선에서 방충망 교체까지 무엇이든 계약을 체결 후 하청업체에 넘겨 마진을 취합니다.


보험에 대한 언급을 피한다
공사한 부분에 결함이 생긴 경우, 보험을 사용하여 복구할 있습니다.

가입 단위는 1계약 단위이고, 정부의 지정을 받은 보험회사가 현장을 검사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입니다

즉, 허술한 설계시공 내용으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만일 그 업체가 도산한 경우에도 보증기간 내라면 수주자에게 청구권이 이동합니다.

핀포인트 전문 리폼을 내세운다
'우리는 주방 전문 리모델링을 하고 있습니다'나 '외벽공사 전문'처럼 핀포인트로 어필해오는 업체도 주의합니다.

리폼 · 리노베이션은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현명한 업자 선정이란?


리노베이션뿐만 아니라 건설 산업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요구되는 것은, 경험과 그것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그 건물을 세운 업체에 우선 문의한다
· 최소 3개 업체와 견적 상담을 한다
· 리노베이션 공사 이력이 다수 있으며 공개하고 있는 업체
· 애프터서비스와 보장내용이 충실하다
· 건축사의 재적 상황이나 건축업 등 허가인증 상황을 공시하고 있는 업체
· 사무실이 가깝고 제휴하고 있는 업체가 있다
· 주변의 평판이 좋다

Posted by 말총머리
,


가짜뉴스가 정치의 세계를 왜곡하는 것을 이전부터 우려가 되어 왔는데, 필리핀에서 'Facebook이 정부에 의한 살인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사람이 Facebook에서 '위험인물'과 거짓 정보를 흩뿌려 살해될 때까지의 흐름을 언론인 피터 게스트 씨가 적고 있습니다.

Marked for death on Facebook - Rest of World
https://restofworld.org/2020/in-the-philippines-fake-news-can-get-you-killed/

Marked for death on Facebook

Filipino activists and journalists want the social media company to tackle deadly disinformation coming from Rodrigo Duterte’s government

restofworld.org


2020년 8월 17일, 인권보호 NGO 조직 'KARAPATAN'의 멤버인 자라 알바 씨가 필리핀의 도시 바콜로드의 거리에서 6발의 총탄을 맞고 사망했습니다. 알바 씨를 살해한 사람은 도망쳐 여전히 체포되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이 알바 씨의 죽음이 'Red-tagging'(빨강 태그)의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

2018년 필리핀 법무부는 언론인과 야당 정치인을 포함한 '폭력적 반란을 일으키는 공산주의자' 600명의 명단을 발표하였고, 알바 씨는 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2016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정권을 잡은 후 'KARAPATAN'회원이 살해된 것은 알바 씨가 13번째입니다. 살해된 13명은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데, 먼저 거짓 정보가 유포되어 '테러리스트', '공산당 동조자'로 만들어져 대중에게 주의를 호소하는 포스터와 전단지가 배포된 후 거짓 정보가 정부의 SNS계정을 통해 증폭됩니다. 이 같은 취급을 받은 대상은 체포되거나 알바 씨처럼 살해된다고 합니다.

두테르테 정부는 이처럼 Facebook 등의 SNS를 통해 '정부의 적'에 대한 근거없는 주장을 계속 흘리고, 다른 한편으로 정부의 성공을 과장 또는 허위 뉴스를 전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75세의 두테르테 대통령은 최고령으로 선출된 필리핀 대통령이지만, SNS를 이용하는 것에 능하다고 합니다.

by Republic of Korea. https://www.flickr.com/photos/koreanet/


두테르테 대통령은 필리핀 민다나오섬 다바오의 시장을 20년 가까이 재직하며 'Davao Death Squads'라는 자경단이 범법자와 마약 밀매범을 초법적으로 살해하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2016년 대통령이 되어서도 다바오 시장 시절과 같은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폭력적인 마약 밀매범과 공산주의자, 테러리스트의 위협을 받고있는 필리핀을 지킬 수 있는 자는 무력조차 기꺼이 사용하는 유력자뿐이다'라는 스토리에 따라 정치를 수행하고 있다고 게스트 씨는 지적합니다. 이 때문에 필리핀에서는 공산당 지지자라는 것만으로도 위험인물로 간주되어 정부의 타겟이 되어 버린다고 합니다.

많은 국가에서 가짜 뉴스는 문제화되고 있습니다만, 필리핀에서는 그것이 직접적으로 살인과 결부되어 특히 위험성이 높다고 주장되고 있습니다.


필리핀은 국민의 97%가 Facebook을 이용하고 있습니다만, 많은 정치인이 이 플랫폼을 어설프게 활용하는 반면, 두테르테 대통령의 지지자는 '유권자의 심층부까지 도달하는 공포를 일으키고, 그것을 증폭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러시아 게이트 문제에 관련이 있었던 선거컨설팅 기업 'Cambridge Analytica'의 모회사인 Strategic Communications Limited는 두테르테의 대통령 선거에 관여하고 있었으며, '클라이언트를 강하고 성실하게 행동하는 인물로 리브랜딩하기'에서 무명의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고 선전합니다.

2016년부터 온라인상의 거짓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뉴스사이트 Rappler의 CEO인 마리아 렛사 씨는 '마약 밀매범들을 초법적으로 살해하는 것'을 사람들 사이에서 인정되게 하려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Facebook을 이용하고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2017년 두테르테 대통령은 가수 Mocha Uson 씨를 홍보도우미로 지명했습니다. Uson 씨는 종종 '잘못된 정보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비난받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Uson 씨와 두테르테 대통령을 옹호하는 정부 내부의 사람들은 정부의 공적을 치켜세우기 위한 가짜뉴스를 계속 흘리고 있다는 것. 예를 들어, Uson 씨는 필리핀에서 마약 사용자가 살해되는 것을 정당화하는 '증거'로 브라질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Mocha Uson ‘The Queen of Fake News’ summoned by NBI for spreading fake news again
https://www.msn.com/en-ph/news/national/mocha-uson-the-queen-of-fake-news-summoned-by-nbi-for-spreading-fake-news-again/ar-BB144u2p


"마약 전쟁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은 모두 Facebook에서 공격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침묵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살해되는 것이 묵인되면 이번에는 '사람을 죽여도 괜찮다'라는 선전의 씨앗이 뿌려집니다. 이런 것들이 필리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습니다만, 실제로 일어나고 있습니다"라고 렛사 씨는 말합니다. 공식적으로 두테르테 대통령이 집권 이후 경찰에 의해 5500명이 살해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자경단에 의해 2만 7000명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합니다.

Author :Ministry of Defence of the Russian.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Rodrigo_Duterte_and_Sergey_Shoigu_(2017-10-25)_06.jpg


지금까지 베네딕트 교회의 80세 수녀가 공산주의 테러리스트와 지명되었으며, 여배우 리자 소베라노 씨도 여성의 권리신장 단체가 주최하는 행사에서 연설을 한 후에 '빨강 태그'가 붙었습니다. 소베라노 씨도 지금까지 살해된 활동가와 유사한 말로를 걷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되고 있습니다.

필리핀의 권리단체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사망한 89명의 활동가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집안에 있는 전기 관련 장비는 물에 젖으면 누전이나 화재 등 예상치 못한 재해를 일으킵니다.

그런 누수로 인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누수에 의한 누전 화재의 피해사례를 감안하여 적절한 대책을 소개합니다.

누수를 방치하면 누전의 위험이 커진다


누수를 발견하면 즉시 처리를 해야 합니다. 방치한다면 누전의 위험을 높여버립니다.

천장에서의 누수로 조명기구가 젖어 누전이 발생한다
지붕의 손상 등에 의해 누수가 일어나면, 천장 부분에서 빗물이 스며들어 옵니다. 그 때 빗물에 젖는 것이 전등입니다.

이 빗물이 조명기구의 전원 부분과 접촉하거나 절연체가 열화된 배선에 스며들어가 누전을 일으킵니다.


◆ 실내의 전기 배선이 빗물에 젖는다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누전을 간과하기 쉬운 경우는 주택의 내부 배선에 의해 일어나는 누전입니다.

일상생활에서는 별로 의식하지 않지만, 우리 집에는 수많은 전기 배선이 깔려 있습니다. 누수가 발생하면 그 배선에 빗물이 침투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선은 절연체로 보호되어 있으며, 약간의 물에 젖어도 누전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열화와 외부 요인에 의해 흠집이 생긴 배선은 누전이 발생합니다.


◆ 벽을 타고 흐르는 누수로 콘센트에서 누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집안에 있는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꽂힌 콘센트도 누전이 자주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가전의 플러그는 전기가 통하는 부분이므로 절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전기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가 물에 젖으면 전류가 누전되어 버립니다.

콘센트는 기본적으로 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에 의한 빗물이 벽을 타고 흘러 젖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콘센트와 플러그 부분에 먼지가 쌓여있는 경우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먼지에 빗물이 흡수되어 장시간 콘센트가 물과 접촉하는 상태를 만들어냅니다. 이로 인해 누전의 위험이 커집니다.


누수에 의한 누전 피해


누수로 인한 누전은 1차 피해와 2차 피해를 나눌 수 있습니다.

◆ 1차 피해

정전
누수에 의해 발생하는 1차 피해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 정전입니다.

누전으로 인한 정전은 차단기의 작동에 의한 것입니다. 차단기는 누전을 감지하면 전기를 차단하여 정전상태를 조성합니다.

차단기의 정전 기능은 감전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누전을 근본적으로 수리할 수 없는 한 정전을 복구할 수 없습니다.

가전제품의 고장
누전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가전에도 영향이 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장을 일으킵니다.

콘센트와 플러그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가전제품에 규정량 이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전제품에 부담이 가중되어 고장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게다가 트래킹 현상에 의해 가전이 단락되어 버리면, 발화 등에 의해 가전 본체가 파손하는 상황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기 요금의 증가
누전의 피해는 경제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누전이 발생하면 본래 사용되어야 할 전기가 흘러나갑니다. 흘러나간 전기도 사용한 전기로 계산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전기 요금이 증가합니다.

보통의 경우, 누전을 감지한 차단기에 의해 정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에 띄게 전기 요금이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차단기의 결함에 의해 누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기 요금의 청구 금액이 높은 것을 계기로 누전을 눈치채는 사례도 많이 있습니다. 누전을 방치하면 금전적인 면에서도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2차 피해
누전은 1차 피해에서 더욱 발전하여 2차 피해가 일어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도 심각한 사고가 될 수 있는 피해입니다.

그 2차 피해의 대표적인 것이 감전과 화재입니다.


감전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제품은 높은 전압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 일상에서는 높은 전압의 전기에 직접 닿을 일이 없지만, 누전이 발생하면 감전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화재
누전에 의해 일어나는 심각한 2차 피해가 화재입니다.

가전제품이나 콘센트 및 전기 배선이 누전되면 그 부분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열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 발열 부분에 나무와 먼지 등의 타기 쉬운 것이 있으면 그것을 연료로 불이 붙습니다.

콘센트 부분이나 대형 가전의 뒷면 등은 먼지가 쌓이기 쉽고, 그 먼지가 누수나 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해 버립니다. 물기를 빨아들인 먼지에 의해 전기가 새어 발열, 발화해 버리는 것이 트래킹 현상입니다.


누전과 화재를 방지하는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의 역할은 누전이 발생했을 때 피해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를 차단하고 정전상태를 조성해주는 차단기입니다. 가전이나 배선 등에서 누전이 있으면 누전차단기는 그것을 감지하고 즉시 전기를 차단해줍니다.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차단기에는 이 누전차단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차단기에는 누전차단기 이외에 암페어 차단기 및 안전 차단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리


· 누수로 누전이 일어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감전이나 화재 등의 심각한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누전의 원인이 누수일 경우 누전 부위의 조사 · 수리뿐만 아니라 누수 자체를 수리해야 합니다.
· 미리 누전 예방조치를 취해 두는 것으로, 누전으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에서는 2020년 대통령 선거에 관련된 해킹이나 잘못된 정보의 확산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10월 27일에는 트럼프 대통령 진영의 공식사이트가 해킹되어 '이 사이트를 압수했다'고 표시되는 등 피해가 발생했었습니다. 그리고 또다시 이란계 해커에 의해 미국 10개 주의 웹사이트가 해킹되어 유권자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Iranian Advanced Persistent Threat Actor Identified Obtaining Voter Registration Data | CISA
https://us-cert.cisa.gov/ncas/alerts/aa20-304a

Iranian Advanced Persistent Threat Actor Identified Obtaining Voter Registration Data | CISA

This advisory uses the MITRE Adversarial Tactics, Techniques, and Common Knowledge (ATT&CK®) version 7 framework. See the ATT&CK for Enterprise version 7 for all referenced threat actor tactics and techniques. This joint cybersecurity advisory was coautho

us-cert.cisa.gov


Iranian hackers probed election-related websites in 10 states, US officials say
https://www.cyberscoop.com/iran-election-hacking-state-websites-probe-fbi/

Iranian hackers probed election-related websites in 10 states, US officials say

Suspected Iranian hackers have probed the election-related websites of 10 states and, in one case, accessed voter registration data, federal personnel told election security officials on Friday. The hackers were conducting broad scanning of certain state

www.cyberscoop.com


FBI: How Iranian hackers stole voter info from state election sites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fbi-how-iranian-hackers-stole-voter-info-from-state-election-sites/

FBI: How Iranian hackers stole voter info from state election sites

DHS CISA and the FBI today shared more info on how an Iranian state-sponsored hacking group was able to harvest voter registration info from U.S. state websites, including election sites.

www.bleepingcomputer.com


2020년 9월 말 정체불명의 해커가 미국의 10개 주 및 지역의 웹사이트에 접근하여 웹사이트와 유권자 당국의 정보를 도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국토안보부 국가보호프로그램총국(CISA)의 저메인 로우벡 씨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에서 웹사이트의 설정 오류가 악용되었고, 해커가 유권자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유권자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시도는 9월 29일부터 10월 17일 사이에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이 공격이 밝혀진 것은 미국의 유권자 수천 명에게 트럼프 지지단체의 이름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협박 메일이 보내져 가짜 정보가 확산된 것이 계기입니다.

10개 주 웹사이트에 대한 공격을 한 해커가 모두 동일하다고는 단정할 수 없지만, IP주소, IP범위, VPN 출구노드와 같은 기술적인 정보에서 중복이 보였습니다. CISA와 FBI는 공격자가 이란의 APT공격그룹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당국은 이 공격의 대상이 된 주의 웹사이트를 확인하여 문제가 되었던 부분을 수정하고 있는 중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상이 된 주가 어디였는지에 대해서는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당국은 이 공격이 투표 절차에 영향을 주었다는 증거가 아니라고 강조하며 투표의 무결성이 보장되었다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아파트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피해가구와 가해가구 모두에게 난감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지만, 그 이전에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아파트 누수의 원인은?


아파트에서 누수가 일어나는 원인은 주로 인위적 요인과 배관의 고장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요인으로는 세탁기 호스가 분리되었거나 현관과 화장실 바닥 등 방수 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물청소한 경우, 발코니에 둔 화분에 물을 과다하게 주어 넘친 경우 등 가해가구의 부적절한 행위가 포함됩니다. 변기에 기저귀나 신문지, 휴지 등을 흘려보내거나 주방 배수구에 기름을 흘려보내면 배수관이 막혀 일어나는 누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급수관 및 배수관의 부식이나 열화, 손상, 건축 당초부터의 접속 불량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의 특정이 어렵고 즉시 누수를 막지 못해 피해가 확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최상층과 지붕발코니 직하의 방이 방수처리 부분의 열화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최상층이 아니라도 외벽의 균열 등에서 빗물이 침입하여 창문 가까이에 있는 천장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Mel Green https://www.flickr.com/photos/henkimaa/4350126045/


누수가 발생한 경우의 대처법


자신이 사는 방의 천장 등에 누수가 있을 경우에는 가능한 한 초기에 관리직원과 관리회사, 관리조합에 연락을 하여 원인을 특정하고 누수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대아파트의 경우 임대관리회사와 집주인 모두에게 연락합니다. 조금이라도 빠른 대응이 피해의 확대를 막을 것입니다. 가벼운 누수라도 방치하거나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피해 상황을 사진으로 찍어 증거를 남겨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위층이 의심될 때는 방문검사도 필요하지만, 이 경우 가능한 한 관리회사 등을 통해 또는 관리직원의 입회하에 윗층 주민과 조율을 합니다.

Author :Ed! (Photography Gallery) https://en.m.wikipedia.org/wiki/File:Water_Damage.JPG


위층이 원인으로 아래층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이상이 있다면, 케이스에 따라 수도공사 업체에 연락하여 조사해달라고 요청하고 동시에 관리회사와 관리조합에 연락을 하여 아래층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래층 거주자 및 관리직원, 관리회사 등이 조사를 위해 방문한 경우에는 성실하게 대응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바닥의 공용배관이 원인이라면 개인이 책임을 지지 않지만,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위층의 마루 등을 분리하여 검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험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


누수의 원인이 공용 부분에 있을 경우에는 수선이나 피해자의 집에 대한 손해배상은 관리조합의 책임입니다. 또한 임대아파트라면 집주인이 책임을 가지고 대처해 줄 것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잘못된 사용 방법으로 인한 경우, 또는 아파트의 바닥 등의 배관 중 개인의 소유 부분에 포함된 것의 고장이 원인인 경우에는 피해자의 집에 손해배상을 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이 때 피해의 정도에 따라 배상액이 수천만 원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재보험 등의 특약으로 '개인배상 책임보험'에 가입하고 있다면 이러한 사고의 책임을 어느정도 커버해줍니다. 자신이 피해자인 경우에도 상대방이 보험에 가입해있다면 안심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관리조합이 가입하는 공용 부분의 화재보험에 각 세대를 대상으로 한 '개인배상 특약'을 추가하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이 특약은 아래층의 피해가구에 대한 배상에 대응할 수 있지만, 원인이 된 가구의 수리 등에는 보험금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누수 원인 조사를 위해 천장을 해체하거나 마루와 바닥을 제거하면 고액의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원인 조사 비용도 보상되는지 여부는 보험의 보장내용에 따라 다릅니다.

관리조합에서 어떤 보험에 가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스스로 보험에 가입하는 등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수도 요금명세서의 요금이 평상시와 다르게 오른 경우, 어쩌면 누수로 인해 수도 요금이 올랐을지도 모릅니다. 업자에게 의뢰하여도 누수 조사를 실시해줍니다만, 스스로도 누수 조사는 어느 정도 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할 수 있는 누수 조사


물이 새고 있는지 여부는 수도미터를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도미터에는 다양한 눈금이 있으므로 확인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수도미터의 위치
단독 주택과 일부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은 현관 앞이나 주차장 등에 묻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층 주택과 일부 아파트는 현관 옆 설비공간에 미터박스와 파이프샤프트가 있고, 전기계량기 및 가스미터와 함께 수도미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Author :Andy Mabbett.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Water_meter_-_Andy_Mabbett_-_2015-04-14.JPG


수도미터를 보는 법
수도미터에는 미터 지침(10리터보다 높은 자릿수), 10리터 눈금, 1리터 눈금, 파일럿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터 지침에 숫자가 카운트되어 있으며, 10리터 눈금, 1리터 눈금은 시계처럼 바늘이 빙글빙글 도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사용량을 보는 법은, 미터 지침이 3000인 경우에는 10리터 눈금 바늘이 5, 1리터 눈금 바늘이 6을 가리키는 경우로 물 사용량은 300,056리터라고 읽습니다. 이 수량에 마지막 사용량을 뺀 수량이 수도 사용량이 됩니다.

◆ 누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수도미터에서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눈금이 없는 파일럿을 확인합니다. 사전에 모든 수도꼭지를 잠그고 파일럿을 확인합니다. 수도꼭지를 잠궜는데 파일럿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라면 누수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일럿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물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즉 수도꼭지를 잠궜는데 파일럿이 돌고 있다는 것은 어딘가에서 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파일럿이 움직임으로서 수도 요금은 가산되어 갑니다.


◆ 누수의 발생위치를 특정하기
수도미터를 확인하고 물이 새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다음은 어디에서 물이 새고 있는지, 원인이 되는 부분을 특정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누수가 자주 발생하는 부분을 소개합니다.

화장실
변기의 물이 계속해서 흐르고 있어 수도미터의 파일럿이 움직이는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화장실 탱크에서 변기로 물이 졸졸 흐르고 있지 않습니까? 화장실 탱크 내부의 부품에 결함이 있으면 물이 그대로 계속 흘러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장실 탱크 내부는 평상시 별로 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주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외부의 수도
외부에 살수 밸브와 입수전 등이 있는 경우, 그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뿜어내거나 잠글 수 있는 샤워헤드를 설치하는 가정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물이 새는 경우 누수 신호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욕실의 샤워기
욕실에서 사용하는 샤워기도 요즘은 샤워헤드에 물을 조절하는 버튼이 붙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세탁기의 수도꼭지와 호스 접속부
세탁기와 수도꼭지를 연결하면 호스로 연결되지만, 종류에 따라 '니플'이라는 나사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유형이 있습니다. 이 유형은 경우 약간의 차이에도 누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근이 젖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수도 동결에 의한 누수
추운 지역이나 겨울철이 되면 수도관이나 수도꼭지에 물이 동결될 수 있습니다. 동결해 버리면 팽창하여 수도관이나 수도꼭지가 균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동되어 물이 흐르게 되었을 때 균열 부분에서 물이 새어 버립니다. 외부에 노출된 온수기의 배관 및 살수 밸브, 입수전 등은 동결되기 쉽습니다. 보온재를 감싸 동결 조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도꼭지의 누수
수도꼭지 누수는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주방과 화장실, 목욕탕이나 세탁기의 수도꼭지, 세면대와 비데의 수도꼭지, 살수 밸브와 입수전 등의 외부 수도꼭지에서 물이 새어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수도꼭지 누수 대부분의 원인은 패킹의 열화입니다. 패킹은 열화되기 쉬워 누수의 원인이 수도꼭지였던 사례가 많습니다.


◆ 지수전를 닫고 누수 발생위치를 특정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는 지수전이 붙어있으므로 하나씩 지수전를 닫고 파일럿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누수의 발생위치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지수전이 주로 설치되어 있는 장소

· 화장실
· 욕실
· 주방
· 화장실
· 온수기
...

◆ 누수의 발생부위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위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누수 지점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바닥이나 집 밖에 매설된 부분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누수가 일어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바닥을 드러내 확인하거나 맑은 날에도 불구하고 항상 축축하게 흙이나 콘크리트가 젖어 있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여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특정할 수 없다면 관련 전문가에게 상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전문가의 누수 조사와 수리의 흐름
전문가가 누수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육안 또는 전용 장비를 사용하여 조사를 합니다.

집안의 벽이나 바닥의 배관에서 누수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벽재와 바닥재를 떼어내고, 집 밖의 땅속에 있는 배관 누수의 경우 흙을 파서 조사와 수리를 진행합니다.

우선 '누수 조사를 위한 견적'에 들어가 누수의 원인을 알게되면 '수리 견적'을 작성하여 고객으로부터 양해를 얻은 후에 작업에 돌입합니다.


정리


누수에 의해 늘어난 수도 요금은 전액 되돌아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수도미터 확인하고 이전의 수도 요금명세서와 비교하여 두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이 스스로 결정을 제어할 수 있는 '자유의지'의 존재는 과학적으로 아직 입증이 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영역입니다. 사람은 살아가기 위해 결정하는 행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왜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존재하는지, 멜버른대학의 의사결정 신경과학연구소의 대표인 스테판 보디 교수가 해설합니다.

Will I or won't I? Scientists still haven't figured out free will, but they're having fun trying
https://theconversation.com/will-i-or-wont-i-scientists-still-havent-figured-out-free-will-but-theyre-having-fun-trying-132085

Will I or won't I? Scientists still haven't figured out free will, but they're having fun trying

In 1983, one study by an American physiologist set off an explosion of research about free will and the brain.

theconversation.com


1983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벤저민 리벳 씨는 인간의 '자유의지'의 존재에 대한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이 실험은 피실험자를 근육과 뇌의 활동을 측정하는 기계에 연결하고 '손목을 구부릴 필요가 있다'고 느꼈을 때 그대로 행동해달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때, 피실험자가 '손목을 구부릴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 순간도 기록되었습니다.

리벳 씨가 '근육 운동', '뇌의 활동', '피실험자의 기록시간'을 비교한 결과, '뇌의 활동', '피실험자의 기록시간'은 '근육 운동' 이전에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 자체는 놀라운 것은 아니지만, 이 연구결과에서 중시된 것은 '피실험자의 기록시간'보다 '뇌의 활동'이 0.5초 정도 빠르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사람이 '이 순간에 결정했다'고 인식하기 전에 이미 뇌가 행동을 결정했다고 해석되어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다는 주장으로 이어졌습니다.


현대의 과학자 중에는 뇌와는 별도로 '의식' 또는 '자기'가 존재한다는 생각을 부정하는 사람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뇌가 몸에 행동의 지시를 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사람의 '의도'와 '인식'이 뇌의 판단 결과로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결코 부자연스럽지 않다고 보디 씨는 지적합니다. 이 밖에도 '손목을 구부린다'가 정말 결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인가, 의사결정 순간으로 기록된 시간의 정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자도 있습니다.

한편, 리벳의 연구를 지지하는 연구결과도 그 이후로 속속 발표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없었던 fMRI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두 가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의사결정도 본인이 인식하기 이전에 뇌 스캔을 통해 읽을 수 있는 것으로 판명났습니다.


이 문제는 '자유의지란 무엇인가?'라는 논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자유의지가 존재하는 경우, 결정의 순간으로 시간이 되돌려졌을 때, 사람은 같은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하는 결정은 무작위가 아니고 외부 요인에 좌우되지 않으며 '본인의 의사'가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람은 외적 요인에 좌우되지 않는다고 해도 기억과 욕망, 소원, 욕망 등 '내적 요인'에 좌우됩니다. 의사결정 시에 활성화되어 있는 뉴런의 임의의 활동으로 인해 사람의 결정이 좌우되는 경우 사람의 결정은 확실히 자유가 아닌 뇌 활동의 결과인 것입니다.

한편, 결정이라는 것이 결과에 도달하는 순간인지 아니면 달성하기까지의 과정인가도 중요합니다. 결론에 도달한 순간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자체를 '결정'에 포함에 시킨다면 리벳이 보여준 연구결과도 당연하다고 해석됩니다.


리벳의 연구결과는 자유의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만, 이 연구결과에 의해 많은 사람이 '자유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결론은 나와있지 않지만, 리벳이 연구결과를 발표한 덕분에 인지신경과학 및 자발적결정 분야가 크게 발전했다고 보티 씨는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상사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면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아 조직이나 상사는 부하와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번의 새로운 연구에서는 '상사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직무와 관련된 비윤리적 행동을 취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Frontiers | The Dark Side of Relational Leadership : Positive and Negative Reciprocity as Fundamental Drivers of Follower 's Intended Pro -leader and Pro-self Unethical Behavior | Psychology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g.2020.01473/full

The Dark Side of Relational Leadership: Positive and Negative Reciprocity as Fundamental Drivers of Follower’s Intended Pro-le

In this study, we us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o examine when [i.e., high- vs. low-quality leader–member exchange (LMX)], why (i.e., positive vs. negative reciprocity), and how (i.e., pro-leader vs. pro-self unethical behavior) followers consider u

www.frontiersin.org


If you get on with your boss you're more likely to lie for them – new research
https://theconversation.com/if-you-get-on-with-your-boss-youre-more-likely-to-lie-for-them-new-research-147779


스위스에 본사를 둔 경영대학원인 국제경영개발원(IMD)과 네덜란드의 Groningen대학의 연구팀은 '상사와의 관계'와 '직무와 관련된 비윤리적인 행동'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에서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일련의 조사에서는 미국과 유럽에 거주하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가상의 상사와의 관계'를 전제로 한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에 앞서 피실험자에게 '상사와 매우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신뢰관계를 맺고 있다'는 패턴과 '상사와 사이가 나쁘고, 개인적인 신뢰관계가 아닌 직무상의 관계에 한정되어 있다'는 패턴을 임의로 할당했습니다. 피실험자는 연구팀이 마련한 자신과 상사가 어떤 관계인지를 쓴 문장을 읽고 가상의 상사와의 관계를 파악한다고 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피실험자에게 상사와의 관계에 대해 언급한 여러 문구에 대해 자신이 얼마나 해당되는지에 대해 답변을 요구했습니다. 이 문구에는 '상사가 나에게 호의를 보인다면, 나도 보답할 겁니다', '자신을 도와준 상사를 위해서라면 자신이 손해를 봐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상사와의 긍정적인 관계에 대한 문구와, '상사가 나에게 잘못을 범하게 한다면 얼마나 비용이 걸리는지 따지지 않고 신속하게 복수합니다', '상사가 저를 위기에 몰아넣는다면, 나는 같은 일을 할 것입니다' 등의 상사와의 부정적인 관계에 대한 문구였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피실험자는 할당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사에게 도움이 된다면, 상사의 체면을 위해 거짓 보고를 한다', '상사에게 도움이 된다면, 상사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숨긴다'라는 상사를 위한 비윤리적인 행동과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 자신을 잘 보이기 위해 거짓 보고를 한다',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숨긴다'라는 자신에 대한 비윤리적인 행동에 얼마나 동의하는지에 대해 답변했습니다.


연구팀은 일련의 조사를 통해 직원이 '비윤리적인 행동이 상사에게 유용하다'라고 생각하고 있을 때, 상사와의 신뢰관계가 강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윤리적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상사와의 신뢰관계가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근로자가 상사의 헌신에 보답하는 방법으로 비윤리적인 행동에 종사했다"고 설명합니다. 심지어 상사가 '자신에게 보답하기 위해 비윤리적인 행위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표명하지 않았더라도 근로자는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면 거기에 보답하라'라는 규범에 따라 상사를 위해 비윤리적인 행동을 했다고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상사와의 신뢰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을 위해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기 쉽다는 점도 밝혀졌습니다. 상사와의 관계가 나쁜 근로자는 자신의 상사를 희생시켜서라도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비윤리적인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연구팀은 지적합니다. 이 행위는 '상사로부터 불이익을 당한 분만큼 자신은 이득을 취해야 한다'라는 감각적인 내용이었다고 합니다.

2010년의 연구에서는 자신과 소속된 조직을 강하게 동일시하는 직원은 고객의 이익에 반하더라도 거짓을 전하거나 불편한 정보를 숨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경우에도 조직에 보답하는 마음이 비윤리적인 행동의 동기가 되고 있었습니다.


이번 결과는 상사와의 견고한 신뢰관계가 직원들이 비윤리적인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지만, 물론 상사와 직원의 긍정적인 관계는 장점도 많습니다. 상사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직원은 직장에서 좋은 실적을 올리고 조직의 동료를 돕는 경향이 강한 것 외에 심신의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사는 부하와의 강한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한편, 부하가 윤리적으로 행동하도록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상사를 고려해 거짓말을 하거나 진실을 숨기는 행위가 상사나 조직에서 평가되지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하고, 만약 부하가 그런 행동을 보인다면 즉각 주의와 제재를 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칭송받고 100달러 지폐에 초상화가 그려져 있는 벤자민 프랭클린은 '시간은 돈이다'라는 격언으로도 유명합니다. 그런 프랭클린이 말하는 돈에 관한 이야기를 생활정보 사이트 The Art of Manliness(AoM)가 8가지로 정리했습니다.

Personal Finance Lessons from Benjamin Franklin | The Art of Manliness
https://www.artofmanliness.com/articles/personal-finance-lessons-from-benjamin-franklin/

Personal Finance Lessons from Benjamin Franklin | The Art of Manliness

Learn how to become healthier, wealthier, and wise from Benjamin Franklin.

www.artofmanliness.com


◆ 1 : 사물의 진정한 가치를 알 것
프랭클린이 '물건의 진가'에 눈을 돌린 계기가 된 시기는 프랭클린이 7살 때의 일입니다. 어느날 다른 아이들이 부는 피리의 음색에 매료된 프랭클린은 주머니에 있던 돈을 모두 건네고 피리를 양보받았습니다. 집에 돌아와 즉시 즐거운 기분으로 피리를 불고 있던 프랭클린이었지만 가족에게서 "피리의 시세는 프랭클린이 지불한 돈의 4분의 1"이라고 알게 되면서 매우 낙심합니다.

이 기억은 프랭클린의 쓰라린 추억이었습니다만, 어른이 된 프랭클린은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에피소드를 회상하며 "만약 내가 돈을 절약하기 위해 쾌적한 생활이나 선행을 하는 기쁨, 동료로부터의 존경과 박애적인 우정의 기쁨을 내놓은 사람을 본다면 나는 "불쌍한 사람이다. 당신은 피리의 대가를 너무 지불했다"고 말할 것이다. 즉, 인류의 불행의 대부분은 물건의 가치를 오인해버리는 것과 피리의 대가로 너무 많은 것을 지불하여 일어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어린시절에는 피리를 비싼 값에 사버린 것에 대해 깊이 후회했던 프랭클린이었지만, 어른이 되어 돈을 위해 많은 희생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사물의 진정한 가치와 기쁨은 금액으로는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 2 : 자급자족할 것
프랭클린의 아버지는 당초 프랭클린을 성직에 종사하게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학교를 나온 프랭클린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촛불장인이 되기를 소망했습니다. 결국 프랭클린은 촛불장인이 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장인이 일하는 사업장을 보면서 기른 자급자족의 정신은 후에 프랭클린이 대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프랭클린의 경력의 출발점이 된 인쇄사업에서의 성공은 당시 미국에 자체 인쇄시설이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 시작이었기 때문입니다.

프랭클린에게 자급자족은 돈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더 큰 행복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프랭클린은 자서전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행복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큰 행운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일 얻는 작은 이익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만약 가난한 젊은이들에게 돈을 건낸다면 곧 써버리겠지만, 면도기를 주고 두발을 정돈하는 법을 가르치면 일부러 이발소에 가는 번거로움에서 해방된다"


◆ 3 : 자기에게 투자할 것
프랭클린은 어려서부터 책벌레로, 용돈의 대부분은 책을 구입하는데 사용했고 여가의 대부분을 독서에 할애했습니다. 이로 인해 프랭클린은 '장사를 습득하기 위해 학문적인 교육을 받게 하지 않는다'는 아버지의 교육방침에도 불구하고 후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 · 과학자 · 외교관이 되는 충분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습니다.

어린시절에 대해 프랭클린은 "나는 어릴 때부터 독서를 좋아했고, 손에 넣은 돈은 전부 책을 사기 위해 탕진했었다. 이 책들이 있었던 덕분에 나는 매일 1시간 또는 2시간 공부가 가능했고 아버지가 한때 나를 위해 의도적으로 학문적인 교육을 받게 하지 않았던 사정을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었다. 독서만이 유일한 오락이었던 나는 술과 유희에 시간을 사용하지 않았고 필요한 만큼 자신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고 술회하고 있습니다.


◆ 4 : 친구는 선택할 것
여윳돈 대부분을 자기투자에 사용하고 있었던 프랭클린이지만, 돈을 낭비하는 잘못을 저질렀던 일이 있었습니다. 프랭클린이 인쇄소에 취직한 지 1년이 지났을 무렵 프랭클린은 제임스 랄프라는 인물과 사이가 좋아졌고, 연극 등의 오락에 돈과 시간을 보냈다는 것. 또한 잦은 변덕에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지 않고 있던 랄프는 곧잘 프랭클린에게 빚을 지었습니다.

그리고 어느 시점에 프랭클린과 랄프는 싸움으로 이별을 해 버렸고 랄프는 프랭클린에게서 빌린 돈을 반환하지 않았습니다. 이 경험에서 배운 프랭클린은 가치관을 공유할 수 있는 친구를 가질 것을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랄프와 함께 노닐고 다닐 때의 일을 프랭클린은 자서전에서 "이것은 내 인생의 큰 실수 중 하나이며, 만약 인생을 바로잡을 수 있다면 수정하고 싶다고 생각한다"고까지 적어 막심한 후회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 5 : 돈을 위해 자신의 성실함을 희생해서는 안된다
프랭클린은 1729년에 신문사 펜실베니아 공보를 인수하고 경영자 겸 편집자가 되었습니다. 큰 출세를 완수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던 프랭클린이지만, 그것 때문에 자신의 성실함을 희생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 프랭클린의 자세는 펜실베니아 공보에 기사를 게재하고 싶다고 신청한 의뢰인에 대한 프랭클린의 답변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당신의 기사의 원고를 받아 보았습니다만, 악의에 찬 중상적인 기사라고 느꼈습니다. 나는 이것을 게재할지 결정하기에 앞서, 어젯밤 빵을 사서 집으로 돌아와 펌프에서 물을 퍼 저녁식사를 마쳤습니다. 이 생활에 나는 아무 불편도 느끼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더 나은 삶을 위해 자신의 언론기관을 파는 행위는 하지 않겠다고 결심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6 : 근면이야말로 부의 길
프랭클린은 20살 때 만든 '미래의 행동계획'에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성실하게 일에 전념하고 갑자기 부자가 되고자 하는 바보같은 계획에 현혹되지 말 것. 근면과 인내는 풍요로움을 얻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칭송하는 프랭클린이지만, 그 성공은 하루아침에 실현된 것은 아닙니다. 프랭클린이 집을 나와 인쇄소 인턴으로 일했고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고 그것이 궤도에 오를 때까지 10년이 걸렸습니다. 그동안 프랭클린은 검소한 생활을 보내고 다른 어떤 경쟁사보다 열심히 일했다고 합니다.


◆ 7 : 시간은 돈
성공한 위인의 말을 정리한 오리손 · 스웨터 마덴의 저서 'Pushing to the Front'에 프랭클린이 출판사를 경영하고 있었던 당시의 에피소드가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어느날 한 남자가 프랭클린의 출판사에서 점원에게 책의 가격을 물었을 때, 점원은 "1달러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남자는 "1달러보다 싸게 안되느냐"고 흥정했지만, 점원은 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남자는 가게의 안쪽에서 바쁘게 일하던 프랭클린에게 다가가 직접 책의 가격을 물었다. 그러자 프랭클린은 "1달러 25센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당황한 모습의 남자에게 프랭클린은 "나의 일을 중단시키지 않았다면 1달러로 깎아드려도 좋았습니다만"라고 말했다. 그 후에도 남자가 버티고 있었지만, 더욱 가격이 치켜 올라갔기 때문에 남자는 마침내 조용히 가게 카운터에 돈을 두고 책을 들고 가게를 떠났다. 남자는 시간을 자유자재로 재산으로 바꾸는 지혜에 대한 수업료를 지불한 처지가 되었다.

이 에피소드에 대해 AoM은 "'시간은 돈이다'라는 프랭클린의 유명한 문구는 최근 수전노의 말처럼 취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프랭클린은 자신의 시간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이 부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이며, 또한 자신의 자유시간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것이라고 잘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프랭클린은 42세에 인쇄업에서 은퇴했고 인생의 나머지를 발명과 과학연구 등 좋아하는 일에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평합니다.


◆ 8 : 금은 어디까지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바와 같이 꾸준히 일하고 절약하며 부를 추구한 프랭클린이지만, 재산은 어디까지나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프랭클린은 돈을 버는 이유에 대해 "독서와 연구를 하고 실험을 하며 우정이나 지인으로서 나를 존중해주는 독창적이고 가치있는 사람들과 일에 관련된 고민과 피로에 방해받지 않으며, 사람들의 공통의 이익을 위해 뭔가를 달성하는 것에 대해 장황하게 이야기를 나누기 위한 여가"라고 자신의 저서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랭클린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사후에 '부자가 죽었다'가 아닌 '사람들에게 도움되게 살았다'라고 듣고 싶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썼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질병 단계별 대응의 포인트를 정리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조현병의 회복을 위해서는 가족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됩니다. 발병 초기에는 가족도 동요하거나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1. 알아두어야 할 사항


병에 걸린 것은 누구의 탓도 아닙니다. 조현병은 약 100명 중 1명이 발병하는 친밀한 병으로 뇌에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균형이 무너져 발생합니다. 환자가 무엇인가를 했기 때문에 발병하는 것도 아니고 부모의 육아방법이나 유전 때문에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자신을 비난하거나 환자의 장래를 비관할 필요는 없습니다.

조현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지금까지 체험한 적이 없는 불안을 느끼고 있습니다. 환각, 환청, 망상에 의해 주위를 불신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두문불출해지기 때문에 먼저 가족이 '우리는 당신의 편'이라는 메시지를 보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의 이해와 대처 방법이 치료의 진행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질병의 증상과 올바른 치료법을 이해하고 회복을 위한 이미지를 가집시다. 질병의 전망과 최선의 효과를 주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안심과 여유가 생깁니다. 회복을 위한 이미지를 갖는 것은 환자에게도 중요합니다.

상호이해와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

환청이나 망상 등 회복을 방해하는 증상을 최대한 제거하는 조치로 환자의 고민과 고통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우선 다양한 증상으로 고통받는 마음의 치유를 지원하고 고통을 없애는 치료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기 쉽게 설명합시다.

약물치료와 비약물요법을 함께

조현병의 치료에는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약물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약물요법만으로는 환각이나 망상 등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거나 질병에 의해 생활의 곤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현병의 치료는 약물요법과 더불어 사회생활에 필요한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관한 기술의 향상, 취업에 필요한 기술개발 등 생활의 곤란을 개선하고 사회참여를 촉구하는 '정신과 재활'을 결합하면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치료 효과에 반영

조현병은 긴 경과를 지켜봐야 하는 만성질환이므로 의사, 환자, 가족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의사는 증상과 약물의 효과 · 부작용, 일상생활 속에서의 불안과 곤란 등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회복을 촉진하는 10가지 조언


조현병의 치료에 있어서 가정 환경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가족은 환자에게 의지할 수 있는 소중한 존재이지만 대처법에 따라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재발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와 적절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치료에 적합한 '온화한 가정 환경'을 만드는 것임을 유의합시다.

1) 이야기를 끝까지 경청
· 이야기를 도중에 끊지 않고 차분히 환자의 이야기를 듣는다
· 이야기의 앞뒤가 맞지 않아도 그 진의를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 고개를 끄덕이거나 환자의 말을 반복하며 이야기를 유도한다(좀처럼 말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

2) 전할 때는 명확하게 간결하며 알기 쉽게
· 모호한 말은 피하고 명확하게 알기 쉽게 말한다
· 한 번에 많은 것을 말하지 않는다
· 주의를 줄 때에는 그 내용 · 이유 이외에 어떻게 원하는지를 짧고 구체적으로 전달한다

3) 어린이 취급하지 않는다
· '어차피 말해도 모른다'고 단정하지 않는다
· 아이 취급하지 않고 환자의 자존심을 존중한다
· 보호와 자립의 균형을 고려한다

4) 대립과 말다툼을 피하기
· 환자와 함께 흥분하거나 논의하지 않는다
· 대립 구도가 되면 가족이 한 걸음 물러난다
· 환자의 기분이 안정될 때까지 따뜻하고 부드럽게 접근한다


5) 작은 성공을 칭찬하고 감사한다
· 활동의 좋은 점을 칭찬하고 약간의 실수에는 눈을 감는다
· 환자가 할 수 있는 도움을 요청하고 감사의 말을 전한다
· 감사와 격려로 환자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6) 과도한 비판을 삼가
· 질병으로 인한 것을 '응석'이나 '이기심'이라고 비판하거나 불만이나 불평을 환자에게 토로하지 않는다
· 질병과 환자를 구별하여 문제는 질병이지 환자가 아님을 이해한다

7) 서두르지 않고 환자의 치유 속도를 존중
· 회복을 서두르는 것은 환자에게 큰 스트레스가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를 세운다
· 환자의 페이스로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확실하게 이어나간다
·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환자의 방식과 속도를 존중하고 간섭을 자제한다
· 아무래도 도움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움을 준다

8) 환자가 할 수 있는 것은 맡긴다
·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스스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한다
·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환자에게 맡긴다
· 환자와 의논하여 집안일이나 심부름 등 역할을 분담한다

9) 조용하고 평화로운 가정 분위기를 조성
· 환자가 안심하고 지낼 수 있는 가정환경을 정비한다
· 환자와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다

10) 균형을 지킨다
· 울거나 냉정을 잃거나 과장된 정서적 반응을 피한다
· 애지중지하거나 과보호가 되도록 하지 않는다
· 극단적인 자기희생을 하지 않는다


3. 스테이지별로 환자를 대하는 방식 


발병기


첫 번째 목표는 의료기관의 진찰입니다
평상시와 다른 행동을 취하는 등 모습이 이상하다고 느낄 경우 즉시 의료기관에 상담합시다. 조기에 의료기관의 진찰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 진찰을 설득하기 위한 포인트

· 진료의 필요성에 대해 일관된 생각과 태도를 보인다
환자에게 아무것도 설명하지 않고 속여서 데려가게 되면 가족과 병원에 대한 불신감을 격화시키고 치료도 잘 진행되지 않습니다. 환자의 불안에 귀를 기울이면서 차분하고 끈기있게 부드럽게 설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환자의 호소를 경청한다
이야기의 앞뒤가 맞지 않는 점을 지적하기보다는 진료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반복하여 전달합니다

· 가족이 걱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진심으로 전한다
환자의 증상과 괴로움을 경청하도록 노력합니다


입원


입원 직후에는 환경의 변화로 인해 악화하는 사람이 있지만, 약물요법의 효과가 나오면 서서히 가라앉기 때문에 일희일비하지 않도록 합시다

급성기의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많은 분은 1~6개월 정도에 퇴원하여 통원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퇴원 후 사회 복귀


서두르지 않고 단계적 재발 방지

· 퇴원 후에는 환각과 망상 등에 의한 흥분이 가라앉았지만, 히키코모리나 의욕의 저하가 간간이 보여질 수 있습니다. 아이로 퇴행하거나 의존적이게 되고, 주변에 무관심해지는 등의 경우도 있습니다. 생활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떨어진 것은 질병에 의한 것이므로 서두르지 말고 긴 안목으로 지켜봅시다.
· 환자에게 회복의 과정을 설명하고 삶의 목표에 대해 토론합시다
· 약물의 지속적인 복용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재발 방지에 노력합시다

Posted by 말총머리
,


물과의 접촉으로 발화나 발열, 가연성 가스의 발생 등 위험한 상태가 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칼륨과 물의 반응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3/Potassium_water_20.theora.ogv


금속 칼륨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이것은 발열 반응이며, 수소가 자연발화 하는 데 충분한 발열량이 발생한다. 탄화칼슘은 물과의 반응에서 폭발성 아세틸렌을 생성한다. 쥐약으로 사용되는 인화아연이나 인산화칼슘이 물과의 반응에서 생기는 호스핀(인화수소)는 상온에서 자연발화하고 강한 독성도 가지고 있다.

금속 칼륨이나 금속 나트륨은 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광유 중에 보관한다. 황린은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 보관된다.
같은 제3류 위험물인 황린과 금수성 물질을 동일한 저장소에 보관할 수 없다.


화재시 물을 이용한 소화 방법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건조 모래나 질석, 펄라이트를 이용한 질식소화, 중탄산염 등의 분말소화제가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물로 소화가 불가능한 물질은 제1류 위험물인 무기과산화물, 제2류 위험물인 금속분말이나 마그네슘 등이 있다. 제3류 위험물 중 황린은 물로 소화가 가능하다. 알킬알루미늄은 물과의 반응에 의해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여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지만, 미국의 화학메이커의 연구에서 미세한 입자의 물을 안개처럼 살포함으로써 비교적 온화하게 물과 반응시켜 소화하는 방법을 확립했다.

산화칼슘(생석회)도 물과의 반응으로 발열한다. 이 성질을 응용하여 도시락이나 훈증식 살충제의 발열 재료로 사용된다.


◆ 법적 규제

미국교통부에서 사용하는 HAZMAT Class 4-3 표시

Autho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HAZMAT_Class_4-3_Dangerous_when_Wet_Solid.png#mw-jump-to-license


소방법 별표 제1에 [제3류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로 다음의 물질들이 게재되어 있다.

· 칼륨
· 나트륨
· 알킬알루미늄
· 알킬리튬
· 황린
· 알칼리 금속 (칼륨 및 나트륨을 제외) 및 알칼리 토류금속 - 리튬, 칼슘, 바륨 등
· 유기금속 화합물 (알킬알루미늄 및 알킬리튬 제외) - 디에틸 아연 등
· 금속 수소화물 - 수소화 나트륨 , 수소화 리튬 등
· 금속의 인화물 - 인화 칼슘 등
·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 탄화칼슘 , 탄화알루미늄
· 트리클로로 실란과 디클로로 메틸실란 등의 염화규소 화합물

금수성 물질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로 'water reactive substances'가 있다. 국제연합위험물운송권고는 '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flammable gases'라고 정의하고 분류 4.3로 구분하고 있다.

출처 참조 번역
禁水性物質
https://ja.m.wikipedia.org/wiki/%E7%A6%81%E6%B0%B4%E6%80%A7%E7%89%A9%E8%B3%AA

Posted by 말총머리
,


급성충수염(급성맹장염)은 증상에 따라 충수 절제 수술이 이루어집니다. 최근에는 수술 흉터가 눈에 띄지 않고 몸에 부담이 적다는 이유로 전신 마취를 한 상태에서 복강경 수술을 실시하는 사례가 많은데, 격리된 환경 하에서 수술을 실시할 수 있는 사람이 본인뿐이어서 스스로 개복 수술을 했다는 의사가 존재합니다.

Auto-appendectomy in the Antarctic: case report | The BMJ
https://doi.org/10.1136/bmj.b4965

Auto-appendectomy in the Antarctic: case report

The Russian surgeon Leonid Rogozov’s self operation, undertaken without any other medical professional around, was a testament to determination and the will to life > “A job like any other, a life like any other” > > —Leonid Rogozov The ship Ob , w

www.bmj.com


rogozov-1964.pdf
http://corpus.leeds.ac.uk/serge/rogozov-1964.pdf


Рогозов, Леонид Иванович — Википедия
https://ru.wikipedia.org/wiki/%D0%A0%D0%BE%D0%B3%D0%BE%D0%B7%D0%BE%D0%B2,_%D0%9B%D0%B5%D0%BE%D0%BD%D0%B8%D0%B4_%D0%98%D0%B2%D0%B0%D0%BD%D0%BE%D0%B2%D0%B8%D1%87

Рогозов, Леонид Иванович — Википедия

Материал из Википедии — свободной энциклопедии В Википедии есть статьи о других людях с такой фамилией, см. Рогозов. Леони́д Ива́нович Ро́г

ru.wikipedia.org


Dr. Leonid Rogozov operating himself to remove his appendix in Antarctica, 1961 - Rare Historical Photos
https://rarehistoricalphotos.com/leonid-rogozov-appendix-1961/

Dr. Leonid Rogozov operating himself to remove his appendix in Antarctica, 1961 - Rare Historical Photos

Leonid Rogozov was a Soviet general practitioner who took part in the sixth Soviet Antarctic Expedition in 1960–1961.

rarehistoricalphotos.com


자신을 스스로 수술한 의사 Leonid Rogozov 씨. Rogozov 씨는 소련이 1960년부터 1962년에 걸쳐 실시한 제6차 남극원정 멤버에서 유일한 의사였습니다.

1961년 4월 29일 아침, Rogozov 씨는 미열과 함께 전신의 탈진과 메스꺼움, 그리고 오른쪽 하복부에 통증을 느꼈습니다. Rogozov 씨의 증상은 그가 급성맹장염을 앓고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Rogozov 씨의 증상은 급성맹장염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래는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Rogozov 씨가 머물고 있던 노보라자 레프스카야 기지에는 비행기가 없었고 만일 있다고 해도 눈보라 때문에 다른 기지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기지에 있는 의사는 Rogozov 씨 자신뿐이었습니다.


Rogozov 씨는 당시를 회고하며 "나는 급성맹장염을 앓고 있었던 것 같다. 그렇지만 나는 질병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웃고 있었다. 동료들을 놀라게 할 의미가 없었고 그들이 나를 도와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내가 얻을 수 있는 의료는 치과의자 정도밖에 없을 것이다"라고 적었습니다.

Rogozov 씨는 환부를 차게 하거나 항생제를 섭취했지만 효과는 적었고 열은 높아져 구토도 자주 하게 되었습니다. 그날 밤의 모습은 Rogozov 씨의 일기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젯밤에 한숨도 자지 못했다. 악마 같은 고통이다! 눈보라가 내 영혼에 채찍을 치고 난 자칼과 같이 한탄했다. 증상은 악화하고 하나의 최악의 생각이 나를 지배했다. 즉, 나 자신을 수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혀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단념할 수는 없다"

Rogozov 씨는 자신을 수술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수술은 5월 1일 오전 2시부터 진행되었습니다. 집도 자체는 위로 향해 누워있는 Rogozov 씨 자신이 실시하고 조수로 기계엔지니어인 지노뷔테 프린스키 씨가 거울을 가지고 수술 부위를 조명했고 기상학자 알렉산드르 아루테미에흐 씨가 수술도구를 건네는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기지의 블라디슬라프 게르보비치대장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대기했습니다.


수술 시작 후 30분 정도 경과했을 때, Rogozov 씨는 현기증과 기력저하를 느껴 약간의 휴식을 취했습니다. 1시간 45분의 수술 끝에 그는 맹장염의 제거에 성공했고 복강에 항생제를 투여한 후 상처를 꿰맸습니다.

Rogozov 씨는 수술의 모습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나는 맨손으로 수술했습니다. 거울은 있었습니다만 좌우 반전 상태였고, 거울 자체가 도움이 안되어 환부를 관찰하기가 매우 난해했기 때문에 거의 더듬으며 수술했습니다. 심하게 출혈했지만 침착해지도록 혼잣말을 내뱉었습니다. 맹장염과는 다른 곳을 베어버려 꿰매기도 했습니다. 수술이 진행될수록 점점 약해져갔고 머리가 빙빙 돌았습니다. 맹장은 검게 보였습니다. 하루라도 늦었다면 파열했을 것입니다. 그 다음은 맹장염을 절제해야 하는데 심장은 금방이라도 멈출 것 같았고 손은 고무같이 잘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정신이 들었을 땐 제가 수술을 성공시키고 있었습니다."


수술을 성공시킨 덕분에 Rogozov 씨의 몸은 순식간에 회복. 수술 후 5일 정상체온으로 돌아온 Rogozov 씨는 2일 후 실밥 제거. 수술 후 2주 후에는 정상적으로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의사가 남극기지에서 자신을 수술했다는 소식은 나라의 지도층으로부터 높이 평가받아 1961년 6월 23일에 노동적기훈장을 수여했습니다. 훗날 Rogozov 씨는 많은 상과 훈장을 타진 받았지만 모두 거절하며 "다른 사람들처럼 일하고, 다른 사람들처럼 살아간다"고 발언했습니다.

1962년 10월에 남극원정에서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부르크)로 돌아온 Rogozov 씨는 대학원을 3년 다니며 식도암에 대한 논문을 집필. 그 후, 1966년부터 2000년까지 의사로 활약했으며 2000년 9월 21일 폐암 수술을 받은 뒤 합병증으로 사망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자연발화는 인위적인 점화없이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많은 화재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발화 이론으로써 자연발화가 일어나는 조건은 FK이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불안정한 물질의 자연발화
예를 들면 황린은 상온의 대기 중에서 작은 충격을 주는 것만으로 자연 연소를 한다. 발명된 최초의 성냥에는 황린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너무 쉽게 발화하는 특성에 의해 사고가 속출했다. 따라서 현재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안전한 적린을 성냥 발화약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불안정한 물질의 분해발열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화학비료의 제조, 저장시설이 대폭발한 사례가 있었다.


◆ 산화에 의한 발열과 연소
페인트 및 잉크의 성분 중 산화 중합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는 제품을 천 등으로 닦으면 천에서 산화 중합하여 발열 후 발화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알키드 수지계 도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량의 튀김찌꺼기를 방치하거나 의류건조기에 유분이 부착된 의류를 넣은 경우에도 기름 산화에 의해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석탄도 자연발화할 수 있어 운송 및 보관에 주의가 필요하다.


◆ 발효에 의한 발화
음식물 쓰레기, 퇴비, RDF, 나무조각, 육골분 등의 유기물을 대량으로 보관하면 발효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반응을 촉진되어 최종적으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자연발화될 수 있다.

Author :Vejvančický. https://en.m.wikipedia.org/wiki/File:Wine_fermentation,_South_Moravia.jpg


◆ 낙뢰에 의한 발화
번개는 산불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집광에 의한 발화
페트병이나 물이 들어간 어항, 창문에 붙어있는 투명 빨판이 볼록 렌즈처럼 작용하여 태양빛이 초점을 맺고 해당 장소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화재의 점화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광 외에도 오목거울의 반사광에서도 일어난다. 이러한 빛의 융합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수렴화재'라고 한다.


◆ 기타 원인
· 화산 폭발
· 마찰 (정전기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

출처 참조 번역
自然発火
https://ja.m.wikipedia.org/wiki/%E8%87%AA%E7%84%B6%E7%99%BA%E7%81%AB

Posted by 말총머리
,


튀김기름 화재의 경우, 응고제로 고형화한 튀김기름의 온도가 내려가기 전에 쓰레기봉투 등에 버려, 축열에 의해 발화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기 쉬운 화재유형으로 대량의 튀김찌꺼기가 몇 시간 후 발화했다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현상들은 '자연발화'라고 불립니다. 자연발화가 일어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만, 이번에는 위의 튀김기름으로 대표되는 일상의 가까운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동식물유와 관련된 자연발화 현상'에 대해 소개합니다.


자연발화의 정의

자연발화는 물질이 공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발열하고 그 열이 장시간 축적되어 발화점에 도달하여 물질 자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나 주위에 인접한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화재 통계상 자연발화 건수는 많지는 않지만, 점포나 공장, 연구시설 외에 일반 가정에서도 동식물 기름의 자연발화에 의한 화재는 실제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연발화의 조건

동식물유가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조건은 간단합니다.
철이 야외에서 비바람에 노출되면 녹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식물유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열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산화'라고 합니다. 산화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며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며, 발열을 수반합니다. 이 산화열이 축적되어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고 더욱 빠르게 산화 반응이 진행되는 사이클이 반복되고, 동식물유의 발화점에 근접하게 됩니다.

동식물유가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조건은 크게 다음의 3가지로 정리됩니다.

· 산소(산소에 접촉하는 것으로 산화하며 산화열을 발생)
· 축열(산화열이 축적되며 내부온도가 상승)
· 온도(밀폐된 방 등 실내온도가 함께 상승하며 발화점에 도달)


◆ 화재 사례 1
나무재질의 카운터에 광택을 내는 페인트 (니스)를 칠했습니다. 걸레 3장을 사용하여 페인트를 닦아내었고, 그 걸레를 쓰레기봉투에 버리고 매듭을 지어 봉했습니다. 약 4시간 후, 외출하고 있었을 시점에, 쓰레기봉투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페인트를 조사한 결과, 성분에 식물성 유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광택 페인트 외에도 많은 일반적인 페인트에는 다양한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떤 페인트이든 그것을 닦아낸 걸레나 시트, 골판지, 페인트 찌꺼기 등은 위의 사례와 같은 처리를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물이 충분히 들어있는 용기에 담아 수분을 포함시킨 상태에서 버리도록 하십시오.


◆ 화재 사례 2
조리장의 걸레질에 사용된 행주 몇 장을 씻은 후 건조기에 걸었습니다. 건조 중에는 아무 이상이 없었으나, 건조 후 잠시 꺼내지 않고 방치한 결과, 건조기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행주는 조리장 곳곳에 부착되어 있는 식물성 기름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섬유에 포함된 유분은 화장실이나 세탁기로는 완전히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 상태로 건조기에 돌리면 상온에서 얻을 수 없는 열량이 내부에 축적되어 화재에 이릅니다. 덧붙여서, 건조 중에는 회전에 의해 열이 확산되기 때문에 발화는 건조기 정지 후 발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정리

이번 두 사례의 공통점은 발화한 것이 동식물유를 포함한 '천'이었다는 것입니다. 섬유질은 표면적이 넓어 산소와의 접촉면이 커지기 때문에 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처럼 자연발화는 우리의 가까운 곳에 매복해 있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최근 페인트를 닦은 수건이 자연발화하여 화재의 원인이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도료에 ​​의한 자연발화에 주의해야 할 내용을 소개합니다.

자연발화란?

사람이 불을 붙이지 않았는데 자연스럽게 발화하는 것을 자연발화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튀김기름이나 페인트, 잉크, 왁스 등의 유류는 산화에 의한 발열로 발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기 중에서 자연 점화되는 성냥의 재료인 황린, 물이 담긴 페트병 등에 의한 태양광의 집광, 천둥과 화산 폭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자연발화 하는가?

페인트와 왁스 등의 유류는 산화 반응하여 발열합니다. 주요 조건은 '산소', '온도', '밀도'의 3가지. 유류는 산소에 접촉하는 것으로 산화하여 산화열이 발생합니다. 그 열에너지는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더욱 증폭합니다. 그리고 밀도가 높을수록 열이 배출되지 않아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페인트와 왁스를 닦아낸 천, 기름이 스며든 종이, 양생에 사용한 시트 등을 쌓아두거나 용기에 한꺼번에 넣어 둔 경우, 비닐 봉투에 넣은 채로 방치해 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도막은 자연발화하지 않습니다

도막(페인트가 굳어 막이 된 것)은 얇게 바르고 퍼진 상태로, 열이 모이지 않아 자연발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도막의 두께는 산화 반응에 의한 발열보다 열복사가 더 빨리 일어나 열에너지가 축적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연발화 가능성이 있는 페인트

모든 페인트가 자연발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능성이 있는 것은 유지를 기본 성분으로 산화건조에 의해 경화하여 도막되는 '알키드 수지계 도료'입니다. 예를 들어, 아크릴에멀전계 도료는 발화하지 않습니다.

자연발화하지 않지만 래커 등 인화성 페인트도 화기에 가까이하면 위험하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도장 현장 등에서의 예방 방법

알키드 수지계 도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에 주의하십시오.

· 닦아낸 천, 페인트가 묻은 시트와 판지, 모은 페인트 찌꺼기가 쌓아두거나 용기나 비닐봉지에 정리하지 않는다.
· 오염된 천은 물을 충분히 넣은 용기에 가라앉혀 뚜껑을 닫아 물이 증발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안전한 소각 시설이 있다면 그곳에서 소각한다.

출처 참조 번역
塗料の自然発火にご注意
https://www.nipponpaint.co.jp/topics/hakka.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알루미늄 분말은 알루미늄의 금속 분말이다.

◆ 특징
금속 중에서도 연소열이 크고, 분말은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매우 산화하기 쉬워 가연성 물질에 해당한다. 산, 물, 알코올, 산화제 등에 닿으면 폭발을 일으킨다. 따라서 알루미늄 분말에 의한 화재에는 물을 뿌리는 행위가 금기시된다. 또한 이 분말이 확산되면 분진폭발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 소방법은 150μm의 체를 통과하는 양이 50%를 넘는 알루미늄 분말을 제2류 위험물로 규정하고 있다.

Author :FK1954.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luminium_pigment_powder.JPG#mw-jump-to-license


◆ 화학 반응
이 분말을 물에 접촉시키면,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소를 발생하며 발열한다.

또한 산화제이철과 알루미늄 분말의 혼합 분말에 불을 붙이면 강한 백색의 빛을 발하고 발화하며, 철과 알루미늄 산화물이 발생한다.

◆ 이용
· 내식성을 이용하여 은색 페인트에 포함되어 있다.
· 지문의 검출에 사용된다.
· 도료의 원료로서 입자가 세세한 것은 매장이나 경매사이트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도 있다.

알루미늄 분말과 얼음으로 구성된 ALICE(ALuminum powder and water ICE)라는 추진제가 NASA와 공군연구소, 퍼듀대학에 의해 개발되었다.

출처 참조 번역
アルミニウム粉末
https://ja.m.wikipedia.org/wiki/%E3%82%A2%E3%83%AB%E3%83%9F%E3%83%8B%E3%82%A6%E3%83%A0%E7%B2%89%E6%9C%AB

Posted by 말총머리
,


기독교 사회에서 이단의 존재인 마녀는 한때 가혹한 마녀사냥을 당하는 등 박해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유능한 장사꾼으로 활약했던 측면도 있습니다. 호주의 디킨대학교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Nicole Lenoir-Jourdan 씨가 마녀의 사업에 대한 역사와 현대의 '마술 산업'에 대해 정리하고 있습니다.

How witchcraft became a multi-billion dollar industry
https://theconversation.com/how-witchcraft-became-a-multi-billion-dollar-industry-148101

How witchcraft became a multi-billion dollar industry

From village healers to global brands, witches have long cast their spells over commercial transactions.

theconversation.com


Lenoir-Jourdan 씨에 따르면, 13세기 이후 마녀는 스코틀랜드, 영국, 핀란드 등의 항구도시에서 성공했던 '유능한 비즈니스 우먼'이었다는 것. 약 800년 전 미신을 믿는 선원들은 항해 전에 항구에서 마녀를 찾아 '바람의 매듭'을 구입했습니다.

바람의 매듭은 3개의 매듭을 가진 밧줄이며, 각각의 매듭에는 항해에 중요한 '바람'이 갇혀 있다고 믿었습니다. 매듭을 하나 풀면 바람이 불고, 2개의 풀면 강풍이, 3개의 풀면 폭풍같은 바람이 휘몰아치는 것으로 취급되었다고 합니다.


선원들은 바람을 제어하는 마녀들의 바람 매듭을 구입하고 항해의 무사를 기원했습니다. 그러나 15세기경부터 심해진 마녀사냥에 의해 마녀들이 사라지자 선원들은 바람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되었다고 Lenoir-Jourdan 씨는 말합니다.

또한 13세기에는 마녀가 의학을 행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민간에서는 그 이후에도 치료를 위한 사람들의 왕래가 있었습니다. 당시의 마녀가 판매하고 있던 치료 중에는 통증과 열을 억제하기 위해 버드나무 껍질을 처방하는 것이 있었습니다만, 후에 버드나무 껍질에서 소염진통 작용이 있는 살리실산이 발견되었으며, 일부 치료법은 실제로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17세기 프랑스에서 활동한 라보와잔은 마술과 어둠의 미시에 정통한 마녀로, '사랑의 묘약'이나 '독약'의 제조 판매로 막대한 부를 쌓았습니다. 고객에는 많은 유명인사가 있었는데, 루이 14세의 정부였던 몬테스팬 후작부인 프랑수아즈 아테나이스도 고객의 한명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보와잔의 경우는 마녀 중에서도 상당히 이례적이지만, 비교적 부유한 생활을 보내고 있던 마녀는 드물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마녀인지 여부는 떠나, 마녀사냥의 표적이 된 여성의 대부분은 독신으로 자립한 여성이었으며 1620년~1725년 뉴잉글랜드에서 마녀재판을 받은 여성의 89%는 부유했으나 재산을 상속할 자식과 형제는 없었다고 합니다.


이교도와 악마 숭배자로 오랫동안 기독교 사회에서 박해를 받아 온 마녀였지만, 최근에는 마녀와 이교도의 신앙이 'Wicca'라는 호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Wicca의 창시자로 간주되는 제럴드 가드너는 1954년에 'Witchcraft Today'라는 책을 출판하여 Wicca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21세기 들어 급속히 마녀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미국의 인구조사국이 실시하고 있는 종교식별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Wicca 신자가 13만 4000명에서 34만 명으로 증가했다는 것. 미국의 싱크탱크인 퓨연구소가 2014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0.3%에 해당하는 100만 명이 Wicca 또는 이와 유사한 이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대의 마녀는 신자에게 영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십자가가 들어간 묵주와 향, 크리스탈 등 다양한 장신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13세기의 선원에게 판매된 '바람의 매듭'과 마찬가지로, 마녀들에게 장기적인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고 Lenoir-Jourdan 씨는 지적합니다.

미국에서는 마력이 담긴 장신구 판매 이외에도 '고스트 견학 투어'의 주최와 '고객에게서 부정적인 에너지를 제거하는 마술'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마녀가 있다고 합니다. 손금이나 영매, 점성술을 포함한 미국의 마술산업은 중소사업자가 중심이면서도 연간 22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자랑한다고 합니다.


현대의 마녀는 지역에 기인한 활동뿐만 아니라 인터넷이나 SNS 등의 기술을 최대한 사용하여 장사를 하고 있습니다. TikTok에서는 '#witchtok'라는 태그에 게시된 마녀와 마술 관련 영상이 54억 회 이상 재생되었고, Instagram에서도 550만 건 이상의 게시물에 '#witchesofinstagram'라는 태그가 붙어 있습니다.

SNS에서 지명도를 높인 마녀들은 캔들, Spell bottle(주문을 건 허브를 채운 병), 펜타그램 목걸이 등의 제품을 수공예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쇼핑사이트 Etsy 등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sy에서 'Spell bottle'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무려 4000개 이상의 Spell bottle이 판매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을 영위하는 마녀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며 마법산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 회사인 파커브라더스가 특허를 소유한 강령술과 심령술용 문자판인 '위저보드'는 연간 200만 개 이상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루이비통 산하의 화장품과 향수를 취급하는 전문점 세포라가 '초보자 마녀 키트'의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키트는 타로카드와 크리스탈, 건조된 세이지, 향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포라의 초보자 마녀 키트는 전세계의 마녀들이 '문화 도용'이라고 비난했기 때문에 판매가 취소되었지만, 여전히 대기업에 의한 타로카드와 크리스탈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대의 마녀는 마법의 상품화로 화형에 처해지거나 익사나 고문당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도 경제적 번영을 얻을 수 있습니다."라고 Lenoir-Jourdan 씨는 말합니다.

현재 런던에는 마법 도구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상점도 존재하고, 지팡이와 마녀냄비, 파워스톤 등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과거의 연구에서 '문어의 8개 다리에는 뇌와는 독립적으로 발을 통제하는 신경 집단이 있다'는 점과 접촉만으로 '맛'을 확인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번의 새로운 연구에 의해 문어가 빨판으로 대상의 맛을 확인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되었습니다.

Molecular Basis of Chemotactile Sensation in Octopus : Cell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0)31149-1


Octopus’ suction cups hold its taste and touch sensors – Harvard Gazette
https://news.harvard.edu/gazette/story/2020/10/octopus-suction-cups-hold-its-taste-and-touch-sensors/

Octopus’ suction cups hold its taste and touch sensors

Harvard researchers uncover novel family of sensors in octopuses.

news.harvard.edu


When It Comes to Octopuses, taste Is for Suckers - The New York Times
https : // www.nytimes.com/2020/10/29/science/octopus-arms-taste.html


지금까지는 문어의 다리에 닿은 물체가 먹이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그 구조의 자세한 내용은 밝혀져 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하버드대학의 생물학자인 Lena van Giesen 씨 연구팀은 작은 틈이 있는 판으로 구분된 수조의 한쪽에 문어를 두고 다른 한쪽에는 문어의 먹이인 게를 넣어 문어가 틈새로 먹이에 자신의 다리를 사용하는 양상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게가 들어있는 수조에는 아무것도 없는 흡착컵과 게가 고정되어 있는 흡착컵이 있었지만, 틈새로 다리를 집어넣은 문어는 아무것도 없는 흡착컵을 그냥 지나쳐 버립니다 .


게가 고정된 흡착컵도 1번은 그냥 지나쳤지만....
먹이인 것을 알아챈 듯 문어는 다시 게를 향해 다리를 뻗어 빨판을 사용하여 게를 옭아맵니다.


게가 좀처럼 흡착컵에서 떨어지지 않자 문어는 다리를 추가로 사용하여 점점 게를 끌어당깁니다.


'문어의 다리에 붙어있는 빨판은 화학적 센서의 역할이 있어 먹이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던 연구팀은 문어의 빨판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어떤 세포가 어떤 자극에 반응하는가를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문어의 빨판은 '접촉만을 감지하는 세포'와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를 가진 세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연구팀은 그 다음 문어의 빨판 세포에서 분리한 화학수용체를 개구리와 인간의 세포에 포함 시켰습니다. 개구리와 인간의 세포는 원래 문어의 화학수용체와 같은 기능이 없으므로, 문어의 화학수용체의 반응을 관찰하는데 적합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문어의 먹이가 되는 해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소금, 설탕, 아미노산 등 다양한 물질에 노출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문어의 화학수용체가 어떤 화학물질에 반응하여 작동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당초 물속에 사는 문어는 '물에 녹는 화학물질'을 감지하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었습니다만, 이 실험을 통해 문어의 화학수용체는 '물에 녹지 않는 물질'과도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Nicholas Bellono 씨는 "수용성 화학물질은 발생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생물 중 일부는 이것을 이용하여 멀리서 먹이의 냄새를 맡습니다. 그러나 접촉한 대상의 맛을 알 수 있다면 물에 녹지 않아 바닷속을 이동하지 않는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습니다"고 말합니다.

Author : Anneli Salo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Octopus_vulgaris_BCN_0219_Mustekala_C.JPG


또한 연구팀은 문어의 빨판에서 채취한 감각세포는 문어의 먹물에 노출되면 작동이 중지될 수도 있다는 점도 파악했습니다. 이에 대해 van Giesen 씨는 문어가 위험을 감지했을 때 먹물을 분사하는 습성을 들어 "특정 상황에서 생명에 중요한 정보를 필터링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라고 추측합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문어의 빨판이 어떤 천연 분자에 반응하는지에 대해 추가 연구를 진행시켜 나갈 생각이라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Author : Hackfish.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Refraction_through_glasses_090306.jpg


물건을 볼 때는 안구 속에 있는 수정체는 자동으로 두꺼워지거나 얇아져 빛을 망막에 모으고 있다. 그러나 근시 또는 원시가 되면 빛을 망막에 잘 모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상태로는 희미하게 사물이 보이기 때문에 안경을 사용한다. 안경의 렌즈는 눈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바꾸어 빛이 망막에 잘 모이도록 돕는다.

근시가 되면 가까운 거리의 물건은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물체가 흐리게 보인다. 근시는 망막보다 앞에 있는 곳에 빛이 모여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근시의 눈에는 오목렌즈의 안경을 쓴다. 오목렌즈가 빛을 뒤에 모이게 하므로 망막에 잘 비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원시가 되면 먼 것은 잘 보이는데 가까운 것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원시는 망막보다 뒤에 빛이 모여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볼록렌즈의 안경을 사용하여 보다 앞에 빛을 모이게 한다.

Posted by 말총머리
,
Author Eatcha.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Cat_yawning_in_park.jpg


영국의 정치철학자인 존 그레이 씨는 고미술상인 아내 메이코 씨와 함께 집에서 4마리의 고양이를 기르고 있는 고양이 애호가입니다. 2020년 초에 4마리 중 마지막 1마리였던 고양이가 23살이 되던 해에 곁을 떠났습니다. 그레이 씨는 예전에 키우던 고양이로부터 얻은 지혜를 1권의 책으로 정리해서 발표했습니다.

John Gray: 'What can we learn from cats? Don't live in an imagined future' | Book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books/2020/oct/25/john-gray-what-can-we-learn-from-cats-dont-live-in-an-imagined-future

John Gray: 'What can we learn from cats? Don't live in an imagined future'

The philosopher’s new book attacks the idea that any ideology has the answers to life’s questions – but advice from cats might be his exception…

www.theguardian.com


인류의 역사에서 많은 학자와 철학자들이 고양이에 매료되어 왔습니다. 이론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의 역설을 설명하기 위한 사고실험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제창했고, 16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 미셸 몽테뉴는 "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또한 합리주의 철학의 시조로 불리는 르네 데카르트는 한때 인간 이외의 동물이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고양이를 창문으로 던지며 "고양이의 비명은 기계적인 반응이었다"라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그런 합리주의에 대해 그레이 씨는 저서 'Feline Philosophy : Cats and the Meaning of Life (고양이의 철학 : 고양이와 삶의 의미)'에서 "합리주의의 결함은 인간이 이론을 사용하여 살아갈 수 있다는 믿음에 있습니다. 그 믿음과는 반대로 인간은 곧 인간성을 잃어버리지만, 고양이는 고양이인 것을 그만두지 않습니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고양이의 철학'에서 그레이 씨는 '고양이로부터 배운 자연체로 살기 위한 힌트'로 '인간을 합리적이게 되도록 설득하지 않는다', '고통에 의미를 추구한다', '자는 기쁨을 위해 잔다'라는 것들을 듭니다. 또한 이 책 안에는 '미래를 쓸데없이 상상해 불안해하지 않는다'라는 교훈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레이 씨가 미래에 대한 불안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 계기는 그레이 씨가 기르고 있던 마지막 고양이인 줄리안의 삶에서 영감을 얻은 것. 아래의 사진에 찍혀 있는 고양이가 그레이 씨가 기르던 버먼종의 고양이인 줄리안입니다.


정치철학자로서 영국의 EU 탈퇴(Brexit) 등의 정쟁과 사회불안을 목격한 그레이 씨는 "사람들은 대의를 목표로 고군분투한 나머지 오히려 행복을 잃어버린다"라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레이 씨는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이 지적한 바와 같이, 제1차 세계대전의 전운이 감돌 때, 사람들은 지루함을 중단시키는 수단으로 전쟁을 크게 환영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종종 인간은 냉정한 판단마저 잃어버린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그런 인간의 삶과 자연체로 사는 고양이의 차이점에 대해 그레이 씨는 자신의 저서에서 "고양이는 행복하게 되기 위해 고생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고양이는 지루해하지 않습니다. 한편, 인간은 인생의 대부분을 전이행동으로 보내고 있는 자기분열된 생물입니다"라고 말합니다.

by Vera de Kok.


또한 그레이 씨는 줄리안 등 4마리의 고양이로부터 배운 삶을 총괄하여 "고양이는 살아있다는 실감을 위해 살아있는 것이지 뭔가를 이루기 위해 살아있는 것은 아닙니다. 한편, 우리는 뭔가 대국적인 목적에 집착하여 삶의 기쁨을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그런 거창한 이데올로기나 종교를 일단 옆에 재쳐두면, 그 후 남는 것은 무엇이죠? 남는 것은 살아있다는 감각이며, 그것은 놀라운 것"이라고 결론짓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자연계에는 다른 생물과 주변의 색상 등을 모방하는 의태 생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바이러스도 숙주의 체내에 있는 단백질을 모방하여 숙주의 면역체계를 속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특히 의태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이 발견으로 일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COVID-19) 환자가 중증화하는 원인도 확인되었습니다.

A Sweep of Earth 's Virome Reveals Host-Guided Viral Protein Structural Mimicry and Points to Determinants of Human Disease : Cell Systems
https://www.cell.com/cell-systems/fulltext/S2405-4712(20)30363-X


Coronaviruses are masters of mimicry, new study finds
https://phys.org/news/2020-10-coronaviruses-masters-mimicry.html

Coronaviruses are masters of mimicry, new study finds

Coronaviruses are adept at imitating human immune proteins that have been implicated in severe COVID-19 disease, a study from researchers at Columbia University Vagelos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has found.

phys.org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의 단백질을 모방하는 뛰어난 성질을 가진 것을 밝혀낸 컬럼비아대학 메디컬센터의 바이러스학자인 Sagi Shapira 씨 연구팀.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체계를 교란하는데 사용하는 단백질을 특정한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등의 병원체가 감염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 Shapira 교수는 세균이나 식물,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 등 4045종의 생물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7486종의 단백질의 구조를 조사했습니다.

by Zwitterio Cromenale. https://www.flickr.com/photos/zwitterio/49535104048/


그리고 조사결과 밝혀진 33만 7493종류의 바이러스 단백질의 구조를, 생체분자의 3차원 구조를 축적하고 있는 단백질정보은행 등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구조적 모방의 예가 600만 이상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Shapira 씨는 바이러스가 의태를 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 발견된 것에 대해 "의태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바이러스 사이에서는 일반적인 전략이었습니다. 바이러스의 게놈 크기, 바이러스의 복제 방법, 감염 대상이 어떤 생물인지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바이러스가 이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바이러스 중에서도 특히 의태능력이 뛰어난 코로나바이러스의 여러 종은 총 158종류의 모방단백질을 공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모방하는 단백질 중에는 인체에서 혈액의 응고를 제어하는 단백질과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보체라는 단백질 등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COVID-19의 환자는 혈액의 응고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났으며, '보체의 활성화와 관련있는 황반변성증을 가진 사람은 COVID-19로 사망할 위험이 높다'는 점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의태와 COVID-19의 증상의 관계에 대해 Shapira 씨는 "우리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체내의 면역을 담당하는 보체와 혈액 응고에 관계하는 단백질을 모방함으로써, 이러한 시스템을 과활성화로 만들어 COVID-19 환자에게서 보여지는 병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또한 Shapira 씨는 "바이러스는 숙주를 속이고 이용하는 방법을 이미 찾았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연구함으로써 바이러스가 어떻게 세포의 항상성을 교란시키고 질병을 일으키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우리가 이 지식을 살려 바이러스에 반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운동은 신체와 정신건강에 다양한 이로운 효과를 내는 것 외에도 뇌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육체노동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중노동은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The effect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n dementia : Results from the Copenhagen Male Study - Nabe-Nielsen - -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Wiley Online Library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sms.13846

The effect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n dementia: Results from the Copenhagen Male Study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LTPA) reduces the risk of dementia, while the effect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PA) on dementia is uncertai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

onlinelibrary.wiley.com


Hard physical work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isk of dementia
https://medicalxpress.com/news/2020-10-hard-physical-significantly-dementia.html

Hard physical work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isk of dementia

The muscles and joints are not the only parts of the body to be worn down by physical work. The brain and heart suffer too. A new study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shows that people doing hard physical work have a 55% higher risk of developing dement

medicalxpress.com


일상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습관은 건강한 생활을 보내고 있는 사람의 경우, 인지 질환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는 노인 4615명을 5년간 추적조사한 연구에서는 걷기보다 높은 강도의 운동을 주 3회 이상 실시하고 있던 노인은 운동 습관이 없는 노인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에서 공중보건을 연구하는 Kirsten Nabe-Nielsen 교수는 반드시 모든 운동이 일률적으로 치매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 '운동의 종류'에 따라 변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Nabe-Nielsen 씨는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사무직이며 여가에 몸을 움직이는 사람들 사이에서의 치매 발병 위험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연구개시 전에 우리는 힘든 육체노동이 높은 치매의 위험과 관련있다고 가정했습니다"라고 Nabe-Nielsen 씨는 말합니다.

Nabe-Nielsen 씨 연구팀은 1970년 코펜하겐대학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했습니다. 이 조사는 1970년~1971년까지 코펜하겐에 위치한 14개의 기업에 근무하던 당시 40세~59세의 남성 근로자 47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설문에서는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결혼 여부, 심리적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에서 얼마나 몸을 움직이고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2016년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697명이 치매가 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령과 흡연이나 음주, 혈압, 체중, 여가의 신체활동을 고려하여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심한 육체노동에 종사한 사람은 앉아있는 일에 종사한 사람에 비해 치매 위험이 55%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 한편, 여가의 신체활동이 많았던 남성은 여가 때 몸을 움직이지 남성에 비해 치매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연구팀은 보고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운동이라면 어떤 종류라도 건강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생각에 의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Nabe-Nielsen 씨는 "예를 들어, 치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WHO의 가이드는 신체활동 전반을 중요한 요소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연구는 그것이 '좋은' 형태의 신체활동이어야 하며, 힘든 육체노동은 맞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라고 코멘트.


연구의 공동저자인 덴마크국립산업환경연구 센터의 Andreas Holtermann 교수는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인 뇌의 변화는 사람들이 정년퇴직하기 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치매의 예방 대책은 현역 노동자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사무직 중심으로 운동 부족이 우려되는 직업뿐만 아니라 육체노동이 많은 직업에 대해서도 건강을 개선하고 치매를 예방하는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박쥐는 에볼라를 일으키는 에볼라바이러스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원인 SARS-CoV,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을 일으키는 MERS-CoV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0년 내내 유행하며 맹위를 떨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COVID-19)을 일으키는 SARS-CoV-2도 박쥐 유래 바이러스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박쥐가 다양한 바이러스를 매개하면서도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수수께끼에 대해 싱가포르의 연구팀이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보고합니다.

Complementary regulation of caspase-1 and IL-1β reveals additional mechanisms of dampened inflammation in bats | PNAS
https://www.pnas.org/content/early/2020/10/21/2003352117

Complementary regulation of caspase-1 and IL-1β reveals additional mechanisms of dampened inflammation in bats

Bats have been shown to dampen several key upstream pathogen and danger-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yet much of the downstream signaling is yet unknown. Here, we identify residues in caspase-1 which are critical for enzymatic activity and have been targ

www.pnas.org


Duke-NUS study uncovers why bats excel as viral reservoirs without getting sick
https://www.duke-nus.edu.sg/about/media/media-releases/media-releases/why-bats-excel-as-viral-reservoirs-without-getting-sick

Duke-NUS study uncovers why bats excel as viral reservoirs without getting sick

Study confirms bats adopt multiple strategies to reduce pro-inflammatory responses, thus mitigating potential immune-mediated tissue damage and disea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www.duke-nus.edu.sg


박쥐가 인수공통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보유하면서도 병에 걸리지 않는 원인에 대해 새로운 보고를 하였다는 싱가포르국립대학 의학대학원 Lin-Fa Wang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 Wang 교수는 black fruit bat, Cave nectar bat, David's myotis라는 3종류의 박쥐를 조사하여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의 매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활동 메커니즘의 규명을 시도했습니다.

조사 결과, 세포 사멸과 염증 등 다양한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Caspase-1'과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interleukin 1 beta'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메커니즘을 박쥐는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Caspase-1과 interleukin 1 beta의 균형을 미세 조정하여 interleukin 1 beta의 성숙을 저해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Wang 교수는 이러한 메커니즘이 박쥐가 인수공통 감염병의 바이러스를 보유하면서도 감염되지 않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하며 "인간의 경우 지나친 염증반응을 억제하면 노화에 의한 쇠퇴를 막고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발견은 인체의 감염 제어 및 치료에 관한 새로운 전략의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겨울의 맑은 밤하늘 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오리온자리 세 별의 중앙 하부에 위치한 성운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성운 중 가장 밝은 것 중 하나가 '오리온성운'입니다. 오리온성운을 5년 이상 계속 촬영했다는 천체 사진작가 Matt Harbison 씨가 자신의 찍은 사진을 하나로 이어진 25억 화소의 초고해상도 사진으로 완성했습니다.

About the Project -
https://space4everybody.com/about-the-project/

About the Project -

I am not sure where to start. I suppose the best thing to say is that I could identify the familiar symmetry of Orion at a young age. I viewed it through rustling leaves as a child on camping trips with my parents and grandparents. I looked for it when my

space4everybody.com


This Insane 2.5 Gigapixel Image of the Orion Constellation Took Five Years To Complete
https://petapixel.com/2020/10/23/this-insane-2-5-gigapixel-image-of-the-orion-constellation-took-five-years-to-complete/

This Insane 2.5 Gigapixel Image of the Orion Constellation Took Five Years To Complete

In a project that took 5 years to capture, 500 hours of editing, and 42 total hours to process, astrophotographer Matt Harbison has completed a dream

petapixel.com


Harbison 씨가 공개한 25억 화소의 오리온성운의 사진은 아래의 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Project Orion by Matt Harbison
https://orion2020v5b.spaceforeverybody.com/


페이지를 열면 오리온성운의 사진이 크게 일면에 표시됩니다.


화면을 클릭하면......


클릭할 때마다 점점 확대할 수 있습니다.


Harbison 씨는 약 4800달러(약 500만 원)의 1620만 화소인 KAF-16200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천체사진 전용 카메라 'QHY 16200 CCD'로 2508장의 사진을 5년 이상 촬영.


모든 사진을 한 장으로 합치기 위해 SequenceGenerator Pro, PHD2 Guiding, Pixinsight, Astro Pixel Processor, Adobe Photoshop을 사용하여 500시간 이상에 걸쳐 편집했다고 합니다. 2020년 봄 무렵에 첫번째 이미지 처리를 했을 때에는 PC 사양 문제로 처리할 수 없어서 Harbison 씨는 2020년 8월 24코어의 'Ryzen Threadripper'에 메모리 256GB를 탑재한 PC를 새로운 구입하여 이미지 처리에 재시도. 사진의 위치 결정 작업에 23시간, 결합 작업에 19시간 총 42시간을 소요하여 하나의 초고화질 이미지를 만들어 냈습니다.


Harbison 씨의 오리온성운에 거는 열정은 '오리온의 대칭이 원점'이라고 합니다. "나는 오리온의 대칭을 어린시절 부모, 조부모와 함께한 캠프에서 나뭇잎 스치는 소리와 함께 바라보고 있었고, 보이스카우트 캠프에서는 작은 망원경을 통해 보았습니다. 처음으로 Dobsonian 망원경을 통해 오리온을 봤을 때에는 이 성운의 색조에 감동했습니다. 대학 통학로의 상공에는 오리온이 희미하게 떠 있어 항상 지도받는 느낌이었습니다. 내 인생에서 발생한 큰 결정이나 사건에서 오리온은 내 의식에 참여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Harbison 씨는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한 세계에서 가장 검은 물질이나 벤타블랙은 빛의 99.9% 이상을 흡수하여, 도포한 표면의 요철이나 깊이를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망원경의 내벽이나 위장의 신소재로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반대로 빛의 95% 이상을 반사하는 도료가 개발되었습니다.

Full Daytime Sub-ambient Radiative Cooling in Commercial-like Paints with High Figure of Merit: Cell Reports Physical Science
https://www.cell.com/cell-reports-physical-science/fulltext/S2666-3864(20)30236-8


This white paint could reduce the need for air conditioning by keeping surfaces cooler than surroundings - Purdue University News
https://www.purdue.edu/newsroom/releases/2020/Q4/this-white-paint-could-reduce-the-need-for-air-conditioning-by-keeping-surfaces-cooler-than

surroundings.html

You've Heard of Vantablack. Scientists Just Created 'Super White', And It's Very Cool
https://www.sciencealert.com/you-ve-heard-of-vantablack-this-is-what-super-white-paint-can-do

You've Heard of Vantablack. Scientists Just Created 'Super White', And It's Very Cool

Scientists have created a super white paint that is the yin to Vantablack's yang. 

www.sciencealert.com


고온의 물체는 주위에 전자파의 형태로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온도를 낮추는 '방사냉각'을 일으킵니다. 이 방사냉각이 열섬현상과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 '어떻게 하면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까?'라는 과제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을 괴롭혀왔습니다.

퍼듀대학 기계공학과 연구팀이 개발한 도료는 탄산칼슘을 포함한 아크릴 물감의 일종입니다. 기존의 페인트가 닿은 빛의 최대 80~90%밖에 반사되지 않았지만, 이 새로운 페인트는 직사광선의 95.5%를 반사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도료를 칠한 물체는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상승이 적어 야외에서도 주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연구팀이 옥상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촬영한 적외선 카메라의 이미지. 왼쪽의 보라색 물체가 새로운 도료를 칠한 타일이고 오른쪽이 시판중인 백색 도료를 칠한 타일입니다.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직사광선이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도료를 도포한 타일 쪽이 저온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옥상에서 실험하고 있는 모습을 아래의 동영상에서 볼 수 있습니다.

Radiative Cooling Paint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caFzYvYAUo4


왼쪽이 새로운 페인트, 오른쪽이 기존의 페인트. 약간 색깔이 다르지만 거의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도료를 칠한 타일을 옥상에서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는 작업을 진행중인 연구팀을 주도하는 퍼듀대학 기계공학과 Xiulin Ruan 교수.


언뜻 보면 그냥 흰색 도료를 칠한 것뿐인 타일이지만.....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로 보면 새로운 페인트로 쓴 퍼듀대학의 머리글자인 'P'만 주위 온도보다 낮아 파랗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다양한 장소나 기상 조건에 따라 2일간의 필드테스트를 실시해, 새로운 도료를 도포한 부분은 야간에 주위의 온도보다 10℃ 정도 낮았고, 낮에는 주위보다 1.7℃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새로운 페인트는 기존의 페인트와 거의 같은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고, 건조하면 마모나 물에 강해 야외 환경에서 적어도 3주 동안 견딜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페인트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불화탄소 기반의 고분자를 결합하는 것을 연구팀은 제안합니다.

새로운 페인트의 제조 공정은 기존의 페인트와 호환되며, 제조 비용도 거의 동등하거나 더욱 낮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페인트의 이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Ruan 교수는 "실용 가능한 단층 입자 매트릭스 페인트에서 환경 방사 냉각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은 끈기를 필요로 하는 연구과제입니다. 이 새로운 페인트는 방사 냉각을 널리 응용하여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중요한 존재입니다"라고 주장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Photo used with permission by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D4346-1)


아시아에서 널리 서식하는 장수말벌은 미국에서는 외래종의 '살인벌'로 유명합니다. 지금까지 미국에서도 몇 차례의 발견 사례가 보고되고 있었는데, 미국에서 최초로 '장수말벌의 둥지 제거 작업'이 워싱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Washington state crews destroy first US murder hornet nest | US new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0/oct/24/washington-state-murder-hornet-nest-destroyed

Washington state crews destroy first US murder hornet nest

Nest near Canadian border contained an estimated 100 to 200 invasive insects, which crews vacuumed into canisters

www.theguardian.com


Entomologists discover first murder hornet nest in the US - Axios
https://www.axios.com/murder-hornets-washington-state-nest-a229c1fd-f070-4319-bcf8-1954e8ca9b79.html

The murder hornets are here

The invading hornets could decimate local honeybee populations if they establish themselves.

www.axios.com


세계 최대의 벌인 장수말벌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벌입니다. 장수말벌은 미국에서는 외래종이며, 2019년경부터 미국 워싱턴주 양봉농장에서 목격이 보고되고 있었습니다.

국내에서도 매년 여러 건의 장수말벌에 의한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장수말벌이 스스로 사람에게 해를 입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장수말벌이 꿀벌을 포식하여 꿀벌의 개체수가 급감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구제의 필요성이 주장되고 있습니다.

A photo of a trapped Asian Giant Hornet. (Photo provided by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워싱턴주 농업국(WSDA)의 곤충학자들은 장수말벌의 목격이 보고된 지점에 덫을 놓아 2마리의 장수말벌을 붙잡는 데 성공했습니다. WSDA는 붙잡은 장수말벌에 치실로 소형 무선 추적장치를 장착하여 둥지를 추적한 결과, 워싱턴주 블레인의 왓컴군에서 둥지를 발견했습니다.

WSDA는 당초 2020년 10월 23일(금)에 장수말벌의 둥지 제거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었습니다만, 악천후 때문에 제거 작업은 24일(토)까지 지연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WSDA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장수말벌의 둥지 제거에 성공했다고 Twitter에서 발표했습니다.


장수말벌의 둥지는 나무 구멍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크기는 농구공 정도의 크기로 100~200마리 정도의 장수말벌이 서식하고 있었다고 추정됩니다.

아래의 영상은 둥지가 발견된 나무에서 장수말벌이 날아오르는 순간을 포착한 것입니다.

'Murder hornets'nest found and destroyed in US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MWtC-0o9Y


포획한 장수말벌이 딸기잼을 먹는 모습과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둥지에서 흡입한 장수말벌도 담겨 있습니다.

장수말벌의 포획 작업에는 두꺼운 보호복과 페이스쉴드를 착용하고 있으며, 이에 통해 6mm가 넘는 장수말벌의 독침으로부터 직원을 보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