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10건

  1. 2020.11.15 낙타의 혹에 저장되어 있는 것은 '물'이 아니다? 낙타가 가혹한 사막에서의 생활을 견디는 메카니즘
  2. 2020.11.15 쌀의 독소를 제거하면서 최대한 영양을 유지하며 밥을 짓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고안해내다
  3. 2020.11.14 고양이 눈의 구조와 신비 : 어둠 속에서 빛나는 인상적인 큰 눈동자
  4. 2020.11.14 수정체의 구조와 신비
  5. 2020.11.13 비행기의 속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X-15가 세운 불멸의 기록 7274km/h
  6. 2020.11.13 산불의 4가지 유형
  7. 2020.11.13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코로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
  8. 2020.11.12 인화점과 발화점의 차이...불이 붙는 온도와 스스로 점화하는 온도
  9. 2020.11.12 최대 20km의 거리를 광선으로 연결하여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는 'Project Taara'
  10. 2020.11.12 'Google 포토'가 2021년 6월 이후에는 15GB로 제한
  11. 2020.11.12 호흡에는 생물의 '크기'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2. 2020.11.10 iPhone의 제조공장에서 학생인턴이 불법적으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발각
  13. 2020.11.10 주행 중인 차내에서 들리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키는 '자동차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개발되다
  14. 2020.11.08 왜 과음을 하면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일까? '뇌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이라는 가설의 오류
  15. 2020.11.07 '사망'으로 오진된 남성이 냉동박스에 20시간 이상 갇혀 사망
  16. 2020.11.07 온수기 가스 냄새의 원인과 대책 ~ 온수를 사용할 때의 주의점
  17. 2020.11.07 스마트폰 화면 상단(상태 바)의 마크 정리
  18. 2020.11.07 화석연료 대신 '철'로 친환경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 중
  19. 2020.11.06 남성과 여성의 힘의 차이에 대해
  20. 2020.11.06 여성과 남성의 몸...경기력 향상에 빠질 수 없는 3원칙
  21. 2020.11.06 물을 사용하는 장소의 코킹(실링)비용과 시세
  22. 2020.11.06 불법거래 사이트 '실크로드' 관련 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누군가가 이동시킨 것으로 판명
  23. 2020.11.06 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의 활약상 그리고 수명...어디까지 도달 가능한가
  24. 2020.11.05 잠을 계속해서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까
  25. 2020.11.05 스스로 자신의 차를 수리할 수 있는 '수리권'을 규정한 신법이 미국에서 성립...어떤 점이 혁신적인 것일까?
  26. 2020.11.05 인간이 늘릴 수 있는 근육량의 한계
  27. 2020.11.05 하루 동안 늘릴 수 있는 체중은 500g이 한계...섭취 칼로리의 관계에서 산출
  28. 2020.11.05 NASA가 8개월의 중단을 거쳐 태양권을 탈출한 '보이저 2호'에 다시 신호를 보내는 데 성공
  29. 2020.11.04 Google의 대체 서비스를 제안해주는 'No More Google'
  30. 2020.11.04 수백만 마리의 실험동물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취급되고 있다


'낙타는 한 번에 100리터 이상의 물을 마시고 그 후 물을 마시지 않고 며칠 동안 견딜 수 있다'라고 들으면 무심코 등의 혹에 물이 저장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해버리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과학계 뉴스미디어인 Live Science가 낙타의 혹에는 무엇이 들어있는가에 대한 답과 가혹한 사막에 적응한 낙타의 생태에 대해 설명합니다.

Do camels really have water in their humps?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why-do-camels-have-humps.html

Do camels really have water in their humps?

Is there any truth to this myth?

www.livescience.com


미국 샌디에고 동물원의 동물관리 책임자인 릭 슈워츠 씨에 따르면 낙타는 한 번에 30갤런(약 114리터)의 물을 마시고 체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낙타의 배설물은 건조하며 신장에서 체내 수분의 독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수분도 소량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호흡할 때마다 코로 호흡의 습기를 회수하는 등 철저하게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몸으로 되어 있어서 매우 장기간 건조한 환경에 견딜 수 있습니다.

'낙타는 혹에 물을 축적하고 있다'는 오해는 약간의 물로도 생존하는 낙타의 능력에서 비롯된 속설이라고 슈워츠 씨는 생각합니다. 그런 낙타의 혹에 물 대신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지방'입니다. 낙타 등의 혹 속에 있는 지방에는 많은 양의 칼로리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혹이 가득 찬 상태라면 음식 없이도 4~5개월은 생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낙타의 혹의 지방이 부족하면 바람 빠진 풍선처럼 피부가 처지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by eltpics. https://www.flickr.com/photos/eltpics/15026311354/


혹의 존재는 낙타의 큰 특징 중 하나이지만 갓 태어난 낙타는 혹이 없습니다. 생후 4~6개월 사이 낙타는 모체의 모유에 의존하여 성장하고 그동안의 영양은 몸을 크게 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생후 10개월에서 1년이 되면 드디어 혹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슈워츠 씨는 "야생 낙타는 사막의 계절주기 속에서 생존하기 때문에 탄생 후 1년 이내에 혹을 만들어 건기를 반드시 견디어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낙타 이외에도 많은 동물이 몸에 지방을 축적하지만,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은 복부와 옆구리 등 '위의 주위'에 지방이 붙습니다. 낙타가 복부가 아닌 등의 혹에 지방을 축적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나와 있지만, 일설에는 '모래 위에 눕기 위해 복부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배에 지방을 축적할 수 없었던 것이 아니냐'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 내리쬐는 태양을 피하기 위해 옆이 아닌 수직으로 성장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중국 서부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2개의 혹을 가진 쌍봉낙타(Camelus bactrianus)와 아프리카와 서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하나의 혹을 가진 단봉낙타(Camelus dromedarius) 2종류가 있습니다. 혹이 하나인 것보다 두 개가 축적되는 지방도 많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슈워츠에 따르면 "혹이 두 개인 쌍봉낙타가 단봉낙타보다 오랫동안 단식에 견딜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쌀 특히 현미에는 인체에 유해한 비소가 포함되어 있고 '균형 잡힌 식생활을 보낸다면 현미를 먹어도 문제없다'고 합니다만, 비소 함량을 줄이기 위해 물에 잠시 담가두기도 합니다.

영국의 연구팀이 '비소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영양소도 제거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고 비소만 제거하며 밥을 짓는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Improved rice cooking approach to maximise arsenic removal while preserving nutrient elements -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8969720368728

Improved rice cooking approach to maximise arsenic removal while preserving nutrient elements

Inorganic arsenic (iAs) is a group 1 carcinogen, and consumption of rice can be a significant pathway of iAs exposure in the food chain. Although ther…

www.sciencedirect.com


New way of cooking rice removes arsenic and retains mineral nutrients, study shows | Institute for Sustainable Food | The University of Sheffield
https://www.sheffield.ac.uk/sustainable-food/news/new-way-cooking-rice-removes-arsenic-and-retains-mineral-nutrients-study-shows

New way of cooking rice removes arsenic and retains mineral nutrients, study shows

Cooking rice in a certain way removes over 50 per cent of the naturally occurring arsenic in brown rice, and 74 per cent in white rice, according to new research.

www.sheffield.ac.uk


2020년 1월 영국 셰필드대학의 연구팀이 영국에서 소비되는 쌀의 절반이 유럽위원회가 정한 '유아와 5세 이하의 어린이가 섭취해도 좋은 비소량의 기준치' 이상의 비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 조사결과에 따라 연구팀은 유아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라벨링 의무화를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연구팀은 10월 29일에 공개된 논문에서 새롭게 '백미에 포함된 74%의 비소 및 현미에 포함된 50% 이상의 비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밥짓는 방법'을 고안해냈다고 발표했습니다.

by yoppy


이 밥짓는 방법을 'Parboiling with Absorption Method'(PBA)라고 명명했습니다. PBA는 쌀을 끓는 물에 5분 정도 끓인 후 일단 물을 버리고 새로 물을 넣어 저온에서 가열을 계속하여 물을 흡수시키는 방법입니다.

PBA를 그림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쌀 1컵당 4컵 상당의 물을 먼저 끓이고, 끓는 물에 쌀을 투입하여 5분 끓인 후 물을 버립니다. 이 과정에서 물과 함께 비소가 제거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쌀 1컵당 2컵의 물을 추가로 투입해 약한 불로에서 중불로 가열하여 물을 흡수시킵니다.


비소는 피부질환 외에 암, 당뇨병, 폐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유해한 물질로 수용성이기 때문에 밀보다 물이 많은 환경에서 자라는 쌀에 더욱 축적합니다. 쌀에 축적되는 비소의 양은 다른 곡물의 10배로 알려져 있으며, 그 대부분이 배젖을 감싸는 쌀겨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미하지 않은 현미는 백미보다 많은 비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미하면 비소의 대부분은 제거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영양소의 75~90%도 함께 제거되어 버립니다.

셰필드대학의 환경과학자인 Manoj Menon 씨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과도하게 투입한 물로 쌀을 지으면 비소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었습니다만, 이 방법은 영양소까지 제거되어 버립니다. 우리의 목표는 조리된 쌀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비소를 제거하는 것이었습니다. PBA의 실천은 쉬워서 누구나 가정에서 할 수 있습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많은 비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가 일궈낸 방법으로는 비소 노출을 크게 줄이면서 영양소의 손실을 방지합니다. 유아와 어린이는 비소 노출에 취약하기 때문에 아동의 밥을 지을 때 이 방법을 권장합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야행성 동물인 고양이는 어둠 속에서도 물체가 잘 보입니다. 인간의 눈과 비교해도 7분의 1의 빛의 양으로 충분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어둠 속에서 빛나는 눈. 밤에 밖에서 고양이와 만날 때 빛에 반사된 것처럼 고양이의 눈이 반짝 빛납니다. 고양이의 눈은 망막 뒤에 Tapetum lucidum라는 반사판이 붙어있어, 망막의 시신경을 자극하면서 들어온 빛을 반사하여 망막에 되돌림으로써 미약한 빛을 2배로 증폭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Tapetum lucidum gato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Tapetum_lucidum_gato


망막 아래에 Tapetum lucidum를 가진 고양이

또 다른 이유는 눈의 크기. 고양이는 신체의 크기에 비해 큰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이 크면 그만큼 동공도 커집니다. 크기를 바꾸어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동공의 역할. 눈이 크면 클수록 빛의 양을 많이 도입할 수 있습니다. 밝은 곳과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 크기가 달라지는 것은 고양이도 마찬가지.

인간의 7분의 1의 빛의 양으로 충분한 고양이입니다만, 시력 자체는 인간의 10분의 1 정도입니다. 그런 시력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양이의 눈은 움직이는 물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고양이 앞에서 움직이면 격렬하게 반응하는 것은 그 탓일까요. 야생의 고양이는 육식을 하기 위해 민첩한 움직임의 작은 동물에 반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물체가 멈추면 순간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고양이는 색깔도 거의 구별할 수 없습니다. 특히 붉은색이 모두 녹색, 주황색 노란색으로 보입니다. 빛의 양을 느끼는 간상세포가 발달한 만큼 색깔을 결정하는 원추세포가 적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눈의 구조로 보면 고양이는 낮보다 밤에 더욱 능력을 발휘하는 야행성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猫の目の仕組み・不思議:暗闇のなかでキラリと光る印象的な大きな瞳
https://www.santen.co.jp/ja/healthcare/eye/eyecare/wonders/cat_eye.jsp

Posted by 말총머리
,


수정체의 불가사의


수정체는 카메라의 볼록렌즈처럼 눈에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굴절시키는 작용이 있습니다. 망막에 이미지가 깨끗하게 표시되도록 초점을 조절합니다. 수정체의 구조는 생물에 따라 다릅니다.

인간의 눈을 카메라에 비유하면 각막과 수정체는 렌즈 부분입니다. 각막은 검은 눈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고 그 안에 수정체가 있습니다. 각막과 수정체는 비슷한 작용을 하며 보이는 세계를 뒤틀리지 않도록 빛의 굴절을 조절해 망막에 반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chematic diagram of the human eye en-edit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Schematic_diagram_of_the_human_eye_en-edit.png


수정체는 대부분이 물과 단백질로 되어 있고, 크기는 직경 9mm 두께 4mm 정도의 볼록렌즈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거의 무색투명합니다.
그리고 카메라와 달리 인간의 눈의 렌즈인 수정체는 그 형태가 변화합니다.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반대로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가 얇아집니다. 볼록렌즈는 두께가 커지면 굴절률도 커지고 근거리에 초점을 맺습니다. 반대로 얇게 되면 굴절률은 작아지고 초점도 멀어집니다. 이처럼 두께를 바꾸어 여러 곳에 초점을 맞추어 세계를 비추는 것이 우리 눈의 수정체입니다.

Creator: Patrick Durrell https://cms.ysu.edu/tags/research?page=9


덧붙여서 이 수정체는 아기의 경우 둥근 모양을 하고 있고 강한 굴절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20세 이후부터 점점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수정체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초점을 맞출 능력(조절 능력)이 약해집니다. 40세를 지나면 눈앞 30cm보다 가까운 물건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이 이른바 '노안'이라는 상태입니다. 투명에 가까운 수정체가 회백색으로 변색하는 '백내장'도 수정체의 질병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X-15. https://nara.getarchive.net/amp/media/artwork-x-15-artist-unknown-9767e3


날개를 가진 유인 비행기가 7274km/h라는 속도를 기록한 후 50년이 경과했습니다. 이 기록은 어떻게 수립되었고 왜 반세기 동안 깨지지 않았던 것일까?

반세기 불변의 기록은 음속의 약 7배

2017년 10월 3일(화) 주익의 양력에 의해 비상하는 '비행기'에 의한 세계 속도 기록 7274km/h(마하6.7)의 수립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이 기록은 North American X-15 실험기를 조종하는 미국인 테스트 파일럿 윌리엄 J 나이트에 의해 달성된 것입니다.

여압복을 착용한 윌리엄 J 나이트와 X-15. 7274km/h라는 불멸의 기록을 세웠다 (사진 : NASA)


X-15는 마하5 이상과 같은 하이퍼 소닉(극초음속) 연구프로그램 차원에서 속도 기록에 도전한다는 목적만을 위해 개발된 실험장치이며, 엔진으로 로켓을 탑재했습니다. 기체는 로켓엔진과 연료인 무수암모니아 및 산화제인 액체산소 탱크에 작은 날개와 파일럿을 위한 생존 공간, 착륙 장치로 '썰매'를 설치한 심플한 구조로 빨리 날기 위한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을 버린 디자인이었습니다.

X-15는 자력으로 이륙할 수 없기 때문에 B-52 전략폭격기를 개조한 공중발사모선에서 발진하여 약 9톤의 연료와 산화제를 불과 120초에 소진하며 상승 가속했습니다. 그리고 최고 고도와 최고 속도에 이른 후에는 매우 성능이 나쁜 글라이더가 되어 마른 호수에 미끄러지듯 착륙합니다.

우주비행사 인증 조종사

최고 속도 기록 7274km/h는 188번째 비행에서 달성되었고, 이 때의 고도는 약 30km였습니다. 또한 상승 고도 기록도 수립하고 있으며, 1963년에 실시된 91번째 비행에서는 107.8km에 도달. 우주를 미공군에서는 고도 80㎞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X-15를 조종한 조종사 12명 중 8명은 우주비행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우주에 도달하지 못한 4명 중 한 명이 나중에 달착륙을 완수하는 닐 암스트롱이었습니다.

모선인 B-52 전략폭격기에 매달려있는 상태의 X-15.  (사진 : NASA)
분리된 후 불과 120초 동안 동력 비행을 실시 (사진 : NASA)


비행기의 역사는 1903년 라이트 형제에 의해 발명된 이후 끝없는 '빨리' 그리고 '높이' 경쟁의 역사였습니다. 그리고 그 종착점은 의외로 빨리 찾아와 X-15의 속도 기록은 그 후 갱신되지 않았습니다.

속도 기록에 대한 도전은 사람을 흥분시키는 매력을 지니고 있지만, 돈과 노력이 많이 들고 공기의 단열압축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여객기나 전투기 등 실용기의 속도 성능은 고작 마하1 전후에서 정체되어 있어 7000km/h 이상과 같은 속도는 대기권에 돌아오는 우주선 이외에는 전무해 비행기에 의한 속도 기록은 실로 반세기 동안 정체되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당시를 능가 ...?

앞으로 X-15를 웃도는 속도의 비행기가 탄생할까? 2017년 9월 도쿄에서 하와이까지 30분이라는 여객기의 컨셉 '스페이스 X'가 발표되었습니다. 평균 시속 1만km/h를 초과하는 야심찬 계획이지만, 이것은 탄도미사일의 탄두부를 객실로 만든 것과 같은 것이라 비행기가 아니어서 만일 실용화되더라도 X-15의 기록은 불변입니다.

착륙 중인 X-15. 뒤의 착륙 장치가 썰매로 되어 있다. 안쪽은 F-104A (사진 : NASA)


드론으로 따지면, 스크램제트 엔진을 탑재한 X-43 '하이퍼X'가 2004년에 마하 9.68(11265km/h)을 달성하고 있으며, 같은 해에 민간 우주선 스페이스십원이 유인비행기이면서 X-15를 웃도는 고도 112km에 도달했습니다.

X-15를 웃도는 속도 성능을 가진 비행기를 개발하는 것은 현시점에서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것이 실현될 전망은 지금으로써는 없어 X-15의 위대한 속도 기록은 21세기에도 당분간 왕좌의 자리를 지킬 것입니다.

아폴로 11호의 선장을 맡아 인류 최초로 달에 내린 닐 암스트롱도 X-15의 파일럿을 맡고 있었다 (사진 : NASA)

Posted by 말총머리
,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산불이라는 재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산불이 발생하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불이 확산하고 대응이 늦으면 대규모화하는 위험성도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와의 관계 및 발생 원인


2019년 호주에서 일어난 크고 장기적인 산불이 세계적으로 주목받았습니다. 호주의 산불은 산이나 숲 등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화재로 산불 및 임야화재라고도 합니다.


산불이 일어나는 원인은 크게 나누면 자연발화와 인위적 요인 두 가지입니다.


자연발화

자연발화는 현재의 기후가 크게 관계하고 있는데, 건조함이 주요 요인입니다.

겨울철 등 건조하기 쉬운시기에는 낙엽 등의 수분이 빼앗겨 건조해집니다. 그 낙엽끼리 마찰을 일으켜 발화하고 주변의 낙엽과 마른 풀로 번져 산불로 발전합니다.

옛날부터 드물게 일어나는 산불 요인이었습니다만, 최근에는 특히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이상 소우와 가뭄이 잦아져 건조하기 쉬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위적 요인

산불의 대부분은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주로 모닥불이나 점화, 방화, 담배에 의한 화재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부주의가 산불의 원인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일본에서의 산불 건수는 4월이 가장 많았고, 2월부터 5월 사이에 연간 발생 건수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기가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규모 산불도 이 시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림에 사는 사람이나 산기슭 등 주변에 사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불에는 4종류가 있다


산불의 원인은 어디까지나 화재 원인이 전부입니다. 확산은 다른 요인이며 산불의 종류에 따라 확산 양상이 다릅니다 .

산불의 연소 형태는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점화 장소와 연소 대상, 연소 속도는 각기 달라 몇 가지가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대규모화와 장기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산불의 종류에 따라 소화 후 숲의 상황에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과 생태계가 크게 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산불의 종류는 임지 화재와 나무 화재로 나뉘고, 임야 화재는 '지표화'와 '지중화', 나무 화재는 '수관화'와 '수간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지표화
지표 화재는 키가 작은 관목류(키가 작고 줄기가 발달하지 않는 목본식물)와 초목류, 숲 바닥의 이끼류, 낙엽 등 주로 지상에 있는 가연성 물질에서 불이 발생합니다.

최고 화재 온도는 1,000℃ 이하로 연소 지속 시간은 몇 분 정도입니다. 그러나 연소 속도는 보통 시속 4 ~ 7km지만, 강풍이 불거나 높은 경사면에서는 확산하기 쉽고 시속 10km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나무에 비해 비표면적이 큰 초목류 등이 건조 상태에서 연소하기 때문에 사바나에서의 화재가 주로 지표화입니다.

연소 시간도 길지 않고 나무가 아니라 주변의 초목류가 불타는 일이 많기 때문에 진화 후 나무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 지중화
지중화는 토양 유기물(이탄층과 갈탄층)이 불타며 펼쳐집니다. 번져도 다른 연소 형태와는 달리 지하는 비교적 저온으로 불꽃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화염의 최고 온도는 600℃ 이하로 평균 연소 속도도 시속 4 ~ 5km로 매우 느립니다.

지표의 화재를 진화하여도 연소를 계속할 가능성이 높고, 땅속에서 장시간 연소하여 유기토양의 소실이 크며, 저온 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 및 기타 불완전연소물의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는 연소에 의한 영향은 적지만, 성장하는 토양이 유실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수관화
수관 화재는 지표화가 발달해 일어나는 연소 형태입니다.

적송과 삼나무, 노송나무 등의 침엽수림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엽이 연료 사다리라고 표현될 정도로 적당한 간격으로 줄지어져 있기 때문에 위쪽으로 쉽게 확산하여 수관까지 태워버립니다.

수관 화재는 화재 바람, 화재 선풍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소화가 어렵고 나무를 포함한 숲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옵니다.

화재 바람은 불의 확산을 야기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광범위하게 번집니다.

평균 연소 속도도 보통 때는 시속 2 ~ 4km로 되어 있지만, 화재 선풍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시속 40 ~ 50km 이상에 도달하고 화염 최고 온도는 1,000℃를 웃돌아 소화를 어렵게 합니다.

연소 지속 시간은 수십분 정도로, 나무는 몸통이 두꺼운 표피에 덮여있기 때문에 타지 않는 것이 많습니다만, 지엽이 손실되고 고온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거의 확실하게 고사합니다.


◆ 수간화
지표 화재의 발달에 의해 일어나는 또 하나의 연소 형태가 수간화입니다. 나무의 몸통 속에서 발생한 화재로 밖으로 확산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나무의 몸통은 두꺼운 표피로 덮여 있기 때문에 매우 드문 연소 형태입니다. 수간 화재가 일어나면 그 나무는 확실하게 고사해 버립니다.

출처 참조 번역
森林火災の4つの種類について解説
https://gooddo.jp/magazine/climate-change/forest_fire/8121/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 코넬대학의 연구그룹이 이탈리아의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이 40%인 지역의 신종 코로나 사망률은 약 15%였으나 70%로 높았던 지역에서는 6%까지 감소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연구자들이 지난 6월 10일까지 신종 코로나 사망자와 독감 예방 접종률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노인의 예방 접종율이 높은 집단에서는 신종 코로나 사망 위험이 낮았다. 이 연구에서는 백신 접종률이 10% 증가할 때마다 신종 코로나 사망률이 28% 감소했다.


마찬가지로 브라질 상파울루대학의 연구자들이 9만 명 이상의 신종 코로나 감염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독감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은 받지 않은 사람보다 중환자실에 입원할 위험이 8% 낮았고 사망 위험은 17% 낮았다.

"어느 연구에서도 백신 접종자의 신종 코로나에 의한 사망률이 감소했습니다. 물론 독감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입니다. 원칙적으로는 독감 백신은 신종 코로나는 막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양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백신이 면역력 전체를 활성화시켜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신종 코로나의 방어력을 높였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신종 코로나 예방을 위한 인플루엔자 백신의 활용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카미 씨)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다른 백신이 신종 코로나에 유효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최근 그리스의 연구결과는 BCG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신종 코로나 감염의 발병률이 45% 감소했습니다. 멕시코의 연구에서는 홍역,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의 MMR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신종 코로나에 감염되어도 가벼운 증상으로 생존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카미 씨)

독감과 신종 코로나의 동시 감염이라는 두려움도 있다. 신종 코로나의 초기 유행 중심지였던 중국 우한에서 올해 1~2월에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95명 중 46명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있었다고 한다. 국제의료복지 대학병원 예방의학센터 교수 이치로 씨는 "그 연구보고에 의하면, 동시 감염된 환자는 사이토카인 스톰(면역 폭주)에 의해 심장에 손상을 일으키기 쉽고, 중증화 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플루엔자와 신종 코로나의 동시 유행을 경고하고 독감 예방접종을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출처 참조 번역
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接種でコロナ死亡率低下の研究結果
https://www.iza.ne.jp/smp/kiji/life/news/201001/lif20100117350016-s1.html

Posted by 말총머리
,

 

발화점, 연소점, 인화점의 온도 차이


위험물은 인화점과 발화점에 따라 위험성이 판단될 수 있습니다.

혼동하기 쉬운 인화점과 발화점이지만, 그 차이는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을 배우는데 기초가 되는 부분이므로 잘 기억해둡니다.

온도가 높은 순서로 나열하면 발화점>연소점>인화점이 됩니다.


◆ 인화점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가 폭발하는 하한치의 농도에 도달한 액체 온도입니다. 즉, 인화점 폭발과 하한치의 온도는 동일합니다.

또한 불꽃( 점화원 )이 접근했을 때에 점화하여 연소하는 최저의 액체 온도(결국에는 불이 붙는 온도)라고도 합니다.

· 액체 온도가 인화점 이상인 경우
인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인화성 증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만, 연소 범위에 들어갈 정도의 농도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 액체 온도가 인화점 이하의 경우
덧붙여서,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은 그 위험성을 인화점에 따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석유류의 인화점에 따라 제1석유류에서 제4석유류까지 분류되어 있습니다.


◆ 연소점
연소점은 연소가 계속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액체 온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연소점은 인화점보다 높은 값을 나타냅니다.

◆ 발화점
발화점은 공기 중에서 점화원 없이도 스스로 발화하는 최저 온도입니다. 일반적으로 발화점은 연소점보다 높은 점에 유의합시다.


자연발화


자연발화는 상온의 공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발열하여 열이 축적, 발화점에 도달하고 연소를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물론 점화원이 필요 없습니다.)

자연발화의 원인은 산화열이나 분해열, 흡착열, 미생물 등에 의한 발열을 들 수 있습니다.

자연발화의 원인

· 산화열에 의한 발열
예) 건성유, 석탄
· 분해열에 의한 발열
예) 니트로셀룰로오스
· 흡착열에 의한 발열
예) 활성탄
· 미생물에 의한 발열
예) 퇴비, 쓰레기


동식물 유류는 산화열에 의한 발열로 자연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식물 유류가 묻은 걸레 등을 방치해두면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세계에는 아직 통신 인프라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은 지역이 많아 30억 명 이상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ject Taara'는 최대 20km의 거리를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연결하여 최대 20Gbps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으로, 케냐를 시작으로 시범적으로 서비스의 배포를 시작합니다.

Taara - X, the moonshot factory
https://x.company/projects/taara/

Bringing light-speed internet to Sub-Saharan Africa | by Mahesh Krishnaswamy | Nov, 2020 | X, the moonshot factory
https://blog.x.company/bringing-light-speed-internet-to-sub-saharan-africa-4e022e1154ca


'Project Taara'는 원래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s(자유 공간 광통신)이라는 명칭으로, Google의 모회사 Alphabet에 의해 진행되어 온 프로젝트입니다. Alphabet이 진행해왔던 '통신 인프라가 낙후한 지역에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프로젝트로는 Wi-Fi 안테나를 장착한 풍선을 날리는 'Loon'가 있습니다. Taara는 Loon에 참여했던 엔지니어가 '더욱 지상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없을까'라고 고민하다 태어난 프로젝트라고 합니다.

Taara에서는 보이지 않는 광선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2개 설치합니다. 장치는 최대 20km까지 떨어진 곳에 설치가 가능하고 최대 20Gbps의 대역폭에서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것은 수천 명이 동시에 YouTube를 시청해도 괜찮은 정도의 통신환경입니다.

두 남자가 철탑에 설치한 하얀 장치가 Taara 전용 장치.


왼쪽 마을에 있는 Taara 장치에서 강 건너편에 있는 오른쪽 아래 Taara 장치로 광선이 보내지고 오른쪽 아래 마을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구조입니다.


'국립공원이 확대되고 있다', '강을 넘는 케이블의 부설이 어렵다' 등의 이유로 통신 인프라가 아직 정비되지 않은 지역에도 Taara 장치라면 케이블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하게 통신환경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장치 간의 통신이 방해되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장치는 건물의 옥상이나 철탑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Project Taara는 환경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인 Econet Group과 협력하여 우선 케냐를 시작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 포토는 무료 및 무제한으로 최대 해상도 16메가픽셀 이하의 사진과 1080p(풀 HD)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였지만, 2021년 6월 이후에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 용량이 '15GB'로 제한된다고 합니다.

Updating Google Photos 'storage policy to build for the future
https://blog.google/products/photos/storage-changes/

Updating Google Photos’ storage policy to build for the future

In order to welcome even more of your memories and build Google Photos for the future, we are changing our unlimited High quality storage policy.

blog.google


An update to storage policies across your Google Account
https://blog.google/products/photos/storage-policy-update/

An update to storage policies across your Google Account

blog.google


Google 포토의 개발담당 바이스 프레지던트를 맡고 있는 시무릿토벤 야일 씨는 "우리는 5년 전 '추억의 집'이 되는 것을 사명으로 Google 포토를 출시했습니다. Google 포토는 사진 및 동영상을 관리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인생의 의미있는 순간을 돌아볼 수 있는 장소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Google 포토에는 매주 280억 장의 새로운 사진과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일상의 추억을 저장하기 위해 Google 포토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Google 포토는 뛰어난 제품일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사용자의 추억을 저장해 나갈 수 있도록, 새로운 Google 포토를 구축하기 위해 무제한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정책을 변경합니다"라고 말하며 무료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용량을 제한할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2021년 6월 1일 이후 신규로 업로드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은 Google 계정에 포함된 무료 저장공간인 '15GB' 밖에 저장할 수 없습니다. 또한 모든 Google 계정에 포함된 무료 저장용량인 15GB는 Google 드라이브 또는 Gmail, Google 포토 등에서 공유됩니다.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 용량을 늘리려면, Google One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2021년 6월 1일 이전에 Google 포토에 업로드된 '최대 해상도 16메가픽셀 이하의 사진과 1080p의 동영상'은 계속 무제한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6월 1일 이후에도 스토리지의 용량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Google 순정 스마트폰인 Pixel 시리즈의 사용자는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고, 2021년 이후에도 무제한으로 사진 · 동영상을 Google 포토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Google은 80% 이상의 사용자가 15GB로 제한되어도 약 3년간은 불편없이 사진이나 동영상의 업로드를 계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적고 있으며, 일부 헤비 유저 이외에는 큰 영향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Google 포토 이용자를 위한 '앞으로 몇 달 동안 무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견적 페이지도 공개하고 있습니다.


Google은 2021년 6월에 Google 포토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를 출시한다고 밝혔는데, 이 도구는 예를 들어 '흐릿한 사진' 등을 나열하고 단번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Google은 무료 스토리지 정책의 변경에 따라, Google 드라이브 및 Google 포토 중 하나의 서비스에서 2년 이상 비활성 기간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 해당 서비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콘텐츠를 삭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여러 차례 통지를 한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많은 생물이 '호흡'에 의해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도입하고 불필요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호흡은 사실 '몸의 크기'와 '확산'이라는 현상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과학계열 YouTube채널의 Kurzgesagt가 코믹한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Large Can a Bacteria get? Life & Size 3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E1KkQrFEl2I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뭔가를 한다는 것입니다. 인체의 세포는 끊임없이 산소를 소비하여 포도당 분자를 연소하고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에너지 덕분에 우리는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산소를 세포에 전달하기 위해 인체가 하고있는 것이 호흡입니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어떤식으로든 외부에서 얻은 자원을 체내 세포에 보급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어떤 요소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바로 '크기(몸의 크기)'입니다.


몸의 크기에 따라 온도와 미세 중력, 표면 장력 등의 간단한 물리법칙의 영향은 다릅니다. 이러한 영향은 몸이 크면 무시해도 좋은 수준일 수도 있지만, 몸이 작으면 치명적인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살기 위해 필요한 물질도 생물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구의 역사에서 아주 초기에 탄생한 생명체는 산소분자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원시생명체는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것을 체내에 도입하여 불필요한 것들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구축해야 했습니다.


원시생명체가 행운이었던 것은 '몸이 작았다'라는 점. 원시생명체는 몸이 작았던 덕분에 '확산'이라는 물리법칙을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확산은 액체분자와 기체분자 등 삼차원적으로 끊임없이 움직이는 분자가 서로 부딪쳐 광범위하게 흩어지는 현상입니다.

확산을 이해하는 좋은 예가 각설탕을 물에 넣었을 때 관찰되는 현상.


각설탕이 물에 서서히 용해되면서 설탕분자가 물분자와 다른 설탕분자에 밀리기 시작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설탕분자는 물에 균일하게 확산하고 설탕물 농도는 장소에 따라 균일화합니다. 이것이 확산입니다.


생명체에게 확산이 가장 좋은 점은 에너지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중력과 확산은 햇빛처럼 에너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요소로, 생명체에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지구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인 '박테리아(세균)'의 체표에 대해 살펴봅니다.


박테리아의 체표에 존재하는 세포막은 특정 분자만을 확산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류처럼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는 세균의 체내에서는 산소분자가 부족하게 되는 반면, 이산화탄소 분자는 늘어납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자는 확산이 작용하기 때문에 세포막 안팎에서 서서히 분자의 농도가 균일화되어 체내에 부족한 산소분자는 체내에 자동으로 포함되고 남은 이산화탄소 분자는 체외로 배출됩니다.


확산을 이용한 산소분자와 이산화탄소분자의 이동은 호흡에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확산에 의한 호흡은 박테리아(몸길이 1~10 μm) · 인간 세포(4μm ~ 0.1mm) · 아메바(5 ~ 2000μm)이나 아주 작은 해파리 · 해면동물 · 편형동물밖에 할 수 없습니다.


곤충은 체내에 존재하는 기관에서 매우 느리게 확산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곤충은 기관을 수축시켜 호흡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많은 곤충은 기문(気門)과 기낭 등의 호흡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확산으로만 생존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처럼 어느 정도 몸이 큰 생명체가 확산만으로 세포를 유지하는 에너지를 얻기에는 너무 느립니다.


확산에 의한 호흡의 근본적인 문제는 분자의 교환이 체표 부근에서 밖에 생기지 않는다는 점과 교환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확산에 의한 호흡만으로 살 수 있는 생명체는 표면적이 크고 부피가 작은 동물뿐입니다.


만일 박테리아를 고래의 크기까지 확대할 수 있는 기계가 존재한다면 무엇이 일어날까요?


고래의 크기가 된 박테리아에게 큰 장애물은 '2승3승의 법칙'입니다. 2승3승의 법칙은 한 변의 길이가 10배가 된 경우에는 표면적은 제곱의 100배, 부피는 3승의 1000배가 된다는 것.


박테리아의 일종인 녹농균과 푸른 고래의 비표면적을 생각하면, 녹농균은 고래에 비해 1000만 배나 큰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녹농균은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거대하지만 고래는 표면적에 비해 부피가 큰 것.

따라서 박테리아를 푸른 고래의 크기까지 거대화한 경우에는 표면적에 어울리는 형태로 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증가하고 내장과 체표의 거리가 벌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내장과 체표의 거리가 벌어진 경우 확산에 의해 산소를 세포에 전달할 수 없게 되고 거대화된 박테리아는 산소 결핍으로 죽습니다.


몸이 크면 포식되기 어렵고 다른 생물을 포식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확산에 의해 충분한 산소와 영양을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크기가 어느 정도 작지 않고는 안됩니다.

세포의 크기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생명체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했습니다. 작은 세포를 다수 가지고 있으면 확산의 활용이 가능합니다.

세포는 기능을 공유하고 세포마다 기능을 특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했습니다.


전체적으로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에 구멍이나 빈 공간을 형성하거나 접히는 등 구조면에서도 진화했습니다.


이러한 구조의 진화의 대표적인 예가 폐입니다. 인간의 피부의 표면적은 대략 2m² 정도입니다만, 폐의 표면적은 70m²에 달합니다.

인간의 폐는 혈관에 둘려싸인 작은 풍선이 밀집한 스폰지 같은 존재입니다. 한번 숨을 들이마시면 ​​작은 풍선의 내부가 신선한 공기로 가득차고 풍선을 둘러싼 혈관에서는 이산화탄소로 채워진 혈액이 흘러갑니다.


확산이 작용하는 것은 이 때입니다. 흡입된 산소가 확산에 의해 혈액에 퍼지고 이산화탄소는 혈액에서 폐로 이동합니다. 그 후 산소는 적혈구에 의해 포착되고 이산화탄소는 호흡을 통해 체외로 방출됩니다.

체내에서 확산은 1mm의 거리에서만 작용합니다. 이것이 인체의 모든 세포가 혈관에서 1mm 이내에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인체의 모든 모세혈관을 하나로 합친 경우, 그 길이는 지구를 두 바퀴 반 돌 수 있는 10만km 정도로, 그 표면적은 1000m²에 달합니다.

부피에 비해 길이와 표면적이 크다는 점은 혈관뿐만이 아니라 외부와 뭔가를 교환하는 모든 부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음식에서 영양을 취하는 부위인 위장의 표면적은 배드민턴 코트의 단면에 상당하는 40m² 정도

확산이 일어나는 장소의 표면적이 크다는 것은 햇빛과 대기에서 당을 합성하는 광합성을 하는 나무도 마찬가지입니다. 2000개의 잎을 가진 오렌지 나무의 경우 잎을 포함한 표면적은 약 200m², 농구 코트의 단면에 상당하지만 실제로 확산이 발생하는 잎의 '표면의 안쪽'의 면적은 6000m²에 달합니다.


지구상에는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하고, 호흡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호흡도 확산이라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만은 수십억 년 동안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몸이 작은 생물도 몸의 큰 생물도 어떤식으로든 불필요한 요소를 배출하고 필요한 요소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몸의 큰 생물은 단순히 복잡한 배관이 필요할 뿐이라고 Kurzgesagt는 정리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Electronics factory in Shenzhen.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Electronics_factory_in_Shenzhen.jpg


Apple 협력업체가 중국의 공장에서 학생을 불법취업시키고 있었던 점이 2017년에 문제가 되었습니다만, 2020년 11월 새롭게 중국의 학생인턴이 불법적으로 Pegatron(페가트론)의 공장에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에 따라 Apple은 페가트론에 대한 신규 주문을 일시중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Apple supplier Pegatron found using illegal student labour in China
https://www.ft.com/content/5b2af247-46fa-45de-94e1-b669bb0c3164

Apple supplier Pegatron found using illegal student labour in China

iPhone assembler admits interns worked overtime and night shifts in violation of regulations

www.ft.com


Apple puts Taiwanese supplier Pegatron on probation over student workers | Reuters
https://www.reuters.com/article/us-apple-suppliers-pegatron-idUSKBN27P0E8

Apple puts Taiwanese supplier Pegatron on probation over student workers

Apple <AAPL.O> said on Monday it has put its Taiwanese supplier Pegatron <4938.TW> on probation after finding that the company violated Apple's supplier code of conduct by asking student employees to work night shifts or overtime.

www.reuters.com


Apple supplier Pegatron found using illegal student labor in China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gadgets/2020/11/apple-supplier-pegatron-found-using-illegal-student-labor-in-china/

Apple supplier Pegatron found using illegal student labor in China

Company admits interns worked overtime, night shifts in violation of regulations.

arstechnica.com


대만에 본사를 두고 중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페가트론은 폭스콘과 함께 iPhone · Mac · iPad, 기타 구성요소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이 페가트론이 중국법률을 저촉되는, 수천 명의 학생인턴을 잔업시키며 iPhone의 조립을 강요하고 있었다는 점을 파이낸셜타임즈가 조사에서 밝혀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페가트론은 긴급한 주문 및 직원의 퇴직을 보완하기 위해 하루 12시간의 초과근무를 강요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중국법률은 대학생의 전공이 직무와 관련이 없는 경우 공장이 인턴을 채용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인턴의 발언에 따르면, 페가트론은 2020년 10월까지 불법으로 수천 명의 학생인턴에게 iPhone의 조립을 담당하게 하고 잔업이나 야근을 강제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명났습니다.


Apple은 파이낸셜타임즈의 보고를 받아 2020년 11월 9일(월) 페가트론에 대한 신규 사업의 발주를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페가트론은 법률 위반을 감추기 위해 학생노동자의 분류를 조작하고 서류를 위조, 대학생의 전공에 관계없이 업무를 할당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Apple은 "몇 주 전에 우리는 Apple의 중국 공급업체 중 하나인 페가트론이 학생노동 학습프로그램에서 Apple 협력업체 행동규범을 어긴 것을 발견했습니다. Apple은 페가트론을 근신기간에 두고 행동을 완전히 시정할 때까지 신규 사업을 제공하지 않기로 했습니다"고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by Beryl_snw. https://www.flickr.com/photos/beryl_snw/


Apple은 "페가트론의 책임자는 우리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라고 말하고, 페가트론은 책임자인 임원을 해고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Apple의 조사에서는 학생노동자에게 노동을 강요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Apple의 성명과는 별도로, 페가트론은 상하이와 곤산의 공장에서 현지 법률을 준수하지 않고 학생노동자가 일하고 있었다는 잠을 인정했습니다. 페가트론에 따르면, 학생노동자는 이미 생산라인에서 제외되었고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Apple은 신규 주문을 중단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주문한 제품의 제조에 대해서는 계속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자동차의 주행 소음은 도로 주변 환경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 자동차 내부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이스라엘을 거점으로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개발하는 Silentium이 '자동차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재규어 랜드로버 차량에 세계 최초로 탑재될 예정입니다.

Advanced, broad-band active noise cancellation now available in cars – Silentium
https://www.silentium.com/advanced-broad-band-active-noise-cancellation-now-available-in-cars/

Advanced, broad-band active noise cancellation now available in cars

Silentium has introduced advanced, broad-band active road noise cancellation to the auto industry for the first time. After several years in development, Jaguar and Land Rover are the first carmakers to integrate Silentium’s ‘Active Acoustics’ softwa

www.silentium.com


Advanced, broad-band active noise cancellation now available in cars
https://www.autocarpro.in/news-international/israeli-firm-enables-sound-of-silence-with-broadband-active-road-noise-cancellation-77678

Advanced, broad-band active noise cancellation now available in cars

Silentium’s Active Acoustics technology offers vehicle manufacturers a way to reduce their reliance on costly passive noise damping and insulation materials, and reduce vehicle weight

www.autocarpro.in


Headphone-style noise cancellation reduces road rumble in cars
https://www.imeche.org/news/news-article/headphone-style-noise-cancellation-reduces-road-rumble-in-cars


Silentium이 개발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기본적으로 하이엔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노이즈 캔슬 기능이 활성화되면, 우선 차량의 샤시에 배치된 최대 6개의 가속도계가 주행 중에 생기는 불필요한 노이즈를 감지하여 차량에 탑재된 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냅니다.

이어 Silentium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무시하고자 하는 노이즈 신호를 180도 반전시킨 안티노이즈를 생성합니다. 이것을 차량 내부의 스피커로부터 전송함으로써 탑승자의 귀는 주행시의 소음과 거기에 대응하는 안티노이즈가 동시에 도착하여 2개의 노이즈가 서로를 상쇄하는 구조입니다. 노이즈 캔슬 기능을 선택하면 20Hz ~ 1kHz까지의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불필요한 잡음의 90%를 제거 가능하다고 Silentium은 설명합니다.


실제로 Silentium이 개발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 'Active Acoustics'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Silentium Active Acoustics on road nois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5x9NEpfRZuc


이번 테스트는 시속 50km로 주행했을 때의 소음에 대해 확인했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켜진 주행중인 차량에는 잠긴듯한 주행 소리가 울립니다. 소음의 정도는 58~60 dB 정도. 8dB이라고 하면 근소한 차이로 보이지만, 8dB 증가하면 소리가 가지는 에너지량은 6배 이상 증가합니다.


스마트폰으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해제하니 단숨에 차내에 울리는 주행 소리가 커졌습니다. 소음은 8dB 정도 커지고 66dB 정도.


또다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선택하니 주행음이 순식간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ilentium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탑승자에게 조용하고 세련된 주행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음, 흡음재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차체 중량의 경감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Silentium의 자동차부문 책임자인 Anthony Manias 씨는 "Active Acoustics는 자동차가 차내 소음을 저감, 캔슬, 강조하는 방법과 드라이버가 소리를 인식하고 반응하는 방법을 변화시킵니다"라고 말합니다.

주행중의 BGM으로 음악을 틀고 있는 케이스도 아래의 동영상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Silentium Active Acoustics with road noise and music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DzSkaWBD7E


이미 Active Acoustics는 실용 단계로 재규어 랜드로버가 채용을 결정했습니다. 재규어 랜드로버의 개량선진기술전문가인 Iain Suffield 씨는 "우리는 고객을 위한 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새로운 기술은 차내의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주행 경험을 더 조용하게 하고 승객의 행복을 개선하며 인지부하 및 반응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라고 말합니다.


재규어 랜드로버의 수석의료장교인 Steve Iley 박사는 "노이즈 캔슬링 기술은 교통안전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고객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새로운 생활양식이 출현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에서는 개인 이동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라고 말하며 차내의 쾌적성이 종래 이상으로 요구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쥐의 해마를 사용하여 실험

술을 마신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 보니 술자리 도중의 기억이 전혀 없는데도 집에 잘 도착했다는 경험이 있는 분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영어로는 이러한 일시적 기억상실 현상을 '블랙아웃'이라고 하는데, 시간적으로는 몇 분에서 몇 시간의 기억이 없는 상태입니다.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시에 있는 워싱턴의과대학의 이즈미 유키도시 교수가 The Journal of Neuroscience에 발표한 연구에서,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알코올이 뇌세포를 죽여버리기 때문에 기억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알코올에 의해 뉴런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고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장기증강(LTP) 과정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가 뉴런에서 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수팀은 쥐의 뇌에 있는 해마의 세포를 사용하여 알코올이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습니다. 뉴런의 신경전달 과정을 상세히 분석한 결과, 알코올이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글루타민산을 투과하는 NMDA수용체(N- 메틸 -D- 아스파라긴산 수용체)의 활동을 절반까지 감소시킴으로써 뉴런에게 스테로이드를 생산하게 만들고 그 스테로이드가 뉴런의 시냅스 가소성을 억제하여 장기증강과 기억의 형성을 손상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밝혀졌습니다.

The too much drink waltz begins. https://www.flickr.com/photos/marcusjb/2541186228/


교수팀은 5 alpha-reductase 억제제를 사용한 결과, 알코올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5 alpha-reductase 억제제는 전립선비대의 남성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어서 교수팀은 이 약을 복용하는 남성은 알코올에 의한 일시적인 기억 장애의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출처 참조 번역
なぜ飲みすぎると記憶が飛ぶのか?「脳細胞が壊れるから」説の誤り
https://gendai.ismedia.jp/articles/-/73111?page=1&imp=0

なぜ飲みすぎると記憶が飛ぶのか?「脳細胞が壊れるから」説の誤り(宇山 恵子) @gendai_biz

「現代ビジネス」は、第一線で活躍するビジネスパーソン、マネジメント層に向けて、プロフェッショナルの分析に基づいた記事を届ける新創刊メディアです。政治、経済からライフスタイ

gendai.ismedia.jp

Posted by 말총머리
,


74세의 남성이 사망 선고를 받고 냉동보관되어 있었는데, 사실 죽지 않았다는 것이 뒤늦게 발각되어, 1일 후 냉동박스에서 구출된 남성은 병원에서 2일간 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하고 말았다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Man rescued from freezer dies in hospital; doctor who issued death certificate under the scanner- The New Indian Express
https://www.newindianexpress.com/states/tamil-nadu/2020/oct/17/man-rescued-from-freezer-dies-in-hospital-doctor-who-issued-death-certificate-under-the-scanner-2211558.html

Man rescued from freezer dies in hospital; doctor who issued death certificate under the scanner

The health department officials are investigating a doctor of a private hospital who declared Kumar dead and issued a 'home death certificate' to his 70-year-old younger brother Saravanan.

www.newindianexpress.com


74-year-old man presumed dead and kept in freezer, rescued a day later in Tamil Nadu - india news - Hindustan Times
https://www.hindustantimes.com/india-news/74-year-old-man-presumed-dead-and-kept-in-freezer-rescued-a-day-later-in-tamil-nadu/story-B7KMhskyEWBrfpPB3OLKsI.html

74-year-old man presumed dead and kept in freezer, rescued a day later in Tamil Nadu

Police in Salem district moved the senior citizen to a government hospital where he is said to be recovering.

www.hindustantimes.com


Frozen: Man kept in freezer for 20 hours, survives in Tamil Nadu | City - Times of India Videos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videos/city/chennai/frozen-man-kept-in-freezer-for-20-hours-survives-in-tamil-nadu/videoshow/78652864.cms

Frozen: Man kept in freezer for 20 hours, survives in Tamil Nadu | City - Times of India Videos

A shocker from Tamil Nadu. A 70-year-old man was kept inside a freezer box for close to 20 hours by his relatives after his relatives thought he was dead. His health condition is now stable and he is recovering. Ideally he should have taken to a hospital e

timesofindia.indiatimes.com


인도 타밀 나두주 세일럼에 사는 74세의 Balasubramaniya Kumar 씨는 노화 질환을 앓고 있었으며, 70세의 동생인 Sarvanan 씨와 함께 수개월에 걸쳐 공동생활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밤, Sarvanan 씨는 Kumar 씨를 여러 차례 깨우려고 시도했는데도 반응이 없자 '오빠가 죽어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후, 주치의로부터 '재택 사망진단서'를 받은 Sarvanan 씨는 장례회사에 연락하여 냉동박스를 구하는 한편, 친척에게 전화를 걸어 장례식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장례회사의 직원은 전화를 받고 즉시 냉동박스를 제공하였고 사망선고를 받은 날 밤에 Kumar 씨는 냉동박스에 넣어졌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장례식 전에 냉동박스를 회수하러 온 장례회사의 직원과 친척 Kumar 씨가 상자 속에서 손이 움직이고 있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직원은 Sarvanan 씨에게 Kumar 씨가 움직이고 있는 것을 알렸지만 Sarvanan 씨는 "영혼이 몸에 들러붙어 있어 나타난 경련이다"라고 직원들에게 말했다고 합니다. Kumar 씨는 20시간 이상 냉동박스에 넣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실제로 Kumar 씨가 넣어져 있었던 냉동박스.


직원들이 경찰에 신고하여 사태가 발각되었고 Kumar 씨는 살렘정부병원에 이송되어 2일간의 치료를 받았습니다. 한때 '회복되고 있다'고 보도되었지만 결국 Kumar 씨는 회복하지 못하고 2일 후에 사망했습니다.

병원으로 이송되는 Kumar 씨.


보건당국은 재택 사망진단서를 발급한 의사를 조사한다고 하며, 다른 한편으로 경찰은 동생의 Sarvanan 씨가 의도적으로 살아있는 Kumar 씨를 냉동했다고 의심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로 '70세의 동생은 충분한 지식이 없었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건은 형법 287조 인명을 위험에 빠트리는 행위 및 336조의 타인을 위험에 빠트리는 행위에 해당한다는 혐의로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The Shower and Water Heater https://www.flickr.com/photos/knittymarie/12244836094


온수기를 사용하고 나서 가스 냄새나 탄 냄새 등 이상한 냄새가 나면 신경이 쓰이고 불안감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온수기 가스 냄새의 원인

온수기에서 가스 냄새가 나는 원인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 온수기의 불완전연소
· 프로판가스의 잔량 부족
· 부품 파손으로 인한 가스 누출

온수기의 불완전연소
불완전연소가 일어나는 이유는 다양한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온수기의 경년열화나 고장
· 온수기 내부에 누수가 일어나고 있다
· 온수기 급기구 앞에 물건을 두고 있다
· 온수기의 주위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벽이나 지붕이 있다
· 조류의 둥지 등이 급기구나 배기구 안에 만들어져 있다


온수기의 불완전연소 확인 방법

온수기 내부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불꽃이 붉은색이나 오렌지색 (블루가 정상)
· 가끔 불꽃이 사라진다
· 검은 연기가 나오고 있다

위와 같은 증상이 나오고 있다면, 온수기의 사용을 중지하고 점검을 실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프로판가스의 잔량 부족
프로판가스의 잔량이 부족하면 가스 냄새가 강하게 날 수 있습니다. 원래 가스 자체는 무취지만, 가스 누출이 일어날 때 인간이 곧장 감지하도록 일부러 냄새가 나도록 하고 있습니다.

프로판가스의 잔량이 부족하면 가스통의 바닥에 쌓인 냄새의 원인이 가스와 함께 나오므로 평소보다 가스 냄새가 강해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가스의 잔량이 걱정되는 경우에는 가스판매점에 연락하여 확인합시다.

◆ 온수기 부품 손상으로 인한 가스 누출
가장 위험한 경우는 '부품 손상으로 인한 가스 누출'입니다. 가스밸브에서 온수기에 뻗어있는 배관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가스밸브를 잠그면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가스밸브가 잠겨 있어도 가스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가스배관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스업체에 연락하여 가스배관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을 요청합시다.

Japanese Electric Water Heater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Japanese_Electric_Water_Heater.jpg


온수기에서 가스 이외의 냄새가 나는 원인


온수기에서 타는 냄새가 난다
급기구나 환기구가 먼지나 이물질이 막히면 타는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온수기 본체 내부에서 불완전연소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온수기 본체 청소를 해두면 안심입니다.

새로 구입한 온수기에서 악취가 난다
온수기 설치시 사용된 산업용 기름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불량으로 불완전연소를 일으키고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도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설치한 업체에 점검을 의뢰해 봅시다.


온수기에서 가스 냄새가 날 경우의 대처법


가스밸브를 잠그고 창문을 연다
환풍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가스 누출이 일어나고 있을 경우, 환풍기의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정전기가 발생하여 가스가 인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풍기뿐만 아니라 전구의 스위치 및 온수기 스위치 등 전자제품 전반의 스위치를 만지지 않도록 합시다.

가스밸브를 닫아도 냄새가 계속 난다면 가스회사에 연락합시다.

가스관에서 가스가 누출하는 경우는 대형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합니다. 우선 가스회사에 연락하고 검사를 받은 후 가스관 주위에 이상이 없다면 '온수기 수리업자'에 연락합시다.

Posted by 말총머리
,


화면 상단의 상태표시줄에는 새 메일 등을 알리는 알림 마크나 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가 나타납니다.

◆ 주요 알림 마크

상태표시줄 왼쪽에 표시되는 마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긴급 속보 메일 수신


통화 중/발신 중/통화 중/보류


부재중 전화가 있음


간이 자동응답이 있음


새로운 음성 메시지가 있음


새 메일/SMS 있음

 
새로운 PC 메일이 있음


알람 작동 중


달력의 통지가 있음


텔레비전 시청 예약 실행 중


FM라디오를 백그라운드에서 재생 중


데이터 다운로드


Bluetooth®에 의한 데이터 수신 요청


SD카드 마운트 해제


SD카드 사용 준비 중


촬영한 스크린샷이 있음


스크린샷 촬영에 실패


에코모드 제어 중


숨겨진 알림이 있음


브라우저 보호 활성화


스팸 전화를 블록했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 주요 상태 표시

상태표시줄의 오른쪽에 표시되는 마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배터리 수준


충전 중


배터리 관리 모드 설정 중

 
전파 수준


통신권 외


SIM카드 미삽입


데이터 통신 가능 (4G)


비행기 모드 설정 중


Wi-Fi 네트워크 연결 중


Bluetooth® 이용 가능


매너 모드 설정 중


음소거 모드 설정 중


드라이브 모드 설정 중


오리지날 모드 설정 중


간이 자동응답 설정 중


통화를 '스피커'로 설정 중


통화 마이크를 'OFF'로 설정 중


알람 설정 중


전화번호부의 시크릿을 일시적 표시 중


메일의 시크릿을 일시적 표시 중


전화번호부와 이메일의 시크릿을 일시적 표시 중


포인터 OFF


포인터 ON


착신음 볼륨 0


위치 측정 중


로밍 중

 

Posted by 말총머리
,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를 찾는 것에 대해 전세계 기업이 주력하고 있습니다만, 태양광 · 풍력 · 지열 · 조력 · 수력 등은 에너지를 생산하고 산업 수준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존재합니다. 그런 가운데 새롭게 '철가루를 연소시킴으로써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는 기술을 네덜란드의 학생팀이 개발. 실제로 양조장에서 '모든 에너지를 철가루에 의한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충당'하는 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SOLID - A compact and clean fuel
https://teamsolid.org/

SOLID - A compact and clean fuel

Looking towards the future, SOLID and its partners bring forward a revolutionary solution, advocating iron as a fuel. Iron fuel is circular, compact, CO2-free and cost-effective. Besides that, it’s also easy to store, scalable and safe, making it the gre

teamsolid.org


World first: Dutch brewery burns iron as a clean, recyclable fuel
https://newatlas.com/energy/bavarian-brewery-carbon-free-renewable-iron-fuel/

World first: Dutch brewery burns iron as a clean, recyclable fuel

Many industries use heat-intensive processes that generally require the burning of fossil fuels, but a surprising green fuel alternative is emerging in the form of metal powders. Ground very fine, cheap iron powder burns readily at high temperatures, relea

newatlas.com


철이 연료로 어떻게 쓰이는지는 다음 영상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Iron Powder - the green energy solution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rKVj1CwAmmk


화석연료 대신에 바람이나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만, 바람과 태양은 항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산업에 따라서는 연료의 대체가 어려운 곳도 있습니다.


수소와 전력은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큰 장소가 필요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철가루로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기술. 철의 분말은 직경이 50㎛ 정도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석유와 가스뿐만 아니라 철의 분말도 점화하는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석유와 가스와 달리 연소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철가루가 연소할 때 나오는 것은 '녹'뿐.


철가루를 연소한 에너지로 증기를 생산할 수 있고 이 증기를 산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증기터빈을 가동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철을 연소하여 생성된 녹은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에 의해 다시 철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철의 분말은 산업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료가 될 수 있습니다만, 실현을 위해서는 추가 개발 및 확장이 필요합니다.


철가루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Eindhoven 공과대학 학생팀 'SOLID'. SOLID 연구원은 기업과의 제휴를 시도하고 있으며, 2020년 11월에 네덜란드의 맥주 양조장인 Swinkels Family Brewers가 세계 최초로 철에너지 시스템을 산업 규모로 사용하는 기업이 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Swinkels Family Brewers는 연간 1500만 잔의 맥주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전부를 양조장에 설치한 '순환 철연료 시스템'에서 조달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송 중인 순환 철연료 시스템.


작업자가 Swinkels Family Brewers의 에너지 시스템에 철가루를 투입하고 있는 모습.


Swinkels Family Brewers의 CEO인 Peer Swinkels 씨는 "우리의 일은 가업으로, '년 단위'가 아닌 '세대 단위'로 사물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순환형 경제에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우리는 양조 과정을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 혁신에 대한 투자를 계속할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철의 분말은 청정에너지 연료로 비교적 저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송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연소 온도가 높아 수소와 같은 극저온 냉각이 불필요합니다. 그리고 장기 저장에 의해 에너지가 손실되지 않는 점도 포인트라고 합니다. 2018년의 논문에 따르면, 철의 분말에 의한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은 이론적으로는 40% 정도에 달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SOLID을 이끄는 Chan Botter 씨는 산업 수준에서 처음으로 시스템이 이용된 것을 기뻐하면서도 이에 그치지 않고 "기술을 향상시키고 1MW 시스템을 실현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를 이미 시작했고, 2024년에는 10MW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2030년까지 화석연료 발전소를 지속가능한 철연료 발전소로 대체 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남자와 여자의 근력 차이는 대략 1.6 ~ 1.7배로, 남성을 100%로 하면 여성은 65% 정도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고등학생(17세)의 악력을 비교하면 남자 44Kg, 여자 28Kg 정도가 평균. 배근력은 남자 135Kg, 여자 80Kg 정도가 평균. 핸드볼 던지기는 남자 27m, 여자 15m 정도가 평균입니다. 이 정도의 차이는 운동으로 뛰어넘기는 어려우며, 매우 단련된 선수가 겨우 웃도는 정도입니다.


12세까지는 남자가 여자의 10% 정도 상회하는 수준입니다만, 그 이후 차이가 벌어집니다. 장거리 달리기에서도 남성(1500m)은 여성(1000m)보다 속도 측면에서 20~30% 상회합니다. 근력(순발력)은 물론, 운동의 지구력(근지구력, 전신 지구력 모두)은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능가합니다.

◆ BMI24.9 이하 (비만형 체형이 아닌) 성인의 근육량
· 전신 : 남성 24.0kg, 여성 14.0kg
· 한쪽 팔 : 남성 1.5kg, 여자 0.9kg
· 한쪽 다리 : 남성 5.5kg, 여자 3.5kg

남녀 모두 다리의 근육량은 팔의 4배가량으로, 힘의 강도도 이에 비례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다리의 근육량이 전신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성은 근력에서 남성보다 한참 뒤떨어져 있는 대신 면역력이 남성을 능가하고, 높은 체지방률과 그 분포(남성에 비해 몸의 표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습니다)에 의해 기아와 외상에 강하고, 에너지 소비효율에 탁월하며 생존성이 남성을 크게 상회합니다. 평균 수명에서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여성이 남성을 능가합니다. 또한 여성은 남성만큼 활동적이지 않고 애교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몸의 크기에 비해서 에너지 소비가 적고, 부상을 입거나 범죄 피해자가 되는 경우도 적습니다.


여성의 높은 생존능력은 임신 · 출산 그리고 육아(육아 능력도 여성은 남성보다 압도적으로 우수합니다)라는 새로운 생명을 기르는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진화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처 참조 번역
文部科学省:体力・運動能力調査
http://www.mext.go.jp/b_menu/toukei/001/index22.htm
筋肉量についてはこちらにデータがあります。
http://www.okazakigenkikan.jp/kenkoudo/index.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스포츠를 하는 데 있어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해.

여성의 경우는 특히 여성 특유의 신체의 기능과 특징을 잘 이해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남성의 신체와의 차이와 여성만의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경기력 향상에 빠질 수 없는 3원칙이란

여성, 남성 모두 스포츠를 할 때의 목표는 경기력의 향상입니다. 이를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3가지 있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교육'과 '영양', '휴식'입니다. 많이 연습하면 제대로 휴식을 취하고 영양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리고 몸이 회복되면 다시 연습하는 좋은 사이클이 계속되어 경기력이 향상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나 여성과 남성은 균형을 잡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근력과 체력이 있어 피로 회복이 여성보다 빠릅니다. 남자 선수의 경우에는 연습 후 잠시 밥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극한까지 자신을 몰아넣는 교육이 가능한 반면, 여성은 자신의 신체를 방어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정상급 선수도 밥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자신을 혹사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훈련 강도보다 빈도를 올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사도 일반적으로 여성은 1회에 먹을 수 있는 양이 적기 때문에 몇 번으로 나누는 궁리도 필요합니다. 이런 남녀의 차이를 이해한 다음 교육, 영양, 휴식을 취하는 방법과 균형을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남녀의 신체 발달의 차이

이러한 남녀의 신체의 차이는 초등학생 시절부터 보입니다. 여자와 남자는 신체의 발육 속도가 다른데, 구체적으로는 신장과 신경 전달, 민첩성 등의 성장시기가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 2년 정도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스포츠에서도 높은 경기력에 도달시기가 여자는 남자보다 2년 빨리 찾아옵니다. 그래서 그에 따라 교육 내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발육이 피크에 도달한 여자의 몸은 '월경'을 시작합니다. 초경을 맞이한 여성의 몸은 난포호르몬(에스트로겐)과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 등의 여성호르몬 분비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여성호르몬이 분비되면 신체는 지방을 저장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여성의 체지방율의 기준은 남성보다 10% 정도 높습니다.


여성호르몬 중에서도 여성스러운 몸의 유지에 크게 관련있는 것이 에스트로겐입니다. 그러나 평생에 걸쳐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의 양은 티스푼 한잔 분 정도로 매우 적은 양이라고 합니다.

즉, 여성의 몸은 극히 미량의 여성호르몬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아 생리가 오거나 오지 않게 된다라는 것. 에스토로겐과 월경은 여성의 신체에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혈액순환과 피부결을 좋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등의 기능이 있는 에스트로겐은 이른바 '여성의 몸을 지켜주는 존재'. 생리는 에스트로겐이 분비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성과 남성의 신체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한 다음 트레이닝, 영양, 휴식의 균형을 잘 잡아 경기력 향상으로 연결합시다.

Posted by 말총머리
,


코킹제의 종류


코킹제의 종류에는 '실리콘 코킹제', '변성 실리콘 코킹제' 2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을 소개합니다.

실리콘 코킹제
실리콘 코킹제는 내구성, 접착력이 우수하고 방수 성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변성 실리콘 코킹제
변성 실리콘 코킹제는 유연성이 있어서 코킹이 균열이 간 경우에도 덧칠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적합한 코킹제는?
물에 대응할 수 코킹제는 '내구성', '방수'가 중요하므로 실리콘 코킹제가 적합합니다. 변성 실리콘 코킹제의 경우, 보수에 적합합니다.

코킹 시공 방법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코킹 시공법에는 코킹 교체와 코킹 보수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코킹 교체는 기존의 코킹(실링)을 모두 철거한 후 새로운 코킹을 시공합니다.

코킹 보수는 기존의 코킹(실링)에 코킹을 보충합니다.

Caulking.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Caulking.jpg


가격과 시세


◆ 코킹 교체
참고 비용 : 약 7000~12000원/m

예)
욕실의 경우(약 15m~20m) = 약 105000~240000원
주방의 경우(약 5m~10m) = 약 35000~120000원
세면대의 경우(약 1m~2m) = 약 7000~24000원

※ 업체에서 최소 매출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60000원/m가 시세입니다.

◆ 코킹 보수
참고 비용 : 6000~ 10000원/m

예)
욕실의 경우(약 15m~20m) = 약 90000~200000원
주방의 경우(약 5m~10m) = 약 30000~100000원
세면대의 경우(약 1m~2m) = 약 6000~ 20000원

※ 업체에서 최소 매출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60000원/m가 시세입니다.

水回りのコーキング(シーリング)にかかる費用と価格の相場は?
https://refolean.com/%E6%B0%B4%E5%9B%9E%E3%82%8A%E3%81%AE%E3%82%B3%E3%83%BC%E3%82%AD%E3%83%B3%E3%82%B0%E3%82%B7%E3%83%BC%E3%83%AA%E3%83%B3%E3%82%B0%E3%81%AB%E3%81%8B%E3%81%8B%E3%82%8B%E4%BE%A1%E6%A0%BC%E3%81%A8%E8%B2%BB/

水回りのコーキング(シーリング)にかかる費用と価格の相場は?

目次 1 水回りのコーキング(シーリング)の費用の相場2 水回りのコーキングとは?3 水回りのコーキ […]

refolean.com

Posted by 말총머리
,


한때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던 불법거래 사이트 실크로드는 마리화나, LSD, 헤로인, 코카인 등의 금지 약물이 '드러그 eBay'라고 불릴 정도로 왕성하게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2013년에 운영자가 체포되며 실크로드는 폐쇄되었는데, 2020년 미국대통령 선거의 결과에 전국이 주목하는 가운데, 실크로드에 관련된 약 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누군가가 몰래 이동시켰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Nearly $ 1B from Silk Road Move for First Time Since 2015 - CipherTrace
https://ciphertrace.com/nearly-1b-from-silk-road-move-for-first-time-since-2015/

Nearly $1B from Silk Road Move for First Time Since 2015

On November 3, more than 69,370 BTC originating from the Silk Road—one of the first darknet markets—moved for the first time since April 2015 via the following two transactions: 0d13a52e3b640d05cdf31b41f335b327f126cb79d9eec1e2bc46556ef30a0b57...

ciphertrace.com


Silk Road bitcoins worth $ 1bn change hands after seven years | Silk Road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technology/2020/nov/04/silk-road-bitcoins-worth-1bn-change-hands-after-seven-years

Silk Road bitcoins worth $1bn change hands after seven years

Funds have lain dormant since darknet site founder Ross Ulbricht was jailed in 2013

www.theguardian.com


$ 1 billion of bitcoin linked to Silk Road is on the move : Elliptic
https://www.cnbc.com/2020/11/04/1-billion-of-bitcoin-linked-to-silk-road-is-on-the-move-elliptic.html

$1 billion worth of bitcoin linked to Silk Road black market is on the move, analysis shows

About $1 billion worth of bitcoin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ite was moved out of a bitcoin wallet, according to Elliptic.

www.cnbc.com


2011년에 개설된 실크로드는 일반 검색 엔진에서는 접속할 수 없었으며 URL을 아는 사람만이 접근 가능한 불법거래 사이트였습니다. 실크로드에서 불법 약물이나 악성코드, 불법 콘텐츠, 훔친 신용카드 정보, 해킹 방법 등이 판매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크로드의 개설자이자 운영자인 Ross William Ulbricht는 법집행기관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익명통신 기술인 Tor를 사용했고 거래 통화로 비트코인을 채택했습니다. 당시로써는 매우 진보이었던 이 구조는 Ulbricht가 심취했던 자유지상주의의 경제 이론에 영향을 받은 것.

개설에서 불과 2년 만에 9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한 실크로드는 2013년 10월 Ulbricht가 연방수사국(FBI)에 의해 체포되며 폐쇄되었습니다. 실크로드에 이어 실크로드 2.0이라는 불법거래 사이트도 등장했지만, 실크로드 2.0 관리자들도 FBI에 의해 체포되었습니다.

by Brian Klug


Ulbricht는 돈세탁이나 해킹, 마약 거래 등의 혐의로 가석방없는 종신형이 선고되었습니다. FBI는 실크로드가 보유한 17만 4000비트코인을 압수했지만, 여전히 45만 비트코인이 압수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가상통화인 비트코인은 다양한 요인으로 가격이 움직이기 때문에 Ulbricht가 체포되어 거래가 멈춘 비트코인의 가치도 크게 변화했습니다. 실크로드가 폐쇄된 2013년 10월 시점의 1비트코인의 가치는 13만 원 정도였지만, 현재는 1비트코인 당 1600만 원 정도. 따라서 실크로드와 관련된 압수되지 않은 비트코인의 가치도 당시의 10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실크로드와 관련된 비트코인이 보관되어 있는 지갑 중 일부는 이미 거래내역 등이 특정되어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6만 9370비트코인이 보관되어 있는 지갑은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지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3년 4월 이후 변동없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전역이 2020년 대통령 선거의 결과에 주목했고 있던 현지 시각 11월 3일 밤 실크로드와 관련된 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 전부가 새로운 지갑으로 옮겨진 것으로 판명났습니다. 거래내역을 보면, 우선 1비트코인이 새로운 지갑에 옮겨진 후 다음 남아있는 모든 비트코인이 새로운 지갑으로 옮겨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행태는 대량의 비트코인을 송금할 때 보낼 지갑이 올바른지 확인하여 송금 실수를 막기 위해 사용하는 손쉬운 방법이라고 합니다.

암호통화 분석가인 톰 로빈슨 씨는 "블록체인 분석에 의한 결과, 이 자금은 실크로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라고 지적합니다만 누가 비트코인을 옮겼는지는 모르는 것 같습니다. 로빈슨 씨는 "이 9억 5500만 달러의 가치가 있는 비트코인의 움직임은 Ulbricht 또는 실크로드의 관계자가 자금을 통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 Ulbricht가 감옥에서 비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라고 말합니다.


한편, 외부 해커가 지갑의 비밀 열쇠를 입수하여 자금을 훔쳤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지갑의 송금에 사용하는 비트코인 주소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지난 1년간 해커 포럼에서 '그 지갑의 개인키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파일이 유통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만약 이 파일에 정말 개인키가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무차별대입 공격으로 파일의 암호를 해독하여 지갑에 액세스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로빈슨 씨는 무관한 해커가 아닌 실크로드의 관계자가 자금을 이동시켰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대통령 선거에 주목하고 있는 시기를 노리고 자금을 이동시켰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향후 1조 원 상당 비트코인의 현금화가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해서도 주목이 모여있는데, 전문가인 데이비드 제럴드 씨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거래내역은 블록체인에 기록 ·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해커가 비트코인을 현금화하기 어렵다고 설명합니다. "비트코인은 완전히 추적할 수 있어 모두가 엑티브 비트코인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라고 제라드 씨는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Voyager 2 passing Uranus in January 1986. https://en.m.wikipedia.org/wiki/File:UranusVoy2.png


미국의 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는 1977년 발사된 이후 목성보다 외곽에 위치한 행성의 선명한 모습을 인류에게 보여주었습니다.
보이저 1호는 2호보다 2주 후에 발사되었지만, 항해 도중에 2호를 제치고 한발 앞서 1979년 3월에 목성에 도착했습니다. 보이저 1호가 보내온 목성의 위성 이오의 이미지에는 유황을 분출하는 화산도 찍혀있었습니다. 보이저 1호는 목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속도를 조정하였고 1980년 11월에는 토성에 접근했습니다.

보이저 2호도 1979년 7월에 목성에 접근한 후 1981년 8월에 토성, 1986년 1월에 천왕성, 1989년 8월에 해왕성 순으로 연거푸 행성에 접근했습니다. 현재 두 대의 보이저는 태양계의 외부로 향하는 궤도상에 있으며, 꾸준히 관측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습니다.

Voyager 1's view of Solar System.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Voyager_1%27s_view_of_Solar_System_(artist%27s_impression).jpg


우주인과의 접촉에 대비하여 두 대의 보이저에는 지구의 다양한 자연과 인간의 생활상, 동서고금의 음악, 세계 각국의 언어로 구성된 인사말 등을 기록한 디스크가 실려있습니다.

보이저는 어디까지 도달 가능한가?


보이저는 원자력 전지를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으며, 탐사 후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건재합니다.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0년을 넘어서도 귀중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보내올 것입니다. 보이저 1호의 위치는 태양으로부터 150천문단위 거리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구와의 통신을 할 수 없게 된 이후에도 보이저의 여행은 계속됩니다.

USS Voyager route.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USS_Voyager_route.jpg

 

보이저 탐사선의 예측 운용 수명은 앞으로 5년


보이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과학자들에 따르면, 탐사기의 예측 운용 기간이 5년이 채 남지 않았다고 발언했습니다.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1호와 2호는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탐사를 수행했고, 태양권을 넘어 현재도 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션과학자 에드 스톤 씨에 따르면, 탐사선은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발전량도 감소하고 있으며, 약 5년 후에는 과학 관측기기가 작동을 멈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이저는 시속 4만 8000킬로미터 이상으로 비행하고 있으며, 지구와의 통신은 1호라면 20시간 이상, 2호는 17시간 가까이 걸립니다.

출처 참조 번역
ボイジャー探査機の予測運用寿命は後5年に
https://sorae.info/030201/20191106-voyager.html

ボイジャー探査機の予測運用寿命は後5年に

ボイジャー計画に関わる科学者は10月31日、探査機の予測運用期間は残り5年になると発言しました。 1977年に打ち上げられたボイジャー1号と2号は、木星や土星、天王星、海王星の探査を実施

sorae.info

ボイジャーはどこまで行くんですか?
http://www.kids.isas.jaxa.jp/faq/m/solarsystem/ss09/000113.html

 

Posted by 말총머리
,


예로부터 동물과 인간의 수면을 제한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해 수면의 역할을 찾아내려고 다양한 실험을 했습니다. 동물을 자지 못하도록 하니 식사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체중의 감소, 체온의 저하, 탈모의 진행, 피부 궤양 등이 발생하여 몇 주 만에 죽어버렸습니다.


인간도 경우, 1959년에 소아마비 구제모금을 위해 여행하던 DJ는 200시간 동안 일체의 수면을 취하지 않으며 뉴욕의 타임스퀘어의 유리부스에서 방송을 계속했습니다. 그리고 1965년에는 캘리포니아의 17세의 고교생 가드너가 이 세계기록에 도전했고 264시간 12분의 신기록을 수립했습니다. 이 도전에서 2명 모두 죽지 않았고 큰 신체적 문제도 없습니다만, 도전 4일째 무렵부터 집중력의 저하, 환각, 환청 등의 정신적인 변화가 보였습니다. 또한 세계기록 도전자만큼 장시간은 아니지만, 실험실에서 실시한 연구에서도 3~4일이 경과하자 피실험자에게서 착각이나 환각이 발생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즉, 2일 이상 잠을 취하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하면 신체적인 면보다 정신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됩니다.


현재 기네스북은 건강에 대한 영향이 크다는 이유로 이 같은 세계기록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식사와 같은 수면을 취하지 않는 행위가 매우 위험한 것임은 틀림없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미국 매사추세츠주에서 2020년 11월 3일에 소비자들이 자동차를 직접 수리할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한 '2020년 매사추세츠주 수리권 이니셔티브' 통칭 '수리권법'의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고, 찬성이 유효표의 74.9%를 차지하여 찬성 다수로 가결되었습니다. 2012년에 이 주에서 제정된 비슷한 법률의 범위를 확대하는 이번 법안의 성립에 대해 여러 미디어가 '중요한 투표였다'고 보도했습니다.

Massachusetts passes ‘right to repair’ law to open up car data -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2020/11/4/21549129/massachusetts-right-to-repair-question-1-wireless-car-data-passes

Massachusetts passes "right to repair" law to open up car data

Car owners could view repair data with a phone app.

www.theverge.com


Massachusetts Just Passed the World’s Most Advanced Right to Repair Law - iFixit
https://www.ifixit.com/News/46235/massachusetts-just-passed-the-worlds-most-advanced-right-to-repair-law

Massachusetts Just Passed the World’s Most Advanced Right to Repair Law

At least one victory was reached Tuesday night: Massachusetts passed a new Right to Repair law.

ko.ifixit.com


Massachusetts Voters Overwhelmingly Pass Car Right-to-Repair Ballot Initiative
https://www.vice.com/en/article/bvxxq3/massachusetts-voters-overwhelmingly-pass-car-right-to-repair-ballot-initiative

Massachusetts Voters Overwhelmingly Pass Car Right-to-Repair Ballot Initiative

The 75-25 percent margin on "Question 1," which ensures independent repair shops can continue to work on cars, suggests we overwhelmingly want to be able to fix their things.

www.vice.com


Massachusetts Voters Score Huge Car Tech Win With Expansion Of Right-To-Repair Law | HotHardware
https://hothardware.com/news/massachusetts-voters-diy-smart-car-right-repair-law

Massachusetts Voters Score Huge Car Tech Win With Expansion Of Right-To-Repair Law

Massachusetts residents voted to pass a crucial right-to-repair bill for automobiles as cars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more high-tech.

hothardware.com


매사추세츠주에서 2012년에 제정된 '수리권법'은 메이커나 딜러가 보유한 것과 같은 수리 정보와 도구를 자동차 소유자 및 독립 자동차 수리점에 제공하는 것'을 자동차 회사에 의무화한 법률입니다. 이 법에 따라 자동차의 소유자는 제조업체 및 제조업체 지정 대리점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신이 직접 또는 선택한 정비소에서 차량을 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2012년의 수리권법은 당시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던 하이테크 자동차를 커버하지 않는다는 허점이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고급 하이테크 기술과 컴퓨터를 탑재한 스마트 자동차가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차가 '진단 정보와 텔레매틱스 데이터를 직접 업체에 보내버리는 탓에 소유자 및 수리점이 자동차를 수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표면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수리권의 추진을 목표로 하는 단체인 수리연합을 비롯한 소비자단체는 데이터의 공개를 자동차 회사에 요구했지만, 업체 측은 '보안 위험이 높아진다'며 거절해 왔습니다. 그러나 보안전문가들은 '진단 데이터 및 수리 데이터를 공유한다고 해서 차고 셔터를 무단으로 열 수 있거나 사이버 스토킹에게 차를 추적당하는 일은 없습니다'라는 의견을 발표하여 소비자단체를 지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실시된 11월 3일 매사추세츠주의 주민투표는 '자동차 소유자가 차량의 운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독립적인 수리업체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의 찬반을 묻는 수리권법 개정안, 통칭 'Question 1'이 발의되었고 찬성 248만 1625표 · 반대 83만 1415표 찬성 다수로 가결되었습니다. 이는 2022년 이후 매사추세츠주에서 판매되는 텔레매틱스 지원 차량은 표준화된 오픈액세스 데이터플랫폼을 장착하는 것이 의무화되는 것입니다.


전자기기 수리정보 등을 다루는 iFixit의 CEO인 Kyle Wiens 씨는 주민투표 결과에 대해 "현재 자동차 유지보수에 대한 정보를 직접 메이커에 보내는 방식으로, 현지의 정비사를 배제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수리권법에 의해 소비자는 자신의 자동차를 직접 수리하거나 자신이 선호하는 수리점에서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IT계 뉴스사이트 The Verge는 'Question 1'이 통과함으로써 자동차의 소유자는 스마트폰 앱으로 자동차 텔레매틱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매사추세츠주 법률은 해당 주에 한정된 것이지만, 기업이 이를 준수함으로써 전국적인 기준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습니다"라고 평하며 매사추세츠주 이외의 지역에 대한 파급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인간이 늘릴 수 있는 근육량의 한계가 수치로 표현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테마로 검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FFMI 제지방량지수 자동계산]

신장, 체중, 체지방율을 입력

여기에서의 체지방 비율은 측정기에 의해 변동이 있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파악하면 됩니다

계산된 수치로, 근육량의 평가를 해본다

남자로 예를 들면

[18 이하] 근육량이 부족하다
[18 ~ 20] 일반적인 근육량
[20 ~ 22] 외형이 근육질(근육 트레이닝 초급 ~ 중급)
[22 ~ 25] 격렬한 근육 트레이닝을 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근육량 (근육 트레이닝 상급자)

여기서 말하는 [25]라는 숫자가 인간의 한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재능과 노력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의 자신을 계산해 보십시오
얼마나 이 수치가 굉장한지를 실감할 것입니다

보디빌더 세계의 정상에 군림하는 분들은 대부분이 도달하고 있습니다


대단한 것은 근육이 비대함을 유지면서도 빈틈없이 단련되어 있다는 점

체중을 줄여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지방과 함께 근육량도 줄어들어 버립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Women 's Health Magazine이 영양사에게 문의한 결과, 인간은 아무리 과식하여도 하루에 500그램 이상 살찌는 경우는 우선 없을 것이라는 답변을 얻었습니다.

영양사인 사만다 씨에 따르면, 하루에 몇 킬로 단위로 살찌기 위해서는 '놀라운 양'을 섭취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칼로리 계산에 따르면 하루에 섭취하고 소화하는 열량보다 3,500칼로리를 추가로 먹어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2,000칼로리 섭취하고 있는 경우, 추가로 3,500칼로리, 총 5,500칼로리를 먹어야 겨우 500g 체중이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이 칼로리 계산에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는 칼로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온종일 자거나 하지 않는 한 5,500칼로리 이상 먹지 않으면 500g 이상 살이 찌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3,500칼로리를 추가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3식 외에 와인 3큰술, 닭튀김 2개, 양파링, 감자칩, 햄버거 1개와 초콜릿 케이크 1조각을 먹으면 됩니다.

출처 참조 번역
The maximum amount of weight you could realistically gain in one day
http://www.womenshealthmag.com/weight-loss/one-day-weight-gain

The Maximum Amount of Weight You Could Realistically Gain in One Day

Cue one big collective sigh of relief.

www.womenshealthmag.com

Posted by 말총머리
,
by Kevin Gill


1977년 8월 20일에 발사된 무인우주탐사선 보이저 2호는 관측한 다양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여 우주 연구에 크게 공헌하고 있습니다. 2020년 3월 중순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보이저 2호의 교신이 중단되고 있었지만, 2020년 11월 3일 NASA는 "약 8개월 만에 보이저 2호와의 교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NASA Contacts Voyager 2 Using Upgraded Deep Space Network Dish | NASA
https://www.nasa.gov/feature/jpl/nasa-contacts-voyager-2-using-upgraded-deep-space-network-dish

NASA Contacts Voyager 2 Using Upgraded Deep Space Network Dish

The only radio antenna that can command the 43-year-old spacecraft has been offline since March as it gets new hardware, but work is on track to wrap up in February.

www.nasa.gov


NASA calls Voyager 2, and the spacecraft answers from interstellar space |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science/2020/11/nasa-calls-voyager-2-and-the-spacecraft-answers-from-interstellar-space/

NASA calls Voyager 2, and the spacecraft answers from interstellar space

The spacecraft is so far south it can only talk to one Earth-bound antenna.

arstechnica.com


Voyager 2 is back online after eight months of radio silence •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ter.com/2020/11/03/voyager_2_back_online/

Voyager 2 is back online after eight months of radio silence

Australian antenna upgrade appears to have worked, should be ready to help with imminent Mars landings

www.theregister.com


보이저 2호는 태양계 외부에서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을 탐사할 목적으로 자매기인 보이저 1호와 차례로 발사되었습니다. 두 탐사선은 관측과 교신용 장비뿐 아니라 외계생명체와 접촉했을 때 지구의 문화를 전하기 위한 '보이저 금제 음반'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2호의 주요 임무는 1989년 해왕성 탐사로 종료되었지만, 그 후에도 태양계 밖으로 향하면서 가동을 계속하며 관측데이터를 지구에 계속 보내고 있었습니다. 2018년에는 태양이 내뿜는 플라즈마인 태양풍이 닿는 범위에서 이탈해 성간 공간에 들어간 보이저 1호에 이어 태양권 밖으로 도달한 두 번째 탐사선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지구에서 약 188억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보이저 2호와의 교신은 NASA가 구축한 딥스페이스 네트워크(DSN)라는 통신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SN은 저궤도 위성이 아닌 행성 · 소행성 등의 탐사 전반과 1년 내내 교신하기 위해 구축된 네트워크입니다.

DSN의 교신을 담당하는 지상국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골드스톤 심우주통신시설, 스페인의 마드리드 심우주통신시설, 호주의 캔버라 심우주통신시설 3곳이며, 각각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모두 초고감도 수신기 및 강력한 송신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만, DSN의 운용이 시작된 시기가 1960년대여서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by biedronne


그래서 NASA는 캔버라 심우주통신시설에 있는 직경 70m인 거대한 parabola 안테나 · Deep Space Station 43(DSS43)의 개보수 공사를 실시하기로 결정. 개보수 공사에 따라 2020년 3월 중순부터 DSS43의 교신 기능이 오프라인이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DSN은 하나의 지상국이 다운되더라도 다른 지상국이 통신을 커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만, 지구의 남쪽으로 진로를 취하고 있는 보이저 2호는 드문 예외로, 북반구에 있는 골드스톤 심우주통신시설과 마드리드 심우주통신시설에서 신호를 보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이저 2호와 교신할 수 있는 유일한 위성 안테나인 DSS43가 오프라인되어 지구에서 보이저 2호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이 없어 교신이 끊겨버렸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보이저 2호에서 보낸 관측데이터는 캔버라 심우주통신시설에 있는 폭 34m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완전히 통신이 두절됐다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지구에서 신호를 보낼 수 없는 일방통행 상태가 되어 버렸다는 설명입니다.

거대한 크레인을 사용하여 시작된 DSS43의 리노베이션 공사의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이저 2호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송신기가 47년 만에 갱신된 것 외에도 전기케이블, 전원, 냉각장치 등의 교환이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BIG DAY for the BIG DISH #DSS43
Installation of the new X-band cone in the centre of the antenna dish - Deep Space Station 43🏗️📡
https://twitter.com/CanberraDSN/status/1258216399534608384?s=19

CanberraDSN on Twitter

“BIG DAY for the BIG DISH #DSS43 Installation of the new X-band cone in the centre of the antenna dish - Deep Space Station 43🏗️🧂📡 https://t.co/nFg8zf58tJ”

twitter.com


10월 29일 DSS43에 새로 설치된 무선통신 기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3월 중순에 공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운영자가 보이저 2호에 명령을 전송. 보이저 2호와의 통신은 편도 17시간 왕복 34시간의 지연이 발생하지만, NASA는 보이저 2호가 보낸 '지구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다'는 확인 신호를 잡아내며 8개월 만의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교신 성공으로 DSS43에 새로 설치된 장치가 잘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NASA의 제트추진 연구소의 DSN 프로젝트 매니저인 Brad Arnold 씨는 "이번 보이저 2호 및 테스트 통신은 우리가 수행하는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라고 말합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


Google은 Gmail 또는 Chrome 등 편리한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만, Chrome은 정기적으로 PC의 내용을 '감시'하고 있다고 보도되거나 Google 앱은 위치정보를 비활성화하여도 위치데이터를 추적 · 수집하고 있다고 보도되는 등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하면 Google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Google이 제공하는 다양한 도구를 대체하는 유사한 도구나 웹서비스를 정리한 'No More Google'이 등장했습니다.

No More Google
https://nomoregoogle.com/

No More Google

Privacy-friendly alternatives to Google that don't track you

nomoregoogle.com


각각의 도구를 대체하는 서비스 상위 3개를 정리하였고, 대체 서비스의 명칭 옆에 적혀있는 포인트는 사용자에 의해 찬성 버튼이 눌러진 횟수를 보여줍니다.

◆ Google Chrome의 대체 도구
1 : Firefox : 20425 포인트
2 : Brave : 6205 포인트
3 : Safari : 4582 포인트

◆ Google 검색의 대체 서비스
1 : Duck Duck Go : 15665 포인트
2 : Startpage : 2996 포인트
3 : Qwant : 2883 포인트

◆ Google 비밀번호 관리자의 대체 도구
1 : KeePass : 6154 포인트
2 : bitwarden : 5403 포인트
3 : 1Password : 5232 포인트

◆ Google Analytics의 대체 서비스
1 : Matomo : 2162 포인트
2 : Amplitude : 633 포인트
3 : Simple Analytics : 611 포인트

◆ Gmail의 대체 도구
1 : ProtonMail : 8415 포인트
2 : Fastmail : 5125 포인트
3 : Tutanota : 2381 포인트

◆ Google 문서의 대체 도구
1 : Notion : 3168 포인트
2 : Bear : 1115 포인트
3 : Zoho Sheet : 822 포인트

◆ Google 스프레드시트의 대체 도구
1 : Airtable : 1784 포인트
2 : Zoho Sheet : 822 포인트
3 : Coda : 580 포인트

◆ YouTube의 대체 서비스
1 : Vimeo : 3622 포인트
2 : PeerTube : 2462 포인트
3 : Dailymotion : 969 포인트

◆ Google 맵의 대체 서비스
1 : Leaflet : 1678 포인트
2 : Mapbox : 1306 포인트
3 : MAPCAT : 370 포인트

◆ Google 광고의 대체 도구
1 : BuySellAds : 328 포인트

◆ Blogger의 대체 서비스
1 : WordPress : 3590 포인트
2 : Medium : 2317 포인트
3 : Ghost : 1547 포인트

◆ Google Public DNS의 대체 서비스
1 : 1.1.1.1 : 5268 포인트
2 : OpenDNS : 2059 포인트
3 : Quad9 : 1082 포인트

◆ Google 드라이브의 대체 도구
1 : Nextcloud : 4229 포인트
2 : Dropbox : 3697 포인트
3 : MEGA : 2698 포인트
무료로 50GB의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사용 가능한 'MEGA'

Google 항공편 검색의 대체 도구
1 : Skyscanner : 2168 포인트
2 : Skiplagged : 471 포인트
3 : Kiwi : 452 포인트

◆ Google 행아웃의 대체 도구
1 : Telegram : 7269 포인트
2 : Signal : 6251 포인트
3 : Discord : 2753 포인트

◆ Google Poly의 대체 서비스
1 : Sketchfab : 222 포인트
2 : TurboSquid : 67 포인트

◆ Google Scholar의 대체 서비스
1 : arXiv : 1046 포인트

◆ Google 번역의 대체 서비스
1 : DeepL : 2822 포인트
2 : WordReference : 1044 포인트
3 : Translate.com : 612 포인트

Posted by 말총머리
,
by Global Panorama


의학연구 현장에서는 마우스를 비롯한 많은 실험동물을 사용하고 있고 동물보호단체는 '동물실험은 비윤리적'이라고 비난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네덜란드 연구팀이 '생물의학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이 수많이 발표된 논문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했습니다.

Publication rate in preclinical research : a plea for preregistration
(PDF 파일) https://openscience.bmj.com/content/bmjos/4/1/e100051.full.pdf


Millions of animals may be missing from scientific studies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mag.org/news/2020/10/millions-animals-may-be-missing-scientific-studies

Millions of animals may be missing from scientific studies

Analysis at Dutch university suggests researchers are not reporting a large number of animal experiments

www.sciencemag.org


과학자들은 이전부터 '논문에서 언급된 실험동물은 전체의 일부이며, 많은 실험동물이 논문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의심했습니다. 예를 들어, 실험의 결과가 논문에서 언급할 만큼 흥미로운 것이 없거나 무산되면 그 실험에 사용된 동물에 대해 공개적으로 발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몇 마리의 동물을 실험에 사용했는지를 조사하고 추적하기가 어려워서 논문 중에 나타나는 실험동물과 전체 수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합니다. 물론 연구자들은 무제한으로 동물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윤리적 승인을 받기 위한 신청서에 실험 내용이나 사용하는 동물의 수를 기재할 필요가 있지만, 이 서류는 기밀로 취급되어 공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네덜란드 연구팀은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Utrecht대학 메디컬센터의 3개 부문에 소속된 연구원들에게 2008년과 2009년에 동물윤리위원회에 제출한 연구계획서를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을 요구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계획서를 기반으로 발표된 논문을 의학지에서 찾아 해당 내용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동물윤리위원회에 승인된 연구 중 46%가 논문으로 발표되었고, 학회의 강연과 포스터 발표를 포함하면 60%가 성과를 보고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연구에 사용된 5590마리의 동물 중 공개된 논문이나 강연에서 언급된 것은 1471마리에 불과했다는 것. 비율로 보면 실험에 사용된 동물 중 26% 정도만 공개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입니다.


논문 등에서 언급되는 비율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랐고, 전체의 90%를 차지하는 마우스 및 쥐는 23%밖에 언급되지 않은 반면, 양이나 개, 돼지 등의 비교적 대형 실험동물은 52%가 언급되었다고 합니다.

연구자들은 이 패턴이 세계의 연구기관에서도 유사할 가능성이 있다며, 수백만 마리의 실험동물이 언급되지 않은 채 사라지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지적합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던 옥스포드대학의 의학통계 학자 Michael Schlüssel 씨는 "사용된 동물에 대한 결과가 공표된 비율이 이렇게 낮은 것은 끔찍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연구팀이 '도대체 왜 성과 내용 중에 실험동물을 언급하지 않았습니까?'라고 연구자들에게 물어본 결과,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연구가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험 자체가 공식적인 것이 아닌 시험 단계였던 점, 동물을 사용한 실험 모델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던 점도 실험동물에 대해 보고하지 않는 이유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연구의 공동저자인 Radboud대학의 Kimberley Wever 씨는 어느 이유도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지 않는 타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합니다. "모든 동물 연구는 공표되어야 하며, 모든 연구는 과학 커뮤니티에 가치가 있다"고 Wever 씨는 말합니다.

Wever는 '실패한 연구'를 과학자가 공표하지 않으면 다른 과학자가 비슷한 연구를 반복하여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Schlüssel 씨도 획기적인 연구결과만으로는 과학적 증거 기반으로 충분하지 않다며, 더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지했습니다.

Posted by 말총머리
,